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008B1 -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008B1
KR102527008B1 KR1020180051396A KR20180051396A KR102527008B1 KR 102527008 B1 KR102527008 B1 KR 102527008B1 KR 1020180051396 A KR1020180051396 A KR 1020180051396A KR 20180051396 A KR20180051396 A KR 20180051396A KR 102527008 B1 KR102527008 B1 KR 102527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crossbar
trip unit
tri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165A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8005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0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부하측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이 마련되는 트립부 케이스; 상기 트립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트립부 커버; 상기 트립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트립부 케이스의 각 상 사이의 제1 격벽에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트립부 커버의 제2 격벽에 형성되는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Trip Assembly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 또는 단락 사고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배선용 차단기는 크게 전원측 또는 부하측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 고정접촉자와 이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접점부, 상기 가동접촉자를 움직여 회로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기구, 회로 상에 흐르는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감지하여 개폐 기구의 트립(trip) 동작을 유도하는 트립부, 이상전류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트립 어셈블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기 선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 측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고정 접촉자(1)와 가동 접촉자(2) 및 사고 전류 차단시 아크(Arc)를 소호시키는 소호장치(3), 가동 접촉자(2)를 회전시켜 전기 선로의 통전 또는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기구부(4), 사고전류를 검출하여 동작하는 트립부(트립장치, 트립 어셈블리)(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트립부(5)는 트립부 케이스(11)에 구비되는 아마추어(Armaure)(6), 마그넷(Magnet)(7), 크로스바(Crossbar)(9), 슈터(Shooter)(10), 부하측 단자 또는 히터(load terminal or heater)(12), 바이메탈(bimetal)(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고 전류(대전류)가 차단기로 인입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히터(12)에 흐를 때, 마그넷(7)에는 전자기력이 발생하고 마그넷(7)은 아마추어(6)를 끌어당기게 된다. 이때 마그넷(7) 방향으로 이동하는 아마추어(6)가 크로스바(9)의 하단 돌출부(8)를 밀게 되고, 이로 인해 크로스바(9)가 회전하면서 슈터(10)의 걸림이 해제되어 개폐기구부(4)가 동작하여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과전류(소전류)가 히터(12)에 흐르는 경우 히터(12)에 결합된 바이메탈(14)이 만곡하여 크로스바(9)의 상단 돌출부(또는 간격조절부재(13))를 가압하여 크로스바(9)를 회전시킴으로서 슈터(10)가 해제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트립 어셈블리의 크로스바(9)는 축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고, 금속부재로 구성되는 회전축(15)에 결합된다. 회전축(15)이 트립부 케이스(11)의 축홀(16)에 끼워지고, 크로스바(9)는 회전축(15)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트립 어셈블리는 이와 같이 크로스바 몸체에 회전축(핀)이 별도로 조립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회전축(15)을 축홀(16)에 끼우면서 회전축(15)에 크로스바(9)를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이 까다롭고 조립시간이 증대한다. 또한, 회전축(15)이 금속부재로 구성되므로 주변 부품과 절연파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존재하여 절연성능이 감소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축 일체형 크로스바가 구비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절연성이 향상된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부하측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이 마련되는 트립부 케이스; 상기 트립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트립부 커버; 상기 트립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트립부 케이스의 각 상 사이의 제1 격벽에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트립부 커버의 제2 격벽에 형성되는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는 절연 재질의 솔리드 바로 구성되는 축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격벽은 이중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이중벽의 어느 하나 이상의 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복수 개의 받침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는 라운드 형태의 받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는 라운드 형태의 덮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밤침홈과 덮개홈은 상기 크로스바의 축바디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로스바에는 상기 받침판 사이에 끼워지는 원주돌기 가 구성되는 간격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주돌기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에 의하면 크로스바에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금속 재료의 회전축이 제거되므로 절연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 사시도이다. 트립부 커버가 분해된 상태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에 적용되는 트립부 케이스, 크로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의 내부 부분 사시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구조도, 도 4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 사시도, 도 5,6은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에 적용되는 트립부 케이스, 크로스바의 사시도, 도 7,8은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부의 내부 부분 사시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는 배선용 차단기의 부하측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이 마련되는 트립부 케이스(40); 상기 트립부 케이스(40)의 상부에 결합되는 트립부 커버(50); 상기 트립부 케이스(40)의 내부에 설치되는 크로스바(60);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60)는 상기 각 상 사이의 제1 격벽(42)에 형성되는 받침부(43)와, 상기 트립부 커버(50)의 제2 격벽(52)에 형성되는 덮개부(5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함(20)은 개략적으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외함(20)은 합성수지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함(20) 내부에는 접점부, 단자부, 개폐기구부, 트립부, 소호부 등이 수용된다.
