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375U -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375U
KR20240000375U KR2020220002032U KR20220002032U KR20240000375U KR 20240000375 U KR20240000375 U KR 20240000375U KR 2020220002032 U KR2020220002032 U KR 2020220002032U KR 20220002032 U KR20220002032 U KR 20220002032U KR 20240000375 U KR20240000375 U KR 202400003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trip
case
arc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형
김영환
오경환
오기환
김하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2020220002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375U/ko
Publication of KR20240000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오염에 인한 동작 실패를 방지하는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의하면, 회전판에 의해 압트립 장치의 내부가 아크 가스 유입 후 폐쇄되므로 아크 비산물이나 이물질이 압 트립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트립 작동 실패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Pressure Trip Device}
본 고안은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오염에 인한 동작 실패를 방지하는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전기적으로 과부하 상태 또는 단락 사고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배선용 차단기는 크게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 고정접촉자와 이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접점부, 상기 가동접촉자를 움직여 회로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기구, 회로 상에 흐르는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감지하여 개폐 기구의 트립(trip) 동작을 유도하는 트립부, 이상 전류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기 위한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용 차단기는 단자부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전류가 흐르는데 이 때 사고 전류가 들어오게 되면 접점부의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사이의 전자 반발력에 의해 접점부 분리가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아크가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고온이 형성되어 온도차로 압력이 발생한다. 이 아크 압력을 이용하여 트립 작동을 일으키는 것이 압트립장치이다.
압트립장치는 전자반발력에 의해 접점 분리시 발생하는 아크의 압력을 이용하여 기구부를 트립 작동시킨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 유닛과 기구부 및 압트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된 압트립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아크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 도 3은 아크 압력에 의해 트립 슈터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서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된 압력트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10)는 차단기(10)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조절하도록 핸들(12)과, 트립바(13) 등이 구비된 개폐 기구부(11), 전로 상의 이상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부 및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포함되어 회로를 차단하는 단극 차단 유닛(20)등으로 구성된다.
단극 차단 유닛(20) 내에는 가동 접촉자(미도시)와 고정 접촉자(미도시) 및 소호부(미도시) 등이 구비되는데, 배선용 차단기(10)에 사고전류가 인가되면 전자 반발력에 의해 가동 접촉자와 고정 접촉자가 분리되고, 접점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하면서 동시에 아크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단극 차단 유닛(20)의 측면에는 아크로 인한 아크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홀(21)이 구비되고, 아크 가스가 배출홀(21)을 통해 압트립장치(30)로 배출되어 개폐 기구부(11)를 트립시킨다.
한편, 단극 차단 유닛(20)의 측면에는 압트립장치(30)가 구비되는데, 압트립장치(30)는 배출홀(21)의 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압트립장치(30)는 아크 가스 유입홀(32)이 형성된 케이스(31), 아크 가스 유입홀(32)을 통해 인입되는 아크 가스에 의해 휘어지는 배리어(34) 및 케이스(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아크 가스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하여 네일(14)을 회전시켜 트립바(13)를 구동시키는 트립 슈터(35), 트립 슈터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36), 제2 아크 가스 유입홀(39)이 형성된 커버(3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10)는 배선용 차단기(10)에 사고전류가 흐르게 되면 가동 접촉자와 고정 접촉자 사이의 전자 반발력에 의해 각 접촉자가 분리되는 한류 동작이 이루어지고, 이때 각 접촉자 사이에서는 아크가 발생되어 내부 압력이 커지게 된다.
이때 아크에 의한 아크 가스의 가스압이 커지면 아크 가스가 가스 배출홀(21)을 통해 단극 차단 유닛(20)을 빠져나가게 되고, 아크 가스 유입홀(32)을 통해 인입된 아크 가스는 배리어(34)를 밀고 압트립 장치(30)의 내부로 인입된다. 아크 가스에 의해 트립 슈터(35)는 회전축(35a)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트립 슈터(35)가 회전하면서 가압부(35b)가 네일(14)을 밀어 트립바(13)를 회전시켜 개폐 기구부(11)를 트립 작동시킨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10)에 구비된 압트립장치(30)의 경우 아크 가스 유입홀(32)을 통해 아크 가스가 유입될 때 아크 가스 비산물이 함께 내부에 유입되어 아크 가스 비산물이 케이스(31)의 내부에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아크 가스 비산물이 케이스(31)의 내부 벽면에 쌓이게 되면 트립 슈터(35)가 움직일 때 아크 가스 비산물에 의해 방해를 받아 트립 동작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 오염물질 축적을 방지하는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는, 베이스 어셈블리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의 아크 배출홀에 연통하는 아크 유입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트립 슈터;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립 슈터를 밀어올리고 상기 아크 유입홀을 개폐하는 회전판;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트립 슈터가 삽입되어 동작하고 상기 아크 배출홀이 형성되는 수용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아크 유입홀의 일측에 상기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설치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 설치홈에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는 가이드부가 돌출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트립 슈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에는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의 설치용 홈에 끼워지는 설치용 돌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립 슈터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압력부와, 상기 이동홀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연장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트립 슈터를 하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이 구비된다.
