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901B1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901B1
KR102254901B1 KR1020200093071A KR20200093071A KR102254901B1 KR 102254901 B1 KR102254901 B1 KR 102254901B1 KR 1020200093071 A KR1020200093071 A KR 1020200093071A KR 20200093071 A KR20200093071 A KR 20200093071A KR 102254901 B1 KR102254901 B1 KR 10225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steam
tank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석
신준
박예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9288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06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내부에 물을 저장한 내부공급부와 캐비닛 외부의 급수원에서 물을 공급받는 외부공급부에서 각각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여 의류에 분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여 의류의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의류의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이 수행되어 의류가 건조될수록 의류에서 제거된 수분의 양도 더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수분을 응축시켜 별도의 배수관을 통해 외부에 배출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수분이 공기와 함께 바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배치된 실내 공간의 습도 또는 온도를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문제가 있었고, 상기 수분을 물로 응축하여 배출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하수구 등이 설치된 장소에만 설치되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응축된 물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저수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한국출원 제10-2018-0045253호 참조.
도1은 의류에서 생성된 물을 일정량 수집한 뒤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배출할 수 있는 저수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상하는 캐비닛(1)과, 전방에 이를 캐비닛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112)를 구비하되, 상기 캐비닛(1)의 일측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구비되는 저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열풍을 순환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설치된 히트펌프 시스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시스템에서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가 냉각되면 의류에서 토출된 물이 응축되고, 상기 응축된 물은 상기 저수부(7)로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저수부(7)는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저장탱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캐비닛(1)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었다.
사용자는 상기 저수부(7) 내부에 수위가 높으면 상기 저수부(7)를 인출한 뒤 상기 저수부(7)의 물을 제거하여 다시 상기 캐비닛(1)에 삽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배치되지 않는 거실 또는 방에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었고, 상기 저수부에 저장되는 수분이 임의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환경조건을 변경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저수부에 수집된 물은 의류에서 토출된 것이기 때문에 다량의 린트 또는 이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수부에 수집된 물을 재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구조 자체를 게시하지 않으므로,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구조에 대한 암시나 기술적 제안을 전혀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이에 따라,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살균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스팀(steam)을 의류에 공급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도 등장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6500호 참조.
도1(b)는 의류가 저장된 공간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부(200)와,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물공급부는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물탱크(400)와, 상기 물탱크(420)에 물을 전달받아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펌프(4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탱크와 물펌프가 안착되는 탱크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00)는 신선한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며, 캐비닛의 전방패널(11)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가 떨어질때마다 상기 물탱크(400)를 인출한 뒤 물을 충전하여 다시 삽입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부급수원과 연통되지 않아도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물탱크(400)는 물이 고여있으므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부패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팀부(200)로 상기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더라도, 상기 의류가 살균되지 않고 오히려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저수부가 따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의류에서 토출된 물을 별도로 저장해서 버릴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스팀부(200)는 건조행정마다 작동할 수 있으므로 다량의 물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수시로 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물탱크와 물펌프의 설치높이가 비슷하여 상기 탱크하우징(410) 내부에 특정 물의 양이 항상 잔류하게 되어, 일정량의 물이 사용되지 못하거나 부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물탱크 뿐만 아니라 외부급수원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전혀 제시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물탱크와 외부급수원을 동시에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어느 것을 먼저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기준이나 제어방법을 전혀 제공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물탱크(400)가 상기 캐비닛 외부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400) 내부의 잔수가 상기 캐비닛 내부로 누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저수부와 상기 물탱크가 동시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구조에 관해 전혀 암시하지 않아, 저수부와 물탱크가 동시에 구비되는 것에 어떠한 기술적 가능성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물탱크과 저수부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저수부와 물탱크를 혼동하여 저수부의 물을 버리지 않거나, 물탱크의 물을 오히려 버리는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저수부와 물탱크를 설치하는 공간에 대한 기준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한편, 저수부에 수집된 응축수를 스팀공급에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도 등장하였다. 유럽특허공보 제1887127호 및 제1862584호참조.
도1(c)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에 회전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16)과, 상기 드럼(16)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응축탱크(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6) 하부에는 상기 드럼(16)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풍공급부(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16)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팀공급부가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스팀탱크(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미도시)는 상기 스팀탱크(3)와 연통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열풍공급부(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탱크(3)는 상기 응축탱크(8)와 연통관으로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관은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탱크(3)는 상기 응축탱크(8)에 수집된 물을 여과하여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이 수행될 때마다 수분을 자동으로 상기 스팀탱크(3)에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 결과,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급수부나 배수부에 인접하여 설치될 필요가 없어 가정 내 어디에나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응축수만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물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는 것에만 집중하여, 상기 스팀탱크(3)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시켜 구비하였다.
즉, 상기 응축탱크(8)의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응축탱크(8)만 상기 캐비닛(1)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하지만, 상기 스팀탱크(3)를 외부에 인출하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의류에서 충분한 양의 물이 응축되지 않는 경우 등 상기 스팀탱크(3)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팀을 공급하는 행정 자체를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스팀탱크(3)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응축탱크(8)에 간접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상기 응축탱크(8)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이므로 의류에서 토출된 린트 등의 이물질이 용해되어 있을 수 있고, 장시간 저장으로 인해 세균 등이 번식할 우려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상기 응축탱크(8)에 수집된 응축수 만으로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것을 강요받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스팀탱크(3)를 세척하거나 살균하고 싶더라도,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직수 등 신선한 물로 스팀을 생성하길 원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의도를 전혀 반영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탱크(3)와 상기 응축탱크(8)를 사용자자가 쉽게 구분하거나,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스팀탱크(3)도 외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 상기 스팀탱크(3)와 상기 응축탱크(8)와 어떻게 구별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부에 스팀탱크 외에 외부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직수를 전혀 공급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물을 별도의 물탱크 뿐만 아니라, 외부급수원에도 공급받을 수 있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급수원을 사용할지 물탱크를 사용할지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물탱크과 의류의 건조과정에서 생성된 저수탱크를 모두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설치공간과 저수탱크의 설치공간을 다르게 배치하여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제거방향과 저수탱크의 제거방향이 다르도록 설계하여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장치 내부에 잔류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사용되지 못하는 물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외부로 인출할 때 상기 물탱크의 잔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기에 캐비닛 내부에 수용된 물탱크 및 캐비닛 외부와 연통된 외부급수관에서 모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를 포함하는 내부공급부, 직수밸브를 포함하는 외부공급부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내부공급부와 외부공급부에서 상기 스팀발생기로 모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므로, 내부공급부와 외부공급부 중 어느 곳에서 물을 공급할지를 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장치 및 구조적으로 내부공급부와 외부공급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나 설치자의 미숙지 또는 오해 등으로 인해 의류처리장치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어방법 및 알고리즘으로 내부공급부와 외부공급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물탱크를 통해 스팀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물탱크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따로 저수하도록 구비되는 저수탱크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저수탱크도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물탱크와 저수탱크에 모두 물이 담겨 있으므로, 이를 구분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물탱크의 인출방향이 저수탱크의 인출방향과 다르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물탱크의 설치위치와, 저수탱크의 설치위치를 다르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물탱크의 노출방법과, 저수탱크의 노출방법이 다르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직수를 공급받기 위해, 직수밸브를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직수밸브를 설치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캐비닛을 변경하거나, 설치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을 드럼 등에 공급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 와 이를 별도로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구비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내부공급부와 상기 외부공급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스팀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직수밸브와 상기 물펌프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스팀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외부공급부 또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공급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노출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노출차단부가 상기 외부공급부를 개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차단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인식부에서 상기 외부공급부가 개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공급부를 우선적으로 구동하는 스팀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노출차단부는 상기 외부공급부를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캡커버와, 상기 캡커버에서 연장되는 연장바디와, 상기 연장바디에 결합되는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차단인식부는 상기 외부공급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발생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외부급수관에서 물을 공급받는 직수밸브와, 상기 직수밸브에서 상기 스팀부로 물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직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캡커버는 상기 직수밸브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직수밸브를 차폐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발생부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는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캡커버는 상기 노출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출차단부는 상기 캡커버 또는 상기 연장바디에서 상기 외부공급부를 향하여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단인식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에 접촉되거나 가압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발생부를 감지하는 차단제어선과, 상기 외부공급부를 제어하는 직수제어선과, 상기 내부공급부를 제어하는 탱크제어선이 연장되거나 결합되어 구비되는 제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발생부가 상기 센서부에서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공급부를 우선 구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통합제어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외부공급부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접점과, 상기 내부공급부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내부접점과, 상기 통합제어선을 상기 외부접점과 상기 내부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스위치입력부가 상기 내부접점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입력부를 가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스팀부에 물이 스팀수위 이상이면 상기 외부공급부에서 상기 스팀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스팀부에 물이 스팀수위 이하이면 상기 내부공급부에서 상기 스팀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가 상기 외부급수원과 결합되면 상기 스팀부에 스팀수위 이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직수밸브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노출차단부가 상기 직수밸브에 분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노출차단부가 제거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직수밸브에서 공급된 물로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직수모드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노출차단부가 상기 직수밸브에 결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로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저수모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직수모드단계는 상기 물펌프의 구동을 차단하는 차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모드단계는 상기 스팀부의 수위가 스팀수위 이상인 것을 감지하는 직수감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단계는 상기 스팀부의 수위가 스팀수위 이상이면(based on that),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직수감지단계에서 상기 스팀부의 수위가 상기 스팀수위 이하이면 상기 저수모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상기 물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스팀부로 공급하는 펌프구동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이 공급수위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저수감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구동단계는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상기 공급수위 이상이면(based on that),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는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상기 물탱크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수용감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감지단계는 상기 물탱크가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어 있을 때 수행될 수 있다 .
