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169A - 세탁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169A
KR20210112169A KR1020200027380A KR20200027380A KR20210112169A KR 20210112169 A KR20210112169 A KR 20210112169A KR 1020200027380 A KR1020200027380 A KR 1020200027380A KR 20200027380 A KR20200027380 A KR 20200027380A KR 20210112169 A KR20210112169 A KR 20210112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tank body
floater
interv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한
박수원
이만석
신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169A/ko
Priority to EP21159845.3A priority patent/EP3875671A1/en
Priority to CN202110238885.9A priority patent/CN113355892B/zh
Priority to US17/192,254 priority patent/US11959221B2/en
Publication of KR2021011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행정 수행을 위해 필요한 최소 물량보다 더 적은 물량으로도 플로터가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로터의 형상, 및 플로터에 매립되는 마그넷의 형상을 구성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스팀 생성 행정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기{LAUNDRY DRYER}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스팀 행정 수행을 위해 필요한 최소 물량보다 더 적은 물량으로도 플로터가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로터의 형상, 및 플로터에 매립되는 마그넷의 형상을 구성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스팀 생성 행정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건조기는 회전하는 드럼의 내부에 의류나 침구 등과 같은 건조 대상 세탁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대상 세탁물에 흡수된 수분을 제거한다.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은, 전기 저항열 또는 가스 연료를 이용한 연소열, 또는 히트 펌프 사이클을 구성하는 응축기에 의하여 생성되며, 이와 같이 생성된 열풍은 순환팬에 의해 드럼 내부로 공급된다.
드럼에서 건조대상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드럼을 빠져나가는 공기는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머금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이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건조기의 종류가 응축식과 배기식으로 분류된다.
응축식 세탁물 건조기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내부에서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을 통해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킨다. 이와 달리 배기식 세탁물 건조기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킨다. 응축식 세탁물 건조기는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갖고, 배기식 세탁물 건조기는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서로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
한편, 근래에는 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건조대상 세탁물의 살균 및 드럼 자체의 살균을 위해서 드럼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세탁물 건조기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스팀 분사식 세탁물 건조기는 스팀 생성을 위한 물을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받거나, 세탁물 건조기의 내부에 설치된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저장탱크를 이용하여 물을 스팀부로 공급하는 방식의 경우에,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소진될 때 사용자는 저장탱크를 세탁물 건조기로부터 분리한 후 물을 재충전하고 다시 저장탱크를 세탁물 건조기에 설치함으로써 스팀 생성을 위한 물 보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5031호에는 스팀 생성용 물 저장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내부 급수탱크로서, 내부에 수면을 따라 부유하는 플로터를 통해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잔량을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플로터는 내부에 마그넷이 구비하고, 마그넷의 이동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급수탱크의 수면 및 물의 잔량을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구성은, 급수탱크 내부에서 수면의 변화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로터의 상하방향 높이가 물부족 여부 판단하는 측정 구간 대비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어 있고, 플로터의 내부에 매립된 마그넷의 높이가 플로터의 상하방향 높이 비해서 지나치게 작게 형성되어, 플로터가 최하단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급수탱크 내부에는 상당히 많은 물량이 보관되어 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플로터가 최하단 위치에 있기 때문에 플로터센서로부터 플로터의 위치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현재 급수탱크 내부에 물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스팀 생성 행정을 중단시키고 사용자에게 전달될 물부족 메시지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급수탱크에 보관되어 있는 물의 잔량은 1행정 이상의 스팀 생성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물량에 해당하여, 이로 인해 사용자는 급수탱크의 저장된 물의 잔량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물부족 메시지를 받은 것에 대해서 장치의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물부족의 오판단으로 인한 전체 장치의 행정이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구성은, 플로터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플로터케이스가 급수탱크와 별개로 제작되어 급수탱크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플로터케이스 자체의 제조 및 급수탱크로의 조립에 따른 제조 공정의 증가 및 제조 비용이 현저히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503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팀 행정 수행을 위해 필요한 물량보다 더 적은 물량으로도 플로터가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로터의 형상, 및 플로터에 매립되는 마그넷의 형상을 구성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스팀 생성 행정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로터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플로터케이스 등을 저장탱크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저장탱크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는,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로 열풍 및 스팀이 공급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스팀부로 공급될 물을 보관하는 저장탱크;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탱크를 수용하는 탱크하우징; 및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보관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외측면과 제2 외측면, 서로 나란하여 형성되며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3 외측면과 제4 외측면, 및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3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5 외측면과 제6 외측면을 구비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가 상기 탱크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외측면은 상기 상하방향으로 상측면이 되고, 상기 제2 외측면은 상기 상하방향으로 하측면이 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 및 상기 제3 간격보다 더 작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8배 내지 10배 더 크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1.5배 내지 2.5배 더 크게 된다.
또한, 상기 플로터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매립되는 육면체 형상의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마그넷이 삽입되며, 상기 마그넷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마그넷수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방향으로 상기 마그넷의 높이는, 상기 제1 간격의 0.5 배 내지 0.8배가 된다.
또한, 상기 플로터는, 상기 제1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면을 상기 상하방향으로 각각 관통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관통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은, 상기 제5 외측면에 근접해서 형성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6 외측면에 근접해서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마그넷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2 관통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마그넷 사이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5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관통홀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6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관통홀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로터는,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의 각각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의 복수의 내부 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내부 리브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고,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는, 내부에 상기 물을 보관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박스 형상의 탱크바디; 및 상기 탱크바디의 개방된 상측면에 결합되는 탱크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바디는,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탱크바디는,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플로터를 둘러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로터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로터케이스는, 상기 박스 형상의 탱크바디의 일측면을 향해 형성되는 판상의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박스 형상의 탱크바디의 전방면을 향해 형성되는 판상의 제1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방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박스 형상의 탱크바디의 후방면을 향해 형성되는 판상의 제2 서브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기 제1 서브플레이트, 상기 제2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탱크바디의 일측면으로 규정되는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플로터가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서브플레이트와 상기 제2 서브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탱크바디의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탱크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서,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에 나란한 방향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바닥 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로터는, 상기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외측면에 각각 나란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외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외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리브는, 상기 복수의 바닥 리브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탱크커버는, 일단부가 상기 탱크커버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플로터의 상기 제1 외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외측면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플로터가 정지된다.
