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226B1 -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226B1
KR102254226B1 KR1020140162723A KR20140162723A KR102254226B1 KR 102254226 B1 KR102254226 B1 KR 102254226B1 KR 1020140162723 A KR1020140162723 A KR 1020140162723A KR 20140162723 A KR20140162723 A KR 20140162723A KR 102254226 B1 KR102254226 B1 KR 102254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ve devices
slave
master device
transmission path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618A (ko
Inventor
요지 이마호리
마사나가 다나카
소다 야스시
도시아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52712A external-priority patent/JP6437231B2/ja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1121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76595A1/ko
Priority to US15/038,444 priority patent/US20160292105A1/en
Publication of KR20150059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1Avoiding conflicts related to the use of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슬레이브 기기를 계속하여 운전할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용이하게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 마스터 기기에 접속된 메인 전송로와, 메인 전송로에서 분기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직렬로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 전송로를 포함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및 마스터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로; 및 메인 전송로 및 복수의 서브 전송로 각각의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되고, 서브 전송로를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및 마스터 기기를 갖는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각에 관한 냉동 사이클, 냉장고 내부 조명, 팬, 냉장고 내부 또는 냉장고 외부 센서, 도어 스위치 등의 소정 기능을 발휘하는 슬레이브 기기에 각각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라 함) 및 통신 회로를 갖는 냉장고가 많아지고 있다. 즉, 1대의 냉장고에 복수의 CPU 및 통신 회로를 탑재하는 구조(특허 문헌 1을 참조)로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각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를 더 구비함으로써, 각 슬레이브 기기를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하는 이른바 집중 제어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어방식의 종래 냉장고는,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모든 슬레이브 기기에 대한 급전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이 냉동 사이클 등의 냉장고 내의 냉각에 관한 기본 기능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냉장고의 기본 기능 자체는 발휘할 수 있는 상태였다고 해도,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가 정상적으로 될 때까지 냉장고의 모든 기능이 정지하게 되어, 냉장고 내부를 냉각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3-61104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 또는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포함하는 최소한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슬레이브 기기를 계속하여 운전할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용이하게 검출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하는 것이다.
일 측면의 냉장고는 복수의 저장실;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설치되어, 냉장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 상기 마스터 기기에 접속된 메인 전송로와, 상기 메인 전송로에서 분기하여 복수의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직렬로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 전송로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및 상기 마스터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로; 및 상기 메인 전송로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 각각의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되고, 상기 서브 전송로를 상기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는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와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냉장고에 의하면,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직렬로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 전송로를, 차단부에 의해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가 설치된 저장실 이외의 나머지 저장실을 계속하여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로,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된 서브 전송로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 중에서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특정하면 무방하여,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전송로가, 각각의 저장실마다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송로의 배선 등의 냉장고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종단 접속자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에 마스터 슬레이브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메인 전송로 및 서브 전송로를 구성하는 하네스 배선의 다발 직경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발포 단열재(우레탄 폼 등)의 발포 불량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결로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발포 단열재 및 벽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저장실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서브 전송로를 분리할 때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차단부에 의해 상기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나머지 서브 전송로에 접속된 슬레이브 기기를 사용하여 계속 운전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추가적인 슬레이브 기기 또는 외부 기기가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메인 전송로를 구성하는 메인 전송선의 일단 및 상기 서브 전송로를 구성하는 서브 전송선의 일단이 이간된 상태로 설치된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 전송선의 일단 및 상기 서브 전송선의 일단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선이 설치된 제2 커넥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 요소를 제1 커넥터 요소로부터 탈리하는 것만으로, 서브 전송로를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서브 전송로를 분리할 때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 각각에 접속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개별적으로 탈리 가능하게 하는 접속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의 냉장고는, 복수의 저장실;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설치되되, 중앙 처리 장치, 통신 회로, 특정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급전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스위치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및 상기 마스터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 경로; 및 상기 전송 경로 상에 설치되고, 전송 경로를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작동부에 급전하지 않고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을 동작시키지 않는 초기 모드와,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작동부에 급전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초기 모드에서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전류 검지부를 통해 문턱값 이상의 전류값이 검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문턱값 이상의 전류값이 검지된 경우,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여, 그 외의 정상적인 상기 슬레이브 기기만을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초기 모드에서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가 검지된 경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모두를 초기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 외의 상기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의 냉장고는, 복수의 저장실;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설치되되, 중앙 처리 장치, 통신 회로 및 특정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작동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및 상기 마스터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과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데이터의 수신만을 행하는 초기 모드와,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초기 모드로부터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슬레이브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이 불능이 되면,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고, 그 외의 정상적인 상기 슬레이브 기기만을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중 어느 하나는 예비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상기 예비 마스터 기기는, 상기 마스터 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와 통신을 유지하여 운전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 따른 기기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 상기 마스터 기기에 접속된 메인 전송로와, 상기 메인 전송로에서 분기하여 복수의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직렬로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 전송로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및 상기 마스터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로; 및 상기 메인 전송로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 각각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 전송로를 상기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직렬로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 전송로를, 차단부에 의해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 또는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포함하는 필요 최소한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슬레이브 기기를 계속하여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로,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된 서브 전송로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 중에서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특정하면 무방하여,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차단부에 의해 상기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나머지 서브 전송로에 접속된 슬레이브 기기를 사용하여 계속 운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차단부에 의해 분리된 서브 전송로를 특정하여, 상기 분리된 서브 전송로 이외의 접속 상태의 서브 전송로만에 의한 제어 시퀀스로 전환하여, 상기 접속 상태의 서브 전송로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를 사용하여 계속 운전한다.
