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789A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789A
KR20080107789A KR1020070056025A KR20070056025A KR20080107789A KR 20080107789 A KR20080107789 A KR 20080107789A KR 1020070056025 A KR1020070056025 A KR 1020070056025A KR 20070056025 A KR20070056025 A KR 20070056025A KR 20080107789 A KR20080107789 A KR 20080107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condensate
laundry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692B1 (ko
Inventor
손창우
손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69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을 이용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 발생 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 수용부;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부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고, 습 공기를 배기하는 건조장치;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부; 상기 건조장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라인; 그리고 상기 응축수 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하는 응축수공급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의류처리장치, 응축수, 스팀, 건조기, 세탁기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Landa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팀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스팀발생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에서 물공급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펌프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로 배기식 건조기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로 응축식 건조기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도 4의 구성 요소의 설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행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행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행정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행정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행정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행정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건조행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건조행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20 : 드럼
30 : 프런트 서포터 40 : 리어 서포터
50 : 린트 덕트 60 : 팬
70 : 모터 80 : 배기덕트
90 : 열풍 히터 200 : 스팀발생장치
300 : 물공급부(카트리지) 400 : 펌프
500 : 안전밸브 250 : 노즐
본 발명은 스팀을 이용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 발생 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통상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한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물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의 습 공기를 배기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세탁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이러한 건조기는 또한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의 형태에 따라 나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 타입 건조기와 드럼 타입 건조기가 있다.
상기 캐비닛 타입 건조기는 세탁물이 옷걸이 등을 통해 세탁물 수용부 내부에 걸려 있거나, 선반 등을 통해 뉘여 있게 된다.
상기 드럼 타입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한번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 건조 완료된 세탁물과 같은 세탁물에 존재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 이외에도 의류 등을 통상적으로 보관, 사용하는 경우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등의 통상적 사용, 보관에 따른 구김도 간편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의류 등에 생기는 구김을 방지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 물을 가열할 때 발생 되는 스케일을 최소화하여 히터의 효율 및 제품의 내구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가 외부의 급수전과 연결되지 않고도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을 용이하게 확보하여, 사용자의 수고를 최소화하고 사용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물 수용부;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고, 습 공기를 배기하는 건조장치;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부; 상기 건조장치에서 발생 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라인; 그리고 상기 응축수 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하는 응축수공급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행정과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행정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행정은,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가) 단계;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나) 단계; 그리고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건조행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내의 물을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하는 (다)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행정과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행정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행정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가) 단계;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나) 단계; 그리고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건조행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내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하는 (다)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행정과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행정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행정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가) 단계;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나) 단계; 그리고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건조행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내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부로 공급하는 (다)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내부로 스팀과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전술한 다양한 건조기를 포함한다. 아울러, 이러한 세탁물 수용부 내부로 스팀과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세탁기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세탁기나 건조기를 포함하며, 특히 세탁물 수용부 내부로 스팀과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생기는 구김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령 다림질이 필요하다고 하더라도 다림질의 수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스팀 생성 시 발생 되는 스케일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히터의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물 수용부로 스팀을 제공하는 것은 구김 제거나 구김 완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시 세탁물 수용부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높여 세탁력 향상을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정전기나 냄새 제거 등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아울러 세탁 초기 시 포적심을 원활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프론트 로딩 방식, 가스식, 배기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탑 로딩 방식, 전기식, 응축식 건조기 등 다양한 건조기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물론 세탁기 등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닛(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먼저,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0),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 히터"라 함),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건조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80),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 이는 팬(60) 등도 설치된다. 한편,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는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20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드럼 내부로는 열풍뿐만 아니라 냉풍이 공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열풍 히터(90)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팬(60)만 구동된다면 냉풍이 공급될 것이다. 그러나, 어느 경우나 드럼 내부로는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공기가 공급됨이 바람직하므로 이하에서는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설명의 편의상 건조공기라 한다.
