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648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648B1
KR102254648B1 KR1020190031427A KR20190031427A KR102254648B1 KR 102254648 B1 KR102254648 B1 KR 102254648B1 KR 1020190031427 A KR1020190031427 A KR 1020190031427A KR 20190031427 A KR20190031427 A KR 20190031427A KR 102254648 B1 KR102254648 B1 KR 102254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air conditioner
grill frame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569A (ko
Inventor
김학재
김도형
윤형욱
이은순
조정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64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24F1/009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with additional radiant heat-discharging elements, e.g. electric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는 샤시와; 샤시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이너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에 설치되어 공기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모듈와; 이너 공간에 수용된 송풍팬을 포함하고,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외면에 배치되고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된 그릴 프레임을 포함하고, 센서 모듈은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그릴 프레임은 센서 모듈과 대향되는 영역 중 홈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 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센싱 모듈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 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실내기는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며, 상기 벽걸이형 실내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타입의 실내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공기조화기는 소정 공간을 냉방시키는 냉방기와, 소정 공간을 난방시키는 난방기와, 소정 공간을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냉난방기와, 소정 공간 내 공기를 청정시키는 청정기 등일 수 있고,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기능은 공기조화기 내부에 설치된 공조유닛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할 수 있고,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전기 히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 히터로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난방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상태(예를 들면, 공기의 온도나 습도)를 센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공기조화기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센서에서 센싱된 온도나 습도 등의 정보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인자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센서의 일예는 공기조화기에 내장된 열교환기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상태를 센싱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공기가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흡입부나 흡입부와 열교환기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센서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너무 근접할 경우, 열교환기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고, 실제 공기조화기가 센싱하고자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센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센서는 공기조화기의 외면에 노출되거나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 센서가 손상되거나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센서 모듈이 실내 공간의 공기 상태를 신뢰성 높게 센싱할 수 있고, 센서 모듈의 마모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센서 모듈이 최대한 보이지 않고, 외관의 고급화가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샤시와; 상기 샤시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이너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공기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모듈와; 상기 이너 공간에 수용된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면에 배치되고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된 그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그릴 프레임은 상기 센서 모듈과 대향되는 영역 중 상기 홈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 홀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 모듈이 케이스 본체와 그릴 프레임 사이에 수용되어, 케이스 본체 및 그릴 프레임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센서 모듈이 실내 공간의 공기 상태를 신뢰성 높게 센싱할 수 있으며, 센서 모듈의 마모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에어 홀 주변에서 상기 에어 홀이 최대한 보이지 않게 가릴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외관이 고급화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와 상기 그릴 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의해 상기 이너 공간과 구획되고 상기 센서 모듈이 수용되는 센서 모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그릴 프레임은 상기 함몰부를 덮을 수 있으며, 상기 센서 모듈 공간은 상기 함몰부와 그릴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과 하단 중 하단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의 전후 방향 폭은 상기 홈부의 전후 방향 폭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에어 홀은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일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상기 돌출부와 홈부가 전후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인접한 한 쌍의 돌출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에어 홀의 상하 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에어 홀의 크기는 상기 센서 모듈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에어 홀은 상기 그릴 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공기가 상기 이너 공간으로 흡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이너 공간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와 토출부는 상기 그릴 프레임의 좌측 바디와 우측 바디 이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은 상기 그릴 프레임의 좌측 바디와 우측 바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흡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거나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은 상기 그릴 프레임에 좌우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은 프론트 바디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바디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되고 하부 토출부가 형성된 로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홀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잇다.
상기 에어 홀의 높이는 상기 하부 토출부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공기조화기를 볼 때, 에어 홀 및 센서 모듈이 돌출부에 의해 최대한 가려질 수 있어 외관의 고급화가 가능하다.