상기 차단부는, 추가적인 슬레이브 기기 또는 외부 기기가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슬레이브 기기의 접속이나, 예를 들면 진단 장치 등의 외부 기기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 각각에 접속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개별적으로 탈리 가능하게 하는 접속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서브 전송로에 설치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각각을 탈리하기 쉽게 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어느 하나의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작동부가 단락되더라도, 각 슬레이브 기기의 CPU가 작동부의 단락 불량을 검지하여 급전을 오프(OFF) 할 수 없기 때문에, 각 슬레이브 기기 간을 접속하는 전송 경로에 과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면, 전원 공급부의 과전류 보호 회로에 의해, 이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 이외의 그 외의 슬레이브 기기를 포함한 모든 슬레이브 기기에 대한 급전이 정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이 냉동 사이클 등의 냉장고 내의 냉각에 관한 기본 기능과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냉장고의 기본 기능 자체는 발휘할 수 있는 상태였다고 해도,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가 정상적으로 될 때까지 냉장고의 모든 기능이 정지하게 되어, 냉장고 내부를 냉각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측면의 기기 제어 시스템은, 중앙 처리 장치, 통신 회로, 특정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급전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스위치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및 상기 마스터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 경로; 상기 전송 경로 상에 설치되고, 전송 경로를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작동부에 급전하지 않고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을 동작시키지 않는 초기 모드와,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작동부에 급전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초기 모드에서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전류 검지부를 통해 문턱값 이상의 전류값이 검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문턱값 이상의 전류값이 검지된 경우,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여, 그 외의 정상적인 상기 슬레이브 기기만을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기기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냉장고를 구성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중 일부의 슬레이브 기기에 과전류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서도,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고, 그 외의 정상적인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을 발휘시키므로,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 이외의 정상적인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이 발휘되어, 냉장고 내부가 냉각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초기 모드에서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가 검지된 경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모두를 초기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 외의 상기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중 어느 하나는 예비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상기 예비 마스터 기기는, 상기 마스터 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와 통신을 유지하여 운전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의 기기 제어 시스템은, 중앙 처리 장치, 통신 회로 및 특정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작동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및 상기 마스터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과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송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데이터의 수신만을 행하는 초기 모드와,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초기 모드로부터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슬레이브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이 불능이 되면,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고, 그 외의 정상적인 상기 슬레이브 기기만을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기기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냉장고를 구성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중 일부의 슬레이브 기기에 통신 장애 또는 통신 회로의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서도,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고, 그 외의 정상적인 상기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을 발휘시키므로,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 이외의 정상적인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이 발휘되고, 냉장고 내부가 냉각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검지부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요소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냉장고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초기 모드에서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가 검지된 경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모두를 초기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 외의 상기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가 1개의 상기 전송 경로에 의해 루프 형상으로 접속된 경우에서도, 확실히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검지함과 아울러, 그 외의 정상적인 상기 슬레이브 기기만을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냉장고를 구성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중 일부의 슬레이브 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냉장고 내부가 냉각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초기 모드와 상기 노멀 모드로 교대 전환하여, 이상이 해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의 이상이 일시적인 것이라면, 상기 이상이 해소된 후에는 모든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중 어느 하나는 예비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상기 예비 마스터 기기는, 상기 마스터 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와 통신을 유지하여 운전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기기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 기기에 통신 장애 또는 통신 회로의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서도, 상기 예비 마스터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를 대체하게 되어, 정상적인 상기 슬레이브 기기와의 통신을 유지하므로, 정상적인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으며, 냉장고 내부가 냉각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직렬로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 전송로를, 차단부에 의해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가 설치된 저장실 이외의 나머지의 저장실을 계속하여 운전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정상인 슬레이브 기기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차단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차단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변형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레이브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레이브 기기의 구성 및 처리 내용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레이브 기기의 동작 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터 기기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터 기기의 동작 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제어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제어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냉장고의 제어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냉장고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저장실(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R1), 변온실(R2) 및 냉동실(R3))을 갖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저장실(R1~R3)에 설치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와,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2)와,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 및 마스터 기기(2)를 접속하는 전송로(3)를 포함하는, 이른바 자립 분산 제어 방식인 것이다.
