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566B1 - 통전부재를 갖는 한류형 퓨즈 컷 아웃 스위치 - Google Patents

통전부재를 갖는 한류형 퓨즈 컷 아웃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566B1
KR102260566B1 KR1020200139282A KR20200139282A KR102260566B1 KR 102260566 B1 KR102260566 B1 KR 102260566B1 KR 1020200139282 A KR1020200139282 A KR 1020200139282A KR 20200139282 A KR20200139282 A KR 20200139282A KR 102260566 B1 KR102260566 B1 KR 102260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fuse
coupling
coupl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혁
박민석
최태영
Original Assignee
중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원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컷 아웃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부(100)와; 상기 절연부(10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양단이 막혀 있으며 하단에 사고전류 발생시 돌출되는 스트라이커(230)가 구비된 한류형퓨즈(200)와; 상기 절연부(100)의 하부와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될 때 상기 한류형퓨즈(200)가 하부로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링크회동지지부(400)와; 일단은 상기 절연부(100)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한류형퓨즈(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될 때 상기 한류형퓨즈(200)가 분리되도록 지지하는 링크분리지지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회동지지부(400)는, 상기 절연부(100)에 고정결합되는 하부지지브라켓(420)과;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퓨즈고정클램프(410)와; 상기 하부지지브라켓(420)과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하부지지브라켓(420)에 링크회동축(439)과 함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조작부재(430)와; 상단은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하단에 접촉배치되고 하단은 상기 링크회동축(439)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230)의 돌출을 상기 링크회동축(439)의 회동으로 전달하는 플리퍼(440)와;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와 상기 회동조작부재(430)를 서로 통전시키는 통전부재(450)를 포함하며, 상기 통전부재(450)는 형상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전부재를 갖는 한류형 퓨즈 컷 아웃 스위치{Cut out switch having electrically charging means}
본 발명은 컷 아웃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통전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퓨즈 용단 시 신속하게 한류형퓨즈를 절연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컷 아웃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배전장치에는 사고전류 발생시 전류를 차단하여 피해를 방지하고자 다양한 장치가 사용된다. 이 중에는 컷 아웃 스위치(COS)가 있다.
컷 아웃 스위치(COS)는 전력계통에서 수용가로 전력을 송배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압기의 압력단에 설치되어 수용가에서 발생하는 사고전류(과전류, 과부하전류)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보호장치이다.
컷 아웃 스위치(COS)는 크게 절연부와 퓨즈홀더로 구성되며, 사고전류 발생시 퓨즈 링크의 내부에서 차단이 완료가 되며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고자 퓨즈홀더가 절연부에서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컷 아웃 스위치는 사고전류발생시 절연부에서 퓨즈홀더가 회전되게 하는 하부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퓨즈홀더 상측에는 퓨즈홀더의 회전시 결합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상부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종래의 컷 아웃 스위치(COS)에 퓨즈홀더에 장착된 퓨즈링크는 비한류 폭발형 퓨즈로서 컷 아웃 스위치(COS)에 사고전류(과전류 또는 과부하전류)가 발생하면 퓨즈 외부로 가스가 방출되어 소음 및 불꽃이 발생하고, 이 발생하는 가스 및 불꽃에 의하여 제2의 피해가 유발될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차단 후 발생하는 불꽃은 주변의 인화성 물질을 발화시켜 화재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과, 마지막으로 폭발에 의한 충격진동을 유발하여 다른 기구적 결함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요소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컷 아웃 스위치는 하부어셈블리의 결함으로 사고전류 발생시에도 퓨즈홀더가 분리되지 않거나, 사고전류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도 퓨즈홀더가 분리되는 경우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1-0076409호 "컷 아웃 스위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전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컷 아웃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고전류 발생시 한류형퓨즈 외부로 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컷 아웃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고전류 발생시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한류형퓨즈가 분리될 수 있는 컷 아웃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컷 아웃 스위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컷 아웃 스위치는, 절연부(100)와; 상기 절연부(10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양단이 막혀 있으며 하단에 사고전류 발생시 돌출되는 스트라이커(230)가 구비된 한류형퓨즈(200)와; 상기 절연부(100)의 하부와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될 때 상기 한류형퓨즈(200)가 하부로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링크회동지지부(400)와; 일단은 상기 절연부(100)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한류형퓨즈(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될 