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026B1 - 친환경 종이 부스 - Google Patents

친환경 종이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026B1
KR102255026B1 KR1020190132081A KR20190132081A KR102255026B1 KR 102255026 B1 KR102255026 B1 KR 102255026B1 KR 1020190132081 A KR1020190132081 A KR 1020190132081A KR 20190132081 A KR20190132081 A KR 20190132081A KR 102255026 B1 KR102255026 B1 KR 102255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lock
slit
booth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155A (ko
Inventor
최학찬
Original Assignee
(주)이즈피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즈피엠피 filed Critical (주)이즈피엠피
Priority to KR1020190132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0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종이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판지 재질 등을 이용하여 몇 개의 조립 부품으로 조립식으로 각종 전시장의 전시 부스를 여러 형태로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친환경 종이부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조립식 전시부스에 있어서, 단면상 속이 빈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단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벽체슬릿(11)을 형성한 벽체(1)와, 벽체(1)와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속이 빈 두개의 정사각 육면체 블럭이 나란히 이어져 형성되며, 육면체 블럭의 수직벽 상,하단부에는 수직으로 절개된 결합슬릿(21)을 형성하여, 벽체(1)의 상하단부 모서리에 결합되는 결합블럭(2)과, 벽체(1)와 벽체(1)를 수직 및 수평으로 이어지도록 하며, 상하단에는 수직으로 절개된 중간슬릿(31)을 형성하는 중간블럭(3)과, 두 벽체(1)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직각으로 이어질 때 발생하는 벽체(1)의 배면 모서리 부분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하단에는 수직으로 절개된 모서리슬릿(41)을 형성하여, 결합블럭(2) 및 중간블럭(3)과 결합하는 모서리블럭(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종이 부스{eco-friendly paper booth}
본 발명은 친환경 종이 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판지 재질 등의 종이 재질을 이용하여 몇 개의 조립 부품으로 조립식으로 각종 전시장의 전시 부스를 여러 형태로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친환경 종이 부스에 관한 것이다.
특허공개번호/일자 : 10-2018-0134006 (2018.12.18)
특허등록번호/일자 10-1814286 (2017.12.26)
종래의 시중에 널리 사용되는 전시 행사장의 부스는 옥타늄 부스, 콤비락부스 등의 제품이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고가의 비용인 단점이 있으며, 부품수가 많아 조립 및 보관 등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또한 폐기시 친환경 재질이 아니어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또한 부품들이 금속 등의 무거운 재질로 이루어져 운반 및 설치시에도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간단히 4-5 가지 부품으로 전체적인 전시 부스를 자유로운 형태로 조립할 수 있으며, 가볍고 운반이 용이하고 보관시 적은 공간을 차지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으며 폐기시에도 환경오염 물질 방생이 없는 친환경 재질의 종이 부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조립식 전시부스에 있어서, 단면상 속이 빈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단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벽체슬릿(11)을 형성한 벽체(1)와, 벽체(1)와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속이 빈 두개의 정사각 육면체 블럭이 나란히 이어져 형성되며, 육면체 블럭의 수직벽 상,하단부에는 수직으로 절개된 결합슬릿(21)을 형성하여, 벽체(1)의 상하단부 모서리에 결합되는 결합블럭(2)과, 벽체(1)와 벽체(1)를 수직 및 수평으로 이어지도록 하며, 상하단에는 수직으로 절개된 중간슬릿(31)을 형성하는 중간블럭(3)과, 두 벽체(1)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직각으로 이어질 때 발생하는 벽체(1)의 배면 모서리 부분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하단에는 수직으로 절개된 모서리슬릿(41)을 형성하여, 결합블럭(2) 및 중간블럭(3)과 결합하는 모서리블럭(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결합블럭(2)의 결합슬릿(21)은, 수직한 4 벽면의 중간 위치에서 벽면의 중간 높이 깊이로 4개의 결합슬릿(2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결합블럭(2)은 하부에서 접혀지는 접힘부(24)를 형성하여, 접힘부(24)에서 접었을 경우 수직한 벽의 두면이 상호 접하는 중첩면(23)이 상호 접하여, 두개의 속이 빈 상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블럭이 나란히 위치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중간블럭(3)은 수평 단면상 정사각형이며, 상하단에 형성되는 중간슬릿(31)은 상부에 4 개 하부에 4 개이며, 중간슬릿(31)의 깊이는 중간블럭(3) 높이의 1/4 깊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두 벽체(1)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직각으로 결합될 때 발생하는 벽체(1)의 배면 모서리 부분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서리블럭(4)은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단에 형성하는 모서리슬릿(41)은 상단부에 2 개, 하단부에 2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벽체(1)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결합블럭(2)에는 간판블럭(5)을 더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히 4-5 가지 부품으로 전체적인 전시부스를 자유로운 형태로 조립할 수 있으며, 가볍고 운반이 용이하고 보관시 적은 공간을 차지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는 전시부스를 제공한다. 또한 골판지 재질로 만들 경우 폐기시 환경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접어서 보관하여 재활용도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부스의 실시예.