또한, 전송로(3)는 전원 라인과,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 및 마스터 기기(2) 간의 데이터 통신과 함께,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버스 라인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 라인이 2개의 전원선으로 이루어지고, 버스 라인이 1개의 통신선으로 이루어지며, 전송로(3)는 합계 3개의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송로(3)의 다발 직경을 3 mm ~ 4 mm로 할 수 있으며, 전송로(3)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냉장고(100)의 벽을 얇게 하여 냉장고(100)의 내부 용적을 크게 하면서, 벽 내부에 설치되는 발포 단열재(우레탄 폼 등)의 발포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00)의 벽 내부에 충전되는 발포 단열재의 두께를 예를 들면 20 mm ~ 30 mm로 얇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는 개별적으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라 함) 및 통신 회로를 가지고 있으며, 냉장고(100)로서의 기능의 일부를 발휘하는 기기이다. 냉장실(R1)에 설치되는 슬레이브 기기(1)는 예를 들면, 냉장실 도어 스위치(1a), 냉장실 온도 센서(냉장고 내부 온도 센서)(1b), 냉장실 조명기(LED)(1c), 팬(냉장실 팬)(1d) 등이다. 변온실(R2)에 설치되는 슬레이브 기기(1)는 변온실 온도 센서(냉장고 내부 온도 센서)(1e), 댐퍼(1f) 등이다. 냉동실(R3)에 설치되는 슬레이브 기기(1)는 예를 들면, 성에 제거 스위치(1g), 냉동실 온도 센서(냉장고 내부 온도 센서)(1h), 팬(냉장실 팬)(1i) 등이다. 그 외, 인버터, 응축기 팬, 증발기 입구 온도 센서, 성에 제거 센서, 성에 제거 히터, 냉장고 외부 온도 센서, 냉장고 외부 습도 센서, 조작 표시 패널 등도 슬레이브 기기(1)가 된다. 여기서, 슬레이브 기기(1)의 제어 기판에 있어서, 직류 전류가 흐르는 DC계 제어 기판은 방폭 에너지가 작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에 배치하고, 교류 전류가 흐르는 AC계 제어 기판(예를 들면 성에 제거 히터의 제어 기판)은 방폭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냉장고 외부에 배치하고 있다.
마스터 기기(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에 의해 각 슬레이브 기기(1)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터 기기(2)는 냉장고(100)의 상면 또는 배면에 설치된 제어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2)는 슬레이브 기기(1)(예를 들면 인버터)에 설치된 제어 기판 상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마스터 기기(2)는 CPU(201), 내부 메모리, AD 컨버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 회로이고,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CPU 및 주변 기기가 협동함으로써,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를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및 마스터 기기(2) 간의 데이터 통신은 마스터 기기(2)로부터 슬레이브 기기(1)에 대하여 소정의 주기로 데이터 송출 요구(Poll: 폴링)를 행하고, 상기 데이터 송출 요구에 슬레이브 기기(1)가 응답(ACK:acknowledge)하는 통신이다. 또한, 버스(BUS) 라인을 통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 상호 간에도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슬레이브 기기(1)가 소정의 주기로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외의 슬레이브 기기(1)가, 출력된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0)에 있어서, 전송로(3)는 마스터 기기(2)에 접속된 메인 전송로(31)와, 메인 전송로(31)에서 분기하여, 복수의 저장실(냉장실(R1), 변온실(R2) 및 냉동실(R3))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를 직렬로 데이지 체인(Daisy Chain)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 전송로(32)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서브 전송로(32)는 메인 전송로(31)에 데이지 체인(Daisy Chain)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서브 전송로(32)는 냉장실(R1)에 설치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예를 들면, 도어 스위치(1a), 온도 센서(1b), LED(1c), 팬(1d) 등)를 직렬로 접속하는 서브 전송로(32a)와, 변온실(R2)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1)(예를 들면, 온도 센서(1e), 댐퍼(1f) 등)를 직렬로 접속하는 서브 전송로(32b)와, 냉동실(R3)에 설치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성에 제거 스위치(1g), 온도 센서(1h), 팬(1i) 등)를 직렬로 접속하는 서브 전송로(32c)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전송로(31)와 복수의 서브 전송로(32a~32c) 각각의 사이에는 서브 전송로(32a~32c)를 메인 전송로(3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는 차단부(4a~4c)가 개재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차단부(4a~4c)는 각 서브 전송로(32a~32c)와 메인 전송로(31)의 접속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서브 전송로(32a~32c)를 서로 독립하여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차단부(4a~4c)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전송로(31)를 구성하는 메인 전원선(31x, 31y) 및 메인 통신선(31z)의 일단과 서브 전송로(32a~32c)를 구성하는 서브 전원선(32x, 32y) 및 서브 통신선(32z)의 일단이 이간된 상태로 설치된 제1 커넥터(41)와, 상기 제 1 커넥터(4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 전원선(31x, 31y) 및 메인 통신선(31z)의 일단과 서브 전원선(32x, 32y) 및 서브 통신선(32z)의 일단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선(42x, 42y, 42z)이 설치된 제2 커넥터(42)로 이루어진다.
