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962B1 - 몹 헤드 - Google Patents

몹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962B1
KR102253962B1 KR1020190113062A KR20190113062A KR102253962B1 KR 102253962 B1 KR102253962 B1 KR 102253962B1 KR 1020190113062 A KR1020190113062 A KR 1020190113062A KR 20190113062 A KR20190113062 A KR 20190113062A KR 102253962 B1 KR102253962 B1 KR 10225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elements
cavity
mop head
lower opening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229A (ko
Inventor
밍-체 팅
Original Assignee
밍-체 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체 팅 filed Critical 밍-체 팅
Publication of KR20200108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47L13/225Steam 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몹 헤드를 제공하고, 이러한 몹 헤드는 복수의 오목한 연결부로 형성된 몹 헤드 프레임으로서, 각각의 오목한 연결부의 좁은 연결부는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제1 공동부,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및 제2 공동부를 포함하는, 상기 몹 헤드 프레임과, 클리닝 부재를 포함한다. 좁은 연결부의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은 클리닝 부재를 클램프로 고정한다. 제1 공동부와 제2 공동부는 펀치에 의해 좁은 연결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클리닝 부재가 오목한 연결부에서 단단하게 구멍이 뚫리는 것을 허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걸레 헤드{MOP HEAD}
본 발명은 대걸레 헤드(mop head)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청소 부재(cleaning member)에 밀착되게(tightly) 연결될 수 있는 상부 구멍이 없는(upper-hole-free) 오목한 연결부가 있는 대걸레 헤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평평한 대걸레가 더 깊은 청소와 점유 공간의 절약을 위해 낮은 높이의 장점을 갖추고 있어 평탄한 대걸레가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대걸레 스트립, 즉 평평한 대걸레의 면(cotton) 스트립은 평평한 대걸레 자체가 접힌 상태로 청소될 수 있기 때문에 청소에 효과적이고 편리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평평한 대걸레에는 청소와 보관 효과의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평평한 대걸레가 인기를 끌면서 평평한 대걸레 헤드에 대걸레 스트립을 조립하는 고급 조립법이 필요하다.
한 종류의 이전에 알려진 평평한 대걸레들은 복수의 스루홀(through hole)들, 즉 상단 개구부와 하단 개구부가 있는 복수의 연결부를 제공하는 대걸레 해드이다. 평평한 대걸레 헤드에 대걸레 스트립들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방법에서는, 펀치-인(punch-in) 부분이 연결 스루홀의 상단 개구부 외측에서 노출되고 그 후 노출된 펀치-인부의 부피가 팽창하고 그 다음 그러한 펀치-인부가 뒤로 잡아당겨저서 중간 마찰 부분을 통과하도 따라서 스루홀의 중간 마찰 부분에 의해 고착된 대걸레 스트립의 중간 부분을 얻을 때까지, 펀치-인부로서 취해지는, 펀치에 의해 밀리는 대걸레 스트립들의 부분이 연결 스루홀의 하단 개구부로부터서 펀치되고, 그러한 연결 스루홀의 중간 마찰 부분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결 스루홀을 통해 대걸레 스트립을 펀치하기 위해 펀치가 가해진다. 또 다른 조립 방법에서는 노출된 펀치-인부는 위의 조립 후 연결 스루홀의 상단 개구부에서 덮인다.
하지만, 수직 방향의 구멍을 통해 연결되는 위의 평평한 대걸레는 자주 사용한 후 먼지, 먼지 또는 머리카락이 누적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노출된 펀치-인 부와 구멍을 통한 연결 스루홀들의 상단 개구부 사이의 간극(gap)에 누적된다. 따라서 미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청소하는 동안 먼지, 오물 또는 머리카락이 간극에서 분리되거나, 대걸레 헤드가 회전 청소되는 동안 먼지, 오물 또는 머리카락이 탈수(dewater) 탱크로 떨어질 수 있는 결점이 있다. 위의 모든 것을 극복해야 한다.
