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586Y1 -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586Y1
KR200454586Y1 KR2020090002811U KR20090002811U KR200454586Y1 KR 200454586 Y1 KR200454586 Y1 KR 200454586Y1 KR 2020090002811 U KR2020090002811 U KR 2020090002811U KR 20090002811 U KR20090002811 U KR 20090002811U KR 200454586 Y1 KR200454586 Y1 KR 200454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leakage
current transformer
terminal
pole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233U (ko
Inventor
박경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2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58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5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 H01H83/2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the other condition being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 H01H83/226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the other condition being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with differential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전차단기용 영상 변류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부품수를 감축하고 누전차단기 외형을 축소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용 영상 변류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라서 중앙에 형성된 통관부를 갖는 영상 변류기; 및 상기 영상변류기의 통관부를 관통하도록 극별로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누전차단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누전차단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영상변류기의 통관부를 관통하는 몸체부를 갖는 전기적 도체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용 영상 변류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누전차단기, 영상 변류기, 단자

Description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ELECTRIC LEAKAGE TRIP MECHANISM ASSEMBLY FOR 4 POLES CURRENT LEAKAGE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4극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4극 누전차단기용의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누전차단기는 일반적 배선용차단기의 기능과 구성에 부가하여 전기 회로상 누설전류, 지락 또는 감전 사고 발생시 이러한 이상 전류 발생을 검출하여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부하 측의 전기적 설비와 인명을 상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저전압 전력 기기이다. 4극 누전차단기는, R, S, T 또는 U, V, W등으로 불리는 교류 3상{3극(3 poles)으로도 부름)}외에, 중성상(Neutral Phase) 또는 접지상 또는 N상으로 불리는 상(극)의 회로 개폐와 이상전류 발생시 회로 차단의 기능을 가진 누전차단기이다.
누전차단기는, 정상상태시 3상 전류의 합은 영(zero)이나 누전, 지락 발생시 3상 전류의 합이 영이 아닌점에 착안하여, 3상 회로 단자의 주위에 철심과 코일을 갖는 영상 변류기를 설치하여 코일에 유도되는 영상 변류기 출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누전으로 판단하는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누전발생을 검출한다.
이러한 4극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상별 트립기구와 접속되며 막대형상을 갖는 4개의 내부 단자와, 상기 내부 단자와 분리되고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 측과 접속되며 4극 누전차단기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판형상을 갖는 4개의 외부 단자와, 영상 변류기와, 영상 변류기를 수용하고 영상 변류기의 신호선을 수용하고 안내하며 상기 내부 단자와 외부 단자를 접속부를 안내하고 지지하는 절연주조물과, 상기 외부 단자를 상별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십자형의 절연격벽부재, 상기 외부 단자와 내부 단자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4개의 접속나사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내외부 단자, 절연주조물, 절연격벽부재, 접속나사등으로 부품의 갯수가 많고 내외부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나사가 삽입될 나사공이 마련되어야 하는 등 생산성 및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접속나사에 의해 절연주조물내에서 외부 단자와 내부 단자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이므로, 상당 폭의 절연주조물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4극 누전차단기의 전체 크기가 커지며, 4극 배선용차단기에 비해 크기가 커지므로 배전반에 취부된 4극 배선용차단기를 4극 누전차단기로 대체할 때 분전반내에 설치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별도의 분전반을 제작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4극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4극용으로 