외함(20) 내부에는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되는 고정접촉자(21a,21b), 상기 고정접촉자(21a,21b)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통전시키거나 차단하는 가동접촉자(22)로 구성되는 접점부가 구비된다. 가동접촉자(22)는 샤프트(23)에 결합되어 가동자 어셈블리(또는 샤프트 어셈블리) 일체로 움직인다.
쌍접점형 차단기(double circuit breaker)의 경우, 고정접촉자(21a,21b)는 전원측(도 3에서 좌측) 및 부하측(도 3에서 우측)에 각각 마련된다. 전원측에 설치된 고정접촉자(21a)는 전원측 단자(71)에 연결되고, 부하측에 설치된 고정접촉자(21b)는 부하측 단자(72)에 연결된다. 여기서, 어느 고정접촉자(21a)는 단자(7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동접촉자(22)는 전원측 고정접촉자 (21a)및 부하측 고정접촉자(21b)에 모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가동접촉자(22)는 180도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접촉자(22)의 양단부에는 각각 가동접점(미부호)이 마련되어, 고정접촉자(21a,21b)의 고정접점(미부호)에 접촉 또는 분리된다. 가동접촉자(22)는 샤프트(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자 어셈블리(또는 샤프트 어셈블리)를 이룬다.
가동자 어셈블리는 개폐기구에 의해 움직인다. 개폐기구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는 핸들(25), 핸들에 결합되어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핸들 레버(26), 상기 핸들 레버(26) 및 링크축(27)에 결합되는 메인 스프링(28), 링크축(27)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상부링크(미도시) 및 하부링크(미도시), 상기 하부링크에 결합되는 샤프트 핀(29)을 포함한다.
가동자 어셈블리는 샤프트 핀(29)에 의해 개폐기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접점부 및 가동자 어셈블리는 각 상별로 마련되고 개폐기구는 어느 한 상에 마련된다. 개폐기구의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샤프트 핀(29)은 모든 상에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
접점부의 주변에 사고 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시키는 소호부(소호장치 또는 아크 슈트라고도 한다)(30)가 마련된다. 소호부(30)는 양측의 접점부에 모두 마련된다.
부하측에는 사고전류를 검출하고 트립 동작을 수행하도록 트립부(A)가 마련된다. 트립부(A)는 트립부 케이스(40)에 구비되는 어셈블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트립부(A)는 트립부 케이스(40)에 설치되는 마그넷(75), 아마추어(76), 히터(70), 크로스바(60), 바이메탈(7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트립부 케이스(40)가 도시되어 있다. 트립부 케이스(40)는 절연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트립부 케이스(40)는 합성수지물로 제조될 수 있다. 트립부 케이스(40)는 전체적으로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본 명세서에서 부하측을 전방(전면), 전원측을 후방(후면)으로 한다).
트립부 케이스(40)에는 복수 개의 상이 마련된다. 각 상은 제1 격벽(42)에 의해 구획된다. 즉, 각 상 사이에는 제1 격벽(42)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R,S,T,N 4극(4상)으로 구성된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 트립부 케이스(40)의 양 측벽(41) 사이에 3개의 제1 격벽(42)이 형성되어, 4개의 상을 위한 4개의 수용부(49)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1 격벽(42)은 이중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격벽(42)에는 홀또는 홈이 마련되어 상간 거리를 증대시킴으로서 절연 성능을 증대시킨다.
상기 제1 격벽(42)의 상부에는 받침부(43)가 형성된다. 받침부(43)는 제1 격벽(42)의 이중벽에 각각 또는 이중벽 중 어느 하나의 벽에 마련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받침부(43)는 제1 격벽(42)과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받침부(43)는 복수 개의 받침판(43a,432b)으로 구성된다(도 8의 표기 참조). 이에 따라, 지지력이 증대한다. 예를 들어 받침부(43)는 2개의 받침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구분하여, 제1 받침판(43a) 제2 받침판(432b)으로 구분하기로 한다.
받침부(43)의 상부에는 받침홈(44)이 형성된다. 받침홈(44)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홈(44)은 크로스바(6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받침홈(44)은 이외에도 직각홈이나 삼각홈 등 다른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바(60)는 받침홈(44)에 얹힌 상태로 설치된다. 받침부(43)는 크로스바(60)를 지지하게 된다. 크로스바(60)는 받침홈(44)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받침부(43)는 복수 개의 제1 격벽(42) 중에서 어느 2개 이상의 제1 격벽(42)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R,S,T,N 상으로 이루어진 트립부 케이스(40)의 경우, R,S상 사이의 제1 격벽(42)과 T,N 상 사이의 제1 격벽(42)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트립부 케이스(40)의 후면부에는 폐쇄되어 폐쇄부(45)를 이룬다. 폐쇄부(45)가 마련되어 트립부 케이스(40)의 후방에서 볼 때 마그넷(75)은 노출되지 않는다.
