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135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135B1
KR102255135B1 KR1020140008932A KR20140008932A KR102255135B1 KR 102255135 B1 KR102255135 B1 KR 102255135B1 KR 1020140008932 A KR1020140008932 A KR 1020140008932A KR 20140008932 A KR20140008932 A KR 20140008932A KR 102255135 B1 KR102255135 B1 KR 102255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se
heat exchanger
indoor hea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518A (ko
Inventor
이양화
박철우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135B1/ko
Priority to EP14879994.3A priority patent/EP3097363A4/en
Priority to CN201910049188.1A priority patent/CN109990403B/zh
Priority to CN201480073996.7A priority patent/CN106415147B/zh
Priority to US15/113,768 priority patent/US10328373B2/en
Priority to PCT/KR2014/013114 priority patent/WO2015111853A1/en
Publication of KR2015008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518A/ko
Priority to US16/174,049 priority patent/US11673088B2/en
Priority to KR1020200101993A priority patent/KR102266444B1/ko
Priority to KR1020210063276A priority patent/KR102407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135B1/ko
Priority to KR1020220068776A priority patent/KR102601218B1/ko
Priority to KR1020220123319A priority patent/KR20220138363A/ko
Priority to US18/141,302 priority patent/US2023028588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85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electrical means, e.g. for the generation of electrostatic forces in order to reject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8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other than static mechanical means, e.g. internal ventilator or recyc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8Parts being easily removable for clean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공기 유동을 위한 팬;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기 위한 하전장치;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대전된 먼지 입자를 포집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냉방을 위한 냉방 장치로서 에어컨과, 실내 난방을 위한 히트 펌프와,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43307호(공개일 2002.06.10.)에는 공기조화기용 집진기가 개시된다.
상기 집진기는, 공기 중의 불순물을 이온화시키는 전리부와, 상기 전리부를 통과한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상기 전리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금망과, 상기 금망을 통과한 미세한 불순물을 반대극으로 대전되어 정전기력으로 흡착시키는 포집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집진기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내에서 흡입구의 후방에 전리부가 위치되기 때문에, 공기의 일부 만이 전리부를 통과하게 되어 공기정화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전리부가 자체가 공기의 유동저항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으며, 전리부가 공기조화기 내부에 위치됨에 따라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고, 전리부를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공기 유동을 위한 팬;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기 위한 하전장치;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대전된 먼지 입자를 포집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흡입구를 형성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하전장치는 상기 흡입 그릴에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전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가지는 하전부와, 상기 하전부가 안착되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하전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커버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하전부의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노출부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는 상기 하전부의 전극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인가부가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전압인가부에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전선 관통홀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또는 커버에는 상기 전압인가부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안착 가이드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전부의 전극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인가부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부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장치는, 대전된 먼지 입자가 포집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도성 부재는 유전체와 접촉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하전장치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서 대전되는 먼지량이 최대화되어 공기 정화 성능이 최대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터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세척하지 않고, 유전체 베리어 방전에 의해서 필터에서 먼지 입자가 분리되어 먼지 저장부에 포집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 입자는 상기 먼지저장부에 저장되므로 먼지 입자가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하전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전장치를 구성하는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냉방을 위한 냉방 장치로서 에어컨과, 실내 난방을 위한 히트 펌프와,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유동되는 공기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인 한 어떠한 제품도 포함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는 실내기의 구성이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수용되는 본체(1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12) 및 후방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프레임(12)과 후방 프레임(13)이 전후방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프레임(12) 및 후방 프레임(13) 사이에는 후술할 실내열교환기(41) 및 팬(42)과 같은 각종 부품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전방 프레임(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전방 프레임(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16)를 형성하는 흡입 그릴(16A)과, 흡입된 실내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17)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 그릴(16A)은 상기 본체(10)의 상측, 실질적으로는 상기 전방 프레임(1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7)는 상기 본체(10)의 전면 및 저면에 걸쳐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흡입구(16)와 토출구(17)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흡입구(16)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장치(30)와,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하여 팬(42)과, 상기 냉매와 열교환된 실내 공기의 토출을 가이드하는 디스차지 그릴부(15)와,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기 위한 하전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1)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본체(10) 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1)는 다수의 열교환기가 연결되어 구성되거나, 단일의 열교환기가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30)는, 상기 흡입구(16)와 상기 실내열교환기(41) 사이에서 먼지를 집진하므로써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한다. 