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050B1 -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050B1
KR100907050B1 KR1020070116825A KR20070116825A KR100907050B1 KR 100907050 B1 KR100907050 B1 KR 100907050B1 KR 1020070116825 A KR1020070116825 A KR 1020070116825A KR 20070116825 A KR20070116825 A KR 20070116825A KR 100907050 B1 KR100907050 B1 KR 100907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cooling
hollow tube
spiral
spira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412A (ko
Inventor
김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Priority to KR1020070116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05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met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06Bending into helical or spiral form; Forming a succession of return bends, e.g. serpentin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22Making the 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소정 길이로 중공관을 제작하는 단계와; 중공관을 나선코일 형상을 갖도록 나선구조물로 가공하는 단계와; 나선구조물을 변형시켜 냉각유로가 일체로 구비된 실린더구조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냉각, 유로, 벤딩, 압축, 용접, 실린더구조물, 나선구조물, 냉각장치

Description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A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효율이 향상되고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한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차 등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각종 차량이나 비행기에 사용되는 모터 및 발전기는 가벼우면서도 높은 효율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냉각수 또는 냉각오일을 사용한 액체 냉각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함 점을 감안하여 모터 또는 발전기의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회로는 액체가 작은 저항으로 흐르면서 높은 열교환 능력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모터는 회전자와 고정자에서 발생한 열이 동력장치의 회전자을 둘러싼 하우징의 원통부와 하우징의 양끝 단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모터 내부에서 발생한 열의 대부분은 고정자와 하우징의 원통부와의 접촉면을 통하여 전도된다. 따라서 모터 하우징의 원통부에 냉각용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냉각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냉각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터 하우징의 원통부 내에 나선형으로 냉각회로를 구성하면, 냉각액의 유동저항이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나선형의 냉각회로를 갖는 모터 하우징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모터 하우징을 제조하는 종래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로 직경이 다른 내측실린더와 외측실린더를 만들고, 지름이 작은 내측 실린더의 외면에 냉각액이 흐를 수 있도록 일정 단면형상의 나선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측 및 외측실린더를 서로 내측 외측으로 겹쳐지도록 결합한 후, 서로 겹쳐진 실린더들의 양측 단부의 경계를 용접한다. 이어서 외측 실린더의 외측의 일단부분에 냉각액이 외부에서 흘러들어오고 흘러나갈 수 있도록 짝수의 연결구를 가공하여 설치함으로써,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유로(회로)를 형성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터 하우징을 제조하는 경우, 가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인력이 많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우징에 스크랩이 많이 발생하여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을 제조하는 종래의 다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리 또는 강철로 만든 중공관을 나선 모양으로 형성한 후, 이를 주조용 몰드 내에 넣는다. 그리고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를 녹여 부어 넣어 굳힘으로써 원하는 모터 하우징의 원통부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주조법의 원리상, 중공관이 차지하는 부피를 일정 한도 이상 높이기 어려우므로 모터 하우징의 무게가 무겁고, 주조에 필요한 형(몰드)의 제작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주조와 같은 고온 성형법의 사용에 따른 냄새, 고온, 분진, 고열의 발생을 감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냉각장치을 각각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각장치 제조방법은, 소정 길이로 중공관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중공관을 나선코일 형상을 갖도록 나선구조물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나선구조물을 변형시켜 냉각유로가 일체로 구비된 실린더구조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공관 제작단계에는 상기 중공관을 금속재질을 소정 길이로 압출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관 제작단계에서는, 상기 중공관의 내면 또는 외면에 냉각핀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중공관 제작단계에서는, 상기 중공관의 외측 단면형상이 비원형의 각형구조를 갖도록 압출성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실린더 구조물로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나선구조물을 나선 중심축 방향으로 압착하는 단계와; 상기 압착된 나선구조물이 원래 형태로 복귀되지 못하도록 하는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압착된 상태의 나선구조물을 용접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나선구조물의 서로 접하는 부분에 로킹홈 및 로킹돌기를 대응되게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로킹홈 및 로킹돌기를 상보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실린더 구조물의 외측면을 절삭 가공하여 거칠기를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실린더구조물 가공단계는, 상기 나선구조물을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내측 및 외측 실린더 사이에 개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실린더의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나선구조물을 팽창시켜 실린더구조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실린더구조물 가공단계는, 상기 나선구조물을 내측 및 외측 실린더 사이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달리 상기 실린더 구조물로부터 상기 실린더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팽창시키는 단계는, 고압의 기체 또는 액체를 가하여 상기 나선구조물을 팽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냉각장치은, 발명의 소정 길이로 중공관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중공관을 나선코일 형상을 갖도록 나선구조물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나선구조물을 변형시켜 냉각유로가 일체로 구비된 실린더구조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 제조방법에 의하면, 모터하우징과 같이 중공 실린더형의 냉각장치을 제조하되, 그 내부에 나선형의 냉각유로(냉각회로)를 일체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특히, 그 공정이 단순하고 쉽게 제작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그 냉각유로 내부에 냉각핀을 형성하거나, 그 외부에 냉각핀을 일체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공냉식 또는 냉각유체를 이용한 냉각방법 모두가 가능하며, 그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 제조방법 및 냉각장치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료를 가지고 소정의 압출장비(1)를 이용하여 소정길이의 중공관(10)을 압출 성형한다. 이때, 상기 중공관(10)의 단면형상은 원형 또는 비원형의 단면형상이 가능하며, 도 1에서는 원형 단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압출 성형된 중공관(10)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 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지름과 피치(pitch)를 갖는 원통형의 나선구조물(10')로 성형한다. 상기 나선구조물(10')은 중공관(10)을 통상적으로 알려진 벤딩기들을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구조물(10')의 나선의 축방향(x)으 로 소정의 압축장비(2)를 이용하여 압축함으로써 나선부(11)가 최대한 접촉하도록 압착한다.
