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380B1 -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380B1
KR102256380B1 KR1020190158350A KR20190158350A KR102256380B1 KR 102256380 B1 KR102256380 B1 KR 102256380B1 KR 1020190158350 A KR1020190158350 A KR 1020190158350A KR 20190158350 A KR20190158350 A KR 20190158350A KR 102256380 B1 KR102256380 B1 KR 102256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holder
support member
projection weld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법재
정호연
Original Assignee
(유) 대성하이텍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대성하이텍,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유) 대성하이텍
Priority to KR102019015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4Proje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에 설치되고, 제1 대상물을 지지하는 하형 지그; 상기 하부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대상물과 용접될 제2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형 지그; 상기 하부 홀더에 대해 상기 상형 지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 유닛; 및 상기 상형 지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형 지그를 향한 방향으로 하강됨에 의해 상기 제2 대상물을 상기 제1 대상물에 대해 설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상부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형 지그는, 상기 승강지지 유닛과 결합되는 상형 몸체부; 및 상기 상형 몸체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대상물이 안착되는 상형 안착부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ZIG FOR PROJECTION WELDING AND APPARATUS FOR PROJECTION WELDING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쇼바 베이스 어셈블리(Shock-absorber base assembly)는 쇽-업쇼바의 주요부품 중의 하나로 밸브를 보호하면서 밸브 작동 시 상하 직진도를 관리해 주는 부품이다. 차량의 거동을 제어하고 충격 및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조정 안전성과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쇽-업쇼바의 기능에 기여한다.
베이스 어셈블리의 공정은 파이프 길이를 자르는 ‘절단’ 공정, 절단된 양 끝단의 버(Burr)를 제거하는 ‘면취’ 공정, 상대 파트와의 용접을 위한 ‘확·축관’ 공정, 그리고 최종적으로 각 파트를 연결하는 ‘용접’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캡 상단에 아이(Eye)라는 부품을 용접하는 공정에서는, 그들 간의 상·하 불일치 및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하게 중앙값에 위치시켜 용접이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베이스 캡의 원과 아이의 원이 만나는 형상의 특성상 정확하게 중심을 맞추기가 힘든 구조로, 그를 맞추기 위해서는 준비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준비했더라도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불량이 쉽게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용접이 될 두 개의 대상물 간의 중심 불일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두 개의 대상물이 설정된 가압력으로 가압되고, 그 가압 과정에서 슬립에 의해 중심이 어긋나지 않게 하는,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는,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에 설치되고, 제1 대상물을 지지하는 하형 지그; 상기 하부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대상물과 용접될 제2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형 지그; 상기 하부 홀더에 대해 상기 상형 지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 유닛; 및 상기 상형 지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형 지그를 향한 방향으로 하강됨에 의해 상기 제2 대상물을 상기 제1 대상물에 대해 설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상부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형 지그는, 상기 승강지지 유닛과 결합되는 상형 몸체부; 및 상기 상형 몸체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대상물이 안착되는 상형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지지 유닛은, 상기 상형 지그에 설치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하부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연결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대해 하강될 때, 상기 상형 지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로드를 수용하는 중공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로드를 감싼 채로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제2 대상물과 접촉되는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형 지그는, 상기 제1 대상물과 접촉되는 하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형 지그는, 상기 하부 홀더에 결합되는 하형 몸체부; 및 상기 하형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대상물이 안착되는 하형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형 지그는, 상기 제1 대상물과 접촉되는 하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형 안착부는, 상기 하부 전극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이격되어 상기 제1 대상물을 수용하는 가이드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하부 전극보다 열 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프로젝션 용접 장치는,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에 설치되고, 제1 대상물과 접촉되는 하부 전극을 구비하는 하형 지그; 상기 하부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대상물과 용접될 제2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형 지그; 상기 하부 홀더에 대해 상기 상형 지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 유닛; 상기 상형 지그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강시 