또한,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가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작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기 제1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서브플레이트는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기 제1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서브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더 작게 된다.
또한,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1 간격보다 2.5배 내지 3.5배 더 크게 된다.
또한, 상기 탱크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플로터에 매립된 마그넷의 상하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플로터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센서는, 상기 마그넷의 최저 위치와 최고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로터센서는, 상기 탱크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탱크하우징의 외측면으로서 상기 마그넷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는, 스팀 행정 수행을 위해 필요한 물량보다 더 적은 물량으로도 플로터가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로터의 형상, 및 플로터에 매립되는 마그넷의 형상을 구성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스팀 생성 행정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는, 플로터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플로터케이스 등을 저장탱크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저장탱크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저장탱크가 탱크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저장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플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A-A'방향 단면도이며, 도 9는 B-B'방향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4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전반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건조기(1)의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10)은 세탁물 건조기(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전방패널(11)과, 후방면을 구성하는 후면패널(12)과, 측면을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패널(14)과, 상면을 구성하는 상부패널(13)을 포함한다.
전방패널(11)에는 후술하는 드럼(20)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7)이 구비된다.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 및 세탁물 건조기(1)의 행정을 수행하는 명령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8)는 세탁물 건조기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19)는 문자 및/또는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19)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의 상황, 잔여 시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0)과, 드럼(20)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20)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30)와, 덕트부(30)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드럼(20)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40)가 구비된다.
드럼(20)은 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를 포함하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22), 및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2)는 캐비닛(10)의 내부에 고정된 제1 고정바디(22a)와, 제1 고정바디(22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투입구(111)와 드럼 바디(2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2b), 제1 고정바디(22a)에 구비되어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에 삽입되는 제1 지지바디(2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2)는 투입구(111)와 드럼 투입구(22b)를 연결하는 연결바디(22d)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디(22d)는 드럼 투입구(22b)로부터 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바디(22d)에는 덕트부(30)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22e)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구(22e)는 드럼 바디(21)의 내부 공기가 덕트부(30)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연결바디(22d)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는,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된 제2 고정바디(23a)와, 제2 고정바디(23a)에 구비되어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에 삽입되는 제2 지지바디(2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지지부(23)에는 제2 고정바디(23a)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 바디(21)의 내부를 캐비닛(10)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23c)가 구비된다.
이 경우에, 덕트부(30)는 공기 배출구(22e) 및 공기 유입구(23c)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50)를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구동부(50)가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된 모터(51), 모터(51)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52), 풀리(52)의 원주면과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53)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부(22)에는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롤러(R1)가 구비되고, 제2 지지부(23)에는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롤러(R2)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풀리 및 벨트를 거치지 않고 모터(51)가 직접 드럼에 연결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직구동 방식의 구동부도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당연히 속한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시된 구동부(50)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덕트부(30)는 공기 배출구(22e)에 연결된 배기덕트(31)와, 공기 유입구(23c)에 연결된 공급덕트(32)와, 배기덕트(31) 및 공급덕트(32)를 연결하며 내부에 열교환부(40)가 설치되는 연결덕트(33)를 포함한다.
열교환부(40)는 덕트부(30)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부(40)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다.
히트펌프 시스템 방식으로서 열교환부(40)는, 덕트부(30)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43)과, 덕트부(30)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낮추어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열교환기(흡열부, 41)와, 덕트부(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 열교환기(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 열교환기(발열부, 42)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43)은 덕트부(30)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3a)와, 임펠러(43a)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43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임펠러(43a)는 배기덕트(31), 연결덕트(33), 및 공급덕트(32) 중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 2에는 임펠러(43a)가 연결덕트(32)에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이하에서는 임펠러(43a)가 연결덕트(32)에 구비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흡열부(41)와 발열부(42)는 연결덕트(33)의 내부로서 배기덕트(31)로부터 공급덕트(32)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흡열부(41)는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발열부(42)는 압축기(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흡열부(41)를 통과할 때 흡열부(41)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어 연결덕트(33)의 바닥면에 모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흡열부(41)와 발열부(42)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방식의 열교환부(40)에 관한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하며, 이에 관한 세부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응축되어 연결덕트(33)의 바닥면에 모이게 된 응축수를 수집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에는 집수부(60)가 구비된다.
흡열부(41)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집수부(60)에 1차 수집된 후 저수부(70)로 2차 수집될 수 있다. 집수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덕트(33) 내부에 위치되거나, 연결덕트(33)와 이격된 공간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집수부(60)를 통해 1차 수집된 응축수는 응축수 공급관(61)을 통해 저수부(70)로 공급된다. 이 때, 응축수 공급관(61)에는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서 응축수 펌프(62)가 구비된다.
저수부(70)는 전방패널(11)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수탱크(72)를 구비한다. 저수탱크(72)는 후술하는 집수부(60)로부터 전달된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저수탱크(72)를 캐비닛(10)으로부터 인출하여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얼마든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저수부(70)는 캐비닛(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수탱크(72)와, 저수탱크(7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응축수 공급관(61)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수탱크(7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72a)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저수탱크(72)는 캐비닛(10)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저수탱크(72)가 삽입되는 저수부 장착홀이 구비된다.
저수탱크(72)의 전방면에는 패널(71)이 고정되는데, 패널(71)은 저수부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전방패널(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패널(7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파지되는 홈부(7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71)은 저수탱크(72)를 캐비닛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유입구(72a)는 캐비닛(10)에 고정된 응축수 노즐(63)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공급받도록 형성된다. 응축수 노즐(63)은 저수탱크(72)가 캐비닛(10)에 삽입된 때 유입구(72a)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10)의 상부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수탱크(72)를 캐비닛(10)에서 인출한 뒤 저수탱크(72)를 유입구(72a)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저수탱크(7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저수탱크(72) 내부의 물이 유입구(72a)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저수탱크(7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72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의류 등의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린트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여과부(F1)와 제2 여과부(F2)를 구비한다.
