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340B1 -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 - Google Patents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340B1
KR102254340B1 KR1020190087360A KR20190087360A KR102254340B1 KR 102254340 B1 KR102254340 B1 KR 102254340B1 KR 1020190087360 A KR1020190087360 A KR 1020190087360A KR 20190087360 A KR20190087360 A KR 20190087360A KR 102254340 B1 KR102254340 B1 KR 102254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unit
road
pillar
identification
road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032A (ko
Inventor
김에스더
Original Assignee
김에스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에스더 filed Critical 김에스더
Priority to KR102019008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3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은 좌우 1쌍의 차선 내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1쌍의 차선 각각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진입된 상기 도로 면에 기립 연장된 1쌍의 기둥; 상기 기둥의 상면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된 식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표지봉은 종래의 방지턱 대신에 차선 내측으로 일정 거리 진입된 차로에 설치하여 차량의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COATING TRAFFIC POLE WITH FUNCTION OF PREVENTING THE VEHICLE FROM SPEEDING}
본 발명은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방지턱 대신에 차선 내측으로 일정 거리 진입된 차로에 설치하여 차량의 속도를 지연시키는 도로표지봉에 관한 것이다.
과속방지턱은 일반 도로구간에서 차량의 주행속도를 강제로 낮추기 위하여 길바닥에 설치하는 턱으로 보통 주거 환경이나 보행자 보호를 위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차량의 과속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도로와 동네의 길 등에 설치된 무수히 많은 과속 방지턱들이 사람들의 육체적 질병을 키우고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운전 중에 도로의 방지턱을 보지 못하고 넘을 때, 탑승자들의 몸에는 이로 인한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운전자의 과속을 방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방지턱이 사람들의 육체적 질병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평지가 아닌 높거나 낮은 방지턱을 넘을 경우 목디스크와 좌골신경통, 장거리 운전 시에 과로로 인한 심장마비, 신장병인 신부전증과 우울증 등이 유발될 수 있으며 척추와 근육, 인대, 혈관들이 늘어나고 틀어져서 혈액순환이 저하될 수 있다. 그로 인한 두통, 피로감으로 인해 운전 시에 상황 판단력이 흐려져 사고율이 높아짐이 분명하다.
이러한 도로 방지턱에 대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 20-2014-0001942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서, 한쌍의 과속방지턱(10, 11)은 하나의 차선에서 중앙선(30)에 가까운 차량(20) 바퀴(25)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한쌍의 과속방지턱(10, 11)을 차량의 바퀴가 밟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이지만, 밟아도 차량의 한쪽 바퀴만 밟게 되므로, 차량에 미치는 충격을 극소화할 수 있는 도로 방지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도로표지봉에 대한 선행기술 공개 실용신안 제 1999-005926호는 도포표지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에 다수층의 반사시트가 부착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불빛 반사에 의해 도로표지봉의 식별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내충격성, 내인열성, 항장력, 내마모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을 받은 경우 그 충격을 흡수, 분산할 수 있고 변형된 후 즉시 원형태로 복원 가능한 도로표지봉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운전자의 과속을 방지하는 목적만 가지고 있을 뿐, 운전자가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에 대한 별다른 해결수단을 제시하지 못한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차량의 진입을 막고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도로표지봉의 형태를 취하되 과속방지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도로표지봉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선 내측으로 일정 거리 진입된 지점에 기립된 기둥의 상면에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는 식별부를 장착하여 차량의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도로표지봉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별부를 타원 형상으로 제공하여 운전자의 눈에 띌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을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별부의 내부에 운전자의 시각을 자극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속도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식별부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식별부를 보다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식별부의 기립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식별부의 상부에 탈착되면서 식별부와 다른 색상을 부여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운전자의 식별력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봉은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으로서, 좌우 1쌍의 차선 내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1쌍의 차선 각각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진입된 상기 도로 면에 기립 연장된 1쌍의 기둥; 상기 기둥의 상면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된 식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별부의 도로 측을 향한 단면 형상은, 장축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식별부의 도로 측을 향한 평면 형상은, 장축이 너비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기둥은 제 1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제 1 색상과 다른 제 2 색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기둥 및 식별부는 각각 독립된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과속방지를 위한 도로표지봉에 의하면,
1)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식별부에 의해 차로 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식별 가능한 적절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고,
2) 식별부에 장착되어 내부에 문구나 색상을 넣을 수 있는 볼록표지부에 의해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3) 볼록부에 의해 식별부의 체적을 더 크게 하여 운전자에게 도로표지봉에 대한 식별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 식별부에 탈착 가능한 커버에 의해 운전자에게 추가적인 식별력을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로 표지봉의 사시도와 정면도 및 부분확대 평면도.