따라서, 위의 해결책은 상단 개구부에는 없고 하단 개구부에만 있는 오목한 연결부를 가지는 대걸레 헤드 프레임이다. 그러나 상부 개구부가 없는 맵(map) 헤드 프레임의 이러한 오목한 연결부는 조립시 대걸레 헤드 프레임에 청소 부재를 단단히 고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직면한다. 그 이유는, 오목한 연결부의 중간 마찰 부분에 의해 청소부재가 막힐 필요가 있다는 요건에 따라, 펀치를 뒤로 당기고 오목한 연결부로부터 빠져나올 때, 중간 마찰 부분의 구조를 펀치가 파괴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 문제는 해결해야 할 문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 부재를 오목 연결부에 단단히 연결할 수 있는 대걸레 헤드의 평평한 대걸레 헤드 프레임을 위한, 상단 개구는 없고 하부 개구만 있는 오목한 연결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걸레 헤드를 제공하며, 이러한 대걸래 헤드는 대걸레 헤드 프레임과 청소 부재(cleaning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대걸레 헤드 프레임은 금형(mold)을 통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금형은 복수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복수의 오목한 연결부들이 상기 대걸레 헤드 프레임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되고, 각각의 오목한 연결부는 하부 개구, 닫힌 루프부(closed roof portion), 측벽 및 좁은 연결부(narrow connect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대걸레 헤드 프레임의 상부 표면은 상기 닫힌 루프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대걸레 헤드 프레임을 밀봉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하부 개구와 상기 닫힌 루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좁은 연결부는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제1 공동부(first hollow portion),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및 제2 공동부가 차례차례로 상기 측벽을 둘러쌈으로써,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및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이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오목한 연결부의 수직축 쪽으로 연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상기 제1 공동부,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및 상기 제2 공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공동부가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의 일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서 이웃하는 빈 공간(hollow space)이고, 상기 제2 공동부가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의 또 다른 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의 또 다른 측 가장자리 사이에서 이웃하는 빈 공간이고, 상기 제1 공동부는 상기 제2 공동부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닫힌 루프부와 상기 좁은 연결부 사이에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출 성형 후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한 연결부로부터 강제적으로 금형을 벗기기 위해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및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을 눌러 통과하고, 상기 청소 부재는 펀치-인부(punch-in portion), 스퀴즈-인부(squeeze-in portion) 및 넌-스퀴즈-인부(non-squeeze-in portion)를 가지고, 폭과 두께를 갖는 I자형 펀치(I-shaped punch)로 하여금 상기 제1 공동부 및 상기 제2 공동부를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I자형 펀치가 상기 펀치-인부를 눌러서, 상기 펀치-인부와 상기 스퀴즈-인부가 상기 오목한 수용부 내로 압착되고, 그 다음 상기 오목한 연결부로부터 뒤로 당기기 위해 상기 제1 공동부 및 상기 제2 공동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I자형 펀치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에서의 상기 제1 공동부의 제1 빈 폭(first hollow width)과 상기 측벽에서의 상기 제2 공동부의 제2 빈 폭(second hollow width)은 모두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또는 상기 제2 세트의 상기 돌출하는 요소들에 각각 속하는 2개의 이웃하는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들(two neighboring angular protruding elements) 사이의 간격 폭(spacing width)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은 복수의 이웃하는 모서리진 돌출 요소들이고,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은 복수의 이웃하는 모서리진 돌출 요소들이고, 상기 복수의 모서리진 돌출 요소들은 상기 측벽을 둘러싸도록 이웃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제1 공동부의 상기 하부 개구의 2개의 측면(side)들은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제2 공동부의 상기 하부 개구의 2개의 측면들에 평행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은 하부 개구의 방사상 방향으로 연속 두께를 갖는 복수의 돌출하는 요소들이고,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은 하부 개구의 방사상 방향으로 연속 두께를 갖는 복수의 돌출하는 요소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개구와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사이와, 상기 하부 개구와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사이에서, 상기 하부 개구의 축 방향으로 완충 거리(buffering distance)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조물은 청소 부재(2)가 오목한 연결부(11)의 좁은 연결부(15)에 끼였을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연결부(15)를 손상시키지 않고 오목한 연결부(11)로부터 펀치가 나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펀치(P)가 청소 부재(2)를 오목한 연결부(11)에 펀치할 수 있도록 펀치(P)에 인가하는 힘이 더 적을 수 있다. 유사하게, 청소 부재(2)와 좁은 연결부(15) 사이의 연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펀치(P)가 오목한 연결부(11)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펀치(P)에 인가되는 힘도 적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에 장착하는 대걸레 헤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헤드의 대걸레 헤드 프레임의 개략도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헤드의 대걸레 헤드 프레임의 개략도의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헤드의 대걸레 헤드 프레임의 저면도.
