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528B1 -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528B1
KR102043528B1 KR1020170182381A KR20170182381A KR102043528B1 KR 102043528 B1 KR102043528 B1 KR 102043528B1 KR 1020170182381 A KR1020170182381 A KR 1020170182381A KR 20170182381 A KR20170182381 A KR 20170182381A KR 102043528 B1 KR102043528 B1 KR 102043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tube
tissue
collecting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000A (ko
Inventor
채현석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5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25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taking multiple sa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연결부재를 통해 복수의 조직 채취부가 복수의 조직을 한번에 채취함으로써 검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조직 채취용 기구는, 튜브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복수의 체결부; 상기 튜브의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체결부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 및 상기 복수의 연결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체결부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고,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조직을 채취하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말단에 구비되는 복수의 채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체결부 각각은 상기 튜브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상기 튜브 외부로 가장 많이 노출된 체결부에 연결된 제 1 체결부의 복수의 블레이드가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collecting device for multiple tissue}
본 발명은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연결부재를 통해 복수의 조직 채취부가 복수의 조직을 한번에 채취함으로써 검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직검사(생검, biopsy)는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중공침을 생체내 기관에 자입하여 병리조직학적 검사용으로 조직 일부를 채취하는 검사법의 일종을 말한다.
신장, 간 등의 실질 장기나 골수가 대상이었으나, 그 후 내시경이나 조직편 채취장치를 조합하여 소화관, 요로, 기도 등의 관강기관 혹은 관강이 있는 장기에 대해서도 널리 시행하고 있다.
세포 조직의 검사 및 치료 등을 위해 환자로부터 조직을 떼어내는 병리검사에서, 마이크로 스파이크를 이용하여 조직을 채취하는 경우 최소 침습적으로 조직 표본을 채취하므로, 포셉 형태의 생검 도구를 이용하여 조직을 채취하는 경우보다 환자에게 더 적은 고통을 줄 수 있다. 이때, 채취된 조직은 고정, 탈수, 투명, 파라핀(paraffin) 침투, 포매(embedding) 등의 과정을 거쳐 파라핀 블록(paraffin block)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조직 채취 장치는 개별적으로 조직을 채취하여 복수의 시술을 진행해야 하고, 긴 시간에 따른 환자의 부담 등을 증폭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10-085284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연결부재를 통해 복수의 조직 채취부가 복수의 조직을 한번에 채취함으로써 검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조직 채취용 기구는, 튜브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복수의 체결부; 상기 튜브의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체결부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 및 상기 복수의 연결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체결부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고,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조직을 채취하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말단에 구비되는 복수의 채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체결부 각각은 상기 튜브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상기 튜브 외부로 가장 많이 노출된 체결부에 연결된 제 1 체결부의 복수의 블레이드가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채취부 각각이 상기 복수의 연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조절하는 사용자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제어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조직을 채취한 제 1 체결부는, 말단이 상기 복수의 연결관 중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만 연결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체결부가 상기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체결부가 상기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상기 튜브 외부로 두 번째로 많이 노출된 체결부에 연결된 제 2 체결부의 복수의 블레이드가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직을 채취하여 상기 복수의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린 상기 복수의 체결부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상이한 체결부의 매달린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채취한 조직을 서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체결부, 복수의 연결관 및 채취부는 2개 또는 3개일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인 조직 채취 방법은, 튜브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 외부로 복수의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 1 단계; 복수의 연결관이 상기 튜브의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체결부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는 제 2 단계; 상기 복수의 연결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체결부 각각의 말단에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조직을 채취하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말단에 구비되는 복수의 채취부가 연결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튜브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서로 상이한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상기 튜브 외부로 가장 많이 노출된 체결부에 연결된 제 1 체결부의 복수의 블레이드가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조직을 채취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 이후에는, 상기 튜브의 말단에 연결된 사용자 제어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채취부 각각이 상기 복수의 연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조절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조직을 채취한 제 1 체결부의 말단이 상기 복수의 연결관 중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만 연결되는 제 5-1 단계; 및 상기 제 1 체결부의 타단이 하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체결부가 상기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리는 제 5-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 1 체결부가 상기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상기 튜브 외부로 두 번째로 많이 노출된 체결부에 연결된 제 2 체결부의 복수의 블레이드가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조직을 채취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직을 채취하여 상기 복수의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린 상기 복수의 체결부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 7 단계 이후에는, 상기 상이한 체결부의 매달린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채취한 조직을 서로 구분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연결부재를 통해 복수의 조직 채취부가 복수의 조직을 한번에 채취함으로써 검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채집을 완료하고 아래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채취부의 노출된 위치가 서로 상이하므로, 어떠한 부위에서 채집된 조직인지를 손쉽게 구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바이옵시 포셉(Biopsy forceps)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옵시 포셉(Biopsy forceps)에서의 포셉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옵시 포셉(Biopsy forceps)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길이가 상이한 2개의 연결부재를 통해, 2개의 조직 채취부가 복수의 조직을 한번에 채취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길이가 상이한 3개의 연결부재를 통해, 3개의 조직 채취부가 복수의 조직을 한번에 채취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조직 검사는 생체 조직을 일부 떼어 내어 분석하여 생체가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조직의 검사 대상자에 대해 질병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이다.
