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963B1 -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963B1
KR102253963B1 KR1020190110029A KR20190110029A KR102253963B1 KR 102253963 B1 KR102253963 B1 KR 102253963B1 KR 1020190110029 A KR1020190110029 A KR 1020190110029A KR 20190110029 A KR20190110029 A KR 20190110029A KR 102253963 B1 KR102253963 B1 KR 10225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sludge
screw
input surfac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899A (ko
Inventor
최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씨에스알
최봉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씨에스알, 최봉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씨에스알
Priority to KR1020190110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963B1/ko
Priority to PCT/KR2019/012266 priority patent/WO2021045289A1/ko
Publication of KR20210028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061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탈수 장치는 전면 몸체, 상기 전면 몸체의 측면으로 연결된 복수의 측면 몸체, 상기 복수의 측면 몸체의 후면에 연결된 후면 몸체를 포함하며, 분뇨, 폐수, 물 중 적어도 하나와 혼합된 슬러지를 상부에 개방된 투입 면을 이용하여 투입 받는 본체부; 상기 투입 면을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진동스크린을 이용하여 1차 탈수시키는 진동탈수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스크린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스크린을 거쳐 1차 탈수된 슬러지를 투입 받은 후, 설정 함수율까지 슬러지를 2차 탈수시켜 배출하는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수 장치{DEHYDRAT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 슬러지, 가축분뇨의 처리에는 많은 인력 및 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심지어 악취 등으로 인하여 민원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오랜 세월 동안 계속적인 투자와 개발이 이루어졌으나 만족할 수준의 탈수 성능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7416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가축 분뇨의 탈수 장치 및 그 탈수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선행기술에 따른 탈수 방법은 탈수보조제를 활용하여 탈수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최적의 탈수보조제 사용량과 혼합 시간을 제공할 뿐, 목표하는 함수율을 만족시킬 수 있는 탈수 장치의 개발과는 구성상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동물성 분뇨 및 배설물을 비롯하여 이와 유사한 모든 종류의 유 무기 슬러지를 기구적인 조합을 통해 단계적으로 탈수 처리하여 목표하는 함수율을 만족시킬 수 있는 탈수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 오수 산업 폐수 슬러지 및 동물 배설물 탈수 장치로서, 닭, 오리, 돼지, 소, 말 등의 분뇨 및 배설물을 비롯하여 기타 동물성 분뇨 및 이와 유사한 모든 종류의 유 무기 슬러지를 탈수 처리할 수 있는 탈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뇨, 하수, 폐수, 물과 혼합된 최대 함수율 99%의 슬러지를 진동스크린에서 1차적으로 걸러 탈수시킨 후, 1차 탈수된 슬러지를 제1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에 투입하여 함수율 40~50%의 슬러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탈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제1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된 함수율 40~50%의 슬러지를 전기 또는 포화 스팀 가열 기능을 갖는 제2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에 재차 투입하여 함수율 10~20%의 슬러지로 탈수 건조시킬 수 있는 탈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하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장치는 전면 몸체(111), 상기 전면 몸체(111)의 측면으로 연결된 복수의 측면 몸체(113), 상기 복수의 측면 몸체(113)의 후면에 연결된 후면 몸체(115)를 포함하며, 분뇨, 폐수, 물 중 적어도 하나와 혼합된 슬러지를 상부에 개방된 투입 면(114)을 이용하여 투입 받는 본체부(110); 상기 투입 면(114)을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진동스크린(131)을 이용하여 1차 탈수시키는 진동탈수부(130); 및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스크린(131)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스크린(131)을 거쳐 1차 탈수된 슬러지를 투입 받은 후, 설정 함수율까지 슬러지를 2차 탈수시켜 배출하는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 몸체(111)는 상기 후면 몸체(115)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투입 면(114)은 소정의 경사각(a1)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투입 면(114)의 상단은 상기 후면 몸체(115)의 상단과 동일 높이상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 면(114)의 타단부는 상기 전면 몸체(111)의 상단과 동일 높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스크린(131)은, 상기 투입 면(114)과 동일한 경사각(a1)을 갖도록 상기 투입 면(114)을 가로막아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 면(114)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탈수부(130)는, 상기 진동스크린(131)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모터(133)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모터(133)는, 상기 투입 면(114)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 유닛(135)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상기 진동스크린(131)의 적어도 일면을 향해 진동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135)은, 상기 