이 차단부(4a~4c)에 있어서, 제1 커넥터(41)에 제2 커넥터(42)가 부착된 상태로, 제1 커넥터(41)의 메인 전원선(31x, 31y) 및 메인 통신선(31z)의 일단과 서브 전원선(32x, 32y) 및 서브 통신선(32z)의 일단이, 제2 커넥터(42)의 접속선(42x, 42y, 42z)에 의해 접속되어 연결되고, 제1 커넥터 (41)로부터 제2 커넥터(42)가 탈리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41)의 메인 전원선(31x, 31y) 및 메인 통신선(31z)의 일단과 서브 전원선(32x, 32y) 및 서브 통신선(32z)의 일단이 차단되어 이간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부(4a~4c), 구체적으로는 제2 커넥터(42)에, 예비 접속 포트(Px)를 미리 설치해 두고, 추가적인 슬레이브 기기(1)를 접속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갖게 해도 무방하다.
또한, 차단부(4a~4c)는 저장실(R1~R3)의 내벽(예를 들면 안벽 또는 상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저장실(R1~R3)의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사용자가 차단부(4a~4c)를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단부(4a~4c)의 제1 커넥터(41)가 저장실(R1~R3)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으며, 저장실(R1~R3)의 도어를 오픈한 상태로, 사용자가 차단부(4a~4c)의 제2 커넥터(42)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차단부(4a~4c)에 의해, 냉장고(100)의 내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커넥터 접속하는 부위(내부 케이스의 구멍 뚫린 부위)의 수를 최소화하고, 발포 단열재(우레탄 폼 등)의 발포 시의 단열재 누락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각 서브 전송로(32a~32c)에 있어서는, 서브 전송로(32a~32c)에 접속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를 개별적으로 탈리 가능하게 하는 접속 커넥터(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 커넥터(5)는 차단부(4a~4c)와 마찬가지로, 저장실(R1~R3)의 내벽(예를 들면 안벽 또는 상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벽에 고정된 제1 커넥터(51)와, 상기 제 1 커넥터(5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커넥터(52)로 이루어진다. 제2 커넥터(52)에 각 슬레이브 기기(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 등에는 각 접속 커넥터(5)에 특정의 슬레이브 기기(1)가 일대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각각의 접속 커넥터(5)에 임의의 슬레이브 기기(1)가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마스터 기기(2)는 복수의 서브 전송로(32a~32c) 중의 어느 하나가 차단부(4a~4c)에 의해 메인 전송로(31)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나머지 서브 전송로(32a~32c)에 접속된 슬레이브 기기(1)를 사용하여 계속 운전한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기기(2)는 차단부(4a~4c)에 의해 분리된 서브 전송로(예를 들면, 냉장실(R1)의 서브 전송로(32a))를 특정하여, 상기 분리된 서브 전송로(32a) 이외의 접속 상태의 서브 전송로(예를 들면, 변온실(R2) 및 냉동실(R3)의 서브 전송로(32b, 32c))만에 의한 제어 시퀀스(냉장실(R1)을 제외한 제어 시퀀스)로 전환하여, 상기 접속 상태의 서브 전송로(예를 들면, 변온실(R2) 및 냉동실(R3)의 서브 전송로(32b, 32c))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1)를 사용하여 계속 운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냉장고(100)에 의하면, 복수의 저장실(R1~R3)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를 직렬로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 전송로(32a~32c)를, 차단부(4a~4c)에 의해 메인 전송로(3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가 설치된 저장실(예를 들면 냉장실(R1)) 이외의 나머지 저장실(예를 들면, 변온실(R2) 및 냉동실(R3))을 계속하여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로, 메인 전송로(31)로부터 분리된 서브 전송로(32a)에 설치된 슬레이브 기기(1) 중에서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전송로(32a~32c)는 각각의 저장실(R1~R3)마다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송로(3)의 배선 등 냉장고(10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종단 접속자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슬레이브 기기(1)가 CPU를 가지고 있으므로, 접속할 커넥터를 선택하지 않고, 어느 커넥터에 접속했다고 해도, 마스터 