상기 내부공급부의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수감지단계에서 상기 공급수위 이하이거나, 상기 수용감지단계에서 상기 물탱크가 상기 캐비닛에 인출된 상태이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저수모드단계가 수행 불가능함을 표시하는 에러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모드단계 또는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상기 스팀부의 수위가 스팀수위 이상이면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구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물탱크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저수판단단계와, 상기 물탱크에 물이 수용되어 있으면 상기 직수밸브는 폐쇄하는 저수모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상기 물펌프를 구동하는 펌프구동단계와,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공급수위 미만인지를 감지하는 급수불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상기 공급수위 미만이면, 상기 물펌프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직수밸브를 개방하는 직수모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의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수밸브에 물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직수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이 공급수위 이하이면서 상기 직수밸브를 통해 물 공급이 미감지되면 상기 스팀부에 물 공급이 불가능한 상태를 표시하는 에러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방향과, 상기 물탱크가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되는 방향은 서로 다르게 구비될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캐비닛의 상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물탱크가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인출홀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스팀부로 공급하는 물펌프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와 상기 물펌프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출홀은 상기 물탱크는 노출시키되 상기 물펌프는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물공급부에 상기 펌프배출관과 상기 직수관에 결합되어 상기 물을 상기 스팀부로 안내하는 합지부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직수관과 상기 펌프배출관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어 상기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직수밸브가 결합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이 함몰되어 상기 직수밸브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는 설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홈은 상기 캐비닛의 모서리, 상기 캐비닛의 꼭지점을 향하여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는 상기 설치홈과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합지부는 상기 지지바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양단이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과 배면패널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캐비닛의 측면패널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탱크하우징은 일면이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측면패널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은 일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지지결합부와, 타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되어 상기 측면패널에 결합되는 패널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는 상기 탱크하우징에서 상기 캐비닛의 상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는 상기 물을 저장하는 탱크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바디는 상기 탱크하우징에서 인출시 전방이 상부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바닥면의 전방이 굴곡지게 구비되는 인출유도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배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펌프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면과, 상기 배출면을 관통하여 상기 탱크바디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펌프로 배출하는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탱크바디가 인출시 상기 탱크바디에 수용된 물이 상기 탱크하우징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닥면보다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는
상기 배출홀의 내부로 연장되는 내측유로와, 일단이 상기 내측유로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펌프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하여 물을 공급받는 펌프유입관과, 상기 펌프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물에 동력을 제공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에서 상기 스팀부로 물을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펌프배출관을 포함하고,상기 펌프유입관이 상기 탱크하우징에서 이격된 높이는 상기 배출홀이 상기 탱크하우징에서 이격된 높이보다 낮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배출관이 상기 탱크하우징에서 이격된 높이는 상기 펌프유입관이 상기 탱크하우징에서 이격된 높이보다 높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은 상기 물탱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장착부와, 상기 물펌프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펌프장착부와, 상기 탱크장착부와 상기 펌프장착부를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유로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펌프유입관과 연통가능하게 구비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는 상기 내측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제1핀과, 상기 연장관에 수용되어 상기 제1핀과 접촉되면 상기 연장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제2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물을 별도의 물탱크 뿐만 아니라, 외부급수원에도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급수원을 사용할지 물탱크를 사용할지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물탱크과 의류의 건조과정에서 생성된 저수탱크를 모두 구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설치공간과 저수탱크의 설치공간을 다르게 배치하여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제거방향과 저수탱크의 제거방향이 다르도록 설계하여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장치 내부에 잔류가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사용되지 못하는 물이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외부로 인출할 때 상기 물탱크의 잔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특징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세척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덕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공급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공급구조의 유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공급장치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외부급수원과 물탱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지를 구조적으로 결정하는 결정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결정부의 회로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결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결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결정부의 마지막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결정부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결정부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결정부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 외부급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 외부급수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부를 별도로 제어하는 스팀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물탱크 인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물탱크의 착탈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물탱크가 상부로 인출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3은 본 발명 물탱크과 물펌프의 유로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4는 상기 유로연결구조를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5는 물탱크를 인출하더라도 잔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6은 잔수누구 방지 구조의 단점을 보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7은 상기 물탱크의 누수방지를 수행하는 실링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8은 내부공급부의 잔수를 모두 펌프에 수집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특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7)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명령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별도로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저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전방패널(11)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수탱크(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72)는 후술하는 세척펌프에서 전달받은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저수탱크(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하여 상기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얼마든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저수탱크(72)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탱크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홀(115)은 상기 전방패널(1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탱크홀(115)을 통해 상기 전방패널(11)에서 슬라이드 되어 인출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저수탱크(72)가 부피가 크게 구비되어 더 많은 양의 응축수를 저장하더라도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저수탱크(72)를 상기 전방패널(11)에서 인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저수탱크(72)의 무게를 스스로 극복하지 않아도 상기 저수탱크(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탱크홀(115)은 상기 컨트롤패널(117)과 상기 저수탱크(72)가 인출입 할 때 상기 저수탱크(72)가 상기 컨트롤패널(117)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탱크홀(115)은 상기 컨트롤패널(117)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홀(115)은 상기 도어(1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저수탱크(72)를 상기 전방패널(11)에서 인출할 때 허리를 상대적으로 적게 굽힐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물탱크(430)와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또는 캐비닛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응축수가 아닌 신선한 물을 공급받아 스팀(steam)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물을 가열하거나, 초음파를 이용하거나, 기화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물을 일정량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일정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이때, 캐비닛의 전방패널(11)은 도어 및 컨트롤패널(117)이 설치되고, 캐비닛의 배면패널(12)은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덕트 및 급수부 등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팀부(200)는 캐비닛의 측면패널(14)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200)를 별도로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스팀제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컨트롤내널(117)에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컨트롤패널(117)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생산단가를 상승시키지 않기 위해 별도의 제어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스팀부(200)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스팀부(200)가 설치되는 측면패널(14)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부(200)와 연결되는 제어선 등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의류에 접촉될 수 있는 스팀을 공급하기 때문에 신선한 물로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부(7)에 수집된 물은 의류에서 생성된 것이므로 린트 또는 이물질이 함유될 가능성이 높아,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되, 상기 저수부(7)와 별도로 구비되는 물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300)는 신선한 물이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신선한 물을 외부에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200)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물공급부(300)는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200)에 전달할 수 있는 외부공급부(500)와, 별도로 신선한 물을 저장하여 상기 스팀부(200)에 공급할 수 있는 내부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저수부(7)와 별도로 구비되어 신선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의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안착시키는 탱크하우징(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스팀부(200)는 설치 높이에 차이를 두어, 자중에 의해 상기 물탱크(420)의 물이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스팀부(200)의 설치높이 차이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물펌프(430)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펌프(430)를 추가 배치하는 경우 상기 캐비닛(1) 내부의 공간을 더욱 조밀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상기 외부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직수밸브(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지를 결정하는 결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사용할지를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탱크(420)는 신선한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는 신선한 물을 수시로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캐비닛(1)에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이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420)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하여 간단하게 물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전방패널(11)을 통해 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수탱크(42)도 상기 전방패널(11)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컨트롤패널(117)이 차지하는 면적으로 인해 상기 물탱크(420)를 인출할 영역이 확보되기 어려울 수 있다.
라서,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상부패널(13)로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117)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 또한, 상기 물탱크(420)도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부(7)도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혼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가 상기 캐비닛에서 노출되는 방향이나 위치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상부패널(13)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전방패널(11)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가 모두 구비되어 있어도,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를 혼동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420)는 신선한 물을 저장해야 하고, 저장된 물의 신선도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저수부(7) 보다 부피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부피 차이로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저수부(7) 보다 부피가 작으므로 상부로 인출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상부패널(13)에서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의 인출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사용자의 혼동 가능성은 더욱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부패널(13)은 상기 물탱크(42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물탱크(420)가 캐비닛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탱크인출홀 또는 인출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인출홀(131)은 상기 물탱크(420)의 단면적과 대응되거나, 상기 물탱크(420)의 면적보다 조금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패널(13)은 탱크인출홀(131)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420)가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출커버(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커버(132)는 상기 탱크인출홀(131)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패널결합부(1321)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1321)는 상기 인출커버(132)를 상기 상부패널(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인출커버(13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1321)와 상기 상부패널(13)은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출커버(132)는 표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패널핸들(132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핸들(132)은 상기 인출커버(132)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구비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커버(132)는 상기 상부패널(13) 또는 상기 탱크인출홀(131)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고정부(1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고정부(1332)는 상기 상부패널(13) 또는 상기 탱크인출홀(131)과 푸쉬버튼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순환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필터가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필터장착홀(113)이 구비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3), 상기 순환유로(3)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로 구비될 경우,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17), 및 상기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171),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173),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제1개방면)에 삽입되는 제1지지바디(1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171)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 및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175)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서 상기 드럼 바디(21)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바디(175)의 지름은 상기 드럼 투입구(173)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 투입구(173)는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173)를 연결하는 연결바디(177)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에서 상기 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에는 상기 순환유로(3)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17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배출구(178)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유로(3)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상기 연결바디(177)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191), 상기 제2고정바디(19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제2개방면)에 삽입되는 제2지지바디(1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제2고정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상기 캐비닛(1)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198)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덕트(3)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 및 상기 공기 유입구(19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를 통해 회전할 수 있는데, 도 3는 상기 구동부(28)가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모터(23),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25), 상기 풀리(25)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27)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17)에는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79)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19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3)는 상기 드럼(2)에 연통되어 구비되는 덕트(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3)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가 열교환부(4)를 지나 상기 드럼(2)에 재유입되는 순환유로를 형성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덕트(3)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에 연결된 배기덕트(31), 상기 공기 유입구(198)에 연결된 공급덕트(33), 상기 배기덕트와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열교환부(4)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49),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41), 및 상기 덕트(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는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부(43)는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49)은 상기 덕트(3)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91), 상기 임펠러(491)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4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4 참조) 상기 임펠러(491)는 상기 배기덕트(31), 연결덕트(35), 및 공급덕트(33)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임펠러(491)가 상기 공급덕트(33)에 구비된 경우(발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너비 방향(Y축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와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상기 배기덕트(31)에서 상기 공급덕트(33)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4 참조)
상기 냉매는 상기 덕트(3)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45)에 의해 상기 냉매관(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48)에는 상기 발열부(4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7)가 구비된다.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압축기(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할 때 상기 흡열부(41)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집수부가 구비된다.