때 상기 한류형퓨즈(200)가 분리되도록 지지하는 링크분리지지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회동지지부(400)는, 상기 절연부(100)에 고정결합되는 하부지지브라켓(420)과;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퓨즈고정클램프(410)와; 상기 하부지지브라켓(420)과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하부지지브라켓(420)에 링크회동축(439)과 함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조작부재(430)와; 상단은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하단에 접촉배치되고 하단은 상기 링크회동축(439)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230)의 돌출을 상기 링크회동축(439)의 회동으로 전달하는 플리퍼(440)와;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와 상기 회동조작부재(430)를 서로 통전시키는 통전부재(450)를 포함하며, 상기 통전부재(450)는 형상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전부재(450)는 상기 회동조작부재(430)와 결합되는 결합단(455)과, 상기 결합단(455)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와이어(451) 및 제2와이어(453)가 Y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는 내부에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하부결합단(220)이 고정되고,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는, 양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며 클램프회동축(419)이 결합되는 축결합레그(413)와;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리퍼(440)에 접촉지지되어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회동을 막는 고정돌기(415)와;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와이어(451) 및 상기 제2와이어(453)의 단부와 결합되는 통전부재결합축(417)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451) 및 상기 제2와이어(453)는 상기 통전부재결합축(417)에 권취되고, 상기 통전부재결합축(417)에는 통전부재결합볼트(452)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동조작부재(430)는, 상기 하부지지브라켓(420) 내부에 수용되는 회동본체(431)와; 상기 회동본체(431)의 전방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플리퍼(440)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플리퍼수용하우징(433)과; 상기 플리퍼수용하우징(433)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회동축(439)이 결합되는 링크축결합관(435)과; 상기 플리퍼수용하우징(433)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축결합레그(413)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클램프회동축(419)이 삽입되는 회동축수용관(437)과; 상기 회동본체(431)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통전부재(450)의 결합단(455)을 상기 회동본체(431)에 고정시키는 결합단결합볼트(4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는 퓨즈부가 양단이 막힌 한류형퓨즈이므로 고장전류 발생시 외부로 가스방출이 없으며 소음발생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는 별도의 통전부재를 구비하여 퓨즈고정클램프와 회동조작부재를 연결하여 통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는 퓨즈고정클램프와 하부지지브라켓, 회동조작부재 및 플리퍼의 연동동작에 의해 사고전류 발생시에만 한류형퓨즈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회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의 정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의 링크회동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링크회동지지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컷 아웃 스위치(1)의 정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컷 아웃 스위치(1)는 절연부(100)와, 절연부(100)와 통전되게 구비되며 사고전류 발생시 전류차단 및 분리를 위해 회동되는 한류형퓨즈(200)와, 절연부(100)의 하부와 한류형퓨즈(200)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며 사고전류 발생시 한류형퓨즈(200)가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링크회동지지부(400)와, 절연부(100)의 상부와 한류형퓨즈(200)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며 사고전류 발생시 한류형퓨즈(200)의 상부가 분리되도록 지지하는 링크분리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절연부(100)는 절연체인 애자로 형성된다. 절연부(100)의 상부에는 상부통전단(110)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하부통전단(120)이 구비된다.
한류형퓨즈(200)는 절연부(100)의 상부통전단(110)과 하부통전단(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결합단(210) 및 하부결합단(220)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한류형퓨즈(200)는 양단이 막혀진 한류형으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사고전류가 발생되어 내부의 퓨즈(미도시)가 용단되더라도 한류형퓨즈(200) 외부로 가스가 방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비한류형 한류형퓨즈를 사용할 때 외부로 가스가 방출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류형퓨즈(200)의 하부에는 사고전류 발생시 외부로 돌출되는 스트라이커(230)가 구비된다. 스트라이커(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동작시에는 한류형퓨즈(200)의 하부결합단(220) 내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전류 발생시에는 하부결합단(220) 밖으로 돌출되며 링크회동지지부(400)의 플리퍼(440)를 동작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컷 아웃 스위치(1)는 정상동작시에는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회동지지부(400)에 통전부재(450)가 구비되어 다양한 외부환경에도 절연부(100), 링크분리지지부(300), 한류형퓨즈(200) 및 링크회동지지부(400) 사이에 안정적인 통전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컷 아웃 스위치(1)는 링크회동지지부(400)의 구조가 개선되어 고장 전류 발생시 스트라이커(230)의 돌출에 연동하여 즉각적이고 신속하게 한류형퓨즈(200)의 분리 동작이 수행되게 된다.