또한, 수용부의 상면과 압력부의 상면에는 상기 복귀 스프링이 지지되는 스프링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소정 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아크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1판과 상기 압력부를 밀어내는 제2판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의하면, 회전판에 의해 압트립 장치의 내부가 아크 가스 유입 후 폐쇄되므로 아크 비산물이나 이물질이 압 트립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트립 작동 실패를 방지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서 차단 유닛과 기구부 및 압트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된 압트립장치의 차단전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된 압트립장치의 차단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1에서 배선용 차단기에 구비된 압력트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베이스 어셈블리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의 베이스 어셈블리와 기구부 및 압트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적용되는 압트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압트립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적용되는 압트립 장치의 작용도로서, 도 11과 도 12는 정상적인 전류 통전시의 상태이고, 도 13과 도 14는 사고전류에 의한 트립 작용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 "부재" 또는 "부"라는 용어는 어떤 한정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며,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베이스 어셈블리의 내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는 베이스 어셈블리(102)의 일측에 결합되고, 아크 유입홀(153)이 형성되는 케이스(151), 상기 케이스(151)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트립 슈터(160), 상기 케이스(1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아크 유입홀(153)을 개폐하는 회전판(170), 그리고 상기 케이스(151)에 결합되는 커버(18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100)를 살펴보기로 한다.
외함(101)은 배선용 차단기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지지한다. 외함(101)은 개략적으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외함(101)의 상면에는 핸들(127)이 노출된다. 핸들(127)은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력에 의해 개폐기구(125)를 동작시킨다.
외함(101)의 전,후면에는 전원 또는 부하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108,109)가 마련된다. 단자부(108,109)는 각 상별로 (또는 각 극별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3상 4극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에는 전원측 및 부하측에 각 4개의 단자부가 마련될 수 있다.
외함(101) 내에는 베이스 어셈블리(102)가 삽입 설치된다. 베이스 어셈블리(102)는 접점부와 소호부를 내장한다. 베이스 어셈블리(102)는 각 상마다 마련된다. 예를 들어 3상의 경우 R상, S상, T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S상 베이스 어셈블리(102)에는 개폐기구부(127)가 설치된다.
고정접촉자(120,121)가 외함(101)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접촉자(120,121)는 단자부(108,109)에 연결된다. 쌍접점형 배선용 차단기의 경우, 고정접촉자(120,121)는 전원측 및 부하측에 각각 마련된다. 즉, 전원측 고정접촉자(120)와 부하측 고정접촉자(121)가 구비된다. 이때, 전원측 고정접촉자(120)는 전원측 단자부(108)에 직접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하측 고정접촉자(121)는 트립기구(특히 히터(111))를 통해 부하측 단자부(109)에 연결될 수 있다.
접점부(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인근에는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하여 소호부(소호장치)(105)가 마련된다. 쌍접점형 배선용 차단기(double circuit breaker)의 경우 소호부(105)는 전원측 및 부하측에 각각 마련된다. 소호부(105)는 한 쌍의 측벽(105a)과 상기 측벽(105a)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105b)로 구성될 수 있다.
회로에 흐르는 이상전류를 검출하고 개폐기구를 트립시키기 위한 트립부(110)가 외함(101)의 일부에 마련된다. 트립부(110)는 부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보통이다. 트립부(110)는 부하측 단자부(109)에 연결되는 히터(111), 히터(111)에 결합되어 열을 감지하고 열량에 따라 만곡되는 바이메탈(112), 히터(111) 주변에 설치되는 마그넷(113)과 아마추어(114), 상기 바이메탈(112) 또는 아마추어(114)의 접촉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크로스바(115), 크로스바(115)의 회전에 의해 구속 또는 해제되어 개폐기구(125)의 네일(118)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슈터(11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소전류 지연 차단시에는 히터(111)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바이메탈(112)이 만곡하여 크로스바(115)가 회전하여 개폐기구(125)를 작동시키게 되고, 대전류 순시 차단시에는 마그넷(113)에 여자되는 자력에 의해 아마추어(114)가 흡인되면서 크로스바(115)를 회전시켜 개폐기구(125)가 작동하게 된다.