상기 집수부에 수집되는 물은 상기 저수부(7)에 수집되어 추후에 일괄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수탱크(72), 상기 저수탱크(7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저수탱크(7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7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저수탱크(72)가 삽입되는 저수부 장착홀 또는 탱크홀(115)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저수탱크(72)의 전방면에는 저수패널(71)이 고정되는데, 상기 저수패널(71)은 상기 저수부 장착홀 또는 탱크홀(1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방패널(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패널(7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홈(7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수패널(71)은 상기 저수탱크(72)를 캐비닛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유입구(72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노즐(722a)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722a)은 상기 저장바디(72)가 캐비닛(1)에 삽입된 때 상기 유입구(7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의 상부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저수부(7)는 사용자가 상기 저수탱크(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한 뒤 상기 저수탱크 (72)를 상기 유입구(72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상기 저수탱크 (7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 (72)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구(722)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바디(7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7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저수부(7)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내부급수부(400)와 상기 외부급수부(50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부급수부(500)는 상기 배면패널(13)에 인접하거나 상기 배면패널(13)에 고정되는 직수밸브(520)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전달되는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는 직수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외부급수원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캐비닛 배면으로 연장되는 급수관과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직수밸브(520)를 통해 직접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급수부(400)가 생략되거거나, 상기 내부급수부(400)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스팀부(200)는 필요할 때마다 상기 직수밸브(52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스팀제어부(800)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직수밸브(52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직수관(510)에 불필요하게 잔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시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직수밸브(520)를 통해 즉각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내부급수부(400)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에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을 안착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스팀부(200)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인출홀(131)은 상기 상부패널(13) 중 상기 물탱크(420)가 설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탱크인출홀(131)로 상기 물펌프(430)가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출커버(132)는 상기 탱크인출홀(13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420)가 불필요하게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드럼(2) 또는 상기 순환유로(3)와 연통하여 상기 드럼(2)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물공급부(30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한 뒤 상기 스팀배출관(213)을 통해 상기 드럼(2) 또는 덕트(3)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관(213)은 상기 드럼(2)과 바로 연통하여 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2)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덕트(3) 또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연통하여 상기 드럼(2) 내부로 스팀을 간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관(213)이 상기 덕트(3)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급덕트(33)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19)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9)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송풍팬(49)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팀이 상기 드럼(2) 내부로 더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건조행정 중에 스팀을 사용하는 스팀공급모드가 수행되면 스팀을 생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모드는 상기 의류를 살균하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행정 중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행정 말미에 상기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일련의 건조코스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급수부(400)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급수부(50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드럼(2) 내부 등으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흡열부(41)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는 상기 드럼(2)을 순환하더라도 상기 흡열부(41)에서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드럼(2) 내부의 의류를 지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에서 응축된 수분은 집수부(37)에 1차 수집된 후 상기 저수부(7)로 2차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35)와 이격된 공간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은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열교환부(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 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3과 도4는 상기 집수부(37)가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기 집수부(37)는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4는 상기 집수부(37)와 상기 열교환부(4), 세척부(6) 등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와 연통하는 집수바디(3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와 발열부( 43)가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3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372)는 상기 흡열부(41)와 발열부( 43)가 접촉하는 지지판(373), 상기 지지판(373)과 상기 집수바디(371)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375), 및 상기 지지판(37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판 관통홀(376)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관통홀(376)은 상기 지지판(373)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흡열부(41)가 지지되는 공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흡열부가 지지되는 공간 및 상기 발열부가 지지되는 공간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발열부(43)의 하부에도 지지판 관통홀(376)이 구비되면, 상기 지지판(373)을 따라 상기 발열부(43)로 이동한 물을 상기 집수바디(371)로 배출 가능할 것이다(발열부가 물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열전달 효율의 저하를 방지).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상기 흡열부(41) 및 발열부(43)에 적층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여과부가 상기 연결덕트(35)에 구비된 제1여과부(5) 및 상기 배기덕트(31)에 구비된 제2여과부(8)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5)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은 상기 제2여과부(8)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8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제4필터, 8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연결덕트(3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인출되는 필터장착홀(113, 도 1참고) 및 상기 필터장착홀을 개폐하는 장착홀 도어(114)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3)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삽입되는 덕트 관통홀(34, 도 3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여과부(5)를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한 뒤 제1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제1여과부의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필터장착홀(113) 및 덕트 관통홀(34)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는 여과부 바디(51, 53, 57, 58), 및 상기 여과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41) 및 집수바디(371)로 이동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필터(531, 551, 57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 바디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단면(Y-Z 평면, 및 X-Z 평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는 상기 여과부 바디가 육면체에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 바디는 상기 덕트 관통홀(34)을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 전방면(51), 상기 전방면과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는 후방면(53), 상기 전방면과 후방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바닥면(55), 상기 여과부 바디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57) 및 제2측면(5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면(51)에는 캐비닛에 구비된 락 체결부(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락(513, lock)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락(513)은 상기 여과부 바디의 전방면(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bar)로 구비되고, 상기 락 체결부(16)는 상기 바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홈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락(513)은 상기 전방면(51)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락 체결부(16)는 상기 필터장착혹(113)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부 바디를 상기 연결덕트(35)에 삽입하거나, 상기 연결덕트(35)에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방면(51)에는 핸들(5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53)과 상기 바닥면(55)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로 유입된 유체(공기 및 물)을 여과하는 제1필터(531) 및 제2필터(55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53)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를 상기 덕트(3)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후방면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후방면 관통홀에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55)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를 덕트(3)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바닥면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바닥면 관통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흡열부(41)로 공급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수단이되고,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집수바디(371)로 공급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제1측면(57)과 제2측면(58)은 상기 전방면(51), 후방면(53) 및 바닥면(55)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여과부(5)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 또는 제2측면(58)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제1여과부(5)가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 및 제2측면(58)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측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바닥면(55)을 기준으로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을 향해 90도 내지 100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세척부(6)를 통해 상기 제1필터(531)에 물이 분사될 경우, 제1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상기 바닥면(55)으로 쉽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전방면(51)에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해 10도 내지 20도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제2필터는 제1필터의 하단에서 필터장착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10 내지 20도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551)가 제1필터(53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면, 상기 제1여과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이 가장 낮은 지점이 될 것이므로, 제1여과부(5)의 이물질은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집중될 수 있다. 이물질이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집중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1여과부(5) 내부의 이물을 보다 쉽게 제거 가능할 것이다.
다만,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이물질이 집중되면, 상기 세척부(6)를 통해 분사된 물이 집수바디(371)로 배출되는데 긴 시간이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57)에는 상기 제1여과부(5) 내부를 상기 집부바디(371)에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홀 및 상기 바이패스홀에 구비된 제3필터(5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홀 및 제3필터(571)는 상기 상기 제2필터(551)의 최상단보다 높고 상기 제1필터(531)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제1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에 의해 상기 제1여과부(5)에 분사된 물이 상기 집수바디(371)로 회수되지 못하는 현상을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여과부(5)를 세척하는 세척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7)로 따로 수집될 수도 있고, 상기 세척부(6)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세척부(6)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여과부(5)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제1필터(531), 제2필터(551), 제3필터(571), 및 흡열부(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척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6)는 상기 덕트(3)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부(5)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부(65),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이동시키는 세척펌프(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펌프(61)는 제1연결관(611)을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에 연결되고,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분사부(65)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세척펌프(61)만으로 상기 분사부(65) 및 상기 저수부(7)로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유로전환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전환부(63)는 상기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세척펌프(61)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부(65)는 분사부 공급관(631)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며, 상기 저수부(7)는 저수부 공급관(633)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은 상기 노즐(722a)과 상기 유로전환부(6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유로전환부(63)에는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의 개폐 및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유로전환부(63)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저수부(7)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65)는 상기 연결덕트(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이 연결되는 덕트 관통홀(651), 상기 덕트 관통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필터(531)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653), 상기 제1가이드(653)를 통해 공급되는 물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6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가이드(655)는 물이 상기 제1필터(531)를 거쳐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에 공급되게 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상기 연결덕트(35)에 고정된 때 상기 제1가이드(653)와 상기 제2가이드(655)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655)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53)에는 가이드 관통홀(6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은 상기 제1가이드(65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로, 상기 덕트 관통홀(651)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을 통해 상기 흡열부(41)의 전방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의 전방영역은 상기 흡열부(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371)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집수부 수위감지부(91)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가 구비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바디(72)로 이동시키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이 상기 연결덕트(3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는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의 수위를 감지 가능한 한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전극으로 구비된(수위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극들로 구비된) 센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함으로써 열교환부(4)의 작동 중단 시점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건조도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는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전극센서(95), 및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센서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의류에 접촉 가능한 제1전극(951) 및 제2전극(9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므로(의류의 전기적 저항은 증가), 상기 두 전극(951, 953)이 의류를 통해 연결되었을 때 측정되는 전기적 저항을 관찰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 가능하다. 한편,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관찰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9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96)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필터(531)와 상기 제2필터(55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에 상기 연결덕트(35)와 상기 집수부(37)를 구비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덕트(3)를 형성하며 상기 열교환부(4)가 설치될 수 있는 베이스(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9)는 상기 배출덕트(31)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35)의 양단에 상기 배출덕트(31)와 상기 공급덕트(3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5)에는 상기 흡열부(41)와 상기 발열부(4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9)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일측에 압축기 등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장치 설치부(3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설치부(392)는 상기 압축기(45)가 설치될 수 있는 압축설치부(393)와, 상기 송풍팬이 안착될 수 있는 팬설치부(391)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는 구동설치부(392a)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설치부(392)는 상기 집수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4와 달리,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연결덕트(35)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연결덕트(35)의 일측에서 격벽(38)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덕트(35)는 상기 흡열부(41)가 설치될 수 있는 흡열장착부(372)와, 상기 발열부가 장착될 수 있는 발열장착부(523)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행정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열공급부(4)가 구동하면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되어 함유된 수분이 응축된다. 상기 수분이 응축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열장착부(372) 인근에 물이 고일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5)의 하부면은 상기 집수부(37)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38)는 상기 연결덕트(35)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장치장착부(392)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나, 상기 응축된 물이 상기 집수부(37)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통홀(3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홀(381)로 상기 응축된 물은 상기 집수부(37)로 이동하여 상기 집수부(37)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37)에는 상기 세척펌프(6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세척펌프(61)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펌프 고정부(5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고정부(535)는 상기 세척펌프(61)의 바닥면과 상기 집수부(37)의 간격을 일정거리 이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집수부(37)에 충분한 물이 수집되면, 상기 세척펌프(61)를 구동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63)는 상기 공급된 물을 분사부(65)로 분사하거나, 상기 저수부(7)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물공급부(3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부(200)는 공간활용도를 위해, 상기 측면패널(14)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캐비닛(1)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상기 스팀부(20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의 유로 구조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다.