이렇게 조직이 채취되면 현미경을 통하여 조직세포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 조직에 조직검사에 필요한 시약 등을 투여하여 조직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산부인과에서는 자궁내 내막 조직검사를 많이 하게 된다.
특히, 자궁근종 또는 골반내 종양이 있을 때에는 진단을 위해 초음파검사 또는 단순 복부촬영술, 양손골반진찰 등의 단순한 검사를 통해 종양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그리고, 종양 등이 자궁 또는 골반 등에 있는 것이 검사를 통해 발견되게 되면 보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 자궁경 검사 또는 복강격검사 등을 하게 된다.
이렇게, 검사 결과 시 출혈이 있거나 종괴가 발견되면 생체 조직을 채취하여 보다 정밀한 검사를 하게 되는데, 정밀한 검사를 위한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서 자궁 내까지 진입가능한 주사기 및 주사바늘 등을 통해 생체 조직을 채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바이옵시 포셉(Biopsy forceps)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바이옵시 포셉(1000)은 채취대상조직을 채취하는 채취부(포셉, 100), 사용자가 채취부(100)의 펼쳐졌다가 오므라지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손잡이부(300) 및 채취부(100)와 손잡이부(300)를 연결하는 튜브(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300)는 사용자 제어부(300)라고 호칭될 수 있고, 튜브(200)와 손잡이부(3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310),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손잡이부(300)를 그립할 수 있는 그립부(320) 및 사용자가 채취부(100)의 펼쳐졌다가 오므라지는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취부(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옵시 포셉(Biopsy forceps)에서의 포셉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채취부(100)는 복수의 블레이드(34, 36)가 구비되고, 복수의 블레이드(34, 36)가 동시에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채취대상조직을 채취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채취부(100)는, 자궁 내의 내막에 위치한 채취대상조직에 근접하게 위치된 후, 복수의 블레이드(34, 36)가 동시에 펼쳐진 후 오므라드는 과정에서 상기 채취대상조직을 절단하면서 채취대상조직을 채취하게 된다.
