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413B1 -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413B1
KR102257413B1 KR1020200117323A KR20200117323A KR102257413B1 KR 102257413 B1 KR102257413 B1 KR 102257413B1 KR 1020200117323 A KR1020200117323 A KR 1020200117323A KR 20200117323 A KR20200117323 A KR 20200117323A KR 102257413 B1 KR102257413 B1 KR 102257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ice
auger
ice making
ma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수 filed Critical 김윤수
Priority to KR102020011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5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 F25C1/147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by using au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관에 면접합부를 구비하여 제빙통에 대한 냉매관의 열전도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빙통과 냉매관 피치 사이의 틈새 공간이 최소화됨에 따라 제빙성능 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는 본 발명은 제빙통, 상기 제빙통 내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오거, 상기 제빙통의 둘레면에 나선상으로 감겨 설치되며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 및 상기 오거의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되는 오거(auger)식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은 상기 제빙통에 면접합되기 위하여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상 둘레에 면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AUGER-TYPE ICE MAKER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EFFICIENC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매관에 면접합부를 구비하여 제빙통에 대한 냉매관의 열전도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빙통과 냉매관 피치 사이의 틈새 공간이 최소화됨에 따라 제빙성능 및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거(auger)식 제빙기는 대개 큐빅 형태로 되는 얼음 덩어리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빙통, 제빙통 내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오거, 제빙통 외측 둘레에 설치되며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 및 오거의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빙기의 품질은 제빙통에 대한 냉매의 열전도 효율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할 수 있어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빙통은 내식성을 갖는 동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되고 냉각 열전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위하여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거식 제빙기의 냉각 구조의 원리를 보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 일 실시예의 제빙통에 대한 냉매관의 결합 구조를 보이는 발췌도이다.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011호(2003. 04. 11. 공고)(이하 "종래 기술 1" 이라 함)로 개시된 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130)이 제빙통(110)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둘러 감기는 형태로 지그를 이용하여 성형하고 제빙통에 끼워진 후, 용융된 납이 담긴 통에 침지하는, 침지공정을 통하여 제빙통(110)과 냉매관(130) 피치(pitch) 간의 틈새 공간(175)에 용융 납이 흘러들어가 충진 경화됨으로써 냉매관(130)이 제빙통(110)에 고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 1은 냉매관(130)의 냉기를 제빙통(110)에 전달함에 있어서, 냉매관(130)의 단면상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제빙통(110)에 대한 접촉이 선접촉에 불과하여 직접적인 열전도 효율이 극히 미흡하고, 제빙통(110)과 냉매관(130)의 선접촉 피치 간에 대략 삼각형 형태의 틈새 공간(175)이 커다랗게 형성되는데. 이 틈새 공간(175)에 충진되는 납덩어리를 중간매체로 하여 냉기가 간접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열전도 효율이 저하되고, 제빙성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침지공정은 제빙통(110)과 냉매관(130) 선접촉 피치 간에 형성되는 상기 틈새 공간(175)의 충진과 제빙통과 냉매관의 조립체에 대한 코팅이 동시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제빙통(110)과 냉매관(130) 피치 사이의 틈새 공간(175)이 상당히 크게 형성됨으로써 이 틈새 공간(175) 충진에 많은 량의 원자재가 소요되어 제조원가를 현저히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틈새 공간 충진은 예컨대, 아연이나 주석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보다 양호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품의 품질개선을 기할 수 있겠으나, 상기와 같이 틈새 공간(175)이 크기 때문에 원자재 소요량이 과다한 문제로 열전도율은 현저히 떨어지지만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납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제품의 품질개선을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침지공정 중 틈새 공간(175)으로의 납 용융액 유입이 냉매관의 피치 간에 발생되는 좁은 틈새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틈새 공간(175)을 빈틈 없이 채우기에 오랜 시간이 걸려 생산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틈새 공간(175)이 완전하게 채워지지 않는, 불량 발생율이 높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전도를 위한 접촉이 선접촉에 불과함으로써 열전도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빙통(110)의 두께를 가능한 얇게 형성하고 있는데, 이로 인하여 기계적 응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어 제빙통은 오거와의 동심도 맞춤이 어렵고 동심도 공차가 벌어져 오거의 작동에 지장을 주고 제빙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33526호(2004. 