사용자의 조작력은 핸들(127)을 통해 개폐기구(125)에 전달된다. 개폐기구(125)의 동력을 각 상에 전달하기 위하여 개폐기구(125)에는 한 쌍의 회전핀(104)이 설치된다. 회전핀(104)은 모든 상을 가로지르는 길이로 형성되어 샤프트 어셈블리(또는 가동자 어셈블리)(130)에 설치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30)가 마련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30)에는 회전핀(104)이 관통 설치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30)는 회전핀(104)에 의해 개폐기구(125)의 개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샤프트 어셈블리(130)가 회전함에 따라 가동접촉자(140)도 회전하여 고정접촉자(120,121)에 접촉되거나 분리된다.
샤프트 어셈블리(130)는 샤프트 바디(131), 가동접촉자(140), 샤프트 핀(165), 스프링(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 바디(13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샤프트 바디(131)의 평평한 양측면(원판면)에 축(132)이 돌출 형성된다. 샤프트 바디(131)에는 축(132)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개구부(133)가 관통 형성된다. 샤프트 바디(131)에는 축(132) 방향에 나란하게 관통되어 회전핀(104)이 삽입될 수 있는 핀홀(136)이 한 쌍 형성된다.
가동접촉자(140)는 샤프트 바디(131)의 개구부(133)에 삽입 설치된다. 가동접촉자(140)는 샤프트 바디(131)와 함께 또는 독자적으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접촉자(120,121)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선로를 통전시키거나 차단시킨다.
가동접촉자(140)의 양단부에는 고정접촉자(120,121)의 고정접점(122,123)에 접촉될 수 있는 가동접점(141)이 각각 구비된다. 가동접점(141)은 크롬-동(Cr-Cu) 합금 등 전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가동접촉자(140)의 측면에는 스프링(160)의 일단을 걸 수 있는 고정돌기(142)가 돌출 형성된다. 스프링(160)의 일단이 고정돌기(142)에 고정되어, 가동접촉자(140)는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14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 바디(13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가동접촉자(140)는 일반적인 소전류나 대전류 차단 상황에서는 샤프트 바디(131)와 함께 회전하지만, 한류 차단시에는 급격한 전자반발력에 의해 가동접촉자(140)가 독자적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가동접촉자(140)는 개구부(133)의 샤프트 핀(165)에 접하여 회전이 멈추게 된다. 가동접촉자(140)의 배면에는 샤프트 핀(165)에 접할 수 있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가동접촉자(140)가 회전하는 것은 3가지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첫번째 경우는 사용자가 핸들(127)을 조작하여 핸들(127)과 접속되어 있는 개폐 기구(125)가 샤프트 어셈블리(130)를 회동시켜 가동접촉자(140)가 샤프트 바디(131)와 함께 회전하는 경우이다. 즉, 가동접촉자(140)는 스프링(160)의 힘에 의해 구속되어 샤프트 바디(131)와 함께 움직인다. 다시 말하면, 이 경우 샤프트 어셈블리(130)는 가동접촉자(140)와 샤프트 바디(131)가 일체로 움직인다.
두번째 경우는 트립부(110)의 사고전류 검출에 따른 동작에 의해 개폐 기구(125)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샤프트 어셈블리(130)가 회전하면서 가동접촉자(140)도 회전하는 경우이다. 이때에도 가동접촉자(140)는 스프링(160)의 힘에 의해 구속되어 샤프트 바디(131)와 함께 움직인다.
세번째 경우는 단락전류와 같은 큰 사고전류의 발생시 전자반발력에 의해 가동접촉자(140)가 고정접촉자(120,121)로부터 분리되어 회전하는 경우이다(소위 한류차단). 이때 가동접촉자(140)는 샤프트 바디(131)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동접촉자(140)는 샤프트 바디(131)의 개구부(133) 내에서 움직인다. 가동접촉자(140)가 강한 전자반발력에 의하여 스프링(160)의 탄성력을 이기고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가동접촉자(140)는 고정접촉자(120,121)로부터 분리된다. 가동접촉자(140)는 고정접촉자(120,121)로부터 분리되어 가동접촉자(140)가 샤프트 핀(165)에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이 경우(한류 차단의 경우)에는 샤프트 어셈블리(130)는 샤프트 바디(131)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가동접촉자(140)만 독자적으로 움직인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의 베이스 어셈블리와 기구부 및 압트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적용되는 압트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압트립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전자반발력에 의한 접점 분리시 차단부를 기구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압트립장치(150)가 마련된다. 압트립장치(150)는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사이의 전자반발력에 의해 접점이 분리될 때 발생하는 아크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장치이다.