도 2 는 벽체 일부를 제거한 형태를 보여 주는 도면.
도 3 은 결합블럭을 좌우로 벌린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도 3 의 상태에서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중간블럭(3)에 의한 벽체(1)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
도 6 은 벽체(1) 간의 연결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은 2 개의 결합블럭(2)을 이용하여 사방에서 벽체(1)를 조립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 은 벽체를 직각으로 세울 경우 모서리 외측 부분을 보여 주는 도면.
도 9 는 중간블럭(3)에 의한 두 벽체의 직각 연결 부분의 모서리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상세도면.
도 10 는 모서리블럭(4)의 설치를 보여 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함께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벽면을 이루는 벽체(1)와, 벽체(1)의 상하부를 조립하는 결합블럭(2)과, 벽체(1)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중간블럭(3)과, 벽체(1)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는 모서리블럭(4)(도 10 에 도시)의 조합체로 이루어진다. 추가로 부스 상부에의 간판을 나타내는 간판블럭(5)도 더 추가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도 2 는 벽체(1)의 한 부분을 제거하여 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1)의 상부 및 하부 바닥에는 결합블럭(2)이 조립되어있고, 그 상부 중간에는 중간블럭(3)이 조립되어 있다.
도 3 은 가장 바닥에 설치되는 결합블럭(2)을 나타낸 것으로 결합블럭(2) 중간을 가르면 좌우로 벌어진다. 오무리면 도 4 와 같은 형태가 된다.
도 3 과 같이 좌우로 완전히 벌려 상하 대칭되게 위치시키면 결국 중간블럭(3) 같은 형상이 된다. 따라서 블럭 제작시, 중간블럭(3)을 만든 후 그 중간블럭(3) 가운데를 한 변만 제외하고 절개하면 결합블럭(2)을 만들어 낼 수 있어 두 종류이 블럭이 불필요하여 제조가 간편하다.
도 4 상태의 결합블럭(2) 위에 벽체(1)를 올려 놓고 결합된다.
결합블럭(2)에는 여러개의 결합슬릿(21)을, 결합블럭(2)의 수직한 깊이의 반정도 홈 깊이로 형성시키고, 벽체(1)에도 이에 상응하는 깊이의 벽체슬릿(11)을 형성하여 맞추어 끼워 결합시킨다. 그러면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1)의 하단을 견고히 지지하는 형상으로 조립된다.