또한, 에어 홀이 그릴 프레임 중 센서 모듈과 대향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센서 모듈이 에어 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상태를 신속하게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와 그릴 프레임이 센서 모듈을 보호할 수 있어, 센서 모듈의 마모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와 그릴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센서 모듈 공간에 센서 모듈이 수용되고, 센서 모듈 공간이 이너 공간과 구획되므로, 센서 모듈에 의해 센싱된 센싱값이 이너 공간를 통과하는 공기에 영향받지 않고, 센서 모듈에 의해 센싱된 센싱값의 신뢰성이 높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주변 이물질이 돌출부에 막혀 에어 홀로 흡입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이물질이 에어 홀을 막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센서 모듈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토출부로 토출된 공기가 에어 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센서 모듈에 의해 센싱된 센싱값의 신뢰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및 전면 패널이 샤시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공기조화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1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2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3위치일 때의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요철부가 확대 도시된 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그릴 프레임이 분리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C-C'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및 전면 패널이 샤시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공기조화기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1위치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2위치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패널이 제3위치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10)는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샤시(30) 및 케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설치 플레이트(20)에 의해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20)는 공기조화기(10)를 벽(W)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20)는 벽(W)에 결합될 수 있고, 샤시(30)는 설치 플레이트(20)에 거치될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20)는 얇은 판상의 형상일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20)는 샤시(30)의 후면에 결합되는 중앙부 및 중앙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샤시(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양측부가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샤시(3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샤시(30)와 케이스(100)의 사이에는 송풍팬(40)이 수용될 수 있다. 샤시(30) 및 케이스(100)의 사이에는 이너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고, 송풍팬(40)은 이너 공간(S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샤시(30)는 설치 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결합부(31) 및 플레이트 결합부(31)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송풍팬(4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리어 가이드(3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결합부(31)는 얇은 판상의 형상일 수 있다.
리어 가이드(33)는 송풍팬(40)에서 토출된 기류를 토출부 측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송풍팬(40)는 횡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횡류팬은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송풍팬(40)의 축 방향은 공기조화기(10)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송풍팬(40)은 샤시(3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샤시(30)는 송풍팬(40)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2개의 팬 지지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팬 지지부(35)는 리어 가이드(33)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2개의 팬 지지부(35)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는 송풍팬(40)을 구동하는 팬 모터(45)가 설치될 수 있다. 팬 모터(45)의 축은 팬 지지부(35)를 관통하여 송풍팬(40)에 결합될 수 있다.
팬 모터(45)에는 모터 커버(47)가 결합될 수 있다. 팬 지지부(35)와 상기 모터 커버(47)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상기 팬 모터(45)가 수용될 수 있다.
샤시(30)에는 공기조화기(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0)이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50)는 팬 모터(45)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고, 케이스(100)에 지지될 수 있다. 컨트롤러(50)은 외관을 형성하는 컨트롤 박스(52)와, 컨트롤 박스(53)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제어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공기조화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터(55)는 샤시(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이너 공간(S1)에 수용된 공조 유닛(Air conditioning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조 유닛의 일예는 냉매가 통과하는 열교환기(60)일 수 있다. 공조 유닛의 다른 예는 열전소자일 수 있다. 공조 유닛의 또 다른 예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는 이너 공간(S1)에 열교환기(60)가 수용된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너 공간(S1)에 열교환기(60)가 수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소자, 전기 히터, 가습장치, 정화 유닛 등이 다양한 공조 유닛이 이너 공간(S1)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다양한 공조 유닛이 열교환기(60)와 함께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샤시(30)와 케이스(100)가 이루는 이너 공간(S1)에는 열교환기(60)가 수용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열교환기(60)는 샤시(30) 및 토출 그릴 어셈블리(80)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될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60)는 공기조화기(10)의 전면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하 연장되는 제 1 열교환부(61)와, 제 1 열교환부(61)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열교환부(63) 및 제 2 열교환부(63)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3 열교환부(65)가 포함할 수 있다.