투입 면(114)의 양측 가장자리를 가로질러 양단이 고정되며, 설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이격하여 서로 평행을 이루어 위치하는 상, 하단 고정 바(1351, 1353)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모터(133)의 일단부는 상기 상단 고정 바(1351)에 위치 구속되고, 상기 진동모터(133)의 타단부는 상기 하단 고정 바(1353)에 위치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진동스크린(131)은, 상기 투입 면(114)과 동일한 경사각(a1)을 갖도록 상기 투입 면(114)을 가로막아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 면(114)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진동스크린(131)은, 상하 방향으로 제1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1 와이어(1311)와, 좌우 방향으로 제2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와이어(1311)에 교차하여 연결되는 제2 와이어(131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 와이어(1311, 1313) 사이에 형성된 격자 공간을 통해 1차 탈수를 위한 탈수 홀(1312)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1311)의 제1 간격은 상기 제2 와이어(1313)의 제2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와이어(1311)의 직경은 상기 제2 와이어(131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 면(114)의 개방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후면 몸체(115)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부(117);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117)의 양측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 몸체(113)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투입 면(114)의 양측을 감싸는 측면 플레이트부(116);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117)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16)의 전방으로 연결되며, 상기 투입 면(114)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전면 몸체(111)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면 도어부(118);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117),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16), 상기 전면 도어부(118)는 상기 본체부(110)와 분리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필요 시 상기 본체부(110)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투입 면(114)의 양측에는 상향 돌출된 결합 돌기(1141)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16)는 상기 결합 돌기(1141)에 의해 안내되어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체형 구조의 커버 형태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악취를 억제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형태의 구조물에는 악취 센서(195)가 더 구비되어 악취의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몸체(115)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출관(1151)이 구비되고, 상기 후면 몸체(115)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결합되는 박스몸체(119)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박스몸체(119)의 하부에는 상기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관(119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측면 몸체(113)의 일측에는 배수관(11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슬러지의 2차 탈수를 위한 이송 및 압축을 담당하는 스크류 및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51); 및 상기 구동모터(151)와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 및 샤프트를 내장하여 슬러지의 2차 탈수를 수행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출수부(159)를 통해 슬러지를 배출하는 제1 드럼 스크류 본체(15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드럼 스크류 본체(153)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원형 관 형상을 갖도록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탈수 와이어(1531); 상기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를 원주 방향으로 감싸 고정하는 제1 원형 프레임(1532); 상기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 감싸 고정하는 제1 원형 프레임(1532); 상기 제1 원형 프레임(1532)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 감싸 고정하며, 상기 제1 원형 프레임(1532)보다 큰 두께를 갖는 복수 개의 제2 원형 프레임(1533); 상기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가 형성하는 원형 관 형상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원형 연결 프레임(1535); 및 상기 복수의 원형 연결 프레임(1535)을 가로질러 상기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제2 원형 프레임(1533)의 외경을 지지 고정하는 복수의 길이 방향 연결 바(153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분뇨, 폐수, 물과 혼합된 최대 함수율 99%의 슬러지를 진동스크린에서 1차적으로 걸러 탈수시킨 후, 1차 탈수된 슬러지를 제1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에 투입하여 함수율 40~50%의 슬러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함수율을 40~50%로 탈수시킬 경우 고액분리 및 퇴비화 작업 없이 슬러지 분뇨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에서 배출되는 2차 탈수된 슬러지를 연결라인(160)을 통해 제공 받아 복수의 스크류 및 샤프트의 회전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3차 탈수를 수행하는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170)는, 2차 탈수된 슬러지를 제공 받아 수용하는 드럼 하우징(171); 상기 드럼 