전용으로 절연주조물과, 내외부 단자 및 절연격벽부재, 접속나사등을 제 작해야하고 3극 누전차단기와 부품 공용이 불가능하여, 금형비용의 상승과 부품수의 증가에 따른 부품관리의 효율성 저하 등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부품수를 축소하고 누전차단기의 외형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누전차단기의 외형 크기를 동일 극(상)수의 배선용 차단기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어 서로 호환하여 같은 분전반내에 설치될 수 있는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3극용 누전차단기와 4극용 누전차단기에 대해서 부품 공용화가 가능한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들은, 트립기구를 갖는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에 있어서,
중앙에 형성된 통관부를 갖는 영상 변류기; 및
상기 영상변류기의 통관부를 관통하도록 극별로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누전차단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누전차단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영상변류기의 통관부를 관통하는 몸체부를 갖는 전기적 도체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영상변류기의 중앙 통관부를 상별로 일체형으로 구성된 단자들이 관통하게 구성되므로, 내측 단자와 외측 단자를 상별로 별도 구성하거나 내측 단자와 외측 단자를 접속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접속주조물, 내측 단자와 외측 단자를 접속시키는 접속나사등의 구성부품이 불필요하여 부품수와 누전차단기의 생산비용이 대폭 감축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내외측 단자들과 이들을 접속하고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불필요하여 누전차단기의 전체 크기를 축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같은 극수의 배선용 차단기와 같은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같은 극수의 배선용 차단기와 호환하여 분전반내에 설치될 수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영상변류기의 중앙 통관부를 상별로 일체형으로 구성된 판형의 3상용 단자들이 관통하게 구성되고, 4극용 누전차단기의 경우 중성상용 판형 단자는 영상변류기에 있어서 중앙 통관부중 3상용 단자들이 관통하는 부분의 하부 여유공간을 관통하게 배치할 수 있어, 3극용 누전차단기와 4극용 누전차단기에 부품이 공용화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를 장착한 누전차단기의 내부를 상부 덮개가 제거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이점쇄선 원내는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만의 구성을 별도로 보여주는 부분확대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4극 누전차단기에서 전원 측 또는 부하 측의 단자부에 설치된다. 도 1에 있어서, 누전차단기는 크게 구분하여 4개의 상별 단극 차단 유닛(부호 미부여)과,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와, 상기 4개의 상별 단극 차단 유닛중 S상(S극)용 단극 차단 유닛 상부에 설치되는 개폐기구(ON이 표기된 수동개폐조작용 핸들 및 그 하부기구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상, S상, T상의 교류 3상 및 중성상(N상)에 각각의 상에 대응하는 상기 상별 단극 차단 유닛은, 전기적 절연재를 주조하여 형성되는 외함부내에 가동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회전구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샤프트(shaft), 고정접촉자 및 아크(arc)의 소호(extinguishing)를 위한 소호기구 및 상별 단극 차단 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 측 또는 부하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단자부가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별 단극 차단 유닛을 동시에 개폐 구동하기 위해서 상기 상별 단극 차단 유닛내 샤프트들을 공통적으로 관통하게 긴 한 쌍의 회전구동 핀(pins)이 마련되며, 이러한 회전구동 핀을 회전구동하기 위해서, 상기 개폐기구가 마련된다. 개폐기구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수동개폐조작용 핸들과, 핸들에 회전 지지점을 제공하는 레버(lever), 자동 차단(트립)을 위한 구동에너지를 제공하는 트립 스프링(trip spring), 트립 스프링을 탄성 에너지 축세상태로 구속하거나 해방하는 래치(latch), 핸들과 상기 샤프트사이에 접속되어 샤프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부 및 하부 링크(links), 상기 샤프트, 래치를 구속 또는 해방하는 래치 홀더(latch holder), 래치 홀더를 구속 또는 해방하는 네일(nail), 네일을 회전 구동가능한 트립 바(trip bar)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는 핸들의 수동조작에 의해 회로를 통전위치로 접속하는 온(on) 위치와 회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오프(off) 위치로 조작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트립기구의 회로상 이상전류 발생 검출에 따라 상기 트립 스프링에 축세된 탄성에너지의 방세를 이용해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트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이점 쇄선 원내 확대도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교류 3상 즉 예컨대 R상, S상, T상의 상별로 마련되는 상별 트립기구(2a, 2b, 2c)와, 상별 단자(3a, 3b, 3c, 3d) 및 영상 변류기(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별 트립기구(2a, 2b, 2c)는, 회로상 이상전류의 