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490B1 - 컷 아웃 스위치 - Google Patents

컷 아웃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490B1
KR102524490B1 KR1020210122584A KR20210122584A KR102524490B1 KR 102524490 B1 KR102524490 B1 KR 102524490B1 KR 1020210122584 A KR1020210122584 A KR 1020210122584A KR 20210122584 A KR20210122584 A KR 20210122584A KR 102524490 B1 KR102524490 B1 KR 102524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holder
alignment
fixing
fus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360A (ko
Inventor
박춘현
박건태
유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티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티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티알
Priority to KR102021012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490B1/ko
Priority to PCT/KR2021/018791 priority patent/WO2023042969A1/ko
Publication of KR20230039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인입선과, 절연애자의 상부고정단과 하부고정단을 이용하여 퓨즈홀더가 절연애자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퓨즈홀더의 하단과 하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금구와,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지지금구를 포함하며, 고장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홀더에 구비되는 퓨즈가 융단되어 퓨즈홀더의 상단이 상부지지금구와 분리됨으로써 고장전류를 차단시키는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금구에는 상기 인입선과 퓨즈로 이어지는 고장전류 감지라인의 정위치 설치를 위한 정렬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정렬구조에는 상기 절연애자와 퓨즈홀더 사이의 상측 이격거리를 형성하며, 상기 인입선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체결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기 인입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상단접촉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편의 끼움장착을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정렬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고정부에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면서 퓨즈홀더의 상단을 구속하는 상단접촉부재가 상부몸체에 정렬 및 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결부품간 정렬구조를 바탕으로 컷아웃 스위치의 설치 용이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컷 아웃 스위치{A cut out switch}
본 발명은 연결부품간 정렬구조를 바탕으로 설치 용이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컷 아웃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에서 수용가로 전력을 송배전하기 위해서는 변압기가 사용되며, 상기 변압기의 입력단에는 고장전류(과전류, 과부하전류 등)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한 컷 아웃 스위치(COS, Cut Out Switch)가 구비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의 설치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컷 아웃 스위치(10)는 배전선로와 변압기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컷 아웃 스위치(10)는 인입선(20)과 변압기 부싱단자(30) 사이에 구비되어 애자(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에 의한 연결지지구조와 퓨즈홀더(12)를 통한 전원공급경로가 병렬로 구축되고, 고장전류 발생 시 퓨즈홀더(12)를 통한 전원공급경로 차단을 통해 변압기를 보호함으로써 배전선로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컷 아웃 스위치(10)는 고장전류가 인가되면 퓨즈홀더(12)에 내장된 퓨즈가 용단되면서 아크열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아크열은 퓨즈홀더(12) 내부의 물질을 분해시켜 절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며, 상기 절연성 가스에 의해 아크가 소호되면서 고장전류의 차단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퓨즈가 용단되면 퓨즈홀더(12)가 회전 개방되며, 이로 인해 고장전류 차단 상황이 원거리에서도 육안으로 용이 식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차단구조 형성을 위해 컷 아웃 스위치는 퓨즈홀더(12)의 하단을 하부지지금구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부지지금구를 이용하여 탄성변형 가능한 구조로 가압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지지금구는 퓨즈홀더의 하단과 애자 하부를 연결하며, 회전축과 회전축에 권취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부지지금구의 구속해제 시 퓨즈홀더가 드랍 다운(Drop down) 되며 회전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금구는 상기 퓨즈홀더 내부에 구비되는 퓨즈와 인입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퓨즈홀더의 상단을 스프링과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가압고정시킨다.
즉, 퓨즈용단이 발생되는 절연성 가스에 의해 상기 스프링이 탄성압축되면서 퓨즈홀더 상단의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퓨즈홀더의 드랍 다운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지만, 컷 아웃 스위치가 장시간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경우 퓨즈가 용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퓨즈홀더의 드랍 다운이 이루어지지 않아 퓨즈의 용단 여부가 육안으로 식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이유는 크게 하부지지금구의 회동기능 불량과, 상부지지금구 변형 및 퓨즈홀더의 정위치 설치 불량을 들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금구는 인입선과 터미널의 연결, 터미널과 연결부재의 연결, 연결부재와 퓨즈홀더 상단의 연결을 통해 고장전류 감지라인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설치 과정에서 무리한 조작에 의해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각 연결지점의 결합구조가 대부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한 회전체결로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 체결에 따른 연결부재간 회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정렬하지 않은 상태로 설치 작업이 종료될 수 있다.