08. 22. 공고)(이하 "종래 기술 2"라 함) 기술은 제빙통의 주변에 서로 공간적으로 차단된 링 형태의 복수의 냉각홀을 포함하는 냉각부와 냉매공급장치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 2는 제빙통에 냉매가 직접 접하는 구조로 되어 열전도 효율이 양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복수의 냉각부마다 냉매 분사노즐, 냉매 공급관, 냉매 회수관 등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부품 및 공수가 과다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9212호(2000. 02. 15. 공고)(이하 "종래 기술 3"이라 함) 기술은 열전도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빙통에 직접 냉매홈을 형성하고 냉매홈을 커버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 3은 냉매홈을 덮는 케이싱에 의하여 냉기가 분산됨으로써 오히려 냉각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빙통과 케이싱 사이에서 냉매가 누설될 염려가 있으며, 제빙통에 냉매홈을 직접 형성함으로써 가공 공수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제빙통의 두께가 두꺼워져 자재 낭비 및 중량이 무거워지는 등의 단점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 KR 10-0380111(2003.04.11.) 등록특허 KR 10-1433526(2014.08.22.) 등록실용신안 KR 20-0169212(2000.02.15) 공개특허 KR 10-2010-0077262(2010.07.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빙통에 대한 냉매관의 열전도 효율을 높임으로 제빙성능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빙통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냉매관 피치 간 틈새 공간 발생을 최소화하여 그에 따르는 원자재, 시간을 절감하고 공정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토록 하는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빙통의 동심도가 안정적으로 조성되어 오거 및 제빙기의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함으로써 품질특성을 향상토록 하는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자재 소요량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 아연이나 주석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양호한 소재를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개선에 기여토록 하는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는,
제빙통, 상기 제빙통 내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오거, 상기 제빙통의 둘레면에 나선상으로 감겨 설치되며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 및 상기 오거의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되는 오거(auger)식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은 상기 제빙통에 면접합되기 위하여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상 둘레에 형성되는 면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관은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상 둘레가 상기 면접합부 및 면접합부에 연결되어 냉매의 통로 공간을 형성하는 마감부로 되고,
상기 면접합부는 평탄면 또는 평탄면에 가까운 완만한 곡면 형태로 되고, 제빙통에 장착시 가해지는 기계적 압력에 의하여 제빙통에 면접촉 형태로 변형되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은 상기 제빙통의 둘레에 연속 밀접하는 간격으로 둘러 감길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은,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상 둘레에 평탄면 또는 평탄면에 가까운 완만한 곡면 형태의 면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매관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냉매관을 양단부에서 각각 임의의 길이를 남기고 상기 면접합부가 내향하도록 하여 제빙통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나선형 코일 형태의 열교환부를 성형하는 제2단계,
상기 냉매관을 제빙통에 끼운 후 상기 열교환부의 일단부를 제빙통의 일단부에 용접 고정하는 제3단계,
상기 냉매관의 열교환부에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상기 면접합부를 제빙통 면접합 압착시키는 제4단계,
상기 냉매관의 열교환부가 제빙통에 면접합 압착 지지된 상태에서 열교환부의 타단부를 제빙통의 타단부에 용접 고정하는 제5단계,
