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511B1 -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511B1
KR102255511B1 KR1020210014906A KR20210014906A KR102255511B1 KR 102255511 B1 KR102255511 B1 KR 102255511B1 KR 1020210014906 A KR1020210014906 A KR 1020210014906A KR 20210014906 A KR20210014906 A KR 20210014906A KR 102255511 B1 KR102255511 B1 KR 102255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cleaning
white smoke
ga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21001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6Spray cleaning with nozzle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7/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통체 구조를 가지는 세정하우징; 구획벽에 의해 세정하우징의 내부에 승강 구조의 유해가스 경로를 가지면서 연통 구성되고 유해가스가 세정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며 세정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챔버; 복수개의 챔버 중 적어도 한 곳의 유해가스 유입측에 구성되고 약액을 진동을 통하여 미립자 크기로 분무시키는 초음파 분무장치; 복수개의 챔버 중 적어도 초음파 분무장치가 구성되는 곳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세정하우징에 유입되는 유해가스와 해당 챔버의 내부에서 미립자 크기로 분무되는 약액이 교반되도록 하여 유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교반수단; 및 교반수단에 세정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유해가스 중 일부를 세정하우징 내부에 고압으로 공급하여 교반수단이 회전되도록 하는 유해가스공급수단으로 구성된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와; 통체 구조를 가지고 세정집진장치로부터 백연 및 미세먼지를 포함한 처리가스가 유입된 후 이동되면서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 처리된 후 배기공기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 이동 및 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하우징; 열교환하우징 내부 일측에 위치되고 열교환하우징에 유입되는 처리가스와 상기 처리가스가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후 매직필터수단에 의해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 처리된 상태의 배기공기가 상호간 열교환되도록 하여 배기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상승 및 하강시켜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시 백연이 저감되도록 하는 열교환수단; 열교환하우징의 내부 중간에 위치되고 열교환수단에 의해 열교환된 후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처리가스 중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를 응축 및 결로를 통해 제거하여 깨끗한 배기공기 상태로 열교환수단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매직필터수단; 및 열교환하우징의 열교환수단 일측에 연통 구성되고 매직필터수단과 열교환수단에 의해 처리된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White smoke and particulate matter reducing apparatus with gas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시설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챔버를 경유하면서 챔버에 구성된 초음파 분무장치로부터 분사되는 약액분무와 교반되는 것에 의해 유해물질 입자가 제거되도록 하고 약액에 의한 폐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여과수단에 의해 응축 또는 결로되면서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공기가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처리가스에 의해 열교환된 후 배출되도록 하여 백연도 저감되도록 할 수 있는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이나 가스 등을 이용하는 화력발전시설이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폐기물을 소각시키는 소각시설 등과 같은 산업시설물에는 산업시설물의 소각장치 등으로부터 유해물질이 포함된 유해가스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유해가스에 물과 희석액 등을 분사하여 냄새나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유해물질의 입자를 흡착 및 침강 제거하는 세정집진장치 등이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세정집진장치는, 등록특허 10-0745810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나 소각장치 등으로부터 고온의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부에 구성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소석회를 분사하여 유해가스 중 염소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소석회분사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부에 구성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요소수를 분사하여 유해가스 중 질산화물질을 제거하는 SNCR분사수단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세정집진장치는, 단순히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하우징의 상측부로부터 하측부를 향하여 소석회나 요소수가 분사되는 구성을 가지고, 이때,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수단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물분자가 하우징 내부에 고르게 확산되도록 할 수 없고 물분자와 물분자 사이에 큰 공극이 형성되어 0.1㎛ 내지 3㎛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먼지 입자를 흡착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정집진장치는, 단순히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수단이 다층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유해가스 중 산성 성분과 염기성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동시에 각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약액을 분사할 수가 없고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성분만을 제거해야 함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정집진장치는, 액체 상태의 약제 즉, 약액이 분사수단에 의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유해가스와 교반되고 하우징의 하부로 집수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고, 이에, 폐수를 발생시켜 환경 오염을 유발하므로 별도의 재생시설을 이용하여 폐수를 정화시키거나 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유해가스 중 백연 및 미세먼지를 제거 또는 저감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126022호 등에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종래의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수직한 통체 구조의 하우징 하단으로 유입된 