상기 필터장치(30)는 일 예로 상기 실내열교환기(41)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필터장치(3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서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프레임(12)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30)는 일 예로 후크 방식에 의해서 실내열교환기(41) 또는 전방프레임(12)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필터장치(30)의 결합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15)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15)에는 상기 필터장치(30)에서 제거된 먼지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먼지저장부(50)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15)가 상기 먼지저장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먼지저장부(50)는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상류 또는 하류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먼지저장부(50)는 후크에 의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치(30)에서 제거된 먼지가 상기 먼지저장부(50)에 포집되기 위하여 상기 먼지저장부(50)는 상기 필터장치(3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먼지저장부(50)가 상기 필터장치(30)의 하측에 결합되거나 상기 필터장치(30)의 일부가 상기 먼지저장부(5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전장치(60)는, 상기 필터장치(30)에 집진되는 먼지량이 증가되도록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킨다. 상기 하전장치(60)는 상기 본체(10)의 외측에서 상기 흡입 그릴(16A)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 그릴(16A)에 형성된 흡입구(1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로 흡입되므로, 상기 하전장치(60)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 대전되는 공기 중의 먼지량이 최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전장치(60)가 상기 본체(10) 외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본체(10)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며, 상기 본체(10)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상기 하전장치(6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장치(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장치(30)는, 필터(330)와, 상기 필터(330)를 지지하는 필터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330)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어레이(array: 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가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공기는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각각은, 전도성 부재(332)와, 상기 전도성 부재(332)의 외면에 유전 물질(dielectric material)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유전체 층(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부재(332)는, 탄소, 탄소나노튜브, 또는 전도성 고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일 예로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또는 폴리피롤(Polypyrro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중에서 2n번째 어레이는 전원 공급부(40)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중에서 2n+1번째 어레이는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40)는 상기 필터(330)로 교류 전압 또는 직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40)에서 상기 필터(330)로 교류 전압 또는 직류 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사이에서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사이를 유동하는 먼지 입자는 상기 각 어레이(331)의 유전체 층(333)에 부착됨으로써, 공기가 정화된다. 즉, 유전체 베리어 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에 의해서 공기가 정화된다.
상기 각 어레이(331)의 전도성 부재(332)의 양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각 어레이(331)의 양측에는 지지 프레임(341, 342)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부재(332)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341, 342)을 관통한다.
상기 필터 하우징(310)은, 상기 필터(33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3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310)은 공기가 상기 필터 하우징(310)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공기 홀(314, 324)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하우징(310)에는 상기 필터(330)에서 2n번째 어레이의 전도성 부재(332)와 접촉하기 위한 제1도전판(321)과, 2n+1번째 어레이의 전도성 부재(332)와 접촉하기 위한 제2도전판(3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전판(321)이 접지되고, 상기 제2도전판(322)이 상기 전원 공급부(40)에 연결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40)는 상기 필터(330)로 저주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고주파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330)로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는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40)는 상기 필터(330)로 저주파의 전압을 인가하다가 상기 필터(330)의 청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필터(330)로 고주파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전장치(6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하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전장치를 구성하는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전장치(60)는, 상기 흡입 그릴(16A)에 결합되는 베이스(610)와, 상기 베이스(610)에 결합되는 커버(620)와, 상기 베이스(610)와 상기 커버(620)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하전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10)와 상기 커버(620) 사이에는 상기 하전부(613)와 연결되어 상기 하전부(613)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10)에는 상기 전압인가부(63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10)에는 상기 전압인가부(630)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안착 가이드(611)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 가이드(611)에 상기 전압인가부(63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압인가부(630)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안착 가이드(611)는 상기 커버(620)에 구비될 수 있다.
