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38B1 -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638B1
KR102253638B1 KR1020190045610A KR20190045610A KR102253638B1 KR 102253638 B1 KR102253638 B1 KR 102253638B1 KR 1020190045610 A KR1020190045610 A KR 1020190045610A KR 20190045610 A KR20190045610 A KR 20190045610A KR 102253638 B1 KR102253638 B1 KR 102253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easurement
winding
pressuriz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714A (ko
Inventor
김태동
유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ublication of KR2019012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41Details of apparatus construction, e.g. pump units or housings therefor, cuff pressurising systems, arrangements of fluid conduits or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35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고 측정 대상인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혈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는,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고, 내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직접 압박을 가하도록 구성된 측정용 가압대; 및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정용 가압대를 적어도 일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측정용 가압대를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 부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권취용 가압대; 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용 가압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개방되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사이 지점에서는 상기 권취용 가압대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 {Blood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having cuff with double air pressure unit}
본 발명은 혈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고 측정 대상인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혈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혈압 측정을 위해 피측정자의 신체에 커프를 부착시킨 후 사람이 직접 펌핑하여 커프에 공기를 주입하고 공기압의 변화에 따라 변동하는 수은 막대의 눈금을 읽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피측정자 및 측정자에 의해 측정 결과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혈압 측정 결과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혈압 측정 분야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혈압 측정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혈압 측정 장치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혈압 측정 장치는 각종 센서와 구성을 통해 측정 과정을 전자적으로 처리하고 화면 또는 음성을 통해 측정 결과를 표시한다. 혈압 측정 장치는 커프에 공기압을 가하였다가 천천히 공기압을 뺄 때 동맥혈관 위의 커프에 생기는 압진동 (pressure oscillation) 또는 진동음 (fremitus) 의 크기를 센서에 의해 감지함으로써 비침습적 방식으로 혈압을 측정한다.
혈압 측정 장치는 우선 피측정자의 혈압 측정 부위를 가압함으로써 혈액의 흐름을 차단한다. 차단 시점 이후, 커프의 압박의 정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혈류의 흐름을 재개시키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압진동 또는 진동음을 감지함으로써 압력을 측정한다. 주로 혈압 측정 장치는 장치에 포함된 커프에 공기압을 채워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가압되도록 하고, 커프의 공기압을 서서히 줄이면서 피측정자의 최고혈압, 최저혈압 및 맥박을 측정한다. 커프에 공기압을 꽉 채우면 해당 동맥혈관의 혈액의 흐름이 없어지고 이후 커프의 압력을 서서히 줄이면 어느 시점에 최초로 생긴 혈관의 공간 속으로 혈액이 지나가게 되면서 맥박에 의한 진동 또는 소리가 발생한다. 이후 최대의 진동폭 또는 소리음을 기록하며 커프의 압력이 더욱 빠짐으로 진동 또는 소리는 점점 줄어들다가 결국은 소진된다.
이러한 측정 방식에 따르면, 커프가 피측정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커프에 포함된 센서가 맥박에 의한 진동 또는 소리를 정확히 감지하는 것이 혈압 측정 결과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담보한다. 하지만, 사람마다 신체 부위의 두께 및 형태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측정 시 피측정자가 의도치 않게 움직이는 등 혈압 측정에 있어 다양한 변수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피측정자의 측정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에 커프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혈압 측정 장치의 커프의 구동 방식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a는 커프 (10) 의 측정용 가압대 (11) 가 상완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측정용 가압대 (11) 를 감싸는 압박 벨트 (12) 와 압박 밸트 (12) 를 권취하는 모터 (13) 를 도입한 혈압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커프 (10) 는 밸트 (12) 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측정용 가압대 (11) 가 상완에 보다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커프 (10) 는 밸트 (12) 의 내경을 조절함으로써 측정용 가압대 (11) 에 과도하게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피측정자의 팔의 두께가 커프 (10) 의 직경과 유사하다면 측정용 가압대 (11) 만으로도 적정한 공기압으로 혈압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피측정자의 팔의 두께가 커프 (10) 의 직경과 차이가 큰 경우라면 밸트 (12) 와 모터 (13) 가 있어야 측정용 가압대 (11) 를 상완에 근접하게 배치하여 측정용 가압대 (11) 에 과도하게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a의 커프 (10) 에 따르면, 측정용 가압대 (11) 를 상완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는 있을지라도, 밸트 (12) 와 모터 (13) 에 의해 1차로 압박되는 경우 팔 둘레 방향에 대하여 거의 균등하게 측정용 가압대 (11) 가 압박되기 때문에, 피측정자의 팔이 가는 경우 밸트 (12) 가 팔꿈치를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팔꿈치가 부상하게 되는 경우가 잦다. 팔꿈치가 부상하게 되면 측정 자세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올바른 측정 결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a의 커프 (10) 는 밸트 (12) 와 모터 (13) 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구성을 채용함에 있어 설계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오류가 발생할 문제점도 있다.