통상, 외부공급부(500)는 배면패널(13) 또는 제2지지부(19)에 인접하여 구비되므로 상기 스팀부(200)도 상기 배면패널(13)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물펌프(430)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물펌프(430)가 상기 캐비닛(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의 전후방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물탱크(420)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물펌프(430)가 장착될 수 있는 펌프장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는 리세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420) 또는 상기 물펌프(430)에서 누수된 물이 상기 드럼(2) 등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를 구획하는 격벽(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상기 물탱크(420)가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격벽(413)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잔수나, 상기 펌프장착부(412) 상의 잔수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수집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격벽(413)에는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장관(4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416)에는 밸브 구조가 설치될 수 있어, 상기 물탱크(420)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서 분리되더라도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416)는 상기 격벽(413)에서 상기 물펌프(430) 또는 상기 물탱크(420)를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보다 상기 펌프장착부(412)가 상기 스팀부(200)와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물탱크(42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되는 유로가 단순해질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30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을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탱크하우징(410)과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상기 탱크하우징(41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탱크하우징(410)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일측에 연장되거나 결합되어 상기 측면패널(14)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패널결합부(4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417)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외주면에서 복수개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패널(14)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417)는 별도의 체결부재로 상기 측면패널(14)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417)은 상기 측면패널(14)에 결합된 설치패널(810)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패널(14)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회전하는 드럼(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 내부에 배치된 구성은 상기 드럼(2)과 이격되어 배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물공급부(300)와,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드럼(2)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부(200)에서 스팀을 드럼(2)에 공급하는 스팀안내관(230) 또는 상기 스팀부(20)에 물을 공급하는 상기 직수관(510) 등은 상기 드럼(2)에 접촉되는 것이 차단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상기 패널결합부(417)로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물탱크(420) 및 물펌프(430)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의 하중까지 지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를 지지하여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가 상기 드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을 상기 캐비닛 내부에 지지하는 지지바(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스팀부(20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물공급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 또는 지지할 수 도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양단이 상기 전방패널(11)과 상기 배면패널(12)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방패널(11)과 상기 배면패널(12)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측면패널(14)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방패널(11) 및 상기 배면패널(1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바(440)는 양단이 캐비닛(1)에 결합되되 그 외 부분은 상기 캐비닛(1)의 측면 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바(440)가 상기 상부패널(13)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패널(13)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상부패널(13) 사이에 상기 물공급부(300) 및 상기 스팀부(200)의 일부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일면에서 상기 지지바(440)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440)에 결합될 수 있는 지지결합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결합부(415)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리브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결합부(415)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일면에서 연장되면, 상기 패널결합부(417)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타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결합부(415)와 상기 패널결합부(417)는 연장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지지결합부(415)는 상기 지지바(440) 상에 안착되어 별도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펌프(430)가 구동할 때 등, 진동이 상기 탱크하우징(410)에 전달되어도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지지홀(4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홀(441)에는 결합부재(705)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로 인해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너비가 과도하게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상기 스팀부(200)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일단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팀부(20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일모서리가 지지될 수 있는 지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면에 상기 물탱크(42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는 장착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센서는 무게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의 경중 까지 분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센서는 상기 스팀제어부(800)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420)의 장착여부 및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수량에 대한 정보까지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상기 펌프하우징(43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배출하는 펌프배출관(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상기 제2지지부(19) 또는 상기 배면패널(12) 상에 안착되는 직수밸브(520)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직수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관(510)이 상기 배면패널(12)에서 상기 스팀부(200)까지 연장되고,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직수관(510)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수관(510)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지지바(440)를 가로질러 상기 스팀발생기(21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수관(5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바(440)에 지지되어 드럼(2)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직수밸브(520)와 상기 물탱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제2지지부(19)에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직수관(510)이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상기 스팀부(200)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외부급수원에서 직수방식으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에서 물을 각각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부(200)가 각각의 관으로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면, 별도의 스팀부(200) 형상이 제조되어야 하며, 유로 및 제어방법이 복잡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직수관(510)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이 합지되도록 결합시키는 합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내부공급부(400)에 저장된 물과 상기 외부공급부(500)에서 직수방식으로 공급되는 물이 모두 수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공급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는 3방밸브로 구비될 수 있고, 3개의 관이 결합된 합지관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합지부(600)가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수관(510)에는 상기 직수관(510)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직수체크밸브(511)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펌프배출관(433)에는 상기 펌프배출관(433)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배출체크밸브(43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배출관(433)과 상기 직수관(510)에 각각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외부체크밸브를 구비하고, 내부공급부(400)는 내부체크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직수관(510)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물펌프(43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펌프배출관(433)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직수밸브(51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지부(600)는 밸브 또는 합지관으로 구비되면 상당한 자중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합지부(600)에 물이 통과되면 상기 합지부(600)에 상당한 무게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지지바(440) 상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와 상기 지지바(400)는 별도의 고정부재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합지부(600)가 상기 지지바(40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가 상기 지지바(400)에 안착됨으로 인해, 상기 직수관(510)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의 위치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합지부(600)에 연결되어 물공급부(300)의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물안내관(220)과, 상기 물안내관(220)에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210)와, 상기 스팀발생기(2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드럼(2) 또는 덕트(3)로 안내할 수 있는 스팀안내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안내관(230)은 상기 제2지지부와 연통하여 공기유입구(198)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안내관(230)도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바(400)에 지지되어 상기 스팀안내관(230)이 회전하는 드럼(2)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배출관(433)도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바(440)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합지부(6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패널(14)에는 상기 물공급부(300)와 상기 스팀부(200)를 제어하는 스팀제어부(8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컨트롤패널(117)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제어부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제어부(800)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상기 스팀부(200)와 물공급부(300)를 기존 건조기 등의 의류처리장치에 모듈형식으로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건조기에 추가적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측면패널(14)에 고정되는 설치패널(810)과 상기 설치패널(810)에 안착되어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패널(8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패널(810)의 일측에는 상기 스팀발생기(210)가 배치되고 상기 설치패널(810)의 전방에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패널(810)은 상기 탱크하우징(410)을 지지하는 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치패널(810)는 상기 스팀발생기(210)와 상기 제어패널(820)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설치패널(8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82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과 마주하고 있으므로, 상기 탱크하우징(410)과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탱크하우징(410), 상기 스팀발생기(210)와 상기 캐비닛의 측면패널(14)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스팀부(200), 상기 물공급부(300),상기 열교환부(4), 상기 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직수밸브(520)와, 상기 물펌프(430)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발생기(210)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물탱크(42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착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착센서는 압력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위센서는 무게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센서 또는 상기 수위센서도 상기 제어패널(8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어패널(82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
한편,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물펌프(430)를 일시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물펌프(430)에 부가되는 부하를 감지함을 통해,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물탱크(430) 보다 상당히 부피가 더 크게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430)와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4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30)와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타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30)는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결합되므로, 상기 탱크장착부(411)도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저수탱크(72)와 상기 스팀발생기(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저수탱크(72)와 상기 물탱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30)와 상기 스팀발생기(210)는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1)의 일측면 사이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물공급부(300)와 상기 스팀부(2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 밀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저수탱크(42)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물탱크(420) 사이에 거리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42)는 상기 캐비닛의 일 측면패널(14)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430)는 ㅅ아기 캐비닛의 타 측면패널(14)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캐비닛(1)의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물탱크(430)와 상기 저수탱크(420) 사이에 상기 캐비닛의 전후 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물탱크(430)를 지지하되 상기 저수탱크(42)와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42)는 별도의 프레임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탱크(430)와 상기 스팀발생기(210)가 모두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1)의 측면패널(14) 사이에 배치되면 공간이 협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하우징(410)는 상기 측면패널(14)보다 상기 지지바(440)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스팀발생기(210)는 상기 지지바(440) 보다 상기 측면패널(14)에 더 까깝게 구비될 수 있다.
한, 상기 스팀발생기(21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과 상하방향으로 일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기(2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탱크하우징(410)과 상기 캐비닛(1)의 측면패널(14) 사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상기 제2지지부(19)는 상기 직수밸브(520)가 설치되는 설치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21)는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상기 제2지지부(19)의 일면에서 오목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직수밸브(520)가 결합될 수 있는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제2지지부(19)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노출되는 노출관(521)과, 상기 노출관(521)을 상기 설치부(121)에 결합시키는 결합비드(5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21)는 상기 노출관(521)이 관통될 수 있는 급수홀(12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비드(524)가 억지 끼움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수밸브(520)의 하중이 상기 설치부(121)에 지지될 수 있다.
도6(c)를 참조하면,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노출관(5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바디(522)와 상기 개폐바디(522)와 상기 스팀제어부(800)를 연결하는 바디제어선(523)과, 상기 바디제어선(523)이 결합되어 상기 개폐바디에 신호를 전달하는 수신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바디(52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개폐바디(522)는 노출관(521)을 개폐하는 상기 제1개폐바디(522a)와, 상기 제1개폐바디(522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바디(52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관(521)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개폐바디(522a)와 제3개폐바디(522b)상기 노출관(5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노출관(521)에 온수 또는 냉수가 각각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부(19)는 상기 직수밸브(520)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노출홀(12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드럼(2)과 이격되어 상기 드럼(2)이 회전하더라도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 내부급수부(400)의 유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물을 배출하는 배출홀(4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4214)은 연장관(460)을 통해 상기 물펌프(4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물펌프(430)는 물안내관(220)을 통해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4214)은 상기 연장관(460)과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하우징(211)과, 상기 스팀하우징(211)으로 물을 공급받도록 상기 스팀하우징(211)에서 영ㄴ장되어 구비되는 물주입관(212)과, 상기 스팀하우징(211)에서 생성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스팀안내관(230)과 결합하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팀배출관(213)과, 상기 스팀안내관(230)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차단밸브(260)와, 상기 스팀안내관(230)의 말단에 구비되어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분사노즐(2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하우징(211)은 내부에 잔수를 배출하거나, 물 또는 스팀을 시험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패스관(21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팀하우징(211)에는 수위센서(215)와 온도센서(2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수위센서(215)와 상기 온도센서(216)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물펌프(430) 또는 상기 차단밸브(2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은 상기 물펌프(430)를 통과하여 상기 스팀하우징(2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하우징(211)에서 물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스팀으로 변화되어 상기 차단밸브(260)의 개폐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250)로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도8은 스팀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부(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스팀발생기(210)와, 스팀발생기 (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스팀발생기(21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스팀발생기(2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위센서(260)는 통상 공통전극(262), 저수위전극(264) 및 고수위전극(266)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262)과 고수위전극(264)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262)과 저수위전극(2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21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물안내관(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안내관(230)이 연결되며 스팀안내관(23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안내관(220)의 일단은 상기 합지부(600)에 연결되며, 스팀안내관(230)의 노즐(250)은 드럼(2) 또는 덕트(3)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부(200)는 소정 크기의 스팀발생기(210)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240)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통가열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부(200)는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스팀발생기로 사용할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급수 호스의 둘레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식(이하 편의상 "관가열 방식"이라 함)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초음파를 통한 가습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부(200)에 물 공급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물공급부(300)는 전술한 것 처럼, 내부공급부(400)와 외부공급부(50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 문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설치장소에 따라 상기 내부공급부(40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고, 상기 외부공급부(50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를 건조행정이 수행될 때마다 스팀제어부(800)에 위임한다면, 상기 스팀제어부(800)가 어느 것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지 점검하거나 연산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팀제어부(800)에 불필요한 부하가 발생하거나, 연산작업으로 인해 건조행정 또는 스팀공급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를 설치기사 또는 사용자에게 위임할 경우, 사용자 또는 설치기사의 숙련도에 따라 상기 스팀부(200)에 물 공급하는 성능이 좌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말해, 직수 또는 물탱크의 물로 스팀을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외부공급부(500)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는 직수공급 모드와, 내부공급부(400)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공급 모드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를 설치기사 또는 사용자 미숙지할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설치기사 또는 사용자 수동으로 선택시 제품 신뢰도가 감소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구조적으로 상기 물탱크공급모드와 직수공급모드를 스팀제어부(800)가 파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제어부(800)가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비되는 결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인식부(710)와, 상기 인식부(71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720)와,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를 선택하도록 구동하는 선택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정부(700)는 스팀을 공급하는 것과 관련된 구성이므로, 상기 스팀제어부(810)가 상기 선택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71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를 급수원과 연통하여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감지부(72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인식부(710)를 감지하여 상기 인식부(710)가 결합된 상기 외부공급부(500) 또는 상기 내부공급부(400)로 물이 공급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제어부(810)는 상기 인식부(710)가 결합된 부분으로 물 공급이 수행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부(71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인식부(710)를 감지하여 상기 인식부(710)가 결합된 상기 외부공급부(500) 또는 상기 내부공급부(400)에는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제어부(810)는 상기 인식부(710)가 결합된 부분으로 물 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인식부(710)가 결합되지 않은 부분으로 물 공급이 수행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9는 상기 결정부(70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하나를 차폐하여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으로 물을 공급할지를 결정하는 일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를 참조하면, 상기 배면패널(12)은 제2지지부(19)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2지지부(19)의 형상에 따라 상기 배맨패널(12)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급수원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배면패널(12)에 상기 외부공급부(500)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인식부(71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 감지부(720)는 상기 인식부(71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결합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식부(710)는 초기에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사후적으로 상기 인식부(710)를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인식부(71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결합되어 있거나,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면, 사용자가 상기 외부급수원과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분리한 것이므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자는 외부공급부(500)를 사용할 의사가 없다고 해석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스팀제어부(800)에 상기 