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928B1 -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928B1
KR101911928B1 KR1020180023439A KR20180023439A KR101911928B1 KR 101911928 B1 KR101911928 B1 KR 101911928B1 KR 1020180023439 A KR1020180023439 A KR 1020180023439A KR 20180023439 A KR20180023439 A KR 20180023439A KR 101911928 B1 KR101911928 B1 KR 10191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smoke
fog
mist
exhaus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성
이성균
이규홍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180023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한 통체 구조를 가지고 일단의 흡입구를 통해 백연 및 안개가 흡입되고 타단의 배출구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흡입구 후단부에 구성되고 흡입구로 흡입된 백연 및 안개를 향해 음이온을 분사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 또는 백연 및 안개 입자 속에 포함된 분진 및 악취 분자가 음이온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음이온분사부; 음이온분사부의 후단부 또는 동일한 위치에 구성되고 음이온화된 백연 및 안개 입자를 향해 물이나 미스트를 분사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되는 것을 통한 액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여 집수탱크로 침강 제거되도록 하는 미스트분사부; 음이온분사부의 전단부, 음이온분사부와 미스트분사부의 사이 및 미스트분사부의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되어 백연 및 안개에 포함된 분진이나 악취 및 수분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분진제거필터부; 및 하우징의 배출구 전단부에 구성되고 배출구를 향해 배기되는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유도되면서 냉각되는 배기로(排氣路) 구조를 제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 또는 결로되어 집수탱크로 침강 제거되도록 하는 냉각결로필터부를 포함하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White smoke and smog elimin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백연이나 안개 입자를 수평한 통체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 내부로 흡입한 후 상기 백연이나 안개 입자에 미스트와 음이온을 분사시키고 백연이나 안개 입자의 액적을 성장시켜 하우징의 하부로 백연이나 안개 입자가 침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필터에 의해 흡착 및 응결되는 것을 통하여 백연 및 안개의 신속한 제거와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주조 공정시 직접냉각장치를 통해 중간소재나 설비를 냉각시키는데, 일예로, 직접냉각장치에서 물을 냉각수로 이용하여 슬래브, 블룸, 빌렛 등의 중간소재나 이러한 중간소재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를 냉각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물을 냉각수로 이용한 냉각 공정시 수증기가 발생되고, 이러한 수증기는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굴뚝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수증기의 경우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굴뚝으로 배출시 백연 현상이 발생된다.
한편, 안개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공기와 맞닿아 응결되어 발생하는 것으로서, 산업현장에서 해당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안개에 의해 시정이 감소하게 되어 여러 가지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126022호 등에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종래의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는, 수직한 통체 구조의 하우징 하단으로 유입된 백연 및 안개가 상단으로 토출되는 구성을 가지고, 이때,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백연 및 안개에 물을 분사하여 액적이 성장되도록 하는 분사유닛 등이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는, 상기와 같이, 하우징이 수직한 통체 구조를 가지고 이때, 하우징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이동하는 백연 및 안개에 물이 분사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물의 분사 방향이 백연 및 안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저항되는 방향을 가지게 되어 백연 및 안개의 이동 속도가 크게 저하되고 이에, 제거되는 백연 및 안개의 양에 비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백연 및 안개의 양이 많아지게 되어 백연 및 안개가 유입측으로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단순히 백연 및 안개에 물을 분사시켜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침강되는 구조는 백연 및 안개의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상태로 외부로 흰 기체 색상으로 배출되어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과 같은 시각적 부담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한 통체 구조의 하우징에 흡입된 백연 및 안개가 음이온 및 미스트에 의해 액적이 성장되도록 한 후 하우징의 하부로 침강되는 것을 통해 백연 및 안개가 신속하게 제거되고 역류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연 및 안개 입자의 분진과 악취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유도되면서 냉각되는 배기로(排氣路) 구조를 제공하고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 또는 결로되는 것을 통해 하우징의 하부로 침강 및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된 배기로 구조 주변에 방향성을 가지는 공기 진동을 제공하고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상기 배기로 구조로 배기되도록 유도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 중 유해가스는 배기로 이외의 공간으로 신속하게 