도 4b는 대걸레 헤드의 크기와 펀치의 크기를 비교한 것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헤드의 대걸레 헤드 프레임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자형 펀치에 의해 오목한 연결부 내로 펀치되는 청소 부재의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헤드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걸레 헤드를 형성하는 금형들의 개략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고 청구항들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베이스(B), 대걸레 핸들(H) 및 대걸레 헤드(100)을 예시한다. 대걸레 헤드(100)는 대걸레 헤드 프레임(1)과 청소 부재(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2개의 대걸레 헤드(100)들 각각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걸레 헤드 프레임(1)의 상부는 대걸레 베이스(B)의 측부와 저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에서, 2개의 대걸레 헤드들 모두가 대걸레 베이스들과 조립된다. 대걸레 베이스(B)는 마루 걸래질을 허용하기 위해 대걸레 핸드(H)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청소 부재(2)는 무명 스트립(cotton strip)들일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실시예들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헤드(100)의 대걸레 헤드 프레임(1)의 개략도의 저면도를 예시한다. 대걸레 헤드(100)의 저면(bottom surface)(17)은 복수의 오목한 연결부(11)로 형성된다. 오목한 연결부(11)들 각각은 하부 개구(12), 닫힌 루프부(roof portion)(13), 측벽(14) 및 좁은 연결부(15)를 포함한다. 닫힌 루프부(13)의 끝은 대걸레 헤드 프레임(1)의 상부 표면(18)에 의해 밀봉된다. 측벽(14)은 하부 개구(12)와 닫힌 루프부(13) 사이에 배치된다. 즉, 오목한 연결부(11)는 대걸레 헤드 프레임(1)의 저면(17)에 형성된 오목한 공간(recess)이다. 오목한 공간은 그것의개구로서 하부 개구(12)를 가지고 도 3과 같이 대걸레 헤드 프레임(1)의 상부 표면(18)에 의해 밀봉된다. 오목 연결부(11)의 측벽(14)은 원통형 벽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헤드(100)의 대걸레 헤드 프레임(1)의 개략도다. 도 3에 도시된 상부 표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걸레 베이스(B)와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연결부(15)는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 제1 공동부(152),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 및 제2 공동부(154)가 차례차례로 역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4)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2) 및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 및 제2 공동부(154)를 가진다. 도 4a에서와 같이,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므로, 측벽(14)으로부터 오목한 연결부(11)의 수직축 쪽으로 연장된다. 제1 공동부(152)는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의 일측 가장자리(151a)와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의 일측 가장자리(153a) 사이에 이웃하는 속이 빈 공간이다. 제2 공동부(154)는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의 또 다른 측 가장자리(151b)와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의 또 다른 측 가장자리(153b) 사이에서 이웃하는 속이 빈 공간이다. 제1 공동부(152)는 제2 공동부(154)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루프부(13)와 좁은 연결부(15) 사이에 오목한 수용부(16)가 형성된다. 하부 개구(12), 닫힌 루프부(13), 측벽(14) 및 좁은 연결부(15)를 가지는 오목한 연결부(11)의 형성 방법은 다음과 같이 달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2개의 금형(M)이 서로 접근한다. 금형 중 하나는 돌출부(M1)를 가지고 있고 또 다른 금형(M)은 돌출부(M1)에 대응하는 해당 오목부(recess)(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 돌출부(M1)의 외부 표면은 오목한 수용부(16)의 표면을 형성한다. 금형(M)의 돌출하는 부분(M1)들이 또 다른 금형(M)의 대응하는 오목부들 내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2개의 금형이 서로 접근한다. 그런 다음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금형 사이에 사출 성형이 수행된다. 사출 성형 후, 돌출부(M1)는 대응하는 오목부들로부터 뒤로 당겨진다. 뒤로 당김 동작을 통해, 각 돌출부(M1)는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에 의해 삽입되는 것으로부터 변경되어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이 돌출부(M1)에 삽입되는 것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은 돌출부(M1)로부터 강제적으로 금형이 벗겨진다.
도 4b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헤드(100)에서, 측벽(14)에 있는 제1 공동부(152)의 첫 번째 빈 폭(W1)과, 측벽(14)에 있는 제2 공동부(154)의 두 번째 빈 폭(W2)은 둘 다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에 각각 속하는 2개의 이웃하는 모서리진 돌출 요소들(151c, 153c) 사이의 간격 폭(W3, W4)보다 크다.