도 2는 도로에 설치된 도로 표지봉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로표지봉의 종단면도.
도 4은 식별부에 볼록표지부 및 볼록부가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커넥터를 매개로 기둥과 식별부를 연결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는 식별부에 커버가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로 표지봉의 사시도와 정면도 및 부분확대 평면도이며, 도 2는 도로에 설치된 도로 표지봉의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봉은 기둥(100)과 식별부(20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기둥(100)은 일반적인 도로표지봉과 마찬가지로 도로면에서 기립되어 있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기둥(100)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100)은 원기둥,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기둥(100)은 차량의 탑승자에게 가할 수 있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킬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100)은 높이는 10 내지 50cm이고, 두께는 1 내지 5cm, 지름은 5 내지 10cm과 같이 다양한 수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기둥(100)의 높이는 후술할 식별부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충분한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100)은 좌우 1쌍의 차선(1) 내 영역을 기준으로, 1쌍의 차선(1) 각각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진입된 상기 도로 면에 기립 연장된 1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차선(1)은 차로(2)를 구분 짓는 경계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1개의 차로(2)를 기준으로 차로(2)의 좌우 양측에 차선(1)이 1쌍으로 위치하고 이 좌우 양측의 1쌍의 차선(1) 각각에서 차로 방향으로 일정거리 진입한 영역에 본 발명의 기둥(100)이 기립된 것이다.
예를 들어, 1개의 차로(2)의 폭이 2.75 내지 3.5m일 때, 기둥(100)은 각각의 차선(1)으로부터 0.1 내지 0.3m 일정 거리 진입될 수 있다. 이 경우, 1쌍의 기둥(100) 사이의 거리는 2내지 2.5m가 되어 일반적인 승용차(3)의 너비인 1.8 내지 1.9m 보다 커서 차량이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단 기둥(100) 사이의 거리가 2m 일 때, 승용차(3)의 폭보다 10 내지 20cm 차이 밖에 나지 않기 때문에 승용차(3)와 기둥(100)사이의 거리가 좁아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승용차(3)의 폭보다 30cm 이상 차이가 나도록 설정하여 승용차와 기둥(100) 사이에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둥(100) 사이의 거리가 2.3m이면 승용차(3)의 폭보다 40 내지 50cm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승용차(3)와 기둥(100)사이에 적당한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둥(100)은 실리콘, 플라스틱, 폴리우레탄, EVA 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차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별부(200)는 기둥(100)의 상면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식별부(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형, 마름모형, 촛불형,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식별부(200)는 기둥(100)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식별부(200)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 알루미늄, 철,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식별부(200)는 기둥(100)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탑승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킬 수 있는 탄성력이 강하고 수명이 긴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별부(200)는 기둥(100)과 연관되어 다양한 높이와 너비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식별부(200)의 높이는 기둥(100)의 높이의 1/10 내지 1/5의 비율로 설정될 수 있고, 식별부(200)의 너비는 기둥(100)의 지름의 다양한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식별부(200)가 차로(2) 측으로 돌출하면 기둥(100) 사이의 거리를 재설정해야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별부(200)의 너비를 기둥(100)의 지름보다 같거나 작도록 설정해야 한다.
더불어 식별부(200)는 다양한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둥(100)과 같거나 다른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식별부(200)는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초록색, 노란색, 주황색 등과 같이 눈에 잘 띄는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둥(100)의 색과 상관없이 다양한 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인 도로표지봉은 기둥(100)의 밑 부분을 지지하면서 차로에 고정되어야하기 때문에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터는 차로(2) 위에서 도로표지봉의 일부분인 기둥(100)을 받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때, 서포터는 지면과 결합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터는 넓적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각형,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서포터는 차로(2)에 고정되어야하기 때문에, 서포터에 볼트삽입공을 형성하고, 앵커볼트를 볼트삽입공에 삽입하여 차로(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볼트삽입공은 나사가 삽입되어지는 부분이고, 앵커볼트는 구조물과 기초 부분을 연결하기 위해 이용하는 나사이다. 더불어, 서포터는 기둥(100)과 연직방향으로 연결되기 위해 상부 중앙에 기둥(100)과 직경이 동일한 일정 높이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서포터와 기둥(100)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연직방향은 도로위에서 서포터와 기둥(100)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서포터의 재질은 기둥(100), 식별부(200)와 마찬가지로 차량이 밟고 부딪힐 수 있는 것을 고려해 탄성이 있는 폴리우레탄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가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다면, 진동의 흡수 및 충격에 강하며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로(2)에서 운전자가 주행할 때, 운전자는 정면에서 좌, 우로 기립되어 있는 도로표지봉을 보고 멈칫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차량이 도로표지봉에 근접할 때, 운전자는 차량의 속도를 최대한으로 줄여 지나가기 때문에 차로(2)의 방지턱을 대체할 수 있으며 인체에 대한 충격을 받을 수 있게 하는 방지턱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식별부(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과정을 통해 보다 특화된 구조를 제시하도록 한다.