상기 냉매관이 면접합 장착된 제빙통을 내부 밀봉 후, 열전도율이 양호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빙통과 냉매관 간의 미세 공극을 충진하는 동시에 제빙통과 냉매관 조립체를 마감 코팅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빙통에 냉각관이 면접합 압착된 몸체 외부에 단열 특성을 갖는 단열커버를 몰딩 성형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6단계에서 코팅은 코팅소재를 이용하여 분체도장, 도금, 침지 및 납땜 공법 중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냉매관이 면접합부를 구비하여 제빙통에 면접합되는 구성으로 제빙통에 대한 냉매관의 열전도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으로 제빙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빙통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냉매관의 피치 간 틈새 공간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할 정도로 최소화되어 번거로운 침지공정을 배제할 수 있으며, 원자재 및 시간이 획기적으로 절감되고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으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전도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제빙통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할 수 있어 오거와의 동심도를 안정적으로 조성할 수 있음으로 오거 및 제빙기의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토록 하고 제빙기의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자재 소요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 종래 기술에서 비용문제로 이용이 어려웠던 아연이나 주석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를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거식 제빙기의 구성을 보이는 개념도
도 2는 종래기술 1의 제빙통 및 냉매관의 결합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냉매관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제빙통에 대한 냉매관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통(10), 상기 제빙통 내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오거(20), 상기 제빙통의 둘레면에 나선상으로 감겨 설치되며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30) 및 상기 오거의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되는 오거(auger)식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30)은 상기 제빙통(10)에 면접합되기 위하여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상 둘레에 형성되는 면접합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매관(30)은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상 둘레가 상기 면접합부(31) 및 면접합부(31)에 연결되어 냉매의 통로 공간을 형성하는 마감부(32)로 되고, 상기 면접합부(31)는 평탄면 또는 평탄면에 가까운 완만한 곡면 형태로 되고, 제빙통에 장착시 가해지는 기계적 압력에 의하여 제빙통에 면접촉 형태로 변형되어 밀착될 수 있다(도 3의 a, b 참조).
상기 냉매관(30)의 단면은 상기 면접합부(31)를 포함하는 반원형 또는 D자 형태,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매관(30)은 단면상으로 반원형 또는 D자 형태로 될 경우, 상기 면접합부(31)와 마감부(32)가 연결되는 모서리부(33)가 가능한 라운드가 배제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냉매관(30)에서 상기 모서리부(33)에 라운드가 크게 될수록, 제빙통(10)에 대한 냉매관의 면접합면이 줄어들고 냉매관의 피치 간 틈새 공간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냉매관(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통(10)의 둘레에 연속 밀접하는 간격으로 둘러 감김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의 미설명 부호 '15'는 물 주입관, '60'은 압축부재, 도 5의 미설명 부호 '30a'는 제빙통에 대한 냉매관의 열교환부, '71'은 코팅부, '81'은 냉매관이 제빙통에 고정되는 용접부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은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래의 제1 내지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단계로,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상 둘레에 평탄면 또는 평탄면에 가까운 완만한 곡면 형태의 면접합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매관(30)을 제조한다.
상기 면접합부(31)를 포함하는 냉매관(30)은 압출 또는 인발 공법을 이용하거나 원형관을 소성변형시켜 제조할수 있다.
제2단계로, 상기 면접합부(31)를 포함하는 냉매관(30)을 양단부에서 각각 임의의 길이를 남기고 상기 면접합부(31)가 내향하도록 하여 제빙통(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나선형 코일 형태의 열교환부(30a)를 지그를 이용하여 성형한다.
제3단계로, 상기와 같이 열교환부(30a)가 성형된 냉매관(30)을 제빙통(10)에 끼운 후 상기 열교환부(30a)의 일단부를 제빙통(10)의 일단부에 용접 고정한다.
제4단계로, 상기 냉매관의 열교환부(30a)에 롤링 등으로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상기 면접합부(31)를 제빙통(10)에 면접합 압착시킨다.
제5단계로, 상기 냉매관의 열교환부(30a)가 제빙통(10)에 면접합 압착 지지된 상태에서 열교환부(30a)의 타단부를 제빙통(10)의 타단부에 용접 고정함으로써 제빙통(10)에 대한 냉매관(30)의 고정이 완료된다.
제6단계로, 상기 냉매관(30)이 면접합 장착된 제빙통(10)을 내부 밀봉 후, 열전도율이 양호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빙통(10)과 냉매관(30) 간의 미세 공극을 충진하는 동시에 제빙통(10)과 냉매관(30) 조립체의 마감 코팅이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 코팅공정은 열전도율이 양호한 소재를 이용하여 분체도장, 도금, 침지, 납땜 공법 중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전도율이 양호한 소재로는 아연, 주석, 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7단계로, 상기 제빙통(10)에 냉각관(30)이 면접합 압착된 몸체 외부에 단열 특성을 갖는 단열커버(40)를 몰딩 성형한다.