트립부 케이스(40)의 후면에는 히터(70)의 트립부 단자(73)가 노출될 수 있는 단자홀(46)이 형성된다. 단자홀(46)은 폐쇄부(45)의 상부에 형성된다. 단자홀(46)을 통해 히터(70)의 트립부 단자(73)가 노출된다.
트립부 케이스(40)의 후면부 상부에는 트립부 단자(73)를 감쌀 수 있는 단자덮개부(47)가 돌출 형성된다. 단자덮개부(47)는 트립부 단자(73)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자덮개부(47)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형성된다. 트립부 단자(73)의 하면이 부하측 고정접촉자(21a)에 접촉될 수 있도록 단자덮개부(47)의 하면은 개방된다. 단자덮개부(47)는 트립부 케이스(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덮개부(47)는 트립부 케이스(40)와 동일한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덮개부(47)에 의해 트립부 단자(73)의 상면과 측면이 커버되므로 트립부(A)의 절연 성능은 더욱 향상된다.
트립부 케이스(40)의 후면부 상부에는 슈터(79)가 구비된다. 슈터(79)는 크로스바(6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 놓여있다가, 크로스바(60)의 구속이 해제되는 경우 개폐기구를 작동시킨다.
트립부 커버(50)가 마련된다. 트립부 커버(50)는 하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트립부 케이스(40)의 상부에 결합된다.
트립부 커버(50)에는 제2 격벽(52)이 형성된다. 제2 격벽(52)에는 덮개부(53)가 마련된다. 제2 격벽(52)과 덮개부(5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53)에는 덮개홈(54)이 형성된다. 덮개홈(54)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홈(54)은 크로스바(60)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트립부 커버(50)의 내부에는 노브(55) 등의 조작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조작부 지지판(51)이 구비된다.
트립부 커버(50)에는 바이메탈(78)과의 간격 조절을 위한 노브(55)가 마련된다. 노브(55)는 조작부 지지판(51)에 설치되어 머리부가 트립부 커버(50)의 상면에 노출된다. 노브(55)의 하부에는 편심(eccentric, bias) 형성되는 조절자(56)가 마련된다. 노브(55)가 회전하는 경우 조절자(56)는 노브(55)의 축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으로 회전하게 된다.
크로스바(60)가 마련된다. 크로스바(60)는 충실바(solid bar), 즉 축홀이 형성되지 않은 형태로 마련된다. 크로스바(60)의 길이는 양 측벽(41)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60)는 양 측벽(41)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크로스바(60)는 축바디(61)를 갖는다. 축바디(61)는 원형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바디(61)는 받침부(43)의 받침홈(44)에 얹히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크로스바(60)의 축바디(61)에는 상방으로 상부 가압부(62)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 가압부(62)에 바이메탈(78)이 접촉하는 경우 상부 가압부(62)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축바디(61)는 회전한다. 상부 가압부(62)에는 간격조절부재(69)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63)이 형성된다.
크로스바(60)의 축바디(61)에는 하방으로 하부 가압부(64)가 돌출 형성된다. 하부 가압부(64)에 아마추어(76)가 접촉하는 경우 하부 가압부(64)는 회전하고 이에 따라 축바디(61)는 회전한다.
크로스바(60)의 중앙부에는 구속부(65)가 구비된다. 구속부(65)는 정상상태에서 슈터(79)를 구속한다. 크로스바(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구속부(65)는 슈터(79)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여 개폐기구부가 작동하도록 한다.
크로스바(60)의 축바디(61)에는 노브 연결부(67)가 마련된다. 노브 연결부(67)는 노브(55)의 조절자(56)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노브 연결부(67)는 한 쌍의 돌출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판 사이에 노브(55)의 조절자(56)가 끼워진다. 노브(55)가 회전하면 조절자(56)가 소정 반경으로 회전하고, 조절자(56)는 노브 연결부(67)에 끼워져 있으므로 노브 연결부(67)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축바디(61)는 받침부(43)의 받침홈(44)에 걸려 있으므로 전후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즉, 노브(55)의 움직임에 따라 노브 연결부(67)가 좌우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크로스바(6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크로스바(60)가 이동하는 경우 상부 가압부(62)와 간격조절부재(69)가 움직이므로 바이메탈(78)의 머리부와의 간격이 변화한다. 바이메탈(78)의 머리부는 횡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부분별로 크로스바(60)에 이르는 거리가 다르다.