이 식별부(200)의 도로 측을 향한 단면 형상은 장축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식별부의 도로 측을 향한 평면 형상은 장축이 너비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식별부(200)는 타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식별부(200)의 타원 형상은 장축이 기립되어 있는 구조를 취한다. 이 때 타원 형상에 따라 장축과 단축의 비율이 달라질 수 있으며, 식별부(200)의 기능이 원만하게 수행되어 진다면 이러한 비율은 제한이 없다.
이로써, 식별부(200)가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식별부(200)는 차로(2) 측으로 돌출되지도 않으면서 식별 가능한 적절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고 전반적으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눈에 띌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기둥(100)이 제 1 색상으로 이루어지면 식별부(200)는 제 1 색상과 다른 제 2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식별부(200)는 기둥(100)보다 눈에 띄어 운전자로 하여금 식별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식별부(200)는 기둥(100)보다 눈에 잘 띄는 색 계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100)의 색상은 연두색, 연노란색과 같은 연하고 채도가 낮은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식별부(200)의 색상은 노란색, 주황색, 초록색, 파란색과 같은 진하고 채도가 높은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로표지봉의 종단면도이며, 도 4은 식별부에 볼록표지부 및 볼록부가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더 나아가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기둥(100) 및 식별부(200)는 독립된 중공구조(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기둥(100) 및 식별부(200)가 중공구조(110)로 형성되면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도로표지봉이 차량의 충돌을 받은 경우 그 충격을 흡수, 분산할 수 있고 변형된 후 즉시 원형태로 복원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둥(100) 및 식별부(200)는 중공구조(11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일체로 뻥 뚫린 중공구조(110)가 아니라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일체형보다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제작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로표지봉은 기둥(100)과 식별부(200)를 기본 구성으로 한 상태에서 다양한 세부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바,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식별부(200)에 볼록표지부(210) 및 볼록부(220)가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우선, 볼록표지부(210)는 상술한 타원형의 식별부(200)에 장착되어 다양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볼록표지부(210)는 운전자에게 주변의 시야를 크게 보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볼록표지부(210)는 과속 방지에 주의를 주는 문구를 볼록표지부(210) 내부에 써 넣어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다. 더하여, 볼록표지부는 내부에 색상을 넣어 운전자에게 추가적인 식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표지부는 내부에 '속도를 줄여주세요'라는 문구를 넣어 운전자에게 차량의 속도를 지연시키도록 제시할 수 있으며, 어두운 환경에서도 반짝이는 야광을 넣어 운전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다. 이로써, 볼록표지부(210)는 운전자의 시각에 자극을 주어 차량의 속도를 줄이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식별부(200)는 추가적으로 볼록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볼록부(220)는 차로(2)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차로(2)의 전방 측에 수직한 방향 양측(다시 말해, 식별부(200)의 좌우 양측)에는 외측을 향해 라운딩지도록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볼록부(220)는 표면 일측에 형성된 개폐부(221)에 의해 개폐 가능한 공기주입공(222)과, 공기주입공(222)과 연통되어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는 스페이스(223)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볼록부(220)의 내부는 중공구조(110)로 이루어져 있다는 의미이다.