백연 및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가스가 상단으로 토출되는 구성을 가지고, 이때, 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유해가스에 물을 분사하고 액적이 성장되도록 한 후 침강시키는 분사유닛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상기와 같이, 하우징이 수직한 통체 구조를 가지고 이때, 하우징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이동하는 유해가스에 물이 분사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유해가스의 이동 속도가 빠르고 그 양이 많은 경우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시설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챔버를 경유하면서 챔버에 구성된 초음파 분무장치로부터 분사되는 약액분무와 교반되는 것에 의해 유해물질 입자가 제거되도록 하고 약액에 의한 폐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여과수단에 의해 응축 또는 결로되면서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공기가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처리가스에 의해 열교환된 후 배출되도록 하여 백연도 저감되도록 할 수 있는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체 구조를 가지는 세정하우징; 구획벽에 의해 세정하우징의 내부에 승강 구조의 유해가스 경로를 가지면서 연통 구성되고 유해가스가 세정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며 세정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챔버; 복수개의 챔버 중 적어도 한 곳의 유해가스 유입측에 구성되고 약액을 진동을 통하여 미립자 크기로 분무시키는 초음파 분무장치; 복수개의 챔버 중 적어도 초음파 분무장치가 구성되는 곳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세정하우징에 유입되는 유해가스와 해당 챔버의 내부에서 미립자 크기로 분무되는 약액이 교반되도록 하여 유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교반수단; 및 교반수단에 세정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유해가스 중 일부를 세정하우징 내부에 고압으로 공급하여 교반수단이 회전되도록 하는 유해가스공급수단으로 구성된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와; 통체 구조를 가지고 세정집진장치로부터 백연 및 미세먼지를 포함한 처리가스가 유입된 후 이동되면서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 처리된 후 배기공기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 이동 및 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하우징; 열교환하우징 내부 일측에 위치되고 열교환하우징에 유입되는 처리가스와 상기 처리가스가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후 매직필터수단에 의해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 처리된 상태의 배기공기가 상호간 열교환되도록 하여 배기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상승 및 하강시켜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시 백연이 저감되도록 하는 열교환수단; 열교환하우징의 내부 중간에 위치되고 열교환수단에 의해 열교환된 후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처리가스 중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를 응축 및 결로를 통해 제거하여 깨끗한 배기공기 상태로 열교환수단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매직필터수단; 및 열교환하우징의 열교환수단 일측에 연통 구성되고 매직필터수단과 열교환수단에 의해 처리된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산업시설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챔버를 경유하면서 챔버에 구성된 초음파 분무장치로부터 분사되는 약액분무와 교반되는 것에 의해 유해물질 입자가 제거되도록 하고 약액에 의한 폐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여과수단에 의해 응축 또는 결로되면서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공기가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처리가스에 의해 열교환된 후 배출되도록 하여 백연도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세정집진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세정집진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 및
도 7과 도 8은 도 4의 세정집진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사각 통체 구조를 가지는 세정하우징(110), 구획벽(120)에 의해 세정하우징(110)의 내부에 승강 구조의 유해가스 경로를 가지면서 연통 구성되고 유해가스가 세정하우징(110)의 외부로부터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며 세정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챔버(130), 복수개의 챔버(130) 중 적어도 한 곳의 유해가스 유입측에 구성되고 약액을 진동을 통하여 미립자 크기로 분무시키는 초음파 분무장치(140), 복수개의 챔버(130) 중 적어도 초음파 분무장치(140)가 구성되는 곳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세정하우징(110)에 유입되는 유해가스와 해당 챔버(130)의 내부에서 미립자 크기로 분무되는 약액이 교반되도록 하여 유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교반수단(150) 및 교반수단(150)에 세정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유해가스 중 일부를 세정하우징(110) 내부에 고압으로 공급하여 교반수단(150)이 회전되도록 하는 유해가스공급수단(160)으로 구성된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100), 통체 구조를 가지고 세정집진장치(100)로부터 백연 및 미세먼지를 포함한 처리가스가 유입된 후 이동되면서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 처리된 후 배기공기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 이동 및 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하우징(210), 열교환하우징(210)의 내부 일측에 위치되고 열교환하우징(210)에 유입되는 처리가스와 상기 처리가스가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후 매직필터수단(230)에 의해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 처리된 상태의 배기공기가 상호간 열교환되도록 하여 배기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상승 및 하강시켜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시 백연이 저감되도록 하고 처리가스의 온도와 습도를 하강 및 상승시켜 처리가스가 외기와 함께 혼합된 후 매직필터수단(230)에 의해 응결되어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가 제거되도록 하는 열교환수단(220), 열교환하우징(210)의 내부 중간에 위치되고 열교환수단(220)에 의해 열교환된 후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처리가스 중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를 응축 및 결로를 통해 제거하여 깨끗한 배기공기 상태로 열교환수단(220)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매직필터수단(230) 및 열교환하우징(210)의 열교환수단(220) 일측에 연통 구성되고 매직필터수단(230)과 열교환수단(220)에 의해 처리된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240) 등을 포함한다.