하우징(171)의 내부 공간 일측에서 회전하는 제1 샤프트(172);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샤프트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스크류 유닛(1731, 1732)이 상기 제1 샤프트(172)의 외경을 통해 교대로 결합되는 제1 스크류(173); 상기 드럼 하우징(171)의 내부 공간 타측에 회전하며, 상기 제1 샤프트(17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샤프트(174); 및 상기 제1 스크류 유닛(1731, 173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샤프트(174)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스크류 유닛(1751, 1752)이 상기 제2 샤프트(174)의 외경을 통해 교대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크류(173)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회전하는 제2 스크류(17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170)는, 상기 드럼 하우징(171)의 내, 외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가열하는 전기히터 또는 포화스팀 가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된 함수율 40~50%의 슬러지를 전기 또는 포화 스팀 가열 기능을 갖는 제2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에 재차 투입하여 함수율 10~20%의 슬러지로 탈수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진동탈수부(130), 상기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 상기 드럼 스크류 탈수부(1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 오수 산업 폐수 슬러지 및 동물 배설물 탈수 장치로서, 닭, 오리, 돼지, 소, 말 등의 분뇨 및 배설물을 비롯하여 기타 동물성 분뇨 및 이와 유사한 모든 종류의 유 무기 슬러지를 탈수 처리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뇨, 폐수, 물과 혼합된 최대 함수율 99%의 슬러지를 진동스크린에서 1차적으로 걸러 탈수시킨 후, 1차 탈수된 슬러지를 제1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에 투입하여 함수율 40~50%의 슬러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수 오폐수, 침출수 음폐수, 가축분뇨 등의 함수율을 40~50%로 탈수시킬 수 있어 고액분리 및 퇴비화 작업 없이 슬러지 분뇨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제1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된 함수율 40~50%의 슬러지를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제2 드럼 스크류 탈수장치에 통과시키고 전기 또는 포화 스팀 가열 기능을 갖는 트윈 스크류 탈수 건조 장치에 투입하여 함수율 10~20%의 슬러지로 건조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사에서 또는 트럭으로 수거한 가축 분뇨는 지하수 및 리사이클링한 나노버블 수와 함께 분쇄 믹싱하여 홀딩 탱크에 저장할 수 있다. 슬러지 종류에 따라 초음파 살균 셀 파괴 분해를 하고 천연 응집제 처리를 한 폐수를 펌핑하여 탈수기로 보낸다. 이어서, 진동스크린에서 슬러지는 1차 고액 분리되고,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에서 2차 고액 분리된 후 방출된다. 이후, 고액 분리된 폐수 분뇨는 플라스마 리액터를 통과 하여 폭기 탱크로 이전, 나노버블 처리를 한 후 활성탄 필터 장치를 거쳐 재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에 악취 억제 및 제거를 위한 커버 형태의 구조물 및 컨트롤 패널을 적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 중 제1 드럼 스크류 본체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에 제2 튄 스크류 탈수부가 추가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 중 제2 튄 스크류 탈수부의 세부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탈수 장치로서, 닭, 오리, 돼지, 소, 말 등의 분뇨 및 배설물을 비롯하여 기타 동물성 분뇨 및 이와 유사한 모든 종류의 유 무기 슬러지를 악취를 최소화 혹은 제거하며 탈수 처리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특히, 분뇨, 폐수, 물과 혼합된 최대 함수율 99%의 슬러지를 진동스크린에서 1차적으로 걸러 탈수시킨 후, 1차 탈수된 슬러지를 제1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에 투입하여 함수율 40~50%의 슬러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탈수 장치이다. 필요에 따라 제1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된 함수율 40~50%의 슬러지를 전기 또는 포화 스팀 가열 기능을 갖는 제2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에 재차 투입하여 함수율 10~20%의 슬러지로 탈수 건조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 이며, 도 3은 탈수 장치에 도어 커버 구조물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100)는 본체부(110), 진동탈수부(130),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전면 몸체(111), 상기 전면 몸체(111)의 측면으로 연결된 복수의 측면 몸체(113), 상기 복수의 측면 몸체(113)의 후면에 연결된 후면 몸체(115)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110)는 분뇨, 폐수, 물 중 적어도 하나와 혼합된 슬러지를 상부에 개방된 투입 면(114)을 이용하여 투입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면 몸체(111)는 후면 몸체(115)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투입 면(114)은 소정의 경사각(a1)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입 면(114)의 상단은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갖는 후면 몸체(115)의 상단과 동일 높이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투입 면(114)의 타단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전면 몸체(111)의 상단과 동일 높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수 장치(10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전면 몸체(111)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a1)을 갖는 경사진 투입 면(114)이 마련되고, 이 투입 면(114)을 통해 슬러지의 투입이 가능해질 수 있다.
진동탈수부(130)는 투입 면(114)을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진동스크린(131)을 이용하여 1차 탈수시킨다.