기기(2)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차단부(4a~4c)는 추가적인 슬레이브 기기 또는 외부 기기가 접속 가능한 접속 포트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설계 사양의 변경에 의해 냉장실(R1)에 습도 센서(1j) 및 가스 센서(1k)를 추가하는 경우, 차단부(4a~4c)의 제1 커넥터(41)를 접속 포트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차단부(4a~4c)의 제2 커넥터(42)를 교환하여, 습도 센서(1j) 및 가스 센서(1k)를 추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상세하게는 제2 커넥터(42)가 삽입되는 제1 커넥터(41)의 포트를, 추가적인 습도 센서(1j) 및 가스 센서(1k)가 접속 가능한 것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에 따라, 그 외의 전송로(와이어 하네스)나, 접속 커넥터(5) 등을 변경할 필요 없이, 차단부(4a~4c)의 제2 커넥터(42)만을 교환하면 무방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슬레이브 기기 또는 외부 기기를 매우 용이하게 또한 저가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슬레이브 기기(1)에 있어서 자립 분산 제어를 행하는 것이었지만, 일부의 슬레이브 기기(1)를 마스터 기기(2)와의 사이에 집중 제어하는 것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즉응성이 요구되는 냉장실 조명기(LED), 워터 디스펜서 등의 슬레이브 기기를 집중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무방한 것이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냉장고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100)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0)와,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0)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2)와, AC 전원(4)에 접속되는 전원 라인(3A), 및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0) 및 마스터 기기(2) 간의 데이터 통신과 함께,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0) 상호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버스(BUS) 라인(3B)을 갖는 전송 경로(3)와, 상기 전송 경로(3) 상에 설치되고, 전송 경로(3)를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부(5)를 포함한다.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0)는 냉장고(100)로서의 기능의 일부를 발휘하는 기기이다. 본 실시형태의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전송 경로(3)(BUS 라인(3B))에 의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슬레이브 기기(10)로서는, 전송 경로(3)에 접속되어 있는 순으로, 인버터(10a), 응축기 팬(10b), 증발기 팬(10c), 증발기 입구 온도 센서(10d), 성에 제거 센서(10e), 성에 제거 히터(10f), 도어 스위치(10g), 냉장고 내부 온도 센서(10h), 냉장고 내부 조명(10k), 냉장고 외부 온도 센서(10m), 냉장고 외부 습도 센서(10n), 조작 표시 패널(10p) 등이다.
각 슬레이브 기기(1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개별적으로, 통신 회로(10A)와, CPU(10B)와 특정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작동부(10C)와, 작동부(10C)의 급전의 ON/OFF를 전환하는 스위치(10D)를 포함한다. 이때, 작동부(10C)에서 발휘하는 특정 기능은 후술하는 스위치, 팬, 센서 등과 같은 냉장고에서 요구되는 작동부(10C)에서의 기능을 의미하는 것이다.
냉장고 내부 조명(10k)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통신 회로(10kA), CPU(10kB), 작동부인 LED(10kC), 및 스위치(10kD)를 갖는다. 여기서, 냉장고 내부 조명(10k) 이외의 각 슬레이브 기기(10)의 구성에 대해서도, 작동부(10C)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냉장고 내부 조명(10k)과 동일하다. 예를 들면, 도어 스위치(10g)라면 작동부(10gC)는 스위치이고, 응축기 팬(10b)이라면, 작동부(10bC)는 팬이고, 냉장고 내부 온도 센서(10h)라면, 작동부(10hC)는 센서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슬레이브 기기(10)의 상태로서 작동부(10C)에 급전되지 않는, 즉 스위치(10D)가 오프(OFF)인 초기 모드(Initial Mode)와, 작동부(10C)에 급전되는, 즉 스위치(10D)가 온(ON)인 노멀 모드(Normal Mode)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모드란, 통신 회로(10A)의 수신 기능이 온(ON), CPU(10B)가 온(ON), 통신 회로(10A)의 송신 기능이 오프(OFF), 작동부(10C)가 오프(OFF)(스위치(10D)가 OFF)인 상태이다. 또한, 노멀 모드란, 통신 회로(10A)의 송수신 기능이 온(ON), CPU(10B)가 온(ON), 작동부(10C)가 온(ON)(스위치(10D가 ON)인 상태이다.