여기서, 상기 드럼은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물 수용부이며, 상기 열풍 히터(90)와 상기 팬(60), 그리고 상기 각종 덕트(44, 80)를 포함하여 건조장치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닛(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베이스(1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 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드럼(20)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세탁물을 뒤집어주어 건조 효율을 높이는 리프트(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럼(20)과 캐비닛(10) 사이, 즉, 드럼(20)과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가 각각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린트 덕트(50)에는 팬(60)의 일측이 연결되며, 팬(60)의 타측은 배기덕트(80)와 연결되며, 배기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팬(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덕트(80), 배기홀(184)을 차례로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된다. 통상 팬(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개구부(42)에 건조덕트(44)가 연결된다. 건조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드럼(20)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건조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90)가 설치된다.
한편, 캐비닛(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200)가 설치된다.
도 3은 도 1에서 스팀 발생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스팀발생장치(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장치(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워터 탱크(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스팀발생장치(2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스팀발생장치(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위센서(260)는 통상 공통전극(262), 저수위전극(264) 및 고수위전극(266)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262)과 고수위전극(264)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262)과 저수위전극(2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장치(20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공급라인(242)이 연결되며, 스팀공급라인(242)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연결되며, 스팀공급라인(242)의 선단부 또는 노즐(25)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는 외부의 급수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공급부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응축수 탱크의 응축수를 상기 스팀발생장치(200)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200)는 응축수 탱크로부터 응축수를 제공받는 응축수공급라인(701)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응축수공급라인(70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 호스(220)에 분지되어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형성된 응축수 유입구(미도시)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장치(200)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크기의 워터 탱크(210)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240)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의 스팀발생장치(200)(이하 편의상 "통가열 방식"이라 함)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스팀발생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소정의 케이스의 둘레 도는 내부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식(이하 편의상 "관가열 방식"이라 함)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가열 방식의 스팀발생장치에서는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유입되어 흐르는 물이 가열되어 스팀으로 전환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발생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장치(2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는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 형태로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물공급부로 물을 채우거나 비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공급부가 외부의 급수전인 수도꼭지일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는 설치가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건조기에서는 통상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도꼭지를 물공급부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이에 부대하는 각종 장치 등이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특히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부(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300)를 사용하여, 물공급부(300)를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물을 채운 물공급부(300)을 스팀발생장치(200)의 물공급 유로 즉 급수호스(220)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대단히 편리하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많은 경우 상기 물공급부(300)로 의류처리장치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응축수가 공급되므로 사용자가 물을 채워야 하는 수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일반 수도물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스케일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응축수가 과잉인 경우, 사용자가 탈착 가능한 물공급부를 통해서 쉽게 응축수를 버릴 수 있어 사용이 대단히 편리하다. 이는 별도의 배수 시설이 없는 공간에 의류처리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물공급부(300)와 스팀발생장치(200)의 사이에는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스팀발생장치(200)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스팀발생장치(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잔수를 회수하는 것은 스팀발생장치 내부의 스케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응축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면 이러한 잔수 회수는 불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정회전만 가능한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펌프는 온/오프 밸브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상기 물공급부(300)와 상기 스팀발생장치(200) 사이의 수주차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중력을 이용하여 물공급부(300)로부터 스팀발생장치(20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온/오프 밸브를 온 시킴으로 물공급부로부터 