상기 제2 대상물을 상기 제1 대상물에 대한 가압하는 상부 전극을 구비하는 상부 홀더;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에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 간의 용접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 유닛; 및 상기 용접 시에 상기 상부 홀더를 하강 구동하여, 상기 제2 대상물이 상기 제1 대상물을 설정 가압력으로 가압하게 하는 승강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지지 유닛은, 상기 상형 지그에 설치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하부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연결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대해 하강될 때, 상기 상형 지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로드를 수용하는 중공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로드를 감싼 채로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형 지그는, 상기 하부 홀더에 결합되는 하형 몸체부; 및 상기 하형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대상물이 안착되는 하형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형 안착부는, 상기 하부 전극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이격되어 상기 제1 대상물을 수용하는 가이드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에 의하면, 상형 지그가 제2 대상물을 지지한 채로 상부 홀더의 하강에 의해 하강될 되는 중에 하부 홀더에 설치된 하형 지그는 제1 대상물을 지지하여, 제2 대상물이 제1 대상물에 대해 설정 가압력으로 가압되고 이러한 가압 과정은 승강지지 유닛에 의해 안내되기에, 제1 대상물에 대한 제2 대상물의 가압력이 일정 크기로 유지되고 또한 가압 과정에서 슬립에 의해 그들 간의 일치된 중심이 어긋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상형 지그는 상형 몸체부가 승강지지 유닛과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형 몸체부에 대해 위치 조절 가능한 상형 안착부를 갖고, 상형 안착부에 안착된 제2 대상물은 제1 대상물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위치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100)의 기본 상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그(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하형 지그(120)의 일 부분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지그(100)의 가압 상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용접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100)의 기본 상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100)는, 하부 홀더(110), 하형 지그(120), 상형 지그(130), 승강지지 유닛(140), 그리고 상부 홀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홀더(110)는 하형 지그(120) 등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하부 홀더(110)는 대체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부 홀더(110)는 별도의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하형 지그(120)는 하부 홀더(110)에 설치되어, 제1 대상물(O1)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제1 대상물(O1)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하부 전극(125)이 구비된다.
상형 지그(130)는 하부 홀더(110)에 상측에 배치되고, 제2 대상물(O2)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제2 대상물(O2)의 중심이 제1 대상물(O1)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상형 지그(130)는 하형 지그(120)에 대해 정렬되어야 한다.
승강지지 유닛(140)은 하부 홀더(110)에 대해 상형 지그(13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부 홀더(110)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승강지지 유닛(140)은 상형 지그(130)가 높이 방향을 따라 일 직선상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승강지지 유닛(140)은 제1 지지 부재(141), 제2 지지 부재(143), 및 탄성체(14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41)는 상형 지그(130)에 연결되는데, 로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143)는 하부 홀더(110)에 설치되고, 제1 지지 부재(141)가 높이 방향을 따라서만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지지 부재(143)는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로드를 수용하는 중공 하우징일 수 있다. 탄성체(145)는 제1 지지 부재(141)가 제2 지지 부재(143)에 대해 하강할 때, 상형 지그(1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탄성체(145)는 상기 로드를 감싼 채로 설치되고, 양단이 각각 상형 지그(130) 또는 상기 중공 하우징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부 홀더(150)는 상형 지그(130)를 향한 방향으로 하강됨에 의해 제2 대상물(O2)을 제1 대상물(O1)에 대해 설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부 홀더(150)는 상형 지그(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부 홀더(150) 중 제2 대상물(O2)과 접촉되는 부분은 상부 전극(155)으로 형성된다.
도 2는 도 1의 지그(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하형 지그(120)는 하형 몸체부(121)와 하형 안착부(123, 도 3 참조)를 가질 수 있다.
하형 몸체부(121)는 하부 홀더(110)에 대해 결합되는 구성이다. 하형 몸체부(121)는 승강지지 유닛(140)을 이루는 복수의 제1 및 제2 지지 부재(141,143, 도 1 참조)에 의해 감싸지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하형 안착부(123)는 하형 몸체부(1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형 안착부(123)에는 제1 대상물(O1)이 안착된다.
상형 지그(130) 역시 상형 몸체부(131)와 상형 안착부(135)를 가질 수 있다.
상형 몸체부(131)는 승강지지 유닛(140)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형 몸체부(131)는 대체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형 몸체부(131)의 중앙에는 개방부(132)가 형성된다.
상형 안착부(135)는 제2 대상물(O2)이 안착되는 대상체이다. 이를 위해, 상형 안착부(135)에는 안착홈(136)이 형성되고, 그 안착홈(136)에 제2 대상물(O2)이 삽입될 수 있다. 상형 안착부(135)에 안착된 제2 대상물(O2)은 개방부(131)를 통해 상형 몸체부(131)의 하측 공간에 대해 노출된 상태에 놓인다.