상기 단열커버(40)는 예컨대 에폭시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충분한 단열두께를 갖도록 한다(도 4 참조).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냉매관(30)이 면접합부(31)를 구비하여 제빙통(10)에 면접합 장착되어 제빙통(10)에 대한 냉매관(30)의 열(냉기)이 직접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선접촉에 머물던 종래 기술에 비하여 냉매의 열전도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제빙성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빙통(10)에 냉매관(30)이 면접합되는 구성에 의하여 제빙통에 냉매관이 밀착된다 하여도 상호 접합면 사이에 미세한 공극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공극은 상기 제6단계에서 열전도율이 양호한 소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마감 코팅 과정에서 충진되어 제빙통과 냉매관이 일체화됨으로써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 공극 충진 및 코팅에 소요되는 원자재 소요량이 적기 때문에 납에 비하여 열전도율이 현저히 양호한 아연이나 주석을 사용하여 제품의 품질의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빙통(10)에 대하여 냉매관(30)이 면접합되도록 연속 밀접하는 피치로 둘러 감겨짐으로써 제빙통(10)과 냉매관(30)의 면접합 피치 간 틈새 공간(75)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냉매관의 피치 간 틈새 공간(175) 충진에 소요되었던 원자재 및 시간이 현저히 감축되어 제조원가를 줄이는 한편 번거로운 침지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원자재 소요량이 획기적으로 감축됨으로써 아연이나 주석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우수한 소재를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어 품질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다란 틈새 공간 충진 없이 단지 제빙통(10)과 냉매관(30)의 조립체의 미세 공극 충진 및 표면 코팅만 이루어짐으로써 공정이 단시간에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종래 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 전도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됨으로써 종래 기술 대비 제빙통(1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께 할 수 있음으로 기계적 응력에 의한 변형 발생을 최소화하고 오거(20)와의 동심도를 안정적으로 조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거(20)의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빙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매관이 면접합부를 구비하여 제빙통에 면접합되는 구성으로 열전도 효율 및 제빙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며,
제빙통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냉매관의 피치 간 틈새 공간이 거의 발생되지 않음으로 종래 기술에서 많은 량의 원자재 및 시간이 소요되었던 틈새 공간 충진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하며,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양호하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본 발명의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10: 제빙통 20: 오거
30: 냉매관 30a; 열교환부
31: 면접합부 32: 마감부
40: 단열커버 50: 구동수단
60: 압축부재 71: 코팅부
81; 용접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상 둘레에 평탄면 또는 평탄면에 가까운 완만한 곡면 형태의 면접합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매관(30)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냉매관(30)을 양단부에서 각각 임의의 길이를 남기고 상기 면접합부(31)가 내향하도록 하여 제빙통(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나선형 코일 형태의 열교환부(30a)를 성형하는 제2단계;
    상기 냉매관(30)을 제빙통(10)에 끼운 후 상기 열교환부(30a)의 일단부를 제빙통(10)의 일단부에 용접 고정하는 제3단계;
    상기 냉매관의 열교환부(30a)에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상기 면접합부(31)를 제빙통(10)에 면접합 압착시키는 제4단계;
    상기 냉매관의 열교환부(30a)가 제빙통(10)에 면접합 압착 지지된 상태에서 열교환부(30a)의 타단부를 제빙통(10)의 타단부에 용접 고정하는 제5단계;
    상기 냉매관(30)이 면접합 장착된 제빙통(10)을 내부 밀봉 후, 열전도율이 양호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빙통과 냉매관 간의 미세 공극을 충진하는 동시에 제빙통과 냉매관 조립체를 마감 코팅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빙통(10)에 냉각관(30)이 면접합 압착된 몸체 외부에 단열 특성을 갖는 단열커버(40)를 몰딩 성형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코팅은 코팅소재를 이용하여 분체도장, 도금, 침지 및 납땜 공법 중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 상기 냉매관(30)의 면접합부(31)가 제빙통(10)에 면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KR1020200117323A 2020-09-14 2020-09-14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257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323A KR102257413B1 (ko) 2020-09-14 2020-09-14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323A KR102257413B1 (ko) 2020-09-14 2020-09-14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413B1 true KR102257413B1 (ko) 2021-05-31