배기되도록 하면서 백연 및 안개 입자는 배기로 구조에 의해 응축 또는 결로되어 하우징 하부로 침강 및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한 통체 구조를 가지고 일단의 흡입구를 통해 백연 및 안개가 흡입되고 타단의 배출구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흡입구 후단부에 구성되고 흡입구로 흡입된 백연 및 안개를 향해 음이온을 분사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 또는 백연 및 안개 입자 속에 포함된 분진 및 악취 분자가 음이온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음이온분사부; 음이온분사부의 후단부 또는 동일한 위치에 구성되고 음이온화된 백연 및 안개 입자를 향해 물이나 미스트를 분사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되는 것을 통한 액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여 집수탱크로 침강 제거되도록 하는 미스트분사부; 음이온분사부의 전단부, 음이온분사부와 미스트분사부의 사이 및 미스트분사부의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되어 백연 및 안개에 포함된 분진이나 악취 및 수분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분진제거필터부; 및 하우징의 배출구 전단부에 구성되고 배출구를 향해 배기되는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유도되면서 냉각되는 배기로(排氣路) 구조를 제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 또는 결로되어 집수탱크로 침강 제거되도록 하는 냉각결로필터부를 포함하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는, 냉각결로필터부가 구성되는 하우징에 설치되고 냉각결로필터부의 주변에 방향성을 가지는 공기 진동을 제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냉각결로필터부로 배기 유도되도록 하는 음향발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진제거필터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일체 구성되거나 설치공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필터케이스; 필터케이스의 정면과 배면에 관통 형성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가 필터케이스의 내부를 출입하도록 하는 다수의 출입공; 및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구성되어 출입공을 통해 필터케이스 내부를 출입하는 수증기에 포함된 분진이나 수분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다공성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결로필터부는, 하우징의 내주면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중심부에 수증기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플랜지패널; 플랜지패널의 일면으로부터 배출공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통체 구조로 연장 형성되고 표면에 수증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배기공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는 수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배기필터통; 플랜지패널의 일면으로부터 배출공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면서 통체 구조로 연장 형성되고 표면에 다수개의 결로공이 배기공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의 이동시 배기공을 통해 배기필터통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가 결로공을 통해 내부로 유입시 응축되도록 하여 집수탱크로 침강되도록 하는 결로필터통; 배기필터통과 결로필터통의 개구단을 폐쇄시켜 수증기가 배기공과 결로공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차단판; 플랜지패널의 타면으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배출공에 연통된 공간을 제공하는 연통; 및 연통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고 배기필터통 외부와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백연 및 안개 수증기가 배기공과 결로공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여 배기필터통과 결로필터통 사이에 응축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결로필터부는, 배기필터통이나 차단판에 설치 구성되어 배기필터통과 결로필터통에 진동을 발생시켜 냉각결로필터부에 흡착되는 분진이나 수분이 탈기되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향발진부는, 백연 및 안개 입자가 배기통을 향해 유도되도록 하는 지향성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한 통체 구조의 하우징에 흡입된 백연 및 안개가 음이온 및 미스트에 의해 액적이 성장되도록 한 후 하우징의 하부로 침강되는 것을 통해 백연 및 안개가 신속하게 제거되고 역류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백연 및 안개 입자의 분진과 악취 및 수분이 분진제거필터에 의해 흡착 및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유도되면서 냉각되는 냉각결로필터에 의해 배기로(排氣路) 구조가 제공됨으로써,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 또는 결로되고 하우징의 하부로 침강 및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의 냉각결로필터 주변에 음향발진 스피커가 구성되고 방향성을 가지는 공기 진동이 제공됨으로써,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상기 냉각결로필터로 배기 유도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 중 유해가스는 배기로 이외의 공간으로 신속하게 배기되도록 하면서 백연 및 안개 입자는 응축 또는 결로되어 하우징 하부로 침강 및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에 있어서 냉각결로필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에 있어서 냉각결로필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도 1의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에 있어서 분진제거필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는, 수평한 통체 구조를 가지고 일단의 흡입구(111)를 통해 백연 및 안개가 흡입되고 타단의 배출구(112)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흡입구(111) 후단부에 구성되고 흡입구(111)로 흡입된 백연 및 안개를 향해 음이온을 분사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 