KR102242357B1 -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357B1
KR102242357B1 KR1020190018946A KR20190018946A KR102242357B1 KR 102242357 B1 KR102242357 B1 KR 102242357B1 KR 1020190018946 A KR1020190018946 A KR 1020190018946A KR 20190018946 A KR20190018946 A KR 20190018946A KR 102242357 B1 KR102242357 B1 KR 102242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bile duct
wall
biliary
biop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945A (ko
Inventor
이종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9001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357B1/ko
Priority to PCT/KR2020/002188 priority patent/WO2020171493A1/ko
Publication of KR2020010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편리하게 담도암의 조직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가 제공된다. 이 스텐트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삽입관의 외벽에 지그재그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홈부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일측과 외벽을 연결하는 제1 측벽과, 바닥부의 타측과 외벽을 연결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한다. 제1 측벽과 외벽으로 이루어진 제1 모서리부는 담관에 스텐트가 인입될 때 담관 상피 조직을 채취하고, 제2 측벽과 외벽으로 이루어진 제2 모서리부는 담관에서 스텐트가 인출될 때 채취된 담관 상피 조직을 보관한다. 그리고, 바닥부에는, 채취된 담관 상피 조직의 3차원 세포배양을 위한 세포외기질로 사용되는 인공 폴리머와, 세포 생장을 유도하는 세포생장유도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Stent for both biliary drainage and biopsy of biliary cancer using dual edge groove}
본 발명은 의료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담도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직검사를 위해 담관 상피 조직을 편리하게 수득할 수 있는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담즙은 간에서 만들어져 십이지장으로 보내지는데, 간과 십이지장을 잇는 길을 담관이라 한다. 간 속을 지나는 부분을 간내담관이라 하고, 간 밖으로 나온 부분부터 십이지장에 연결된 부분까지를 간외담관이라 구분하기도 한다.
담도암 또는 담관암은 담관 상피에서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한다. 초기 단계에서는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증상이 없지만 종양으로 인해 담관이 막히면 통증이 없는 황달과 황달뇨 증상이 나타난다. 담도 폐쇄는 서서히 진행되고 또한 초기 증상이 없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담도암이 진단될 때에는 이미 상당히 진행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한편, 다른 소화기암의 경우 시술자가 내시경 화면으로 병변을 직접 보면서 조직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데, 담도암은 담관 내부에 위치해 있어서 병변을 직접 보는 게 아니라 투시 장비(fluoroscopy)를 통해 2차원 화면 상에서 거의 맹검(nearly blinded experiment)과 같이 조직 생검을 해야 한다. 더구나 일반 내시경을 이용한 조직 검사는 병변을 정면으로 보면서 조직을 수득할 수 있지만, 담도암의 조직 검사의 경우 생검용 포셉(forcep)과 담도 벽이 약 90도로 배치되어 있어서 수득 가능한 조직 양이 매우 적다. 이로 인해 담도암의 경우 전통적인 조직검사에 따른 진단적 검출률(diagnostic yield)이 50%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조직학적 확진 없이 영상학적 검사로만 종양을 진단한 후에 수술 등 치료방침을 정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담즙배출을 용이하게 하면서 편리하게 담도암의 조직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는, 담도암 조직검사를 위해 담관 내에 삽입되는 스텐트로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삽입관의 외벽에 지그재그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과 상기 외벽을 연결하는 제1 측벽과, 상기 바닥부의 타측과 상기 외벽을 연결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외벽으로 이루어진 제1 모서리부는 담관에 스텐트가 인입될 때 담관 상피 조직을 채취하고,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외벽으로 이루어진 제2 모서리부는 담관에서 스텐트가 인출될 때 채취된 담관 상피 조직을 보관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채취된 담관 상피 조직의 3차원 세포배양을 위한 세포외기질로 사용되는 인공 폴리머와, 세포 생장을 유도하는 세포생장유도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서리부 및 제2 모서리부는 상기 삽입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각 모서리부는 예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공 폴리머는 하이드로겔, 스캐폴드(scaffold), 또는 탈세포화된 세포외기질(decellularized extracellular matrix, dECM)일 수 있다.
상기 세포생장유도제는 시토카인(cytokine)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에 의하면, 3차원 세포배양을 이용하여 병변부의 담관 상피 조직을 효과적으로 수득하여 담도암 조직검사에 활용할 수 있다.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는 이중 모서리 홈(dual edge groove)을 가지는데, 구체적으로, 삽입관 외벽에 형성된 홈부는 두 개의 모서리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모서리부는 담관에 스텐트를 인입할 때 담관 상피 조직을 긁어서 채취하는 역할을 하며, 제2 모서리부는 담관으로부터 스텐트를 인출할 때 세포배양된 상피 조직을 홈부 내에 안전하게 담아서 외부로 추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는 담관에 삽입된 후 2 내지 3일 정도 유지하게 되는데, 그 동안 홈부 내의 구비된 인공 폴리머와 세포생장유도제를 이용하여 병변부로부터 채취된 담관 상피 조직을 3차원 세포배양하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세포를 수득할 수 있기 때문에 담도암의 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는 담즙의 이동 경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담도 폐쇄를 해결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를 인체에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인체 해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텐트를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를 인체에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인체 해부도이다.