진동스크린(131)은 투입 면(114)과 동일한 경사각(a1)을 갖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진동스크린(131)은 경사진 투입 면(114)을 가로막아 슬러지의 1차 탈수를 수행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진동스크린(131)은 경사진 투입 면(114)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탈수부(130)는 진동모터(133)를 더 포함한다.
진동모터(133)는 진동스크린(131)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진동을 인가하는 모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진동모터(133)는 투입 면(114)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 유닛(135)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진동스크린(131)의 적어도 일면을 향해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스크린(131)은 경사진 투입 면(114)에 마주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일으킬 수 있으며, 또는 좌우 방향으로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진동스크린(131)은 일정 시간 간격마다 상하 방향 진동 및 좌우 방향 진동을 교대로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진 배치 구조를 갖는 진동스크린(131)이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을 함으로써 투입된 슬러지의 1차 탈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정 유닛(135)은 투입 면(114)의 양측 가장자리를 가로질러 양단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유닛(135)은 설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이격하여 서로 평행을 이루어 위치하는 상, 하단 고정 바(1351, 13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 하단 고정 바(1351, 1353)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추가 연결 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유닛(135)은 진동모터(133)의 위치를 고정시켜 진동으로 인해 진동모터(133)의 체결이 해체되거나 또는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진동모터(133)의 일단부(예: 상단부 등)는 상단 고정 바(1351)에 고정되어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진동모터(133)의 타단부(예: 하단부 등)는 하단 고정 바(1353)에 고정되어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모터(133)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어 설치되며, 양단이 투입 면(114)의 가장자리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는 상, 하단 고정 바(1351, 1353)를 통해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진동스크린(131)은 투입 면(114)과 동일한 경사각(a1)을 갖도록 투입 면(114)을 가로막아 경사지게 설치되며, 투입 면(114)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진동스크린(13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제1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어 형성되는 제1 와이어(1311)와, 좌우 방향으로 제2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어 형성되며, 제1 와이어(1311)에 교차하여 연결되는 제2 와이어(13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2 와이어(1311, 1313) 사이에 형성된 격자 공간을 통해 슬러지의 제1 탈수를 위한 가로 방향으로 긴 격자 형상의 탈수 홀(1312)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와이어(1311)의 제1 간격은 제2 와이어(1313)의 제2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와이어(1311)는 상하로 제1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 와이어(1313)는 좌우로 제2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와이어(1311)를 교차하는 방향에서 고정시켜준다.
따라서, 제2 와이어(1313)는 제1 와이어(1311)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제1 와이어(13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스크린(131)에 필요한 구조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진동스크린(131)은 소정의 경사각(a1)을 갖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면서도, 진동모터(133)에 의해 인가된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켜, 투입된 슬러지를 경사 면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서 1차 탈수 작용을 목표하는 수준까지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 시 본체부(110)에 착탈 방식으로 결합 가능한 상부 플레이트부(117), 측면 플레이트부(116), 및 전면 도어부(118)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부(117)는 투입 면(114)의 개방을 차단시키도록 본체부(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플레이트부(117)는 후면 몸체(115)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상에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부(116)는 상부 플레이트부(117)의 양측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측면 몸체(113)의 상부와 연결되는데, 투입 면(114)의 양측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면 도어부(118)는 상부 플레이트부(117)와 측면 플레이트부(116)의 전방으로 연결된다. 전면 도어부(118)는 투입 면(114)의 개폐를 위해 전면 몸체(111)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힌지 등의 관용의 수단을 이용하여 전면 도어부(118)는 양쪽으로 여닫이 구조로 개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부(117), 측면 플레이트부(116), 전면 도어부(118)는 본체부(110)와 분리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필요 시 본체부(110)에 착탈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투입 면(114)의 양측에는 상향 돌출된 결합 돌기(114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측면 플레이트부(116)는 결합 돌기(1141)의 돌출 형상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끼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부(110)에 용이하게 착탈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10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몸체(115)의 하단 중앙에는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출관(115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배출관(1151)은 최종 탈수 과정을 거친 배출 물이 배출되는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면 몸체(115)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결합되는 박스몸체(119)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박스몸체(119)의 하부에는 탈수 장치(100)를 거쳐 탈수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혼합된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관(119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몸체(113)의 일측에는 배수관(11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배수관(1131)은 탈수 과정 시 발생되는 물 또는 액체를 배수할 수 있다.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진동스크린(131)의 하측에 위치하여 진동스크린(131)을 거쳐 1차 탈수된 슬러지를 투입 받은 후, 설정 함수율까지 슬러지를 2차 탈수시켜 배출한다.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는 구동모터(151)와 제1 드럼 스크류 본체(15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51)는 본체부(1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슬러지의 2차 탈수를 위한 이송 및 압축을 담당하도록 내장된 스크류 및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151)는 샤프트를 회전시키는데, 샤프트의 회전 시 샤프트의 외경을 따라 나선형으로 결합된 스크류가 회전하게 되어 슬러지를 이송하면서 동시에 압축하며 슬러지의 2차 탈수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드럼 스크류 본체(153)는 구동모터(151)와 일단부가 연결되며, 스크류 및 샤프트를 내장하여 슬러지의 2차 탈수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출수부(159)를 통해 슬러지를 배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 중 제1 드럼 스크류 본체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드럼 스크류 본체(153)는 탈수 와이어(1531), 제1 원형 프레임(1532), 제2 원형 프레임(1533), 원형 연결 프레임(1535), 및 길이 방향 연결 바(1534)를 포함한다.
