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337B1 -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337B1
KR102260337B1 KR1020190177545A KR20190177545A KR102260337B1 KR 102260337 B1 KR102260337 B1 KR 102260337B1 KR 1020190177545 A KR1020190177545 A KR 1020190177545A KR 20190177545 A KR20190177545 A KR 20190177545A KR 102260337 B1 KR102260337 B1 KR 102260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inspection
rolling
co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김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국 filed Critical 김병국
Priority to KR102019017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검사정밀성 및 검사호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규소강판 재질의 링형 판재가 다단 적층되어 구비되되, 내주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복수의 코어치가 돌설되며, 각 상기 코어치에 코일이 권선되어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고정자를 검사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의 반경방향 내측에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1구름회전축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고정자의 내주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제1롤링부와, 상기 고정자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제1구름회전축과 상호 이격되어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2구름회전축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고정자의 외주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제2롤링부를 포함하는 비자성체 재질의 가이드롤링부;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 외측에 상기 고정자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구름회전축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의 단부와 연결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링크연결부; 및 상기 링크연결부의 일단부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검사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계에 대응되는 회전토크가 발생되는 검사회전부를 포함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large type stator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정밀성 및 검사호환성이 개선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는 코일이 권선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고정자(stator)와, 상기 자기장에 의해 회전되도록 영구자석이 설치된 회전자(rotor)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코일은 3상으로 구비되어 고정자의 내주측 권선돌기를 따라 분할 권선되며, 분할 권선된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의 위상 변화에 따라 회전자계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계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에 가해지는 인력과 척력을 통해 상기 회전자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이너로터형 전동기의 고정자는 다수의 얇은 판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자의 반경 내측으로 상기 영구자석이 구비된 상기 회전자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자에는 상기 회전자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코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과 회전자계를 형성하도록 상기 공간에 상기 코일이 권선되어 구성된다.
한편, 대형 전동기에 구비되는 고정자에 코일을 권선하는 과정에서 자체 크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권선 방향, 오결선 등의 불량영역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 중에 있으나, 연구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여기서, 종래에는 대형 전동기의 고정자를 회전자에 조립한 후 회전자의 구동 시험을 통해 고정자의 불량 유무를 간접적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대형 전동기에 구비되는 고정자를 회전자에 조립한 이후 고정자의 불량 발생이 판명되면 고정자를 회전자로부터 재분리하여 불량 영역을 수리하여야 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수리 과정에서 추가 소손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더욱이, 회전자의 구동 시험만으로 고정자상에 권선 방향, 오결선 등에 의해 발생된 불량영역의 정확한 위치를 판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1106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사정밀성 및 검사호환성이 개선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규소강판 재질의 링형 판재가 다단 적층되어 구비되되, 내주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복수의 코어치가 돌설되며, 각 상기 코어치에 코일이 권선되어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고정자를 검사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의 반경방향 내측에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1구름회전축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고정자의 내주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제1롤링부와, 상기 고정자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제1구름회전축과 상호 이격되어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2구름회전축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고정자의 외주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제2롤링부를 포함하는 비자성체 재질의 가이드롤링부;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 외측에 상기 고정자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구름회전축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의 단부와 연결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링크연결부; 및 상기 링크연결부의 일단부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검사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계에 대응되는 회전토크가 발생되는 검사회전부를 포함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검사회전부는 상기 고정자의 직경 미만으로 형성되어 외주가 상기 고정자의 내주 일측에 대향 배치되되, 상기 코일에 전류 인가시 상기 코일의 부분적인 권선밀도 및 권선방향에 대응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자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단부가 상기 링크연결부의 일단부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링크연결부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되 타단부가 상기 검사회전축에 링크 연결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호환링크부와, 상기 검사회전부의 외주가 상기 고정자의 내주 일측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호환링크부와 상기 링크연결부 간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및 고정하는 비자성체 재질의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연결부에는 상기 제1구름회전축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 간의 간격이 상기 고정자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링크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간격조절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름회전축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과 상기 링크연결부 간의 고정을 매개하는 비자성체 재질의 클램핑수단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코일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 제어하며 상기 가이드롤링부를 