인식부(71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차폐하고 있는 지 여부를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감지부(720)를 통해 상기 인식부(71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직수밸브(520)의 구동을 중단하고 우선적으로 상기 물펌프(43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급부(400)가 우선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부(71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분리되어 있다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자는 외부공급부(500)를 사용할 의사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외부급수원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인식부(710)를 의도적으로 제거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감지부(720)를 통해 상기 인식부(71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에서 분리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물펌프(430) 구동을 중단하고 우선적으로 상기 직수밸브(520)를 개방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공급부(500)가 우선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외부공급부(50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지를 최종 결정하므로,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스팀제어부(800)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인식부(71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차단바디(7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바디(711)는 상기 직수밸브(520)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단바디(711)는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된 노출관(5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바디(711)는 상기 노출관(521)에 나사방식으로 회전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바디(711)의 내주면에는 바디나사선이 구비되고, 상기 노출관(5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차단바디(711)의 나사선과 대응되는 관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바디(711)에서 연장되는 연장바디(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바디(712)는 상기 차단바디(711)의 일측에서 상기 감지부(720)가 설치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바디(712)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바디(711)를 용이하게 상기 노출관(521)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핸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차단바디(711)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차단바디(711)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인식부(710)는 상기 감지부(720)를 자극시킬 수 있는 자극부(7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자극부(713)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7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극부(713)는 상기 차단바디(711)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바디(712)에 결합되거나 내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자극부(713)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자극부(713)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자극부(713)는 자석으로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720)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 또는 리드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자극부(713)의 자력의 세기, 자력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바디(711)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에서 분리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자극부(713)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직수밸브(520)에 이격되어 상기 배면패널(12)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배면패널(12)에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면패널(12)은 상기 감지부(720)가 설치된 부분을 비자성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센서부(721)는 상기 캐비닛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자극부(713)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721)는 상기 자극부(713)와 물리적인 접촉이 없이 상기 자극부(713)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0은 상기 스팀제어부(800)의 회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0(a)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720)는 센서부(721)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인식부(710)는 상기 직수밸브(720)를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차단바디(711)와 차단바디(711)에서 상기 센서부(721)까지 연장되는 연장바디(712)와, 상기 연장바디(712)에 구비되는 자극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21)는 상기 자극부(713)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아도 상기 자극부(713)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의 제어패널(820)은 상기 센서부(721)를 제어하는 센서제어선(830)과, 상기 물펌프(430)를 제어하는 펌프제어선(842)과, 상기 물탱크(430)를 제어하거나 물탱크(430)의 착탈여부 또는 물탱크(43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탱크제어선(843)과, 상기 직수밸브(520)를 제어하는 밸브제어선(8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센서부(721)가 상기 자극부(713)를 감지하면, 상기 외부공급부(500)가 차단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패널(820)은 스팀부(200)의 스팀을 덕트(3) 또는 드럼(2)에 공급하는 스팀공급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물펌프(430)를 먼저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센서부(721)가 상기 자극부(713)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외부공급부(500)가 개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스팀공급모드에서 상기 직수밸브(520)를 먼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합지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10(b)는 회로구조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물펌프(430)와 상기 직수밸브(520)를 제어하는 제어선을 각각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제어선(845)을 통해 상기 물펌프(430)와 상기 직수밸브(520)를 택일적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택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제어패널(820)은 통합제어선으로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어패널(820)에 제어선이 연결되기 위한 포트를 하나 생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제어선(845)은 스위치(722)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722)는 내부에 상기 통합제어선(845)과 연결되는 스위치 입력부(7223)와, 상기 스위치입력부(7223)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물펌프(430)에 연결되는 내부접점(7222)과, 상기 스위치입력부(7223)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직수밸브(520)에 연결되는 외부접점(7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입력부(7223)가 상기 내부접점과 상기 외부접점 중 어느 것에 결합되는지에 따라,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입력부(7223)는 외부에서 사용자 또는 설치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구조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 입력부(7223)는 상기 결정부(700)에 의해 자동으로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식부(710)는 상기 차단바디(711)가 상기 직수밸브(520)를 차폐하도록 결합되면, 상기 스위치입력부(7223)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스위치가압부(7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입력부(7223)는 상기 직수밸브(52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면패널(12)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가압부(714)는 상기 차단바디(711) 또는 상기 연장바디(712)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스위치입력부(7223)을 물리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가압부(714)는 상기 차단바디(711)가 상기 노출관(521)에 결합되면 상기 스위치입력부(7223)를 상기 내부접점(7223)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가압부(714)는 상기 차단바디(711)가 상기 노출관(521)에 분리되면, 상기 스위치입력부(7223)에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치입력부(7223)는 탄성부재 등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외부접점(7221)에 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접점(7222)은 상기 외부접점보다(7221)보다 상기 배면패널(12)에서 더 멀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스위치입력부(7223)가 상기 외부접점(7221)과 상기 내부접점(7222) 중 어느곳에 결합되어 있는지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입력부(7223)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식부(71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결합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상기 감지부(720)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식부(710)는 자극부(71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센서부(7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패널(820)은 상기 센서부(721)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상기 인식부(710)가 외부공급부(500)에 결합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를 모두 구비하여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모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부(700)로 인해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으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지를 구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11은 상기 결정부(700)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a)를 참조하면,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차단마개(7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마개(711)는 상기 직수밸브(520)에 결합되어 상기 직수밸브(520)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차단마개(711)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분리되면 거치되거나 보관될 수 있는 안착부(7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726)는 상기 차단마개(711)와 결합되거나, 상기 차단마개(711)를 수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726)는 상기 차단마개(7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726)는 상기 캐비닛(1)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726)는 상기 차단마개(711)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수도 있다. 상기 안착부(726)는 상기 차단마개(711)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차단마개(711)가 상기 캐비닛(1)에서 분리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부(726)는 상기 차단마개(711)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안착부(726)는 상기 차단마개(711)의 하중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차단마개(711)가 상기 안착부(726)에 장착되면 상기 안착부(726)는 상기 차단마개(711)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726)는 상기 차단마개(711)에 접촉되면 상기 차단마개(711)를 인식할 수 있는 접촉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726)는 상기 차단마개(711)의 저항값 또는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안착부(726)는 홀센서 등으로 구비되고, 상기 차단마개(711)는 자석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726)는 상기 차단마개(711)의 위치를 고정시키므로, 상기 차단마개(711)가 상기 캐비닛(1)의 진동으로 인해 소음을 발생하는 것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감지부(720)가 상기 인식부(710)를 감지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기로 결정 또는 선택하는 선택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제어부는 메인제어부 또는 스팀제어부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선택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가 상기 선택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하면,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감지부(720)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감지부(7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안착부(726)가 상기 차단마개(711)를 감지하면,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직수밸브(520)가 개방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직수밸브(520)를 개방하거나 상기 직수밸브(520)를 구동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차단마개(711)와 상기 캐비닛(1) 또는 외부급수부(500)를 연결하는 차단끈(743)을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차단끈(743)의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끈 결합홀(1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끈 결합홀(123)은 밸브결합홀과 공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끈(743)은 일단이 상기 끈 결합홀(123)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차단마개(7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마개(711)는 상기 직수밸브(520)의 노출관(521)에서 분리되면 상기 차단끈(743)에 고정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차단마개(711)를 상기 노출관(521)에서 분리하더라도 상기 차단마개(711)를 분실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안착부(726)에서 이격되어 상기 차단끈(743)이 늘어졌을 때 상기 차단마개(711)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영역감지부(7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감지부(725)는 끈 결합홀(12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끈 결합홀(123)에서 차단끈(743)에 대응되는 길이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역감지부(725)는 상기 차단마개(711)가 상기 노출관(521)을 개방하였으나, 상기 안착부(726)에 결합되지 않거나 상기 안착부(726)에서 분리되었을 때 상기 차단마개(711)가 배치될 수 있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영역감지부(725)는 상기 캐비닛(1)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안착부(726)에 차단마개(711)가 배치되지 않아도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영역감지부(725)로 상기 차단마개(711)가 상기 노출관(521)에서 분리된 사실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마개(711)가 상기 노출관(521)에 결합된 상태가 되면,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차단마개(711)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제어부(800)은 상기 차단마개(711)가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차폐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내부공급부(400)를 우선 구동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영역감지부(725)와 상기 안착부(726)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영역감지부(725)와 상기 안착부(726)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11(b)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마개(711)는 상기 노출관(521)에 분리되면 상기 안착부(726)에 결합되어 안착되거나, 상기 차단끈(743)에 의해 늘어져 상기 영역감지부(72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차단마개(711)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감지부(720)가 상기 차단마개(711)의 존재를 감지하면, 상기 외부공급부(500)가 개방된 사실을 감지하여,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우선 구동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감지부(720)가 상기 차단마개(711)의 존재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차단마개(711)가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폐쇄하였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내부공급부(400)를 우선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12는 상기 결정부(7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에 물을 공급하도록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정부(700)는 이전 실시예와 같이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를 폐쇄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기 외부공급부(500) 또는 내부공급부(400)를 적극 개방하고 급수원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2(a)를 참조하면,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직수밸브(5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인식부(710)와, 상기 인식부(7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720)와,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직수밸브(52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선택제어부(스팀제어부, 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710)는 상기 직수밸브(520)에 물을 공급하는 외부급수관(530)에 결합되거나, 상기 외부급수관(530)과 상기 직수밸브(510) 사이에 배치되는 관발생부(7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급수관(530)는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노출관(521)에 결합되어 상기 직수밸브(52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급수관(530)는 상기 관발생부(715)가 삽입되거나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발생부(715)는 상기 외부급수관(5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급수관(530)의 자유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발생부(715)는 상기 외부급수관(530)의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 발생부(715)는 자성체로 구비되거나,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 발생부(715)는 상기 노출관(521)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외부급수관(530)의 자유단에서 상기 노출관(521)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 만큼 내측으로 이격된 거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12(c)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노출관(521)에 구비되어 상기 관 발생부(715)의 존재를 감지하는 밸브감지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감지부(524)는 상기 관발생부(715)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관발생부(715)와 대응되거나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감지부(724)는 상기 노출관(521)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노출관(521)의 자유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감지부(524)는 상기 관 발생부(715)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상기 관 발생부(715)에 전류나 자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관발생부(715)의 존재를 감지하는 홀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관발생부(715)는 상기 외부급수관(530)의 자유단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외부급수관(530)는 상기 노출관(521)의 고정단 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캐비닛 배면(12)에 상기 관발생부(715)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배치감지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치감지부(723)는 상기 노출관(521)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급수관(530)의 둘레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관발생부(715)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치감지부(723)는 상기 캐비닛 배면(12)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상기 캐비닛 배면(12)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720)는 상기 배치감지부(723)와 상기 밸브감지부(724)를 모두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배치감지부(723)와 상기 밸브감지부(724)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감지부(720)가 상기 관 발생부(715)를 감지하면, 상기 직수밸브(520)와 상기 외부급수관(530)이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로써, 외부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외부공급부(500)로 물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우선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감지부(720)가 상기 관발생부(715)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외부급수원이 연통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내부공급부(400)를 우선 구동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13은 상기 결정부(70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a)를 참조하면,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외부급수관(530)과 상기 직수밸브(520)를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매개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급수관(530)는 상기 매개부(73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노출관(521)은 상기 매개부(73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매개부(730)가 상기 노출관(521)에 결합된 것은 상기 외부급수관(530)이 상기 노출관(521)에 연통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매개부(730)의 존재를 인식하면,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우선 구동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13(b)를 참조하면, 상기 매개부(730)는 상기 외부급수관(530)과 상기 노출관(5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정부(700)는 상기 매개부(730)에 설치되는 인식부(710)와,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어 상기 인식부(710)의 존재를 감지하는 감지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710)는 상기 매개부(730)에 구비되는 매개발생부(7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개발생부(716)는 상기 매개부(730) 내부에 수용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매개부(730)의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매개발생부(716)는 자력 등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인식부(710)가 상기 외부급수관(530)에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외부급수관(530)을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고무 호스 등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730)는 상기 매개발생부(716)가 설치되는 매개바디(731)와, 상기 매개바디(731)에서 연장되어 상기 노출관(521)에 결합되는 제1결합관(732)과, 상기 매개바디(731)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부급수관(530)에 결합되는 제2결합관(7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관(732)은 상기 노출관(521)의 외주면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결합관(732)은 상기 외부급수관(53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결합관(731)과 상기 제2결합관(732)을 혼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12)에는 상기 매개발생부(716)를 감지하는 밸브감지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감지부(724)는 상기 노출관(52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감지부(724)는 상기 매개발생부(716)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감지부(720)가 상기 매개발생부(716)를 감지하면 상기 매개부(730)가 상기 노출관(521)에 결합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우선 구동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감지부(720)가 상기 매개발생부(716)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노출관(521)과 상기 외부급수관(530)이 분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내부공급부(400)를 우선 구동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14은 상기 제어패널(820)이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을 먼저 사용할지 결정하는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결정부(700)의 역할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인식부(710) 또는 상기 감지부(720)가 생략되어도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을 먼저 사용할지에 대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물펌프(430)를 구동하지 않으면,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은 상기 스팀부(200)로 저절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러나, 상기 직수밸브(520)는 통상적으로 외부급수원과 결합되면, 외부급수원에서 제공되는 압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상기 스팀부(200)로 일정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직수밸브(520)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항상 개방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전제로,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스팀공급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스팀부(200)의 수위센서(215)를 감지하여 상기 스팀발생기(21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단계(G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G1)에서 상기 스팀발생기(210) 내부에 물이 공급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직수밸브(520)를 통해 물이 공급되었다고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우선적으로 공급하는 직수공급모드(G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공급되는 물을 항상 신선한 물이므로 상기 직수공급모드 (G4)가 우선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감지단계(G1)에서 상기 스팀발생기(210) 내부에 물이 공급되지 않은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직수밸브(520)가 상기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라고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물펌프(430)를 가동하여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에 공급하는 물탱크모드(G3)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단계(G1)는 상기 스팀발생기(210) 내부가 스팀공급모드가 완료 가능한 스팀수위 이상으로 물이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발생기(210) 내부에 스팀수위 이상으로 물이 공급된 것으로 상기 직수밸브(520)가 외부급수원에 연통된 것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발생기(210) 내부가 상기 스팀수위 이하인 것을 감지하면, 현재도 충분하지 못한 물이 공급된 것이므로, 상기 직수밸브(520)가 외부급수원과 분리된 상태라고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물탱크모드(G3)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수위는 상기 직수밸브(520)가 개방되다고 합리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수위라고 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수위는 스팀공급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물펌프(430)에서 공급될 수 있는 최대수위일 수도 있다.