자동적으로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공급부(30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스팀발생장치(200)는 상기 캐비닛(10)의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필요하다면 상기 펌프(400)를 통하여 물공급부(300)에서 스팀발생장치(200)로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상부에서 물이 공급 및 스팀 배출이 발생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장치(200)의 하부에 물이 공 급되며, 스팀발생장치(200)의 상부에서 스팀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이 스팀발생장치(200)의 잔수를 회수하는데에 유리하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장치(200)는 응축수공급라인(701)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물공급부(300)도 상기 응축수공급라인(70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응축수 탱크에서 응축수공급라인(701)을 통해 스팀 발생을 위한 응축수를 공급하는데, 직접 스팀발생장치(200)에 공급할 수도 있고, 물공급부(3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물론, 양자로 직접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응축수 공급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응축수공급라인(701)에는 밸브(70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를 통해 예를 들어 먼저 스팀발생장치(200)으로 응축수를 공급한 후, 물공급부(300)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먼저 물공급부(300)로 응축수를 공급한 후 스팀발생장치(200)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스팀발생장치(20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공급라인(242)에는 안전밸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팀 유로, 특히 노즐(250)이 막히는 경우 스팀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부(300)(이하 편의상 "카트리지"라 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카트리지(300)는 실질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310)과, 하부 하우징(310)에 탈부착 가능한 상부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300)를 하부 하우징(310) 및 상부 하우징(320)으로 구성하면, 카트리지(300) 내 부에 쌓인 물때 등을 청소하기가 용이하며, 후술하는 필터(330, 340) 및 연수부재(350) 등을 분리하여 청소 또는 재생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부 하우징(320)에는 제1필터(3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하우징(320)의 물 유입부(322)에 제1필터(330)가 설치되어, 카트리지(300)로 물을 공급할 때 1차적으로 물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하우징(310)에는 카트리지(300)의 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개폐부재(도 4 참조, 360)가 구비된다. 개폐부재(360)는 카트리지(300)가 분리된 경우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카트리지(300)가 설치된 경우는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개폐부재(360)에는 물을 여과하는 제2필터(34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필터(340)는 탈부착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필터(330) 및 제2필터(340)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2중으로 여과할 수 있다. 한편, 제1필터(330)는 약 50 메쉬망(mesh net), 제2필터(340)는 약 60메쉬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50 메쉬망은 일정 면적당 메쉬의 개수가 50개인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제1필터(330)의 메쉬를 구성하는 기공의 크기가 제2필터(340)의 기공의 크기보다 커서, 큰 이물질을 제1필터(330)에서 1차적으로 여과하고, 작은 이물질은 제2필터(340)에서 여과하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300)의 내부에는 물을 연수화하는 연수부재(3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연수부재(350)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연수부재(350)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장치(200)에 공급되는 물이 경도가 높은 경우는, 물에 녹아 있는 탄산수소칼슘(Ca(HCO3)2)이 가열되면 석회(탄산칼슘(CaCO3) 등)가 석출되게 되고, 석회에 의하여 히터의 부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유럽 및 미주 지역이 물은 경도가 높은 연수이므로 이러한 현상이 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칼슘, 마그네슘이온 등을 미리 제거하여, 석회(이하 "스케일"이라 함)의 석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온교환수지는 연수를 진행함에 따라서 성능이 저하되므로, 소금(NaCl)으로 재생시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연수화 과정은 2(R-SONa) + Ca2 <-> (R-SO)Ca + 2Na 이며, 재생 과정은 (R-SO)Ca + 2NaCl <-> 2(R-SONa) + CaCl 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필터(330, 340)와 연수부재(35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서는 응축수를 사용하여 스팀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건조행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때 많은 양의 응축수가 발생된다. 이러한 응축수의 양은 통상 스팀 발생을 위해 필요한 물의 양보다 많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물공급부(300)가 외부 급수전을 통해 수돗물을 공급받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돗물을 공급하여야 할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리고, 이러한 응축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발생되므로 실질적으로 증류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응축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면 스케일 발생이 미연에 방지된다. 아울러, 스팀 발생을 위해 수돗물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는 매우 드물 것이므로 이러한 연수부재는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응축수는 전술한 린트필터(52)를 거친 습 공기를 응축하게 되므로, 상기 린트필터(52)를 통해 불순물이 미리 걸려지므로 상기 응축수에는 불순물이 함유될 여지가 매우 적다. 따라서 상기 필터(330, 340)도 필요하다면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펌프(400)는 스팀발생장치(200)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스팀발생장치(200)로 물을 공급하거나, 스팀발생장치(200)의 물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400)는 기어식(Gear Type), 맥동식(Pulsating Type), 다이어프램식(Diaphram Type)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맥동식 및 다이어프램식 펌프에서도 회로의 극성을 순간 순간 변경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서는 사용 가능한 펌프(400)의 일예로써 기어식 펌프(400)를 도시하였다. 기어식 펌프(400)는 케이스(410)의 내부에 한 쌍의 기어(420)가 구비되며, 케이스(410)에는 인입구(430) 및 토출구(414)가 구비된다. 