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244B1 -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 장치 - Google Patents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244B1
KR102255244B1 KR1020200177810A KR20200177810A KR102255244B1 KR 102255244 B1 KR102255244 B1 KR 102255244B1 KR 1020200177810 A KR1020200177810 A KR 1020200177810A KR 20200177810 A KR20200177810 A KR 20200177810A KR 102255244 B1 KR102255244 B1 KR 102255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hole
plate
filter pad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우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트컴퍼니
박건우
강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트컴퍼니, 박건우, 강지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트컴퍼니
Priority to KR102020017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7Filter elements installed in a branch of a pipe, e.g. with an y-shaped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01D46/005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with translation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리지점에서 발생된 연기와 증기가 흡기구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연기와 증기에 포함된 기름성분이 걸러진 상태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흡기덕트 내부면의 오염 가능성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흡기덕트 내부의 이물질이 아래로 하강하더라도 흡기 외부로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필터장치 자체 구조 및 흡기덕트와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적용과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필터장치 설치로 인한 흡기력 저하 현상을 최소화 하되 충분한 필터링 효과 및 이물질 차단효과도 함께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바비큐 용 흡기덕트에도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교체구조를 최대한 간소화 함으로써, 교체 관련된 번거로움으로 인한 관리 소홀화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Description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 장치{Filter device for air intake ducts and air intake duct equipment}
본 발명은 식당 등에서 바비큐 등의 가열 조리 시 발생되는 연기와 증기를 흡기 배출하는 흡기덕트 장치 및 해당 흡기덕트 장치에 설치되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기 과정에서 연기 및 증기에 포함된 기름성분의 필터링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기덕트 내부의 오염을 최소화 하고 이를 통해 흡기장치의 수명연장 효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필터패드와 통공판 간의 연결구조와 필터장치의 설치구조를 개선적용함으로써, 충분한 필터링 효과를 얻도록 하는 반면 안정적이고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바비큐(Barbecue) 식당은 각 식탁마다 개별적으로 구이장치가 구비되고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증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배기장치에는 각 식탁마다 발생되는 연기와 증기를 개별적으로 집중 흡기하기 위한 배관 형태의 흡기덕트가 여러개 연결되어 있고 각 흡기덕트는 천정의 메인덕트에 매달린 형태로 각 식탁 위쪽마다 위치하여 하단부의 흡기구가 구이장치 바로 위쪽에 근접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각 식탁마다 바비큐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곧바로 해당 흡기덕트의 흡기구로 유입 제거된다.
이처럼 기존의 흡기덕트는 해당 식탁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증기를 집중적으로 흡기하여 실내 공기오염과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기존의 흡기덕트는 단순한 흡기기능 외에 위생과 관련된 부분에 있어서는 여러 단점들을 갖고 있다.
참고로 육류처럼 조리재료 자체에 기름성분이 많거나 식용유 등의 기름을 많이 사용면서 조리하는 경우,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증기에는 기름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흡기 과정에서 기름성분이 흡기덕트 내주면 등에 들러붙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 지속되며서 흡기덕트 내주면에 기름때 등의 이물질(이하 '이물질' 이라 함)이 잔뜩 눌러붙어 오염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흡기덕트 내부면에 세균 번식 우려가 크고 악취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벽면에 붙은 폐기름성분이나 각종 이물질들이 흘러내리거나 낙하하여 흡기구를 통과해 조리 지점에 떨어지는 등의 위생우려가 크다.
그런데 기존의 흡기덕트, 특히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비큐 식당에서 사용되는 흡기덕트에는 이러한 기름성분을 걸러내는 등의 필터링 구조가 특별히 구비되어 있지 않다.
물론 가정용 주방후드처럼 별도 필터장치를 흡기덕트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식당에서는 실내의 연기와 냄새를 최대한 신속하게 흡기하여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데, 필터판을 장착할 경우 장착구조 등으로 인해 흡기력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필터장치를 적용할 경우 소비자 입장에서는 구매 동기가 상실되며 생산업체 입장에서는 산업성과 시장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필터장치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필터장치를 적용하더라도 가정과 달리 대중식당은 필터장치가 훨씬 빨리 오염되기 때문에 세척이나 교체 주기가 짧을 수밖에 없는데, 기존의 필터장치를 단순 적용할 경우 세척/교체 등을 위한 분해와 조립 등의 과정이 번거롭고, 결국 이로 인해 관리를 소홀하게 하는 원인이 될 수밖에 없다.