도 1b는 측정 시 피측정자의 자세를 모니터링 하고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커프 (20) 에 삽입된 피측정자의 팔꿈치 부분에 근접 센서 (21) 를 배치한 혈압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1b의 커프 (20) 에 따르면, 피측정자의 자세가 측정에 정확하게 위치하였는지 여부는 감지할 수 있지만, 도 1a의 커프 (10) 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팔 둘레 방향에 대하여 거의 균등하게 측정용 가압대 (22) 가 압박되기 때문에, 피측정자의 팔꿈치를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팔꿈치가 부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근접 센서 (21) 의 위치가 측정 대상인 신체 부위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팔꿈치의 위치가 정확한지의 여부가 측정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 10-0195805 호 (발명의 명칭 : 혈압측정기의 커프 자동밴딩장치) 2. 한국 등록특허 제 10-1094163 호 (발명의 명칭 : 근접 센서를 이용하는 혈압 측정 장치 및 방법)
측정용 가압대를 감싸는 압박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압박 수단의 힘을 빌려 측정용 가압대가 측정 대상인 신체 부위에 보다 밀착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이러한 압박 수단으로 압박 벨트와 압박 밸트를 권취하는 모터를 채용한 혈압 측정 장치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압박 벨트와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측정용 가압대에 동력을 제공하는 공기 펌프와는 별도의 동력 수단 (즉, 모터) 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부담이 있고, 서로 상이한 동력 제공 수단에 의해 측정용 가압대와 압박 수단에 가해 지는 힘의 균형을 조절하기 힘든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혈압 측정 장치들은 피측정자의 자세가 흐트러 지는 것 특히, 팔꿈치가 부상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이에 구조적으로 개선된 혈압 측정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측정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는 혈압 측정 장치의 개발을 연구하였다. 연구 끝에,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측정용 가압대 및 측정용 가압대를 감싸는 권취용 가압대를 모두 공기압에 의해 압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신체 부위가 부상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종래의 압박 벨트와 모터를 이용하여 측정용 가압대를 압박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단순해지면서도 균형 있는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혈압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피측정자의 자세가 흐트러 지는 것 특히, 팔꿈치가 부상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중의 가압대를 배치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개선된 커프 구조를 도입한 혈압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커프 내부에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 구성을 도입하여, 움직임을 감지하고 나아가 움직임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측정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킨 혈압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는,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고, 내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직접 압박을 가하도록 구성된 측정용 가압대; 및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정용 가압대를 적어도 일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측정용 가압대를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 부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권취용 가압대; 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용 가압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개방되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사이 지점에서는 상기 권취용 가압대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권취용 가압대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좌우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권취용 가압대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따라 순차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사이 지점에서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위치하고,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상기 커프 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저부에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밀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밀착 감지 스위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밀착 감지 스위치는, 상기 프레임의 저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탄성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 부위의 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정용 가압대 및 상기 권취용 가압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용 가압대는, 상기 측정용 가압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 상기 측정용 가압대로부터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밸브 및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권취용 가압대는, 상기 권취용 가압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 및 상기 권취용 가압대로부터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 및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 압력이 제1 임계 압력부터 상기 제1 임계 압력보다 큰 제2 임계 압력까지 증가하는 제1 구간, 상기 제2 임계 압력부터 상기 제2 임계 압력보다 큰 제3 임계 압력까지 증가하는 제2 구간, 상기 제3 임계 압력에서 상기 제2 임계 압력으로 감소하는 제3 구간 및 상기 제2 임계 압력에서 상기 제1 임계 압력으로 감소하는 제4 구간을 순환 주기로 하여 동작하도록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 및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3 구간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 압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최고 혈압, 최저 혈압 및 맥박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가 상기 권취용 가압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가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구간에서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가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4 구간에서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의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가 상기 권취용 가압대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상기 공기 펌프가 상기 권취용 가압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이전에,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상기 공기 펌프가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로 먼저 기설정된 양의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에 따르면, 측정용 가압대 및 측정용 가압대를 감싸는 권취용 가압대를 모두 공기압에 의해 압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혈압 측정 장치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단순해지면서도 균형 있는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에 따르면, 이중의 가압대로 커프를 구성함에 있어 측정 대상인 신체 부위가 부상하지 않도록 가압대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측정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에 따르면, 커프 내부에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 구성을 도입함으로써, 피측정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나아가 움직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혈압 측정 장치의 커프 구동 방식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 및 커프와 연결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과 비교하여 권취용 가압대가 변형된 커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과 비교하여 커프 가이드 부재가 더 포함된 커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3과 비교하여 변형된 권취용 가압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밀착 감지 스위치가 구비된 커프 및 본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어부가 제1 구간부터 제4 구간까지 측정용 가압대 및 권취용 가압대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제어부가 각 구간에서 공기 펌프 및 배기 밸브를 제어하는 과정을 정리하여 도시한 도표이다.