세정하우징(110)은, 사각 통체 구조를 가지고 구획벽(120)에 의해 복수개의 챔버(130)가 구성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챔버(130)에서 유해가스 중 유해물질 등이 제거된 정화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세정하우징(110)은, 사각 통체 구조를 통하여, 후술된 교반수단(150)이 회전되면서 유해가스가 분사되는 경우 각 모서리 부분에 의해 원심력을 가지면서 분사되는 유해가스가 충돌 및 확산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챔버(130) 내부에 분무되는 미립자 크기의 약액과의 교반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하우징(110)에 의하면, 사각 통체 구조를 가지고 구획벽(120)을 통해 복수개의 챔버(130)들이 다단으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와 같이, 높은 높이를 가지면서 설치되지 않아도 되어 위치 제약이 해소되어 다양한 산업시설에 간편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챔버(130)는, 사각 통체 구조를 가지는 세정하우징(110)의 내부에 구획벽(120)에 의해 연속적으로 구획 구성되고, 이때, 유해가스가 각 챔버(130)를 상하 구조의 지그재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초음파 분무장치(140)를 통해 분무되는 약액이 유해가스의 유해물질 등과 반응 및 처리되면서 제거되도록 하는 세정 공간 제공 수단으로서, 일예로, 제1구획벽(121)과 제2구획벽(122)을 통하여 제1챔버(131), 제2챔버(132) 및 제3챔버(133)가 연속적으로 구성되도록 하며, 이때, 제1구획벽(121)과 제2구획벽(122)의 상측과 하측에는 유해가스가 상하 구조로 유입 및 배출되거나 하상 구조로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출입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챔버(131)와 제3챔버(133)는 후술된 초음파 분무장치(140)와 교반수단(150)이 설치 구성되어 유해가스를 세정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제2챔버(132)는 초음파 분무장치(140)와 교반수단(150)이 설치 구성되지 않고 제1챔버(131)에 의해 처리된 유해가스가 제3챔버(133)에 하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개의 챔버(130)에 의하면, 사각통체 구조를 가지는 세정하우징(110)에 구획벽(120)을 통해 복수개의 처리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타워 구조의 높은 높이를 가지지 않아도 되어 장소 제약을 해소하고 다양한 곳에 적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초음파 분무장치(140)는, 복수개의 챔버(130) 중 적어도 한 곳의 유해가스 유입측에 구성되고 약액을 초음파 진동을 통하여 미립자 크기로 분무시키는 수단으로서,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초음파 분무장치(140)는, 일예로, 챔버(130)가 상기와 같이 제1챔버(131), 제2챔버(132) 및 제3챔버(133)로 구획 구성되는 경우, 세정하우징(110)의 유입구(111)에 연통되는 제1챔버(131)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음파 분무장치(140)는, 해당 챔버(130) 마다 다양한 약액 일예로, 제1챔버(131)에는 산성 성분의 악취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약액이 분사되도록 하고 제3챔버(133)에는 염기성 성분의 악취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약액이 분사되도록 하여 유해물질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분무장치(140)에 의하면, 초음파를 이용한 진동을 통하여 나노 내지 마이크로 단위의 미립자 크기로 약액을 분무시켜 고압 분사 방식에 비해 단위 시간당 약액의 소비량을 절감하면서도 유해가스와의 교반 및 제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유해가스가 이동되는 챔버(130)의 내부 공간에 미립자 크기의 약액이 전면적에 대응되도록 분무됨으로써, 미세먼지 입자나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수용성 유해물물질 입자도 분무 입자와 충분히 접촉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미세먼지나 수용성 유해물질이 흡착된 분무 입자들이 챔버(130)의 하부로 침강되면서 중화처리 및 제거된다.