구동 제어하는 검사제어부와, 상기 검사제어부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검사회전부의 자전속도 및 자전방향을 검출하는 속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사제어부는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가이드롤링부가 상기 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속도측정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검사회전부의 자전속도가 기설정치 미만인 경우 오류검출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고정자를 회전자에 조립후 회전자의 구동시험을 통해 고정자의 불량 유무를 간접 판단하던 종래와 달리,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회전자계가 형성된 대형 고정자의 권선밀도 및 권선방향에 대응하는 속도 및 방향으로 자전되는 검사회전부를 통해 고정자를 직접 검사하므로 검사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검사회전부가 고정자의 내주 일측에 인접하게 이격되며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자에 가압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가이드롤링부를 통해 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코일의 부분적인 권선밀도 및 권선방향에 대응되어 자전속도 및 방향이 변화되므로 검사정밀도 및 검사속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검사회전부의 검사회전축에 링크 연결되는 호환링크부가 링크연결부에 링크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검사회전부의 외주가 고정자의 내주 일측에 인접하게 대향 배치되므로 하나의 장치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대형 고정자에 호환 검사 가능하여 검사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링크연결부에는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관통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간격조절장공이 형성되어 제1구름회전축 및 제2구름회전축 간의 간격이 고정자의 반경방향을 따라 조절된 후 클램핑수단을 통해 체결되므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대형 고정자를 검사할 수 있어 검사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에서 검사회전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에서 검사회전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100)는 가이드롤링부(10), 링크연결부(20), 그리고 검사회전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100)는 대형 고정자(1,이하 '고정자')의 권선밀도 및 권선방향 등을 검사하기 위해 구비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고정자(1)는 규소강판 재질의 링형 판재가 축방향을 따라 다단 적층되어 구비되되, 내주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복수의 코어치(2)가 돌설되며, 각 상기 코어치(2)에 코일(3)이 권선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100)는 상기 코일(3)에 교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고정자(1)에 회전자계가 형성된 상태에서 검사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고정자(1)의 내주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설된 코어치(2)가 원주방향으로 복수 배열될 수 있고, 각 코어치(2)를 따라 3상으로 구비된 상기 코일(3)이 분할 권선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3)은 피복 등으로 절연 처리되어 각 코어치(2)를 따라 나선형으로 권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코일(3)에 전원이 인가되면 나선형으로 권선된 상기 코일(3) 내의 나선형 전류 흐름에 대응하여 상기 코어치(2)를 따라 반경방향의 구동자계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전원이 인가된 상기 코일(3)에 대응되는 상기 각 코어치(2)에 따라 상이한 방향의 구동자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코어치(2)에 분할 권선된 상기 코일(3)에 순차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고정자(1)에 형성되는 구동자계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자계는 순차적인 전원 공급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자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롤링부(10)는 제1롤링부(11)와 제2롤링부(1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롤링부(10)는 상기 고정자(1)의 코일(3)에 교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자계로부터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플라스틱, 고무 등의 비자성체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롤링부(11)는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자(1)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1구름회전축(11a)에 회전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롤링부(11)의 외주는 상기 고정자(1)의 내주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고정자(1)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롤링부(12)는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과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고정자(1)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2구름회전축(12a)에 회전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롤링부(12)의 외주는 상기 고정자(1)의 외주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고정자(1)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롤링부(11)가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내주에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제2롤링부(12)가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외주에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롤링부(11)와 상기 제2롤링부(12)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자(1)에 가압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롤링부(11) 및 상기 제2롤링부(12)가 상기 고정자(1)의 원주방향을 따라 동시에 360° 구름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롤링부(11) 및 상기 제2롤링부(12)는 각각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제2구름회전축(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높이가 상기 고정자(1)의 축방향 길이 이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은 각 단부가 상기 고정자(1)의 축방향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링크연결부(2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은 비자성체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링부(10)는 상기 고정자(1)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롤링동력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가이드롤링부(10)가 인력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롤링부(10)는 상기 고정자(1)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자(1)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롤링부(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자(1)가 별도의 장치를 통해 반경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연결부(20)는 상기 고정자(1)의 축방향 외측에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의 각 단부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연결부(20)는 상기 고정자(1)로부터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링크연결부(20)는 상기 고정자(1)의 직경 미만의 길이로 연장된 평판형 바(bar)로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연결부(20)는 비자성체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링크연결부(20)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외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크연결부(20)에는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 