제1 여과부(F1)는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배기덕트(31)에 구비된다.
제2 여과부(F2)는 제1 여과부(F1)를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2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제1 여과부(F1)의 하류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여과부(F2)는 연결덕트(33)의 내부로서 제1 열교환기(41)의 상류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흡열부로서 작용하는 제1 열교환기(41)에 축적되어 제1 열교환기(41)를 오염시키거나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여과부(F1) 및 제2 여과부(F2)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적용가능한 바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내부급수부(81)와 외부급수부(82)를 포함하는 급수부(80)와, 급수부(8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부(90)를 더 포함한다.
스팀부(90)는 응축수가 아닌 신선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팀부(90)는 물을 가열하거나, 초음파를 이용하거나, 기화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팀부(90)는 필요에 따라 내부급수부(81) 뿐만 아니라 외부급수부(82)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드럼 바디(21)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외부급수부(82)는 배면패널(13)에 인접하거나 배면패널(13)에 고정되는 직수밸브(82a)와, 직수밸브(82a)에서 전달되는 물을 스팀부(90)로 공급하는 직수관(82b)을 포함할 수 있다.
직수밸브(82a)는 외부급수원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수밸브(82a)는 캐비닛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급수관(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부(90)는 직수밸브(82a)를 통해 직접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급수부(81)가 생략되거거나, 내부급수부(81)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스팀부(90)는 필요시 직수밸브(82a)를 통해 스팀 생성을 위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직수밸브(82a)는 스팀제어부(100)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스팀제어부(100)는 컨트롤패널(117)에 설치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117)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제조비를 상승시키지 않기 위해 별도의 제어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스팀제어부(100)는 스팀부(90)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스팀제어부(100)는 스팀부(90)가 설치되는 측면패널(14)에 구비되어 스팀부(90)와 연결되는 제어선 등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스팀부(90)는 직수밸브(82a)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직수관(82b)에 불필요하게 잔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시 즉각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내부급수부(81)는 물을 보관하는 저장탱크(810)와, 저장탱크(8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부(90)로 물을 전달하는 공급펌프(820)와, 저장탱크(810)와 공급펌프(82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8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패널(13)에는 저장탱크(810)가 탱크하우징(830)에 설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탱크인출홀(131)이 형성된다.
저장탱크(810)는 저수부(70)의 저수탱크(72)보다 부피가 작으므로 상부로 인출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탱크(810)는 상부패널(13)로부터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 결과, 저장탱크(810)와 저수부(70)의 인출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사용자의 혼동 가능성은 더욱 감소할 수 있다.
상부패널(13)에는 탱크인출홀(131)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저장탱크(810)가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출커버(132)가 구비된다.
인출커버(132)는 탱크인출홀(131)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패널결합부(133)를 포함한다. 패널결합부(133)는 인출커버(132)를 상부패널(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인출커버(13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패널결합부(133)와 상부패널(13)은 힌지 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인출커버(132)는 표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패널핸들(134)이 구비될 수 있으며, 패널핸들(134)은 인출커버(132)에서 하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하우징(830)은 저장탱크(810)를 수용하는 기능과, 저장탱크(810)에 보관된 물을 공급하는 공급펌프(820)를 수용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탱크하우징(830)은 저장탱크(810)를 수용하는 탱크 수용부(832)와, 공급펌프(820)를 수용하는 펌프 수용부(833)로 분할되며, 이들 탱크 수용부(832)와 펌프 수용부(833)는 격벽(831)을 이용하여 분할된다.
이러한 격벽(831)을 통해서 저장탱크(810)로부터 물이 누설되더라도, 누설된 물은 전기로 구동되는 공급펌프(820)가 수용된 펌프 수용부(833)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되어, 누전으로 인한 사고와 공급펌프(820)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격벽(831)은, 저장탱크(810)의 공급부(817)와 공급펌프(820)를 연결하는 연결관(850)이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탱크하우징(830)은 지지바(840)를 통해서 세탁물 건조기의 내부에 고정 및 지지된다. 지지바(84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프레임과 세탁물 건조기의 내부 구조물에 고정되거나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지지바(84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탱크하우징(83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탱크하우징(830)의 타측면에는 후술하는 플로터센서(SF)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플로터센서(SF)는 저장탱크(810)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감지된 수위를 전술한 메인 제어부로 전달하고, 메인 제어부는 물 보충 알람을 표시부(119)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플로터센서(SF) 및 플로터센서(SF)에 고정 구조에 관한 구성은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물 보충을 위해서, 사용자가 전술한 인출커버(132)를 열게 되면 저장탱크(810)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저장탱크(810)가 탱크하우징(830)에 수용된 상태(눕혀진 상태)를 기준으로 저장탱크(810)의 전방(캐비닛의 전방패널을 향하는 방향) 상측면에 형성된 손잡이부(816)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단순히 당기는 동작만으로 저장탱크(810)는 탱크하우징(830)으로부터 분리된다.
저장탱크(810)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810)의 전방 하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아래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저장탱크(810)의 곡면에 대응하는 곡면이 탱크하우징(830)에 형성된다.
저장탱크(810)가 분리된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816)를 파지한 상태로 물 보충을 위한 위치로 이동 시에, 도 3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810)는 손잡이부(816)가 상측방향으로 향하는 상태가 된다. 즉, 저장탱크(810)가 탱크하우징(830)에 수용된 상태를 기준으로 90도 회전된 기립 상태가 된다.
한편, 사용자는 저장탱크(810)가 탱크하우징(830)에 수용된 상태와 동일하게 눕혀진 상태에서 급수캡(814)을 열고 저장탱크(810)의 내부 저장공간(S)으로 물을 공급한 후 다시 급수캡(814)을 닫아 물 보충을 완료할 수 있다.
