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336A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336A
KR20080029336A KR1020060095259A KR20060095259A KR20080029336A KR 20080029336 A KR20080029336 A KR 20080029336A KR 1020060095259 A KR1020060095259 A KR 1020060095259A KR 20060095259 A KR20060095259 A KR 20060095259A KR 20080029336 A KR20080029336 A KR 20080029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generant
cartridge
dryer
io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훈
최철진
김동현
손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9336A/ko
Publication of KR2008002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80Automatic regeneration
    • B01J49/85Controlling or regulat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팀을 만드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물을 연수화하는 이온교환수지와, 상기 이온교환수지 재생을 위한 재생제를 수용하며 상기 카트리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재생제 수용장치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60095259
건조기, 스팀발생기, 카트리지, 재생

Description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팀 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팀발생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물공급원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수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도 7의 재생제 수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7의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실시예의 제어 구성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넷 20 : 드럼
30 : 프런트 서포터 40 : 리어 서포터
50 : 린트 덕트 60 : 블로워 유닛
70 : 모터 80 : 배기 덕트
90 : 열풍 히터 200 : 스팀발생기
300 : 물공급원(카트리지) 400 : 펌프
482, 484 : 밸브 900 : 재생제 수용장치
950 : 가열부 400a : 보조펌프
본 발명은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의류 등에 생기는 주름 또는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블로워 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 즉 가열수단에 따라 전기식 건조기 및 가스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전기식 건조기는 공기를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가 열하며, 가스식 건조기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한다. 건조기를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피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피건조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에는 세탁 완료되어 탈수된 세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게 된다. 그런데, 물세탁의 원리상 물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에는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구김은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에서 건조 완료된 세탁물과 같은 피건조물에 존재하는 구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림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 완료 후의 세탁물 이외에도 의류 등을 통상적으로 보관,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름, 구김, 접힘 등(이하 총칭하여 "구김"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등의 통상적 사용, 보관에 따른 구김도 간편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등에 생기는 구김을 방지 및/또는 제거할 수 있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온교환수지를 편리하게 재생할 수 있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팀을 만드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물을 연수화하는 이온교환수지와; 상기 이온교환수지 재생을 위한 재생제를 수용하며, 상기 카트리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재생제 수용장치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건조기는 상기 카트리지의 물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펌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재생제 수용장치는 재생제를 수용하는 재생제 수용부와, 상기 재생제 수용부와 연통하며 증류수를 수용하는 증류수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고, 상기 재생제 수용부의 하부 및 상부는 각각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증류수 수용부와 연통하며, 상기 증류수 수용부는 상기 카트리지와 연통되어 상기 증류수를 선택적으로 상기 카트리지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제 수용부의 출구단에는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증류수를 만들기 위하여 재생제가 포함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재생제 수용장치와 상기 카트리지 사이에는 보조펌프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기의 입구 전방에는 상기 스팀발생기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재생제 수용장치의 전단에는 상기 재생제 수용장치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건조기는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석회 성분을 감지하는 석회감지센서와, 상기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염분을 감지하는 염분센서 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지시하는 재생운전지시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재생되면, 상기 재생제에 포함된 물을 증류하는 증류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생기는 구김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온교환수지를 편리하게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탑 로딩 방식, 전기식, 응축식 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런트 로딩 방식, 가스식, 응축식 건조기 등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20), 상기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 및 벨트(68)가 설치된다. 그리고,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공기(이하 "열풍"이라 함)을 만드는 히터(90)(이하 편의상 "열풍 히터"라 함), 상기 열풍 히터(90)에서 생성된 열풍을 드럼(20)에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덕트(44)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20)에서 피건조물과 열교환된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80), 상기 다습한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 유닛(60) 등도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모터(70)와 벨트(68)를 이용하여 드럼(20)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도시 및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드럼(20)의 후면에 모터가 직결되어 드럼(20)을 직접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Direct Drive Typ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비넷(10)은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14)와, 상기 측면 커버(14)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 커버(16) 및 리어 커 버(18), 상기 측면 커버(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탑 커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는 컨트롤 패널(19)은 통상 탑 커버(17) 또는 프런트 커버(16)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164)는 프런트 커버(16)에 설치된다. 리어 커버(18)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부(182)와,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최종 통로인 배기홀(184)이 구비된다.