제 1~3 열교환부(61,63,65)는 송풍팬(40)의 외측에 배치되며, 송풍팬(4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열교환기(60)에는 열교환기 홀더(67)가 결합된다. 열교환기 홀더(67)는 상기 열교환기(60)는 측방에 결합되며,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열교환기(60)에는 냉매 튜브(70)가 결합된다. 냉매 튜브(70)는 냉매를 열교환기(60)로 유입시키거나, 열교환기(60)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냉매 튜브(70)는 열교환기(60)의 측방에 결합될 수 있고, 냉매 튜브(70)의 외측에는 튜브 커버(75)가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샤시(3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샤시(30)와 상기 케이스(100)의 조립체는 공기조화기(10)의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케이스(100)에는 공기가 이너 공간(S1)으로 흡입되는 흡입부(115, 도 8 참조)와, 이너 공간(S1)의 공기가 케이스(100)의 외부로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126, 도 1 참조)(129, 도 7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15)는 케이스(100)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126)(129)는 케이스(100)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거나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15)의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126)(129)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상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하부로 토출할 수 있다.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토출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토출부(126)는 케이스(100)의 하면에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토출부(126)는 공기가 하측 방향으로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전방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토출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토출부(129)는 공기가 전방 방향으로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토출부(129)는 케이스(100)의 상단 보다 케이스(100)의 하단에 더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토출부(129)는 케이스(100)의 전면 하부에 일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복수개 부재(110)(120)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본체(110)의 외면에 배치된 그릴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00)는 샤시(30)에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샤시(30)과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0)는 입체적 형상일 수 있고, 대략 좌우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0)는 그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케이스 바디(111)(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110)는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어퍼 바디(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는 필터 어셈블리(30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 바디(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 바디(114)는 어퍼 바디(113)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바디(114)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적어도 일면을 커버하는 필터 어셈블리 커버일 수 있다. 수용 바디(114)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 케이스(310)의 적어도 일면을 커버하는 필터 케이스 커버일 수 있다.
수용 바디(114)는 그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의 좌측면과 우측면과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
그릴 프레임(120)은 케이스 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릴 프레임(120)은 한 쌍의 사이드 바디(121)(122)와; 로어 바디(123)와, 프론트 바디(1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릴 프레임(120)의 좌측 바디(121)는 케이스 본체(110)의 좌측 케이스 바디(111)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고, 좌측 케이스 바디(111)의 앞부분 좌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릴 프레임(120)의 우측 바디(122)는 케이스 본체(110)의 우측 케이스 바디(112)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고, 우측 케이스 바디(112)의 앞부분 우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릴 프레임(120)의 로어 바디(123)는 그릴 프레임(120)의 좌측 바디(121) 하부와 우측 바디(122) 하부를 잇게 형성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길이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릴 프레임(120)에는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고, 요철부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121)(122) 및 로어 바디(123)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15)와 토출부(126)(129)는 케이스 본체(110) 또는 그릴 프레임(120)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15)와 토출부(126)(129)는 그릴 프레임(120)의 좌측 바디(121)와 우측 바디(122) 이외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15)는 케이스 본체(110)에 형성될 수 있고, 수용 바디(114)의 중 필터 어셈블리(300)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를 필터 어셈블리(300) 아래의 흡입부(115)를 통과한 후 이너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릴 프레임(120)의 로어 바디(123)에는 토출부(126)가 형성될 수 있고, 로어 바디(123)에 형성된 토출부(126)는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토출하는 하부 토출부(126)일 수 있다.