상기와 같이 나선구조물(10')을 압착시켜 나선부들(11)이 밀착된 상태에서 나선구조물(10')이 펼쳐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구조물(20)로 가공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구조물(20)로 성형 가공하는 방법으로는 나선부들(11) 사이의 경계부분을 용접하여 접합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부들(11)의 접촉된 부분들은 내외로 용접에 의한 용접부(21)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원래의 나선구조물(10')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고, 원통형의 실린더구조물(2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접방법으로는 아크용접, 레이저 용접이 가능하며, 또한 스터 용접(Stir Welding) 등의 방법으로 나선부들(11)을 접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신린더구조물(20)을 성형한 뒤에, 밀링 절삭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구조물(20)의 외측면을 매끄럽게 가공처리할 수도 있다. 물론, 실린더구조물(20)의 내측면도 매끄럽게 가공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그 내부에 나선형의 냉각유로(23)가 형성된 실린더형 냉각장치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린더구조물(20)은 예를 들어 모터, 발전기 등의 동력장치에서 고정자가 내부에 설치되는 소위 모터하우징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그 내부에 냉각유로(23)가 나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 비하여 냉각장치을 간단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구조물(20)을 알루미늄 재질로 중공관(10)을 압출하여 제작할 경우에는, 그 내부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각유로(23)를 갖는 구조를 성형이 가능하므로, 수냉식 모터 하우징의 몸체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냉각유로(111) 내부에 냉각핀(113)을 가지는 중공관(110)을 압출 성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그 내부에 냉각핀(113)을 가지는 중공관(110)은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압출장비(1)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유로(111) 내부에 냉각핀(113)을 성형함으로써, 그 냉각유로(111)로 냉각액을 통과시킬 때, 냉각핀(113)을 통해서 더 많은 열을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냉각핀(113)이 실린더구조물의 내경부(115)쪽으로부터 외경부(116)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중공관(110)을 나선형으로 벤딩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열이 많이 발생하는 내경부(115)의 열이 냉각핀(113)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그 냉각핀(113)으로 전달되는 열은 그 냉각유로(111)를 흐르는 냉각유체와의 접촉면적으로 넓히게 되어 냉각유체로의 방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장치의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핀(113)은 다수의 냉각돌기들이 구비된 구성이 가능하며, 도 6에 도시된 단면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 제조방법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형상이 비원형 예를 들어, 4각 단면형상을 갖는 중공관(210)을 이용하여 실린더 구조물(30)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공관(210)의 내부의 냉각유로(211)도 비원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대략 4각 단면형상의 중공관(210)을 이용하여 실린더 구조물(30)을 제조하게 되면, 중공관(210)을 나선형으로 벤딩한 후 압착시킬 때, 서로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고, 압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실린더 구조물(30)의 외경을 별도로 절삭 가공하지 않더라도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실린더 구조물(30)도 나선부들을 용접에 의해 접합시켜 원상태로 복귀되지 못하도록 제작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210)의 외측으로 냉각핀(213)이 돌출형성되도록 중공관(210)을 압출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도 7과 같이 중공관(210)을 이용하여 실린더 구조물(30)을 제조할 경우, 실린더 구조물(30)의 외주를 따라서 냉각핀(213)이 돌출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그 냉각핀(213)을 통해 외부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중공관(210)의 냉각유로(211)를 이용한 수냉식 뿐만 아니라, 외측의 냉각핀(213)을 이용한 공냉식의 냉각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그만큼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210)의 냉각유로(211) 내부에 추가적으로 냉각핀(215)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냉각유로(211)의 냉각핀(215)과 중공관(210) 외측의 냉각핀(213) 각각을 통해 실린더 구조물(30')의 내측의 열을 외부로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310)을 압출 성형시 외주에 로킹돌기(317) 및 로킹홈(318)이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로킹홈(318)과 로킹돌기(317)는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중공관(310)을 나선구조물로 벤딩 가공한 뒤, 나선 축방향으로 압착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홈(318)과 로킹돌기(317)가 상보적으로 압입 결합됨으로써 중공관(310)이 나선구조물(40)에서 실린더구조물(40')로 접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중공관(310)은 그 내부에 냉각유로(311)를 가지며, 그 냉각유로(311) 내에는 냉각핀(315)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린더구조물(40')을 제조하게 되면, 별도로 용접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보다 쉽고 빠르게 냉각장치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나선구조물(30')이 개재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프레임을 준비한다. 이 내부의 수납공간은 원뿔형태나 원통모양 또는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원통모양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수납공간은 내측벽(410) 및 외측벽(420)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내측벽(410) 및 외측벽(420)은 원통모양의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수납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내측 및 외측벽(410, 42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다.