저장탱크(810)의 결합은 전술한 분리과정과 역순의 과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저장탱크(81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저장탱크(81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저장탱크(8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팀부(90)로 공급될 물을 밀폐식으로 보관한다.
이를 위해, 저장탱크(810)는 내부에 저장공간(S)이 형성되는 탱크바디(811)와, 탱크바디(811)의 개방된 상측면에 결합되는 탱크커버(812)를 포함한다.
탱크바디(811)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전방면(811a1), 후방면(811a2), 제1 측면(811a3), 제2 측면(811a4), 및 하측면(811a5)은 막혀있는 박스 형태의 본체부(811a)를 포함하며, 탱크바디(811)는 저장공간(S)의 밀폐성, 가공성 및 경량화를 고려하여 플라스틱 사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811a)의 전방면(811a1)은 저장탱크(810)를 탱크하우징(83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고 아래로 볼록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측면(811a3), 제2 측면(811a4) 및 후방면(811a2)은 단순 평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탱크바디(811)의 본체부(811a)의 후방면(811a2)에는 공급부(817)가 설치된다.
공급부(817)는, 탱크바디(811)의 저장공간(S)에 보관 중인 물을 탱크바디(811)의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탱크바디(811)의 후방면(811a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체크밸브와, 체크밸브로부터 탱크바디(811)의 본체부(811a)의 하측면(811a5)을 향해 ㄱ자로 절곡되는 형상을 갖는 급수관을 포함한다.
체크밸브는 전술한 탱크하우징(830)의 연결관(850)과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되며, 연결관(850)에 연결되는 경우에만 급수관으로부터 연결관(850)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내부 유로를 단속한다.
체크밸브 및 급수관에 관한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수단이 적용 가능한 바, 상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저장탱크(810)의 내부로서 제1 측면(811a3) 또는 제2 측면(811a4)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한 위치에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로터(815)가 배치된다.
도 5에는 제2 측면(811a4)에 인접한 위치에 플로터(815)가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2 측면(811a4)에 인접한 위치에 플로터(815)가 배치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상세 구성은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탱크커버(812)는 탱크바디(811)의 개방된 상측면에 결합되어, 탱크바디(811)와 함께 내부에 저장공간(S)을 형성하도록 탱크바디(811)의 상측면을 커버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커버(812)는 대략 균일한 두께를 갖는 4각형상의 평판부(812a)와, 평판부(812a)의 전방 에지(812a1)에 근접해서 형성되는 제1 오목면(812b)을 포함한다.
누수방지를 위해서, 탱크커버(812)의 전방 에지(812a1), 측면 에지(812a2) 및 후방 에지를 포함하는 둘레면과 탱크바디(811)의 상단부(811a6)는 상호간 융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융착부를 구성한다.
융착 강도를 높이고 누수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 융착면을 형성하는 탱크바디(811)의 상단부(811a6)와 탱크커버(812)의 둘레면은 단차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탱크커버(812)는 탱크바디(811)와 융착이 용이하도록 탱크바디(811)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사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열융착, 초음파 융착 등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임의의 방식을 사용하여 융착될 수 있다.
제1 오목면(812b)은, 후술하는 데코커버(813)의 제2 오목면(813b)과 함께 손잡이부(816)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오목면(812b)은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할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아래로 볼록한 경사 곡면으로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막혀있는 곡면을 형태를 취한다.
한편, 제1 오목면(812b)과 후방 에지 사이에는 급수홀(812c)이 형성된다.
급수홀(812c)에는 급수캡(814)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사용자는 체결 상태에 있는 급수캡(814)을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급수캡(814)을 급수홀(812c)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급수캡(814)이 분리된 상태에서 물을 보충할 수 있다.
급수홀(812c)에는 급수캡(814)을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고 급수캡(814)의 밀폐 성능을 높이기 위한 구조로서, 탱크바디(811)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단차부(812e)가 설치된다.
급수홀(812c)과 급수캡(814) 사이의 탈착 구조에 관한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수단이 적용 가능한 바, 상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탱크바디(811)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단차부(812e)는, 저장탱크(810)의 최대 저장용량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도 작용한다.
즉, 사용자가 급수캡(814)을 분리시켜 물을 보충하는 동안, 단차부(812e)의 최하단까지 수면이 차오르게 되면 더 이상 물을 추가할 수 없음을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단차부(812e)에는 이와 같은 최대 수면 및 최대 용량 제한을 인지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문자 또는 지시선과 같은 시각적 수단이 더 추가될 수 있다.
한편, 탱크커버(812)의 전방 에지(812a1)에 근접한 위치로서, 제1 오목면(812b)과 측면 에지(812a2) 사이에는 평판부(812a)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2 흡기홀(812h)이 형성된다.
제2 흡기홀(812h)은, 후술하는 제1 흡기홀(813h)과 함께 저장탱크(810)의 저장공간(S)과 외부공간을 연통시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흡기홀로서 작용한다.
제2 흡기홀(812h)은 막혀 있지 않은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전술한 융착부를 회피한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저장탱크(810)는, 탱크커버(812)의 상측면(812a3)에 부착되고 탱크커버(812)의 상측면(812a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데코커버(813)를 더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는 예시적으로 탱크커버(812)의 상측면(812a3)을 전부 덮는 데코커버(813)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탱크커버(812)의 상측면(812a3)의 일부를 덮는 데코커버(813)에 관한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에 당연히 속한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탱크커버(812)의 상측면(812a3)을 전부 덮는 데코커버(813)에 관한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데코커버(813)는, 탱크바디(811) 및 탱크커버(812)와 동일하게 사출 성형방식으로 제작되며, 탱크커버(812)의 상측면(812a3)에 부착되어 탱크커버(812)의 상측면(812a3)을 보호하는 역할과, 전술한 탱크커버(812)의 제1 오목면(812b)과 함께 손잡이부(816)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겸한다.