또는 백연 및 안개 입자 속에 포함된 분진 및 악취 분자가 음이온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음이온분사부(120), 음이온분사부(120)의 후단부 또는 동일한 위치에 구성되고 음이온화된 백연 및 안개 입자를 향해 물이나 미스트를 분사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되는 것을 통한 액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여 집수탱크(114)로 침강 제거되도록 하는 미스트분사부(130), 음이온분사부(120)의 전단부, 음이온분사부(120)와 미스트분사부(130)의 사이 및 미스트분사부(130)의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되어 백연 및 안개에 포함된 분진이나 악취 및 수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분진제거필터부(140) 및 하우징(110)의 배출구(112) 전단부에 구성되고 배출구(112)를 향해 배기되는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유도되면서 냉각되는 배기로(排氣路) 구조를 제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 또는 결로되어 집수탱크(114)로 침강 제거되도록 하는 냉각결로필터부(15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는, 냉각결로필터부(150)가 구성되는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냉각결로필터부(150)의 주변에 방향성을 가지는 공기 진동을 제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냉각결로필터부(150)로 배기 유도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 중 유해가스는 배기로 이외의 공간으로 신속하게 배기되도록 하면서 백연 및 안개 입자는 응축 또는 결로되어 집수탱크(114)로 침강 및 제거되도록 하는 음향발진부(16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는, 하우징(110) 내부의 흡입구(111)로부터 배출구(112) 사이의 해당 위치에 설치 구성되어 백연 및 안개의 이동 속도, 습도를 통한 미스트의 공급량과 음이온 및 외기의 공급량 등을 센싱하는 센서부(170), 하우징(110) 내부의 배출구(112) 측에 구성되어 분진제거필터부(140)와 냉각결로필터부(150)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백연 및 안개 입자 중의 유해가스를 최종적으로 필터링 하는 흡착필터부(180) 및 센서부(170)의 센싱 정보를 토대로 상기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상기 구성부들이 콤팩트하게 설치 구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통체 형상을 통하여 일단의 흡입구(111)를 통해 백연 및 안개가 흡입팬(F)을 통해 흡입되고 타단의 배출구(112)를 통해 백연 및 안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체가 배출된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하측부에 캐스터 등의 설치시 백연 및 안개 발생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서치라이트의 설치시 야간에도 백연 제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공지의 안개소산장치의 외기 흡입단 등에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에 의하면, 백연 및 안개 발생 위치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스탠드 타입이 아니고 백연 및 안개 발생 위치에 수평하게 위치되는 덕트 타입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우징(110)에 유입된 백연 및 안개에 분사되는 미스트가 백연 및 안개의 이동 방향에 대해 측면에서 분사된다. 이에, 종래와 같이 하우징(110)이 수직한 경우 백연 및 안개에 분사되는 미스트가 백연 및 안개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에 비해, 백연 및 안개의 이동 방향에 따른 저항이 감소되어 백연 및 안개가 역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에 백연 및 안개가 이동하는 유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액적 성장할 시간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백연 및 안개 제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하우징(110)의 하측단에 음이온화된 응결핵과의 결합에 따른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탱크(114)가 메쉬 등의 분리수단을 경계로 구성되는데, 집수탱크(114)에는 드레인밸브를 통해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별도의 연결관을 통하여 미스트분사부(130)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부가 구성될 수 있다.
음이온분사부(120)는, 하우징(110)의 흡입구(111) 후단부에 구성되고 흡입구(111)로 흡입된 백연 및 안개를 향해 음이온을 분사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 또는 백연 및 안개 입자 속에 포함된 분진 및 악취 분자가 음이온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액적성장공간(113)에 음이온을 분사시켜 상기 백연 및 안개 입자 또는 백연 및 안개 입자 속에 포함된 분진이나 악취 분자들이 음이온 상태를 가지도록 하고 미스트와 결합시 액적이 성장되어 그 무게에 의해 침강 제거되도록 하는 음이온발생기(121)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음이온분사부(120)에 의하면, 음이온이 액적성장공간(113)에 분사됨으로써,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음이온화된 상태를 가지고 악취 분자 등이 음이온과 결합되어 탈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음이온화 됨으로써, 후술된 미스트분사부(130)로부터 미스트 분사시 미스트와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백연 및 안개 입자의 액적이 성장되어 집수탱크(114)로 침강 및 제거되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미스트분사부(130)는, 음이온분사부(120)의 후단부 또는 동일한 위치에 구성되고 음이온화된 백연 및 안개 입자를 향해 물이나 미스트를 분사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되는 것을 통한 액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여 집수탱크(114)로 침강 제거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하우징(110) 내주면을 따라 고리 또는 틀 구조로 설치되는 분사파이프(131)와, 분사파이프(131)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단면적에 물 또는 미스트를 분사하여 미스트 커튼이 제공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132)을 포함한다.