특히, 도 4 에서 결합블럭(2)에는 중첩부(22) 부위가 형성되어 있어, 그 부위에서는 2 장의 골판지가 중첩되어 벽체(1)와 결합시 더욱 견고한 결합으로 벽체(1)를 충분히 지지해 준다. 도 4 의 벽체(1) 하단부에서의 결합블럭(2) 결합 구조는 벽체(1)의 최상단부에도 대칭으로 동일하게 만든다.(도 2 참조)
도 5 는 2층으로 쌓아 올린 벽체(1) 중 상부에 설치된 벽체(1) 1 개를 제거하여 벽체(1)의 연결부분에 대한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1)의 좌우 상하 연결부에는 2 개의 중간블럭(3)이 결합된다. 중간블럭(3)은 상하 대칭으로 4개의 중간슬릿(4)이 형성된다. 이 중간블럭(3)의 중간슬릿(4)은 상하 및 좌우 벽체(1)의 벽체슬릿(11)과 결합된다. 가로로 연결되는 두 벽체(1)의 접하는 부위는 도 6 에서 보듯이, 벽체중첩부(12)가 형성되므로 중간블럭(3)을 끼울 경우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결합블럭(2) 2 개의 조합으로 전후, 좌우 사방으로 벽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개의 결합블럭(2)을 나란히 놓고 전후방, 좌우로 4 개의 벽체(1)를 결합하여 끼울 수 있다. 도면에서는 벽체(1)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벽체(1)의 가장 상단 부분의 결합만 도시하였으나 이와 대칭되는 가장 아래 바닥의 구성도 이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도 8 은 두 벽체(1)가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 부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블럭(2)과 중간블럭((3)을 각각 사용하여 결합하는데, 먼저 2 개의 결합블럭(2)과 중간블럭(3)을 각각 직각으로 놓고 슬릿끼리 겹치도록 맞추어 끼워 결합시킨다. 그러면 "ㄱ" 형태로 결합이 된다. 이 상태에서 아래의 좌우 벽체(1)를 결합하고 그리고 상부에의 벽체(1)도 중간블럭(3)을 통하여 결합시킨다.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벽체(1)는 결합블럭(1)의 슬릿 A,A,A와 결합하고, 우측의 벽체(1)는 B,B,B 와 결합한다.
도 9 는 중간블럭(3)과 벽체(1)와의 상하, 좌우 방향으로의 결합을 보여 준다. 그러면 이 모서리 부분에서 공간이 생기는데 이는 외부에서 볼때 외관상 보기 좋치 못하고 부닫칠 경우 손상이 올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0 과 같이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블럭(10)를 설치한다. 모서리블럭(10)은 단면상 "ㄱ"자 형상으 로 이루어지고, 상하단에 모서리슬릿(41)이 형성되어 도 8 에 도시한 결합블럭(2)에서 노출되어있는 2 개의 결합슬릿(21)과 결합된다. 이 결합은 상하 대칭으로 동일하다. 그러면 모서리 부분이 직각으로 깨끗한 면이 이루어져 외관상 보기 좋고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도 막을 수 있으며 모서리 부분에서 더욱 견고한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4 개의 블럭 조립 단위로 다양한 원하는 형태이 부스를 만들 수 있다.
한편 부스의 간판을 걸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1)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블럭(2)의 결합슬릿(21)(미도시)에 간판블럭(5)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등의 설치가 필요할 경우에는, 도 1 에서 "C" 로 표시한 공간에 조명등을 설치할 수 있다. 즉, 결합블럭(2)과 중간블럭(3)에는 오픈된 공간홈(C)이 노출 형성되어 있어 이 공간에 조명등을 설치할 수 있다.
벽체(1) 및 모든 블럭의 외면에는 방염 코팅을 통하여 골판지 재질의 화재에 취약한 점을 보완 할 수 있다.