한편, 최초 설치 시에는 이와 같은 설치위치 불량이나 변형발생 정도가 미미하여 인입선으로부터 퓨즈로 이어지는 고장전류 감지라인이 정상동작될 수 있다.
하지만, 컷 아웃 스위치의 사용시간이 증가할수록 진동이나 외부환경에 의해 연결 부품 간 이탈이 가중될 수 있으며, 퓨즈 용단시 발생되는 아크(Arc)로 인하여 상부지지금구와 퓨즈홀더의 용융고착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컷아웃스위치의 미개방방지는 물론 보다 큰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퓨즈홀더의 설치 및 교체 작업 시 상부지지금구의 변형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상부지지금구와 퓨즈홀더를 정위치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85519 B1 KR 10-1051186 B1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입선과 퓨즈홀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상부지지금구의 조립성을 개선하여 퓨즈홀더의 설치 및 교체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컷아웃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지지금구와 애자 상부고정단의 체결시 정렬수단에 의해 상부고정단과 상단접촉부재 및 아크디버터(Arc-diverter)와 탑바디가 함께 정위치 정렬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컷아웃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컷아웃스위치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도 정렬수단에 의해 상부고정단과 상단접촉부재 및 아크디버터가 탑바디와 함께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요인(진동이나 비, 바람 등)에 의한 위치변형이 방지되어 퓨즈홀더의 안정적인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컷아웃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인입선과, 절연애자의 상부고정단과 하부고정단을 이용하여 퓨즈홀더가 절연애자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퓨즈홀더의 하단과 하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금구와,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지지금구를 포함하며, 고장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홀더에 구비되는 퓨즈가 융단되어 퓨즈홀더의 상단이 상부지지금구와 분리됨으로써 고장전류를 차단시키는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금구에는 상기 인입선과 퓨즈로 이어지는 고장전류 감지라인의 정위치 설치를 위한 정렬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정렬구조에는 상기 절연애자와 퓨즈홀더 사이의 상측 이격거리를 형성하며, 상기 인입선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체결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기 인입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상단접촉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편의 끼움장착을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정렬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고정부에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면서 퓨즈홀더의 상단을 구속하는 상단접촉부재가 상부몸체에 정렬 및 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배전선로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인입선과, 절연애자의 상부고정단과 하부고정단을 이용하여 퓨즈홀더가 절연애자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퓨즈홀더의 하단과 하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금구와,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지지금구를 포함하며, 고장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홀더에 구비되는 퓨즈가 융단되어 퓨즈홀더의 상단이 상부지지금구와 분리됨으로써 고장전류를 차단시키는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금구에는 상기 인입선과 퓨즈로 이어지는 고장전류 감지라인의 정위치 설치를 위한 정렬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정렬구조에는 상기 절연애자와 퓨즈홀더 사이의 상측 이격거리를 형성하며, 상기 인입선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체결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퓨즈 용단시 발생되는 아크의 소호를 위한 아크디버터의 일측을 형성하며, 상기 애자의 상부고정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면과 간섭됨으로써 아크디버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렬돌기가 형성되는 제2정렬고정부 및 상기 상부고정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과 간섭되는 정렬홈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홈과 상기 고정편의 간섭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와 아크디버터 및 상부고정단의 정위치 정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배전선로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인입선과, 절연애자의 상부고정단과 하부고정단을 이용하여 퓨즈홀더가 절연애자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퓨즈홀더의 하단과 하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금구와,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지지금구를 포함하며, 고장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홀더에 구비되는 퓨즈가 융단되어 퓨즈홀더의 상단이 상부지지금구와 분리됨으로써 고장전류를 차단시키는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금구에는 상기 인입선과 퓨즈로 이어지는 고장전류 감지라인의 정위치 설치를 위한 정렬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정렬구조에는 상기 절연애자와 퓨즈홀더 사이의 상측 이격거리를 형성하며, 상기 인입선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체결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기 인입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상단접촉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편의 끼움장착을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정렬고정부와, 상기 퓨즈 용단시 발생되는 아크의 소호를 위한 아크디버터의 일측을 형성하며, 상기 애자의 상부고정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면과 간섭됨으로써 아크디버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렬돌기가 형성되는 제2정렬고정부 및 상기 상부고정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과 간섭되는 정렬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편은 소정 길이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정렬고정부의 수용홈을 관통하여 상기 정렬홈과 