여기서, 미스트분사부(130)는, 하우징(110)의 흡입구(111) 후단부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 구성되어 복수회에 걸쳐 백연 및 안개의 수증기가 응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미스트분사부(130)는, 전단부에 위치된 미스트분사부(130)로부터는 3㎛의 액적 크기를 가지는 미스트가 분사되고, 후단부에 위치된 미스트분사부(130)로부터는 10㎛의 액적 크기를 가지는 미스트가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음이온화된 백연 및 안개 입자들이 먼저 작은 크기를 가지는 미스트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액적 성장되고 이후, 큰 크기를 가지는 미스트에 의해 보다 큰 크기로 액적 성장되도록 하여 미스트에 접촉되는 백연 및 안개 입자의 양을 증대시키고 응축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스트분사부(130)에 의하면, 백연 및 안개가 흡입되고 이동되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복수개의 미스트 커튼이 제공됨으로써, 백연 및 안개의 응축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분진제거필터부(140)는, 음이온분사부(120)의 전단부, 음이온분사부(120)와 미스트분사부(130)의 사이 및 미스트분사부(130)의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되어 백연 및 안개에 포함된 분진이나 악취 및 수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하우징(110)의 내부에 일체 구성되거나 설치공(미도시)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하우징(110)의 중공에 대응된 면적을 가지는 통체 구조의 필터케이스(141), 필터케이스(141)의 정면과 배면에 관통 형성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 등의 수증기가 필터케이스(141)의 내부를 출입하도록 하는 다수의 출입공(142) 및 필터케이스(14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구성되어 출입공(142)을 통해 필터케이스(141) 내부를 출입하는 수증기에 포함된 분진이나 수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다공성필터(143)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분진제거필터부(140)에 의하면, 백연 및 안개 입자들이 흡착 제거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후술된 냉각결로필터부(150)를 향해 이동되는 수증기에 포함된 분진이나 수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다공성필터(143)에 의해 최종적으로 흡착 제거됨으로써, 냉각결로필터부(150)의 배기로 구조에 따라 백연 및 안개 입자들의 이동이 정체되더라도 냉각결로필터부(150)의 내부에 수분이나 분진이 흡착 및 퇴적되어 응축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분진제거필터부(140)에 의하면, 필터케이스(141)나 다공성필터(143) 모두 세척이 가능한 재질이나 구조를 가짐으로써, 흡착 및 퇴적된 오염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분진제거필터부(140)는, 필터케이스(141)의 상측부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세척노즐(144)의 구성을 더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필터케이스(141)의 하측부에 세척수와 오염물질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공(145)이 더 형성되어 다공성필터(143)에 퇴적되는 오염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분진제거필터부(140)는, 하우징(110) 내부에 복수개가 구성되는 경우 후단부로 갈수록 다공성필터(143)의 다공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다공성필터(143)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백연 및 안개 입자의 크기가 미세하게 작아지더라도 필터링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냉각결로필터부(150)는, 하우징(110)의 배출구(112) 측에 구성되고 배출구(112)를 향해 배기되는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유도되면서 냉각되도록 하는 배기로(排氣路) 구조를 제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 또는 결로되어 집수탱크(114)로 침강 제거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하우징(110)의 내주면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중심부에 수증기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배출공(151a)이 소정의 면적으로 개구 형성된 플랜지패널(151), 플랜지패널(151)의 일면으로부터 배출공(151a)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통체 구조로 연장 형성되고 표면에 수증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배기공(152a)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배출구(112)를 향해 이동되는 수증기(침강 및 흡착을 통해 제거되지 않은 백연 및 안개 입자를 포함)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배기필터통(152), 플랜지패널(151)의 일면으로부터 배출공(151a)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면서 통체 구조로 연장 형성되고 표면에 다수개의 결로공(153a)이 배기공(152a)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의 이동시 배기필터통(152)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음압(陰壓)에 의해 소정 온도로 냉각되어 배기공(152a)을 통해 배기필터통(152)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가 