검출을 위한 트립 코일(trip coil)과, 트립 코일의 여자(magnetizing)시 트립 코일의 자력에 의해 상기 트립 바를 트립 위치로 가압 회동시킬 수 있게 회동가능한 아마추어(armature), 트립 코일의 소자(demagnetizing)시 아마추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별 트립기구(2a, 2b, 2c)는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에 포함되나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과 직접적 관계가 없어 상세한 도시 및 설명 은 생략하기로 한다. N상은 접지되는 상으로서 이상전류의 검출이 불필요하므로 N상용의 트립기구는 설치되지 않으며, N상용 단자(3d)가 트립기구를 거치지 않고 직접 후단의 N상용 단극 차단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전기적 접속은 N상용 단극 차단 유닛의 일측 하단부에 마련된 도체부에 N상용 단자(3d)가 얹혀지고 나사로 위치고정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에 있어서 영상 변류기 외함중 통관부를 관통하는 4극용 단자들의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중 중성극용 단자의 특징적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중 중성극용 단자가 영상 변류기 외함에 조립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라서 상별 트립기구(2a, 2b, 2c)를 갖는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해당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영상 변류기(5) 및 전기적 도체로 형성된 상별 단자(3a, 3b, 3c, 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영상 변류기(5)는 특징적 구성으로서 상별 단자(3a, 3b, 3c, 3d)가 관통하도록 허용하고 안내하기 위해 중앙에 형성된 통관부(5b)를 갖는다. 통관부(5b)의 내부는 상별 단자(3a, 3b, 3c, 3d)가 관통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통공(5c)이 마련된다. 통관부(5b)의 주변으로 연장하여 외함부(5a)가 마련되며, 영상 변류기(5)의 외함부(5a) 및 통관부(5b)는 전기적 절연재를 주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통관부(5b)와 외함부(5a)의 외측벽사이에는 영상전류의 검출 및 전달을 위한 코어(core) 및 코어의 주변에 감겨지는 코일(coil) 및 코일의 출력단자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성과 작용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고 본 고안과 직접적 관련이 멀어 도시는 생략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상별 단자(3a, 3b, 3c, 3d)는 영상변류기(5)의 통관부(5b)를 관통하도록 극별(다시 말해 상별)로 일체형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별 단자(3a, 3b, 3c, 3d)는 누전차단기(1)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단부(3a-1,3b-1,3c-1,3d-1)와, 누전차단기(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2 단부(3a-3,3b-3,3c-3,3d-3)와, 제 1 단부(3a-1,3b-1,3c-1,3d-1)와 제 2 단부(3a-3,3b-3,3c-3,3d-3)를 연결하며 영상변류기(5)의 통관부(5b)를 관통하는 몸체부(3a-2,3b-2,3c-2,3d-2)를 갖는 전기적 도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별 단자(3a, 3b, 3c, 3d)는 판형의 전기적 도체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별 단자(3a, 3b, 3c, 3d)중 중성극(N극)용 단자(3d)를 제외한 나머지 3상용 단자들(3a, 3b, 3c)은, 바람직하게 종 단면상 2개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1개가 2개의 수직방향 배치 단자들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이때, 중성극(N극)용 단자(3d)는, 바람직하게 나머지 교류 3극용의 단자(3a, 3b, 3c)가 관통하는 영상변류기(5)의 통관부(5b)중 하부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또한, 중성극(N극)용 단자(3d)는,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절곡부의 폭(A)이 양 단부의 폭(B)보다 큰 U자형의 전기적 도체로 구성된다. 양 단부의 폭(B)은 영상변류기(5)의 도 5상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두께와 비슷한 크기이며, 절곡부의 폭(A)이 양 단부의 폭(B)보다 크므로 절곡부의 폭(A)은 영상변류기(5)의 두께보다 커서, 중성극(N극)용 단자(3d)를 영상변류기(5)의 통관부(5b)를 관통하게 조립하는 과정과 이후 여타 극용 단자(3a, 3b, 3c)를 조립할 때 중성극(N극)용 단자(3d)가 방해되지 않도록 회전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별 단자(3a, 3b, 3c, 3d)의 제 1 단부(3a-1,3b-1,3c-1,3d-1)와 제 2 단부(3a-3,3b-3,3c-3,3d-3)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영상변류기(5)중 통관부(5b)를 통과할 수 있도록 통관부(5b)의 직경보다 크기가 작다. 여기서, 크기는 제 1 단부(3a-1,3b-1,3c-1,3d-1)와 제 2 단부(3a-3,3b-3,3c-3,3d-3)중 3면의 모서리들중 어느 한 모서리의 길이 또는 가장 길이가 긴 모서리의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특히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의 조립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중성극(N극)용 단자(3d)의 제 2 단부(3d-3)를 전방으로 자세하여 영상변류기(5)중 통관부(5b)를 통과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성극(N극)용 단자(3d)의 몸체부(3d-2)가 영상변류기(5)에 있어서 통관부(5b)의 통공(5c)중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만든다.