링크분리지지부(300)는 사고전류 발생에 의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230)가 동작될 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류형퓨즈(200)의 상부결합단(210)이 분리되게 지지한다. 링크분리지지부(300)는 절연부(100)의 상부통전단(110)과 한류형퓨즈(200)의 상부결합단(210)이 통전될 수 있게 지지하며, 사고전류 발생시 상부결합단(210)이 분리될 수 있게 지지한다.
링크분리지지부(3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통전단(110)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부지지브라켓(310)과, 상부지지브라켓(310)의 단부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한류형퓨즈(200)의 상부결합단(210)과 접촉되는 접촉축(320)과, 접촉축(320)의 외주연에 권취되어 상부결합단(210)을 탄성적으로 감싸는 코일스프링(330)과, 상부지지브라켓(310)에 결합되어 한류형퓨즈(200)의 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상부안내판(340)과, 상부통전단(110)의 하부에 절곡배치되어 상부안내판(340)과 대향되는 방향에서 한류형퓨즈(200)의 측면을 접촉지지하는 하부안내판(350)과, 상부지지브라켓(310)과 하부안내판(350)을 고정하는 리벳핀(360)과, 상부지지브라켓(310)의 단부에 구비된 상부패드(370)를 포함한다.
한류형퓨즈(200)의 상부결합단(210)은 상부안내판(340)을 통해 코일스프링(330) 내부로 삽입되고 접촉축(320)과 접촉되어 통전된다. 한류형퓨즈(200)의 타측면은 하부안내판(350)과 접촉되고, 한류형퓨즈(200)의 상부결합단(210)은 접촉축(320)과 접촉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된다.
반면, 사고전류가 발생되어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류형퓨즈(200)의 하부결합단(220)이 일정각도 회동되고 상부결합단(210)이 코일스프링(330) 하부로 이동되며 상부결합단(210)과 접촉축(320)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링크회동지지부(400)의 링크회동축(439)의 회동에 의해 하부결합단(220)이 추가로 회동되면 상부결합단(210)이 코일스프링(330)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상부결합단(210)이 코일스프링(330) 밖으로 빠져나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류형퓨즈(200)의 자중에 의해 한류형퓨즈(200)가 하부로 회동되게 된다.
링크회동지지부(400)는 사고전류 발생시 한류형퓨즈(200)가 하부로 회동되며 절연부(100)의 상부통전단(110)과 상부결합단(210)이 분리되게 한다.
도 3은 링크회동지지부(4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링크회동지지부(4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회동지지부(400)는 한류형퓨즈(200)의 하부결합단(220)에 고정되는 퓨즈고정클램프(410)와, 절연부(100)의 하부통전단(120)과 고정결합되는 하부지지브라켓(420)과, 하부지지브라켓(420)에 대해 퓨즈고정클램프(410)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동조작부재(430)와, 스트라이커(230)의 돌출을 회동조작부재(430)의 회동으로 전달하는 플리퍼(440)와, 퓨즈고정클램프(410)와 회동조작부재(430)를 통전시키는 통전부재(450)와, 하부지지브라켓(420)의 단부에 구비되는 하부패드(460)와, 하부지지브라켓(420)과 하부결합단(220)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470)를 포함한다.
퓨즈고정클램프(410)는 한류형퓨즈(200)의 하부결합단(220)에 고정되며, 하부지지브라켓(4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한류형퓨즈(200)도 퓨즈고정클램프(410)와 함께 회동될 수 있다.
퓨즈고정클램프(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결합단(220)을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퓨즈고정클램프(410)의 단부에는 클램프고정단(411)이 구비된다. 클램프고정단(411)에는 체결부재결합공(411a)이 형성되고, 체결부재결합공(411a)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체결부재(412)가 체결된다. 클램프체결부재(412)는 볼트와 너트로 구비되어 퓨즈고정클램프(410)가 하부결합단(22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퓨즈고정클램프(410)의 후방에는 한 쌍의 축결합레그(413)가 연장형성된다. 축결합레그(413)에는 회동축결합공(413a)이 관통형성된다. 한 쌍의 축결합레그(413) 사이에는 회동조작부재(430)의 회동축수용관(437)이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축결합레그(413)와 회동축수용관(437)을 관통하여 클램프회동축(419)이 수용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회동축(419)에 의해 퓨즈고정클램프(410)가 회동조작부재(430)에 대해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되면, 플리퍼(440)가 스트라이커(230)에 의해 가압되고 플리퍼(440)가 스트라이커(230)를 밀면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고정클램프(410)가 클램프회동축(419)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하게 된다.