상형 안착부(135)는 또한 상형 몸체부(131)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조절 나사(137)는 상형 안착부(135)가 상형 몸체부(131)에 대해 조절된 위치에서 상형 안착부(135)를 상형 몸체부(131)에 대해 고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형 안착부(135)에는 조절 나사(137)가 삽입되는 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하형 지그(120)의 일 부분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하형 안착부(123)의 중앙에는 하부 전극(125)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125)은 제1 대상물(O1) 내로 삽입되는 돌기 형태를 가진다.
제1 대상물(O1)의 내부 공간이 하부 전극(125)의 윤곽보다 큰 경우에, 제1 대상물(O1)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서 가이드 벽(128)이 이용될 수 있다. 가이드 벽(128)은 하부 전극(125)을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벽(128)은 가이드 판(127)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판(127)은 하형 안착부(123)에 대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벽(128), 나아가 가이드 판(127)은 하부 전극(125) 보다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부 전극(125)에서 발생한 열이 제1 대상물(O1)이 아닌 가이드 벽(128) 등으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도 1의 지그(100)의 가압 상태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가압 상태에서 제1 대상물(O1)과 제2 대상물(O2)은 설정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때, 하부 전극(125) 및 상부 전극(155)에 전류가 가해지면, 제1 대상물(O1)과 제2 대상물(O2) 간에 프로젝션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 이르기 위해서는, 상부 홀더(150)가 하강하여 상부 전극(155)이 제1 대상물(O1)을 향해 제2 대상물(O2)을 하강시켜야 한다. 그 경우, 제2 대상물(O2)을 지지하는 상형 지그(130) 역시 높이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승강지지 유닛(140)은 그러한 하강 중에 상형 지그(130)를 지지하게 된다.
승강지지 유닛(140)의 안내에 의해, 제2 대상물(O2)은 하강하는 중에도 설정된 이동 경로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승강지지 유닛(140)이 탄성체(145)를 통해 상형 지그(1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에 의해, 제1 대상물(O1)과 제2 대상물(O2)이 접촉되는 과정에서 충격이 최소화된다. 그로 인해, 그 충격에 의해 제1 대상물(O1)과 제2 대상물(O2) 간에 슬립이 발생하여 그들의 중심 정렬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대상물(O1)과 제2 대상물(O2) 간의 사전적인 정렬을 위해서는, 상형 몸체부(131)에 대한 상형 안착부(135)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이는 조절 나사(137)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2 대상물(O2)의 사이즈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상형 안착부(135) 자체를 그에 맞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1 대상물(O1)의 사이즈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하형 안착부(123)를 그에 맞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용접이 완료된 후에 상부 홀더(150)가 상승하게 되면, 승강지지 유닛(140)의 탄성체(145)에 의해 상형 지그(130)는 초기의 높이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면, 상형 지그(130)가 용접을 위해 하강하는 구간은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제2 대상물(O2)이 제1 대상물(O1)을 가압하는 가압력 또한 설정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용접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젝션 용접 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지그(100)에 더하여, 전류공급 유닛(210)과, 승강구동 유닛(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류공급 유닛(210)은 하부 전극(125)과 상부 전극(155)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류공급 유닛(210)에 의해 공급된 전류에 의해, 제1 대상물(O1)과 제2 대상물(O2) 간의 프로젝션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구동 유닛(250)은 상부 홀더(150)를 하강 구동하는 구성이다. 승강구동 유닛(250)은 예를 들어 높이 방향(V, 도 1 참조)을 따라 작동하는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110: 하부 홀더
120: 하형 지그 130: 상형 지그
140: 승강지지 유닛 150: 상부 홀더
200: 프로젝션 용접 장치 210: 전류공급 유닛
250: 승강구동 유닛

Claims (11)

  1.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에 설치되고, 제1 대상물을 지지하는 하형 지그; 상기 제1 대상물과 용접될 제2 대상물을 지지하며, 상기 제2 대상물의 중심이 상기 제1 대상물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상기 하부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형 지그; 상기 하부 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상형 지그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 유닛; 및 상기 상형 지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형 지그를 향한 방향으로 하강됨에 의해 상기 제2 대상물을 상기 제1 대상물에 대해 설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상부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형 지그는, 상기 승강지지 유닛과 결합되는 상형 몸체부; 및 상기 상형 몸체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대상물이 안착되는 상형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지지 유닛은, 상기 상형 지그에 설치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하부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높이 방향을 