크로스바(60)에는 간격조절부(66)가 돌출 형성된다. 간격조절부(66)는 축바디(61)의 원주면을 따라 원호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주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주돌기는 복수 개 구비된다. 간격조절부(66)는 크로스바(60)의 받침부(43)에 끼워진다. 일례로, 간격조절부(66)의 어느 원주돌기가 제1 받침판(43a)과 제2 받침판(43b) 사이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60)는 특별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만일, 사용자가 노브(55)를 조작하여 노브 연결부(67)에 힘을 가하여 제1 받침판(43a)과 제2 받침판(43b) 사이에 끼워진 원주돌기가 받침부(43)를 벗어나게 되면 크로스바(60)는 축 방향을 따라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에 의하면 크로스바에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즉, 크로스바(60)는 중공홀이 없는 솔리드 바로 구성되어 트립부 케이스(40)의 받침부(43)에 얹히는 상태로 배치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크로스바(60)는 트립부 케이스(40)의 받침부(43)와 트립부 커버(50)의 덮개부(53) 사이에서 지지를 받으며 회전 가능하다.
또한, 금속 재료의 회전축이 제거되므로 절연성능이 향상된다. 크로스바(60)는 합성수지물 등 절연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주변 부품과 절연 파괴를 일으키지 않아 절연 성능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외함 21 고정접촉자
21a,21b 고정접촉자 22 가동접촉자
23 샤프트 25 핸들
26 핸들 레버 27 링크축
28 스프링 29 샤프트 핀
30 소호부 40 트립부 케이스
41 측벽 42 제1 격벽
43 받침부 43a,432b 제1,제2 받침판
44 받침홈 45 폐쇄부
46 단자홀 47 단자덮개부
49 수용부 50 트립부 커버
51 조작부 지지판 52 제2 격벽
53 덮개부 54 덮개홈
55 노브 56 조절자
60 크로스바 61 축바디
62 상부 가압부 63 체결홀
64 하부 가압부 65 구속부
66 간격조절부 67 노브 연결부
69 간격조절부재 70 히터
71 전원측 단자 72 부하측 단자
73 트립부 단자 75 마그넷
76 아마추어 78 바이메탈
79 슈터

Claims (9)

  1. 배선용 차단기의 부하측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이 마련되는 트립부 케이스;
    상기 트립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트립부 커버;
    상기 트립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트립부 케이스의 각 상 사이의 제1 격벽에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트립부 커버의 제2 격벽에 형성되는 덮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바는 양단부에 축홀이 형성되지 않은 충실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는 상기 트립부 케이스의 양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는 절연 재질의 솔리드 바로 구성되는 축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이중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이중벽의 어느 하나 이상의 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복수 개의 받침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는 라운드 형태의 받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는 라운드 형태의 덮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홈과 덮개홈은 상기 축바디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에는 상기 받침판 사이에 끼워지는 원주돌기 가 구성되는 간격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돌기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KR1020180051396A 2018-05-03 2018-05-03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 KR102527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396A KR102527008B1 (ko) 2018-05-03 2018-05-03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396A KR102527008B1 (ko) 2018-05-03 2018-05-03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65A KR20190127165A (ko) 2019-11-13
KR102527008B1 true KR102527008B1 (ko) 2023-04-28

Family

ID=6853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396A KR102527008B1 (ko) 2018-05-03 2018-05-03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0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3200A (ja) * 2004-08-31 2006-03-16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回路遮断器
KR101823516B1 (ko) * 2016-08-31 2018-0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099B1 (ko) * 1996-12-31 1999-06-15 이종수 써멀바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3200A (ja) * 2004-08-31 2006-03-16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回路遮断器
KR101823516B1 (ko) * 2016-08-31 2018-0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65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2226B2 (ja) 配線用遮断器の接触子アセンブリ
EP3069363B1 (en) Arc baffling device
US8264306B2 (en)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current limiting typ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6454036B2 (ja) 直流配線用遮断器
EP2315228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an instantaneous trip mechanism
EP1098331A2 (en) Arc chute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EP2180487B1 (en) Micro switch
CA2663066A1 (en) Arc plate, and arc chute assembly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1052645B1 (ko) 아크 차폐장치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US10811207B2 (en) Arc extinguishing unit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2026642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252700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
KR200496737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KR10059546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JP4696665B2 (ja) 漏電遮断器
KR20200009391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EP3227900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pole shaft catch assembly therefor
JP7293509B2 (ja) クロスバー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トリップ装置
KR20200023975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KR200454586Y1 (ko)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KR200496083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자 어셈블리
KR10055749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스압 트립장치
KR20240054029A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KR20230143834A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KR20240000375U (ko)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