마스터 기기(2)는 도 5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에 의해 각 슬레이브 기기(10)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고, 각 슬레이브 기기(10)를 초기 모드와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터 기기(2)는 슬레이브 기기(10)에 설치된 제어 기판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인버터(10a)의 제어 기판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2)의 상태로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이 온(ON)으로 된 기동 직후 상태이고, 각 슬레이브 기기(10)를 오프(OFF) 상태에서 초기 모드로 전환하는 초기 모드와, 각 슬레이브 기기(10)를 초기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노멀 모드가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기기(2)는 CPU, 내부 메모리, AD 컨버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 회로이고,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CPU 및 주변 기기가 협동함으로써,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 과전류 검지부(2B), 전원 절단부(2C) 등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는 각 슬레이브 기기(1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각 슬레이브 기기(10)를 초기 모드와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의 그 외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과전류 검지부(2B)는 전원 라인(3A)에 설치된 전류 검지부(5)로부터 전류 검출 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전류 검출 신호가 나타낸 전류값이, 미리 정해진 문턱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과전류가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 및 전원 절단부(2C)에 과전류 검지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류 검지부(5)는 냉각실 또는 냉장실 외부에 설치된 AC 제어 기판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버터(10a)의 제어 기판에 설치되어 있다.
전원 절단부(2C)는 과전류 검지부(2B)로부터 과전류 검지 신호를 취득한 경우나,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가 모든 슬레이브 기기(10)의 CPU를 리셋하기 위해서, 모든 슬레이브 기기(10)의 전원 공급을 일시적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100)의 동작의 일례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원이 투입된 직후는 각 슬레이브 기기(10) 및 마스터 기기(2)의 모두가 초기 모드로 기동한다(스텝 1). 그 후, 마스터 기기(2)만이 노멀 모드로 이행한다(스텝 2).
다음으로, 마스터 기기(2)의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는 각 슬레이브 기기(10)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기 설정된 순서로, 각 슬레이브 기기(10)를 초기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해 간다. 구체적으로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는 제1 슬레이브 기기(10)(예를 들면 인버터(10a))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스텝 3), 다음으로, 제2 슬레이브 기기(10)(예를 들면 응축기 팬(10b))를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4). 이와 같이 순차로 슬레이브 기기(10)를 노멀 모드로 전환해 가고, 과전류 검지부(2B)가 과전류를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는 모든 슬레이브 기기(10)를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과전류 검지부(2B)가 과전류를 검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그 일례로서 도 12의 스텝 4에 있어서 제2 슬레이브 기기(10)(예를 들면, 응축기 팬(10b))를 노멀 모드로 전환한 직후에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4에 있어서 제2 슬레이브 기기(10)(예를 들면, 응축기 팬(10b))가 노멀 모드로 전환된 직후에, 예를 들면, 전송 경로(3)를 흐르는 전류값이, 전송 경로(3)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모든 슬레이브 기기(10)의 소비 전력의 합계가 IEC 국제 규격에 정해진 15W가 되는 기 설정된의 문턱값(전송 경로(3)의 전압이 12V의 경우, 1.25 A)을 넘은 경우, 과전류 검지부(2B)는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 및 전원 절단부(2C)로 과전류 검지 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과전류 검지 신호를 취득한 전원 절단부(2C)는 전원 라인(3A)으로의 전원 공급을 일시적으로 절단한다. 또한,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는 과전류 검지 신호를 취득한 직전에 노멀 모드로 전환한 제2의 슬레이브 기기(10)(예를 들면 응축기 팬(10b))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서 판정하여, 그 데이터를 기록한다(스텝 5).
그 후,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는 전원 공급을 재개하고 모든 슬레이브 기기(10)를 초기 모드로 리셋한다(스텝 6). 여기서, 마스터 기기(10)도 초기 모드로 리셋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는 스텝 5에 있어서 판정된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 이외의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0)를, 재차 기 설정된 순서로, 초기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해 간다. 구체적으로는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는 제1의 슬레이브 기기(10)(예를 들면 인버터(10a))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스텝 7), 그 후,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초기 모드로 한 채, 제3 슬레이브 기기(10)(예를 들면 조작 표시 패널(10p))를 노멀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8). 이와 같이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초기 모드로 전환한 채, 그 이외의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0)를 순차로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0f) 이외의 모든 슬레이브 기기(10)는 각각 냉장고(100)로서의 기능의 일부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냉장고(100)에 의하면, 냉장고(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0) 중 일부의 슬레이브 기기(10)에 과전류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슬레이브 기기(10)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고, 그 외의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0)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여 슬레이브 기기(10)의 기능을 발휘시키므로, 냉장고(100) 내부가 냉각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2) 및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0)가 1개의 전송 경로(3)에 의해 루프 형상으로 접속된 경우도, 확실히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검지함과 아울러, 그 외의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0)만을 노멀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0)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여 슬레이브 기기(10)의 기능을 발휘시키므로, 1개의 전송 경로(3)에 의해 마스터 기기(2) 및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0)를 접속하여 배선을 감소시키면서, 냉장고(100) 내부가 냉각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류 검지부(5)를 설치하지 않고, 마스터 기기(2)의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와,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기기(10)의 통신 회로(10A)와의 데이터 통신이 불능이 된 경우에, 상기 슬레이브 기기(10)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고, 그 외의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0)만을 기 설정된 순서로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의 제어 내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스텝 4까지의 제어 내용 및 스텝 6 이후의 제어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4에 있어서 제2 슬레이브 기기(10)(예를 들면 응축기 팬(10b))이 노멀 모드로 전환된 직후, 마스터 기기(2)와 슬레이브 기기(10b) 간에 통신 이상(통신 불능)이 발생한 경우, 슬레이브 기기 제어부(2A)는 슬레이브 기기(10b)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여, 그 데이터를 기록한다(스텝 5).