물론 흡기제어를 위해 흡기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댐퍼가 흡기덕트 내부 통로를 막고 있는 경우, 일부 이물질의 낙하를 막는 기능을 기대할 수도 있겠지만,
댐퍼는 흡기덕트 내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용도이기 때문에 대부분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지속적인 이물질 낙하차단기능은 발휘할 수 없고, 닫혀 있는 동안 이물질이 댐퍼 상면에 낙하되어 있더라도 흡기를 위해 개방되는 과정에서 해당 이물질들이 흡기구를 통해 외부로 낙하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조리지점에서 발생된 연기와 증기가 흡기구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연기와 증기에 포함된 기름성분이 걸러진 상태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흡기덕트 내부면의 오염 가능성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흡기덕트 내부의 이물질이 아래로 하강하더라도 흡기 외부로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필터장치 자체 구조 및 흡기덕트와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적용과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필터장치 설치로 인한 흡기력 저하 현상을 최소화 하되 충분한 필터링 효과 및 이물질 차단효과도 함께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바비큐 용 흡기덕트에도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교체구조를 최대한 간소화 함으로써, 교체 관련된 번거로움으로 인한 관리 소홀화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해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제안된 본 발명 중 필터장치는,
상단부는 별도 배기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흡기통로가 상기 흡기구와 연통 형성되어 있는 흡기덕트부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흡기구 이상의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하부면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구를 막는 형태로 위치하는 통공판, 일정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이고 기름과 수분의 흡착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미세 기공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판 하부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밀착되어 상기 각 통공을 덮는 형태로 중첩 위치하는 필터패드, 상기 필터패드와 상기 통공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패드의 상부면과 통공판의 하부면을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점착시키되 상기 통공판의 하부면과 필터패드의 상부면 중 상기 각 통공을 제외한 부분 및 이와 마주하는 지점 간 사이에만 형성되어 상호 점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기덕트는 상기 길이방향을 갖는 중공관 형태이고 상기 흡기통로와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덕트본체 및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덕트본체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흡기구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덕트캡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패드와 통공판 및 점착부간 결합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되 흡기 이전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체가 상기 덕트캡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공기유입공을 덮고 있는 상태로 상기 흡기구와 분리되어 있고, 흡기 과정에서는 상기 흡기통로 쪽으로 형성되는 흡기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통공판의 상부면이 상기 흡기구를 덮은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패드는 상기 통공판 하부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되 중앙에는 일정 면적의 통풍유도홀이 절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판의 각 통공 중 상기 통풍유도홀과 마주하는 지점의 통공들은 상기 통풍유도홀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흡기 과정에서 외부공기가 상기 통풍유도홀과 통공 및 흡기구를 통과해 흡기통로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판은 중앙에서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경사짐에 따라 상부면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동일한 각도의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패드는 상기 통공판의 하부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테두리 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흡기 과정에서 외부공기는 상기 필터패드의 각 미세기공과 상기 통풍유도홀을 통과해 상기 흡기통로로 유입되되, 흡기통로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낙하 과정에서 상기 제1경사면과 필터패드 상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안착됨과 동시에 안착지점의 경사각도에 의해 외곽 테두리 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패드의 외곽테두리에는 외곽테두리 부근이 위쪽을 향해 절곡되어 세워진 형태의 이탈방지 날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기덕트 중 상기 흡기구 외곽 부근에는 상기 통공판과 필터패드 및 점착제 간 결합체가 상승하여 상기 흡기구를 막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 날개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통로 내부로부터 상기 통공판의 제1경사면과 상기 필터패드 상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낙하된 이물질이 경사각도에 의해 외곽테두리 쪽을 향해 이동하다가 상기 이탈방지 날개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패드는 상기 통공판 하부면 전체를 덮는 판재 형태이고, 상부면 중 상기 통공판의 각 통공과 상하 마주하는 지점에는 비 점착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각 통공 간 사이 지점과 상하 마주하는 지점에는 점착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필터패드의 상부면 중 상기 점착구간에만 국부적으로 도포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필터패드는 상기 통공판 하부면 전체를 덮는 판재 형태이되 상부면 중 상기 통공판의 각 통공과 상하 마주하는 지점에는 비 점착구간이 형성되고 상부면 중 테두리 부근에는 점착구간이 테두리 형성 경로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점착부는 상기 필터패드의 상부면 중 상기 점착구간에만 국부적으로 도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패드는 상기 통공판의 하부면 중 상기 각 통공 및 각 통공 사이 지점의 모양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통공판의 하부면 중 필터패드 형상과 상호 대향되는 지점만을 덮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필터패드의 상부면 중 상기 통공판의 각 통공과 상하 마주하는 지점에는 비 점착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각 통공 간 사이 지점과 상하 마주하는 지점에는 점착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점착부는 상기 필터패드의 상부면 중 상기 점착구간에만 국부적으로 도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공판의 단부에는 통공판 하부면과 상기 필터패드의 비 점착구간 및 점착구간 간 점착위치의 일치를 위한 제1위치표식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패드의 