드럼(20)의 내부 공간은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 챔버 기능을 하며, 상기 드럼(20)의 내부에는 피건조물을 끌고 올라가 낙하시켜 피건조물을 뒤집어 주어 건조 효율을 높이는 리프트(2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럼(20)과 캐비넷(10)의 사이 즉, 드럼(20)과 프런트 커버(16)의 사이에는 프런트 서포터(30)가 설치되며, 드럼(20)과 리어 커버(18))의 사이에는 리어 서포터(40)가 설치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의 사이에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런트 서포터(30) 및 리어 서포터(40)와 드럼(20) 사이에는 각각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즉, 프런트 서포터(30)와 리어 서포터(40)는 상기 드럼(2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드럼(2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을 건조기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도어(16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프런트 서포터(30)에는 드럼(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린트 덕트(50)가 연결되며,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린트 필터(52)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 덕트(50)에는 블로워 유닛(60)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블로워 유닛(60)의 타측은 배기 덕 트(80)와 연결되며, 상기 배기 덕트(80)는 리어 커버(18)에 구비되는 배기홀(184)과 연통된다. 따라서, 블로워 유닛(60)이 작동하면, 드럼(20) 내부의 공기는 린트 덕트(50), 배기 덕트(80), 배기홀(18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린트 필터(52)에서 여과되게 된다. 통상 상기 블로워 유닛(60)은 블로워(62)와 블로워 하우징(64)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로워(64)는 드럼(20)을 구동시키는 모터(7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어 서포터(40)에는 통상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42)에 열풍공급덕트(44)가 연결된다. 상기 열풍공급덕트(44)는 드럼(20)과 연통하여 상기 드럼(20)에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덕트(44)의 소정 위치에는 열풍 히터(90)가 설치된다.
한편, 캐비넷(10)의 소정 위치에는 스팀을 발생시켜 드럼(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기(200)가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스팀발생기(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탱크(210)와, 상기 워터 탱크(210) 내부에 장착되는 히터(240)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260)와,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위센서(260)은 통상 공통전극(262), 저수위전극(264) 및 고수위전극(266)으로 구성되어, 공통전극(262)과 고수위전극(264)의 통전 또는 공통전극(262)과 저수위전극(266)의 통전 여부에 의하여 고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한다.
스팀발생기(200)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호스(220)가 연결되며, 타 측에는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호스(230)가 연결되며, 상기 스팀 호스(230)의 선단에는 소정 형상의 노즐(2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급수 호스(220)의 일단은 수도꼭지와 같은 외부 물 공급원과 연결되며, 스팀 호스(230)의 선단부 또는 노즐(25) 즉 스팀 토출구는 드럼(20)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어, 드럼(2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크기의 워터 탱크(210)에 수용된 일정량의 물을 히터(240)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의 스팀발생기(200)(이하 편의상 "통가열 방식"이라 함)를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팀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스팀발생기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통과하는 급수 호스의 둘레에 직접 히터를 설치하여 즉 물을 소정 공간에 수용하지 않고 가열하는 방식(이하 편의상 "관가열 방식"이라 함)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이 탈부착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공급원이 수도꼭지일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설치가 복잡하다. 왜냐하면, 건조기에서는 통상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도꼭지를 물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부대하하는 각종 장치 등이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Detachable Water Supply Source)(300)을 사용하여, 상기 물공급원(300) 을 분리하여 물을 공급하고, 물을 채운 물공급원(300)을 스팀발생기(200)의 물공급 유로 즉 급수 호스(220)에 연결하면 대단히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원(300)과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사이에는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400)는 정역회전 가능하여, 스팀발생기(200)로 물 공급 및 필요에 따라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펌프(400)를 사용하지 않고 물공급원(300)과 스팀발생기(200) 사이의 수주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팀발생기(200)에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통상 건조기의 각종 부품 등은 규격품이며 콤팩트하게 설계되므로 구조적 공간의 절대로 부족하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품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으면 수주차를 이용한 급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형의 펌프(400)를 사용하면, 종래의 건조기의 각종 부픔의 크기를 변경하기 않고도 스팀발생기(200)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펌프(400)를 이용하는 것이 대단히 유용하다. 