대전되는 먼지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하전부(613)가 상기 전압인가부(6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하전부(613)는 하나 또는 다수의 카본 파이버 전극(carbon fiber electrode: 613A" 이하 "전극"이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카본 파이버 전극의 직경은 6.7마이크로미터 내지 7.8마이크로미터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하전부(613)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전압인가부(63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10)에는 이격된 다수의 하전부(613)의 위치가 고정되기 위한 위치고정부(614, 6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는(614, 615)는,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1리브(614) 및 제2리브(6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리브(614, 615)는 상기 베이스(610)에서 돌출되며, 상기 각 하전부(613)는 상기 제1리브(614)와 제2리브(615)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위고정부에 의해서 상기 다수의 하전부(613)의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10)는 측면벽(610A)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벽(610A)에는 상기 각 하전부(613)의 하나 이상의 전극(613A)과 공기 또는 먼지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노출부(616)가 형성된다. 상기 노출부(616)는 홈이거나, 홀이거나 절개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610)에는 상기 전압인가부(630)에 연결되는 전선(632)이 통과하기 위한 전선 통과홀(618)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610)에는 상기 베이스(610)를 상기 흡입 그릴(16A)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부(619A, 619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결합부(619A, 619B)는 일 예로 후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620)에도 상기 각 하전부(613)의 하나 이상의 전극(613A)과 공기 또는 먼지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노출부(62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베이스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노출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620)는 후크 또는 스크류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6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620)와 베이스(610)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의 전원이 온(ON)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장치(1)의 작동이 시작된다. 그러면, 상기 팬(42)이 회전되어 상기 흡입구(16)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상기 본체(10)로 흡입된다. 또한, 상기 필터(330)로 저주파의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이 공급된다(S2). 또한, 상기 하전장치(60)가 작동한다(S3).
상기 하전장치(60)가 작동하면, 상기 전압인가부(630)에서 각 하전부(613)로 고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각 하전부(613)의 전극(613A)의 끝단에서 이온이 발생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하전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전장치(60)가 흡입 그릴(16A)의 외측에 배치됨으로, 하전부(613)와 접촉하는 먼지량이 증가되어 하전되는 먼지 입자량이 증가된다.
상기 흡입구(16)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열교환되기 전에 상기 필터장치(30)를 통과한다. 구체적으로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310)의 공기 홀(314)을 통과한 후에 상기 필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어레이(331)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사이에는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고, 공기가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대전된 먼지 입자는 상기 각 어레이의 유전체 층(333)에 부착됨으로써, 공기가 정화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33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열교환된 후에 상기 토출구(17)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작동되는 중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상기 필터(330)의 청소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
본 실시 예에서 필터의 청소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상기 공기조화장치(10)의 온 시간이 기준시간에 도달한 경우이거나, 상기 공기조화장치(10)의 작동 횟수가 기준횟수에 도달한 경우이거나,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장치(30)의 상류 측 압력과 하류 측 압력의 차가 기준압력에 도달한 경우이거나, 상기 팬(42)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의 부하가 기준부하에 도달한 경우이다. 상기 필터장치(30)의 상류와 하류의 압력 차는, 일 예로 상기 흡입구(16) 측과 토출구(17) 측에 구비된 압력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시간 또는 기준횟수는 가변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가 많은 지역 또는 국가에서는 상기 필터(330)에 부착되는 먼지 입자의 양이 많으므로, 필터 청소의 주기가 빨라질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기준시간 또는 기준횟수를 적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필터(330)에 부착된 먼지 입자의 양이 많아지면, 먼지 입자가 공기의 유동저항을 작용하게 되고, 상기 먼지 입자의 양이 많아질 수 록, 상기 필터장치(30)의 상류 측 압력과 하류 측 압력 차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장치(30)의 상류 측 압력과 하류 측 압력의 차가 기준압력에 도달한 경우, 필터 청소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필터(330)의 청소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전원 공급부(40)는 상기 필터(330)로 고주파 전압을 인가한다(S5).
본 명세서에서, 저주파 전압은 10hz 이하의 전압이고, 고주파 전압은 1Khz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필터(30)로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각 어레이(331)에 부착된 입자 중에서 유기성 입자는 연소되고, 무기성 입자는 상기 각 어레이(331)에 분리되어 상기 각 어레이(331)의 자체 청소(self-cleaning)가 이루어진다.