즉, 기어(420)의 회전 방 향에 따라서, 인입구(430)에서 토출구(414) 방향으로 또는 토출구(414)에서 인입구(430) 방향으로 물을 토출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펌프(400)와 스팀발생장치(200)는 물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호스(220)에 의해 연결되며, 펌프(400)에서 공급된 물은 급수호스(220)를 통해 스팀발생장치(200)로 공급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발생장치(200)의 잔수를 회수하기에 용이하도록 스팀발생장치(200)의 하부를 통해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400)와 스팀발생장치(200)를 연결하는 급수호스(220)는 대략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지면서 연결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로 배기식 건조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식 건조기에는 배기되는 습 공기 내의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장치가 구비되지 않는다. 즉, 습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기식 건조기에도 스팀 생성을 위한 물을 마련하기 위하여 응축장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인 드럼(20),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200),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습 공기를 배기하는 건조장치,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 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부(300), 상기 건조장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710), 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라인(242), 그리고 상기 응축수 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하는 응축수공급라인(70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장치(200)는 상기 응축수공급라인(701)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탱크(710)로부터 응축수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응축수공급라인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물공급부(300)와 상기 스팀발생장치(200)로 물, 즉 응축수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70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건조장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60), 공기를 가열시키는 열풍히터(90), 상기 드럼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덕트(44), 상기 드럼 내의 습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덕트(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응축수 생성을 위한 응축장치(72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장치는 습 공기와 외부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721), 그리고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시키고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팬(7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응축장치는 배기되는 습 공기의 온도를 낮춰 응축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응축수는 응축수 탱크(710)에 모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의 구조상 상기 배기덕트(80)의 위치는 통상 드럼(20)의 측방이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응축장치(720)는 상기 배기덕트(8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응축수 탱크(710)는 의류처리장치 의 하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탱크 내에 저장된 응축수를 다른 장치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동력원인 응축수 펌프(7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응축수 펌프는 상기 응축수 탱크 내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하여 상기 물공급부(300)나 상기 스팀발생장치(200)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팬(722)은 습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때 항상 구동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응축장치(720)를 통해 응축수를 생성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 발생을 위한 응축수를 확보하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응축수가 확보된 경우에는 상기 응축팬을 구동하여 응축수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과잉 응축수의 처리, 즉 배수 측면이나 에너지 낭비 측면을 고려하면, 상기 응축팬(722)은 상기 습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때 선택적으로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스팀 생성을 위한 응축수가 부족한 경우에만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일례인 응축식 건조기에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응축식 건조기는 배기식 건조기와 달리 의류처리장치 내에서 공기가 순환된다. 따라서, 배기덕트(44)와 건조덕트(80) 사이에는 공기의 순환을 위한 순환덕트(730)가 더 구비된다. 물론, 상기 순환덕트는 상기 배기덕트(44) 또는 상기 건조덕트(8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응축식 건조기는 드럼 내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항상 응축장치(720)가 구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습 공기가 배기덕트(44)를 통해 드럼 외부로 배출될 때 항상 응축수가 발생된다. 따라서, 응축식 건조기는 전술한 배기식 건 조기 보다는 응축수가 과도하게 발생될 여지가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응축수는 많은 부분 스팀 발생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응축식 건조기에서보다는 응축수를 배출하여야 하는 빈도는 현저히 줄어들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응축수는 상기 물공급부(300)로 공급되기 때문에 배수 시설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은 공간에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과잉 응축수를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할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일 수 있다. 여기서 세탁기는 건조장치를 구비하고, 응축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일 것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외부 급수전을 통한 수돗물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은 상기 응축장치를 통해 응축된 응축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서 세탁기의 구성은 좀 복잡해질 수 있겠으나, 스팀발생장치에 발생되는 스케일 문제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위주로 하는 스팀 라인의 구성 요소의 설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류처리장치의 소정 위치에서 인입/인출이 가능한 서랍형 컨테이너(이하 "드로워(drawer)"라 함)(700)가 설치되고, 드로워(700)에 카트리지(3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트리지(300)를 직접 펌프(400)에 연결하는 것보다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에 장착하고, 드로워(700)를 인입/인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카트리지(300)를 펌프(400)에 결합/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로워(700)이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700)에 카트리지(300)을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드로워(700)를 분리시킴으로서 용이하게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드로워(700)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9)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패널(19)의 후측으로 서포터(820)가 설치된다. 