간의 간격이 상기 링크연결부(20)의 길이방향, 즉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자(1)의 축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링크연결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간격조절장공(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장공(21)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외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의 단부는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내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간격조절장공(21)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의 단부는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 외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간격조절장공(21)의 타측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 간의 간격은 상기 고정자(1)의 외주와 내주 사이의 반경길이에 대응되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의 각 단부 위치가 상기 간격조절장공(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형 고정자 검사장치(100)는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과 상기 링크연결부(20) 간의 고정을 매개하는 복수개의 클램핑수단(22)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수단(22)은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의 각 단부에 각각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링크연결부(20)가 상기 간격조절장공(21)을 통과한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의 각 단부와 상기 클램핑수단(22)의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의 직경은 상기 간격조절장공(21)의 폭을 초과하여 형성되되, 상기 링크연결부(20)에 대향되는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의 각 단부에는 상기 간격조절장공(21)에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간격조절장공(21)의 폭에 대응되는 직경의 연장핀부가 상기 고정자(1)의 축방향으로 일체로 각각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연장핀부는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의 각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연장핀부의 단부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수단(22)이 너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주에 상기 연장핀부의 단부 외주 나사산에 형항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연장핀부에 상기 간격조절장공(21)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수단(22)이 상기 연장핀부에 클램핑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이 상기 링크연결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연결부(20)에는 상기 고정자(1)의 축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링크연결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간격조절장공(21)이 형성되어 상기 제1롤링부(11)의 상기 제1구름회전축(11a) 및 상기 제2롤링부(12)의 상기 제2구름회전축(12a) 간의 간격이 상기 고정자(1)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된 후 상기 클램핑수단(22)을 통해 체결되므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대형 고정자를 검사할 수 있어 검사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대형 고정자 검사장치(100)는 일단부가 상기 링크연결부(20)의 일단부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링크연결부(2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되 타단부가 상기 검사회전부(30)의 검사회전축(31)에 링크 연결되는 호환링크부(23)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형 고정자 검사장치(100)는 상기 검사회전부(30)의 외주가 상기 고정자(1)의 내주 일측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호환링크부(23)와 상기 링크연결부(20) 간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및 고정하는 각도조절수단(24)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각도조절수단(24)은 상기 호환링크부(23)와 상기 링크연결부(20)를 선택적으로 가압 조임하는 너트로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연결부(20)의 일단부, 상기 호환링크부(23)의 일단부 및 상기 각도조절수단(24)은 상기 간격조절장공(21)의 일단부와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연결부(20)의 일단부가 상기 간격조절장공(21)의 일단부보다 상기 고정자(1)의 내측으로 더 연장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환링크부(23)는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평판형 바(bar)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연결부(20), 상기 클램핑수단(22), 상기 호환링크부(23) 및 상기 각도조절수단(24)은 상기 고정자(1)의 코일(3)에 교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자계로부터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플라스틱 등의 비자성체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호환링크부(23)와 상기 링크연결부(20)의 간의 각도는 다양한 크기로 구비되는 대형 고정자의 크기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사회전부(30)의 외주를 상기 고정자(1)의 내주 일측에 인접하되 미세 이격되는 위치로 대향 배치시킨 후 상기 각도조절수단(24)을 통해 상기 호환링크부(23)와 상기 링크연결부(20)의 간의 각도가 설정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사회전부(30)의 검사회전축(31)에 링크 연결되는 상기 호환링크부(23)가 상기 링크연결부(20)에 링크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검사회전부(30)의 외주가 상기 고정자(1)의 내주 일측에 인접하게 대향 배치되므로 하나의 장치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대형 고정자에 호환 검사 가능하여 검사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검사회전부(30)는 상기 링크연결부(20)의 일단부에 상기 호환링크부(23)를 통해 링크 연결되어 상기 고정자(1)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검사회전축(31)을 중심으로 자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계에 대응되는 회전토크가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검사회전축(31)의 단부는 상기 호환링크부(23)의 타단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호환링크부(23)의 타단부에 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에 상기 검사회전축(31)의 단부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사회전축(31)의 단부에 상기 호환링크부(23)의 타단부에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부(31a)가 구비되어 상기 검사회전부(30)가 상기 호환링크부(23)의 타단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사회전부(30)는 상기 코일(3)에 교류 전류 인가시 상기 회전자계에 대응되는 회전토크가 발생되도록 자성체 재질로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검사회전부(30)는 중공형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의 캔으로서 구비되어 상기 검사회전축(3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사회전부(30)는 상기 고정자(1)의 직경 미만으로 형성되어 외주가 상기 고정자(1)의 내주 일측에 인접하게 대향 배치되되 상호 미세한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자(1)의 내주 일측과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사회전부(30)는 상기 코일(3)에 교류 전류 인가시 상기 코일(3)의 부분적인 권선밀도 및 권선방향에 대응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자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검사회전부(30)는 상기 코일(3)에 교류 전류 인가시 상기 고정자(1) 내부로의 회전자계에 의해 일방향으로 상기 코일(3) 권선밀도에 대응되는 속도로 자전된다.