상기 각 어레이(331)에서 분리된 무기성 입자는 상기 먼지저장부(50)로 낙하된다. 이 때, 상기 필터(330)의 청소 중에 상기 필터(330)에서 분리된 먼지 입자가 상기 본체(10)에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330)의 청소 중, 즉, 상기 필터(330)로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는 중에는 상기 팬(42)은 정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팬(42)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표시부에 필터 청소 중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필터(330)의 청소 중에는 상기 팬(42)의 회전속도를 최소 회전속도 기준 회전속도로 줄여 상기 필터(330)에서 분리된 먼지 입자가 상기 먼지저장부(50)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330)의 청소 중에는 상기 팬(42)의 현재 회전속도가 줄어들게 된다(팬 정지 포함).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330)의 청소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 본 발명에서 일 예로 상기 필터(330)의 청소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필터의 청소시간(필터로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이 종료판단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에 의해서 판단될 수 있다.
만약, 필터의 청소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는 다시 상기 필터(330)로 저주파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단계 S2로 복귀).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전장치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서 대전되는 먼지량이 최대화되어 공기 정화 성능이 최대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터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세척하지 않고, 유전체 베리어 방전에 의해서 필터에서 먼지 입자가 분리되어 먼지 저장부에 포집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 입자는 상기 먼지저장부에 저장되므로 먼지 입자가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경우, 하전장치(60)가 상기 흡입 그릴(16A)의 외측에 위치되되, 전압인가부(630A)는 상기 하전장치(6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압인가부(630A)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전압인가부(630A)가 상기 하전장치(6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전장치(60)의 설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필터장치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서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필터장치가 접지극과 연결된 집진판을 포함하여 하전된 먼지 입자를 포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필터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중에 필터의 청소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중에 필터 청소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완료 후에 상기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중에 필터 청소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완료 후에 표시부에 필터 청소가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일 예로 필터 청소 버튼 등을 이용하여 필터 청소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필터 청소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완료 후에 필터 청소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터 청소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6A: 흡입 그릴
30: 필터장치 60: 하전장치

Claims (17)

  1.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공기 유동을 위한 팬;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을 가이드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디스차지 그릴부;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흡입구를 형성하는 흡입그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기 위한 하전장치;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며, 대전된 먼지 입자를 포집하는 필터장치; 및
    상기 필터장치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장치에서 제거된 먼지 입자를 저장하는 먼지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장치는,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상류에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먼지저장부는,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상류에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일측에 결합되거나,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하류에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전방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상기 팬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흡입구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가지는 하전부;
    상기 하전부가 안착되며, 상기 흡입그릴에 결합되도록 하는 다수의 결합부가 구비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하전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하전부의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노출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장치에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전부의 전극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인가부;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전압인가부에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전선 관통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또는 커버에는, 상기 전압인가부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안착 가이드가 구비되는 공기조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에는, 상기 하전장치에서 대전된 먼지 입자가 포집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도성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삭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하전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에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제 2 리브의 사이에 상기 하전부가 위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벽 및 상기 베이스의 측면벽에 결합되는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 홀 및 절개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장치에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커버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전부의 전극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인가부;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전압인가부에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전선 관통홀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전압인가부는 전선을 통해 상기 하전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직경은 6.7마이크로미터 내지 7.8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의 일측에 고정되는 일측 결합부; 및