그런 다음, 상기 내측 및 외측벽 사이의 틈(G)으로 중공관(210')을 나선형으로 성형하여 형성한 나선구조물(30')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 넣는다. 여기서, 상기 나선구조물(30')을 제조하기 위한 중공관(210')은 4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나선구조물(30')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그 형태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틈(G)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고온고압의 기체 또는 고압의 액체를 나선구조물(30')의 냉각유로(211) 내부로 가하여 팽창시킴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G)에서 상기 실린더의 형상대로 팽창되어 실린더구조물(30")로 가공 형성된다. 여기서, 고온고압의 기체를 가하는 방법으로는 초소성(super plastic) 성질을 가진 알루미늄 합금소재의 피가공물과 밀폐된 금형을 이용한 성형방법이 있으며, 고압의 액체를 가하는 방법으로는 하이드로포밍(hydroforming) 방법이 있다. 도면에서 부호 500은 초소성 성형가공 방법 또는 하이드로포밍 방법을 구현하는 장비를 나타낸다.
즉, 상기 초소성 성형가공 방법 또는 하이드로포밍 가공방법에 의해 나선구조물(30')을 팽창시키게 되면, 내측벽(410)의 외주와 외측벽(420)의 내주 각각에 실린더구조물(30")이 밀착되게 형성되고, 틈(G)에서 실린더구조물(30")이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이나 결합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로써, 내측벽(410) 및 외측벽(420)으로 구성되는 실린더 자체가 모터 등의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이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나선구조물(30')을 변형 가공하여 형성된 실린더 구조물(30")이 내측벽(410)의 외주와 외측벽(420)의 내주 각각에 밀착됨으로써, 내측벽(410)에서 외측벽(420)으로의 열전달 효율이 향상되고, 실린더구조물(30")을 통한 냉각효율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즉, 접촉에 의한 열전도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실린더구조물(30")을 통한 수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나선구조물(30')의 팽창에 의하여 내측벽(410) 및 외측벽(420)으로 구성되는 실린더의 수납공간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실린더구조물(30")을 형성함에 따라 실린더구조물(30")과 실린더가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초소성 성형가공 방법 또는 하이드로포밍 가공방법에 의해 실린더구조물(30")을 실린더의 수납공간 형상대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시된 원통형상의 실린더 형상뿐만 아니라 원뿔형상이나 기타 여러 복잡한 형상의 하우징을 가공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보다 더 제조비용도 낮추면서 냉각효율은 높일 수 있도록, 실린더(프레임)를 실린더구조물(30")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실린더구조물(30")이 실린더의 수납공간 형상대로 형성된 상태로 실린더구조물(30") 자체가 하우징의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냉각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의 내측벽(410) 및 외측벽(420)에 대응되게 실린더구조물(30")의 모양이 형성됨으로써 실린더구조물(30")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대한 거칠기를 낮추는 작업도 필요 없으므로 제조공정도 간단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린더구조물(30")과 실린더가 고정된 채 모터 등의 하우징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실린더구조물(30")과 실린더의 일부 또는 전체를 분리한 후 실린더구조물(30") 자체 또는 실린더구조물(30")과 분리되지 않은 실린더의 일부가 모터 등의 하우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중공관을 압출장비를 이용하여 압출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공관을 나선구조물로 형성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나선구조물을 압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3의 나선구조물을 용접하여 실린더구조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냉각장치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린더구조물의 외벽을 가공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중공관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냉각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압출장비 2..압축장비
10,110,210,210',310,..중공관 10',30',40..나선구조물
11..나선부 20,30,30",40'..실린더구조물
113,213,215,315..냉각핀 317..로킹돌기
318..로킹홈

Claims (14)

  1. 소정 길이로 중공관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중공관을 나선코일 형상을 갖도록 나선구조물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나선구조물을 변형시켜 냉각유로가 일체로 구비된 실린더구조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 제작단계에는
    상기 중공관을 금속재질을 소정 길이로 압출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 제작단계에서는,
    상기 중공관의 내면 또는 외면에 냉각핀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 제작단계에서는,
    상기 중공관의 외측 단면형상이 비원형의 각형구조를 갖도록 압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구조물로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나선구조물을 나선 중심축 방향으로 압착하는 단계와;
    상기 압착된 나선구조물이 원래 형태로 복귀되지 못하도록 하는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압착된 상태의 나선구조물을 용접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나선구조물의 서로 접하는 부분에 로킹홈 및 로킹돌기를 대응되게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로킹홈 및 로킹돌기를 상보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구조물의 외측면을 절삭 가공하여 거칠기를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구조물 가공단계는,