결로공(153a)을 통해 내부로 유입시 응축되도록 하여 집수탱크(114)로 침강되도록 하는 결로필터통(153), 배기필터통(152)과 결로필터통(153)의 개구단을 폐쇄시켜 수증기가 배기공(152a)과 결로공(153a)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차단판(154), 플랜지패널(151)의 타면으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배출공(151a)에 연통된 공간을 제공하는 연통(155), 연통(155)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고 배기필터통(152) 외부와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백연 및 안개 수증기가 배기공(152a)과 결로공(153a)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여 배기필터통(152)과 결로필터통(153) 사이에 응축 현상이 발생되도록 음압(陰壓)을 제공하는 배기팬(156) 및 배기필터통(152)이나 차단판(154)에 설치 구성되어 배기필터통(152)과 결로필터통(153)에 진동을 발생시켜 냉각결로필터부(150)에 흡착되는 분진이나 수분 등이 탈기되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157)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냉각결로필터부(150)는, 하우징(110)의 배출구(112) 측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삽입 및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복수개가 연속하여 구성되어 배출구(112)로 배출되기 전 최종적으로 수증기에 포함된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결로필터부(150)에 의하면, 수증기가 큰 직경을 가지는 배기공(152a)을 경유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결로공(153a)으로 이동시, 배기필터통(152)의 외부는 양압(陽壓) 상태를 가지게 되고 배기필터통(152) 내부는 배기팬(156)의 동작에 의하여 음압(陰壓) 상태를 가지게 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는 배기필터통(152)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고속 이동되고, 이에 결로필터통(153)이 소정 온도로 냉각되어 수증기가 결로필터통(153)의 표면에 응축 또는 결로된 뒤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구성된 집수탱크(114)로 침강되어 상기 수증기에 오염 입자가 포함되더라도 배출구(112)로 배출되기 전에 최종적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기필터통(152)이나 차단판(154)에 바이브레이터(157)가 구성되는 경우, 연통(155)에 진동이 발생되어 배기팬(156)의 동작 수명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기팬(156)이 구성되는 연통(155)은 자바라 덕트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기필터통(152)은 진동방지패드(미도시) 등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필터통(152)과 결로필터통(153)의 경우 응축된 수증기의 결정체가 하측단으로 집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랜지패널(151)에 연장된 일단이 차단판(154)에 연장된 타단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면서 비스듬하게 구성되는 것이 좋고, 차단판(154)에는 응축에 따라 발생된 물이 배수되는 드레인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냉각결로필터부(15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기필터통(152)과 결로필터통(153)이 평행한 상태로 위치됨에 따라 배기공(152a)과 결로공(153a)을 통해 수증기가 유입되는 경우 수증기의 진행방향과 배기공(152a) 및 결로공(153a)이 수직하여 정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결로필터부(150)는, 배기필터통(152)과 결로필터통(153)이 플랜지패널(151)에 연장된 일단이 차단판(154)에 연장된 타단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비스듬하게 구성되어, 수증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위치에 배기공(152a)과 결로공(153a)이 위치되도록 하고, 이에, 정체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결로필터부(15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2개 이상이 연속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대적으로 앞쪽에 위치된 냉각결로필터부(150-1)의 플랜지패널(151)에는 복수개의 유로공(151b)이 형성되어 수증기의 일부는 배기공(152a)과 결로공(153a)을 통해 배기되도록 하고, 수증기의 나머지는 유로공(151b)을 통해 상대적으로 뒤쪽에 위치된 냉각결로필터부(150-2)를 향해 신속하게 배기되도록 하여, 수증기의 양이 냉각결로필터부(150)의 처리용량 보다 많더라도 다음 단에 위치된 냉각결로필터부(150-2)를 향해 배기되도록 하여 수증기의 정체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결로필터부(150)는, 보다 확장된 면적을 가지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복수개 일예로, 4개 이상이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증기의 양이 냉각결로필터부(150)의 처리용량 보다 많아서 발생되는 수증기의 정체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발진부(160)는, 냉각결로필터부(150)가 구성되는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냉각결로필터부(150)의 주변에 방향성을 가지는 공기 진동을 제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냉각결로필터부(150)로 배기 유도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 중 유해가스는 배기로 이외의 공간으로 신속하게 배기되도록 하면서 백연 및 안개 