    상기 일측 결합부와 이격되며, 상기 흡입그릴의 타측에 고정되는 타측 결합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후크 및 스크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40008932A 2014-01-24 2014-01-24 공기조화장치 KR102255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932A KR102255135B1 (ko) 2014-01-24 2014-01-24 공기조화장치
EP14879994.3A EP3097363A4 (en) 2014-01-24 2014-12-31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201910049188.1A CN109990403B (zh) 2014-01-24 2014-12-31 电荷装置
CN201480073996.7A CN106415147B (zh) 2014-01-24 2014-12-31 空气调节设备
US15/113,768 US10328373B2 (en) 2014-01-24 2014-12-31 Air conditioning apparatus
PCT/KR2014/013114 WO2015111853A1 (en) 2014-01-24 2014-12-31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6/174,049 US11673088B2 (en) 2014-01-24 2018-10-29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0200101993A KR102266444B1 (ko) 2014-01-24 2020-08-13 공기조화장치
KR1020210063276A KR102407846B1 (ko) 2014-01-24 2021-05-17 공기조화장치
KR1020220068776A KR102601218B1 (ko) 2014-01-24 2022-06-07 공기조화장치
KR1020220123319A KR20220138363A (ko) 2014-01-24 2022-09-28 공기조화장치
US18/141,302 US20230285888A1 (en) 2014-01-24 2023-04-28 Air conditio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932A KR102255135B1 (ko) 2014-01-24 2014-01-24 공기조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993A Division KR102266444B1 (ko) 2014-01-24 2020-08-13 공기조화장치
KR1020210063276A Division KR102407846B1 (ko) 2014-01-24 2021-05-17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518A KR20150088518A (ko) 2015-08-03
KR102255135B1 true KR102255135B1 (ko) 2021-05-24

Family

ID=5368161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932A KR102255135B1 (ko) 2014-01-24 2014-01-24 공기조화장치
KR1020210063276A KR102407846B1 (ko) 2014-01-24 2021-05-17 공기조화장치
KR1020220068776A KR102601218B1 (ko) 2014-01-24 2022-06-07 공기조화장치
KR1020220123319A KR20220138363A (ko) 2014-01-24 2022-09-28 공기조화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276A KR102407846B1 (ko) 2014-01-24 2021-05-17 공기조화장치
KR1020220068776A KR102601218B1 (ko) 2014-01-24 2022-06-07 공기조화장치
KR1020220123319A KR20220138363A (ko) 2014-01-24 2022-09-28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328373B2 (ko)
EP (1) EP3097363A4 (ko)
KR (4) KR102255135B1 (ko)
CN (2) CN106415147B (ko)
WO (1) WO2015111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0911B2 (en) 2016-01-21 2021-04-20 Global Plasma Solutions, Inc. Flexible ion generator device
KR102522063B1 (ko) * 2016-07-15 202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1695259B2 (en) 2016-08-08 2023-07-04 Global Plasma Solutions, Inc. Modular ion generator device
US11283245B2 (en) 2016-08-08 2022-03-22 Global Plasma Solutions, Inc. Modular ion generator device
FR3072891B1 (fr) * 2017-10-28 2019-11-08 Ancilia Protect Ltd Ioniseur equipe d’un accelerateur de flux ionique notamment pour la protection contre les moustiques
CA3091418A1 (en) 2018-02-12 2019-08-15 Global Plasma Solutions, Inc Self cleaning ion generator device
KR102616653B1 (ko) * 2018-12-14 2023-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섬유 대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전기기
US11541343B2 (en) 2018-12-14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appliance with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carbon fiber
US11581709B2 (en) 2019-06-07 2023-02-14 Global Plasma Solutions, Inc. Self-cleaning ion generator device
KR20210004719A (ko) * 2019-07-05 202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20210154609A1 (en) * 2019-11-25 2021-05-27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nti-microbial purification of air
KR102251887B1 (ko) * 2020-05-25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6092A (ja) * 2003-11-28 2005-06-1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11085288A (ja) * 2009-10-14 2011-04-28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2013250051A (ja) * 2009-12-22 2013-1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アーフィルター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5658A (ja) * 1984-05-07 1985-11-22 Nippon Soken Inc 空気清浄器
CN2186367Y (zh) * 1993-06-01 1994-12-28 王天台 电子空气净化器