이와 같은, 편의성 향상 기능을 위해서 데코커버(813)의 평판부(813a)에는 전술한 제1 오목면(812b)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래로 볼록한 경사 곡면의 형태의 제2 오목면(813b)이 이 구비된다.
제2 오목면(813b)은 부분적으로만 제1 오목면(812b)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오목면(813b)은 사용자의 파지시에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기능하며, 오목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평판부(813a)의 전방 에지(813a1)와 제2 오목면(813b) 사이의 부분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파지부로서 작용하게 된다.
데코커버(813)는 탱크바디(81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데코커버(813)는 평판부(813a)의 전방 에지(813a1), 측면 에지(813a2) 및 후방 에지로부터 탱크바디(811)를 향해 연장되는 테두리부(813d)를 구비한다.
또한, 체결 시 테두리부(813d)에 대응되는 위치로서 탱크바디(811)의 상단부(811a6)에는 데코커버(813)의 테두리부(813d)에 형합되는 복수의 걸림돌기(811e)가 구비된다.
한편, 제2 오목면(813b)과 평판부(813a)의 후방 에지 사이로서 탱크커버(812)의 급수홀(812c)에 대응되는 위치에 탱크커버(812)의 급수홀(812c)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관통홀(813c)이 형성된다.
또한, 데코커버(813)의 전방 에지(813a1)에 근접한 위치로서, 제2 오목면(813b)과 전방 에지(813a1) 사이에는 평판부(813a)의 상측면(813a3)과 하측면(813a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제1 흡기홀(813h)이 형성된다.
제1 흡기홀(813h)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흡기홀(812h)과 함께 저장탱크(810)의 저장공간(S)과 외부공간을 연통시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흡기홀로서 작용한다.
도 6 내지 도 9에는 플로터(815)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플로터(815)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물보다 더 밀도가 낮되 소정의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서 제작되는 몸체부(815a)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815a)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 간격(Hf)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외측면(815a1)과 제2 외측면(815a2), 서로 나란하여 형성되며 제2 간격(Wf)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3 외측면(815a3)과 제4 외측면(815a4), 및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3 간격(Lf)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5 외측면(815a5)과 제6 외측면(815a6)을 구비하는 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때, 제1 외측면(815a1) 내지 제6 외측면(815a6)은 모두 평탄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제1 간격(Hf), 제2 간격(Wf) 및 제3 간격(Lf)은 각각 서로 상이한, 바람직하게는 제1 간격(Hf)이 가장 작고, 제3 간격(Lf)이 가장 긴 막대형 직육면체가 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팀 행정 수행을 위해 필요한 물량보다 더 적은 물량으로도 플로터(815)가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되, 물 수위에 대해서 보다 신뢰성 높은 감지 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저장탱크가 탱크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를 기준으로 플로터(815)의 높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1 간격(Hf), 제2 간격(Wf) 및 제3 간격(Lf) 중에서 제1 간격(Hf)이 플로터(815)의 높이로서 작용하도록 플로터(815)가 저장탱크에 설치된다.
즉, 제1 외측면(815a1)이 상측면이 되고, 제2 외측면(815a2)이 하측면이 되는 상태로 저장탱크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 제3 외측면(815a3) 및 제4 외측면(815a4)은 각각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이 되며, 제5 외측면(815a5)과 제6 외측면(815a6)은 각각 전방면과 후방면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한편, 가장 작은 간격에 해당하는 제1 간격(Hf)을 상하방향, 즉 중력방향 높이로서 선택하면 물 속에 잠긴 상태에서 충분한 부력을 발생하기 곤란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로터(815)의 내부에는 물보다 밀도가 매우 높은 마그넷(M)이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수면 측정을 위해서는 플로터(815)의 부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터(815)는 플로터(815)의 전체 길이가 되는 제3 간격(Lf)과, 플로터(815)의 전체 폭이 되는 제2 간격(Wf)을 제1 간격(Hf) 대비 상당히 큰 비율을 갖도록 형성하여 플로터(815) 전체의 부력을 늘리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길이로서 작용하는 제3 간격(Lf)을 제1 간격(Hf) 대비 8배 내지 10배 더 크게 형성하고, 전체 폭이 되는 제2 간격(Wf)을 제1 간격(Hf)보다 1.5배 내지 2.5배 더 크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1 간격(Hf) 대비 제2 간격(Wf) 및 제3 간격(Lf)의 비율을 한정함으로써 플로터(815)의 몸체부(815a)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면 위로 노출되는 부유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간격(Hf)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탱크바디(811)의 하측면(811a5)으로부터 스토퍼(812d)의 타단부까지의 높이로 규정되는 플로터(815)의 이동 가능구간(Hs)에 대비하여 제한된다.
즉, 플로터(815)의 이동 가능구간(Hs)은 제1 간격(Hf)보다 2.5배 내지 3.5배 더 크게 설정함으로써 플로터(815) 및 마그넷(M)의 이동에 대한 여유 마진을 확보하고, 실제 물부족이 발생하는 수위를 정확히 특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력 또는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플로터(815)의 몸체부(815a)의 내부에는 마그넷(M)이 매립되어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신뢰성 높은 감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매립되는 마그넷(M)의 사이즈 중에서 상하방향 높이는 플로터(815)의 제1 간격(Hf) 대비 소정의 비율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마그넷(M)의 상하방향 높이는 제1 간격(Hf)의 0.5배 내지 0.8배로 한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815a)의 내부에는 마그넷(M)이 삽입되어 매립되는 마그넷수용부(815M)가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로터(815) 및 마그넷(M)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마그넷수용부(815M)에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마그넷(M)으로부터 제3 외측면(815a3)까지의 거리와 마그넷(M)으로부터 제4 외측면(815a4)까지의 거리는 동일하게 설정된다.