다음, 상별 단자(3a, 3b, 3c, 3d)를 하나씩 차례로 그들의 제 2 단부(3a-3,3b-3,3c-3)를 전방으로 자세하여 영상변류기(5)에 있어서 통관부(5b)의 통공(5c)중 중성극(N극)용 단자(3d)의 몸체부(3d-2)가 위치하는 부위 상부로 통과시킨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중성극(N극)용 단자(3d)를 제외한 3상용 단자들(3a, 3b, 3c)을, 바람직하게 종 단면상 2개 즉 상별 단자(3a, 3c)를 수직방향으로 배치하고 나머지 1개 즉, 단자(3b)를 2개의 수직방향 배치 단자들(3a, 3c)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한다. 이때 중성극(N극)용 단자(3d)는 3상용 단자들(3a, 3b, 3c)을 조립할 때 방해되지 않도록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마지막으로 상별 단자(3a, 3b, 3c)의 제 2 단부(3a-3,3b-3,3c-3)를 접속나사(미도시)를 사용하여 상별 트립기구(2a, 2b, 2c)에 각각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이때 중성극(N극)용 단자(3d)의 제 2 단부(3d-3)는 미도시한 중성극(N극)용 단극 차단 유닛의 접속도체부와 고정나사에 의해 직접 접속한다. 이로서 본 고안에 따른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의 조립동작이 완료된다.
이와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의 누전검출시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누전 또는 지락이 발생했을 때 또는 이러한 누전 또는 지락으로 인한 감전 사고가 발생했을 때, 3상용 단자(3a, 3b, 3c)의 전류의 합이 0이되지 않고 따라서 영상 변류기(5)내의 미도시의 영상 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하며, 이러한 유도전류를 신호선 및 출력단자에 접속된 상별 트립기구(2a, 2b, 2c)중 적어도 하나의 트립 코일에 전달하여 해당 트립기구의 아마추어를 회동시켜 부호 미부여한 개폐기구의 트립 바를 가압 회동시킴으로써 개폐기구를 트립위치로 구동함으로써 부호 미부여의 상별 단극 차단 유닛내 미도시의 샤프트를 회동시켜 해당 단극 차단 유닛내 가동접촉자를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시켜 회로를 차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영상변류기(5)의 중앙 통관부(5b)를 상별로 일체형으로 구성된 단자들(3a, 3b, 3c, 3d)이 관통하게 구성되므로, 내측 단자와 외측 단자를 상별로 별도 구성하거나 내측 단자와 외측 단자를 접속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접속주조물, 내측 단자와 외측 단자를 접속시키는 접속나사등의 구성부품이 불필요하여 부품수와 누전차단기의 생산비용이 대폭 감축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내외측 단자들과 이들을 접속하고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불필요하여 누전차단기(1)의 전체 크기를 축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같은 극수의 배선용 차단기와 같은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같은 극수의 배선용 차단기와 호환하여 분전반내에 설치될 수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는, 영상변류기(5)의 중앙 통관부(5b)를 상별로 일체형으로 구성된 판형의 3상용 단자들(3a, 3b, 3c)이 관통하게 구성되고, 4극용 누전차단기의 경우 중성상용 판형 단자(3d)는 영상변류기(5)중 중앙 통관부(5b)중 3상용 단자들(3a, 3b, 3c)이 관통하는 부분의 하부 여유공간을 관통하게 배치할 수 있어, 3극용 누전차단기와 4극용 누전차단기에 부품이 공용화될 수 있고, 따라서 부품수를 감축할 수 있으며 부품수 절감에 따른 부품재고 관리의 효율성 향상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를 장착한 누전차단기의 내부를 상부 덮개가 제거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이점쇄선 원내는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만의 구성을 별도로 보여주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에 있어서 영상 변류기 외함중 통관부를 관통하는 4극용 단자들의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중 중성극용 단자의 특징적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중 중성극용 단자가 영상 변류기 외함에 조립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누전차단기 2a,2b,2c: 상별 트립기구
3a,3b,3c,3d: 상별 단자 3a-1,3b-1,3c-1,3d-1: 제 1 단부
3a-2,3b-2,3c-2,3d-2: 몸체부 3a-3,3b-3,3c-3,3d-3: 제 2 단부
5: 영상변류기 5a: 외함부
5b: 통관부 5c: 통공

Claims (5)

  1. 트립기구를 갖는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에 있어서,
    중앙에 형성된 통관부를 갖는 영상 변류기; 및
    상기 영상변류기의 통관부를 관통하도록 극별로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누전차단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누전차단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 2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와 상기 제 2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영상변류기의 통관부를 관통하는 몸체부를 갖는 전기적 도체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영상변류기중 통관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통관부의 직경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중 중성극(N극)용 단자는,