이에 따라, 냉장고(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0) 중 일부의 슬레이브 기기(10)에 통신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슬레이브 기기(10)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고, 그 외의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0)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여 슬레이브 기기(10)의 기능을 발휘시키므로, 냉장고(100) 내부가 냉각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기(2)가,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기기(10)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한 경우,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0)만을 노멀 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기 설정된 주기로 초기 모드와 노멀 모드로 교대 전환하여, 이상이 해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어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의 이상이 일시적인 것인 경우에, 이상이 해소된 후에는 모든 상기 슬레이브 기기(10)의 기능을 발휘시켜, 냉장고(100)의 기능 모두를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10) 중 어느 하나가, 마스터 기기(2)를 대체하게 되는 예비 마스터 기기로서 정해져 있고, 마스터 기기(2)에 이상이 발생하여 통신 불능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의 판정이 행해져 있지 않다고 예비 마스터 기기가 검지한 경우, 예비 마스터 기기가 마스터 기기(2)를 대체하게 되어, 예비 마스터 기기와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가 통신을 유지하여 운전을 계속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인버터(10a)의 제어 기판상에 설치된 마스터 기기(2)와 슬레이브 기기(10)인 인버터(10a), 응축기 팬(10b), 증발기 팬(10c), 증발기 입구 온도 센서(10d)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인버터(10a)의 제어 기판 자체가 예비 마스터 기기로 정해져 있다. 또한, 인버터(10a) 이외의 슬레이브 기기(10)의 제어 기판(CPU)을 예비 마스터 기기로서 정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냉장고에 있어서, 정상 시에는 마스터 기기(2)가, 각 슬레이브 기기(10)를 제어한다. 한편, 마스터 기기(2)가 고장난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예비 마스터 기기인 인버터(10a)의 제어 기판이, 마스터 기기(2)의 고장을 검지한다(도 13(B)). 그리고, 예비 마스터 기기인 인버터(10a)의 제어 기판이 마스터 기기(2)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그 외의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10)를 제어한다(도 13(C)).
이에 따라, 마스터 기기(2)에 통신 장애 또는 통신 회로의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예비 마스터 기기가 마스터 기기(2)를 대체하게 되어,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와의 통신을 유지함으로써, 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을 발휘시키므로, 냉장고(100) 내부가 냉각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기기 제어 시스템이 탑재된 냉장고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그 밖에, 차재 기기를 제어하는 차재 기기 제어 시스템으로서 적용해도 무방하고, 전철, 비행기, 선박 등의 이동체에 탑재되는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시스템으로서 적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기기 제어 시스템을 냉장고 이외의 가전에 탑재한 것이어도 무방하고, 홈 네트워크 등의 일부로서 적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00: 냉장고
R1: 냉장실
R2: 변온실
R3: 냉동실
1: 슬레이브 기기
2: 마스터 기기
3: 전송로
31: 메인 전송로
32a~32c: 서브 전송로
4a~4c: 차단부
41: 제1 커넥터
42: 제2 커넥터
5: 접속 커넥터

Claims (20)

  1. 복수의 저장실;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설치되어, 각 저장실에 대응하는 저장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
    상기 마스터 기기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실로 각각 연장된 메인 전송로와, 상기 연장된 메인 전송로에 연결되고 각 저장실에 마련된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직렬로 접속하는 복수의 서브 전송로를 포함하는 전송로;
    상기 메인 전송로와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와 상기 메인 전송로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차단부;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 중 적어도 하나와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로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및 상기 마스터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복수의 서브 전송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차단부에 의해 상기 메인 전송로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나머지 서브 전송로에 접속된 슬레이브 기기를 사용하여 계속 운전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추가적인 슬레이브 기기 또는 외부 기기가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메인 전송로를 구성하는 메인 전송선의 일단 및 상기 서브 전송로를 구성하는 서브 전송선의 일단이 이간된 상태로 설치된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 전송선의 일단 및 상기 서브 전송선의 일단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선이 설치된 제2 커넥터를 갖는 냉장고.