도 9는 제어부가 각 구간에서 공기 펌프 및 배기 밸브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정을 정리하여 도시한 도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의 측정 대상 신체 부위는 팔의 상완인 것으로 예시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가 상완의 혈압 측정을 위한 것 만으로 한정하기 위한 취지는 아니다.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는 이하의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면서, 커프 내로 삽입된 팔목, 손가락, 종아리 등의 피측정자의 다른 신체 부위를 대상으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 (1000) 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혈압 측정 장치 (1000) 는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 (100) 및 커프 (100) 와 연결된 본체 (200) 를 포함한다.
커프 (100) 는 입구 (111) 및 출구 (112) 를 양 단부로 하여 연장된 공간 상에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된다. 커프 (100) 는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110) 과,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직접 압박을 가하는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측정용 가압대 (120) 를 감싸도록 배치된 권취용 가압대 (130) 를 포함한다.
측정용 가압대 (120) 및 권취용 가압대 (130) 는 커프 (100) 의 내부 주연부에 수납되고, 피측정자의 상완이 커프 (100) 내로 삽입되면, 측정용 가압대 (120) 및 권취용 가압대 (130) 가 공기에 의해 부풀며 측정 부위를 감싸 혈압을 측정한다.
커프 (100) 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삽입되는 각도를 고려하여 본체 (200) 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200) 는 측정용 가압대 (120) 및 권취용 가압대 (130) 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펌프, 측정 회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본체 (200) 는 커프 (100) 에서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210) 와 혈압 측정 장치 (1000) 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력 장치 (220) 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 (210) 로는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공지의 디스플레이 수단 및 스피커 수단이 포함될 수 있고, 입력 장치 (220) 로는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 (1000) 를 온/오프하는 전원 버튼, 혈압 측정을 시작/종료하는 버튼 및 혈압 측정을 긴급으로 정지하는 긴급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체 (200) 는 커프 (100) 로부터 연장되어 커프 (100) 내로 삽입된 피측정자의 하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대 (23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 (1000) 는 본체 (200) 로부터 커프 (100) 의 내면으로 돌출된 밀착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 (1000) 의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 (100)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 및 커프와 연결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과 비교하여 권취용 가압대가 변형된 커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3과 비교하여 커프 가이드 부재가 더 포함된 커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프레임 (110) 은 입구 (111) 및 출구 (112) 가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이고, 프레임 (110) 의 내주연에 측정용 가압대 (120) 및 권취용 가압대 (130) 가 고정된다.