이 때, 공기주입공(222)으로 공기가 주입되면 볼록부(220)가 팽창하게 되므로 볼록부(220)의 재질은 잘 늘어나고 줄어드는 신축성 있는 재질인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볼록부(220)는 신축성이 있는 고무, 네오프렌,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볼록부(220)는 식별부(200)의 체적을 더 크게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표지봉에 대한 식별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개폐부(221)를 통해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어 볼록부(220)의 체적을 차량에게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로 조절가능하다. 이와 같이, 볼록부(220)에 의하여 식별부(200)의 체적을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식별부(200)를 보다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5는 커넥터(300)를 매개로 기둥(100)과 식별부(200)를 연결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식별부(200)는 휨성을 가져 각도 조절 가능한 커넥터(300)에 의해 기둥(10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300)는 기둥(100)의 상면에 연결되어 식별부(200)를 받치는 형태를 취한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커넥터(300)는 식별부(200)의 하부와 기둥(100)의 상부를 연결할 수만 있다면 원기둥, 막대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300)는 휨성이 있는 재질인 금속, PCB,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식별부(200)가 안전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커넥터(300)는 휨성을 가져 관리자가 커넥터(300)를 특정 방향으로 휨으로써 결과적으로 식별부(200)의 기립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넥터(300)는 기둥(100)의 상면에서 식별부(200)가 다양한 각도로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정리하면, 커넥터(300)는 식별부(200)를 차로(2) 주변의 상황에 알맞게 위치시키도록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더 나아가 도 5(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식별부(200)는 관통공(230)을 구비하고, 커넥터(300)는 휨성 재질로써 기둥(100)의 상면에서 식별부(200)의 양 측으로 연장된 제 1연장부(310)와, 제 1연장부(310)의 단부에서 관통공(230)에 삽입되도록 연장된 제 2연장부(320)로 이루어져 식별부(200)가 제 2연장부(320)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관통공(230)은 식별부(200)가 회동할 시 기둥(10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관통공(230)은 식별부(200) 중앙이거나 중앙보다 밑부분에 형성되어야 하며, 관통공(230)은 식별부(200)의 회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 2연장부(320)보다 직경이 약간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 1연장부(310)는 기둥과 연결되어 기둥으로부터의 지지력을 제공하고 제 2연장부(320)는 식별부(200)와 연결되어 식별부를 회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제 2연장부는 식별부(200)의 관통공(230)에 삽입 연장되어 일종의 회전축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정리하면, 제 1,2 연장부는 식별부를 회전시켜 식별부를 운전자의 시선에 더 잘 들어오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6는 식별부(200)에 커버(240)가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식별부(200)의 상부 일부를 감싸는 것으로 식별부(200)에 칠해진 색상과 다른 제 3 색상을 가진 커버(240)가 덧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커버(24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식별부(200)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어야 하므로 식별부(200)의 상부 형상에 따라 커버(240)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200)가 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면 커버(240)는 식별부(200)의 상부를 감쌀 수 있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240)는 식별부(200)와 탈착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240)의 교체,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24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식별부(2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버틸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커버(240)는 반사코팅층 또는 무반사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커버(240)가 반사코팅층으로 형성될 때, 운전자의 시각에 더 자극을 줄 수 있다.
이로써, 이러한 커버(240)는 식별부(200)와 다른 제 3색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식별부(200) 상부 일부에 덧씌워지면 운전자에게 식별부(200)와 식별부(200)와 다른 색으로 이루어진 커버(240)의 색을 보게끔 하여 추가적인 식별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커버(240)는 하단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것으로 바람에 의해 유동 가능한 플러터(241)를 구비할 수 있다.
플러터(241)는 바람에 의해 흩날리는 일종의 총채와 같은 구조로서, 바람에 의해 유동 가능해야 하고 외부의 충격에도 잘 찢어지지 않는 가볍고 질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볍고 질긴 재질인 나일론, 섬유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커버(240)를 장시간 사용하여 플러터(241)가 손상되었을 때, 커버(240)를 교체함으로써 플러터(241)의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플러터(241)에 의하면, 커버(240)의 차로(2)에서 운전자가 정지되어 있는 식별부(200)만을 보는 것보다 운전자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플러터(241)의 단부에는 플러터(241)의 단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것으로서 형광 색상을 가진 형광 식별부(24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형광 식별부(242)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형광 식별부(242)는 원형, 마름모꼴,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러터(241)에 연결되어 있는 형광 식별부(242)는 각각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형광 식별부(242)는 다양한 형광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러터(241)에 연결되어 있는 형광 식별부(242)는 각각 다른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형광 식별부(242)는 운전자의 눈에 잘 띄는 초록색, 노란색, 주황색 등의 형광 색으로 각각 다른 색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형광 식별부(242)는 플러터(241)의 단부에 고정되어 움직이고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플러터(241)와 마찬가지로 가볍고 충격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플러터(241)의 단부 직경보다 형광 식별부(242)의 직경이 큰 이유는 과도한 플러터(241)의 흩날림을 방지하면서 형광 식별부(242) 자체로 운전자의 시선을 끌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형광 식별부(242)는 플러터(241)의 직경보다 큰 직경과 형광 색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식별부(200)에 대한 식별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기둥 110: 중공구조
200: 식별부 210: 볼록표지부
220: 볼록부 221: 개폐부
222: 공기주입공 223: 스페이스
230: 관통공 240: 커버
241: 플러터 242: 형광 식별부
300: 커넥터 310: 제 1연장부
320: 제 2연장부 1: 차선
2: 차로 3: 승용차

Claims (11)

  1.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으로서,
    좌우 1쌍의 차선 내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1쌍의 차선 각각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진입된 상기 도로 면에 기립 연장된 1쌍의 기둥;
    상기 기둥의 상면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된 식별부;
    상기 식별부의 상부 일부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식별부에 칠해진 색상과 다른 제 3 색상을 가진 커버;
    상기 커버의 하단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것으로, 바람에 의해 유동 가능한 플러터(flutter);
    상기 플러터의 단부에서 상기 플러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것으로서, 형광 색상을 가진 형광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봉.