본 발명의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는 내시경 시스템을 이용하여 담관(342) 내에 인입된다. 여기서, 내시경 시스템은 몸 속에 삽입되는 내시경(40)과, 내시경(40)으로부터 촬영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로부터의 이미지 처리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내시경(40)은 시술자가 손으로 잡아 내시경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몸 속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손잡이부의 측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부 내의 관으로 삽입되고 삽입부 선단으로 돌출되는 카테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시경(40)은 십이지장(320), 십이지장 유두부(322), 담관(342), 및 췌관(332) 등을 관찰하여 검사하기 위한 측시경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내시경(40) 선단 측부에 촬영부, 조명부 및 카테터(42)가 설치된 측시경을 이용하는 경우, 십이지장 유두부(322)를 정면으로 관찰하면서 담관(342)에 카테터(42)를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담관(342) 내부에 카테터(42)가 삽입된 후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담관(342)의 협착, 확장 여부나 담석, 종양 등을 관찰하면서 투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카테터(42) 내에는 압축되어 삽입되고, 안내 철사가 스텐트 및 카테터(42)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스텐트를 담관(342) 내의 병변부(344)에 인입시킬 수 있다. 먼저 내시경(40)을 통해 안내 철사가 십이지장 유두부(322)를 통과하여 담관(342) 내의 병변부(344)를 지나가면, 안내 철사를 따라 스텐트를 장착한 카테터(42)가 병변부(344)를 지나가도록 위치시킨다. 병변부(344)에서 카테터(42)를 뒤로 후퇴시키면 스텐트가 노출되면서 팽창하여 협착된 병변부(344)를 확장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텐트는 병변부(344)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담관 상피 조직을 채취하고 병변부(344)에서 수일 동안, 예를 들어 2 내지 3일정도 유지하면서 채취된 담관 상피 조직을 3차원 세포배양하여 추후 담도암 조직검사에 사용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텐트를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전체적으로 튜브형상의 삽입관(101)과, 삽입관(101)의 외벽(102)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홈부(110)로 구성된다. 삽입관(101)은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삽입관(101)이 카테터(42) 내에 압축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가 카테터(42) 외부로 노출되면 원래 형상으로 회복되면서, 담즙(10)의 이동 경로를 확보하여 담도 폐쇄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담관(342) 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담도암 조직검사를 위한 특별한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홈부(110)는 바닥부(114)와, 바닥부(114)의 일측과 외벽(102)을 연결하는 제1 측벽(113)과, 바닥부(114)의 타측과 외벽(102)을 연결하는 제2 측벽(115)을 포함한다. 제1 측벽(113)과 외벽(102)으로 이루어진 제1 모서리부(112)는 담관(342)에 스텐트(100)가 인입할 때 담관 상피 조직을 긁어서 채취한다. 제2 측벽(115)과 외벽(102)으로 이루어진 제2 모서리부(116)는 담관(342)에서 스텐트(100)가 인출될 때 앞서 채취된 담관 상피 조직을 바닥부(114) 내에 안전하게 보관하는 펜스 역할을 한다.
제1 모서리부(112) 및 제2 모서리부(116)는 삽입관(10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서리부(112)는 병변부에서 효과적으로 조직을 채취하도록 날카로운 예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제2 모서리부(116)는 스텐트(100)를 인출할 때 채취된 조직이 외부로 쓸려나가지 않고 잘 보관되도록 예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시술자는 담도암 조직검사를 위해 스텐트(100)를 담관에 삽입된 상태로 수일 동안 유지시키는데, 그 동안 채취된 담관 상피 조직에 대해 3차원 세포배양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홈부(110)의 바닥부(114)에는 인공 폴리머(200)와 세포생장유도제(202)가 형성되어 있다. 인공 폴리머(200)는 3차원 세포배양을 위한 세포외기질로 사용되며,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 스캐폴드(scaffold), 또는 탈세포화된 세포외기질(decellularized extracellular matrix, dECM)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포생장유도제(202)는 담관 상피 조직의 세포 생장을 유도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어 시토카인(cytoki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텐트(100)가 담관(34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담관(342)의 내벽이 인공 폴리머(200)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홈부(110)의 크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3차원 세포배양을 수행할 수 있다.