또한, 약액이 미립자 크기로 분무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약액분사수단을 통해 다량의 약액을 고압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에 비해, 폐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교반수단(150)은, 복수개의 챔버(130) 중 적어도 초음파 분무장치(140)가 구성되는 곳에 구성되고 세정하우징(110)에 유입되는 유해가스 중 일부가 해당 챔버(130)에 분사될 때 회전 동작되어 해당 챔버(130)의 내부에서 유해가스와 미립자 크기로 분무되는 약액이 교반되면서 유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해당 챔버(130)의 중심부에 수직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 구성되는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에 다단 구조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에 연통 및 분기되며 단부의 유해가스분사노즐(152)을 통해 유해가스를 분사시켜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가 회전되도록 하여 사각 통체 구조를 가지는 챔버(130)의 내부에 유해가스가 분사 및 확산되어 미립자 크기로 분무되는 약액과의 교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회전분사파이프(153) 및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에 회전분사파이프(153)와 함께 교번 상태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의 회전시 챔버(130) 내부의 유체(유해가스 및 미립자 크기의 약액)가 회전운동되도록 하여 유해가스와 약액의 교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반날개(154) 등을 포함한다.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샤프트베어링 등이 구성되어 회전분사파이프(153)를 통해 유해가스가 고압 분사시 추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교반수단(150)에 의하면, 해당 챔버(130) 내부에 유해가스와 초음파 분무장치(140)로부터 분무되는 약액이 향상된 교반성을 가지도록 하여 유해가스 중 유해물질 등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유해가스공급수단(160)은, 교반수단(150)에 세정하우징(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 중 일부를 세정하우징(110) 내부에 고압으로 공급하여 교반수단(150)이 회전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세정하우징(110)의 상단에 구성되는 로터리조인트와 밸브플랜지 등의 구성에 세정하우징(110)의 유입구(111)에 유해가스를 공급하는 유해가스공급관이 분기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고압의 블로워 등을 통해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에 유해가스 중 일부가 고압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해가스공급수단(160)에 의하면,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에 유해가스 중 일부가 고압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통해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가 회전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종래와 같이 유해가스를 회전시키는 회전팬이나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모터 등을 구성하는 것에 비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열교환하우징(210)은, 세정집진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가스의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공되도록 하는 구성부들이 콤팩트하게 설치 구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통체 구조를 가지는 본체(211), 본체(211)의 상면 외부 일측에 연통 구성되고 본체(211)의 내부에 세정집진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212), 본체(211)의 하면 외부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통 구성되고 유입구(212)에 유입된 처리가스가 본체(211)의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유입로(213), 본체(211)의 정면과 배면 외부 중간에 연통 구성되고 본체(211)의 내부에 외기가 투입되도록 하여 유입로(213)를 통해 본체(211)의 타측으로 유입된 처리가스가 본체(211)의 일측으로 이동시 백연화되도록 하는 외기투입구(214), 본체(211)의 우측면 외부 중간에 연통 구성되고 본체(211)로부터 배기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215) 및 본체(211)의 정면 타측에 본체(211)의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성부들의 설치 및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출입도어(216)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열교환하우징(210)에 의하면, 유입구(212)와 유입로(213)에 연통되는 본체(211)의 내부 일측에는 열교환수단(220)이 배치 및 구성되고, 외기투입구(214)가 연통되는 본체(211)의 내부 중간에는 매직필터수단(230)이 배치 및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교환하우징(210)에 의하면, 유입구(212), 유입로(213), 외기투입구(214) 및 출입도어(216) 등의 설치 위치 등을 통하여 열교환수단(220)과 매직필터수단(230)이 콤팩트하게 배치 및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사용성과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열교환하우징(210)의 유입구(212) 내부에 세정집진장치(100)가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열교환수단(220)은, 열교환하우징(210)의 내부 일측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열교환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되는 처리가스와 열교환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된 후 매직필터수단(230)에 의해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되어 깨끗한 공기 상태를 가지는 배기공기가 상호간 열교환되도록 하여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열교환하우징(210) 본체(211)의 유입구(212)와 유입로(213)의 일측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판형열교환기(PHE)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판형열교환기는, 처리가스와 배기공기가 통과되는 통과유로가 상호간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 교차 구조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고온의 처리가스와 상대적으로 저온의 배기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수단(220)에 의하면, 열교환하우징(210)에 유입되는 고온의 처리가스와 상기 고온의 처리가스가 외기와 함께 혼합된 후 매직필터수단(230)에 의해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 처리된 배기공기가 상호간 열교환되도록 하여 배기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상승 및 하강시켜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시 백연이 저감되도록 하고 처리가스의 온도와 습도를 하강 및 상승시켜 처리가스가 외기와 함께 혼합된 후 매직필터수단(230)에 의해 응결되어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매직필터수단(230)은, 열교환하우징(210)의 내부 중간에 위치되어 유입로(213)를 통해 열교환하우징(210) 타측으로 유입된 후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처리가스 중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를 응축 및 결로시켜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데미스터필터(231)와 응축결로필터(2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순차적으로 배치 및 구성된다.