퓨즈고정클램프(410)의 후방에는 하부를 향해 일정 길이 돌출형성된 고정돌기(415)가 구비된다. 고정돌기(415)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퍼(440)의 내벽면과 맞닿아 접촉 지지된다. 고정돌기(415)는 플리퍼(440)에 접촉지지되어 퓨즈고정클램프(410)가 회동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되고 플리퍼(440)가 회동되면 고정돌기(415)가 플리퍼(440)와 이격된다. 이에 의해 퓨즈고정클램프(410)의 회동을 막는 수단이 없으므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고정클램프(410)와 하부지지브라켓(420)이 한류형퓨즈(200)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동된다.
퓨즈고정클램프(410)의 양측에는 한 쌍의 통전부재결합축(417)이 돌출형성된다. 통전부재결합축(417)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부재(450)의 제1와이어(451) 및 제2와이어(453)가 각각 결합된다.
즉, 제1와이어(451)의 제1와이어가닥(451a)이 통전부재결합축(417)에 복수회 권취되고, 통전볼트(417a)가 통전부재결합축(417)에 결합되어 퓨즈고정클램프(410)와 통전부재(450)가 통전되게 한다.
통전부재결합축(417)과 통전볼트(417a)는 통전이 가능한 재질로 구비된다. 복수개의 제1와이어가닥(451a)이 통전부재결합축(417)과 통전볼트(417a)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다양한 외부환경에도 통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반대쪽 제2와이어(453)도 동일한 형태로 통전부재결합축(417)에 결합되어 통전이 이루어진다.
하부지지브라켓(4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100)의 하부통전단(120)에 고정결합되어 한류형퓨즈(200)가 회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하부지지브라켓(420)은 평평하게 형성된 상면이 하부통전단(120)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고정볼트(470)에 의해 하부통전단(120)에 고정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브라켓(420)의 상면에는 테두리영역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 회동간섭회피홈(421)이 구비된다. 회동간섭회피홈(421)은 회동조작부재(430)가 링크회동축(439)을 중심으로 하부지지브라켓(420)에 대해 회동될 때 회동반경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조작부재(430)의 회동본체(431)가 회동간섭회피홈(421)을 통해 원활히 하부지지브라켓(420)의 바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하부지지브라켓(420)의 양측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측면판(423)이 구비된다. 한 상의 측면판(423) 사이 공간에 회동조작부재(430)가 회동가능하게 수용된다. 한 쌍의 측면판(423)에는 수직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링크회동축(439)이 수용되는 회동축수용홈(425)이 구비된다.
회동축수용홈(425)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어 링크회동축(439)이 회동축수용홈(425)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회동조작부재(430)는 하부지지브라켓(420)에 링크회동축(43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퓨즈고정클램프(4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회동조작부재(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형태로 형성된 회동본체(431)와, 회동본체(431)의 전면에 구비되어 내부에 플리퍼(440)를 수용하는 플리퍼수용하우징(433)과, 플리퍼수용하우징(433)의 양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링크회동축(439)이 결합되는 링크축결합관(435)과, 플리퍼수용하우징(433)의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클램프회동축(419)이 수용되는 링크회동축(439)을 포함한다.
회동본체(431)는 고장전류 발생시 하부지지브라켓(420)에 대해 회동되어 한류형퓨즈(200)가 회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회동본체(431)는 하부지지브라켓(420)에 대해 회동될 때 간섭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일정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회동본체(431)의 배면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부재(450)의 결합단(455)이 고정된다. 이를 위해 회동본체(431)에는 결합단결합볼트(432)가 체결되는 체결공(미도시)이 관통형성되고, 결합단결합볼트(432)의 주변으로 결합단(455)이 와이어형태로 권취된다.
이에 의해 결합단(455)이 결합단결합볼트(432)에 의해 회동본체(431)에 고정되어 안정적인 통전이 가능해진다.
플리퍼수용하우징(433)은 플리퍼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어 내부에 플리퍼(440)를 수용한다. 이 때, 플리퍼(440)에 형성된 내부링크축결합공(441)은 링크축결합관(435)과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이들을 관통하여 링크회동축(439)이 결합된다.