그리고,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 이유는 스팀발생기(200)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잔수에 의하여 히터가 손상되거나, 차후에 부패한 물이 사용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물이 공급 및 스팀 배출이 발생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하부에 물이 공급되며, 상기 스팀발생기(200)의 상부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이 스팀발생기(200)의 잔수를 회수하는데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기(200)에서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 유로 즉 스팀 호스(230)에는 안전밸 브(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탈부착 가능한 물공급원(300)(이하 편의상 "카트리지"라 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카트리지(300)는 실질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310)과, 상기 하부 하우징(310)에 탈부착 가능한 상부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트리지(300)를 하부 하우징(310) 및 상부 하우징(320)으로 구성하면, 카트리지(300) 내부에 쌓인 물때 등을 청소하기가 용이하며, 필터(330, 340) 및 연수부재(350) 등을 분리하여 청소 또는 재생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부 하우징(320)에는 제1필터(3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하우징(320)의 물 유입부에 제1필터(330)가 설치되어, 카트리지(300)로 물을 공급할 때 1차적으로 물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하우징(310)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물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개폐부재(360)가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300)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상기 카트리지(300)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3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60)에는 물을 여과하는 제2필터(34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필터(340)는 탈부착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필터(330) 및 제2필터(340)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물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2중으로 여과할 수 있다. 제1필터(330)는 약 50 메쉬망(mesh net), 제2필터(340)는 약 60메쉬망을 사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50 메쉬망은 일정 면적당 메쉬의 개수가 50개인 것을 의미하여, 따라서 제1필터(330)의 메쉬의 구성하는 기공의 크기가 제2필터(340)의 기공의 크기보다 커서, 큰 이물질을 제1필터(330)에서 1차적으로 여과하고, 작은 이물질은 제2필터(340)에서 여과하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300)의 내부에는 물을 연수화하는 연수부재(350)가 더욱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수부재(350)는 탈부착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수부재(350)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352)과, 상기 하부 하우징(352)에 탈부착 가능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3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353) 및 하부 하우징(352)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충진되는 이온교환수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수부재(350)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스팀발생기(200)에 공급되는 물이 경도가 높은 경우에는, 물에 녹아 있는 탄산수소칼슘(Ca(HCO3)2)이 가열되면 석회(탄산칼슘(CaCO3) 등)가 석출되게 되고, 석회에 의하여 히터의 부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유럽 및 미주 지역이 물은 경도가 높은 연수이므로 이러한 현상이 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칼슘, 마그네슘이온 등을 미리 제거하여, 석회의 석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온교환수지는 연수화 과정이 진행함에 따라서 성능이 저하되므로,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켜 상기 이혼교환수지를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교환수지 는 이온교환수지 재생제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온교환수지 재생제의 일 예로서는 석회질 분해제 예를 들어 소금(NaCl)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재생재로서 소금(NaCl)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연수화 과정은 2(R-SONa) + Ca2 <-> (R-SO)Ca + 2Na 이다. 그리고, 석회질 분해제의 일예로서 소금(NaCl)을 이용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과정은 (R-SO)Ca + 2NaCl <-> 2(R-SONa) + CaCl 이다.
한편, 연수부재(350)를 가지는 카트리지(300)에 소금을 공급하여 상기 연수부재(350)를 재생하는 경우에 재생이 완료되면, 재생 후 상기 카트리지(300)에 남은 소금물을 그대로 스팀발생기(200)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를 적절히 처리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소금물을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구성하면,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 마다 소금의 투입 및 소금물의 배출을 하여야 하므로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소금물에서 물을 분리하여 다시 사용하면 편리하다. 