측정용 가압대 (120) 는 내압의 변화에 따라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직접 압박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측정용 가압대 (120) 에 공기가 주입되면 측정용 가압대 (120) 가 팽창되며 측정 대상인 신체 부위에 압박력을 가한다. 여기서 신체 부위는 동맥이 위치하는 상완이고, 측정용 가압대 (120) 는 팽창하여 상완에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측정용 가압대 (120) 는 가압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121) 와 연결되고, 측정용 가압대 (120) 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 (122) 와 공기 공급관 (123) 에 의해 연결된다. 공기 펌프 (122) 로부터 측정용 가압대 (120) 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 (123) 에는 가압 밸브 (124), 미세 배기 밸브 (125) 및 급속 배기 밸브 (126) 가 연결된다.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 압력은 압력 센서 (121) 에 의해 검출되어 A/D 컨버터를 거쳐 제어부 (300) 로 전달된다. 공기 펌프 (122) 는 제어부 (300) 의 제어에 의해 공기 펌프 구동회로의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가압 밸브 (124) 및 배기 밸브 (125, 126) 는 제어부 (300) 의 제어에 의해 가압 밸브 구동회로 및 배기 밸브 구동회로의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권취용 가압대 (130) 는 프레임 (110) 과 측정용 가압대 (120) 의 사이에 개재되어, 측정용 가압대 (120) 를 적어도 일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된다. 권취용 가압대 (130) 에 공기가 주입되면 권취용 가압대 (130) 가 팽창되며 측정용 가압대 (120) 에 압박력을 가한다. 즉, 권취용 가압대 (130) 는 내압의 변화에 따라 측정용 가압대 (120) 를 감싸 압박하고, 측정용 가압대 (120) 가 피측정자의 측정 부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 (1000) 는 측정용 가압대 (120) 를 감싸는 권취용 가압대 (130) 까지 공기가 주입되어 내부 압력에 따라 팽창, 수축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 (1000) 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혈압 측정 장치 (10) 와 달리, 공기를 공급하는 펌프와는 별도로 모터라는 동력수단을 구비할 필요도 없고, 서로 상이한 동력 제공 수단에 의해 힘의 균형을 조절하기 힘든 종래의 문제점도 극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권취용 가압대 (130) 는 권취용 가압대 (130) 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 (132) 와 공기 공급관 (133) 에 의해 연결된다. 공기 펌프 (132) 로부터 권취용 가압대 (130) 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 (133) 에는 급속 배기 밸브 (136) 가 연결된다. 공기 펌프 (132) 는 제어부 (300) 의 제어에 의해 공기 펌프 구동회로의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급속 배기 밸브 (136) 는 제어부 (300) 의 제어에 의해 배기 밸브 구동회로의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한편, 권취용 가압대 (130) 는 측정용 가압대 (120) 와 달리, 압력 센서, 가압 밸브 및 배기 밸브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권취용 가압대 (130) 는 측정용 가압대 (120) 와 달리 점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지 않아도 되고, 측정용 가압대 (120) 를 측정 부위로 안내하는 정도로만 공기가 주입되고 배출되면 되므로, 압력 센서, 가압 밸브 및 배기 밸브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권취용 가압대 (130) 역시 측정용 가압대 (120) 와 같이 압력 센서, 가압 밸브 및 배기 밸브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 (300) 는 A/D 컨버터로부터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공기 펌프 구동회로, 가압 밸브 구동회로 및 배기 밸브 구동회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측정용 가압대 (120) 및 권취용 가압대 (130) 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 (300) 는 본체 (200) 에 형성된 입력 장치 (220) 및 후술할 밀착 감지 스위치 (240) 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용 가압대 (120) 및 권취용 가압대 (130) 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 (300) 는 본체 (200) 에 형성된 표시 장치 (210) 에 측정용 가압대 (120) 에서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 (300) 의 측정용 가압대 (120) 및 권취용 가압대 (130) 의 제어 과정은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권취용 가압대 (130) 는 프레임 (110) 의 저부 (113) 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권취용 가압대 (130) 는 개방된 지점에서 제1 단부 (130a) 및 제2 단부 (130b) 를 가진다. 제1 단부 (130a) 및 제2 단부 (130b) 의 사이 지점에서는 권취용 가압대 (130) 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혈압 측정 장치는 커프 내부에 삽입된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균일한 가압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팔꿈치 등의 신체 부위가 부상하는 문제점이 끊임없이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 (1000) 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용 가압대 (120) 가 상완의 일부만을 덮도록 구성되고 권취용 가압대 (130) 가 제1 단부 (130a) 및 제2 단부 (130b) 를 갖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팔꿈치 등의 신체 부위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때, 권취용 가압대 (130) 의 제1 단부 (130a) 및 제2 단부 (130b) 는 프레임 (110) 의 저부 (113) 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단부 (130a) 및 제2 단부 (130b) 가 고정되지 않은 채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의 일부가 위치하게 되면, 피측정자의 움직임에 따라 권취용 가압대 (130) 가 움직이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다면 권취용 가압대 (130) 의 제1 단부 (130a) 및 제2 단부 (130b)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지 않아 팔꿈치의 부상은 방지할 수 있을지라도, 권취용 가압대 (130) 가 의도된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서 혈압 측정의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팔꿈치의 부상 문제를 해결하며 나아가 측정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권취용 가압대 (130) 의 제1 단부 (130a) 및 제2 단부 (130b) 는 프레임 (110) 의 저부 (113) 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단부 (130a) 및 제2 단부 (130b) 가 고정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 부재가 채용될 수도 있다.