그릴 프레임(120)의 프론트 바디(124)에는 토출부(129)가 형성될 수 있고, 프론트 바디(124)에 형성된 토출부(126)는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토출하는 전방 토출부(129)일 수 있다. 전방 토출부(129)는 그릴 프레임(120)의 하단과 상단 중 하단에 더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 케이스(310)을 포함할 수 있고, 수용 바디(114)는 필터 케이스(310)의 적어도 일면을 커버하는 필터 케이스 커버일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었을 때, 공기조화기(10)의 상면 외관을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었을 때, 샤시(30)와 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샤시(30)와 케이스(100)의 사이의 이너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은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었을 때, 그 상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의 상면은 케이스(100)의 상면과 함께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에 수용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10)의 상방으로 인출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1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토출그릴 어셈블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그릴 어셈블리(80)는 케이스(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그릴 어셈블리(80)는 샤시(30)과 이격된 토출그릴 바디(81)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그릴 어셈블리(80)에는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좌우 베인(82)이 포함될 수 있다. 좌우 베인(82)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토출기류의 좌우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좌우 베인(83)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링크(84)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좌우 베인(82)은 링크(84)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토출그릴 어셈블리(80)는 좌우 베인(82)을 회전시키는 좌우베인 모터(86)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베인 모터(86)는 토출그릴 바디(81)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토출기류의 상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상하 베인(88)이 구비될 수 있다. 상하 베인(88)의 측방에는 링크(89)가 연결될 수 있고, 링크(89)에는 상하 베인(88)을 구동하기 위한 상하베인 모터(90)가 연결될 수 있다. 상하베인 모터(90)는 샤시(30)와, 하부 플레이트(55)와, 토출그릴 바디(8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전면 패널(150)이 배치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은 케이스(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조화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에는 공기조화기(10)의 작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152)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52)이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전면 패널(150)에 연결되어 전면 패널(150)을 복수 위치로 작동시키는 구동기구(170,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구(170)는 케이스(100) 또는 샤시(30)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기구(170)은 전면 패널(150)와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면 패널(150)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기구(170)는 모터(1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172)에 의해 회전되고 랙과 치합된 피니언(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필터 어셈블리(300)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전원공급기(180, High Voltage Power Supply, 도 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전원공급기(180)는 필터 어셈블리(300)으로 고전압이 인가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필터가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필터 케이스(310)와, 필터 케이스(310) 내부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10)에 수용된 필터는 필터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 제공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는 복수개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필터는 전기 필터(350; an electrostatic dust filter,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필터는 프리 필터(340,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34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전기 필터(350)의 이전에 위치될 수 있다. 프리 필터(340)는 전기 필터(350)의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기 필터(350)는 필터 케이스(3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전기 필터(350)는 고전압 전원공급기(180)와 전선 및 단자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필터(350)는 먼지가 집진되는 전기 집진필터(an electrostatic dust filter)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필터(예를 들면, 프리 필터(340))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하, '먼지'라 칭함)을 필터에서 분리시키는 브러시 유닛(380, 도 4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는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가 담겨지는 먼지통(390, 도 4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유닛(380)은 프리 필터(340)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리 필터(340)에 부착된 먼지는 브러시 유닛(380)에 의해 프리 필터(340)에서 분리될 수 있고, 프리 필터(340)에서 분리된 먼지는 먼지통(390)으로 유입되어 먼지통(390)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먼지통(390)은 공기조화기(10) 외부로 인출되게 배치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저장된 먼지는 사용자 등에 의해 버려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필터 어셈블리(300)에 쌓여진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 청소장치(400, 도 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는 먼지통(390)이 공기조화기(10)에 장착되었을 때, 먼지통(390)과 연통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는 먼지통(390)에 연결되어 먼지통(390)의 공기를 석션하는 석션 유닛일 수 있다. 필터청소장치(400)는 먼지통(390)의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팬 모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은 케이스(100)와 샤시(3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는 컨트롤러(50)의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청소장치(400)가 구동하면, 필터 청소장치(400)의 흡입력은 먼지통(390) 및 브러시 유닛(380)을 통해 필터(특히, 프리 필터(340)에 작용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의 필터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는 먼지통(390)으로 유입되어 먼지통(390) 내부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되어 필터 케이스(310)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90)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먼지통(390)은 후술하는 필터 청소장치(400)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반면에,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90)는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되지 않고, 샤시(30)나 케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00)는 필터 청소장치(40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가 장착되었을 때, 필터 어셈블리(300)와 접속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90)는 사용자나 서비스업자에 의해 세척될 필요가 있고, 그 인출이나 장착이 용이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시 유닛(380)과 먼지통(390)이 프리 필터(340) 및 전기 필터(350)와 함께 필터 케이스(310)에 배치될 경우, 사용자나 작업자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외부로 인출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프리 필터(340)와 전기 필터(350)와 브러시 유닛(380) 및 먼지통(390)을 함께 인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프리 필터(340)와 전기 필터(350) 및 브러시 유닛(380)을 세척할 수 있고, 먼지통(390)을 비울 수 있다.
구동기구(170, 도 2 참조)는 전면 패널(150)을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구동기구(170)는 전면 패널(150)을 승강시키는 전면 패널 승강기구일 수 있다.