이를 위한 구조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온교환수지(연수부재)(350) 재생을 위한 재생제를 수용하는 재생제 수용장치(900)가 카트리지(3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즉, 스팀발생기(200)의 입구측 근방에서 바이패스유로(480)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유로(480) 상에 재생제 수용장치(9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재생제 수용장치(900)가 선택적으로 카트리지(300)에 연결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건조기의 통상 운전 중에는 재생제 수용장치(900)가 카트리지(300)에 연결될 필요가 없으며, 이온교환수지 재생모드에서만 연결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팀발생기(200)의 입구측에는 제1밸브(482)가 구비되며 전방의 바이패스유로(480) 상에는 제2밸브(484)가 구비되어, 카트리지(300)의 물이 선택으로 스팀발생기(200) 또는 재생제 수용장치(900)로 흐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밸브(482) 및 제2밸브(484)는 제어의 편의성을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재생제 수용장치(9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생제 수용장치(900)는 단순히 소금과 같은 재생제를 수용하여 선택적으로 재생제를 카트리지(300)에 공급할 수도 있지만, 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소금물에서 물을 분리하여 다시 카트리지(3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렇게 하면,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시마다 소금의 투입과 소금물의 외부 배출을 하는 과정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재생제 수용장치(900)는 재생제를 수용하는 재생제 수용부(912)와, 상기 재생제 수용부(912)와 연통하며 증류수를 수용하는 증류수 수용부(9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재생제 수용부(912)는 전방 바이패스유로(480) 및 후방 바이패스유로(480b)와 연통하며, 내부에는 재생제 예를 들어 소금(911)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재생제 수용부(912)의 상부는 증류수 수용부(914)와 연통하여, 히터와 같은 가열부(950)에 의하여 증발된 수증기가 물로 되어 상기 증류수 수용부(914)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된 수증기를 물로 만들기 위하여 팬(미도시)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생제 수용부(912) 및 증류수 수용부(914)의 형상은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재생제 수용부(912)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이며, 상기 증류수 수용부(914)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부(914a)와 상기 원통형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원뿔형부(914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류수 수용부(914)의 원통형부(914a)의 직경은 재생제 수용부(912)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증류수 수용부(914)는 카트리지(300)와 연통되는데, 이때 별도의 보조유로(480c)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집된 증류수를 상기 카트리지(300)에 공급하기 위하여 보조 펌프(4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유로(480c)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후방의 바이패스유로(480b) 상의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재생제 수용부(912)의 출구단에는 역류방지밸브(489)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교환수지와 같은 연수부재(350)를 카트리지(300)의 내부에 구비하지 않고 별도로 스팀발생기(200)로의 유로 상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연수부재(350)를 감싸며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미도시)이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시점의 파악 및 재생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할 수도 있지만, 자동으로 이를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러한 제어 구성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제어 구성의 일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600)의 입력단에는 석회를 감지하는 석회감지센서(962)와, 염분의 농도를 감지하는 염분센서(960)와,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운전을 지시하는 재생운전지시부(620)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600)의 출력단에는 밸브류(482, 484), 재생 경보부(630), 가열부(950) 및 펌프류(400, 400a)가 연결된다.
한편, 제어부(600)는 자동적으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시점 및 완료 시점을 감지하여, 밸브류(482, 484), 펌프류(400, 400a) 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하여 재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어부(600)는 재생경보부(630) 예를 들어 경보음 발생, 경보등 점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이욘교환수지를 재생하라는 경보를 발하고 사용자가 재생운전지시부(620)를 선택하면 재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600)에 의한 자동 재생 작용을 설명한다.
통상적인 건조기의 동작에서는 스팀발생기(200)로의 유로는 열리고 바이패스유로(480)는 닫히게 되어, 카트리지(300)의 물이 스팀발생기(200)에 공급된다.
한편, 석회감지센서(962)가 소정량 이상의 석회를 감지하면, 제어부(600)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스팀발생기(200)로의 밸브를 적절히 제어하여 상기 스팀발생기(200)로의 물의 공급을 차단한다. 밸브의 제어방법은 여러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밸브(482)는 평상시 열려있는 밸브 형식(Normal On)을 사용하고, 제2밸브(484)는 평상시 닫혀 있는 밸브 형식(Normal Off)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팀발생기(200)로의 물 공급은 건조기의 동작시 일상적으로 행해져야 하고, 외부로의 물 배출은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의 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어부(600)는 제1밸브(482)를 닫고 제2밸브(484)를 열고 펌프(400)를 동작 시켜 카트리지(300)의 물을 스팀발생기(200)로 보내지 않고 재생제 수용장치(900)로 보낸다. 한편, 밸브의 형식이 달라지면 이에 맞추어 밸브를 적절히 제어하면 된다. 예를 들어, 밸브가 모두 평상시 닫혀 있는 형식이면, 건조기의 통상 운전 모드에서는 제1밸브(482)를 열고 제2밸브(484)는 닫으면 되고, 반대로 이온교환수지 재생모드에는 상기 제1밸브(482)는 닫고 상기 제2밸브(484)를 열면 된다.