한편, 권취용 가압대 (130) 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용 가압대 (120) 의 전면을 감싸면서 프레임 (110) 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권취용 가압대 (130) 가 측정용 가압대 (120)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측정용 가압대 (120) 의 전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권취용 가압대 (130) 가 복수 개의 조각 편으로 구성되고, 커프 (100) 의 입구 (111) 에서 출구 (112) 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순차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하나의 권취용 가압대 (130) 로 형성되는 경우 커프 (100) 의 입구 (111) 에서 출구 (112) 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권취용 가압대 (130) 의 조각 편이 순차로 배치되는 효과와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권취용 가압대 (130') 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권취용 가압대 (130c) 및 제2 권취용 가압대 (130d) 로 조각 편을 이루면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권취용 가압대 (130c) 및 제2 권취용 가압대 (130d) 는 측정용 가압대 (120) 를 기준으로 (또는, 프레임 (110) 의 저부 (113) 를 기준으로) 프레임 (110) 의 내측 둘레를 따라 좌우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권취용 가압대 (130c) 및 제2 권취용 가압대 (130d) 는 각각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적어도 일부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야 하고, 제1 권취용 가압대 (130c) 및 제2 권취용 가압대 (130d) 가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중첩된 부분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 권취용 가압대 (130c) 및 제2 권취용 가압대 (130d) 가 각각 복수 개의 조각 편으로 구성되고, 커프 (100) 의 입구 (111) 에서 출구 (112) 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순차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권취용 가압대 (130c) 및 제2 권취용 가압대 (130d) 가 각각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 커프 (100) 의 입구 (111) 에서 출구 (112) 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따라 주름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 (1000) 의 커프 (100'') 는 커프 가이드 부재 (14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프 가이드 부재 (140) 는 측정용 가압대 (120) 와 권취용 가압대 (130) 의 사이에 개재되어 측정용 가압대 (120) 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프 가이드 부재 (140) 는 양 끝단이 서로 중첩된 형태로 측정용 가압대 (120) 를 감싸고, 커프 가이드 부재 (140) 는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용 가압대 (130) 에 공기가 주입되어 권취용 가압대 (130) 의 부피가 팽창하게 되면 커프 가이드 부재 (140) 의 양 끝단이 중첩된 면적이 증가하면서 측정용 가압대 (120) 를 측정 부위에 보다 밀착시키게 된다. 반대로, 권취용 가압대 (130) 에 공기가 배출되면서 권취용 가압대 (130) 의 부피가 감소하면 커프 가이드 부재 (140) 가 자체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다만, 이 경우에도 커프 가이드 부재 (140) 는 양 끝단이 서로 중첩된 형태로 측정용 가압대 (120) 를 감싸게 되고, 측정용 가압대 (120) 의 위치 및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5b를 참조하여 변형된 권취용 가압대(13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b는 도 3과 비교하여 변형된 권취용 가압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1000)의 커프 (100''')에서 권취용 가압대(130)는 도 3과 비교하여 프레임 (110) 의 저부 (113) 에 대응되는 지점이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권취용 가압대(130)는 측정 부위의 전체(또는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취용 가입대(13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정 부위의 전체를 감쌀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시된 실시예에서는 권취용 가입대(130)의 형상이 도 5a의 커프(100'')에 대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3 및 도 4의 커프(100, 100')에 대한 실시예에도 도 5b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측정 부위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형상의 권취용 가압대(13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밀착 감지 스위치가 구비된 커프 및 본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 (1000) 는 본체 (200) 로부터 커프 (100) 의 내면으로 돌출된 밀착 감지 스위치 (240) 를 포함한다.
밀착 감지 스위치 (240) 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커프 (100) 내로 삽입되는 경우 저부에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밀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밀착 감지 스위치 (240) 는 권취용 가압대 (130) 의 제1 단부 (130a) 및 제2 단부 (130b) 의 사이 지점에서 위치한다. 밀착 감지 스위치 (240) 는 본체 (200) 로부터 프레임 (110) 의 저부 (113) 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밀착 감지 스위치 (240) 는 하우징 (241) 과 하우징 (241) 의 내부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 (242) 를 포함한다. 밀착 감지 스위치 (240) 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로부터 하우징 (241) 을 통해 탄성체 (242) 에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신체 부위의 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밀착 감지 스위치 (240) 는 예시적으로 텍트 스위치 (TACT switch) 일 수 있다.
밀착 감지 스위치 (240) 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의 자중에 의해 눌림으로써 신체 부위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부 (300) 로 전달한다.
도 7은 제어부가 제1 구간부터 제4 구간까지 측정용 가압대 및 권취용 가압대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제어부가 각 구간에서 공기 펌프 및 배기 밸브를 제어하는 과정을 정리하여 도시한 도표이고, 도 9는 제어부가 각 구간에서 공기 펌프 및 배기 밸브를 제어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정을 정리하여 도시한 도표이다.