간섭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와 상부체결부재, 아크디버터 및 상부고정단의 정위치 정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몸체와 제1정렬고정부, 상부고정단 및 제2정렬고정부에는 하나의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볼트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 일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터미널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이 더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과 터미널 사이에는 상부접촉부재와 터미널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L-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 및 L-브라켓에는 상기 터미널단자에 형성된 돌출부의 구속을 위한 그루브가 더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돌출부의 상측 및 하측에서 상기 돌출부와 간섭될 수 있도록 병렬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지지금구에 구비되어 인입선과 퓨즈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부품 연결 시 가고정 및 정위치 설치를 위한 정렬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컷아웃스위치의 설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정렬수단은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도 연결부분간 간섭구조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요인(진동이나 비, 바람 등)에 의한 유동발생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고장전류 감지라인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함은 물론, 퓨즈홀더의 안정적인 개방을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의 설치구조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 상부고정금구의 상세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정렬수단의 배치 형태 및 이에 따른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상부고정금구의 결합구조에 따른 정위치 정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다.
또한,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또는“연결”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되거나 연결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구비” 또는“연결”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는 절연애자(200))에 의한 연결지지구조와 퓨즈홀더(800)를 통한 전원공급경로가 병렬로 구축되고, 고장전류 발생 시 퓨즈에 의한 전원공급경로 차단과 함께 퓨즈홀더(800)가 드랍 다운(Drop down) 되어 컷아웃 스위치의 전원차단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절연애자(200)의 상부고정단과 하부고정단에는 각각 퓨즈홀더(800)의 상단을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지지금구(400)와 퓨즈홀더(800)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지지금구(60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지지금구(600)는 일측이 상기 절연애자(800)의 하부고정단(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퓨즈홀더(800)의 하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퓨즈홀더(800)의 하단과 연결되는 부분은 다시 퓨즈홀더(800)와 직접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를 형성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수용하며 퓨즈와 변압기 부싱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하부터미널(50)이 형성되는 수용부로 구분된다.
즉, 상기 거치부는 상기 퓨즈홀더(800)의 하단에 회전축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는 회전축 부싱에 삽입됨으로써 퓨즈홀더(8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수용부에는 필요에 따라 퓨즈 절단 시 상기 거치부를 타격하여 드랍 다운을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스트라이커가 더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금구(400)는 일측이 상기 절연애자(800)의 상부고정단(도 3 내지 도 5 에서 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퓨즈홀더(800)의 상단을 가압고정시켜 퓨즈홀더(800)의 상단이 전기적으로 연결 및 연결해제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지지금구(400)에는 상기 절연애자(200)와 퓨즈홀더(800) 사이의 이격거리를 형성하면서 터미널(4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상부몸체(410)가 구비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절연애자(200)와 퓨즈홀더(800)를 연결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이와 교차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정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부몸체(410)는 상기 절연애자(200)와 퓨즈홀더(800) 상단 사이의 이격거리를 형성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좌우 방향 양측단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면의 구조적 보강은 물론 상부몸체(410)의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양측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상부몸체(410)의 하측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몸체(410) 내부의 소정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상부터미널(40)과 퓨즈홀더(800)의 상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단접촉부재(440)와, 아크 발생 시 일정 수준 이상의 아크를 소호시켜 퓨즈홀더(800) 상단과 상부지지금구(400)의 융착을 방지하기 위한 아크디버터(46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에는 상기 상부몸체(410)와 상단접촉부재(440), 절연애자(200) 및 아크디버터(460)의 결합은 물론, 결합완료 이후에도 정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렬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세히,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 상부고정금구의 상세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고, 도 4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정렬수단의 배치 형태 및 이에 따른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몸체(4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상단접촉부재(440)는 상기 상부몸체(410)의 좌우 폭보다 좁은 폭의 전도성바디(442)로 형성된다.