구동기구(170)는 전면 패널(150)을 복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위치는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P1)는 전면 패널(150)이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커버하는 위치일 수 있다.
제2위치(P2)는 제1위치(P1)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일 수 있다. 제2위치(P1)는 전면 패널(150)이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노출시키는 위치일 수 있다.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는 전면 패널(150)이 전방 토출구(129)를 차폐하는 위치일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은 제1위치일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 및 전방 토출구(129)를 차폐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은 제2위치일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노출시키되, 토출구(129)를 차폐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이 제2위치일 때, 전면 패널(150)의 상단은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방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는 전면 패널(150)의 상단 위를 지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300)는 전면 패널(150)이 제2위치(P2)에 위치된 상태일 때, 전진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 또는 사용자는 전면 패널(150)이나 케이스(10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 어셈블리(300)를 전방으로 쉽게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용 바디(114)의 전방으로 인출된 필터 어셈블리(300)를 수용 바디(114)에서 모두 인출한 후, 물 등의 세척액으로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부 또는 필터 어셈블리(300)의 일부 구성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300)를 세척한 후, 필터 어셈블리(300)를 수용 바디(114)에 올리면서 삽입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300)는 수용 바디(114)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위치는 제3위치(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위치(P3)는 제1위치(P1)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일 수 있다. 제3위치(P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150)이 전방 토출구(129)를 개방하는 위치일 수 있고, 전면 패널(150)이 필터 어셈블리(300)의 전면(301)을 커버하는 위치일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이 제3위치일 때, 필터 어셈블리(30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전면 패널(150)의 배면에 안내된 후, 필터 어셈블리(300)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는 하부 토출부(126, 도 1 참조)를 통해 케이스(100)의 하방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하방 기류모드와, 전방 토출부(129, 도 6 참조)를 통해 케이스(100)의 전방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전방 기류모드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이 제1위치(P1)이거나 제2위치(P2)일 때, 공기조화기(10)는 하부 토출부(126)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전면 패널(150)이 제3위치일 때, 공기조화기는 전방 토출부(129) 및 하부 토출부(126)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공기의 온도와 습도와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고, 온도와 습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온습도 센서가 설치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공기조화기가 공조시키는 실내의 공기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는 구성으로서, 토출부(126)(129)로 토출된 냉기나 온기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모듈(500)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 공간 중 인체가 위치하는 영역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실내의 바닥을 기준으로 대략 1m 내지 2,5m 높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모듈(500)은 너무 높은 높이에 설치될 경우, 실내 공간 중 인체가 주로 위치하지 않는 영역의 공기 온도나 습도를 센싱할 수 있으므로, 너무 높지 않는 높이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조화기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일 경우, 센서 모듈(500)은 가급적 케이스(100)의 상단 보다 하단에 더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모듈(500)은 케이스 본체(110)와 그릴 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센서 모듈(5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이너 공간(S1)을 통과하는 공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케이스 본체(110)의 외면과 그릴 프레임(120)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면도이고,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요철부가 확대 도시된 도이며,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그릴 프레임이 분리되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12은 도 5에 도시된 C-C'선 단면도이다.
케이스 본체(110)에는 함몰부(118, 도 11 및 도 12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18)는 케이스 본체(110) 중 그릴 프레임(120)과 대향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이너 공간(S1)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함몰부(118)와 그릴 프레임(120)의 사이에는 센서 모듈(500)이 수용되는 센서 모듈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모듈 공간(S2)은 케이스 본체(110)에 의해 이너 공간(S1)과 구획되는 공간일 수 있다.
센서 모듈 공간(S2)은 함몰부(118)와, 한 쌍의 사이드 바디(121)(122) 및 프론트 바디(124)에 의해 둘러싸인 밀폐 공간일 수 있다.
그릴 프레임(120)은 케이스 본체(110)의 외부에서 함몰부(118)를 덮을 수 있다.