도15는 상기 차단바디(711)가 구비된 경우에 상기 제어패널(820)이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 중 어느 것을 먼저 사용할지 결정하는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노출차단부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분리되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실제로 상기 외부급수원과 연결된 상태가 아닐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외부공급부(500)의 사용을 고집한다면 스팀공급모드가 수행되는 것이 방해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공급모드를 수행하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팀공급단계(S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단계(S1)는 상기 입력부(117)를 통해 입력된 건조코스에 스팀을 공급하는 행정이 포함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건조코스에 스팀을 공급하는 행정이 포함되지 않았다면, 스팀제어부(800)는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스팀공급모드가 수행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노출차단부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분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분리감지단계(S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리감지단계(S2)는 차단바디(711)가 외부공급부(500)를 개방하기 위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로서, 상기 감지부(720)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분리감지단계(S2)에서 상기 인식부(71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에서 분리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공급된 물로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직수모드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직수모드단계는 상기 스팀제어부(800)가 상기 직수밸브(520)가 상기 직수관(510)을 개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개방감지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모드단계는 상기 직수관(510)이 폐쇄되어 물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인 것을 감지하면,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직수밸브(520)를 개방하여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직수관(510)으로 공급을 시작하는 밸브개방단계(S3-1)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수모드단계에서 상기 직수밸브(520)는 항상 개방되도록 제어된다면 상기 개방감지단계(S3) 및 밸브개방단계(S3-1)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수모드단계는 상기 개방감지단계(S3)에서 상기 직수밸브(520)가 개방되어 상기 직수관(51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라면, 상기 스팀발생기(210)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또는 수위가 스팀수위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단계(S4)는 실질적으로 상기 직수밸브(520)가 상기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받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710)가 제거되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직수밸브(520)를 통해 외부급수원에서 물이 실질적으로 공급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직수모드단계는 상기 수위감지단계(S4)에서 상기 스팀발생기(200)에 물이 수용되어 있거나, 상기 스팀수위 이상인 것을 감지하면, 상기 물펌프의 구동을 차단하는 차단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단계(S5)는 상기 스팀제어부(80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직수모드단계는 상기 차단단계(S5)가 수행되면, 상기 스팀발생기(210)를 코스에서 결정된 스팀공급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구동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식부(710) 및 차단감지부(720)가 설치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라면, 상기 직수모드단계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감지단계(S2)에서 상기 인식부(710)가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결합된 상태인 것을 감지하면,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에 공급하는 저수모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물탱크(420)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장착되었는지 감지하는 수용감지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감지단계(S6)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에 구비되는 장착센서를 통해 상기 물탱크(420)가 수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용감지단계(S6)는 물탱크(420)가 상기 탱크하우징(410)에 탈부착 가능한 상태임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20)가 상기 탱크하우징(410)에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수용감지단계(S6)는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물탱크(420)가 상기 탱크하우징(410)에서 인출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수용감지단계(S6)에서 상기 물탱크(420)가 미장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스팀공급모드를 수행할 수 없음을 외부에 표시하는 에러표시단계(S9)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에러표시단계(S9)는 상기 표시부(119)를 통해 스팀공급모드를 수행할 수 없다는 불능 상태가 표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탱크(420)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내용도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상기 수용감지단계(S6)에서 물탱크(420)가 탱크하우징(410)에 장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물탱크(420)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저수 감지단계(S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저수감지단계(S7)는 물탱크(420)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감지단계(S7)는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이 상기 스팀공급모드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양인 공급수위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저수감지단계(S7)에서 상기 물탱크(420)이 물이 없거나, 공급수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에러표시단계(S9)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에러표시단계(S9)는 상기 표시부(119)를 통해 스팀공급모드를 수행할 수 없다는 불능 상태가 표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탱크(420)에 물이 없다는 내용 또는 물을 충전하라는 내용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상기 저수감지단계(S7)에서 상기 물탱크(420)에 물이 있거나, 공급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물펌프(430)를 구동하여 상기 물탱크(420)의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는 펌프구동단계(S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상기 펌프구동단계(S8)가 수행되면, 상기 스팀발생기(210)를 코스에서 결정된 스팀공급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구동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
한편, 수위감지단계(S4)에서 상기 스팀발생기(200) 내부에 물이 없거나, 스팀수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저수모드단계를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직수밸브(520)가 상기 외부급수원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태이므로, 스팀공급모드의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저수모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감지단계(S6)와, 상기 저수감지단계(S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고, 내부공급부(400)에서도 물을 공급할 수 없을 시, 에러표시단계(S9)가 수행될 수 있다. 내부공급부(400)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경우, 펌프구동단계(S8)와 스팀구동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내부공급부의 물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공급가능한 구성에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내부공급부(400)와 상기 외부공급부(500) 중 모두가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외부공급부(500)를 우선으로 선택하여 물을 스팀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전술한 것처럼,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항상 신선한 물이 공급되므로 상기 의류에 신선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외부공급부(500)만 계속 사용하면, 상기 내부공급부(400)의 물은 순환되거나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급부(400)의 물이 부패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급부(400)의 물이 부패하지 않더라도 추후 상기 외부공급부(500)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신선도가 떨어지는 물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가 모두 이용가능할 경우, 상기 내부공급부(400)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공급모드를 수행하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팀공급단계(T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단계(T1)는 상기 입력부(117)를 통해 입력된 건조코스에 스팀을 공급하는 행정이 포함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건조코스에 스팀을 공급하는 행정이 포함되지 않았다면, 스팀제어부(800)는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단계(T1)가 수행되면,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직수밸브(520)로부터 물공급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직수여부 판단단계(T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직수가능 판단단계(T2)는 전술한 상기 분리감지단계(S2) 및 상기 개방감지단계(S3), 상기 수위감지단계(S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직수가능 판단단계(T2)에서 직수밸브(520)를 통해 상기 스팀부(200)에 물공급이 가능하면, 상기 내부공급부(400)에서 물공급이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저수가능 판단단계(T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판단단계(T3)는 상기 수용감지단계(S6), 상기 저수감지단계(S7)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저수감지단계(s7)는 이전 제어방법과 달리, 상기 물탱크(420)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자체를 감지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수판단단계(T3)에서 수행하는 저수감지단계는 물탱크(420)에 물이 조금이라도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예를들어, 상기 저수판단단계(T3)에서 내부공급부(40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조금이라도 공급할 수 있다고 상기 스팀제어부(800)가 판단하면, 상기 내부공급부(400)로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는 저수모드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상기 스팀부(200)의 물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탱크우선사용단계(T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상기 탱크우선사용단계(T4)가 수행되면, 상기 스팀공급모드 완료시 까지 물탱크(420)의 수위가 공수위인지를 판단하는 공수위판단단계(T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수위판단단계(T5)에서 물탱크(420)의 수위가 공수위가 아니면, 상기 스팀공급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송수위판단단계(T5)에서 물탱크(420)의 수위가 공수위가 되는 경우,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저수모드단계를 종료하고, 외부공급부(50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는 직수전환단계(T6)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직수전환단계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므로 직수모드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직수가능 판단단계(T2)에서 외부공급부(500)로 물 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이면, 상기 저수모드단계를 곧바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수행되는 상기 저수모드단계는 외부공급부(500)로 물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므로, 물탱크(420)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는 탱크공급단계(T7)라고 명명할 수 있다.
상기 탱크공급단계(T7)는 전술한 상기 수용감지단계(S6)와 상기 저수감지단계(S7) 중 하나 이상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탱크공급단계(T7)에서 물탱크(420)가 없거나,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가 공급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스팀공급모드를 완전히 수행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전술한 에러표시단계(S9)를 그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탱크공급단계(T7)에서 상기 물탱크(420)가 있고, 공급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저수모드단계가 완전히 수행된 후에 종료될 수 있다.
도17는 상기 물공급부(30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7(a)를 참조하면, 상기 물공급부(300)는 상기 드럼에 직접적으로 물을 급수할 수 있는 급수밸브(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125)는 상기 직수밸브(520)와 동시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직수밸브(52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면패널(12)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로 구비되거나,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 모두에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밸브(125)는 상기 배면패널(12)에 고정되되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17(b)를 참조하면, 상기 직수밸브(520)가 복수개의 개폐바디(522)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개폐바디(522)는 상기 배면패널(12)에서 이격되는 만큼 상기 드럼(2)과의 간격을 유지하거나 더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패널(12)에 인접한 제1개폐바디(522a) 및 상기 제1개폐바디(522b)에서 연장되는 제2개폐바디(522b)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과 상기 직수밸브(520) 자체 또는 수신부(525), 밸브제어선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17(c)를 참조하면,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설치부(1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수밸브(520)를 상기 설치부(121)에 결합시키는 결합비드(524)는 상기 노출관(521)을 기준으로 사선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복수의 결합비드(524)가 한쪽은 노출관(521)보다 낮고 한쪽은 노출관(521) 보다 높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직수밸브(520)가 적은 결합비드(524)로 상기 설치부(12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설치부(121)는 상기 직수밸브(520)의 배치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노출홀(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홀(124)은 상기 직수밸브(520)의 외각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결합비드(524)의 설치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직수밸브(520)를 상기 설치부(121)에 고정할 수 있다.