단부 중 상기 제1위표식부와 상하 마주하는 지점에는 통공판 하부면과 상기 비 점착구간 및 점착구간 간 점착위치의 일치를 위한 제2위치표식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패드와 통공판을 상호 중첩 형태로 점착 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1위치표식부와 제2위치표식부가 먼저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통공판 하부면과 비 점착구간 및 점착구간 간 점착위치가 중첩되었을 때 상호 간의 점착위치가 일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흡기덕트는,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중공관 형태이고 상단부가 별도 배기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 흡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덕트본체,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덕트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흡기구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덕트캡, 상기 흡기구 이상의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하부면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덕트와 연결되어 흡기구 입구를 막는 형태로 위치하되 중앙에서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경사짐에 따라 상부면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통공판, 상기 통공판 하부면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기름과 수분의 흡착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미세 기공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판 하부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밀착되어 상기 각 통공을 덮는 형태로 위치하되, 중앙에는 일정 면적의 통풍유도홀이 절개 형성되어 상기 통공판의 각 통공 중 상기 통풍유도홀과 마주하는 지점의 통공들은 상기 통풍유도홀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외곽 테두리에는 외곽테두리 부근이 위쪽을 향해 절곡되어 세워진 형태의 이탈방지 날개가 형성되어 상기 덕트본체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필터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필터패드와 통공판 및 점착부로 이루어진 필터장치가 흡기덕트의 흡기구를 막고 있는 형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조리지점에서 발생된 연기와 증기가 흡기구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연기와 증기에 포함된 기름성분이 필터패드에 의해 걸러진 상태로 흡입되므로 흡기통로 내부면의 오염이 최소화됨은 물론, 흡기통로 내 이물질이 아래로 낙하되더라도 통공판이나 필터패드에 막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위생성이 훨씬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필터패드와 통공판이 상호 점착되는 과정에서 필터패드 상부면 전체면적에 점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점착되는 것이 아니라, 통공판의 각 통공과 통공 사이 지점과 마주하는 지점에만 국부적으로 도포되어 해당 도포 지점에서만 점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점착제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면 충분한 흡기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필터패드의 교체 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필터패드와 통공판 및 점착제 간 결합체가 단순히 덕트캡 내 수용공간 바닥 상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흡기 시 흡기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하여 흡기구를 덮는 형태이기 때문에,
필터장치의 설치가 매우 간소하고 필터패드 등의 교체과정도 매우 간소하여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갖는다.
그리고 필터패드 중앙에 통풍유도홀이 형성되기 때문에, 흡기력 저하현상을 더욱 낮출 수 있으면서 덕트본체 내 이물질 배출 차단효과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이 경우 필터패드와 통공판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본체 내부에서 낙하된 이물질이 통풍유도홀 쪽으로 이동되지 않고 외곽테두리 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배출 차단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상태에서 필터패드의 외곽 테두리에 이탈방지 날개가 형성되고 이탈방지 날개가 덕트본체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액체 상태의 이물질이나 크기가 작은 고체형 이물질이 필터패드 외곽테두리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필터패드 외곽 테두리를 통과해 이탈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배출 차단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흡기덕트와 필터장치 간 분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필터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필터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흡기덕트와 필터장치 간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 상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점착부의 도포 형성지점을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9는 도포용 롤러를 이용해 필터패드에 점착제를 도포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필터패드 용 원지 표면에 통공판 외곽 테두리와 마주하는 지점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절개하여 복수개의 필터패드를 제작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 개략도 및 통공판의 평면도 개략도
도 11은 필터패드를 통공판의 각 통공 모양과 일치하도록 제작하여 점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흡기 시 필터장치가 흡기력에 의해 상승하여 흡기구를 덮은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필터패드 중앙에 통풍유도홀이 형성된 변형 예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및 필터패드의 저면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필터패드에 이탈방지 날개가 형성되고 덕트본체에 결합홈이 형성된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 장치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덕트부(100)와 필터장치(200)로 구분되어 구성되는데,
그 중 흡기덕트부(100)는 별도 공지의 배기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배기장치에서 발생한 흡기력을 바비큐 등의 조리 지점으로 전달하여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증기를 설정 경로를 따라 흡기 및 이동시키는 용도의 구성요소로써, 덕트본체(110)와 덕트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배기장치는 일반 바비큐 식당에 적용되는 공지기술, 즉 흡기팬을 이용해 흡기력을 발생시키는 형태의 공지기술이 적용되는 것이므로,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덕트본체(110)는 배기장치의 흡기력을 조리지점 쪽으로 집중 유도함과 동시에 흡기된 연기 및 증기를 배기 지점으로 안내하는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상하 길이방향을 갖고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관 형태이고 하단부에는 흡기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흡기구(11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 형태의 흡기통로(114)가 형성된 형태이다.