마찬가지 이유로, 마그넷(M)으로부터 제1 외측면(815a1)까지의 거리와 마그넷(M)으로부터 제2 외측면(815a2)까지의 거리는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육면체 형상의 마그넷(M)과, 마그넷(M)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마그넷수용부(815M)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갖는 마그넷(M)이 적용 가능하며, 마그넷수용부(815M)의 형상도 이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는 마그넷(M)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마그넷수용부(815M)의 개방된 삽입구(815Mh)로 마그넷(M)이 삽입된 후에 삽입구(815Mh)는 마그넷커버(815c)를 통해서 폐쇄된다.
마그넷커버(815c)는 삽입구(815Mh)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마그넷커버(815c)는 강제 압입 등의 방식으로 삽입구(815Mh)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815a)에는 마그넷(M)을 사이에 두고 각각 제1 외측면(815a1)과 제2 외측면(815a2)을 동일한 형상을 갖고 관통하여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1 관통홀(815h1)과 제2 관통홀(815h2)이 형성된다.
플로터(815)가 저장탱크에 설치되면, 제1 관통홀(815h1)과 제2 관통홀(815h2)을 관통하여 가이드바(811c)가 연장되며, 제1 관통홀(815h1)과 제2 관통홀(815h2)을 통해서 플로터(815)가 수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가이드되며, 플로터(815)가 정해진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관통홀(815h1)의 중심으로부터 마그넷(M) 사이의 거리와, 제2 관통홀(815h2)의 중심으로부터 마그넷(M) 사이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몸체부(815a)의 제5 외측면(815a5)으로부터 제1 관통홀(815h1)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제6 외측면(815a6)으로부터 제2 관통홀(815h2)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1 관통홀(815h1)의 위치, 제2 관통홀(815h2)의 위치 및 마그넷(M)의 위치를 설정하면, 마그넷(M)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관통홀(815h1), 제2 관통홀(815h2) 및 마그넷(M)을 좌우 대칭형상 및 상하 대칭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플로터(815)의 설치시에 제1 외측면(815a1)과 제2 외측면(815a2)이 뒤바뀐 상태에서도, 그리고 제5 외측면(815a5)과 제6 외측면(815a6)이 뒤바뀐 상태에서도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조립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관통홀(815h1)과 제2 관통홀(815h2)의 내부에는 각각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내부 리브(815d)가 구비된다.
복수의 내부 리브(815d)는 각각 몸체부(815a)의 제1 외측면(815a1)으로부터 제2 외측면(815a2)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도 7에는 총 8개의 내부 리브(815d)가 각각 제1 관통홀(815h1) 및 제2 관통홀(815h2)에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플로터(815)의 전체 사이즈 및 제1 관통홀(815h1) 및 제2 관통홀(815h2)의 내경(d1)에 따라 개수 및 사이즈가 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815h1) 및 제2 관통홀(815h2)에는 각각 가이드바(811c)가 삽입되어 통과한다.
플로터(815)는 정지 상태에 있는 가이드바(811c)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이드바(811c)의 외측면과 제1 관통홀(815h1)의 내측면, 가이드바(811c)와 제2 관통홀(815h2)의 내측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여 플로터(815)의 원활한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내부 리브(815d)를 통해서 제1 관통홀(815h1) 및 제2 관통홀(815h2)의 유효 내경(d2)을 개별 내부 리브(815d)의 상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의 직경으로 제한함으로써, 제1 관통홀(815h1)의 내주면과 제2 관통홀(815h2)의 내주면이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가이드바(811c)에 대한 접촉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로터(815)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플로터(815)의 원활한 상하방향 이동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815a)의 제1 외측면(815a1) 및 제2 외측면(815a2)에는 각각 직선형상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복수의 외부 리브(815b)가 구비된다.
이때, 복수의 외부 리브(815b)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외부 리브(815b)는 탱크바디(811)의 하측면(811a5)과 몸체부(815a)의 제2 외측면(815a2)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탱크바디(811)의 하측면(811a5)에 플로터(815)가 고착되어 수면에 따라 플로터(815)가 부유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상측면에 해당하는 제1 외측면(815a1)에만 총 6개의 외부 리브(815b)가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하측면에 해당하는 제2 외측면(815a2)에도 대칭이 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의 외부 리브(815b)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로터(815)의 제2 외측면(815a2)에 대응하는 탱크바디(811)의 하측면(811a5)의 위치에는, 플로터(815)가 최저 위치(P1)로 이동된 상태에서 외부 리브(815b)와 접촉하는 복수의 바닥 리브(811d)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 복수의 바닥 리브(811d)는 각각 직선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나, 외부 리브(815b)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외부 리브(815b)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닥 리브(811d)에 관한 상세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탱크하우징(830)의 타측면에는 플로터(815)의 내부에 구비된 마그넷(M)의 위치를 감지하는 플로터센서(SF)가 부착되어 있다.
플로터센서(SF)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하우징(830)에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센서 설치부(834)에 고정된다.
플로터센서(SF)는 수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마그넷(M)의 중심 위치(Cf)를 특정할 수 있도록 마그넷(M)의 최저 위치(P1)와 최고 위치(P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지부(SF1)를 포함하며, 감지부(SF1)의 유효 감지면은 마그넷(M)의 이동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자력의 변화 또는 자성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그넷(M)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플로터센서(SF)의 감지부(SF1)는 자력 또는 자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이 적용 가능한 바, 상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로터(815)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플로터케이스(811b) 등을 저장탱크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저장탱크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이 현저히 절감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플로터(815)가 배치되는 탱크바디(811)의 제2 측면(811a4)에 인접한 위치에는, 플로터(815)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하방향(Z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로터케이스(811b)와 가이드바(811c)가 형성된다.
먼저, 플로터케이스(81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갖고 탱크바디(811)의 본체부(811a)의 하측면(811a5)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본체부(811a)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따라서 플로터케이스(811b)를 탱크바디(8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개로 형성하여 조립하였던 종래기술에 비해서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도 5,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터케이스(811b)는, ㄷ자 형상을 구성하는 메인 플레이트(811b1), 제1 서브플레이트(811b2) 및 제2 서브플레이트(811b3)를 포함한다.