제어부 (300) 는 압력 센서 (121) 의해 감지된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 압력에 기초하여,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연결된 공기 펌프 (122), 가압 밸브 (124), 미세 배기 밸브 (125) 및 급속 배기 밸브 (126) 와, 권취용 가압대 (130) 와 연결된 공기 펌프 (132) 및 급속 배기 밸브 (136) 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 (300) 는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 압력이 제1 임계 압력 (P1) 부터 제1 임계 압력보다 큰 제2 임계 압력 (P2) 까지 증가하는 제1 구간 (S1), 제2 임계 압력 (P2) 부터 제2 임계 압력보다 큰 제3 임계 압력 (P3) 까지 증가하는 제2 구간 (S2), 제3 임계 압력 (P3) 에서 제2 임계 압력 (P2) 으로 압력이 감소하는 제3 구간 (S3) 및 제2 임계 압력 (P2) 에서 제1 임계 압력 (P1) 으로 압력이 감소하는 제4 구간 (S4) 을 순환 주기로 하여 측정용 가압대 (120) 및 권취용 가압대 (130) 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 (300) 는 제1 구간 (S1) 에서 권취용 가압대 (130) 와 연결된 공기 펌프 (132) 가 권취용 가압대 (130) 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한다.
제1 구간 (S1) 은 권취용 가압대 (130) 의 내압을 증가시켜 권취용 가압대 (130) 가 측정용 가압대 (120) 를 감싸 압박하고, 측정용 가압대 (120) 가 피측정자의 측정 부위에 가까워지도록 안내하는 구간이다. 이때,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 압력은 제1 임계 압력 (P1) 에서 제2 임계 압력 (P2) 으로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임계 압력 (P1) 은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 (1000) 가 오프된 상태 또는 혈압 측정이 종료된 상태에서의 압력일 수 있고, 제1 임계 압력 (P1) 은 대기압이거나 또는 그와 유사한 수치의 압력일 수 있다. 제2 임계 압력 (P2) 은 측정용 가압대 (120) 가 권취용 가압대 (130) 에 의해 압박됨에 의해, 제1 임계 압력보다 점진적으로 증가한 구간에서의 압력일 수 있다. 제2 임계 압력 (P2) 은 측정용 가압대 (120) 가 피측정자의 측정 부위 측으로 가까워져 측정용 가압대 (120) 가 측정 부위와 맞닿은 상태에서의 압력이고, 이는 반복적인 측정에 의해 미리 설정된 수치의 압력일 수 있다.
제어부 (300) 는 제2 구간 (S2) 에서 권취용 가압대 (130) 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 (132) 의 동작을 정지하고,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연결된 공기 펌프 (122) 가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한다.
제2 구간 (S2) 은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압을 증가시켜 피측정자의 측정 대상 신체 부위를 가압함으로써 혈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구간이다. 이때,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 압력은 제2 임계 압력 (P2) 에서 제3 임계 압력 (P3) 으로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제3 임계 압력 (P3) 은 피측정자의 혈액의 흐름이 차단되어 압력 센서 (121) 로의 압진동이 측정되지 않는 지점에서의 압력일 수 있다.
제어부 (300) 는 제3 구간 (S3) 에서 측정용 가압대 (120) 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 (122) 의 동작을 정지하고,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연결된 미세 배기 밸브 (125) 가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제3 구간 (S3) 은 혈류 차단 시점 이후, 측정용 가압대 (120) 의 압박의 정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혈류의 흐름을 재개시키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압진동을 압력 센서 (121) 로 감지하는 구간이다. 이때,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 압력은 제3 임계 압력 (P3) 에서 다시 제2 임계 압력 (P2) 으로 감소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어느 시점에 최초로 생긴 혈관의 공간 속으로 혈액이 지나가게 되면서 맥박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최대의 진동폭을 기록하며 측정용 가압대 (120) 의 압력이 더욱 빠짐으로 진동이 줄어들다 소진하게 된다.