    절곡부의 폭이 양 단부의 폭보다 큰 U자형의 전기적 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중 중성극(N극)용 단자는,
    판형의 전기적 도체로 구성되어, 중성극용 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교류 3극용의 단자가 관통하는 상기 영상변류기의 통관부중 하부를 관통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중 중성극(N극)용 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3상용 단자들은,
    판형의 전기적 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영상변류기의 통관부를 관통하는 부분에 대한 종 단면상 2개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1개가 2개의 수직방향 배치 단자들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5. 삭제
KR2020090002811U 2009-03-11 2009-03-11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KR200454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11U KR200454586Y1 (ko) 2009-03-11 2009-03-11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11U KR200454586Y1 (ko) 2009-03-11 2009-03-11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33U KR20100009233U (ko) 2010-09-24
KR200454586Y1 true KR200454586Y1 (ko) 2011-07-12

Family

ID=4929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811U KR200454586Y1 (ko) 2009-03-11 2009-03-11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5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1275A (zh) * 2018-04-27 2018-09-07 天津市百利电气有限公司 智能型塑壳式断路器的电子控制模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396B1 (ko) 2004-05-18 2006-02-03 유인기 일체형 누전 차단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3674B1 (ko) 2005-09-01 2007-05-02 주식회사 티지오 서지보호기 일체형 차단기
KR100885600B1 (ko) 2006-05-23 2009-02-24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396B1 (ko) 2004-05-18 2006-02-03 유인기 일체형 누전 차단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3674B1 (ko) 2005-09-01 2007-05-02 주식회사 티지오 서지보호기 일체형 차단기
KR100885600B1 (ko) 2006-05-23 2009-02-24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누전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33U (ko) 201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4306B2 (en)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current limiting typ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EP2315228B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an instantaneous trip mechanism
JP6454036B2 (ja) 直流配線用遮断器
JP6468504B2 (ja) 直流配線用遮断器
EP2296160B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TW200823948A (en) Vacuum insulated switch gear
KR101823516B1 (ko) 직류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US20090205941A1 (en) Multi-Pole Armature Interlock For Circuit Breakers
KR101052645B1 (ko) 아크 차폐장치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KR100937296B1 (ko) 누전 차단기
KR200454586Y1 (ko) 누전차단기용 누전 트립기구 어셈블리
EP3291272B1 (en) Multi-pol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insulation barrier for rotary pin
KR101168257B1 (ko) 전자석 엑츄레이터를 탑재한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KR100919208B1 (ko) 배선용 차단기
WO2023100303A1 (ja) 回路遮断器
KR101045108B1 (ko) 차단필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와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를 구비하는 분전반
KR101994444B1 (ko) 직류 배선용 차단기
KR10252700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어셈블리
KR200496737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KR200479444Y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890685B1 (ko) 직류 배선용 차단기
KR101098930B1 (ko)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JP2002056763A (ja) 回路遮断器
JP2000350318A (ja) ガス絶縁接地開閉器
KR200224232Y1 (ko) 배선용차단기개폐기구의하부링크핀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128

Effective date: 201305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