입자는 응축 또는 결로되어 집수탱크(114)로 침강 및 제거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배기필터통(152)과 전후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의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 구성되고 백연 및 안개 입자를 향해 방향성을 가진 공기 진동을 제공하여 배기통(152)과 하우징(110)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백연 및 안개 입자의 운동 방향이 배기통(152)을 향하도록 백연 및 안개 입자들의 움직임을 활성화시키고 냉각결로필터부(150)와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커튼 또는 충격파 발생 기능을 제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배기통(152)을 향해 유도되도록 하는 지향성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향성스피커가 설치되는 하우징(110)에는 외부로부터 건조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과 외기유입팬 등을 포함하는 외기분사부(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증발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70)는, 하우징(110) 내부의 흡입구(111)로부터 배출구(112) 사이의 해당 위치에 설치 구성되어 백연 및 안개의 이동 속도, 습도를 통한 미스트의 공급량과 음이온 및 외기의 공급량 등을 센싱하는 수단으로서, 공지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흡착필터부(180)는, 하우징(110) 내부의 배출구(112) 측에 구성되어 분진제거필터부(140)와 냉각결로필터부(150)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백연 및 안개 입자 중의 유해가스를 최종적으로 필터링 하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백연 및 안개 통과유로가 좌우로 관통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백연 및 안개 통과유로 입구 위치에서 그 상하면에 방전홀이 관통 형성된 구조의 집진체에 전기장을 형성하는 집진전극을 포함하는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의 백연 및 안개 통과유로 입구에 일체로 구성되어 백연 및 안개 통과유로의 입구로 유입된 백연 및 안개에 코로나 방전을 수행하는 방전기와, 집진기와 방전기 사이에 구성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를 흡착하는 메쉬필터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흡착필터부(180)는, 공지의 전기식 대전 필터의 구성을 가지는 것을 통하여 음이온화 상태의 분진 및 악취 분자가 흡착 제거될 수도 있으며,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흡착필터부(180)에 의하면, 냉각결로필터부(150)와 하우징(110)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는 백연 및 안개 중의 분진이나 악취 분자가 최종적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백연 및 안개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를 이용한 백연 및 안개의 제거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백연 및 안개가 발생되는 위치로 수평한 통체 구조의 하우징(110) 흡입구(111)가 위치된 후, 흡입팬(F)이 구동되어 백연 및 안개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되고 배출구(112)를 향해 이동된다.
이후, 음이온분사부(120)에 의해 백연 및 안개 입자를 향해 음이온이 분사되고 이에,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음이온화되며 이때, 백연 및 안개 입자에 포함된 분진이나 악취 분자가 음이온화 되는 것을 통해 배출구(112) 측으로 이동시 흡착필터 등에 의해 탈취 및 제거된다.
이후, 미스트분사부(130)에 의해 음이온화된 백연 및 안개 입자에 물 또는 미스트가 분사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 및 액적 성장되면서 집수탱크(114)로 집수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제거된다.
즉, 음이온 상태의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액적성장공간(113)으로 이동되면서 물이나 미스트 입자와 결합되는 것을 통해 무게가 무거워지게 되고 이에,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집수탱크(114)로 침강 및 제거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의 음이온분사부(120)와 미스트분사부(130)의 주위에 분진제거필터부(140)가 구성됨에 따라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백연 및 안개 입자들이 흡착 제거되고, 이에, 냉각결로필터부(150)를 향해 이동되는 수증기에 포함된 분진이나 수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의 양이 최소화되어, 냉각결로필터부(150)의 배기로 구조에 따라 백연 및 안개 입자들의 이동이 정체되더라도 냉각결로필터부(150)의 내부에 수분이나 분진이 흡착 및 퇴적되어 응축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된다.
이후, 냉각결로필터부(150)에 의해 수증기가 큰 직경을 가지는 배기공(152a)을 경유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결로공(153a)으로 이동시, 배기필터통(152) 외부의 압력은 양압(陽壓) 상태를 가지게 되고 배기필터통(152) 내부의 압력은 음압(陰壓) 상태를 가지게 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는 배기필터통(152)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고속 이동되고, 이에 결로필터통(153)이 소정 온도로 냉각되어 수증기가 결로필터통(153)의 표면에 응축 또는 결로된 뒤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구성된 집수탱크(114)로 침강되어 제거된다.