링크회동축(439)은 링크축결합관(435)에 끼움결합되어 링크회동축(439)의 회동이 회동본체(431)의 회동으로 전달된다. 링크회동축(439)에는 탄성부재(445)가 결합되어 회동된 회동조작부재(430)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탄성력을 작용한다.
링크회동축(439)는 플리퍼(440)와 회동조작부재(430)가 공유하므로 플리퍼(440)에 의해 링크회동축(439)이 회동되면, 회동조작부재(430)도 함께 하부지지브라켓(420)에 대해 회동된다.
회동축수용관(437)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퓨즈고정클램프(410)의 한 쌍의 축결합레그(413) 사이에 배치되어 클램프회동축(419)이 결합된다. 이에 의해 퓨즈고정클램프(410)가 회동조작부재(430)에 대해 회동될 수 있다.
플리퍼(440)는 고장전류 발생시 스트라이커(230)의 돌출을 회동조작부재(430)의 회동으로 전달한다. 플리퍼(4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리퍼수용하우징(433)에 수용된다. 이 때, 플리퍼(440)의 양측에 형성된 내부링크축결합공(441)이 링크축결합관(435)에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링크회동축(439)이 관통결합된다.
이에 의해 플리퍼(440)와 회동조작부재(430)가 하나의 링크회동축(439)을 공유하게 되므로, 플리퍼(440)의 회동이 회동조작부재(430)의 회동으로 전달된다.
작동레버(443)는 플리퍼(440)의 전방으로 일정 면적 연장형성되어 한류형퓨즈(200)의 하부결합단(220)에 접촉 배치된다. 작동레버(443)는 고장전류 발생에 의해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230)에 의해 가압되어 밑으로 눌려진다. 작동레버(443)가 하부로 눌려지면 플리퍼(44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플리퍼(440)의 회동은 회동조작부재(430)의 회동으로 전달된다.
통전부재(450)는 퓨즈고정클램프(410)와 회동조작부재(430)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전류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통전부재(450)는 퓨즈고정클램프(410)와 회동조작부재(430)의 회동동작에 간섭을 가하지 않게 형상변형이 가능한 통전소재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통전부재는 금속와이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전부재(45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통전부재결합축(417)에 각각 결합되는 제1와이어(451) 및 제2와이어(453)와, 제1와이어(451) 및 제2와이어(453)가 합쳐진 결합단(455)을 포함한다. 통전부재(450)는 결합단(455)과 제1와이어(451) 및 제2와이어(453)가 "Y"자 형태로 형성된다.
제1와이어(451) 및 제2와이어(453)는 각각 복수개의 와이어가닥들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외부는 절연소재로 감싸여져 형성된다. 제1와이어(451)와 제2와이어(453)의 단부는 절연소재가 제거되어 와이어가닥들이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와이어가닥들이 통전부재결합축(417)에 권취된다. 그리고, 통전부재결합축(417)에 통전용볼트(417a)가 결합되어 와이어가닥들의 위치가 고정된다.
결합단(455)은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합쳐져서 형성된다. 결합단(455)의 단부도 절연소재가 제거된 후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조작부재(430)의 회동본체(431)의 배면에 결합단결합볼트(43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종래는 별도의 통전부재 없이 서로 맞닿게 배치된 각 구성들끼리 통전하였으나, 외력에 의한 진동 발생시 이웃한 구성들이 이격되면 통전이 차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통전부재(450)가 별도로 구비되어 퓨즈고정클램프(410)와 회동조작부재(430)를 서로 연결하여 통전하게 되므로 외부환경에 상관없이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통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제1와이어(451)와 제2와이어(453)의 단부, 결합단(455)의 단부에는 이들의 고정위치가 유지되게 지지하는 고정링(451b,455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1)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컷 아웃 스위치(1)는 정상동작시에 절연부(100)의 상부통전단(110)과 하부통전단(120)에 각각 링크분리지지부(300)와 링크회동지지부(400)가 결합되고, 한류형퓨즈(200)의 상부결합단(210)은 링크분리지지부(3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결합단(220)은 링크회동지지부(400)에 결합된다.