도 4a, 도 4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빈 폭(W1)은 두 번째 빈 폭(W2)과 동일하다. 펀치(P)의 끝은 폭(W)이 두께(T)보다 큰 I자형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첫 번째 빈 폭(W1)과 두 번째 빈 폭(W2)은 피팅 I자형 펀치(fitting I-shaped punch)(P)의 두께(T)와 같거나 더 크다. 측벽(14)의 직경은 I자형 펀치(P)의 폭(W)과 같거나 더 크다.
도 4a, 도 4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헤드(100)에서는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이 4개의 이웃하는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들(151c)로 형성된다. 각각의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151c)는 측벽(14)에서 인접하게 고리 모양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은 4개의 이웃하는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들(153c)로 형성된다. 각각의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153c)는 측벽(14)에 인접하게 고리 모양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들(151c, 153c)은 청소 부재(2)를 안정화하기 위해 청소 부재(2) 내로 쉽게 관통되도록 예각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은 각각 적어도 2개의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들(151c, 153c)을 가진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헤드(100)에서, 제1 공동부(152)의 하부 개구(12)의 하단은 제2 공동부(154)의 하부 개구(12)의 하단과 평행하다. 제1 공동부(152)의 하부 개구(12)의 더 높은 사이드는 제2 공동부(154)의 하부 개구(12)의 더 높은 사이드와 평행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개구(12)와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 사이에, 그리고 하부 개구(12)와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 사이에서, 하부 개구(12)의 축 방향으로 완충 거리가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M1)가 대응하는 오목한 수용부(16)로부터 뒤로 당겨질 때,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은 측벽(14)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것이다.
도 2, 도 4a, 도 4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걸레 헤드(100)에서는,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이 복수의 돌출하는 요소들이다. 각각의 돌출된 요소는 하단 개구부의 방사상 방향으로 경사지는 하강 두께를 가지고 있다.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은 복수의 돌출하는 요소들이다. 각각의 돌출된 요소는 하부 개구(12)의 방사상 방향으로 경사지는 하강 두께를 가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의 두께, 즉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151c)와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의 두께, 즉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153c)는 측벽(14)으로부터 중앙으로 경사져 하강한다. 게다가,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의 내부 벽 표면들(151d)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의 내부 벽 표면들(153d)은 금형(M)에 대한 강제적인 금형 벗기기(demolding)을 촉진하기 위해 측벽(14)으로부터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부재(2)는 펀치-인부(21), 스퀴즈-인부(22) 및 비-스퀴즈-인부(23)를 가진다. 폭(W)와 두께(T)를 갖는 I자형 펀치(P)로 하여금 제1 공동부(152)와 제2 공동부(154)를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I자형 펀치(P)가 펀치-인부(21)를 눌러서, 펀치-인부(21)와 스퀴즈-인부(22)가 오목한 수용부(16) 내로 압착되고, 그 다음 오목한 연결부(11)로부터 뒤로 당기기 위해 제1 공동부(152)와 제2 공동부(154)를 통과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I자형 펀치(P)가 뒤로 잡아 당겨진다.
도 6 및 도 7은 청소 부재(2)의 스트립들이 삽입되는 것을 보여준다. 좁은 연결부(15)의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은 청소 부재(2)를 클램프한다. 스트립의 구부러진 부분은 펀치-인부(21)이다. 오목한 수용부(16)에서의 스트립의 부분은 스퀴즈-인부(22)이다. 오목한 수용부(16)의 외측에 노출되는 부분은 청소 목적을 위한 비-스퀴즈-인부(23)이다. 본 발명은 이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1개의 스트립 또는 복수의 스트립이 1개의 오목한 수용부(16)에서 압착될 수 있다.
대걸레 헤드 프레임(1)은 금형(M)을 통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대걸레 헤드(100)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들을 예시한다. 금형(M)은 복수의 돌출부(M1)를 가지며, 이에 의해 대걸레 헤드 프레임(1)의 저면(17)에 복수의 오목한 연결부(11)들이 형성된다. 돌출부(M1)의 바닥에 있는 오목한 공간의 모양은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1)의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들(151c)과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153)의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들(153c)의 모양에 대응한다.
위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논의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예들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변경예들은 여전히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취지와 범주 내에 있다.