도 2에서는 복수의 블레이드(34, 36)의 개수가 2개인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복수의 블레이드(34, 36)가 상호 밀착되면서 채취대상조직을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고, 네 개가 사방으로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채취부(100)는, 다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34, 36)를 통해 채취대상조직을 채취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레이드(34, 36)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34, 36)가 상호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채취대상조직이 절단되도록 상기 블레이드(34, 36)의 상부 테두리에는 절단날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절단날은, 상기 블레이드(34, 36)가 채취대상조직을 원활하게 절단하여 채집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도 3의 중심부(46)는 상기 절단날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바이옵시 포셉(1000)이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조절부(330)를 통해 다수 개가 펼쳐진 후 오므라드는 상기 블레이드(34, 36)는 오므라들면서 타원형 형태를 이루는데, 이때 블레이드(34, 36) 들이 상호 밀착되면서 그 내부로 진입된 채취대상조직이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절단날은, 다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34, 36)가 상호 밀착되면서 가위와 같이 채취대상조직을 절단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34, 36)와 다른 블레이드의 밀착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부(14)는, 다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34, 36)가 동시에 유동되면서 펼쳐졌다가 오므라들수 있도록 상기 채취부(100)에 연결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동부(14)는, 상기 블레이드(34, 36)에 연결되어 블레이드(34, 36)와 일체로 유동되는 유동편(50, 50', 52. 52')과 상기 유동편(50, 50', 52. 52')에 연결축(42)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채로 튜브(200)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부(14)는, 상기 유동편(50, 50’, 52. 52’)에 회동축을 통해 유동편(50, 50’, 52. 52’)과 나란하게 연결되는 왕복운동편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왕복운동편에는, 다수 개의 상기 유동편(50, 50’, 52. 52’)이 연결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유동편(50, 50’, 52. 52’)에는, 상기 블레이드(34, 36)가 고정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조절부(330)는, 상기 왕복운동편에 왕복축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튜브(200)를 관통한 채로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왕복운동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왕봉운동봉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한 후 왕봉운동봉이 원활하게 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다수 개가 구비되는 상기 유동편(50, 50’, 52. 52’)은, 상기 튜브(200)에 고정되는 고정핀의 연결축(42)을 축으로 상기 조절부(330)에 의해 좌우로 시소운동하면서 상기 유동편(50, 50’, 52. 52’)에 일체로 고정되는 상기 블레이드(34, 36)가 펼쳐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동편(50, 50’, 52. 52’)은, 회동축을 통해 왕복운동편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왕복운동편은, 왕복축(28)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왕복운동봉에 연결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옵시 포셉(Biopsy forceps)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중심부(46)를 기준으로 2개의 블레이드(35, 36)이 오픈(open)된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블레이드(35, 36)이 클로즈(close)된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잘려진 조직은 닫힌 형태 내부에 포함되고, 중심부(46)도 내부로 감춰진 형태가 된다.
단, 종래의 조직 채취 장치는 개별적으로 조직을 채취하여 복수의 시술을 진행해야 하고, 긴 시간에 따른 환자의 부담 등을 증폭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연결부재를 통해 복수의 조직 채취부가 복수의 조직을 한번에 채취함으로써 검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길이가 상이한 2개의 연결부재를 통해, 2개의 조직 채취부가 복수의 조직을 한번에 채취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채취부(100)는 제 1 채취부(100a) 및 제 2 채취부(100b)를 포함하고, 상기 채취부(100)에 연결된 연결관(110)은 제 1 채취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관(110a)와 제 2 채취부(100b)에 연결되는 제 2 연결관(110b)를 포함하며, 채취부(100)를 고정하는 고정부(120)도 제 1 채취부(100a)에 연결되는 제 1 고정부(120a)와 제 2 채취부(100b)에 연결되는 제 2 고정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제 1 연결관(110a)과 제 2 연결관(110b)이 튜브(200)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 2 연결관(110b)과 대비하여 제 1 연결관(110a)이 좀 더 외부로 길게 노출되어 있고, 결과적으로 제 1 고정부(120a)와 결합된 제 1 채취부(100a)는 제 2 고정부(120b)와 결합된 제 2 채취부(100b) 보다 좀 더 길게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좀 더 길게 외부로 노출된 앞단에 있는 제 1 채취부(100a)는 블라인드를 통해 대상 조직을 채취하고, 닫힌 상태가 될 수 있고, 손잡이부(300)의 조작을 통해 제 1 고정부(120a)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 4의 (b)와 같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제 1 채취부(100a)가 아래로 떨어지면, 제 2 채취부(100b)의 말단이 제 1 채취부(100a)보다 앞으로 튀어나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2 채취부(100b)도 블라인드를 통해 다른 대상 조직을 채취하고, 닫힌 상태가 될 수 있고, 손잡이부(300)의 조작을 통해 제 2 고정부(120b)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 4의 (b)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도 4의 (c)와 같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채취부(100a, 100b)를 통해 복수의 조직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채취부(100a, 100b)를 동시에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아래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채취부(100a, 100b)의 