상기 전도성바디(442)는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전도성바디(442) 일측에는 상기 퓨즈홀더(800)의 상단이 수용되는 홀더수용부(444)가 마련되어 상기 상부바디(410)와 홀더수용부(444) 사이에 소정 높이의 간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간격에는 탄성부재(430)가 개재된다.
상기 탄성부재(430)는 상기 홀더수용부(444)와 상기 상부몸체(410)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볼트(340)에 의해 개재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상부몸체(410) 및 홀더수용부(444)에는 각각 결합홀(413)과 수용홀(44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430)는 상기 상부몸체(410)와 상단접촉부재(440)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범위 유동가능한 가압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결합볼트(340)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가압력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재되는 탄성부재(430)는 퓨즈 용단에 의한 가압력 발생상황이나 퓨즈홀더(800)의 설치 및 교체 상황에 따른 사용자 가압 상황이 아닌 이상 퓨즈홀더(800)의 상단을 안정적인 고정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전술한 상황 발생시에는 탄성압축되면서 상기 퓨즈홀더(800)의 상단이 탈거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도성바디(442)의 타측에는 상기 상부몸체(410)와 체결되면서 위치정렬 및 가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정렬고정부(446)가 마련된다.
상기 제1정렬고정부(446)는 상기 상부몸체(410)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고정편(412)과 체결되어 상단접촉부재(440)와 상부몸체(410)가 가고정 됨은 물론 정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정렬고정부(446)에는 상기 고정편(412)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는 고정홀(447)이 천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412)은 상기 상부몸체(410)의 일부분을 절개한 이후 하측으로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소정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상의 고정편(412)으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고정홀(447)의 형상도 이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간섭 가능한 소정 면적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편(412)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2정렬고정부(466)의 정렬구조를 위해 상기 절연애자(200)의 상부고정단(220)과 간섭될 수 있도록 절개 길이가 결정되며, 상기 고정홀(447)은 상기 고정편(412)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천공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홀(447)은 상기 고정편(412)의 단부는 관통되고 몸체 일부분이 수용되어 간섭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편(412)의 폭 보다 넓은 폭과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천공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447)의 길이는 상기 고정편(412)의 전체 길이보다는 작고, 두께 보다는 큰 범위에서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447)은 상기 고정편(412) 단부의 연직 하방에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홀(447)은 상기 고정편(412)의 하측에 위치되어 고정편(412)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재(430)가 개재된 상단접촉부재(440)의 일측이 가압 고정된 상태로 일정 거리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이와 같은 이동가능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고정홀(447)을 고정편(412)의 연직하방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412)은 사용자가 상단접촉부재(440)를 일정거리 이동시켜 고정홀(447)에 끼워넣게 되며, 이로 인해 고정편(412)이 끼움 장착된 상단접촉부재(440)는 상기 탄성부재(430)와 고정편(412)에 의해 가고정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410)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420)이 더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420)은 상부몸체(410)의 상면 일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터미널단자(42)의 설치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터미널단자(42)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배전선로로부터 분기되는 인입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중앙 부분에 터미널너트(46)의 체결을 위한 홀이 천공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부(42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터미널단자(42)의 연결을 위해 상기 브라켓(420)은 적어도 상기 터미널단자(42)의 전체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2a)의 형성위치를 고려하여 좌우 양측면에 병렬그루브(422)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병렬그루브(422)는 상기 터미널단자(42)의 결합을 위해 터미널볼트(44)를 회전 체결할 경우 터미널단자(42)가 터미널볼트(44)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병렬그루브(422)는 상기 돌출부(42a)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그루브로 구성되어 터미널볼트(44)의 회전방향과 관계없이 상기 돌출부(42a)가 간섭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브라켓(420)과 터미널단자(42) 사이에는 터미널단자(42)와 상기 상단접촉부재(44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L-브라켓(424)이 개재된다.