메인 플레이트(811b1)는 탱크바디(811)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플로터(815)가 설치되는 제2 측면(811a4)을 향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1 서브플레이트(811b2)는, 메인 플레이트(811b1)의 전방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박스 형상의 탱크바디(811)의 전방면(811a1)을 향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2 서브플레이트(811b3)는, 메인 플레이트(811b1)의 후방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탱크바디(811)의 후방면(811a2)을 향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때, 메인 플레이트(811b1), 제1 서브플레이트(811b2) 및 제2 서브플레이트(811b3)는 각각 탱크바디(811)의 하측면(811a5)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메인 플레이트(811b1), 제1 서브플레이트(811b2) 및 제2 서브플레이트(811b3)를 포함하는 ㄷ자 형상의 구조 및 탱크바디(811)의 제2 측면을 통해 규정되는 수용공간의 내부에 플로터(815)가 설치되며, 플로터케이스(811b)의 외측공간의 수면의 출렁임 등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면서 플로터(815)의 상하방향 이동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한편, 플로터케이스(811b)와 탱크바디(811)의 제2 측면(811a4)에 의해서 규정되는 수용공간은 플로터케이스(811b)의 외측 공간과 연통될 수 있도록, 플로터케이스(811b)는 탱크바디(811)의 제2 측면(811a4)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플로터(815)를 향하는 메인 플레이트(811b1), 제1 서브플레이트(811b2) 및 제2 서브플레이트(811b3)의 내측면에는 각각 플로터(815)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플로터케이스(811b)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Z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보강 리브(811b4)가 형성된다.
또한, 플로터케이스(811b)와 탱크바디(811)의 제2 측면(811a4)에 의해서 규정되는 수용공간의 내부로서 탱크바디(811)의 하측면(811a5)에는 플로터(815)와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고, 플로터(815)의 최하단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복수의 바닥 리브(811d)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바닥 리브(811d)는 각각 직선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외부 리브(815b)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외부 리브(815b)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마그넷(M)의 중심 위치(Cf)를 기준으로 플로터(815)의 최고 위치(P2)는 후술하는 탱크커버(812)에 형성되는 스토퍼(812d)에 의해서 규정된다.
한편, 가이드바(811c)는 플로터케이스(811b)와 함께 플로터(81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플로터케이스(811b)와 마찬가지로 탱크바디(811)의 본체부(811a)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811c)는 탱크바디(811)의 하측면(811a5)으로부터 상측방향(Z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기둥, 바람직하게는 원기둥으로서 구성된다.
한 쌍의 원기둥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바(811c)는 플로터(815)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관통홀(815h1) 및 제2 관통홀(815h2)에 삽입되어 플로터(815)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플로터(815)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플로터(815) 또는 마그넷(M)의 최고 높이를 설정하는 스토퍼(812d)는, 탱크커버(812)의 평판부(812a)의 하측면(812a4)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812d)는, 일단부가 탱크커버(812)의 평판부(812a)의 하측면(812a4)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플로터(815)의 상측면인 제1 외측면(815a1)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며, 탱크커버(812)의 평판부(812a)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형성 및 제작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바디(811)의 하측면(811a5)으로부터 스토퍼(812d)의 타단부까지는 높이(Hs)는, 탱크바디(811)의 하측면(811a5)으로부터 한 쌍의 가이드바(811c)가 돌출되는 높이와, 전술한 플로터케이스(811b)의 돌출 높이보다는 더 작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플로터(815)는 한 쌍의 가이드바(811c)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되는데, 만약 탱크바디(811)의 하측면(811a5)으로부터 스토퍼(812d)의 타단부까지는 높이(Hs)가 한 쌍의 가이드바(811c)가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높거나 낮게 형성되면, 탱크바디(811)의 내부로 물 보충과정에서 플로터(815)가 가이드바(811c)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탱크바디(811)의 하측면(811a5)으로부터 스토퍼(812d)의 타단부까지는 높이(Hs)를 설정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터(815)가 최저 위치(P1)로부터 상승하여 스토퍼(812d)의 타단부에 접촉하게 되는 최고 위치(P2)에 도달했을 때, 충격이나 진동 등 여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플로터(815)가 한 쌍의 가이드바(811c)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세탁물 건조기 20: 드럼
30: 덕트부 40: 열교환부
50: 구동부 60: 집수부
70: 저수부 80: 급수부
81: 내부급수부 810: 저장탱크
811: 탱크바디 812: 탱크커버
813: 데코커버 816: 손잡이부
815: 플로터 M: 마그넷
SF: 플로터센서 820: 공급펌프
830: 탱크하우징 90: 스팀부
100: 스팀제어부

Claims (23)

  1.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부로 열풍 및 스팀이 공급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스팀부로 공급될 물을 보관하는 저장탱크;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탱크를 수용하는 탱크하우징; 및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보관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로터;
    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외측면과 제2 외측면, 서로 나란하여 형성되며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3 외측면과 제4 외측면, 및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3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5 외측면과 제6 외측면을 구비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가 상기 탱크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외측면은 상기 상하방향으로 상측면이 되고, 상기 제2 외측면은 상기 상하방향으로 하측면이 되도록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 및 상기 제3 간격보다 더 작게 되는 세탁물 건조기.
  2. 제1 항에서,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8배 내지 10배 더 크게 되는 세탁물 건조기.
  3. 제1 항에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1.5배 내지 2.5배 더 크게 되는 세탁물 건조기.
  4. 제1 항에서,
    상기 플로터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매립되는 육면체 형상의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마그넷이 삽입되며, 상기 마그넷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마그넷수용부가 형성되는 세탁물 건조기.
  5. 제4 항에서,
    상기 상하방향으로 상기 마그넷의 높이는, 상기 제1 간격의 0.5 배 내지 0.8배가 되는 세탁물 건조기.
  6. 제4 항에서,
    상기 플로터는,
    상기 제1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면을 상기 상하방향으로 각각 관통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세탁물 건조기.
  7. 제6 항에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사이에 배치되는 세탁물 건조기.