위치를 고려하여, 어떠한 부위에서 채집된 조직인지를 손쉽게 구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길이가 상이한 3개의 연결부재를 통해, 3개의 조직 채취부가 복수의 조직을 한번에 채취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채취부(100)는 제 1 채취부(100a), 제 2 채취부(100b) 및 제 3 채취부(100c)를 포함하고, 상기 채취부(100)에 연결된 연결관(110)은 제 1 채취부(100a)에 연결되는 제 1 연결관(110a), 제 2 채취부(100b)에 연결되는 제 2 연결관(110b) 및 제 3 채취부(100c)에 연결되는 제 3 연결관(110c)를 포함하며, 채취부(100)를 고정하는 고정부(120)도 제 1 채취부(100a)에 연결되는 제 1 고정부(120a), 제 2 채취부(100b)에 연결되는 제 2 고정부(120b) 및 제 3 채취부(100c)에 연결되는 제 3 고정부(12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제 1 연결관(110a), 제 2 연결관(110b) 및 제 3 연결관(110c)이 튜브(200)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 채취부(100a), 제 2 채취부(100b) 및 3 채취부(100c) 간 또는 제 1 연결관(110a), 제 2 연결관(110b) 및 제 3 연결관(110c) 간에는 서로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는 보조 기구가 추가로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 2 연결관(110b) 및 제 3 연결관(110c)과 대비하여 제 1 연결관(110a)이 좀 더 외부로 길게 노출되어 있고, 결과적으로 제 1 고정부(120a)와 결합된 제 1 채취부(100a)는 제 2 고정부(120b)와 결합된 제 2 채취부(100b) 및 제 3 고정부(120c)와 결합된 제 3 채취부(100c) 보다 좀 더 길게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좀 더 길게 외부로 노출된 앞단에 있는 제 1 채취부(100a)는 블라인드를 통해 대상 조직을 채취하고, 닫힌 상태가 될 수 있고, 손잡이부(300)의 조작을 통해 제 1 고정부(120a)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 5의 (b)와 같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제 1 채취부(100a)가 아래로 떨어지면, 제 2 채취부(100b)의 말단이 제 1 채취부(100a)보다 앞으로 튀어나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2 채취부(100b)도 블라인드를 통해 다른 대상 조직을 채취하고, 닫힌 상태가 될 수 있고, 손잡이부(300)의 조작을 통해 제 2 고정부(120b)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 5의 (b)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도 5의 (c)와 같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제 2 채취부(100b)가 아래로 떨어지면, 제 3 채취부(100c)의 말단이 제 2 채취부(100c)보다 앞으로 튀어나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3 채취부(100c)도 블라인드를 통해 다른 대상 조직을 채취하고, 닫힌 상태가 될 수 있고, 손잡이부(300)의 조작을 통해 제 3 고정부(120c)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 5의 (b)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도 5의 (d)와 같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채취부(100a, 100b, 100c)를 통해 복수의 조직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채취부(100a, 100b, 100c)를 동시에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아래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채취부(100a, 100b, 100c)의 위치를 고려하여, 어떠한 부위에서 채집된 조직인지를 손쉽게 구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채취부가 2개인 것과 3개인 것으로 가정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한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보다 많은 개수의 길이가 다른 연결관(110)을 통한 복수의 채취부(100)를 이용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연결부재를 통해 복수의 조직 채취부가 복수의 조직을 한번에 채취함으로써 검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아래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채취부의 노출된 위치가 서로 상이하므로, 어떠한 부위에서 채집된 조직인지를 손쉽게 구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1)

  1. 튜브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복수의 체결부;
    상기 튜브의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체결부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 및
    상기 복수의 연결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체결부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고,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조직을 채취하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말단에 구비되는 복수의 채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체결부 각각은 상기 튜브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상기 튜브 외부로 가장 많이 노출된 체결부에 연결된 제 1 체결부의 복수의 블레이드가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조직을 채취하며,

    상기 튜브의 말단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채취부 각각이 상기 복수의 연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조절하는 사용자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어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조직을 채취한 제 1 체결부는,
    말단이 상기 복수의 연결관 중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만 연결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체결부가 상기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리며,

    상기 제 1 체결부가 상기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상기 튜브 외부로 두 번째로 많이 노출된 체결부에 연결된 제 2 체결부의 복수의 블레이드가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조직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채취용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을 채취하여 상기 복수의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린 상기 복수의 체결부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상이한 체결부의 매달린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채취한 조직을 서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채취용 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체결부, 복수의 연결관 및 채취부는 2개 또는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채취용 기구.