이러한 덕트본체(110)는 상단부가 해당 실내 천정에 설치된 메인덕트에 연결되어 매달린 상태에서 하단부의 흡기구(112)가 해당 식탁의 조리지점 바로 위쪽에 위치된다.
덕트본체(110)의 내부에는 [도 7]처럼 흡기통로(114) 내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공지의 댐퍼(1)가 설치될 수 있고 덕트본체(110) 덕트본체(110)의 길이조절을 위한 공지의 주름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덕트본체(110)와 함께 흡기덕트부(100)를 구성하는 덕트캡(120)은 흡기력을 외부로 확산시켜 흡기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능 및 후술하는 필터장치(200)의 설치 역할을 하는 요소로써,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외부공기의 최초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공(124)이 형성된 형태이다.
이러한 덕트캡(120)은 상단부가 덕트본체(110)의 하단 외부면을 둘러싸도록 상호 삽입 결합하되 별도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쉽게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덕트캡(120)의 공기유입공(124)은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흡기범위와 흡기양을 늘리는 반면 후술하는 필터장치(200)가 수용공간(122)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었을 때 공기유입공(124)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도 방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덕트본체(110)의 흡기구(112)는 덕트캡(120)의 수용공간(122)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덕트캡(120)의 공기유입공(124)과 상하 동일선상을 이루며 위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덕트본체(110)와 덕트캡(120)의 자체 구조 및 상호 간 연결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외부 연기와 증기의 흡기유도 기능과 이동경로 기능, 흡기범위 확장 기능, 필터장치(200)의 설치 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되어 선택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기덕트부(100)와 함께 흡기덕트장치를 구성하는 필터장치(200)는 바비큐 조리처럼 기름성분이 다량 함유된 증기와 연기가 많이 발생할 때, 해당 연기와 증기가 흡기덕트부(100)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기름성분이 걸러진 상태로 흡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의 요소이다.
필터장치(200)는 다시 통공판(210)과 필터패드(220) 및 점착부(240)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통공판(210)은 필터장치(200)의 지지체 역할, 즉 필터장치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역활 및 후술하는 필터패드(220)가 흡기 과정에서 흡기구 내부로 원치 않게 빨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통공판(210)은 흡기구(112) 이상의 면적을 갖고 일정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흡기과정에서 통기의 통과를 위한 복수개의 통공(212)들이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며 각 통공(212)들은 통공판(210)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통공판(210)은 전체적으로 타공판 형태를 갖게 된다.
참고로 통공판(210)은 위 설명처럼 판재에 구멍들이 형성된 형태가 아닌 금속와이어를 그물망(Mesh) 형태로 엮어 통공들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통공(212)의 형상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 형태 등 공기의 통과가 원활하고 후술하는 필터패드(220)의 안정적인 점착이 가능한 형태라면 다양하게 선택되어 변형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통공판(210)은 구리나 스테인리스 등 재질 특성 상 자체적으로 세균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통공판 표면에 기름성분 등의 이물질이 묻더라도 세균번식 가능성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통공판(210)과 함께 필터장치(200)를 구성하는 필터패드(220)는 필터장치(200) 중 실질적으로 연기와 증기에 포함된 기름성분을 걸러내는 필터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통공판(210)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얇은 두께의 박막 형태이며 부직포 등 공기의 통과는 원활하되 통과되는 공기와 접촉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각종 성분의 흡착 및 흡수가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필터패드(220)는 통공판(210)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면이 통공판(210)의 하부면과 상하 마주하며 밀착되어 통공판(210)의 각 통공(212)을 동시에 덮는 형태로 위치된다.