상기 L-브라켓(424)은 전도성 재질로 대략“┛”와 같이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브라켓(4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단자(42)와 접하며, 하측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상부몸체(410)의 하면과 상기 제1정렬고정부(446)의 상면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410)와 L-브라켓(424) 및 제1정렬고정부(446)에는 고정볼트(32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411, 424a, 441)이 천공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볼트(320)와 고정너트(322)에 의해 견고한 결합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통해 인입선과 터미널단자(42) 및 상단접촉부재(440)의 정위치 정렬 결합이 완료된 상부몸체(410)에는 상기 절연애자(800)의 상단고정단(220)와 함께 아크의 소호를 위한 아크디버터(460)가 더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고정단(220)에는 상기 고정볼트(320)가 관통되는 체결홀(221)과 상기 고정편(412)의 단부가 수용되어 간섭될 수 있도록 정렬홈(223)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고정단(220)은 상기 고정볼트(320)와 고정너트(322)에 의한 체결이 완료될 경우 상기 정렬홈(223)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편(412)과 간섭되어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회전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회전유동이 방지되는 상부고정단(220)은 상기 아크디버터(460)에 마련되는 제2정렬고정부(466)에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아크디버터(460)는 퓨즈홀더(800)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퓨즈홀더(800)의 외면 일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로드(464)와 상기 가이드로드(464)와 상기 제2정렬고정부(466) 사이를 연결하는 디버터바디(462) 및 전술한 제2정렬고정부(4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버터바디(462)는 상기 가이드로드(464)를 상기 홀더수용부(444)가 형성된 상단접촉부재(44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정렬고정부(466)는 상기 상부고정단(220)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상기 디버터바디(460)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로드(464)가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상기 제2정렬고정부(466)에는 상기 상부고정단(22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공간(46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디버터바디(460)의 일단에는 아크의 소호를 위한 가이드로드(464)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로드(464)는 퓨즈홀더(800)의 상단에서 아크가 가이드로드(464)의 선단을 따라 확산하여 소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로드(464)의 양단부는 퓨즈홀더(800)의 상단에서 멀어질 수 있도록 외부 상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463)은 상기 디버터바디(460)의 타측에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463)의 내부에는 전술한 고정볼트(320)와 고정너트(322)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461)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320)는 상기 상부고정단(220)과 상부몸체(410), L-브라켓(424)과 상단접촉부재(440) 및 제2정렬고정부(466)를 모두 관통하여 고정너트(322)와 결합되며, 이를 위해 전술한 각 구성들에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홀(221, 411, 424a, 441, 4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정렬고정부(466)에는 좌우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정렬돌기(468)가 더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정렬돌기(468)는 상기 상부몸체(410)의 양측면과 간섭되어 아크디버터(460)의 회전을 부가적으로 방지한다.
이를 위해 제2정렬고정부(466)가 마련되는 디버터바디(462)의 폭은 상기 상부몸체(410)의 좌우 양측면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정렬돌기(468)의 돌출 길이는 상기 디버터바디(462)의 폭과 상부몸체(410)의 양측면 사이 이격거리의 차를 2등분한 값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상부고정금구의 결합구조에 따른 정위치 정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며, 도 5 에서 A 방향 화살표는 상부지지금구(400)의 정렬구조를 상측에서 투시하여 보인 모습을 나타내고, B 방향 화살표는 내부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편(412)은 상기 제1정렬고정부(446)에 형성된 고정홀(447)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고정단(220)에 형성된 정렬홈(223)에 단부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부몸체(410)와 상단접촉부재(440) 및 상부고정단(220)은 상기 고정편(412)과의 간섭에 의해 회전유동이 방지되어 정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부고정단(412)에 의해 정위치 정렬이 이루어진 상부고정단(220)은 상기 제2정렬고정부(466)의 수용공간(463)에 하면이 수용됨에 따라 회전유동이 방지된 상부고정단(220)에 의해 아크디버터(46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2정렬고정부(466)의 측면에 형성되는 정렬돌기(468)가 상부몸체(410)의 좌우 양측면과 간섭됨으로써 아크디버터(460)의 회전유동을 부가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부고정단(220)과 상단접촉부재(440) 또한 부가적으로 회전유동이 방지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퓨즈홀더(800)의 설치 및 드랍 다운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200.......... 절연애자 220.......... 상부고정단