탈수 와이어(1531)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 형태의 부재로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원형 관 형상의 드럼 외형을 제공한다. 스크류 및 샤프트는 그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진동탈수부(130)에서 1차 탈수된 슬러지가 투입되어 2차 탈수 작용이 수행된다.
제1 원형 프레임(1532)은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를 원주 방향으로 감싸 고정시킨다. 제1 원형 프레임(1532)에 의해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는 원형 관 형상의 드럼 외형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원형 프레임(1533)은 제1 원형 프레임(1532)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 감싸 고정한다. 다시 말해, 제2 원형 프레임(1533)은 제1 원형 프레임(1532)의 외경을 둘러 감싸면서 반경 방향으로의 구조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탈수 와이어(1531)와 제1 원형 프레임(1532)의 결합을 통해 제공되는 원형 관 형상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복수의 원형 연결 프레임(1535)은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가 형성하는 원형 관 형상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복수의 원형 연결 프레임(1535)은 제2 원형 프레임(1533)보다 큰 두께 및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의 부재로서, 후술할 복수의 길이 방향 연결 바(1534)와 연결되어 제1 드럼 스크류 본체(153)의 구조 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길이 방향 연결 바(1534)는 복수의 원형 연결 프레임(1535)을 가로질러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특히, 복수의 길이 방향 연결 바(1534)는 제2 원형 프레임(1533)의 외경과 접촉 고정되어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는 구조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에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가 추가된 실시 형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에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가 추가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 중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 장치(100)는 진동스크린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1차 탈수시키는 진동 탈수부(130), 슬러지를 2차 탈수시켜 함수율을 40~50%로 탈수시키는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와 함께, 슬러지를 3차 탈수시켜 함수율 10~20%의 슬러지로 탈수 건조시키는 제2 드럼(또는 트윈) 스크류 탈수부(170)를 포함한다.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와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170) 사이에는 연결라인(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170)는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에서 배출되는 2차 탈수된 슬러지를 연결라인(160)을 통해 제공 받아 복수의 스크류 및 샤프트의 회전을 이용하여 슬러지의 3차 탈수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하우징(171), 제1 샤프트(172), 제1 스크류(173), 제2 샤프트(174), 및 제2 스크류(175)를 포함한다.