Claims (6)

  1. 대걸레 헤드(mop head)에 있어서,
    대걸레 헤드 프레임과 청소 부재(cleaning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대걸레 헤드 프레임은 금형(mold)을 통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금형은 복수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복수의 오목한 연결부들이 상기 대걸레 헤드 프레임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되고, 각각의 오목한 연결부는 하부 개구, 닫힌 루프부(closed roof portion), 측벽 및 좁은 연결부(narrow connect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대걸레 헤드 프레임의 상부 표면은 상기 닫힌 루프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대걸레 헤드 프레임을 밀봉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하부 개구와 상기 닫힌 루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좁은 연결부는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제1 공동부(first hollow portion),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및 제2 공동부가 차례차례로 상기 측벽을 둘러쌈으로써,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및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이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오목한 연결부의 수직축 쪽으로 연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상기 제1 공동부,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및 상기 제2 공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공동부가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의 일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서 이웃하는 빈 공간(hollow space)이고, 상기 제2 공동부가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의 또 다른 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의 또 다른 측 가장자리 사이에서 이웃하는 빈 공간이고, 상기 제1 공동부는 상기 제2 공동부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닫힌 루프부와 상기 좁은 연결부 사이에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출 성형 후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한 연결부로부터 강제적으로 금형을 벗기기 위해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및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을 눌러 통과하고,
    상기 청소 부재는 펀치-인부(punch-in portion), 스퀴즈-인부(squeeze-in portion) 및 넌-스퀴즈-인부(non-squeeze-in portion)를 가지고, 폭과 두께를 갖는 I자형 펀치(I-shaped punch)로 하여금 상기 제1 공동부 및 상기 제2 공동부를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I자형 펀치가 상기 펀치-인부를 눌러서, 상기 펀치-인부와 상기 스퀴즈-인부가 상기 오목한 수용부 내로 압착되고, 그 다음 상기 오목한 연결부로부터 뒤로 당기기 위해 상기 제1 공동부 및 상기 제2 공동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I자형 펀치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대걸레 헤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서의 상기 제1 공동부의 제1 빈 폭(first hollow width)과 상기 측벽에서의 상기 제2 공동부의 제2 빈 폭(second hollow width)은 모두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또는 상기 제2 세트의 상기 돌출하는 요소들에 각각 속하는 2개의 이웃하는 모서리진 돌출하는 요소들(two neighboring angular protruding elements) 사이의 간격 폭(spacing width)보다 큰, 대걸레 헤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은 복수의 이웃하는 모서리진 돌출 요소들이고,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은 복수의 이웃하는 모서리진 돌출 요소들이고, 상기 복수의 모서리진 돌출 요소들은 상기 측벽을 둘러싸도록 이웃하게 형성되는, 대걸레 헤드.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제1 공동부의 상기 하부 개구의 2개의 측면(side)들은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제2 공동부의 상기 하부 개구의 2개의 측면들에 평행한, 대걸레 헤드.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은 하부 개구의 방사상 방향으로 연속 두께를 갖는 복수의 돌출하는 요소들이고,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은 하부 개구의 방사상 방향으로 연속 두께를 갖는 복수의 돌출하는 요소들인, 대걸레 헤드.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개구와 상기 제1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사이와, 상기 하부 개구와 상기 제2 세트의 돌출하는 요소들 사이에서, 상기 하부 개구의 축 방향으로 완충 거리(buffering distance)가 형성되는, 대걸레 헤드.
KR1020190113062A 2019-03-06 2019-09-11 몹 헤드 KR102253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107474 2019-03-06
TW108107474A TWI704899B (zh) 2019-03-06 2019-03-06 拖把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229A KR20200108229A (ko) 2020-09-17
KR102253962B1 true KR102253962B1 (ko) 2021-05-20

Family

ID=6790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062A KR102253962B1 (ko) 2019-03-06 2019-09-11 몹 헤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96546B2 (ko)
EP (1) EP3705015B1 (ko)
JP (1) JP6868328B2 (ko)
KR (1) KR102253962B1 (ko)
AU (1) AU2019226154B2 (ko)
PH (1) PH12019000351A1 (ko)
TW (1) TWI7048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5936S1 (en) * 2021-05-28 2022-10-04 Shanghai Xinxie Industrial Co., Ltd. Cleaning brush
USD970139S1 (en) * 2021-07-26 2022-11-15 Tyroler Ltd. Broo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07124U (zh) * 2011-06-24 2012-05-02 嘉华金属(上海)有限公司 清洁框体
CN103784091A (zh) * 2012-11-02 2014-05-14 陈亭洁 拖把头
CN203914806U (zh) * 2014-06-24 2014-11-05 陈火煌 一种拖把头
CN103784090B (zh) * 2012-10-31 2017-06-27 丁明哲 拖把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958A (en) * 1913-04-26 1916-02-01 Frederick Mfg Co Oil-mop.