1 벽체 2 결합블럭
3 중간블럭 4 모서리블럭
5 간판블럭 11 벽체슬릿
12 벽체중첩부 21 결합슬릿
23 중첩면 24 접힘부
31 중간슬릿 41 모서리슬릿

Claims (6)

  1. 조립식 전시부스에 있어서,
    단면상 속이 빈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단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벽체슬릿(11)을 형성한 벽체(1)와,
    벽체(1)와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속이 빈 두개의 정사각 육면체 블럭이 나란히 이어져 형성되며, 육면체 블럭의 수직벽 상,하단부에는 수직으로 절개된 결합슬릿(21)을 형성하여, 벽체(1)의 상하단부 모서리에 결합되는 결합블럭(2)과,
    벽체(1)와 벽체(1)를 수직 및 수평으로 이어지도록 하며, 상하단에는 수직으로 절개된 중간슬릿(31)을 형성하는 중간블럭(3)과,
    두 벽체(1)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직각으로 이어질 때 발생하는 벽체(1)의 배면 모서리 부분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하단에는 수직으로 절개된 모서리슬릿(41)을 형성하여, 결합블럭(2) 및 중간블럭(3)과 결합하는 모서리블럭(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블럭(2)의 결합슬릿(21)은, 수직한 4 벽면의 중간 위치에서 벽면의 중간 높이 깊이로 4개의 결합슬릿(2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부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블럭(2)은 하부에서 접혀지는 접힘부(24)를 형성하여, 접힘부(24)에서 접었을 경우 수직한 벽의 두면이 상호 접하는 중첩면(23)이 상호 접하여, 두개의 속이 빈 상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블럭이 나란히 위치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부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블럭(3)은 수평 단면상 정사각형이며, 상하단에 형성되는 중간슬릿(31)은 상부에 4 개 하부에 4 개이며, 중간슬릿(31)의 깊이는 중간블럭(3) 높이의 1/4 깊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부스.
  5. 제 1 항에 있어서,
    두 벽체(1)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직각으로 결합될 때 발생하는 벽체(1)의 배면 모서리 부분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서리블럭(4)은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단에 형성하는 모서리슬릿(41)은 상단부에 2 개, 하단부에 2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부스.
  6. 제 1 항에 있어서,
    벽체(1)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결합블럭(2)에는 간판블럭(5)을 더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종이부스.
KR1020190132081A 2019-10-23 2019-10-23 친환경 종이 부스 KR10225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81A KR102255026B1 (ko) 2019-10-23 2019-10-23 친환경 종이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81A KR102255026B1 (ko) 2019-10-23 2019-10-23 친환경 종이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155A KR20210048155A (ko) 2021-05-03
KR102255026B1 true KR102255026B1 (ko) 2021-05-24

Family

ID=7591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081A KR102255026B1 (ko) 2019-10-23 2019-10-23 친환경 종이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0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675B1 (ko) 2011-12-29 2014-06-24 정영국 분할형 조립식 완구 블럭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679B1 (ko) * 2009-06-03 2012-01-11 김기태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
JP3196890U (ja) * 2015-01-27 2015-04-09 高橋 敏郎 組立ておもちゃ
KR20180000163U (ko) * 2016-07-06 2018-01-16 조택연 행사장 구조물용 블럭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675B1 (ko) 2011-12-29 2014-06-24 정영국 분할형 조립식 완구 블럭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155A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8909A (en) Construction kit
KR10183535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8087032A (ja) 組立式包装箱
KR102255026B1 (ko) 친환경 종이 부스
JP5820748B2 (ja) 積層段ボール板の接続構造体
JP7049687B2 (ja) 建築構造
WO2014133472A1 (en) Demounted, collapsible architectural building block
KR20080006523U (ko) 조립식 포장상자
KR20170051628A (ko)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US1830382A (en) Toy building construction
JP3170876U (ja) 陳列用多面構造体
US8371087B2 (en) Folding support or frame structure
KR102238883B1 (ko) 전시 모듈을 이용한 전시 모듈 구조체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KR102377687B1 (ko) 연결형 칸막이
JP2020023802A (ja) 間仕切耐力壁
JP3746053B2 (ja) 平板体および仮設住居
JP7496125B2 (ja) 段ボール等の板の連結具
JP2023035326A (ja) 什器
JP5986865B2 (ja) 衝立の連結構造
JP2019056221A (ja) 間仕切りユニットおよび組立式間仕切り
JP2018028226A (ja) 災害時用ダンボール製簡易間仕切り
JP6891044B2 (ja) 木造パネル
JP2024027908A (ja) 組み立て式間仕切り
KR100351741B1 (ko) 합성목재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