그릴 프레임(120)의 사이드 바디(121)(122)는 함몰부(118)의 옆에서 함몰부(118)의 내측을 덮을 수 있고, 그릴 프레임(120)의 프론트 바디(124)는 센서 모듈 공간(S2)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케이스 본체(110)의 한 쌍의 케이스 바디(111)(112) 중
컨트롤러(50)와 더 근접한 케이스 바디(11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릴 프레임(120)은 함몰부(118)를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릴 프레임(120)은 센서 모듈(50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그릴 프레임(120)은 센서 모듈(500)과 대향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릴 프레임(120)은 센서 모듈(500)과 대향되는 영역에 에어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홀(H)은 공기가 센서 모듈 공간(S2)으로 출입되기 위해 그릴 프레임(120)에 관통되게 형성된 개구부일 수 있다.
에어 홀(H)은 너무 크게 형성될 경우, 외부에서 에어 홀(H) 및 센서 모듈(500)이 보일 수 있다.
에어 홀(H)은 공기가 출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외부에서 에어 홀(H) 및 센서 모듈(500)이 잘 안보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홀(H)은 센서 모듈(500)과 대향되는 영역의 돌출부(P)와 홈부(G) 중 홈부(G)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홀(H)은 돌출부(P)에 형성되지 않고 홈부(G)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홀(H)은 공기조화기의 주변 공기가 센서 모듈(5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케이스(100) 특히, 그릴 프레임(120)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에어 홀(H)은 케이스(100)의 이너 공간(S1)과 직접 통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출부(126)(129)에서 토출된 냉기나 온기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조화기가 전방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할 경우, 에어 홀(H)은 이러한 토출부(126)(129)의 토출 방향과 일치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홀(H)은 그릴 프레임(120)에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홀(H)은 그릴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121)(1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는 바, 그릴 프레임(120)의 좌측 바디(121)와 우측 바디(1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홀(H)은 그릴 프레임(120)의 좌측 바디(121)와 우측 바디(122) 중 컨트롤러(50)와 더 근접한 사이드 바디(121)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홀(H)은 케이스(100)의 상단(100A)과 하단(100B) 중 하단(100B)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에어 홀(H)의 전후 방향 폭(L1)은 홈부(G)의 전후 방향 폭(L2) 보다 짧을 수 있다.
에어 홀(H)의 크기는 센서 모듈(500)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에어 홀(H)은 그릴 프레임(120)에 수평 방향(Y)으로 개방될 수 있다.
에어 홀(H)은 상하 방향(Z)으로 긴 장공일 수 있다. 에어 홀(H)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L3)을 갖을 수 있다.
요철부는 돌출부(P)와 홈부(G)가 전후 방향(X)으로 교대로 형성될 수 있고, 요철부는 교대로 돌출부(P)와 홈부(G)의 조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요철부는 인접한 한 쌍의 돌출부(P) 사이의 거리가 에어 홀(H)의 상하 방향 길이(L3) 보다 짧을 수 있다. 인접한 한 쌍의 돌출부(P) 사이의 거리는 홈부(G)의 전후 방향 폭(L2)와 동일할 수 있다.
통공(H)의 높이(H1)는 토출부 특히, 하부 토출부(126)의 높이(H2) 보다 높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가 공조시키는 실내 공기의 먼지를 센싱할 수 있는 먼지 센서(600)를 더 포함할 수 잇다. 먼지 센서(600)는 공기조화기가 공조시키는 실내 공기의 청정도를 센싱하는 청정도 센서일 수 있다.
먼지 센서(600)는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먼지 센서(600)는 센싱 유닛(500)과 같이, 토출부(126)(129)로 토출된 공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0)에는 먼지 센서(600)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먼지센서용 홀(116)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먼지 센서용 홀(116)은 케이스(100) 특히, 케이스 본체(110)에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케이스 바디(111)(112)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 바디(111)에 수평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먼지 센서(600)을 가일 수 있는 사이드 도어(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도어(117)는 케이스(100)에 힌지(117A)로 회전 가능하게 열릴 수 있다.