서포터(820)는 탑 프레임(830)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서포터(820) 및 탑 프레임(830)에 드로워(700)를 안내 및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7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드로워 가이드(740)의 상부 일부에 탑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로워 가이드(740)의 상부 및 일측면(의류처리장치의 전면 방향)은 개방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개방부를 통하여 드로워(700)가 인입/인출되게 되며, 펌프(400)는 드로워 가이드(740)에 타측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700)는 건조기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사용의 편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프런트 커버에 컨트롤 패널(19)이 설치되는 건조기를 도시하였으므로, 드로워(700)가 컨트롤 패널(19)에서 인입/인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이 탑 커버에 설치되는 경우는, 드로워(700)를 프런트 커버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트리지(300)를 드로워(700)에서 장착하는 경우는, 카트리지(300)의 최소한 양측면 형상은 드로워(700)의 양측면 형상과 대응하여, 서로 긴밀히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트리지(300)의 탈부착을 위하여 카트리지(300)의 양 측면에는 오목부(301)가 형성되어, 오목부(301)를 이용하여 카트리지(700)를 탈부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을 참조하여, 카트리지(300)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드로워(700)를 인출하면, 카트리지(300)도 같이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드로워(700)에서 카트리지(300)를 탈거한다. 물론, 드로워(700)를 직접 탈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 탈거된 상태의 카트리지(300)에 물 유입부(322)로 물을 공급하여, 카트리지(300)에 물을 채운다. 물이 채워진 상태의 카트리지(300)를 다시 드로워(700)에 장착하고, 드로워(700)를 밀어 넣으면 자동적으로 카트리지(300)의 개폐부재(360)가 펌프(400)에 연결되어, 카트리지(300)의 물이 펌프(400) 방향으로 유출된다. 같은 방법으로 탈거된 상태의 카트리지(300)에서 물을 배수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의 사용 완료 후에는 상술한 내용과 반대로 드로워(700)에서 카트리지(300)를 탈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300)가 상부 하우징(320) 및 하부 하우징(310)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탈거된 카트리지(300)를 청소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카트리지(300)은 상기 드로워(700)에 반드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700)가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가 캐비닛에 착탈된 후 탈거된 드로워를 통해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물을 공급하거나 버리는 것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카트리지(300)는 응축수공급라 인(701)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연결 방식은 상기 카트리지(300)와 상기 펌프(400)과 동일한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카트리지(300) 상부에 홀이나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홀이나 개구부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응축수공급라인의 말단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스팀행정과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스팀행정과 건조행정은 하나의 부수적인 행정, 즉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과 같이 하나의 의류처리코스 내의 행정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수적인 행정 내에서 적어도 일회 수행되거나, 상기 부수적인 행정 내에서 간헐적으로 수행되는 서브 행정일 수도 있다. 물론, 하나의 독자적인 의류처리코스를 의미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스팀행정과 건조행정의 조합 등으로 독자적인 의류처리코스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팀행정은 적어도 스팀을 세탁물 수용부(이하 편의 상 '드럼'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드럼 내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행정은 적어도 건조 공기를 드럼 내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행정은 드럼 내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되, 스팀 생성을 위한 응축수를 준비하는 행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행정은 준비된 응축수를 활용하여 스팀을 드럼 내로 공급하는 행정 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행정과 스팀행정은 별도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의류처리코스 내에서 행정 순서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특정 의류처리코스 내에서는 스팀행정 또는 건조행정만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스팀행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스팀행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스팀행정(S100)이 시작되면, 스팀발생장치(편의상 도면에는 "SG"로 표시함)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내의 수위를 감지한다(S110). 여기서, 물공급부는 소정량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일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물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한다(S120). 즉,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임을 감지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S130). 상기 S120 단계는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된다. 물론, S120 단계의 진행은 상기 S110 단계에서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임을 전제로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임을 전제로 하는 것은 물공급부로부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등의 공회전을 방지하여 펌프 등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가 고려되지 않는다면 상기 물공급부 내에 물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만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 기 스팀발생장치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임을 전제로 하는 것은 스팀발생장치의 히터, 즉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히터의 과열이 문제되지 않는다면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이 공급되는지 여부만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후,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이거나 물이 공급되면,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한다(S140).