221, 411, 424a, 441, 461................... 체결홀
223.......... 정렬홈 320.......... 고정볼트
322.......... 고정너트 340.......... 결합볼트
400.......... 상부고정금구 410.......... 상부몸체
412.......... 고정편 414.......... 결합홀
420.......... 브라켓 422.......... 병렬그루브
430.......... 탄성부재 440.......... 상단접촉부재
442.......... 전도성바디 444.......... 홀더수용부
445.......... 수용홀 446.......... 제1정렬고정부
447.......... 고정홀 460.......... 아크디버터
462.......... 디버터바디 463.......... 수용공간
464.......... 가이드로드 466.......... 제2정렬고정부
468.......... 정렬돌기

Claims (6)

  1. 배전선로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인입선과, 절연애자의 상부고정단과 하부고정단을 이용하여 퓨즈홀더가 절연애자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퓨즈홀더의 하단과 하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금구와,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지지금구를 포함하며, 고장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홀더에 구비되는 퓨즈가 융단되어 퓨즈홀더의 상단이 상부지지금구와 분리됨으로써 고장전류를 차단시키는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금구에는 상기 인입선과 퓨즈로 이어지는 고장전류 감지라인의 정위치 설치를 위한 정렬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정렬구조에는,
    상기 절연애자와 퓨즈홀더 사이의 상측 이격거리를 형성하며, 상기 인입선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체결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기 인입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상단접촉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편의 끼움장착을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정렬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렬고정부에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면서 퓨즈홀더의 상단을 구속하는 상단접촉부재가 상부몸체에 정렬 및 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2. 배전선로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인입선과, 절연애자의 상부고정단과 하부고정단을 이용하여 퓨즈홀더가 절연애자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퓨즈홀더의 하단과 하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금구와,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지지금구를 포함하며, 고장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홀더에 구비되는 퓨즈가 융단되어 퓨즈홀더의 상단이 상부지지금구와 분리됨으로써 고장전류를 차단시키는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금구에는 상기 인입선과 퓨즈로 이어지는 고장전류 감지라인의 정위치 설치를 위한 정렬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정렬구조에는,
    상기 절연애자와 퓨즈홀더 사이의 상측 이격거리를 형성하며, 상기 인입선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체결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퓨즈 용단시 발생되는 아크의 소호를 위한 아크디버터의 일측을 형성하며, 상기 애자의 상부고정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면과 간섭됨으로써 아크디버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렬돌기가 형성되는 제2정렬고정부 및
    상기 상부고정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과 간섭되는 정렬홈;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홈과 상기 고정편의 간섭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와 아크디버터 및 상부고정단의 정위치 정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3. 배전선로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인입선과, 절연애자의 상부고정단과 하부고정단을 이용하여 퓨즈홀더가 절연애자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퓨즈홀더의 하단과 하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금구와,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부고정단을 연결하며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지지금구를 포함하며, 고장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홀더에 구비되는 퓨즈가 융단되어 퓨즈홀더의 상단이 상부지지금구와 분리됨으로써 고장전류를 차단시키는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금구에는 상기 인입선과 퓨즈로 이어지는 고장전류 감지라인의 정위치 설치를 위한 정렬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정렬구조에는,
    상기 절연애자와 퓨즈홀더 사이의 상측 이격거리를 형성하며, 상기 인입선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이 체결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퓨즈홀더의 상단과 상기 인입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상단접촉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편의 끼움장착을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정렬고정부와,
    상기 퓨즈 용단시 발생되는 아크의 소호를 위한 아크디버터의 일측을 형성하며, 상기 애자의 상부고정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면과 간섭됨으로써 아크디버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정렬돌기가 형성되는 제2정렬고정부; 및