참고로 필터패드(220)의 재질은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체 형성된 미세 기공을 통한 원활한 흡기 및 흡기과정에서의 기름성분 흡착/흡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선택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부직포처럼 필터를 구성하는 섬유가 불규칙적으로 엉켜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흡기 과정에서 연기 및 증기와의 접촉면적이 최대화 되어 그만큼 기름성분의 필터효율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필터패드(220)는 별도의 점착부(240)를 통해 통공판(210)과 분리가능하도록 점착되어 상호 일체화 된다.
점착부(240)는 일반적인 부직포 등의 점착용도로 사용되는 공지의 점착제가 사용되어 필터패드(220)의 상부면에 도포 형성되되, 본 발명에서는 점착부(240) 도포 구조를 개선하여 점착제 사용량을 최소화 하고 도포된 점착부가 흡기력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필터패드(220)에 점착제를 도포할 때 필터패드(220) 상부면 전체에 도포되는 것이 아니라 [도 8]과 같이 상부면 중 통공판(210)의 각 통공(212)과 마주하는 지점에는 점착제를 도포되지 않는 비 점착구간(222)이 형성되도록 하고 비 점착구간(222)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 즉 통공판(210)의 각 통공(212) 간 사이 지점처럼 통공(212)과 마주하지 않는 지점에만 점착제가 도포 형성되는 구조를 적용한다.
점착부가 이러한 형태로 도포 형성됨에 따라 필터패드(220)와 통공판(210) 간의 점착력이 통공판(210)과 필터패드(220)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되되, 점착부(240)가 통공판(210)을 막지 않기 때문에, 흡기 과정에서 연기와 증기가 필터패드(220)를 통과한 뒤 통공판의 통공(212)을 통과할 때 점착부(240)에 의해 방해받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점착부(240)의 도포 형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필터패드(220)에 점착부를 도포시킬 때 필터패드(220)에 도포될 모양과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의 가압면(310)이 별도 가압롤러(300) 둘레면에 양각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가압면(310)에 점착제가 묻혀진 가압롤러(300)가 회전하면서 필터패드(220) 표면을 가압하면 필터패드(220) 표면에 가압면과 동일한 모양, 즉 통공판(210)의 각 통공(212) 간 사이 지점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점착부(240)가 도포 형성됨에 따라 점착구간(224)이 필터패드 표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패드 원지(230) 상에 필터패드(220) 면적에 해당하는 절개라인(232)을 복수개 형성시키고 공지의 일명 '톰슨(Thompson)가공'을 통해 각 절개라인(232)을 동시에 분할 절개하여 패드 원지(23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하나의 패드 원지(230)에서 여러개의 필터패드(220)가 만들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점착부(240)는 각 필터패드(220)의 상부면 중 테두리 형성 경로를 따라 해당 부근에만 도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필터패드(220)가 통공판(210) 하부면 전체를 동시에 덮는 판재 형태가 아니라 통공판(210)의 하부면 중 각 통공 사이 지점의 모양과 동일한 패턴의 형상, 즉 마치 매쉬(Mesh) 구조와 같은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필터패드(220)의 상부면 중 통공판(210)의 통공(212)과 마주하는 지점에는 점착부(240)가 형성되지 않는 비 점착구간(222)이 형성되고 각 통공 간 사이 지점과 마주하는 지점에는 점착부(240)가 도포되는 점착구간(224)이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필터패드(220)는 제작할 때 필터패드용 재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있는 반면, 필터패드(220)를 통공판(210)의 하부면에 점착시킬 때 각 통공(212) 사이 지점과 동일한 위치에 정확히 점착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11]처럼 통공판(210)의 일측 단부에는 필터패드(220)를 점착시킬 때 필터패드(220)와 통공판의 점착지점을 일치시키도록 유도하기 위한 제1위치표식부가 통공판(210)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패드(220) 중 필터패드(220)가 통공판(210) 하부면에 정확히 일치되어 점착되었을 때 제1위치표식부(216)와 상하 마주하는 지점에는 제1위치표식부(216)와 동일한 모양의 제2위치표식부(226)가 필터패드(220) 테두리로부터 연장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패드(220)를 통공판(210)에 점착시키는 과정에서 먼저 필터패드(220)의 제2위치표식부(226)를 통공판(210)의 제1위치표식부(216)에 일치시켜 부착시킨 후 나머지 구간을 부착시키면 필터패드(220)의 전체 점착구간(224)이 통공판(210)의 각 통공 간 사이 지점에 정확히 일치되어 점착될 수 있다.