이때, 냉각결로필터부(150)가 구성되는 하우징(110)에 음향발진부(160)가 설치됨에 따라 냉각결로필터부(150)의 주변에 방향성을 가지는 공기 진동을 제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냉각결로필터부(150)로 배기 유도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 중 유해가스는 배기로 이외의 공간으로 신속하게 배기되도록 하면서 백연 및 안개 입자는 응축 또는 결로되어 집수탱크(114)로 침강 및 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에 의하면, 수평한 통체 구조의 하우징(110)에 흡입된 백연 및 안개가 음이온 및 미스트에 의해 액적이 성장되도록 한 후 하우징의 하부로 침강되는 것을 통해 백연 및 안개가 신속하게 제거되고 역류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백연 및 안개 입자의 분진과 악취가 분진제거필터부(140)에 의해 흡착 및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 백연 및 안개 입자가 고속으로 이동되면서 냉각되는 냉각결로필터부(150)에 의해 배기로(排氣路) 구조가 제공됨으로써,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 또는 결로되고 하우징의 하부로 침강 및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의 냉각결로필터부(150) 주변에 음향발진부(160)가 구성되고 방향성을 가지는 공기 진동이 제공됨으로써, 백연 및 안개 입자가 냉각결로필터부(150)로 배기 유도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 중 유해가스는 배기로 이외의 공간으로 신속하게 배기되도록 하면서 백연 및 안개 입자는 응축 또는 결로되어 하우징(110) 하부로 침강 및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수평한 통체 구조를 가지고 일단의 흡입구(111)를 통해 백연 및 안개가 흡입되고 타단의 배출구(112)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흡입구(111) 후단부에 구성되고 흡입구(111)로 흡입된 백연 및 안개를 향해 음이온을 분사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 분진 및 악취 분자가 음이온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음이온분사부(120);
    음이온분사부(120)의 후단부 또는 동일한 위치에 구성되고 음이온화된 백연 및 안개 입자를 향해 물이나 미스트를 분사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되는 것을 통한 액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여 집수탱크(114)로 침강 제거되도록 하는 미스트분사부(130);
    음이온분사부(120)의 전단부, 음이온분사부(120)와 미스트분사부(130)의 사이 및 미스트분사부(130)의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되어 백연 및 안개에 포함된 분진이나 악취 및 수분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분진제거필터부(140); 및
    하우징(110)의 배출구(112) 전단부에 구성되고 배출구(112)를 향해 배기되는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유도되면서 냉각되는 배기로(排氣路) 구조를 제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응축 또는 결로되어 집수탱크(114)로 침강 제거되도록 하는 냉각결로필터부(150)를 포함하고,
    냉각결로필터부(150)는,
    하우징(110)의 내주면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중심부에 수증기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배출공(151a)이 형성된 플랜지패널(151);
    플랜지패널(151)의 일면으로부터 배출공(151a)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통체 구조로 연장 형성되고 표면에 수증기가 유입되는 복수개의 배기공(152a)이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배출구(112)를 향해 이동되는 수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배기필터통(152);
    플랜지패널(151)의 일면으로부터 배출공(151a)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면서 통체 구조로 연장 형성되고 표면에 다수개의 결로공(153a)이 배기공(152a)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의 이동시 배기공(152a)을 통해 배기필터통(152)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가 결로공(153a)을 통해 내부로 유입시 응축되도록 하여 집수탱크(114)로 침강되도록 하는 결로필터통(153);
    배기필터통(152)과 결로필터통(153)의 개구단을 폐쇄시켜 수증기가 배기공(152a)과 결로공(153a)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차단판(154);
    플랜지패널(151)의 타면으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배출공(151a)에 연통된 공간을 제공하는 연통(155); 및
    연통(155)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고 배기필터통(152) 외부와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백연 및 안개 수증기가 배기공(152a)과 결로공(153a)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여 배기필터통(152)과 결로필터통(153) 사이에 응축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배기팬(1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결로필터부(150)가 구성되는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냉각결로필터부(150)의 주변에 방향성을 가지는 공기 진동을 제공하여 백연 및 안개 입자가 냉각결로필터부(150)로 배기 유도되도록 하는 음향발진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진제거필터부(14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일체 구성되거나 설치공(미도시)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필터케이스(141);
    필터케이스(141)의 정면과 배면에 관통 형성되어 백연 및 안개 입자가 필터케이스(141)의 내부를 출입하도록 하는 다수의 출입공(142); 및
    필터케이스(14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구성되어 출입공(142)을 통해 필터케이스(141) 내부를 출입하는 수증기에 포함된 분진이나 수분이 흡착 제거되도록 하는 다공성필터(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분진제거필터부(140)는,