여기서, 데미스터필터(231)는, 열교환하우징(210) 본체(211) 내부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이동되고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처리가스 중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나 악취 및 수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본체(211)의 내부에 탈착 구조로 설치되는 사각틀 구조의 프레임과, 사각틀 구조의 프레임 정면과 배면을 커버하고 처리가스가 프레임의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하는 메쉬와, 프레임과 메쉬를 통해 제공되는 프레임의 중공에 충전되어 메쉬를 관통하는 처리가스 중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나 오염물질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다공 구조의 필터 등을 포함한다.
이에, 데미스터필터(231)에 의하면, 열교환하우징(210) 내부에 유입된 처리가스에 포함된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나 오염물질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여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응축결로필터(232)는, 데미스터필터(231)의 후단부에 구성되고 배기구(215)를 향해 배출되는 백연 및 미세먼지를 포함하고 외기가 혼합되어 백연화된 처리가스가 응축 또는 결로되면서 백연 및 미세먼지가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본체(211)의 내부에 탈착 구조로 설치되는 사각틀 구조의 프레임과, 사각틀 구조의 프레임 정면과 배면을 커버하고 다수개의 통공을 통하여 처리가스가 프레임의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하는 타공판과, 프레임과 타공판을 통해 제공되는 프레임의 중공에 충전되고 타공판을 통해 관통되는 처리가스 응축 또는 결로되도록 하여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가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필터 등을 포함한다.
이에, 응축결로필터(232)에 의하면, 열교환하우징(210) 내부에 유입된 처리가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타공판과 필터에 접촉시 응축 또는 결로되면서 흡착 제거되도록 하여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직필터수단(230)에 의하면, 열교환하우징(210)의 내부 중간에 위치되어 열교환수단(220)에 의해 열교환된 후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처리가스 중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를 응축 및 결로를 통해 제거한 후 깨끗한 배기공기 상태로 열교환수단(220)을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수단(240)은, 열교환하우징(210)의 배기구(215)에 연통 구성되고 유입구(212)와 외기투입구(214)를 통하여 본체(211)에 처리가스와 외기가 유입 및 이동되도록 하여 처리가스 중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된 깨끗한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배기구(215)에 연통되는 배기하우징(241)과, 배기하우징(241)의 내부에 구성되어 열교환하우징(210)에 처리가스와 외기가 급기되도록 함과 동시에 열교환하우징(210)으로부터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급배기팬(242)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배출수단(240)에 의하면, 열교환하우징(210)의 본체(211)에 유입구(212)를 통하여 산업시설의 처리가스를 유입시키고 외기투입구(214)를 통하여 외기를 투입시켜 본체(211)에서 열교환수단(220)과 매직필터수단(230)에 의해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되도록 한 후 배기구(215)를 통해 배기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로(213)의 타측이 연결되는 본체(211)의 타측 내부에는 유입로(213)를 통해 본체(211)의 타측으로 유입되는 처리가스가 매직필터수단(230)이 구성된 본체(111)의 중간으로 이동시 본체(211)의 내부 단면에 대하여 고르게 확산되도록 하는 확산수단(미도시)이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확산수단(미도시)은, 본체(211)의 타측 내부의 전단면(全斷面)을 커버하는 면적을 가지고 다수개의 통공을 가지는 퍼프플레이트일 수 있다.