압트립장치(150)는 베이스 어셈블리(102)의 일측에 결합되고, 아크 유입홀(153)이 형성되는 케이스(151), 상기 케이스(151)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트립 슈터(160), 상기 케이스(1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아크 유입홀(153)을 개폐하는 회전판(170), 그리고 상기 케이스(151)에 결합되는 커버(180)를 포함한다.
케이스(151)는 대략적으로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케이스(151)는 합성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51)에는 트립 슈터(160)가 삽입되어 동작할 수 있는 수용부(152)가 마련된다. 수용부(152)는 홈으로 형성된다. 수용부(152)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수용부(152)에는 아크 유입홀(153)이 형성된다. 베이스 어셈블리(102)의 소호부에 형성되는 아크 배출홀(103)에 연통된다. 아크 유입홀(153)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52)에는 아크 유입홀(153)의 일측에 회전판 설치홈(155)이 형성된다. 회전판 설치홈(155)에는 회전판(170)의 회전축(171)이 끼워진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설치홈(155)의 아크 유입홀(143)의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축(171)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수용부(152)의 상부에는 제1 스프링 지지부(154)가 형성된다.
케이스(151)의 일측에는 수용부(152)에 연결되는 가이드부(156)가 마련된다. 가이드부(156)는 수용부(152)의 상부에 돌출된다.
가이드부(156)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트립 슈터(16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홀(157)이 형성된다. 이동홀(157)은 수용부(152)에 연통한다.
케이스(151)의 후면부에는 설치용 돌기부(158)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된다. 설치용 돌기부(158)는 베이스 어셈블리(102)의 설치용 홈(106)에 끼워져 결합된다.
트립 슈터(160)가 마련된다. 트립 슈터(160)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트립 슈터(160)는 케이스(151)의 수용부(152)에 삽입 설치된다.
트립 슈터(160)는 수용부(15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압력부(161)와 가이드부(156)의 이동홀(157)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연장부(162)와 가이드부(156)의 외부에 노출되는 걸림부(163)로 구성된다.
압력부(161)는 아크 유입홀(153)과 회전판(170)의 위에 배치된다. 압력부(161)는 회전판(170)의 힘을 받아 상승하고, 회전판(170)의 가압력이 사라지는 경우 복귀 스프링(168)의 힘을 받아 하강한다.
압력부(161) 상면에는 제2 스프링 지지부(164)가 마련된다.
연장부(162)는 수용부(152)와 이동홀(157)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한다.
걸림부(163)는 가이드부(156)의 상부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걸림부(163)는 가이드부(156)에 의해 하방 이동 한계가 정해진다.
회전판(170)이 마련된다. 회전판(170)은 아크 유입홀(153)을 개폐한다.
회전판(170)은 회전판 설치홈(155)에 끼워지는 회전축(171)과 상기 회전축(171)에 서로 소정 각도로 배치되는 제1판(172)과 제2판(173)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판(172)과 제2판(173)은 회전축(171)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판(172)은 아크 유입홀(153)에 배치되어 정상 상태에서는 아크 유입홀(153)을 폐쇄하고, 사고 시에는 아크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아크 가스가 유입되도록 한다.
제2판(173)은 압력부(161)의 하면에 배치된다. 정상 상태에서, 제2판(173)은 압력부(161)의 하부에 놓여 있고, 사고 시에 제1판(172)이 아크 가스의 압력에 밀려 회전하면 제2판(173)은 상방으로 회전하여 압력부(161)를 밀어내어 트립 슈터(16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복귀 스프링(168)이 마련된다. 복귀 스프링(168)은 제1 스프링 지지부(154)와 제2 스프링 지지부(164) 사이에 구비된다.
커버(180)가 마련된다.
커버(180)에는 제2 아크 유입홀(182)이 형성된다. 아크 유입홀(153)로 유입된 아크는 제2 아크 유입홀(18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커버(180)의 후면에는 설치돌기(183)가 복수 개 형성된다.