도18는 상기 물공급부(300)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6의 구조와 다른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8(a)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직수밸브가 결합되는 설치부(1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121)는 상기 캐비닛의 일면이 함몰되어 상기 직수밸브(520)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어 구비되는 설치홈(1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원통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캐비닛(1)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인접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공간이 넓다.
따라서, 상기 설치부(121)는 상기 캐비닛이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수밸브(520)가 설치되는 공간이 더욱 확보되어, 상기 직수밸브(520) 및 직수관(510)을 더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홈(1211)은 상기 캐비닛의 모서리를 향하여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1211)은 상기 캐비닛의 꼭지점을 향하여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부(200)도 상기 캐비닛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 인접하여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직수밸브(520)와 상기 스팀부(200)를 인접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직수관(51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지지바(400)에 안착되어야 하므로, 상기 직수관(510)은 상기 지지바(400)까지는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18(b)를 참조하면, 상기 설치홈(1211)은 상기 설치부(121)에서 배면을 향하여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수밸브(5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설치부(121)를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고정하거나,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상기 제2지지부(19)을 상기 상부패널(13)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의 숫자가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도18(c)를 참조하면, 상기 직수밸브(520)가 상기 설치홈(1211)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므로, 상기 직수밸브(520)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비드(524)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노출관(510)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노출홀이 생략되어도 상기 직수밸브(520)를 안정적으로 상기 설치부(121)에 설치할 수 있다.
도19은 본 발명 스팀제어부(8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컨트롤패널(117)과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스팀부(200) 또는 물공급부(30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패널(117)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컨트롤패널(117)에 불필요한 부하를 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117)은 기존에 건조기에 사용하는 PCB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스팀제어부(800)를 별도 패널로 추가하여 상기 스팀부(200)와 물공급부(300)를 제어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단가가 크게 낮아질 수 있다.
왼쪽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스팀제어부(800)는 상기 캐비닛(1)에 결합되는 설치패널(8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 설치패널(810)은 별도의 PCB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팀부(200)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상기 설치패널(810)은 상기 캐비닛(1)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도록 연장되는 체결홈(812)과, 상기 캐비닛(1)에 체결되도록 연장되는 구비되는 결합후크(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패널(810)에서 외부를 향하여 상기 체결홈(812)과 상기 결합후크(813)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체결홈(812)과 상기 결합후크(81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연장된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설치패널(810)이 상기 측면패널(14)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홈(812)은 체결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상기 측면패널(14)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후크(813)는 상기 설치패널(810)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상부패널(13)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패널(810)은 실질적으로 상기 스팀부(200)와 물공급부(300)를 제어하는 제어패널(820)이 결합될 수 있는 패널결합부(811)를 포함할 수 있다.
오른쪽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패널(820)은 SUB PCB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결합부(811)를 통해 상기 설치패널(8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결합부(811)는 후크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설치패널(81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820)의 외주면은 상기 pcb를 수용하도록 수용홈(823)과, 상기 수용홈(823)에서 연장되어 상기 패널결합부(811)에 결합되는 패널후크(821)와, 상기 수용홈(823)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결홈(812)에 체결부재와 함께 결합되는 결합홈(82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로서, 상기 제어패널(820)은 체결부재 또는 후크결합에 의해 상기 설치패널(8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패널(820)는 상기 전방패널(11)에서 이격되어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와의 이격거리를 축소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부(200) 및 상기 물공급부(300), 상기 결정부(700)를 제어하는 제어선을 크게 축소시킬 수 있다. 도20은 상기 물탱크(420)가 캐비닛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물탱크(420)의 인출방향은 상기 저수부(7)의 인출방향이 서로 다르며,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가 배치된 위치도 전혀 다르다.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상부패널(13)의 인출홈(131)을 통해 상부로 노출될 뿐만 아니라 완전히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수부(7)는 전방패널(11)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저수부(7)와 물공급부(300)의 위치를 혼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인출커버(132)를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개방해야만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나,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전방패널(11)에 그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저수부(7)의 위치를 혼동하는 것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상부패널(13)의 인출홀(131)을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와 완전히 인출되어 별도의 공간에서 물을 충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급수원 등에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어도, 무리 없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부(200)에 공급할 물을 상기 물탱크(420)에 충전할 수 있다.
도21은 상기 내부공급부(400)의 구조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탱크장착부(411)에서 상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에 구비되는 연장관(46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지면에서 연직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탱크장착부(411)에서 인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장관(460)이 파손될 수 있을 뿐더러, 상기 연장관(460)과 결합된 부분을 통해 상기 물탱크(420)의 물이 의도치 않게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20)는 전방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연장관(460)에서 분리된 후에, 상부로 들어올려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될 때는 상기 탱크장착부(411)의 전방에 상기 물탱크(420)의 바닥면이 안착된 후에 후방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물탱크(420)가 상기 연장관(46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탱크장착부(411)는 바닥면 전방에 경사면(41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112)는 상기 물탱크(420)가 전방 상부로 회전하며 인출될 수 있도록 아래로 볼록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경사면(4112)을 따라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장착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가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장착부(412)가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펌프장착부(412)는 격벽(413)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에서 발생한 잔수는 다른 곳으로 누출되거나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잔류할 수 있다.
상기 격벽(413)에 상기 연장관(46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탱크(42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탱크(420)와 연결되는 구간이 확보되어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이 상기 탱크장착부(411)로 누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460)으로 인해,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가 연결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는 물을 수용하는 탱크바디(421)와, 상기 탱크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탱크커버(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커버(422)는 상기 탱크바디(421)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커버바디(4221)와, 상기 커버바디(4221)을 관통하여 상기 탱크바디(421)에 물을 투입하도록 구비되는 바디홀(4222), 상기 바디홀(42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마개(4223), 상기 커버바디(4221)에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42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4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4224)는 상기 바디홀(4222)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420)가 전방 상부로 회전 또는 슬라이드 이동하며 인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입부(4224)는 상기 커버바디(4221)에서 상기 탱크바디(421)로 함몰되어 구비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의 양측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22는 상기 탱크바디(421)와 물펌프(430)의 유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탱크바디(421)는 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바디는 상기 탱크장착부(411)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면(4211)과, 상기 바닥면(4211) 전방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인출유도면(4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유도면(4212)는 상기 탱크장착부(411)의 경사면(41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출유도면(4212)은 단면이 아래로 볼록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바디(421)는 상기 인출유도면(4212)으로 인해 바닥면 전방에 모서리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상부로 또는 후방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인출유도면(4212)은 상기 경사면(4112)을 따라 전방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4112)을 따라 후방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탱크바디(421)는 바닥면(4211)에서 연장되어 상기 물펌프(430)와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면(4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면(4213)은 상기 탱크바디(421)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면(4213)은 상기 탱크바디(421)에 수용된 물이 상기 물펌프로(430)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출홀(4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4214)은 상기 배출면(4213)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장관(460)과 연통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탱크바디(421)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장착되면 상기 배출홀(4124)은 상기 연장관(460)을 통해 상기 물펌프(430)에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배출홀(4214)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장관(460)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탱크관(4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23은 상기 물탱크(420)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인출하거나 결합될 때 상기 물탱크(420) 내부의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배출홀(4214)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탱크관(450)이 구비된다.
상기 탱크관(450)은 상기 탱크관(45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핀(45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관(450)은 내측유로(451)와 외측유로(452)로 구성되며, 외측 유로(452)에는 기밀을 위하여 외부실링부재(45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부실링부재(454)는 외측유로(452)의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외부실링부재(454)는 외측유로(452)의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두께를 가지는 립 타입 링(rib typering)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부실링부재(454)는 상기 제1핀(455)과 상기 제2핀(465)와 더불어 이중으로 기밀을 유지하여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외부실링부재(454)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탱크관(450)과 상기 연장관(460)의 체결이 용이하여, 사용자는 체결 시에 부드러운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탱크관(450)과 상기 연장관(46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탱크관(450)과 상기 연장관(460)의 체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49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핀(455)은 일측에 형성된 유동부(455a)와 타측에 형성된 개폐부(455b)를 포함한다. (도21참조) 유동부(455a)는 대략 십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십자날개(4511)의 사이(4512)로 물이 흐르게 된다. 상기 개폐부(455b)는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탱크관(450)은 물탱크(420)의 내부로 돌출 형성된 내측 유로(451)와, 내측 유로(451)와 연통하여 물탱크(42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외측 유로(452)를 포함한다. 제1 핀(455)은 유동부(455a)의 십자날개에 의해 외측 유로(452)의 내부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한편, 제1 핀(455)의 유동부(455a)와 내측유로(451) 사이에는 스프링(453)이 구비된다. 스프링(453)은 제1 핀(455)에 탄성력을 가하여 물탱크(420)가 펌프(430)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제1 핀(455)의 개폐부(455b)가 외측유로(452)를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물펌프(430)의 펌프유입관(432)에는 탱크관(450)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연장관(460)이 배치될 수 있다. 연장관(460)는 전술한 탱크관(450)에 대응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연장관(460)는 물펌프(430)와 연결되는 제2유로(462) 및 제2 유로(46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핀(465)을 포함한다.
제2 유로(462)는 물펌프(430)의 펌프유입관(432)에 연결되며, 제2유로(462)의 물탱크(420)를 향한 단부에는 연장관(460)과 탱크관(450)의 체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49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드부재(495)는 연장관(460)의 제2유로(462)의 단부에 설치되어 직경이 점점 커지는 확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495)가 확관 형상을 가짐에 따라 탱크관(450)과 연장관(460)를 서로 체결하는 경우에 그 중심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가이드부재(495)의 확관 형상에 의해 중심을 일치시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연장관(460)의 제2핀(465)은 제1핀(455)과 마찬가지로, 일측에 형성된 유동부(465a)와 타측에 형성된 개폐부(465b)를 포함한다. 유동부(465a)가 십자날개를 구비하는 십자형으로 구성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제2 핀(465)의 유동부(465a)와 물펌프(430)의 펌프유입관(432) 사이에는 스프링(464)이 구비되어, 물탱크(420)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제2핀(465)의 개폐부(465b)가 제2 유로(462)를 폐쇄하도록 한다.
도 23을 참조하여 탱크관(450) 및 연장관(460) 의 체결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420)가 물펌프(430)에 연결된 연장관(460)에서 분리된 상태인 경우, 제1 스프링(453)에 의해 제1핀(455)의 개폐부(455b)가 외측유로(452)의 선단을 막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420)의 물이 탱크관(45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한편, 물펌프(430)에 연결된 연장관(460)에서도 마찬가지로 제2스프링(464)에 의해 제2핀(465)의 개폐부(465b)가 연장관의 제2유로(462)를 막게 된다.
도23(b)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420)를 설치하여 탱크관(450)과, 연장관(460)을 서로 체결하게 되면, 제1 및 제2 핀(455, 465)은 서로 상대방을 밀게 된다. 따라서, 제1 핀(455)은 제1 스프링(453)의 탄성력을 이기고 내측 유로(451)를 향하여 밀리게 되고, 제2 핀(465)은 제2 스프링(464)의 탄성력을 이기고 물펌프(430)를 향하여 밀리게 된다.