참고로 이렇게 점착부(240)가 필터패드(220) 표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과 구조는 위 설명과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흡기 과정에서 점착부가 흡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점착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통공판(210)과의 안정적인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필터장치(200)는 복수개의 통공(212)이 형성된 통공판(210) 하부면에 필터패드(220)가 분리 가능하도록 밀착되어 있고 필터패드(220)와 통공판(210) 사이에는 점착부가 국부적으로 형성되어 점착부(240)를 통해 필터패드(220)와 통공판(210)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일체로 점착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필터장치(20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덕트캡(120)의 수용공간(122) 바닥면에 안착되어 덕트캡(120)의 공기유입공(124) 전체를 내부에서 덮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해,
평소 흡기작동 이전 상태에서는 위 설명처럼 항시 필터장치(200)가 덕트캡(120)의 수용공간(122)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어 공기유입공(124) 전체를 완전히 덮은 형태로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흡기를 위해 배기장치의 흡기팬(미도시)이 작동되고 덕트본체(110) 댐퍼(1)가 회동하여 흡기력이 흡기구를 통해 외부로 작용되는데, 이때 필터장치(200)가 덕트캡(120) 내부에서 공기유입공(124)을 막고 있기 때문에 최초 흡기력이 덕트캡(120)의 수용공간(122) 전체에 걸쳐 작용되고, 덕트본체(110) 내부 압력과 수용공간 내 순간적인 압력차이로 인해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필터장치(200)가 덕트본체(110)의 흡기구(112)를 향해 공중으로 상승하여 흡기구(112)를 덮는 상태가 된다.
이때 통공판(210)의 면적이 흡기구(11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필터패드(220)가 흡기구(112) 안으로 빨려 들어가지 않고 흡긱구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공기, 즉 바비큐 등의 조리 지점으로부터 발생된 연기 및 증기가 덕트캡(120)의 공기유입공(124)을 통해 수용공간 안으로 유입된 뒤 필터패드(220)와 통공판(2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덕트본체(110)의 흡기통로(114)를 지나 배기된다.
이때 점착부가 통공판의 각 통공(212)들이 위치하는 지점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기가 쉽게 필터부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기 및 증기가 필터패드(220)를 지나면서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기름성분이 필터패드에 의해 걸러지게 됨에 따라, 연기 및 증기가 흡기통로(114)를 지나는 곽정에서 기름성분에 의해 내부 벽면 등이 오염되는 현상이 최소화 된다.
이 과정이 지속되다가 흡기가 종료되는 순간 필터장치(200)는 자동으로 아래로 하강하여 [도 7]과 같이 다시 덕트캡(120) 수용공간 내부 바닥면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덕트본체(110)의 흡기통로(114) 내부의 이물질이 낙하하더라도 필터장치(200)가 덕트캡(120)의 공기유입공(124) 상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필터패드(220)에 막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필터패드(220)가 오염되면, 사용자는 덕트캡을 덕트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키고 필터장치를 단순히 덕트캡에서 빼낸 뒤 필터패드를 통공판(210)으로부터 떼어낸 후 새것으로 교체 점착시킨 뒤 단순히 다시 덕트캡 내부 바닥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필터패드의 교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필터장치가 단순히 덕트캡(120) 내부 바닥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흡기 시 흡기력에 의해 자동으로 흡기구를 덮어 필터링이 이루어지고 흡기 종료 시 자동으로 하강하여 덮개캡 송기유입공을 다시 덮으면서 안착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필터장치의 설치 및 교체 과정이 굉장히 간단하고 흡기구의 개방 및 막음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변형 예는 흡기력을 향상시킬 수 도록 한 내용인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패드(220)가 하나의 판재 형태로 통공판(210) 하부면 전체를 덮고 있는 형태가 아니라 중앙부분에 관통홀 형태의 통풍유도홀(228)이 절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통공판(210)의 통공(212) 중 통풍유도홀(228)과 마주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통공(212)들은 필터패드(220)에 덮히지 않고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로 흡기가 시작되어 필터장치(200)가 흡기구를 막은 상태에서 연기 및 증기 일부는 필터링 되지 않고 통풍유도홀(228)을 통과하기 때문에 높은 흡기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높은 배기율이 필요한 곳에서는 해당 구조의 필터장치 사용이 적합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3]의 실시 예처럼 필터패드(220)에 통풍유도홀(228)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이물질 낙하 시 이물질 배출 차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위 실시 예 들에서는 통공판과 필터패드가 평판 형태인 반면 본 실시 예에서는 통공판(210)과 필터패드(220)가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현되는데,
일단 통공판(210)은 중앙에서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경사짐에 따라 상부면에는 제1경사면(218)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제1경사면(218)과 동일한 각도의 제2경사면(219)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필터패드(220)는 중앙에 통풍유도홀(228)이 형성된 상태에서 통공판(210)의 하부면에 부착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통풍유도홀(228)을 중심으로 통공판(210)의 제2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필터패드(220)는 통공판(210)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외곽테두리에는 덕트본체(110)와의 결합 고정을 위한 이탈방지 날개(229)가 위쪽을 향해 절곡되어 세워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그릇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덕트본체(110) 중 흡기구(112) 외곽 부근에는 통공판(210)과 필터패드(220) 및 점착부(240) 간 결합체가 상승하여 흡기구(112)를 덮는 과정에서 필터패드(220)의 이탈방지 날개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116)이 형성된다.