  7. 튜브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 외부로 복수의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 1 단계;
    복수의 연결관이 상기 튜브의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체결부 각각의 말단에 연결되는 제 2 단계;
    상기 복수의 연결관을 통해 상기 복수의 체결부 각각의 말단에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조직을 채취하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말단에 구비되는 복수의 채취부가 연결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튜브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서로 상이한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상기 튜브 외부로 가장 많이 노출된 체결부에 연결된 제 1 체결부의 복수의 블레이드가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조직을 채취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4 단계 이후에는,
    상기 튜브의 말단에 연결된 사용자 제어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채취부 각각이 상기 복수의 연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조절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조직을 채취한 제 1 체결부의 말단이 상기 복수의 연결관 중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만 연결되는 제 5-1 단계; 및
    상기 제 1 체결부의 타단이 하방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체결부가 상기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리는 제 5-2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 1 체결부가 상기 제 1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상기 튜브 외부로 두 번째로 많이 노출된 체결부에 연결된 제 2 체결부의 복수의 블레이드가 펼쳐졌다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조직을 채취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채취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을 채취하여 상기 복수의 연결관 말단의 일부에 매달린 상기 복수의 체결부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 6 단계 이후에는,
    상기 상이한 체결부의 매달린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채취한 조직을 서로 구분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채취 방법.
KR1020170182381A 2017-12-28 2017-12-28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KR102043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81A KR102043528B1 (ko) 2017-12-28 2017-12-28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81A KR102043528B1 (ko) 2017-12-28 2017-12-28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000A KR20190081000A (ko) 2019-07-09
KR102043528B1 true KR102043528B1 (ko) 2019-11-12

Family

ID=6726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381A KR102043528B1 (ko) 2017-12-28 2017-12-28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8027B (zh) * 2020-03-25 2023-07-25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六医学中心 骨髓采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700B1 (ko) * 2016-07-29 2017-05-2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6030596A1 (ja) 2004-09-14 2008-05-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生体組織採取器具、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生体組織採取方法
KR101829530B1 (ko) * 2016-03-30 2018-02-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검사용 겸자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700B1 (ko) * 2016-07-29 2017-05-2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000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696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llection of soft tissue
JP5981927B2 (ja) 改良された細胞診ブラシ器具
US20210007723A1 (en) Endoscopic tri-point biopsy needle
JPH01158942A (ja) 生体組織検査針
US8696561B2 (en) LEEP safety guard
JP2012517290A (ja) 身体部位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BR112020010783A2 (pt) kit, métodos e uso de autoamostragem universal
US20140100448A1 (en) Rotary sample-collection needle
KR102043528B1 (ko)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ES2327920T3 (es) Instrumento de biopsia optico.
AU2013201286A1 (en) Tissue dissection and removal device
KR101739700B1 (ko) 복수의 조직 수집 장치
KR102030238B1 (ko) 자궁경부 조직 검사용 의료기구
JP6471904B2 (ja) 組織及び/又は細胞試料採取デバイス
KR102010126B1 (ko) 조직 수집 장치
JP3968962B2 (ja) 切除片回収具
CN213372140U (zh) 膀胱疾病的检查治疗套件
US20160095584A1 (en) Endoscopic needle with rotary jaw for lateral acquisition
US11172912B2 (en) Biopsy needle and medical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CN210871737U (zh) 子宫腔采样器
CN208677450U (zh) 一种高效的支气管镜用活检铲
EP3174469B1 (en) Scooper core needle
KR102522907B1 (ko) 조직검사용 포셉
CN214017637U (zh) 三瓣式消化内镜取样钳
CN215384217U (zh) 用于皮肤活检的取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