결국, 제1 핀(455)의 개폐부(455b)가 외측유로(452)의 선단에서 이격되어 틈이 형성되고, 그 틈을 통하여 물이 유출된다. 이 경우, 제1 핀(455)의 유동부(455a)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십자날개(도 21 참조, 45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탱크(420) 내부의 물은 십자날개(4511) 사이를 통하여 외측유로(452)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2핀(465)의 개폐부(465b)도 제2유로(462)의 선단에서 이격되어 틈이 형성되며, 틈을 통하여 탱크관(450)를 통하여 유출된 물이 연장관(460)를 통하여 물펌프(430)로 공급된다. 이 경우에도, 제2 핀(465)의 유동부(465a)에는 십자날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탱크관(450)에서 배출된 물은 제2유로(462) 및 십자날개 사이를 통하여 물펌프(430)로 유입된다.
한편, 위와 같이 연장관(460)의 단부에는 가이드부재(495)가 설치되어, 상기 연장관(460)과 상기 탱크관(450)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키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탱크관(350)의 외주면에는 립 타입 링으로 형성된 외부실링부재(454)가 설치되어, 외부실링부재(454)의 외주면이 가이드부재(495)의 내면에 접하여 절곡되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탱크관(350)의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부재(495)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관(460)의 외주면에 외부실링부재(454)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구조로 인해,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분리되어도 상기 물탱크(42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상당히 방지될 수 있다.
도25는 상기 물탱크(420)의 누수를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5(a)를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배출홀(4214)가 상기 탱크의 바닥면(4211)보다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4214)은 상기 바닥면(4211)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바닥면(4211)에서 H 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바디(421)는 상기 배출홀(4214) 보다
도25(b)를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42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전방이 상부로 들린다고 하더라도, 상기 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배출홀(4214)에 접근하지 못하여 상기 배출홀(4214)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이 상기 탱크하우징(410)으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4214)이 상기 탱크바닥면(4211)에서 이격된 높이H는 상기 경사면(4112)으로 인해 상기 탱크바디(421)의 전방이 회전하는 각도에 대응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배출홀(4214)이 상기 바닥면에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물탱크(420)의 물을 대부분이 상기 물펌프(43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홀(4214)에서 상기 바닥면(4211)으로 연장되는 파이프(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물탱크(420)는 상기 파이프(470)를 통해 상기 배출홀(4214)이 상기 바닥면(4211)에서 이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탱크바디(421)의 대부분의 물을 상기 물펌프(430)로 공급할 수 있다.
도26는 상기 파이프(470)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파이프(470)은 내측유로(45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파이프(470)는 내측유로(45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472) 및 상기 연결부(472)에서 연장 형성된 연장부(471)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부(471)는 연결부(472)에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90°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유로(451)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459)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472)에는 상기 돌기(459)와 결합될 수 있는 홈(472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돌기(459)가 상기 홈(472a)에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470)가 고정될 수 있다.
도26(b)는 상기 파이프(470)가 결합된 내측유로(451)에 제1핀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파이프(470)의 연장부(471)는 물탱크(420)의 바닥에 인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이르(470)의 단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471)과 상기 바닥면(4211)는 B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간격B는 1~2mm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탱크관(450)은 상기 배출홀(4214)이 설치된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탱크관(45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핀(455)과, 상기 제1핀(455)에 대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핀(455)은 일측에 형성된 유동부(455a)와 타측에 형성된 개폐부(455b)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455b)는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동부(455a)와 외측유로(452)의 내부에 형성된 배출홀(4214)사이에는 내부실링부재(456)를 구비하며, 외측유로(452)의 외주면에는 외부실링부재(45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457)는 탱크관(450)의 내부에서 제1핀(455)에 대해 탄성력을 가하여, 제1핀(455)이 외측유로(452)를 향하여 탄성력을 받도록 하여, 제1핀(455)의 개폐부(455b) 및 내부실링부재(456)에 의해 외측유로(4526)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내부실링부재(456)는 환상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부재(457)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경우에 배출홀(4214)에 밀착되어 외측유로(452)가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물펌프(430)에서 연장된 펌프유입관(432)가 외측유로(452)에 연결되는 경우에, 외측유로(452)가 상기 펌프유입관(432)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유입관(432) 내측과 외부실링부재(454)가 접하게 되어 실링이 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471)와 상기 연결부(472)에는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리브가 상기 탄성부재(457)를 지지하여 상기 제1핀(455)이 상기 외측유로(452)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탄성부재(457)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출홀(4214)가 상기 탱크바디의 바닥면(4211)에 높이 H만큼
물론, 상기 리브와 상기 탄성부재(457) 사이에는 별도의 스토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내측유로 또는 상기 연결부(471)에 억지끼움 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연통홀을 내부에 구비하여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27는 스토퍼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스토퍼(457)는 내측유로(451)의 내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유로(451)의 내부 반경보다 조금 더 큰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스토퍼(457)를 억지끼움형식으로 고정하는 경우에 스토퍼(457)가 쉽게 내측유로(45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57)에는 개구부(457a)가 형성되어 물이 상기 개구부(457a)를 통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457)는 일면이 상기 탄성부재(457)을 지지하며, 타면이 상기 파이프(470)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탄성부재(457)와 상기 제1핀이 상기 탱크관(45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파이프(470)의 물이 상기 탱크관(450)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28는 내부공급부(400)의 잔수를 모두 물펌프(430)로 수집시킬 수 있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수홀(4214)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바닥면에서 H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관(460)에서 연장되어 물펌프(430)에 물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펌프유입관(432)은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바닥면에서 H보다 작은 H1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관(460)에서 조금이라도 배출된 물을 자동으로 상기 펌프(430)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펌프(43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도록 연장되는 펌프배출관(433)은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바닥면에서 H1 보다는 높고 H보다는 낮은 H2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펌프(430)가 구동이 중단되면, 상기 펌프배출관(433)에 수용된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물펌프(430)로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유입관(432)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에 잔류하는 물은 모두 상기 물펌프(430)에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유입관(432)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에서 물이 잔류하여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펌프유입관(432)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이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1 : 캐비닛
2 : 드럼
3 : 덕트
4 : 열교환부
200 : 스팀부
300 : 물공급부
400 : 내부공급부
500 : 외부공급부
700 : 결정부
800 : 스팀제어부

Claims (21)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의 함유된 수분을 응축하고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순환유로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스팀부;
    상기 스팀부에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상기 물을 저장하여 상기 스팀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내부공급부와,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서 상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외부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공급부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외부급수원과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직수밸브와, 상기 직수밸브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스팀부로 바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직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급부는
    상기 스팀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로 공급하는 물펌프와, 상기 물펌프에서 연장되어 상기 물을 상기 스팀부로 안내하는 펌프배출관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물탱크와 상기 물펌프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탱크하우징에서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급부와 상기 외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는 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급부는
    상기 스팀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서 상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로 공급하는 물펌프와, 상기 물펌프에서 상기 합지부 까지 연장되어 상기 물을 상기 스팀부로 안내하는 펌프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수관은 상기 직수밸브에서 상기 합지부 까지 연장되어 물을 스팀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부는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상기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물안내관과,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드럼 또는 순환유로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스팀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안내관은 상기 합지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펌프와 상기 직수관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합지부를 통해 스팀발생기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펌프와 상기 직수관에서 공급된 물로 생성된 스팀은 상기 스팀안내관을 통해 상기 드럼 또는 순환유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급부는
    상기 외부공급부에서 상기 스팀부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내부공급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공급부는
    상기 내부공급부에서 상기 스팀부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외부공급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부는
    상기 외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내부공급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내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외부공급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급부와 상기 외부공급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스팀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스팀부에 물이 스팀수위 이상이면 상기 외부공급부에서 상기 스팀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스팀부에 물이 스팀수위 이하이면 상기 내부공급부에서 상기 스팀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직수밸브가 상기 외부급수원과 결합되면 상기 스팀부에 스팀수위 이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직수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급부는
    상기 스팀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로 공급하는 물펌프와, 상기 물펌프에서 연장되어 상기 물을 상기 스팀부로 안내하는 펌프배출관과,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물탱크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물펌프를 우선 제어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물펌프를 우선 제어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직수밸브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물탱크의 수위가 공급수위 미만인 것을 감지하면, 상기 물펌프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직수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이 공급수위 이하이면서 상기 직수밸브를 통해서도 물 공급이 미감지되면, 상기 스팀부에 물 공급이 불가능한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상기 외부공급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부가 상기 외부공급부를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인식부가 상기 외부공급부를 폐쇄한 것을 감지하면, 내부공급부를 우선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결정부의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인식부가 상기 외부공급부를 폐쇄한 것을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급부에 물이 공급수위 이하로 저장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에 인식부를 제거하거나 상기 내부공급부에 물을 공급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인식부가 상기 외부공급부를 개방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공급부를 우선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93071A 2020-02-20 2020-07-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254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24 2020-02-20
KR20200021224 2020-02-20
KR1020200092888A KR20210106315A (ko) 2020-02-20 2020-07-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888A Division KR20210106315A (ko) 2020-02-20 2020-07-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901B1 true KR102254901B1 (ko) 2021-05-24

Family

ID=7615264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068A KR102254899B1 (ko) 2020-02-20 2020-07-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93069A KR102271445B1 (ko) 2020-02-20 2020-07-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93071A KR102254901B1 (ko) 2020-02-20 2020-07-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93070A KR102254900B1 (ko) 2020-02-20 2020-07-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068A KR102254899B1 (ko) 2020-02-20 2020-07-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93069A KR102271445B1 (ko) 2020-02-20 2020-07-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070A KR102254900B1 (ko) 2020-02-20 2020-07-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254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31A1 (ko) * 2021-06-24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WO2023003185A1 (ko) * 2021-07-21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849A (ko) * 2005-06-13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107788A (ko) * 2007-06-08 200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106834A (ko) * 2011-09-08 201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30094584A (ko) * 2012-02-16 2013-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126B1 (ko) * 2005-05-31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208531B1 (ko) * 2006-07-28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EP1959043B1 (en) * 2007-02-19 2018-11-1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omestic appliance with external water supply
KR101521930B1 (ko) * 2008-12-23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KR101083145B1 (ko) * 2008-12-24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체 공급 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
JP2014150859A (ja) * 2013-02-06 2014-08-25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KR102043197B1 (ko) * 2013-02-28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849A (ko) * 2005-06-13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107788A (ko) * 2007-06-08 200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106834A (ko) * 2011-09-08 201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30094584A (ko) * 2012-02-16 2013-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31A1 (ko) * 2021-06-24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WO2023003185A1 (ko) * 2021-07-21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900B1 (ko) 2021-05-24
KR102271445B1 (ko) 2021-07-01
KR102254899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9341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5490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57859B1 (ko) 의류처리장치
US8511116B2 (en) Washing/drying machine
EP2185766B1 (en) Controlling method of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8511324B2 (en) Washing/drying machine
CN113646478B (zh) 冷凝式干衣机
US20200392664A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1010631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573215B1 (ko) 공기조화기의 세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49582B2 (en) Laundry dryer
KR2008010778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2546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9008332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10112169A (ko) 세탁물 건조기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08553B1 (ko) 세탁장치
KR20200030416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462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40436A (ko) 의류처리장치
KR10199542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12138A (ko) 세탁물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16721A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09574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0044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