한편, 상기 S110 단계에서 물 공급부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응축수 탱크 내의 수위를 감지한다(S150). 여기서, 상기 응축수 탱크는 건조행정 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탱크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응축수 탱크로부터 상기 물공급부로 물을 공급한다(S160). 즉, 응축수를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응축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임을 전제로 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응축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등의 고장 문제를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이러한 문제가 고려되지 않는다면 단순히 응축수 탱크 내에 응축수가 있는지 여부만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사항은 비단 본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고려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응축수 탱크 내에 응축수가 없거나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물 보충을 알리게 된다(S170). 이 경우에는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이 물공급부, 스팀발생장치 내부, 그리고 응축수 탱크 내에 없거나 부족한 경우이다. 즉,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스팀발생을 위한 물이 부족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는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서 매우 드물게 발생될 것이다. 왜냐하면 의류처리장치에서 응축수를 발생시키는 건조행정이 많은 시간 동안 수행되지 않았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물 보충을 알려 스팀발생을 위한 물이 보충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는 상기 물공급부를 통하여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보충되는 물 또한 응축수 내지는 증류수임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물 보충은 매우 드물게 필요할 것이므로 일반적인 수돗물이어도 문제되지 않을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연수장치를 통해서 스케일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스팀행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스팀행정(S200)이 시작되면, 먼저 스팀발생장치 내의 수위를 감지한다(S210).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스팀발생장치를 작동시켜 스팀을 생성하고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한다(S220).
한편, 상기 S210 단계에서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응축수 탱크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30). 여기서, 상기 응축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응축수 탱크로부터 직접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S240).
아울러, 상기 S230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물공급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50). 마찬가 지로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고(S260),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물 보충을 알린다(S270).
본 실시예에서 먼저 스팀발생장치의 수위를 감지한 후(S210), 응축수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230)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스팀발생장치의 수위를 감지한 후(S210), 물공급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물공급부로부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고, 물이 부족하다면 응축수 탱크로부터 상기 물공급부 또는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2는 스팀행정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스팀행정이 시작되면(S300), 먼저 스팀발생장치의 수위를 감지한다(S310). 이 후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 내로 공급하게 된다(S320).
S310 단계에서 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응축수 탱크의 수위를 감지한다(S330). 그리고 응축수 탱크로부터 물공급부로 물을 공급하는데(S340), 이는 상기 물공급부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물공급부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350)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 후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한다(S360).
한편, 상기 S330 단계에서 응축수 탱크 내의 물이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공급 내의 수위를 감지한다(S370). 이 후 물공급부로부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거나(S380), 물 보충이 필요함을 알리게 된다(S390).
전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는 스팀 발생을 위한 응축수가 응축수 탱 크, 물공급부, 그리고 스팀발생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스팀발생장치는 내부에 소정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제 4 내지 제 6 실시예에서의 스팀발생장치는 물이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면서 스팀이 발생되는 형태이다.
도 13은 스팀행정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스팀행정이 시작되면(S400), 먼저 물공급부의 수위를 감지한다(S410). 상기 물공급부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이면,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며 이와 동시에 스팀발생장치를 작동시켜 스팀을 공급한다(S420). 물론, 상기 스팀발생장치를 미리 예열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전부터 상기 스팀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S410 단계 이전에 미리 스팀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S420 단계는 물공급부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만 계속하여 수행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S410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응축수 탱크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S430). 여기서, 설정수위 이상이면 물공급부로 물을 공급하고(S440), 설정 수위 미만이면 물 보충을 알리게 된다(S450). 물론, S430 단계에서 설정수위 이상이면 직접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상기 물 보충을 알리는 것은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응축수 탱크 모두에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이 부족한 경우일 것이다.
도 14는 스팀행정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스팀행정이 시작되면(S500), 먼저 응축수 탱크의 수위를 감지한다(S510). 이 후 설정수위 이상이면 응축수 탱크로부터 물공급부로 물을 공급한다(S520). 여기서 이러한 물 공급은 상기 물공급부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된다. 즉, 물공급부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530)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 후 물공급부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여 스팀을 드럼 내부로 공급한다(S540). 물론,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작동 시점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S510 단계에서 응축수 탱크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물 보충을 알리게 된다(S550). 그러나, 상기 S510 단계에서 응축수 탱크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공급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물공급부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이면 물공급부로부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고, 설정수위 미만이면 물 보충을 알리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스팀행정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스팀행정이 시작되면(600), 먼저 응축수 탱크의 수위를 감지한다(610). 상기 응축수 탱크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이면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여 스팀을 공급하게 된다(S620). 그리고 S610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이면, 물공급부의 수위를 감지한다(S630). S630 단계에서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스팀 발생을 위한 물을 공급하게 된다(S640). 즉, 필요에 따라 응축수 탱크 또는 물공급부로부터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한다.