    상기 상부고정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과 간섭되는 정렬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편은 소정 길이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정렬고정부의 수용홈을 관통하여 상기 정렬홈과 간섭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와 상부체결부재, 아크디버터 및 상부고정단의 정위치 정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와 제1정렬고정부, 상부고정단 및 제2정렬고정부에는 하나의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볼트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 일단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터미널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이 더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과 터미널 사이에는 상부접촉부재와 터미널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L-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및 L-브라켓에는 상기 터미널단자에 형성된 돌출부의 구속을 위한 그루브가 더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돌출부의 상측 및 하측에서 상기 돌출부와 간섭될 수 있도록 병렬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KR1020210122584A 2021-09-14 2021-09-14 컷 아웃 스위치 KR102524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584A KR102524490B1 (ko) 2021-09-14 2021-09-14 컷 아웃 스위치
PCT/KR2021/018791 WO2023042969A1 (ko) 2021-09-14 2021-12-10 컷 아웃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584A KR102524490B1 (ko) 2021-09-14 2021-09-14 컷 아웃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360A KR20230039360A (ko) 2023-03-21
KR102524490B1 true KR102524490B1 (ko) 2023-04-21

Family

ID=8560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584A KR102524490B1 (ko) 2021-09-14 2021-09-14 컷 아웃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4490B1 (ko)
WO (1) WO202304296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2919A1 (en) 2007-12-14 2010-04-29 Jiri Pazdirek Insulator for Cutout Switch and Fuse Assembly
KR101666771B1 (ko) 2016-03-21 2016-10-14 송기현 전계완화가 가능한 폴리머 컷아웃 스위치
KR101670422B1 (ko) 2015-12-31 2016-10-31 주식회사 리폼테크 컷 아웃 스위치
KR101773800B1 (ko) 2017-02-28 2017-09-04 제룡전기 주식회사 전절연 리드선 부착형 폴리머 컷아웃 스위치
KR102085519B1 (ko) 2018-11-08 2020-03-06 한국전력공사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 미개방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186B1 (ko) 2009-09-10 2011-07-21 송홍준 변압기용 컷 아웃 스위치 어셈블리 및 애자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2919A1 (en) 2007-12-14 2010-04-29 Jiri Pazdirek Insulator for Cutout Switch and Fuse Assembly
KR101670422B1 (ko) 2015-12-31 2016-10-31 주식회사 리폼테크 컷 아웃 스위치
KR101666771B1 (ko) 2016-03-21 2016-10-14 송기현 전계완화가 가능한 폴리머 컷아웃 스위치
KR101773800B1 (ko) 2017-02-28 2017-09-04 제룡전기 주식회사 전절연 리드선 부착형 폴리머 컷아웃 스위치
KR102085519B1 (ko) 2018-11-08 2020-03-06 한국전력공사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 미개방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360A (ko) 2023-03-21
WO2023042969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8775B2 (en) Contactor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JP6225195B2 (ja) 回路ブレーカおよび回路ブレーカ用アダプタ
JP5260702B2 (ja) 配線用遮断器
CN1819094B (zh) 过载电流设备的馈通连接部件
CN101981759A (zh) 用于制冷压缩机中的电气供应缆线的安装装置
KR102524490B1 (ko) 컷 아웃 스위치
WO2021220588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CN101479898B (zh) 用于电子设备的过压保护的装置
KR101667639B1 (ko) 3-포지션 인터록 조절 장치
KR101670422B1 (ko) 컷 아웃 스위치
CN101647324A (zh) 带有印制导线保护装置的双面电路板
CN105742965A (zh) 带有位置指示装置的配电盘
KR102260566B1 (ko) 통전부재를 갖는 한류형 퓨즈 컷 아웃 스위치
US9754751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2392639B1 (ko) 지상개폐기용 퓨즈부 케이블 접속단자 구조체
US9425002B2 (en) Circuit breaker
KR100479434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101451748B1 (ko) 배선용 차단기
KR200488017Y1 (ko) 안전 누전 차단기
KR101883573B1 (ko)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108470B1 (ko) 가스절연 부하개폐기
KR102279369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분전반
KR102386956B1 (ko) 컷아웃스위치의 퓨즈홀더 개방 점검장치
KR102357557B1 (ko)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KR200471822Y1 (ko) 회로 차단기의 스크류 안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