드럼 하우징(171)은 2차 탈수된 슬러지를 제공 받아 목표하는 10~20% 함수율을 갖도록 슬러지로 탈수 건조시키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72)는 드럼 하우징(171)의 내부 공간 일측에서 회전한다. 제1 스크류(173)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데, 제1 샤프트(172)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스크류 유닛(1731, 1732)이 제1 샤프트(172)의 외경을 통해 교대로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샤프트(174)는 드럼 하우징(171)의 내부 공간 타측에 회전하며, 제1 샤프트(172)와 동일한 방향(R)을 향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스크류(175)는 제1 스크류 유닛(1731, 173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제2 샤프트(174)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스크류 유닛(1751, 1752)이 제2 샤프트(174)의 외경을 통해 교대로 결합된다. 다만, 제2 스크류(175)는 제1 스크류(173)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제1, 2 스크류(173, 175)가 서로 부분적으로 접촉 마찰을 하는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끈적거리는 점성이 높은 슬러지 물질이 제1, 2 스크류에 붙지 않으면서, 슬러지 물질을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회전, 박리,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탈수 건조 효과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튄 스크류 탈수부(170)는 드럼 하우징(171)의 내, 외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가열하는 전기히터 또는 포화스팀 가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기 또는 포화스팀을 이용한 가열을 함으로써 탈수는 물론 건조 공정까지 진행될 수 있다. 건조된 슬러지 물질은 제1, 2 스크류 간의 접촉 마찰에 의해 계속적으로 전단 및 교반 되어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열의 전도율이 높아져 슬러지의 함수율을 10~20% 수준까지 대폭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장치(100)는 컨트롤러(19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컨트롤러(190)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진동탈수부(130),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 드럼 스크류 탈수부(1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컨트롤로(190)의 위치 및 작동 방식은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방식, 예를 들면 유, 무선 제어 가능한 단말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제어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관용의 방식이 이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하수, 오수 산업 폐수 슬러지 및 동물 배설물 탈수 장치로서, 닭, 오리, 돼지, 소, 말 등의 분뇨 및 배설물을 비롯하여 기타 동물성 분뇨 및 이와 유사한 모든 종류의 유 무기 슬러지를 탈수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분뇨, 폐수, 물과 혼합된 최대 함수율 99%의 슬러지를 진동스크린에서 1차적으로 걸러 탈수시킨 후, 1차 탈수된 슬러지를 제1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에 투입하여 함수율 40~50%의 슬러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수 오폐수, 침출수 음폐수, 가축분뇨 등의 함수율을 40~50%로 탈수시킬 수 있어 고액분리 및 퇴비화 작업 없이 슬러지 분뇨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제1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된 함수율 40~50%의 슬러지를 전기 또는 포화 스팀 가열 기능을 갖는 제2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에 재차 투입하여 함수율 10~20%의 슬러지로 탈수 건조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돈사 또는 트럭으로 수거한 가축 분뇨는 나노버블 수와 함께 분쇄 믹싱하여 홀딩 탱크에 저장할 수 있다.
슬러지 종류에 따라 초음파 살균 분해를 하고 비비엔 천연 응집제 처리를 한 다음 폐수를 펌핑하여 슬러지를 탈수기로 보낸다.
이어서, 진동스크린에서 슬러지는 1차 고액 분리되고, 드럼 스크류 탈수 장치에서 2차 고액 분리된 후 방출된다.
이후, 고액 분리된 폐수 분뇨는 플라스마 리액터, 나노버블 처리장치, 활성탄 필터 장치를 거쳐 재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탈수 장치
110: 본체부
111: 전면 몸체
113: 측면 몸체
114: 투입 면
1141: 결합 돌기
115: 후면 몸체
1151: 배출관
116: 측면 플레이트부
117: 상부 플레이트부
118: 전면 도어부
119: 박스몸체
1191: 투입관
130: 진동탈수부
131: 진동스크린
1311: 제1 와이어
1312: 탈수 홀
1313: 제2 와이어
133: 진동모터
135: 고정 유닛
1351: 상단 고정 바
1353: 하단 고정 바
150: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
151: 구동모터
153: 제1 드럼 스크류 본체
1531: 탈수 와이어
1532: 제1 원형 프레임
1533: 제2 원형 프레임
1534: 길이 방향 연결 바
1535: 원형 연결 프레임
159: 제1 출구부
160: 연결라인
170: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
171: 드럼 하우징
172: 제1 샤프트
173: 제1 스크류
1731, 1732: 제1 스크류 유닛
174: 제2 샤프트
175: 제2 스크류
1751, 1752: 제2 스크류 유닛
180: 배출라인
190: 컨트롤러
195: 악취센서

Claims (10)

  1. 전면 몸체(111), 상기 전면 몸체(111)의 측면으로 연결된 복수의 측면 몸체(113), 상기 복수의 측면 몸체(113)의 후면에 연결된 후면 몸체(115)를 포함하며, 분뇨, 폐수, 물 중 적어도 하나와 혼합된 슬러지를 상부에 개방된 투입 면(114)을 이용하여 투입 받는 본체부(110); 상기 투입 면(114)을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진동스크린(131)을 이용하여 1차 탈수시키는 진동탈수부(130); 및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스크린(131)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스크린(131)을 거쳐 1차 탈수된 슬러지를 투입 받은 후, 설정 함수율까지 슬러지를 2차 탈수시켜 배출하는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 면(114)은 소정의 경사각(a1)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투입 면(114)의 상단은 상기 후면 몸체(115)의 상단과 동일 높이상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 면(114)의 하단은 상기 전면 몸체(111)의 상단과 동일 높이상에 위치하며,