  2. 제 1항에 있어서,
    도로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식별부에서 상기 도로의 전방 측을 향한 단면 형상은, 장축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 형상을 가지고,
    도로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식별부에서 상기 도로의 전방 측을 향한 평면 형상은, 장축이 너비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제 1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제 1 색상과 다른 제 2 색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및 식별부는,
    각각 독립된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봉.
  5. 제 2항에 있어서,
    도로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식별부에서 상기 도로의 전방 측을 향한 곡면에는,
    볼록표지부를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봉.
  6. 제 2항에 있어서,
    도로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로의 전방 측에 수직한 방향 양측에는,
    외측을 향해 라운딩지도록 볼록하게 돌출된 탄성 재질의 볼록부가 구비되되,
    상기 볼록부는,
    일 측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 개폐부에 의해 개폐 가능한 공기주입공과,
    상기 공기주입공과 연통된 것으로,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는 스페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봉.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휨성을 가져 각도 조절 가능한 커넥터에 의해 상기 기둥의 상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봉.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휨성 재질로써, 상기 기둥의 상면에서 상기 식별부의 양 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연장된 제 2 연장부로 이루어져,
    상기 식별부가 상기 제 2 연장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봉.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87360A 2019-07-19 2019-07-19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 KR102254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360A KR102254340B1 (ko) 2019-07-19 2019-07-19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360A KR102254340B1 (ko) 2019-07-19 2019-07-19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032A KR20210010032A (ko) 2021-01-27
KR102254340B1 true KR102254340B1 (ko) 2021-05-20

Family

ID=7423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360A KR102254340B1 (ko) 2019-07-19 2019-07-19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3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3171Y2 (ja) * 1993-02-25 1999-04-0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道路標識体および標識取付部材
KR200271998Y1 (ko) * 2001-12-29 2002-04-13 홍승준 시선유도봉
KR200418006Y1 (ko) * 2006-03-10 2006-06-07 김동현 도로용 회전 반사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4067B2 (ja) * 1996-08-07 2006-02-08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道路標識柱
KR19980062380U (ko) * 1997-04-02 1998-11-16 안종남 차량용 조립식 과속 방지턱
KR101929430B1 (ko) * 2017-05-08 2018-12-14 (주)젠텍 볼라드용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3171Y2 (ja) * 1993-02-25 1999-04-0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道路標識体および標識取付部材
KR200271998Y1 (ko) * 2001-12-29 2002-04-13 홍승준 시선유도봉
KR200418006Y1 (ko) * 2006-03-10 2006-06-07 김동현 도로용 회전 반사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032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11996A (zh) 一种防撞诱导型城市中分带安全岛
CN108867476B (zh) 一种高速公路防撞隔离及挡风方法
KR102627809B1 (ko)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 비상용 표시장치
KR100874675B1 (ko) 시선 유도용 야광 고무판이 구비된 도로 경계석
KR102254340B1 (ko)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봉
CN208830228U (zh) 一种组件及具有该组件的安全岛
US8002493B2 (en) Flexible route marker
JP5376991B2 (ja) コーン型標識
CN107780365A (zh) 一种弹性旋转部件及道路交通安全护栏
CN208280060U (zh) 一种护栏组件及具有该组件的折叠道路护栏
CN203782614U (zh) 一种公路防护栏
CN211849123U (zh) 一种公路防护栏
US4218157A (en) Parking lot marker apparatus
CN209323429U (zh) 一种v型道路交通安全护栏
CN108755509B (zh) 一种高速公路防撞隔离带
CN209323434U (zh) 一种道路交通安全护栏
GB2218843A (en) Traffic marker
CN2408135Y (zh) 柔性护栏
CN207739135U (zh) 一种市政桥梁荧光防护栏
CN206127941U (zh) 一种双色波形防护栏
CN209243630U (zh) 一种高速公路安全防护栏
CN206928213U (zh) 一种可调节遮挡高度的交通护栏
CN218148003U (zh) 一种安全性较高的高速公路护板
CN211663203U (zh) 一种用于方舱专用车的车尾保险杠
KR200184758Y1 (ko) 차량의 월담방지를 위한 중앙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