그리고, 상기 검사회전부(30)는 자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롤링부(10)가 상기 고정자(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자(1)의 내주 표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상기 코일(3)에 오결선이 발생한 경우 상기 검사회전부(30)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타방향으로 전환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정자(1)에 권선된 상기 코일(3)의 권선밀도 및 권선방향을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고정자 검사장치(100)는 상기 코일(3)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3)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하며 상기 가이드롤링부(10)를 구동 제어하는 검사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형 고정자 검사장치(100)는 상기 검사제어부(40)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검사회전부(30)의 자전속도 및 자전방향을 검출하는 속도측정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속도측정부(41)는 타코메타(tachometer)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검사제어부(40)는 상기 코일(3)에 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가이드롤링부(10)가 상기 고정자(1)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속도측정부(41)를 통해 검출된 상기 검사회전부(30)의 자전속도가 기설정치 미만인 경우 오류검출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전속도가 기설정치 미만인 경우는 상기 검사회전부(30)의 자전이 정지되는 경우와, 상기 검사회전부(30)가 플러스 값으로 설정된 일방향과 반대방향인 타방향 마이너스 값의 속도로 자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처럼, 대형 전동기의 고정자를 회전자에 조립한 후 회전자의 구동시험을 통해 고정자의 불량 유무를 간접 판단하던 종래와 달리, 상기 코일(3)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회전자계가 형성된 대형 고정자(1)의 권선밀도 및 권선방향에 대응하는 속도 및 방향으로 자전되는 상기 검사회전부(30)를 통해 상기 고정자(1)를 직접 검사하므로 검사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검사회전부(30)가 상기 고정자(1)의 내주 일측에 인접하게 이격되며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자(1)에 가압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롤링부(10)를 통해 상기 고정자(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코일(3)의 부분적인 권선밀도 및 권선방향에 대응되어 자전속도 및 방향이 변화되므로 검사정밀도 및 검사속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코일(3)에 오결선이 발생한 경우 상기 검사회전부(30)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타방향으로 전환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정자(1)에 권선된 상기 코일(3)의 권선밀도 및 권선방향을 신속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1: 고정자
2: 코어치 3: 코일
10: 가이드롤링부 11: 제1롤링부
11a: 제1구름회전축 12: 제2롤링부
12a: 제2구름회전축 20: 링크연결부
21: 간격조절장공 22: 클램핑수단
23: 호환링크부 24: 각도조절수단
30: 검사회전부 31: 검사회전축
40: 검사제어부 41: 속도측정부

Claims (5)

  1. 규소강판 재질의 링형 판재가 다단 적층되어 구비되되, 내주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복수의 코어치가 돌설되며, 각 상기 코어치에 코일이 권선되어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고정자를 검사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의 반경방향 내측에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1구름회전축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고정자의 내주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제1롤링부와, 상기 고정자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제1구름회전축과 상호 이격되어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제2구름회전축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고정자의 외주에 가압 접촉되어 상기 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제2롤링부를 포함하는 비자성체 재질의 가이드롤링부;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 외측에 상기 고정자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구름회전축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의 단부와 연결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링크연결부; 및
    상기 링크연결부의 일단부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검사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계에 대응되는 회전토크가 발생되는 검사회전부를 포함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회전부는 상기 고정자의 직경 미만으로 형성되어 외주가 상기 고정자의 내주 일측에 대향 배치되되, 상기 코일에 전류 인가시 상기 코일의 부분적인 권선밀도 및 권선방향에 대응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자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링크연결부의 일단부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링크연결부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되 타단부가 상기 검사회전축에 링크 연결되는 비자성체 재질의 호환링크부와,