시술자가 스텐트(100)를 담관(342)에서 인출한 후, 스텐트(100)의 홈부(110)에서 3차원 세포배양된 담관 상피 조직을 이용할 경우, 병변부로부터 충분한 양의 세포를 수득할 수 있기 때문에 담도암 조직검사 시에 높은 진단율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담즙
40: 내시경
42: 카테터
100: 스텐트
101: 삽입관
102: 외벽
104: 내벽
110: 홈부
112: 제1 모서리부
113: 제1 측벽
114: 바닥부
115: 제2 측벽
116: 제2 모서리부
200: 인공 폴리머
202: 세포생장유도제
310: 위
320: 십이지장
322: 십이지장 유두부
330: 췌장
332: 췌관
340: 담낭
342: 담관
344: 병변부
350: 간

Claims (4)

  1. 담도암 조직검사를 위해 담관 내에 삽입되는 스텐트로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삽입관의 외벽에 지그재그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측과 상기 외벽을 연결하는 제1 측벽과, 상기 바닥부의 타측과 상기 외벽을 연결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외벽으로 이루어진 제1 모서리부는 담관에 스텐트가 인입될 때 담관 상피 조직을 채취하고,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외벽으로 이루어진 제2 모서리부는 담관에서 스텐트가 인출될 때 채취된 담관 상피 조직을 보관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채취된 담관 상피 조직의 3차원 세포배양을 위한 세포외기질로 사용되는 인공 폴리머와, 세포 생장을 유도하는 세포생장유도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서리부 및 제2 모서리부는 상기 삽입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각 모서리부는 예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폴리머는 하이드로겔, 스캐폴드(scaffold), 또는 탈세포화된 세포외기질(decellularized extracellular matrix, dE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생장유도제는 시토카인(cytok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KR1020190018946A 2019-02-19 2019-02-19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KR102242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46A KR102242357B1 (ko) 2019-02-19 2019-02-19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PCT/KR2020/002188 WO2020171493A1 (ko) 2019-02-19 2020-02-17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46A KR102242357B1 (ko) 2019-02-19 2019-02-19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945A KR20200100945A (ko) 2020-08-27
KR102242357B1 true KR102242357B1 (ko) 2021-04-20

Family

ID=7214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946A KR102242357B1 (ko) 2019-02-19 2019-02-19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2357B1 (ko)
WO (1) WO202017149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7849A1 (en) 1993-12-30 1995-07-06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Sample collection
WO2018213729A1 (en) 2017-05-19 2018-11-22 Tidhar Shalon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gastrointestinal sampl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756A (en) * 1994-01-06 1996-07-16 Parasher; Vinod K. Catheter with simultaneous brush cytology and scrape biopsy capability
US5394887A (en) * 1994-01-14 1995-03-07 Haaga; John R. Biopsy needle
US5486191A (en) * 1994-02-02 1996-01-23 John Hopkins University Winged biliary stent
JPWO2004080521A1 (ja) * 2003-03-10 2006-06-08 株式会社カネカ ステント
EP1633283A4 (en) * 2003-06-12 2007-06-06 Bard Inc C R INSTALLATION CATHETER OF AN EXTENSIONER
US7338530B2 (en) * 2003-11-24 2008-03-04 Checkmed Systems, Inc. Stent
WO2012162610A1 (en) * 2011-05-26 2012-11-29 Adn International, Llc Expandable device for tissue collection from an aerodigestive body lumen
KR20150116689A (ko) *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7849A1 (en) 1993-12-30 1995-07-06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Sample collection
WO2018213729A1 (en) 2017-05-19 2018-11-22 Tidhar Shalon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gastrointestinal sam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1493A1 (ko) 2020-08-27
KR20200100945A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KEDA et al. Flexible bronchofiberscope
US8753350B2 (en) Flexible vacuum grabber for holding lesions
US20080154090A1 (en) Endoscopic System for In-Vivo Procedures
JP2008526360A (ja) 複数の視覚素子を備えるカテーテル
CA2594427A1 (en) Endoscopic system for in-vivo procedures
US20090124927A1 (en) Endoscopic system for lung biopsy and biopsy method of insufflating gas to collapse a lung
US20070123799A1 (en) Method and kit for biopsying of pancreatic tumor masses
ES2327920T3 (es) Instrumento de biopsia optico.
Nomura A Needle Otoscope: An Instrument ofEndotoscopy of the Middle Ear
KR102242357B1 (ko)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KR102242724B1 (ko) 브러쉬 와이어를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세포진검사용 스텐트
Ohigashi et al. Endocytoscopy: novel endoscopic imaging technology for in-situ observation of bladder cancer cells
Kramer et al. Technical description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with fine-needle aspiration for the staging of lung cancer
Kanehira et al. Early clinical results of endorectal surgery using a newly designed rectal tube with a side window
KR20210048266A (ko) 실시간 내시경 유도를 통한 흉관 삽관술 장치
RU27290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раш-биопсии дистального отдела холедоха
KR20210048267A (ko) 내시경 유도를 통한 흉관 삽관술 장치
Okabe et al. 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oledochofiberoscopy
Aničin et al. Sialendoscopy, a minimally invasive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tool in the management of salivary gland diseases
RU2747591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пособ трепан-биопсии опухолей головки поджелудочной железы и дистального отдела холедоха с билиодуоденальным дренированием
RU2737913C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биопсии из трубчатых органов
CN113349727B (zh) 一种电子输尿管内窥镜
Hertel Intraoperative nephroscopy
Ocakcioglu et al. Rib resection using a Gigli saw under thoracoscopic guidance
Singh et al. Advanced Intraductal Biliary Im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