  8. 제7 항에서,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은,
    상기 제5 외측면에 근접해서 형성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6 외측면에 근접해서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마그넷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2 관통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마그넷 사이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되는 세탁물 건조기.
  9. 제8 항에서,
    상기 제5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관통홀의 중심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6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관통홀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되는 세탁물 건조기.
  10. 제6 항에서,
    상기 플로터는,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의 각각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의 복수의 내부 리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
  11. 제10 항에서,
    상기 복수의 내부 리브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고,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세탁물 건조기.
  12. 제11 항에서,
    상기 저장탱크는,
    내부에 상기 물을 보관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박스 형상의 탱크바디; 및
    상기 탱크바디의 개방된 상측면에 결합되는 탱크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바디는,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관통홀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
  13. 제12 항에서,
    상기 탱크바디는,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플로터를 둘러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로터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
  14. 제13 항에서,
    상기 플로터케이스는,
    상기 박스 형상의 탱크바디의 일측면을 향해 형성되는 판상의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전방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박스 형상의 탱크바디의 전방면을 향해 형성되는 판상의 제1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후방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박스 형상의 탱크바디의 후방면을 향해 형성되는 판상의 제2 서브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기 제1 서브플레이트, 상기 제2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탱크바디의 일측면으로 규정되는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플로터가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탁물 건조기.
  15. 제14 항에서,
    상기 제1 서브플레이트와 상기 제2 서브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탱크바디의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어 있는 세탁물 건조기.
  16. 제14 항에서,
    상기 탱크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서,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에 나란한 방향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바닥 리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
  17. 제16 항에서,
    상기 플로터는,
    상기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외측면에 각각 나란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외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외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리브는, 상기 복수의 바닥 리브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탁물 건조기.
  18. 제14 항에서,
    상기 탱크커버는,
    일단부가 상기 탱크커버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플로터의 상기 제1 외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외측면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플로터가 정지되는 세탁물 건조기.
  19. 제18 항에서,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가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작게 되는 세탁물 건조기.
  20. 제19 항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기 제1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서브플레이트는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기 제1 서브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서브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더 작게 되는 세탁물 건조기.
  21. 제18 항에서,
    상기 탱크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제1 간격보다 2.5배 내지 3.5배 더 크게 되는 세탁물 건조기.
  22. 제4 항에서,
    상기 탱크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플로터에 매립된 마그넷의 상하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플로터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터센서는, 상기 마그넷의 최저 위치와 최고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
  23. 제22 항에서,
    상기 플로터센서는, 상기 탱크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탱크하우징의 외측면으로서 상기 마그넷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세탁물 건조기.
KR1020200027380A 2020-03-04 2020-03-04 세탁물 건조기 KR20210112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80A KR20210112169A (ko) 2020-03-04 2020-03-04 세탁물 건조기
EP21159845.3A EP3875671A1 (en) 2020-03-04 2021-03-01 Laundry dryer
CN202110238885.9A CN113355892B (zh) 2020-03-04 2021-03-04 衣物干燥机
US17/192,254 US11959221B2 (en) 2020-03-04 2021-03-04 Laundry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380A KR20210112169A (ko) 2020-03-04 2020-03-04 세탁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69A true KR20210112169A (ko) 2021-09-14

Family

ID=7484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380A KR20210112169A (ko) 2020-03-04 2020-03-04 세탁물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59221B2 (ko)
EP (1) EP3875671A1 (ko)
KR (1) KR20210112169A (ko)
CN (1) CN1133558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169A (ko) *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031A (ko) 2014-12-19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7039A (en) * 1971-03-11 1972-07-18 Mc Graw Edison Co Slant mounted laundry machine
US4879888A (en) * 1988-12-12 1989-11-14 Moshe Suissa Dry cleaning machine
FR2723970B1 (fr) * 1994-08-09 1996-09-20 Ilsa Spa Procede de nettoyage en milieu liquide de pieces d'etoffes ou de vetements et l'application de sa mise en oeuvre
ITTO20010262A1 (it) * 2001-03-20 2002-09-20 Eltek Spa Sistema di ventilazione per elettrodomestici, in particolare macchinedi lavaggio.
KR20050017490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용 증기 세탁 방법
WO2006126803A2 (en) * 2005-05-23 2006-11-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device
KR101216073B1 (ko) * 2005-05-23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US20070151311A1 (en) * 2005-12-30 2007-07-05 Mcallister Karl D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7921578B2 (en) * 2005-12-30 2011-04-12 Whirlpool Corporation Nebulizer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DE102007007354B4 (de) *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KR100830514B1 (ko) *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2367B1 (ko) 2006-12-19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건조기
KR101028259B1 (ko) * 2008-07-17 2011-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EP2163682B1 (en) * 2008-09-12 2013-01-0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me laundry drier
WO2014038847A1 (en) * 2012-09-04 2014-03-13 Lg Electronics Inc. Steam spraying apparatus and clothing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2017530B1 (ko) * 2012-11-22 2019-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프터와 이를 가지는 건조기
EP2818593B1 (en) * 2013-06-25 2021-09-1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water reservoir
EP3124684B1 (en) * 2015-07-27 2021-06-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US10816266B2 (en) * 2018-08-30 2020-10-27 Whirlpool Corporation Low pressure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20210112169A (ko) * 2020-03-04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031A (ko) 2014-12-19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77582A1 (en) 2021-09-09
CN113355892B (zh) 2023-09-22
EP3875671A1 (en) 2021-09-08
CN113355892A (zh) 2021-09-07
US11959221B2 (en)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9263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30014791A (ko) 의류처리장치
JP7401497B2 (ja) 衣類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20230175194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919108A (zh) 衣物处理设备
US12043948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10112169A (ko) 세탁물 건조기
KR10225490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3875672A1 (en) Laundry dryer
KR2021010631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14623A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233991A1 (en) Dehumidification device
KR20210112138A (ko) 세탁물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218466139U (zh) 洗干一体机
CN210801391U (zh) 空调室内机
KR20230081622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