바이패스유로(480)가 열리면 카트리지(300)의 물은 재생제 수용장치(900)의 재생제 수용부(912)로 공급된다. 재생제 수용부(912)에 수용된 소금이 물에 의하여 소금물이 되고, 상기 소금물은 카트리지(300)에 공급되어,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수행된다. 즉, 카트리지(300)의 물이 재생제 수용장치(900)를 통하여 순환하면서 상기 카트리지(300)의 이온교환수지가 재생되게 된다.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완료되면 소금물에 포함된 물만을 분리하여 다시 카트리지(300)로 공급하게 된다.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의 완료 시점은 염분센서(960)를 이용하여, 염분의 농도가 소정치가 되면 재생 완료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600)에 미리 소정 시간을 기억하고 재생시작 시점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를 재생 완료로 판단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300)의 물이 순환하면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완료되면, 가열부(950)를 작동시켜 소금물을 증발시킨다. 즉, 가열부(950)가 작동되면 소금물 중의 물이 증발되고, 증발된 물 즉 증류수는 원뿔형부(914b)에서 원통형부(914a)에 모이게 된다. 소정량의 증류수가 모이게 되면 가열부(950)를 정지시키고 보조펌프(400)를 동작시켜 증류수 수용부(914)에 수집된 물을 다시 카트리지(300)로 공급한다. 이때, 역류방지밸브(489)에 의하여 증류수 수용부(914)의 증류수가 재생제 수용부(91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가열부(950), 펌프(400) 및 보조펌프(40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600)에서 자동적으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등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600)가 재생경보부(630)를 작동시켜 경보음 등을 통하여,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시점을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준다. 이때 사용자가 재생운전지시부(620)를 선택하면 재생운전이 수행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의류의 종류 예를 들어 옷감의 종류, 흡습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구김 제거 및 방지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피건조물의 일 예로써 세탁기에서 탈수 완료된 세탁물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루 정도 입은 의류 즉 이미 건조된 상태이며 구김이 적은 의류를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에서 구김을 제거할 수 있으면, 이러한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즉, 일종의 구김제거장치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완료된 피건조물에 구김 또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물의 살균 및 냄세 제거를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된 상태의 의류에 있는 구김 또는 주름도 별도의 다림질없이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연수부재의 재생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드럼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팀을 만드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물을 연수화하는 이온교환수지와;
    상기 이온교환수지 재생을 위한 재생제를 수용하며, 상기 카트리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재생제 수용장치를 포함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상기 카트리지의 물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펌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 수용장치는 재생제를 수용하는 재생제 수용부와, 상기 재생제 수용부와 연통하며 증류수를 수용하는 증류수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 수용부의 하부 및 상부는 각각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증류수 수용부와 연통하며, 상기 증류수 수용부는 상기 카트리지와 연통되어 상기 증류수를 선택적으로 상기 카트리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 수용부의 출구단에는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수를 만들기 위하여 재생제가 포함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 수용장치와 상기 카트리지 사이에는 보조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로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석회 성분을 감지하는 석회감지센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염분을 감지하는 염분센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지시하는 재생운전지시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의 입구 전방 에는 상기 스팀발생기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재생제 수용장치의 전단에는 상기 재생제 수용장치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카트리지에 이온교환수지 재생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상기 이온교환수지가 재생되면, 상기 재생제에 포함된 물을 증류하는 증류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20060095259A 2006-09-29 2006-09-29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29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59A KR20080029336A (ko) 2006-09-29 2006-09-29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59A KR20080029336A (ko) 2006-09-29 2006-09-29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336A true KR20080029336A (ko) 2008-04-03

Family

ID=3953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259A KR20080029336A (ko) 2006-09-29 2006-09-29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93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3414B2 (en) 2006-07-18 2015-03-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124292A (ko) * 2017-05-11 2018-11-21 (주) 엔피홀딩스 스팀생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3414B2 (en) 2006-07-18 2015-03-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124292A (ko) * 2017-05-11 2018-11-21 (주) 엔피홀딩스 스팀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461B1 (ko) 스팀 건조기
KR101253180B1 (ko) 스팀건조기
KR100830514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98132B1 (ko) 건조기
KR10073570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5318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6561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921459B1 (ko) 스팀 건조기
KR100698133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341463B1 (ko) 스팀건조기
KR100964692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774219B1 (ko) 건조기
KR100698134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29336A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1460B1 (ko) 스팀건조기
KR101387474B1 (ko) 스팀 건조기
KR2009008332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755863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1464B1 (ko) 스팀건조기
KR101342366B1 (ko) 스팀 건조기
KR100698224B1 (ko) 건조기
KR101208528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698222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13056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08529B1 (ko) 의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