Family

ID=7614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323A KR102257413B1 (ko) 2020-09-14 2020-09-14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024B1 (ko) 2021-11-18 2022-04-19 김윤수 열전도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
KR20240066201A (ko) 2022-10-28 2024-05-14 김윤수 열전도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610A (ja) * 1997-10-29 1999-05-21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ユニットの接着構造および接着方法
JPH11237148A (ja) * 1998-02-19 1999-08-31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ユニツトの製造方法
KR200169212Y1 (ko) 1998-04-28 2000-02-15 구봉석 제빙기
KR200240657Y1 (ko) * 2001-04-23 2001-10-12 주식회사 신흥 김치냉장고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한 동파이프
KR100380111B1 (ko) 2000-10-27 2003-04-11 히데오 나까조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고착방법
KR20050072580A (ko) * 2004-01-07 2005-07-12 (주)성철사 냉장고의 증발기와 그 제조방법
KR20100077262A (ko) 2008-12-29 2010-07-08 양영호 제빙관과 그 제조방법
KR101433526B1 (ko) 2013-06-05 2014-08-22 정윤호 오거식 제빙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610A (ja) * 1997-10-29 1999-05-21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ユニットの接着構造および接着方法
JPH11237148A (ja) * 1998-02-19 1999-08-31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ユニツトの製造方法
KR200169212Y1 (ko) 1998-04-28 2000-02-15 구봉석 제빙기
KR100380111B1 (ko) 2000-10-27 2003-04-11 히데오 나까조 오거식 제빙기에 대한 냉매파이프의 고착방법
KR200240657Y1 (ko) * 2001-04-23 2001-10-12 주식회사 신흥 김치냉장고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한 동파이프
KR20050072580A (ko) * 2004-01-07 2005-07-12 (주)성철사 냉장고의 증발기와 그 제조방법
KR20100077262A (ko) 2008-12-29 2010-07-08 양영호 제빙관과 그 제조방법
KR101433526B1 (ko) 2013-06-05 2014-08-22 정윤호 오거식 제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024B1 (ko) 2021-11-18 2022-04-19 김윤수 열전도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
KR20240066201A (ko) 2022-10-28 2024-05-14 김윤수 열전도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413B1 (ko)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
US5799726A (en) Refrigerated mixing chamb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2365943B1 (ko) 클래드 강관 제조 방법
KR100963423B1 (ko) 하이드로 포밍을 이용한 워터 파이프 제조 방법
CN1144018C (zh) 制造可检测泄漏的双层壁换热管的方法及该换热管
EP3594602B1 (en) Vibration absorption tub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007872A (ja) 複層伝熱管、複層伝熱管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用いられる成形治具
CA1260551A (en) Thermoplastic method of reducing the diameter of a metal tube
EP1895257A1 (en) Heat exchanger
CN105499304A (zh) 一种复合材料管半固态成形方法
CS268671B2 (en) Method of two structural parts heat sealing
KR102007671B1 (ko) 수냉식 모터 하우징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171259A (zh) 复合管、复合管的制造方法及应用
KR20100038548A (ko) 석션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227338A (zh) 一种空间飞行器热控用铝-不锈钢复合管的制备方法
KR101465241B1 (ko) 냉각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2388024B1 (ko) 열전도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
KR20190090561A (ko)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터 하우징 냉각장치.
KR100907050B1 (ko)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175070B (zh) 一种热控用铝-不锈钢复合管的制备方法
CN108620466A (zh) 一种双层管数控弯曲用模具及其成型方法
CN102921756B (zh) 高温内螺旋管及其制造方法、螺旋线挤出装置
KR20240066201A (ko) 열전도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의 제조방법
KR100384812B1 (ko) 오거(Auger)식 제빙기에 있어 냉매 파이프의 고착방법 및 고착구조
US6530762B2 (en) Vacuum pump cooling system, and a method of mak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