이 후 상기 물공급부에도 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물 보충을 알리 는 단계(S650)이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건조행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행정은 건조 공기를 드럼으로 공급하기 위한 행정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건조행정은 스팀 발생을 위한 응축수를 준비하는 행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응축수 준비에 대한 사항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건조행정에 대한 제 1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건조행정이 시작되면(S700), 응축수 탱크의 수위를 감지한다(710). 여기서 응축수 탱크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계속해서 건조행정 중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으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수 탱크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응축수를 스팀발생장치로 공급한다(S720). 이러한 응축수의 공급은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730)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들(S705)을 통하여 응축수 탱크와 스팀발생장치에 스팀 발생을 위한 응축수가 준비된다.
한편, 건조행정이 시작되면(S700), 응축수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고(S740), 응축수 탱크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계속해서 건조행정 중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 탱크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물공급부로 응축수를 공급한다(S750). 이러한 응축수의 공급은 상기 물공급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물공급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760)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들(S706)을 통하여 응축수 탱크와 물공급부에 스팀 발생을 위한 응축수가 준비된다.
여기서, 상기 S705 단계와 상기 S706 단계의 순서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결국 S705 단계와 S706 단계가 종료되면, 응축수 탱크, 스팀발생장치, 그리고 물공급부 모두에는 스팀 발생을 위한 응축수로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계들이 모두 종료되면, 사용자에게 물 비움을 알리거나 응축수 발생을 정지하는 단계(S77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건조행정 중에 항상 응축수가 발생된다면 과도한 응축수를 배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물 비움을 알려야 할 것이다. 물론, 배수 수단이 따로 구비되는 경우, 예를 들어 배수 펌프와 배수구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과잉 응축수가 배수되도록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배수 수단이 따로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과잉 응축수를 배수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공급부를 통하여 과잉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고, 아울러, 응축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사용자의 수고는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건조행정 중 선택적으로 응축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면, 이 경우 응축수 발생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과잉 응축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과잉 응축수를 버려야 하는 사용자의 수고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 발생의 정지는 응축장치의 응축팬의 작동을 정지함으로써 쉽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달리, S705 단계는 생략하고 S706 단계 수행 후 바로 S77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별도로 스팀발생장치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단계들을 거쳐 결국 스팀 생성을 위한 응축수가 응축수 탱크와 물공급부에 준비된다.
이러한, 예는 응축수 탱크, 물공급부, 그리고 스팀발생장치 모두에 응축수를 준비하는 것이 불필요한 경우에 유용할 것이다. 즉, 소비되는 응축수에 비하여 준비되는 응축수가 과도하다면 굳이 스팀발생장치로 응축수를 모아 둘 필요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내부에 물이 유입되면서 스팀이 발생되는 타입이라면 내부에 물을 저장해 둘 공간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스팀발생장치가 적용된다면, 이 경우에도 스팀발생장치에 응축수를 모아두는 단계는 생략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7은 건조행정에 대한 제 2 실시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행정이 시작되면(S800), 먼저 물공급부의 수위를 감지한다(S810). 이 후, 물공급부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응축수 탱크의 수위를 감지한다(S820). 여기서 응축수 탱크 내의 수위도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물 비울 것을 알리거나 응축수 발생을 정지시키게 된다(S830).