따라서 흡기 시 필터장치(200)가 상승하여 흡기구를 덮을 때 필터패드(220)의 이탈방지 날개(229)가 덕트본체(110)의 결합홈(116)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덕트본체(110) 내 이물질이 낙하하여 필터패드(220) 표면으로 낙하되었을 때 경사구조에 의해 중앙의 통풍유도홀(228) 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외곽 테두리쪽으로 이동되다가 이탈방지 날개(229)에 의해 더이상의 이동이 차단됨으로써, 이물질의 외부 배출이 차단된다.
특히 필터패드(220)의 이탈방지 날개(229)가 덕트본체(110)의 결합홈(116)에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물질이 덕트본체(110)와 필터패드 사이 틈새를 통해 외부로 원치 않게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점착부가 필터패드 표면 중 통공판의 각 통공 간 사이 지점과 마주하는 지점에만 국부적으로 도포되도록 하고 해당 도포 지점에서만 점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점착제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면 충분한 흡기력을 유지할 수 있고 필터패드의 교체 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효과와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흡기덕트부 110 : 덕트본체
112 : 흡기구 114 : 흡기통로
116 : 결합홈 120 : 덕트캡
122 : 수용공간 124 : 공기유입공
200 : 필터장치 210 : 통공판
212 : 통공 214 : 비 형성구간
216 : 제1위치표식부 218 : 제1경사면
219 : 제2경사면 220 : 필터패드
222 : 비 점착구간 224 : 점착구간
226 : 제2위치표식부 228 : 통풍유도홀
229 : 이탈방지 날개 230 : 패드 원지
232 : 절개라인 240 : 점착부
300 : 가압롤러 310 : 가압면

Claims (5)

  1.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중공관 형태의 덕트본체에 상단부는 별도 배기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흡기통로가 상기 흡기구와 연통 형성되어 있는 흡기덕트부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흡기구 이상의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하부면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구를 막는 형태로 위치하는 통공판;
    일정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이고 기름과 수분의 흡착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미세 기공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판 하부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밀착되어 상기 각 통공을 덮는 형태로 중첩 위치하는 필터패드; 및
    상기 필터패드와 상기 통공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패드의 상부면과 통공판의 하부면을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점착시키되 상기 통공판의 하부면과 필터패드의 상부면 중 상기 각 통공을 제외한 부분 및 이와 마주하는 지점 간 사이에만 형성되어 상호 점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필터패드는 상기 통공판 하부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되 중앙에는 일정 면적의 통풍유도홀이 절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판은 중앙에서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경사짐에 따라 상부면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동일한 각도의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패드는 상기 통공판의 하부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테두리 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필터패드의 외곽테두리에는 외곽테두리 부근이 위쪽을 향해 절곡되어 세워진 형태의 이탈방지 날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덕트본체 중 상기 흡기구 외곽 부근에는 상기 통공판과 필터패드 및 점착부 간 결합체가 상승하여 상기 흡기구를 막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 날개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통로 내부로부터 상기 통공판의 제1경사면과 상기 필터패드 상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낙하된 이물질이 경사각도에 의해 외곽테두리 쪽을 향해 이동하다가 상기 이탈방지 날개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판의 각 통공 중 상기 통풍유도홀과 마주하는 지점의 통공들은 상기 통풍유도홀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흡기 과정에서 외부공기가 상기 통풍유도홀과 통공 및 흡기구를 통과해 흡기통로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흡기 과정에서 외부공기는 상기 필터패드의 각 미세기공과 상기 통풍유도홀을 통과해 상기 흡기통로로 유입되되, 흡기통로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낙하 과정에서 상기 제1경사면과 필터패드 상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안착됨과 동시에 안착지점의 경사각도에 의해 외곽 테두리 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4. 삭제
  5.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중공관 형태의 덕트본체에 상단부가 별도 배기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 흡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흡기덕트부;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덕트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흡기구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덕트캡;
    상기 흡기구 이상의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상하부면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덕트부와 연결되어 흡기구 입구를 막는 형태로 위치하되 중앙에서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경사짐에 따라 상부면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통공판; 및
    상기 통공판 하부면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기름과 수분의 흡착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미세 기공이 상하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판 하부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밀착되어 상기 각 통공을 덮는 형태로 위치하되, 중앙에는 일정 면적의 통풍유도홀이 절개 형성되어 상기 통공판의 각 통공 중 상기 통풍유도홀과 마주하는 지점의 통공들은 상기 통풍유도홀을 통해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외곽 테두리에는 외곽테두리 부근이 위쪽을 향해 절곡되어 세워진 형태의 이탈방지 날개가 형성되어 상기 덕트본체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필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를 갖는 흡기덕트 장치.