따라서 확산수단(미도시)에 의하면, 본체(211)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이동되는 처리가스의 이동 속도가 퍼프플레이트의 전단에서 일시적으로 감속되도록 한 후 퍼프플레이트에 고르게 타공된 통공을 통해서 퍼프플레이트의 후단으로 이동되는 것을 통하여 처리가스가 본체(211)의 내부 공간에 고르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고, 처리가스의 편향 억제를 통하여 매직필터수단(230)을 이용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열교환수단(220)의 처리가스와 배기공기가 각각 교차 상태로 통과되는 통과유로의 표면에는, 열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1코팅제와 부식과 열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2코팅제가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후 코팅되어 전열코팅층이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코팅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5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합체는, 실리콘수지(Si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아크릴계수지(acrylic resin), 그 혼합물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용 충전제는, 제1평균입경을 갖는 제1충전, 제2평균입경을 갖는 제2충전제 및 제3평균입경을 갖는 제3충전제를 포함하고, 제1평균입경값은 10 내지 30㎛로 나머지 평균입경값들보다 크며, 제2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은 0.17 내지 0.26이고, 제3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은 0.09 내지 0.11이며, 상기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의 부피저항은 104Ωcm 이상 이고, 상기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는 단경/장경의 평균값이 0.6 내지 0.8이고, 상기 제2충전제 질량의 합/제1충전제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1 내지 16이거나 제3충전제 질량의 합/제1충전제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4.2 내지 5.2인 특성을 가지며, 알루미나(Al2O3),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마그네시아(MgO), 베릴리아(BeO), 산화아연(ZnO), 탄화규소(SiC), 지르코니아(ZrO2)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코팅제는, 무기도료조성물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10 내지 30 중량부 및 인산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기도료조성물은, 상기 코팅제 조성물들이 통과유로의 표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통과유로의 표면에 코팅시 내구성을 제공하고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인산은, 통과유로의 표면에 코팅시 처리가스나 외기 중의 먼지 등이 통과유로의 표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열코팅층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가 1:1의 부피비로 혼합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의 혼합 부피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통과유로에 도포된 후 경화시간 조절 및 무게평균분자량의 조절에 어려움이 발생되어 경화불량, 들뜸 및 물성 저하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고 이에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며, 또한, 이물질 흡착 방지 기능도 저하되어 열교환 성능이 저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폐수 무방류 세정집진장치(100)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예로, 세정하우징(110)이 구획벽(120)에 의해 3개의 챔버(130)를 가지고, 제1챔버(131)와 제3챔버(133)의 내부에는 각각 유해가스 중 산성 또는 염기성의 유해물질이나 유해물질 입자를 흡착 제거하기 위한 약액이 미립자 크기로 분무되는 초음파 분무장치(140) 및 유해가스와 약액이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수단(150)이 설치 구성된다.
여기서, 교반수단(150)은 유해가스공급수단(160)으로부터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에 고압으로 유해가스가 공급된 후 회전분사파이프(153)의 유해가스분사노즐(152)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통해 회전되어 챔버(130) 내부에 유해가스와 약액이 고르게 확산 및 교반되는 상태를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제1챔버(131)의 하측부에 유입구(111)로부터 유해가스가 유입되면 제1챔버(131)에서 초음파 분무장치(140)에 의해 상부를 향해 분무되는 미립자 크기의 약액에 의해 유해가스 중 일예로 산성 성분의 유해물질이 제거되고, 이어서 제2챔버(132)를 경유한 후 제3챔버(133)의 하측부에 유해가스가 유입되면 제3챔버(133)에서 초음파 분무장치(140)에 의해 상부를 향해 분무되는 미립자 크기의 약액에 의해 유해가스 중 일예로 염기성 성분의 유해물질이 제거된 후, 제3챔버(133)의 배출구(112)를 통해 유해물질이 제거 및 정화처리된 처리가스가 배출된다.
이후, 배출수단(240)의 급배기팬(242)의 구동에 따라 세정집진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처리가스가 열교환하우징(210)의 유입구(212)를 통해 본체(211)의 일측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처리가스는 일예로, 85℃ 내지 100℃ 정도의 고온 상태를 가진다.
이후, 처리가스는 본체(211)의 일측 내부로 유입된 후 열교환수단(220)을 통과하게 된 후, 유입로(213)를 따라 이동되어 본체(211)의 타측 내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처리가스는, 본체(211)의 내부 중간에서 본체(211)의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후 매직필터수단(230)에 의해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된 배기공기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낮아진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처리가스는 본체(211)의 타측 내부로부터 본체(211)의 내부 중간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본체(211)의 내부 중간에 외기투입구(214)를 통해 투입되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다.
여기서, 외기는 일예로, -5℃ 이하 및 60%의 상대습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처리가스는 매직필터수단(230)을 통과하면서 백연 및 미세먼지입자가 응결 또는 결로되면서 제거된 후 깨끗한 배기공기 상태가 된다.
여기서, 배기공기는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되는 과정에서 높은 습도를 가지게 된다.