    필터케이스(141)의 상측부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세척노즐(144)과;
    필터케이스(141)의 하측부에 세척수와 오염물질이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공(1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냉각결로필터부(150)는,
    배기필터통(152)이나 차단판(154)에 설치 구성되어 배기필터통(152)과 결로필터통(153)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15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냉각결로필터부(150)는,
    배기필터통(152)에 바이브레이터(157)가 구성되는 경우,
    배기팬(156)이 구성되는 연통(155)은 자바라 덕트 구조를 가지고,
    배기필터통(152)은 진동방지구조로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음향발진부(160)는,
    백연 및 안개 입자가 배기통(152)을 향해 유도되도록 하는 지향성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KR1020180023439A 2018-02-27 2018-02-27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KR101911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439A KR101911928B1 (ko) 2018-02-27 2018-02-27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439A KR101911928B1 (ko) 2018-02-27 2018-02-27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928B1 true KR101911928B1 (ko) 2018-10-31

Family

ID=6409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439A KR101911928B1 (ko) 2018-02-27 2018-02-27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92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8607A (zh) * 2019-01-23 2019-05-07 南京西普水泥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尾气脱白装置
KR102082487B1 (ko) * 2019-09-27 2020-02-27 주식회사 누리플랜 미세먼지저감장치
KR102097748B1 (ko) * 2020-01-03 2020-04-06 주식회사 누리플랜 미세먼지저감장치
KR20210025873A (ko) * 2019-08-28 2021-03-10 스마클(주) 미세 먼지 제거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21060886A1 (ko) * 2019-09-27 2021-04-01 주식회사 누리플랜 미세먼지저감장치
KR102255511B1 (ko) * 2021-02-02 2021-05-24 주식회사 누리플랜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5974A (ja) 2012-01-31 2013-08-15 Tsukishima Kikai Co Ltd 加圧流動炉システム
KR101556780B1 (ko) 2015-04-23 2015-10-02 주식회사 누리플랜 이동식 안개소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5974A (ja) 2012-01-31 2013-08-15 Tsukishima Kikai Co Ltd 加圧流動炉システム
KR101556780B1 (ko) 2015-04-23 2015-10-02 주식회사 누리플랜 이동식 안개소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8607A (zh) * 2019-01-23 2019-05-07 南京西普水泥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尾气脱白装置
KR20210025873A (ko) * 2019-08-28 2021-03-10 스마클(주) 미세 먼지 제거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283208B1 (ko) 2019-08-28 2021-07-29 스마클(주) 미세 먼지 제거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82487B1 (ko) * 2019-09-27 2020-02-27 주식회사 누리플랜 미세먼지저감장치
WO2021060886A1 (ko) * 2019-09-27 2021-04-01 주식회사 누리플랜 미세먼지저감장치
KR102097748B1 (ko) * 2020-01-03 2020-04-06 주식회사 누리플랜 미세먼지저감장치
KR102255511B1 (ko) * 2021-02-02 2021-05-24 주식회사 누리플랜 폐수 무방류 유해가스 세정집진장치가 적용된 백연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928B1 (ko)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KR101959628B1 (ko) 공기 청정을 위한 샤워필터
JP3979430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959980B1 (ko) 필터 없는 미세먼지 제거기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050063592A (ko) 공기청정기
JP2012525258A (ja) 湿式空気浄化装置
JP5040612B2 (ja) 空気浄化装置
KR101960890B1 (ko)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용 냉각결로필터수단
JP4329657B2 (ja) ガス清浄装置
KR20180107656A (ko) 공기 청정기
KR101867848B1 (ko)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CN202803044U (zh) 空气净化器
KR20110001637A (ko) 공기정화장치
KR101532936B1 (ko) 복합전기집진 구조를 갖는 인테리어형 클린흡연부스
KR101911924B1 (ko)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용 냉각결로필터수단
CN111871121A (zh) 一种机械制造用金属粉尘吸收装置
KR101247807B1 (ko)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바닥판
KR101592433B1 (ko) 공기청정기
KR20200115845A (ko) 미세 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569244B1 (ko) 미세먼지용 공기정화장치
ES2284843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la purificacion de aire de salida contaminado.
KR101573398B1 (ko) 하이브리드 환기구조를 갖는 흡연부스
KR101857158B1 (ko) 백연제거장치
KR102159546B1 (ko) 필터 없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