    상기 나선구조물을 프레임의 수납공간에 개재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의 수납공간의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나선구조물을 팽창시켜 실린더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구조물 가공단계는,
    상기 나선구조물을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구조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시키는 단계는,
    고압의 기체 또는 액체를 가하여 상기 나선구조물을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냉각장치.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냉각장치.
KR1020070116825A 2007-11-15 2007-11-15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07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825A KR100907050B1 (ko) 2007-11-15 2007-11-15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825A KR100907050B1 (ko) 2007-11-15 2007-11-15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412A KR20090050412A (ko) 2009-05-20
KR100907050B1 true KR100907050B1 (ko) 2009-07-09

Family

ID=4085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825A KR100907050B1 (ko) 2007-11-15 2007-11-15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241B1 (ko) 2011-12-30 2014-11-26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냉각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506B1 (ko) * 2019-09-03 2023-07-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열교환 채널이 내부에 형성된 금형
KR102415135B1 (ko) * 2021-11-02 2022-07-05 홍환표 교차방열 리어커버 일체형 수냉식 모터하우징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교차방열 리어커버 일체형 수냉식 모터하우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216A (ja) * 1988-08-11 1990-02-19 Suzuki Motor Co Ltd 自動車用クーラーの配管装置
JPH1114273A (ja) 1997-06-20 1999-01-22 Kawasaki Heavy Ind Ltd 噴霧冷却式除熱器及びその製作方法
JPH11237148A (ja) * 1998-02-19 1999-08-31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ユニツトの製造方法
JP2002013847A (ja) 2000-06-27 2002-01-18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ユニットおよび同冷却ユニッ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216A (ja) * 1988-08-11 1990-02-19 Suzuki Motor Co Ltd 自動車用クーラーの配管装置
JPH1114273A (ja) 1997-06-20 1999-01-22 Kawasaki Heavy Ind Ltd 噴霧冷却式除熱器及びその製作方法
JPH11237148A (ja) * 1998-02-19 1999-08-31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ユニツトの製造方法
JP2002013847A (ja) 2000-06-27 2002-01-18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ユニットおよび同冷却ユニット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241B1 (ko) 2011-12-30 2014-11-26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냉각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412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93545B (zh) 一种散热液冷板及其加工方法
EP0306899B1 (en) Method of making heat exchanger and hollow shape for such
JP2007053307A (ja) 積層型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5456006A (en) Method for making a heat exchanger tube
EP2590241A1 (en) Cell blo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6120526A (ja) 鍛造加工方法
US20200189046A1 (en) Locomotive heat exchang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exchanger apparatus
JP3567133B2 (ja) 熱交換器の組立方法
KR100907050B1 (ko)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9617272B (zh) 一种基于电传动系统的集成式冷却结构
US20130076171A1 (en) Electric machine module cooling system and method
KR101465241B1 (ko) 냉각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US6650680B2 (en) Gas laser with cooled coaxial electrode tubes
JP2001025211A (ja) 電動機及び電動機製造方法
KR102007671B1 (ko) 수냉식 모터 하우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7413B1 (ko)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킨 오거식 제빙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6142811A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製造される熱交換器
KR20110057473A (ko) 이중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2008221951A (ja) 自動車用電子部品の冷却装置
JP2009248169A (ja) コールド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H09262870A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
RU244879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US10476343B2 (en) Heat sink for an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heat sink
CN210327237U (zh) 液冷机壳及液冷电机
CN213238538U (zh) 一种微通道换热器及包含其的电池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