    상기 진동스크린(131)은, 상기 투입 면(114)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상기 투입 면(114)을 가로막아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 면(114)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상기 진동스크린(131)은, 상하로 제1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는 제1 와이어(1311)와, 좌우로 제2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을 이루며, 상기 제1 와이어(1311)에 교차하여 연결되는 제2 와이어(131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 와이어(1311, 1313) 사이의 격자 공간을 통해 1차 탈수를 위한 탈수 홀(1312)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와이어(1311)의 제1 간격은 상기 제2 와이어(1313)의 제2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와이어(1311)의 직경은 상기 제2 와이어(131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에서 배출되는 2차 탈수된 슬러지를 연결라인(160)을 통해 제공 받아 슬러지의 3차 탈수를 수행하는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170)는, 2차 탈수된 슬러지를 수용하는 드럼 하우징(171); 상기 드럼 하우징(171)의 내부 공간 일측에서 회전하는 제1 샤프트(172);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샤프트(172)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스크류 유닛(1731, 1732)이 상기 제1 샤프트(172)의 외경을 통해 교대로 결합되는 제1 스크류(173); 상기 드럼 하우징(171)의 내부 공간 타측에 회전하며, 상기 제1 샤프트(17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샤프트(174); 및 상기 제1 스크류 유닛(1731, 173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샤프트(174)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스크류 유닛(1751, 1752)이 상기 제2 샤프트(174)의 외경을 통해 교대로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크류(173)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회전하는 제2 스크류(175);
    를 포함하는 탈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탈수부(130)는,
    상기 진동스크린(131)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모터(133)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모터(133)는,
    상기 투입 면(114)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 유닛(135)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상기 진동스크린(131)의 적어도 일면을 향해 진동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면(114)의 개방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후면 몸체(115)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부(117);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117)의 양측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 몸체(113)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투입 면(114)의 양측을 감싸는 측면 플레이트부(116);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117)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16)의 전방으로 연결되며, 상기 투입 면(114)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전면 몸체(111)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면 도어부(118);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부(117), 상기 측면 플레이트부(116), 상기 전면 도어부(118)는 상기 본체부(110)의 개방된 투입 면(113)을 차폐시키는 일체형 구조의 커버 형태로 이루어져 슬러지의 악취를 억제 또는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몸체(115)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출관(1151)이 구비되고,
    상기 후면 몸체(115)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결합되는 박스몸체(119)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박스몸체(119)의 하부에는 상기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관(119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 스크류 탈수부(150)는,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슬러지의 2차 탈수를 위한 이송 및 압축을 담당하는 스크류 및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51); 및
    상기 구동모터(151)와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스크류 및 샤프트를 내장하여 슬러지의 2차 탈수를 수행하여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출수부(159)를 통해 슬러지를 배출하는 제1 드럼 스크류 본체(153);
    를 포함하는 탈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 스크류 본체(153)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원형 관 형상을 갖도록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탈수 와이어(1531); 및
    상기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를 원주 방향으로 감싸 고정하는 제1 원형 프레임(1532);
    를 포함하는 탈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 스크류 본체(153)는,
    상기 제1 원형 프레임(1532)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 감싸 고정하며, 상기 제1 원형 프레임(1532)보다 큰 두께를 갖는 복수 개의 제2 원형 프레임(1533);
    상기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가 형성하는 원형 관 형상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원형 연결 프레임(1535); 및
    상기 복수의 원형 연결 프레임(1535)을 가로질러 상기 복수 개의 탈수 와이어(15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상기 제2 원형 프레임(1533)의 외경을 지지 고정하는 복수의 길이 방향 연결 바(1534);
    를 포함하는 탈수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럼 스크류 탈수부(170)는,
    상기 드럼 하우징(171)의 내, 외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가열하는 전기히터 또는 포화스팀 가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장치.