    상기 검사회전부의 외주가 상기 고정자의 내주 일측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호환링크부와 상기 링크연결부 간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 및 고정하는 비자성체 재질의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결부에는 상기 제1구름회전축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 간의 간격이 상기 고정자의 반경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자의 축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링크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간격조절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름회전축 및 상기 제2구름회전축과 상기 링크연결부 간의 고정을 매개하는 비자성체 재질의 클램핑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코일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 제어하며 상기 가이드롤링부를 구동 제어하는 검사제어부와,
    상기 검사제어부에 회로 연결되어 상기 검사회전부의 자전속도 및 자전방향을 검출하는 속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사제어부는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가이드롤링부가 상기 고정자의 원주방향을 따라 구름 이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속도측정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검사회전부의 자전속도가 기설정치 미만인 경우 오류검출신호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KR1020190177545A 2019-12-30 2019-12-30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KR102260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45A KR102260337B1 (ko) 2019-12-30 2019-12-30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45A KR102260337B1 (ko) 2019-12-30 2019-12-30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337B1 true KR102260337B1 (ko) 2021-06-02

Family

ID=7637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545A KR102260337B1 (ko) 2019-12-30 2019-12-30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3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745A (ja) * 2003-08-21 2005-03-17 Toyota Motor Corp ステータの絶縁不良箇所特定方法及び絶縁不良箇所特定装置
JP2007166707A (ja) * 2005-12-09 2007-06-28 Aisin Aw Co Ltd ステータ位置の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8109743A (ja) * 2006-10-24 2008-05-08 Toyota Motor Corp コイル間隔測定方法
KR101911068B1 (ko) 2017-11-14 2018-10-23 김병국 초고속 전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745A (ja) * 2003-08-21 2005-03-17 Toyota Motor Corp ステータの絶縁不良箇所特定方法及び絶縁不良箇所特定装置
JP2007166707A (ja) * 2005-12-09 2007-06-28 Aisin Aw Co Ltd ステータ位置の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8109743A (ja) * 2006-10-24 2008-05-08 Toyota Motor Corp コイル間隔測定方法
KR101911068B1 (ko) 2017-11-14 2018-10-23 김병국 초고속 전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64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laminated iron core stacks for interlamination shorts
CN101133337B (zh) 绝缘检查设备
KR101923286B1 (ko) 회전 각도 검출 장치, 회전 전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US9348002B2 (en) DLA rotor flux density scan method and tool
JP2004264291A (ja) モータ用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KR102260337B1 (ko) 대형 고정자 검사 장치
US2004007036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tator coils of an electric motor to magnetize permanent magnets of the motor rotor when the span of each stator coil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each permanent magnet pole
JP6805198B2 (ja) 固定子試験装置および固定子試験方法
JP4539530B2 (ja) モータ絶縁検査装置
EP24317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the number of turns on a coil
JP6803308B2 (ja) 固定子試験装置
JP2009042137A (ja) コギングトルク異常検査方法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製造方法
JP6061641B2 (ja) 永久磁石着磁装置
JP6803307B2 (ja) 固定子試験装置および固定子試験方法
CN105565065B (zh) 一种通过现场绕制线圈进行索体检测的装置
JP5705760B2 (ja) 回転電機のロータ軸芯調整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5214715A (ja) 回転電機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6640471B2 (ja) 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およびインピーダンス測定方法
JP2004037157A (ja) レヤーショート検査装置およびレヤーショート検査方法
CN105866577A (zh) 面向再制造的可重构电机定子绕组检测装置
JP2020089129A (ja) ロ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
JP2001289923A (ja) 小型スピンドルモータの検査装置
JP5857976B2 (ja) 低圧交流電動機の劣化診断装置及び劣化診断方法
JP2011239501A (ja) ロータの検査方法及びロータの検査装置
CN109901010A (zh) 三相绕组接线状况检测工具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