CA2578752A1 (en) * 2004-09-01 2006-03-16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Dust mop having dust-collecting protrusions
TWM334697U (en) * 2007-11-30 2008-06-21 Kai Internat Entpr Co Ltd Di Clean supply having cleaner and frame body
TWM366368U (en) * 2008-12-08 2009-10-11 Xiao-hong JIANG Improved structure for yarn implanting disk of mop
JP3155557U (ja) * 2009-09-10 2009-11-19 ▲托▼神國際股▲分▼有限公司 モップ
KR20110003070U (ko) * 2009-09-18 2011-03-24 추앙 렁 페이 회전 가능한 자루걸레 및 자루걸레 스트립 파지장치
CN201578191U (zh) * 2009-12-04 2010-09-15 拖神国际股份有限公司 拖把头圆框与棉布条一体成型结合构造
US20110154603A1 (en) * 2009-12-29 2011-06-30 Tuo Shen International Corporation Limited Integral structure of cotton yarn strips and a circular frame body of a mop
CN202069549U (zh) * 2011-04-11 2011-12-14 一加一国际开发股份有限公司 布盘
CN202875265U (zh) * 2012-10-11 2013-04-17 3M中国有限公司 可折叠旋转平板拖把和包括它的清洁工具组件
TWI503096B (zh) * 2012-10-25 2015-10-11 拖把頭
CN103405200A (zh) * 2013-07-09 2013-11-27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自拧干平板拖把
CN105326451A (zh) * 2014-08-06 2016-02-17 丁明哲 插卡式环境清洁装置
JP2017077268A (ja) * 2015-10-19 2017-04-27 株式会社アイセン 清掃具
TWM565545U (zh) * 2018-06-25 2018-08-21 丁明哲 Folding flat mop
TWM582369U (zh) * 2019-03-06 2019-08-21 丁明哲 Mop he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07124U (zh) * 2011-06-24 2012-05-02 嘉华金属(上海)有限公司 清洁框体
CN103784090B (zh) * 2012-10-31 2017-06-27 丁明哲 拖把头
CN103784091A (zh) * 2012-11-02 2014-05-14 陈亭洁 拖把头
CN203914806U (zh) * 2014-06-24 2014-11-05 陈火煌 一种拖把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68328B2 (ja) 2021-05-12
TWI704899B (zh) 2020-09-21
AU2019226154A1 (en) 2020-09-24
KR20200108229A (ko) 2020-09-17
EP3705015A1 (en) 2020-09-09
EP3705015B1 (en) 2022-12-14
US20200281435A1 (en) 2020-09-10
AU2019226154B2 (en) 2021-05-06
JP2020142050A (ja) 2020-09-10
PH12019000351A1 (en) 2020-12-02
TW202033148A (zh) 2020-09-16
US11096546B2 (en)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962B1 (ko) 몹 헤드
EP2037724B1 (en) Fit structure of a housing
CN104395528B (zh) 格栅板的固定装置及用于设置其的固定结构
CA3130800A1 (en) Mop head
TWM582369U (zh) Mop head
KR101332837B1 (ko) 누름구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저장용기
KR20210007779A (ko) 청소 도구
US20110154603A1 (en) Integral structure of cotton yarn strips and a circular frame body of a mop
CN217791726U (zh) 具有加强筋结构的射出钩
CN218520207U (zh) 一种新型防意外的蛋糕盒
KR200339429Y1 (ko)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절첩식 상자
CN212668133U (zh) 一种糖果机
KR200272414Y1 (ko) 손잡이가 탈,부착되는 쓰레받기
JPH032085U (ko)
KR200392904Y1 (ko) 양쪽 걸림이 가능한 패킹 구조를 갖는 떡시루
CN105819067A (zh) 可变形箱子组装体
JPH027825Y2 (ko)
JPS5822214Y2 (ja) 表示片取付装置
JPS5918315Y2 (ja) 乾燥用かご
JP2000016472A (ja) エアゾール式噴出容器
JPH07246118A (ja) 収納ケース
JP3982435B2 (ja) キャビネット
JP3059162U (ja) 連結分離可能な容器
JP3000846U (ja) 工業用機器部品収納器箱の仕切枠構造
TWM474000U (zh) 桶蓋組合及其桶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