SE9400110L (sv) * 1994-01-17 1995-07-18 Tl Vent Ab Luftreningsapparat
JP3388562B2 (ja) * 1995-03-09 2003-03-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清浄機
JP3211866B2 (ja) * 1996-06-07 2001-09-25 船井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208840A (zh) * 1997-06-18 1999-02-24 船井电机株式会社 具有空气净化功能的空调装置及用于该装置中的电集尘器
US6635106B2 (en) * 2000-03-03 2003-10-21 Matsushita Seiko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0566851B1 (ko) * 2000-08-28 2006-04-0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개질 기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이온 발생 장치
CN2490490Y (zh) * 2001-06-06 2002-05-08 泰州春兰空调器厂 新型静电除尘空调器
KR100498401B1 (ko) * 2003-01-0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공기 정화기
JP2004218990A (ja) 2003-01-17 2004-08-05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CN1532001A (zh) * 2003-03-21 2004-09-2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等离子空气净化器
US7065978B2 (en) * 2003-08-12 2006-06-27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2722478Y (zh) * 2003-11-11 2005-08-31 仇剑梅 无臭氧高性能负氧离子发生器
US20050175512A1 (en) * 2004-02-10 2005-08-11 Yuen Se K. Electro-optical air sterilizer with ionizer
KR100575654B1 (ko) * 2004-05-18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나노 기술이 적용된 탄소 섬유 음이온 발생장치
EP1774226B1 (en) * 2004-06-29 2013-08-14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of separable air conditioner
KR100606828B1 (ko) * 2004-07-02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장치
KR100606721B1 (ko) * 2004-07-06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장치
JP3840579B2 (ja) * 2005-02-25 2006-11-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624732B1 (ko) * 2005-04-11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면 방전형 공기정화장치
JP2007021411A (ja) * 2005-07-19 2007-02-01 Toshiba Kyaria Kk 電気集塵機および空気調和機
WO2007078135A1 (en) * 2005-12-30 2007-07-12 Halla Climate Control Corp. Vehicle air purifier with a negative and positive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US8505327B2 (en) * 2006-01-16 2013-08-13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2008032370A (ja) * 2006-08-01 2008-02-1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KR20090003928A (ko) * 2007-07-05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장치
WO2010036176A1 (en) * 2008-09-24 2010-04-01 Eurus Air Tech Ab Air cleaning apparatus
US9421291B2 (en) * 2011-05-12 2016-08-23 Fifth Third Bank Hand dryer with sanitizing ionization assembly
KR101989098B1 (ko) 2012-07-05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KR101996055B1 (ko) * 2012-07-05 2019-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온발생장치
KR101936632B1 (ko) * 2012-07-05 201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102759B1 (ko) 2013-05-13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온발생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199381B1 (ko) * 2013-12-05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공기청정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6092A (ja) * 2003-11-28 2005-06-1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11085288A (ja) * 2009-10-14 2011-04-28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2013250051A (ja) * 2009-12-22 2013-1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アーフィルター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28373B2 (en) 2019-06-25
US20190070546A1 (en) 2019-03-07
US20170007953A1 (en) 2017-01-12
US20230285888A1 (en) 2023-09-14
EP3097363A1 (en) 2016-11-30
WO2015111853A1 (en) 2015-07-30
CN109990403B (zh) 2022-12-06
KR20150088518A (ko) 2015-08-03
CN106415147B (zh) 2020-01-10
KR20220083991A (ko) 2022-06-21
KR102407846B1 (ko) 2022-06-13
EP3097363A4 (en) 2017-11-08
KR102601218B1 (ko) 2023-11-14
KR20210061317A (ko) 2021-05-27
CN106415147A (zh) 2017-02-15
KR20220138363A (ko) 2022-10-12
US11673088B2 (en) 2023-06-13
CN109990403A (zh)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846B1 (ko) 공기조화장치
EP3267124B1 (en) Air conditioner
KR102199381B1 (ko) 공기조화기용 공기청정기구
KR10208582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EP3093563B1 (en) Air conditioner
EP2942582B1 (en) Filt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EP3115113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onditioner using same
KR102584609B1 (ko) 공기조화기
JP6012651B2 (ja) 電気集塵装置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空気調和機
KR102200401B1 (ko) 공기조화장치
KR102245799B1 (ko) 공기조화기
KR102266444B1 (ko) 공기조화장치
KR102267826B1 (ko) 공기조화기
KR102469227B1 (ko) 공기조화기
EP3690333B1 (en) Air conditioner
JP2007301463A (ja) 空気浄化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KR20200095956A (ko) 공기조화기
JP2015188832A (ja) 電気集塵装置およびフィルタ並びに空気調和機
JP6012652B2 (ja) 電気集塵装置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空気調和機
KR20200122280A (ko) 공기조화기
JP2015190640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