이후,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된 깨끗한 배기공기가 열교환수단(220)을 통과하면서 열교환수단(220)을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처리가스와 열교환되어 건조되면서 습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후, 배출수단(240)에 의해 습도가 낮아진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저온의 외기와 접촉되더라도 온도차이에 의한 백연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하우징(110)이 사각 통체 구조를 가지고 구획벽(120)을 통해 복수개의 챔버(130)들이 다단으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와 같이, 높은 높이를 가지면서 설치되지 않아도 되어 위치 제약이 해소되어 다양한 산업시설에 간편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챔버(130) 내부에서 초음파 분무장치(140)에 의해 약액이 미립자 크기로 분무되는 것을 통하여 종래와 같이 고압으로 약액이 분사되는 것에 비해, 약액의 사용을 절감하면서도 정화처리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분무장치(140)를 통하여 약액이 미립자 크기로 분무되면서 유해가스 중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입자가 흡착된 후 침강되면서 탈진 및 중화처리됨에 따라 폐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정집진장치(100)에 의해 유해물질이 제거된 처리가스가 통체 구조의 열교환하우징(210)에 유입된 후 외기와 혼합되면서 액적이 성장된 후 매직필터수단(230)에 의해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되기 직전에 열교환수단(220)에 의해 처리가스와 열교환되면서 건조되어 습도가 낮아짐으로써, 외부로 배출되어 외기와 접촉되더라도 백연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통체 구조를 가지는 세정하우징(110);
    구획벽(120)에 의해 세정하우징(110)의 내부에 승강 구조의 유해가스 경로를 가지면서 연통 구성되고 유해가스가 세정하우징(110)의 외부로부터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며 세정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챔버(130);
    복수개의 챔버(130) 중 적어도 한 곳의 유해가스 유입측에 구성되고 약액을 진동을 통하여 미립자 크기로 분무시키는 초음파 분무장치(140);
    복수개의 챔버(130) 중 적어도 초음파 분무장치(140)가 구성되는 곳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세정하우징(110)에 유입되는 유해가스와 해당 챔버(130)의 내부에서 미립자 크기로 분무되는 약액이 교반되도록 하여 유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교반수단(150); 및
    교반수단(150)에 세정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유해가스 중 일부를 세정하우징(110) 내부에 고압으로 공급하여 교반수단(150)이 회전되도록 하는 유해가스공급수단(160)으로 구성된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100)와;
    통체 구조를 가지고 세정집진장치(100)로부터 백연 및 미세먼지를 포함한 처리가스가 유입된 후 이동되면서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 처리된 후 배기공기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 이동 및 처리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하우징(210);
    열교환하우징(210)의 내부 일측에 위치되고 열교환하우징(210)에 유입되는 처리가스와 상기 처리가스가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후 매직필터수단(230)에 의해 백연 및 미세먼지가 제거 처리된 상태의 배기공기가 상호간 열교환되도록 하여 배기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상승 및 하강시켜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시 백연이 저감되도록 하는 열교환수단(220);
    열교환하우징(210)의 내부 중간에 위치되고 열교환수단(220)에 의해 열교환된 후 외기와 혼합되어 백연화된 처리가스 중 백연 및 미세먼지 입자를 응축 및 결로를 통해 제거하여 깨끗한 배기공기 상태로 열교환수단(220)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매직필터수단(230); 및
    열교환하우징(210)의 열교환수단(220) 일측에 연통 구성되고 매직필터수단(230)과 열교환수단(220)에 의해 처리된 배기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챔버(130)는,
    제1구획벽(121)과 제2구획벽(122)을 통하여 제1챔버(131), 제2챔버(132) 및 제3챔버(133)가 연속적으로 구성되며,
    제1구획벽(121)과 제2구획벽(122)의 상측과 하측에는 유해가스가 상하 구조로 유입 및 배출되거나 하상 구조로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출입구(1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교반수단(150)은,
    챔버(130)의 중심부에 수직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 구성되는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에 다단 구조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에 연통 및 분기되며 단부의 유해가스분사노즐(152)을 통해 유해가스를 분사시켜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가 회전되도록 하고 미립자 크기로 분무되는 약액과의 교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회전분사파이프(153); 및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에 회전분사파이프(153)와 함께 교번 상태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유해가스공급파이프(151)의 회전시 챔버(130) 내부의 유체(유해가스 및 미립자 크기의 약액)가 회전운동되도록 하여 유해가스와 약액의 교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교반날개(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열교환하우징(210)은,
    통체 구조를 가지는 본체(211);
    본체(211)의 상면 외부 일측에 연통 구성되고 본체(211)의 내부에 세정집진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212);