이 때, 플리퍼(440)의 작동레버(443)는 하부결합단(220)과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고, 플리퍼(440)는 플리퍼수용하우징(433) 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415)가 수직하게 배치된 플리퍼(440)의 내벽면에 접촉지지되고, 하부결합단(220)에 결합된 한류형퓨즈(200)도 회동되지 못하고 위치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통전부재(450)의 제1와이어(451)와 제2와이어(453) 및 결합단(455)은 퓨즈고정클램프(410)와 회동조작부재(430)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사고전류가 발생되면, 도 5의 (a)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된다.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되며 작동레버(443)가 하부로 가압되며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작동레버(443)와 일체로 구비된 플리퍼(440)도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415)와 작동레버(443)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230)가 작동레버(443)를 밀고 퓨즈고정클램프(410)가 클램프회동축(419)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한류형퓨즈(200)가 회동되며 상부결합단(210)도 코일스프링(330)으로부터 분리된다. 한류형퓨즈(200)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며 회동되고, 상부결합단(210)이 코일스프링(3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조작부재(430)가 링크회동축(439)과 함께 회전되고 퓨즈고정클램프(410)에 의해 하부결합단(220)이 고정된 한류형퓨즈(200)도 회동되며 개방된다.
여기서, 한류형퓨즈(200)는 양단이 막힌 한류형이므로 소호과정에서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며 소음도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는 한류형퓨즈가 양단이 막힌 한류형이므로 고장전류 발생시 외부로 가스방출 및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는 별도의 통전부재를 구비하여 퓨즈고정클램프와 회동조작부재를 연결하여 통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컷 아웃 스위치는 퓨즈고정클램프와 하부지지브라켓, 회동조작부재 및 플리퍼의 연동동작에 의해 사고전류 발생시에만 한류형퓨즈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회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컷 아웃 스위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컷 아웃 스위치 100 : 절연부
110 : 상부통전단 120 : 하부통전단
200 : 한류형퓨즈 210 : 상부결합단
220 : 하부결합단 230 : 스트라이커
300 : 링크분리지지부 310 : 상부지지브라켓
320 : 접촉축 330 : 코일스프링
340 : 상부안내판 350 : 하부안내판
360 : 리벳핀 370 : 상부패드
400 : 링크회동지지부 410 : 퓨즈고정클램프
411 : 클램프고정단 411a : 체결부재결합공
412 : 클램프체결부재 413 : 축결합레그
413a : 회동축결합공 415 : 고정돌기
417 : 통전부재결합축 417a : 통전용볼트
419 : 클램프회동축 420 : 하부지지브라켓
421 : 회동간섭회피홈 423 : 측면판
425 : 회동축수용홈 430 : 회동조작부재
431 : 회동본체 432 : 결합단결합볼트
433 : 플리퍼수용하우징 435 : 링크축결합관
437 : 회동축수용관 439 : 링크회동축
440 : 플리퍼 441 : 내부링크축결합공
443 : 작동레버 445 : 탄성부재
450 : 통전부재 451 : 제1와이어
451a : 제1와이어가닥 451b : 와이어고정링
453 : 제2와이어 455 : 결합단
455a : 결합단고정링 460 : 하부패드
470 : 고정볼트

Claims (3)

  1. 절연부(100)와;
    상기 절연부(10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양단이 막혀 있으며 하단에 사고전류 발생시 돌출되는 스트라이커(230)가 구비된 한류형퓨즈(200)와;
    상기 절연부(100)의 하부와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될 때 상기 한류형퓨즈(200)가 하부로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링크회동지지부(400)와;
    일단은 상기 절연부(100)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한류형퓨즈(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230)가 돌출될 때 상기 한류형퓨즈(200)가 분리되도록 지지하는 링크분리지지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회동지지부(400)는,
    상기 절연부(100)에 고정결합되는 하부지지브라켓(420)과;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퓨즈고정클램프(410)와;
    상기 하부지지브라켓(420)과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하부지지브라켓(420)에 링크회동축(439)과 함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조작부재(430)와;
    상단은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하단에 접촉배치되고 하단은 상기 링크회동축(439)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230)의 돌출을 상기 링크회동축(439)의 회동으로 전달하는 플리퍼(440)와;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와 상기 회동조작부재(430)를 서로 통전시키는 통전부재(450)를 포함하며,
    상기 통전부재(450)는 형상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통전부재(450)는 상기 회동조작부재(430)와 결합되는 결합단(455)과, 상기 결합단(455)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와이어(451) 및 제2와이어(453)가 Y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는 내부에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하부결합단(220)이 고정되고,
    상기 퓨즈고정클램프(410)는,
    양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며 클램프회동축(419)이 결합되는 축결합레그(413)와;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리퍼(440)에 접촉지지되어 상기 한류형퓨즈(200)의 회동을 막는 고정돌기(415)와;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와이어(451) 및 상기 제2와이어(453)의 단부와 결합되는 통전부재결합축(417)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451) 및 상기 제2와이어(453)는 상기 통전부재결합축(417)에 권취되고, 상기 통전부재결합축(417)에는 통전부재결합볼트(45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 아웃 스위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조작부재(430)는,
    상기 하부지지브라켓(420) 내부에 수용되는 회동본체(431)와;
    상기 회동본체(431)의 전방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플리퍼(440)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플리퍼수용하우징(433)과;
    상기 플리퍼수용하우징(433)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회동축(439)이 결합되는 링크축결합관(435)과;
    상기 플리퍼수용하우징(433)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축결합레그(413)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클램프회동축(419)이 삽입되는 회동축수용관(437)과;
    상기 회동본체(431)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통전부재(450)의 결합단(455)을 상기 회동본체(431)에 고정시키는 결합단결합볼트(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 아웃 스위치.