제어부 (300) 는 제3 구간 (S3) 에서 측정된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 압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피측정자의 최고 혈압, 최저 혈압 및 맥박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 (300) 는 제4 구간 (S4) 에서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연결된 미세 배기 밸브 (125) 의 동작을 정지하고, 권취용 가압대 (130) 와 연결된 급속 배기 밸브 (136) 로부터 권취용 가압대 (130) 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제4 구간 (S4) 은 측정용 가압대 (120) 가 피측정자의 측정 부위에 떨어지도록 권취용 가압대 (130) 가 측정용 가압대 (120) 를 감싸 압박하는 것을 해제하는 구간이다. 이때,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 압력은 제2 임계 압력 (P2) 에서 다시 제1 임계 압력 (P1) 으로 감소하게 되고, 이로써 혈압 측정 장치 (1000) 는 최초 오프된 상태 또는 혈압 측정이 종료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 (300) 는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 압력이 제3 임계 압력 (P3) 보다 커지는 경우 또는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 압력이 비이상적인 패턴을 가지는 경우와 같이 예외적인 이벤트가 발생하면,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연결된 급속 배기 밸브 (126) 및 권취용 가압대 (130) 와 연결된 급속 배기 밸브 (136) 를 동작시켜 측정용 가압대 (120) 및 권취용 가압대 (130) 의 가압력을 일시에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 (300) 가 입력부 (220) 중 혈압 측정을 긴급으로 정지하는 긴급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경우도 급속 배기 밸브 (126, 136) 를 동작시켜 측정용 가압대 (120) 및 권취용 가압대 (130) 의 가압력을 일시에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제1 구간 (S1) 에서 제어부 (300) 는 권취용 가압대 (130) 와 연결된 공기 펌프 (132) 가 권취용 가압대 (130) 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이전에,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연결된 공기 펌프 (120) 가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로 먼저 기설정된 양의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권취용 가압대 (130) 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전, 측정용 가압대 (120) 의 내부로 소정의 공기를 주입하도록 함으로써 권취용 가압대 (130) 가 부풀기 이전에 측정용 가압대 (120) 가 일정 부피로 부풀도록 한다.
본 발명의 혈압 측정 장치 (1000) 는 권취용 가압대 (130) 와는 압력 센서가 연결되지 않고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연결된 압력 센서 (121) 를 통해 측정용 가압대 (120) 및 권취용 가압대 (130) 를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측정용 가압대 (120) 가 제1 임계 압력 (P1) 보다 조금 높은 압력을 갖도록 측정용 가압대 (120) 에 먼저 공기를 주입하고, 이후 권취용 가압대 (130) 에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연결된 압력 센서 (121) 에 센싱되는 압력 수치에 근거하여 권취용 가압대 (130) 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방식에 따르면, 권취용 가압대 (130) 에 별도의 압력 센서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측정용 가압대 (120) 와 연결된 압력 센서 (121) 의 압력 변화를 통해 권취용 가압대 (130) 에 어느 정도의 공기압이 인가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권취용 가압대 (130) 에 의해 측정용 가압대 (120) 가 지나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 혈압 측정 장치
100 …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
110 … 프레임
111 … 입구
112 … 출구
113 … 저부
120 … 측정용 가압대
121 … 압력 센서
122 … 공기 펌프
123 … 공기 공급관
124 … 가압 밸브
125 … 미세 배기 밸브
126 … 급속 배기 밸브
130, 130' … 권취용 가압대
130a … 제1 단부
130b … 제2 단부
132 … 공기 펌프
133 … 공기 공급관
136 … 급속 배기 밸브
140 … 커프 가이드 부재
200 … 본체
210 … 표시 장치
220 … 입력 장치
230 … 지지대
240 … 밀착 감지 스위치
241 … 하우징
242 … 탄성체
300 … 제어부

Claims (11)

  1.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고, 내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직접 압박을 가하도록 구성된 측정용 가압대;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정용 가압대를 적어도 일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측정용 가압대를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 부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권취용 가압대;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압력 센서; 및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상기 권취용 가압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용 가압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개방되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사이 지점에서는 상기 권취용 가압대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용 가압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압력 수치에 근거하여 상기 권취용 가압대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혈압 측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고정되는, 혈압 측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용 가압대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부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좌우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혈압 측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용 가압대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따라 순차로 배치되는, 혈압 측정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의 사이 지점에서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 위치하고,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상기 커프 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저부에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밀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밀착 감지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감지 스위치는,
    상기 프레임의 저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탄성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신체 부위의 밀착 여부를 감지하는, 혈압 측정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용 가압대는, 상기 측정용 가압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 상기 측정용 가압대로부터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밸브 및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권취용 가압대는, 상기 권취용 가압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펌프 및 상기 권취용 가압대로부터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 및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를 제어하는, 혈압 측정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 압력이 제1 임계 압력부터 상기 제1 임계 압력보다 큰 제2 임계 압력까지 증가하는 제1 구간, 상기 제2 임계 압력부터 상기 제2 임계 압력보다 큰 제3 임계 압력까지 증가하는 제2 구간, 상기 제3 임계 압력에서 상기 제2 임계 압력으로 감소하는 제3 구간 및 상기 제2 임계 압력에서 상기 제1 임계 압력으로 감소하는 제4 구간을 순환 주기로 하여 동작하도록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 및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3 구간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 압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최고 혈압, 최저 혈압 및 맥박을 산출하는, 혈압 측정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가 상기 권취용 가압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가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구간에서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공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가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4 구간에서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의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배기 밸브가 상기 권취용 가압대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혈압 측정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권취용 가압대와 연결된 상기 공기 펌프가 상기 권취용 가압대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이전에,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상기 공기 펌프가 상기 측정용 가압대의 내부로 먼저 기설정된 양의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하는, 혈압 측정 장치.