한편, S810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응축수 탱크로부터 응축수를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하게 된다(S850). 물론, 이 경우 먼저 응축수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840)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물공급부에 충분한 양의 응축수를 모아두고, 이 후 응축수 탱크에 응축수를 채우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물공급부와 응축수 탱크에는 스팀 발생을 위한 응축수가 충분히 준비된다. 그리고, 과잉 응축수가 발생되는 경우 응축수를 비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응축수 발생을 정지시켜 사전에 과잉 응축수 발생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장치로 응축수를 모아두는 사항은 도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팀발생장치의 형태에 따라서 이러한 사항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응축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응축수를 준비하고 이를 활용하는 다양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 사상은 당업자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완료된 세탁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의 살균 및 냄새 제거를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팀 발생을 위하여 응축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케일로 인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의류처 리장치의 신뢰성 및 내구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에 탈착 가능한 물공급부를 통하여 필요시 물을 버리거나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수고를 최소화하고 사용이 편리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공급부가 캐비닛 상측에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구부려서 물공급부로 접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2)

  1. 세탁물 수용부;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부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고, 습 공기를 배기하는 건조장치;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부;
    상기 건조장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상기 스팀을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공급라인; 그리고
    상기 응축수 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하는 응축수공급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응축수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탱크로부터 응축수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공급라인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공급라인에는 응축수를 펌핑하기 위한 응축수 펌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에 저장된 물은 펌프에 의해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탁물 수용부는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장착되고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드로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드로워 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드로워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공기를 가열시키는 열풍 히터;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덕트;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의 습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어 습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켜 상기 응축수 탱크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장치는,
    상기 습 공기와 외부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그리고
    외부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시키고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팬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팬은 상기 습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때, 스팀 생성을 위한 응축수가 부족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덕트;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의 습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덕트;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건조덕트를 연결시키는 순환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 또는 상기 순환덕트에 구비되어 습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켜 상기 응축수 탱크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탱크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행정과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행정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행정은,
    (가)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나)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다)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건조행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내의 물을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라)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마) 상기 (라) 단계에서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라)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가)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바) 상기 (다)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물공급부로 물 보충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5.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행정과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행정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행정은,
    (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나)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다)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건조행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내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라) 상기 (다)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마) 상기 (라) 단계에서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물공급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바) 상기 (라)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물공급부로 물 보충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9.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행정과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행정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행정은,
    (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나)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세탁물 수용부 내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다) 상기 (가)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건조행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내의 물을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라) 상기 (다)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탱크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마) 상기 (라) 단계에서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물공급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바) 상기 (라) 단계에서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물공급부로 물 보충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056025A 2007-06-08 2007-06-08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6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025A KR100964692B1 (ko) 2007-06-08 2007-06-08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025A KR100964692B1 (ko) 2007-06-08 2007-06-08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789A true KR20080107789A (ko) 2008-12-11
KR100964692B1 KR100964692B1 (ko) 2010-06-21

Family

ID=4036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025A KR100964692B1 (ko) 2007-06-08 2007-06-08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6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386B1 (ko) * 2009-01-09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0478B1 (ko) * 2008-04-01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86382B1 (ko) * 2011-09-08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64196A (ko) * 2020-11-11 2022-05-18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64195A (ko) * 2020-11-11 2022-05-18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5797A1 (en) * 2003-04-24 2004-1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lass-based content transfer between devices
KR100595263B1 (ko) * 2004-11-10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장치의 리프레쉬 모드 제어 방법
KR101235193B1 (ko) * 2005-06-13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4598649B2 (ja) 2005-10-20 2010-12-1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乾燥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478B1 (ko) * 2008-04-01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012386B1 (ko) * 2009-01-09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94072B2 (en) 2009-01-09 2015-11-24 Lg Electronics Inc.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86382B1 (ko) * 2011-09-08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064196A (ko) * 2020-11-11 2022-05-18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064195A (ko) * 2020-11-11 2022-05-18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692B1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732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er
KR101253180B1 (ko) 스팀건조기
KR101341461B1 (ko) 스팀 건조기
EP1932963B1 (en) Laundry machine
US20080168679A1 (en)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98132B1 (ko) 건조기
KR100964692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8010778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U2008200122B2 (en)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98133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341463B1 (ko) 스팀건조기
KR2009008332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8010778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87474B1 (ko) 스팀 건조기
KR100698134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1460B1 (ko) 스팀건조기
KR100271169B1 (ko)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KR101342366B1 (ko) 스팀 건조기
KR100698224B1 (ko) 건조기
KR20080029336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5608607B2 (ja) 洗濯乾燥機
KR100698222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08528B1 (ko) 의류 처리 장치
JP3939280B2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