KR1020200139282A 2020-10-22 2020-10-26 통전부재를 갖는 한류형 퓨즈 컷 아웃 스위치 KR102260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7456 2020-10-22
KR1020200137456 2020-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566B1 true KR102260566B1 (ko) 2021-06-07

Family

ID=7637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282A KR102260566B1 (ko) 2020-10-22 2020-10-26 통전부재를 갖는 한류형 퓨즈 컷 아웃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5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443A (ko) * 2021-12-07 2023-06-14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상부 구조체
KR102625452B1 (ko) 2022-08-29 2024-01-16 주식회사 유일정공 절연방호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컷아웃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6084A (ja) * 1992-09-17 1994-07-15 Cooper Power Syst Inc 交換可能な安全器取付台のための限流ヒューズとドロップアウト・ヒューズホルダー
KR20110076409A (ko) 2009-12-29 2011-07-06 한국전력공사 컷 아웃 스위치
KR101670422B1 (ko) * 2015-12-31 2016-10-31 주식회사 리폼테크 컷 아웃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6084A (ja) * 1992-09-17 1994-07-15 Cooper Power Syst Inc 交換可能な安全器取付台のための限流ヒューズとドロップアウト・ヒューズホルダー
KR20110076409A (ko) 2009-12-29 2011-07-06 한국전력공사 컷 아웃 스위치
KR101670422B1 (ko) * 2015-12-31 2016-10-31 주식회사 리폼테크 컷 아웃 스위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443A (ko) * 2021-12-07 2023-06-14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상부 구조체
KR102633354B1 (ko) 2021-12-07 2024-02-06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상부 구조체
KR102625452B1 (ko) 2022-08-29 2024-01-16 주식회사 유일정공 절연방호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컷아웃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566B1 (ko) 통전부재를 갖는 한류형 퓨즈 컷 아웃 스위치
JP7413064B2 (ja) 電気回路遮断装置
JP5260702B2 (ja) 配線用遮断器
JPH06196084A (ja) 交換可能な安全器取付台のための限流ヒューズとドロップアウト・ヒューズホルダー
CN107610987B (zh) 一种小型断路器
KR101670422B1 (ko) 컷 아웃 스위치
KR102026642B1 (ko) 배선용 차단기
JP2020009767A (ja)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JP2008169755A (ja) 圧縮機
JP4215741B2 (ja) 回路遮断器
KR200485774Y1 (ko) 회전핀 절연 배리어가 구비된 다극 배선용 차단기
EP2685480A2 (en) Mover assembly of circuit breaker
US2250210A (en) Electric circuit interrupter
KR100493402B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접촉자 구조
JP2008169754A (ja) 圧縮機
JP6986840B2 (ja) 導体編組の無い可動接点デバイス
KR102386956B1 (ko)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 개방 점검장치
KR102279369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분전반
JP7446254B2 (ja) 遮断器
JPS5843171Y2 (ja) 限流ヒユ−ズ付カツトアウトスイツチ
KR102524490B1 (ko) 컷 아웃 스위치
JP3660272B2 (ja) 開閉器
KR102675868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가스 차단기
US20220406546A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252700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