사이드 도어(117)은 먼지센서용 홀(116)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사이드 도어(117)의 외둘레와 먼지센서용 홀(116)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먼지 센서(600)는 한 쌍의 케이스 바디(111)(112) 중 컨트롤러(50)와 더 근접한 케이스 바디(11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 샤시 100: 케이스
110: 케이스 본체 120: 그릴 프레임
500: 센서 모듈 H: 에어 홀
G: 홈부 P: 돌출부
S1: 이너 공간

Claims (12)

  1. 샤시와;
    상기 샤시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이너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공기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이너 공간에 수용된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면에 배치되고 돌출부와 홈부가 형성된 요철부가 형성된 그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그릴 프레임에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홀은 상기 그릴 프레임의 상기 센서 모듈과 대향되는 영역 중 상기 홈부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그릴 프레임과 대향되는 부분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그릴 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의해 상기 이너 공간과 구획되고 상기 센서 모듈이 수용되는 센서 모듈 공간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프레임은 상기 함몰부를 덮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홀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과 하단 중 하단에 더 근접한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홀의 전후 방향 폭은 상기 홈부의 전후 방향 폭 보다 짧은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홀은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이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돌출부와 홈부가 전후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는 인접한 한 쌍의 돌출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에어 홀의 상하 방향 길이 보다 짧은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홀의 크기는 상기 센서 모듈의 크기 보다 작고,
    상기 에어 홀은 상기 그릴 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공기가 상기 이너 공간으로 흡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이너 공간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와 토출부는 상기 그릴 프레임의 좌측 바디와 우측 바디 이외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홀은 상기 그릴 프레임의 좌측 바디와 우측 바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거나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홀은 상기 그릴 프레임에 좌우 방향으로 개방된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프레임은
    프론트 바디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바디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되고 하부 토출부가 형성된 로어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홀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홀의 높이는 상기 하부 토출부의 높이 보다 높은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면과 그릴 프레임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031427A 2019-03-19 2019-03-19 공기조화기 KR102254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27A KR102254648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27A KR102254648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69A KR20200111569A (ko) 2020-09-29
KR102254648B1 true KR102254648B1 (ko) 2021-05-21

Family

ID=7266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427A KR102254648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587Y1 (ko) 2021-05-31 2023-03-09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온도조절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7364A (ja) 2005-11-07 2007-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センサ固定装置
JP2008064390A (ja) 2006-09-08 2008-03-21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10014321A (ja) 2008-07-03 2010-01-21 Orion Mach Co Ltd センサ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10038382A (ja) 2008-07-31 2010-02-18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14092294A (ja) 2012-10-31 2014-05-19 Daikin Ind Ltd 空調室内機
WO2017110904A1 (ja) 2015-12-22 2017-06-2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509A (ko) * 2006-01-13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42525A (ko) * 2007-10-26 2009-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666221B1 (ko) * 2009-09-10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490849B1 (ko) * 2016-06-30 202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 조화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7364A (ja) 2005-11-07 2007-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センサ固定装置
JP2008064390A (ja) 2006-09-08 2008-03-21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10014321A (ja) 2008-07-03 2010-01-21 Orion Mach Co Ltd センサ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10038382A (ja) 2008-07-31 2010-02-18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14092294A (ja) 2012-10-31 2014-05-19 Daikin Ind Ltd 空調室内機
WO2017110904A1 (ja) 2015-12-22 2017-06-2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587Y1 (ko) 2021-05-31 2023-03-09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온도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569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46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54648B1 (ko) 공기조화기
KR100845241B1 (ko) 공기조화기
KR100867953B1 (ko) 공기조화기
KR102245799B1 (ko) 공기조화기
KR102469227B1 (ko) 공기조화기
KR10075895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3690333B1 (en) Air conditioner
KR102267826B1 (ko) 공기조화기
KR20200095232A (ko) 공기조화기
JP2012042182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EP3835679B1 (en) Air conditioner
JP200406917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90046228A (ko) 공기조화기
KR1006882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463318B1 (ko) 공기조화기
KR102216681B1 (ko) 공기조화기
KR102495484B1 (ko) 공기조화기
JP201204218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584300B1 (ko) 공기조화기
JP2003074894A (ja) 空気調和機
KR20090076405A (ko) 공기조화기
JP3030154B2 (ja) 空気調和機
KR100865089B1 (ko) 공기조화기
KR101514005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