  5. 삭제
  6. 복수의 저장실;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설치되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급전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스위치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및 상기 마스터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송로; 및
    상기 전송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기기를 초기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할 때 상기 전류 검지부를 통해 문턱값 이상의 전류값이 검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문턱값 이상의 전류값이 검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기기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고, 나머지 슬레이브 기기만을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초기 모드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작동부에 급전하지 않고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을 동작시키지 않는 모드이고, 상기 노멀 모드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작동부에 급전하여 상기 슬레이브 기기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모드인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기는,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가 검지된 경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모두를 초기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 외의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냉장고.
  8. 복수의 저장실;
    상기 복수의 저장실 각각에 설치되되, 중앙 처리 장치, 통신 회로 및 특정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작동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는 마스터 기기; 및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및 상기 마스터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과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중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기기가 초기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이 불능이 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기기를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로 판정하고, 나머지 슬레이브 기기만을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초기 모드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가 데이터의 수신만을 수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노멀 모드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가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모드인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기기 중 어느 하나는 예비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상기 예비 마스터 기기로 설정된 슬레이브 기기는, 상기 마스터 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된 나머지 슬레이브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노멀모드로 전환된 나머지 슬레이브 기기의 운전이 계속 유지되도록 하는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나머지 슬레이브 기기를 상기 노멀 모드로 전환한 후, 비정상적인 슬레이브 기기를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초기 모드와 상기 노멀 모드로 교대 전환하여, 이상이 해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냉장고.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162723A 2013-11-22 2014-11-20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102254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217 WO2015076595A1 (ko) 2013-11-22 2014-11-20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US15/038,444 US20160292105A1 (en) 2013-11-22 2014-11-20 Device control system and refrigerator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1477 2013-11-22
JP2013241477 2013-11-22
JPJP-P-2013-253779 2013-12-09
JP2013253779 2013-12-09
JPJP-P-2014-152712 2014-07-28
JP2014152712A JP6437231B2 (ja) 2013-11-22 2014-07-28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618A KR20150059618A (ko) 2015-06-01
KR102254226B1 true KR102254226B1 (ko) 2021-05-20

Family

ID=5349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723A KR102254226B1 (ko) 2013-11-22 2014-11-20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143B1 (ko) * 2016-12-16 2018-11-09 주식회사 경동원 캐스케이드 히팅 시스템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0271A1 (en) 2001-06-05 2002-12-0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Wire harness system
US20030193924A1 (en) 1999-09-10 2003-10-16 Stephan Gehring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centralized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anagement
JP3973694B2 (ja) 1996-11-19 2007-09-12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スレーブ局、busシステム、およびbusシステムの駆動方法
JP2013061104A (ja) 2011-09-13 2013-04-04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777B1 (ko) * 1993-03-15 1999-06-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고장진단에 따른 운전제어방법
KR100538052B1 (ko) * 1996-10-18 2006-03-2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조화기
KR20090066829A (ko) * 2007-12-20 200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에어컨의 통신에러 검지시간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3694B2 (ja) 1996-11-19 2007-09-12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スレーブ局、busシステム、およびbusシステムの駆動方法
US20030193924A1 (en) 1999-09-10 2003-10-16 Stephan Gehring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centralized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anagement
US20020180271A1 (en) 2001-06-05 2002-12-0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Wire harness system
JP2013061104A (ja) 2011-09-13 2013-04-04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618A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1278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冷蔵庫
JP5593838B2 (ja) 電算機室空調システム、その冗長コントローラ
US20170005510A1 (en) Maintenance transfer switch
KR20140063381A (ko) 랙 및 랙의 전력제어방법
KR20150050333A (ko) 에너지 하비스트 및 스토리지 시스템 그리고 멀티-센서 모듈
KR102254226B1 (ko)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JP4159243B2 (ja) 冷却貯蔵庫
JP2010032073A (ja) 空調システム
WO2011055205A1 (ja) コンセント及び配電システム
JPH1019437A (ja) ショーケースの温度制御装置
WO2015019464A1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46410A1 (en) Method for creating virtual environmental sensor on a power distribution unit
JPH05280850A (ja) ショーケースの集中制御装置
JP5589719B2 (ja) 多重化システム及び多重化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2015076595A1 (ko)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20150047015A (ko) 냉장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냉장고
CN102420706A (zh) 一种设置在交换机中的管理板以及交换机
JP2017207223A (ja) 冷却制御装置、冷却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冷却システム
CN109442785A (zh) 制冷设备及控制方法
US20230122878A1 (en) Expansion base unit,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02205697A (ja) 人工衛星の統合制御システム
JP2020036402A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3175078B2 (ja) ショーケース等の集中管理装置
JP2005076998A (ja) 冷却装置群の運転制御システム
JP2014055703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