    본체(211)의 하면 외부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통 구성되고 유입구(212)에 유입된 처리가스가 본체(211)의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유입로(213);
    본체(211)의 정면과 배면 외부 중간에 연통 구성되고 본체(211)의 내부에 외기가 투입되도록 하여 처리가스가 본체(211)의 일측으로 이동시 백연화되도록 하는 외기투입구(214);
    본체(211)의 우측면 외부 중간에 연통 구성되고 본체(211)로부터 배기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215); 및
    본체(211)의 정면 타측에 본체(211)의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출입도어(2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열교환수단(220)은,
    열교환하우징(210)의 유입구(212)와 유입로(213)의 일측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판형열교환기(PH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매직필터수단(230)은,
    데미스터필터(231)와 응축결로필터(2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순차적으로 배치 및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210014906A 2021-02-02 2021-02-02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255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906A KR102255511B1 (ko) 2021-02-02 2021-02-02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906A KR102255511B1 (ko) 2021-02-02 2021-02-02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511B1 true KR102255511B1 (ko) 2021-05-24

Family

ID=7615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906A KR102255511B1 (ko) 2021-02-02 2021-02-02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5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332B1 (ko) * 2021-06-03 2021-09-09 주식회사 누리플랜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2378807B1 (ko) * 2021-07-05 2022-03-25 서번산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생활계 생물성 및 산업계 연소성 가스 제거시스템
KR102573745B1 (ko) * 2022-09-23 2023-09-01 김규동 유해가스 및 분진 제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230A (ja) * 1992-06-05 1994-02-22 Tatsumi Kogyo Kk 気液接触装置
KR20110056059A (ko) * 2009-11-20 2011-05-26 오상복 습식 공기정화기
KR20180012453A (ko) * 2016-07-27 2018-02-06 안진훈 복층 구조의 습식 스크러버 및 상기 스크러버를 이용한 유해공기 정화방법
KR101911928B1 (ko) * 2018-02-27 2018-10-31 주식회사 누리플랜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KR102082487B1 (ko) * 2019-09-27 2020-02-27 주식회사 누리플랜 미세먼지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230A (ja) * 1992-06-05 1994-02-22 Tatsumi Kogyo Kk 気液接触装置
KR20110056059A (ko) * 2009-11-20 2011-05-26 오상복 습식 공기정화기
KR20180012453A (ko) * 2016-07-27 2018-02-06 안진훈 복층 구조의 습식 스크러버 및 상기 스크러버를 이용한 유해공기 정화방법
KR101911928B1 (ko) * 2018-02-27 2018-10-31 주식회사 누리플랜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KR102082487B1 (ko) * 2019-09-27 2020-02-27 주식회사 누리플랜 미세먼지저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332B1 (ko) * 2021-06-03 2021-09-09 주식회사 누리플랜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2378807B1 (ko) * 2021-07-05 2022-03-25 서번산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생활계 생물성 및 산업계 연소성 가스 제거시스템
KR102573745B1 (ko) * 2022-09-23 2023-09-01 김규동 유해가스 및 분진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511B1 (ko)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CN1918369B (zh) 使用离心式叶轮的湿型空气净化装置
RU2372500C2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мокрого типа и аппарат мокрого типа для очистки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использующие центробежное рабочее колесо
CN206404595U (zh) 一种涂装废气处理装置
CN207170098U (zh) 喷漆房废气处理装置和喷漆房
CN108211732A (zh) 一种脱硫设备
KR20160049782A (ko) 선박용 스크러버
CA2553925A1 (en) Paint spray booth
KR102223916B1 (ko) 폐수 무방류 세정집진장치
KR102264531B1 (ko)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CN207012797U (zh) 一种用于废气处理的一体化净化柜
CN210544082U (zh) 一种热交换式余热回收废气净化装置
CN104668141A (zh) 一种环保型喷漆室
CN1259996C (zh) 废气净化装置
WO1998045031A1 (fr) Appareil melangeur
KR102255505B1 (ko) 다단식 스크러버
JP2006175336A (ja) 湿式ガス浄化装置
CN211585818U (zh) 用于实验室的高效废气处理装置
KR200148745Y1 (ko) 탈 가스 세정기
KR100456911B1 (ko) 반건식 세정장치를 구비한 유해가스 제거장치
KR0114882Y1 (ko) 소각기의 유독가스정화장치
CN205746941U (zh) 一种废气处理设备
CN216855994U (zh) 处理含油VOCs气体的除尘器
CN201844408U (zh) 多功能烟囱
CN216321085U (zh) 一种节能隧道窑烟气脱硝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