따라서만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1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서만 하강될 때, 상기 상형 지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로드를 수용하는 중공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로드를 감싼 채로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제2 대상물과 접촉되는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형 지그는, 상기 제1 대상물과 접촉되는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 지그는, 상기 하부 홀더에 결합되는 하형 몸체부; 및 상기 하형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대상물이 안착되는 하형 안착부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 지그는, 상기 제1 대상물과 접촉되는 하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하형 안착부는, 상기 하부 전극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이격되어 상기 제1 대상물을 수용하는 가이드 벽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7. 삭제
  8.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에 설치되고, 제1 대상물과 접촉되는 하부 전극을 구비하는 하형 지그; 상기 제1 대상물과 용접될 제2 대상물을 지지하며, 상기 제2 대상물의 중심이 상기 제1 대상물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상기 하부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형 지그; 상기 하부 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상형 지그를 높이 방향을 따른 일 직선상으로만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지지 유닛; 상기 상형 지그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강시 상기 제2 대상물을 상기 제1 대상물에 대한 가압하는 상부 전극을 구비하는 상부 홀더;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에 상기 제1 대상물과 상기 제2 대상물 간의 용접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 유닛; 및 상기 용접 시에 상기 상부 홀더를 하강 구동하여, 상기 제2 대상물이 상기 제1 대상물을 설정 가압력으로 가압하게 하는 승강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지지 유닛은, 상기 상형 지그에 설치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하부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높이 방향을 따라서만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1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대해 하강될 때, 상기 상형 지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로드를 수용하는 중공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로드를 감싼 채로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 지그는, 상기 하부 홀더에 결합되는 하형 몸체부; 및 상기 하형 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대상물이 안착되는 하형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형 안착부는, 상기 하부 전극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전극과 이격되어 상기 제1 대상물을 수용하는 가이드 벽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
KR1020190158350A 2019-12-02 2019-12-02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 KR102256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50A KR102256380B1 (ko) 2019-12-02 2019-12-02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50A KR102256380B1 (ko) 2019-12-02 2019-12-02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380B1 true KR102256380B1 (ko) 2021-05-27

Family

ID=7613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350A KR102256380B1 (ko) 2019-12-02 2019-12-02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3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968A (ko) * 2009-04-17 2010-10-27 (주)썬테크 자동차 쇽업저버용 부품 자동 용접장치
KR20120127098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968A (ko) * 2009-04-17 2010-10-27 (주)썬테크 자동차 쇽업저버용 부품 자동 용접장치
KR20120127098A (ko)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875B1 (ko) 수평형 부시 압입장치
US6098866A (en) Diffusion bonding apparatus for pipes
KR101452941B1 (ko) 용접토치의 노즐 자동교체장치
KR102256380B1 (ko) 프로젝션 용접용 지그 및 그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용접 장치
CN108747172B (zh) 一种多路cos焊接工装
KR100722131B1 (ko) 스폿 용접기의 전극 정렬장치
JP5549404B2 (ja) シザーズギア組立装置
KR101173056B1 (ko) 차량의 서스펜션용 프론트 스트럿 조립 장치
KR101594931B1 (ko) 다용도 피용접물 고정장치
KR100943229B1 (ko) 전극컵 용접 지그 및 상기 전극컵 용접 지그가 마련된전극컵 용접 장치
CN109531007A (zh) 一种微型自动升降器
ES2231152T3 (es) Maquina combinada de prensa punzonadora y de laser.
JP3385202B2 (ja) 止め輪装着装置
KR101667545B1 (ko) 프로젝션 용접기용 전극유닛
KR20170125149A (ko) 코어 교정장치
CN107732634B (zh) 接头压装设备及压装方法
KR101931728B1 (ko) 일체형 예열지그를 가지는 진동융착기
KR102667002B1 (ko) 다관절 레이저 용접 시스템
CN114102103B (zh) 用于车辆灯具的透镜压接工装
CN211102122U (zh) 一种悬挂点焊机控制器托举机构
CN213224831U (zh) 一种用于定位焊装夹具的定位机构
CN213702156U (zh) 一种焊架
CN220782644U (zh) 一种激光焊接台
KR102533692B1 (ko) 성형물 절단 장치
CN217290908U (zh) 半自动眼镜脚丝激光焊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