  11.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고, 내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에 직접 압박을 가하도록 구성된 측정용 가압대;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측정용 가압대를 적어도 일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측정용 가압대를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 부위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권취용 가압대;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압력 센서; 및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상기 권취용 가압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용 가압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측정 부위의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용 가압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측정용 가압대와 연결된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압력 수치에 근거하여 상기 권취용 가압대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혈압 측정 장치.
KR1020190045610A 2018-04-18 2019-04-18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 KR102253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68 2018-04-18
KR20180044768 2018-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714A KR20190121714A (ko) 2019-10-28
KR102253638B1 true KR102253638B1 (ko) 2021-05-18

Family

ID=6842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610A KR102253638B1 (ko) 2018-04-18 2019-04-18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146B1 (ko) * 2020-06-22 2023-03-0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혈압을 측정하는 마사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63065B1 (ko) * 2020-09-11 2022-11-04 (주) 새날 응급회복 환자의 뇌 손상 방지장치
KR102305867B1 (ko) 2021-04-16 2021-09-29 (주)이지템 하완압박 혈압 조절기 및 그 조절기의 구동방법
KR102603272B1 (ko) * 2021-08-17 2023-11-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마사지 장치
KR102652702B1 (ko) * 2021-08-10 2024-03-2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마사지 장치
KR102652703B1 (ko) * 2021-08-10 2024-03-2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마사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6713A (ja) * 2006-10-05 2008-04-17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計用カフおよび血圧計
KR101663866B1 (ko) * 2014-06-26 2016-10-10 주식회사 인바디 정확한 측정 자세를 유도하는 혈압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805B1 (ko) 1996-10-05 1999-06-15 박원희 혈압 측정기의 커프 자동 밴딩 장치
JP4470876B2 (ja) * 2005-12-20 2010-06-0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子血圧計
KR100899385B1 (ko) * 2007-06-29 2009-05-27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전자식 혈압계
KR20090029130A (ko) * 2007-09-17 2009-03-20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혈압측정장치
KR101094163B1 (ko) 2011-05-11 2011-12-14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근접 센서를 이용하는 혈압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6713A (ja) * 2006-10-05 2008-04-17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計用カフおよび血圧計
KR101663866B1 (ko) * 2014-06-26 2016-10-10 주식회사 인바디 정확한 측정 자세를 유도하는 혈압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714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638B1 (ko) 이중의 가압대가 구비된 커프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
US11918327B2 (en) Sphygmomanometer,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US11850031B2 (en) Sphygmomanometer,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US20200323446A1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JP2009160016A (ja) 血圧計用カフおよび血圧計
WO2019131237A1 (ja) 血圧測定装置
WO2019131241A1 (ja) 血圧測定装置
WO2019131238A1 (ja) 血圧測定装置
WO2017221627A1 (ja) 血圧計
JP2015036041A (ja) 腕部位圧迫装置、及び血圧測定装置
JP5096176B2 (ja) 自動カフ巻き付け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血圧測定装置
JP5507913B2 (ja) 電子血圧計
JP2004223035A (ja) 脈波測定装置
US20220218216A1 (en) Sphygmomanometer,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603014B1 (ko) 양손 맥진 장치
US11883137B2 (en) Sensor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sensor module,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JP7456214B2 (ja) 流体回路及び血圧測定装置
US20130030311A1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WO2019216432A1 (ja) 駆血補助装置及び駆血帯
WO2019131240A1 (ja) 血圧測定装置
JP7281303B2 (ja) 血圧計
WO2019131239A1 (ja) 血圧測定装置
US20200405162A1 (en) Cuff unit and sphygmomanometer
JP5335498B2 (ja) 血圧計
KR20090029130A (ko) 혈압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