KR1020200177810A 2020-12-17 2020-12-17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 장치 KR102255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10A KR102255244B1 (ko) 2020-12-17 2020-12-17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10A KR102255244B1 (ko) 2020-12-17 2020-12-17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244B1 true KR102255244B1 (ko) 2021-05-26

Family

ID=7613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810A KR102255244B1 (ko) 2020-12-17 2020-12-17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2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25A (ja) * 1996-07-16 1998-02-03 Tsuchiya:Kk カットフィルター材
CN101653683A (zh) * 2009-09-11 2010-02-24 陈明功 低温等离子体协同改性过滤膜油烟净化器
KR20140082166A (ko) * 2012-12-24 2014-07-02 (주)건용 점착제를 이용한 배기후드용 위생 필터 및 그것이 부착된 배기후드 어셈블리
JP2016161180A (ja) * 2015-02-27 2016-09-05 健児 吉村 整流板を有する調理用レンジフ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25A (ja) * 1996-07-16 1998-02-03 Tsuchiya:Kk カットフィルター材
CN101653683A (zh) * 2009-09-11 2010-02-24 陈明功 低温等离子体协同改性过滤膜油烟净化器
KR20140082166A (ko) * 2012-12-24 2014-07-02 (주)건용 점착제를 이용한 배기후드용 위생 필터 및 그것이 부착된 배기후드 어셈블리
JP2016161180A (ja) * 2015-02-27 2016-09-05 健児 吉村 整流板を有する調理用レンジフー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3159A1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both air supply and exhaust
US4616626A (en) Table cooker with ventilator
CN115989384A (zh) 包括烹饪灶具和抽取装置的组合器具
KR102255244B1 (ko) 흡기덕트용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흡기덕트 장치
KR101468462B1 (ko) 점착제를 이용한 배기후드용 위생 필터 및 그것이 부착된 배기후드 어셈블리
KR102366912B1 (ko) 집진 후드장치
CN107567349A (zh) 多级排风罩过滤器
JP2008096049A (ja) レンジフード
JP2009198082A (ja) 排気装置
JPH11351587A (ja) ロースターにおける排ガス浄化装置
CN205717427U (zh) 一种无油杯集烟腔及应用该集烟腔的整体厨房柜
KR200267257Y1 (ko) 주방용 환기 시스템
KR101175705B1 (ko) 배기카세트 및 이를 이용한 주방환기시스템
CN205717426U (zh) 一种暗装集烟腔及应用该集烟腔的整体厨房柜
JPH08226686A (ja) 平形レンジフードファン
KR100785442B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후드구조
CN205696612U (zh) 一种具有大储物空间的整体厨房柜
CN211176944U (zh) 一种带近吸装置的烟机系统
KR102663320B1 (ko) 조리시스템 및 조리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정화시스템
KR200349498Y1 (ko) 기름받이를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KR102640623B1 (ko) 연기흡입이 용이한 숯불구이 장치
JP2003130414A (ja) レンジフード
KR200341089Y1 (ko) 연기배출용 후황의 차단판 상하 작동장치
KR20190009998A (ko) 흡입 유로를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JP3554151B2 (ja) ホット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