KR1020190110029A 2019-09-05 2019-09-05 탈수 장치 KR10225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029A KR102253963B1 (ko) 2019-09-05 2019-09-05 탈수 장치
PCT/KR2019/012266 WO2021045289A1 (ko) 2019-09-05 2019-09-20 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029A KR102253963B1 (ko) 2019-09-05 2019-09-05 탈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899A KR20210028899A (ko) 2021-03-15
KR102253963B1 true KR102253963B1 (ko) 2021-05-20

Family

ID=7485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029A KR102253963B1 (ko) 2019-09-05 2019-09-05 탈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3963B1 (ko)
WO (1) WO2021045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2147A (zh) * 2021-07-15 2021-09-17 杭州江河机电装备工程有限公司 一种分体式圆盘污泥干燥机
CN116282790B (zh) * 2023-02-21 2024-08-09 江苏科技大学 一种蛋鸡粪便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949Y1 (ko) * 2002-03-20 2002-06-21 (주)이앤비코리아 고액분리장치
KR101174603B1 (ko) * 2011-10-05 2012-08-16 천상준 축산용 슬러지 탈수장치
JP2019034293A (ja) * 2017-08-10 2019-03-07 ククジェ エンバイロメンタル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KUKJAE Environmental Technology CO., Ltd. 多段ウェッジスクリーン
JP2019511959A (ja) * 2016-02-19 2019-05-09 マーディキアン,アルバート 廃棄物をプレス処理及び脱水する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853B1 (ko) * 2002-12-26 2003-08-27 김경원 고액분리기
KR100780225B1 (ko) * 2006-02-15 2007-11-28 박진채 고액분리기
KR100931715B1 (ko) * 2007-11-21 2009-12-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심분리형 연속 농축 탈수 장치
CN104619654B (zh) * 2012-09-11 2016-10-26 日本阿尔西株式会社 污泥的脱水处理方法及脱水处理装置
KR20150113735A (ko) * 2014-03-31 2015-10-08 (주) 돈호 고농축 탈수장치
KR20160071022A (ko) * 2014-12-11 2016-06-21 김인식 일체형 준설토 탈수기 및 탈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949Y1 (ko) * 2002-03-20 2002-06-21 (주)이앤비코리아 고액분리장치
KR101174603B1 (ko) * 2011-10-05 2012-08-16 천상준 축산용 슬러지 탈수장치
JP2019511959A (ja) * 2016-02-19 2019-05-09 マーディキアン,アルバート 廃棄物をプレス処理及び脱水するための装置
JP2019034293A (ja) * 2017-08-10 2019-03-07 ククジェ エンバイロメンタル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KUKJAE Environmental Technology CO., Ltd. 多段ウェッジスクリ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899A (ko) 2021-03-15
WO2021045289A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963B1 (ko) 탈수 장치
KR101034569B1 (ko)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WO2011063512A1 (en) Increasing dewatering efficiency by combining electro-osmosis and aeration
KR102243073B1 (ko) 가축분뇨 처리장치
KR20170029992A (ko) 로터리형 친환경 폐기물 발효 건조장치
KR101831188B1 (ko) 악취제거설비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및 분뇨 처리 시스템
JP2005177729A (ja) 脱水装置
JP2004322074A (ja) 脱水装置
KR101662378B1 (ko) 분뇨 고액 분리장치
KR100453418B1 (ko) 축산폐기물 처리장치
KR102545017B1 (ko) 고효율 음식물쓰레기 처리 및 감량장치
KR101666639B1 (ko) 유기성 슬러지 처리용 탈수장치
KR20210055490A (ko) 오물 처리 시스템
KR101036270B1 (ko) 발효화장실의 분뇨고액 분리기구
KR10100433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578047B1 (ko) 오,폐수 슬러지 처리기의 구조
KR20170079908A (ko) 연속처리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WO2007071245A2 (en) Method for separation of waste material and apparatus for such method
KR200267676Y1 (ko) 축산폐기물 처리장치
JPWO2005049502A1 (ja) バイオガス発生後の排水処理システム
KR10106745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장치
KR101469832B1 (ko) 싱크분쇄 음식폐기 협잡물 처리시스템
KR20090093284A (ko) 음식물찌꺼기 가열진동 건조장치
RU220191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ерментац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го навоза
KR101993350B1 (ko) 제습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및 축분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