커버(180)의 후면에는 회전축(171)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85)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돌기(185)는 회전판 설치홈(155)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트립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적용되는 압트립 장치의 작용도로서, 도 11과 도 12는 정상적인 전류 통전시의 상태이고, 도 13과 도 14는 사고전류에 의한 트립 작용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내부 구조를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케이스 또는 커버의 일부는 절개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도 11과 도 12는 정상적인 전류 통전 상태를 나타낸다. 트립 슈터(160)는 복귀 스프링(168)의 힘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온 상태에 있다. 트립 슈터(160)이 압력부(161)는 회전판(170)의 제2판(173)에 접한 상태에 있다. 여기서, 회전판(170)의 제1판(172)은 아크 유입홀(153)을 폐쇄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도 13과 도 14는 사고 전류에 의한 트립 상태를 나타낸다. 베이스 어셈블리(102)의 접점부가 분리되어 아크가 발생하면 아크 압력은 아크 배출홀(104)을 통해 빠져나오고 회전판(170)을 회전시킨다. 제1판(172)을 밀어내면 제2판(173)은 상방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판(173)이 압력부(161)를 밀어올린다. 트립 슈터(160)가 상승하여 네일(118)을 회동시켜 개폐 기구(125)를 트립시킨다.
이때, 제1판(172)은 트립 슈터(160)가 있는 작동실(아크 유입홀의 상부)을 폐쇄하여 아크 비산물이나 이물질이 압트립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에 의하면, 회전판에 의해 압트립 장치의 내부가 아크 가스 유입 후 폐쇄되므로 아크 비산물이나 이물질이 압 트립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트립 작동 실패를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상태를 예시하고 있는 것들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들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배선용 차단기
102 베이스 어셈블리
103 아크 배출홀
106 설치용 홈
118 네일
120,121 고정접촉자
125 개폐기구
127 핸들
130 샤프트 어셈블리
140 가동접촉자
150 압트립장치
151 케이스
152 수용부
153 아크 유입홀
156 가이드부
160 트립 슈터
161 압력부
162 연장부
163 걸림부
170 회전판
171 회전축
172 제1판
173 제2판
180 커버

Claims (11)

  1. 베이스 어셈블리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의 아크 배출홀에 연통하는 아크 유입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트립 슈터;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립 슈터를 밀어올리고 상기 아크 유입홀을 개폐하는 회전판;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압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트립 슈터가 삽입되어 동작하고 상기 아크 배출홀이 형성되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압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아크 유입홀의 일측에 상기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 설치홈이 형성되는 압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설치홈에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압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는 가이드부가 돌출되는 압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트립 슈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홀이 형성되는 압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에는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의 설치용 홈에 끼워지는 설치용 돌기부가 형성되는 압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 슈터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압력부와,
    상기 이동홀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연장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압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트립 슈터를 하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이 구비되는 압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수용부의 상면과 압력부의 상면에는 상기 복귀 스프링이 지지되는 스프링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압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소정 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아크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1판과 상기 압력부를 밀어내는 제2판을 포함하는 압트립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2020220002032U 2022-08-19 2022-08-19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202400003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032U KR20240000375U (ko) 2022-08-19 2022-08-19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032U KR20240000375U (ko) 2022-08-19 2022-08-19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75U true KR20240000375U (ko) 2024-02-27

Family

ID=9004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032U KR20240000375U (ko) 2022-08-19 2022-08-19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37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9295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electro-mechanical undervoltage release mechanism
US6248970B1 (en) ARC chute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4105719B2 (ja) 配線用遮断器のプレッシャートリップ装置
KR101026306B1 (ko) 순시 트립 기구를 가진 배선용차단기
EP3373319B1 (en) Circuit breaker with instant trip mechanism
EP0516445A2 (en) Circuit breaker with interlock for welded contacts
EP0105381B1 (en) Circuit breaker
US3796980A (en) Disposable circuit breaker
US4559510A (en) Equipment protecting electrical circuit breaker
US6222143B1 (en) Positive off toggle mechanism
EP3598468B1 (en) Arc extinguishing unit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4635011A (en) Circuit breaker with arm latch for high interrupting capacity
US3422381A (en) Multi-pole circuit breaker with common trip bar
KR102026642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2521937B1 (ko) 차단기의 트립 기구
US3283102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venting means
JPH0828178B2 (ja) 回路遮断器
US6727788B1 (en) Latch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KR20240000375U (ko) 압트립 장치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102423488B1 (ko) 소형 차단기용 순시 트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 차단기
US4295025A (en) Circuit breaker with electromechanical trip means
KR10252235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KR10055749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스압 트립장치
US4083027A (en) Pushbutton electric switch
KR102453179B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