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275B1 -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275B1
KR102253275B1 KR1020200184114A KR20200184114A KR102253275B1 KR 102253275 B1 KR102253275 B1 KR 102253275B1 KR 1020200184114 A KR1020200184114 A KR 1020200184114A KR 20200184114 A KR20200184114 A KR 20200184114A KR 102253275 B1 KR102253275 B1 KR 102253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pin
hole
measuring
c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18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38Gauges with an open yoke and opposed faces, i.e. calipers, in which the internal distance between the faces is fixed, although it may be preadjus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부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데 이용하는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균열부(22)를 사이에 두고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20)(21)에 접착되는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 환형베이스(31)의 상면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고정조(51)에 선 접촉되는 원형측정핀(30); 기준베이스(41)의 상면에 형성되는 기준측정핀(40); 기준측정핀(40)의 일측에 평평하게 형성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에 면 접촉되는 균열폭 측정면(42); 균열폭 측정면(42)과 수평방향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평행안내턱(43)(44); 평행안내턱(43)(44)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이드 리브(61)(62)가 형성되는 슬라이드 바(60); 기준측정핀(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탭구멍(45); 제1탭구멍(45)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슬라이드 바(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63); 장공(63)을 통해 제1탭구멍(45)에 결합되는 바 고정볼트(64); 평행안내턱(43)(44)과 평행면을 이루는 전방측정면(65)과 후방측정면(66); 슬라이드 바(60)의 상면과 원형측정핀(30)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단차측정면(67)(3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Progressive Concrete Crack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진단에 이용하는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내구성 및 구조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균열의 발생이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강도가 낮은 재료이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다. 이러한 콘크리크 균열의 원인은 구조물의 건조 수축이나 과다한 응력의 발생 또는 재료적인 문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균열 중에는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영향이 없는 균열도 있으나 어떤 균열은 구조물의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하고 종국에는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균열의 발생 여부를 조사하여야 하고 특히 진행 중인 균열은 관심을 가지고 관찰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크랙게이지나 스케일루페 등을 이용해서 균열의 진행여부를 측정하였다. 종래의 균열조사는 크랙게이지나 스케일루페 등을 사용하여 특정 지점의 균열폭을 측정한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동일 지점의 균열폭 등의 변화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균열의 진행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균열 조사방법은 크랙게이지나 스케일루페를 특정 위치에 일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측정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46367호(공고일 2015.08.2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68264호(공고일 2006.04.1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21821호(공고일 2017.03.30.)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01838호(공고일 2018.09.27.)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95326호(공고일 2019.07.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후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3차원 측정이 가능한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에 각각 접착되는 환형베이스와 기준베이스; 환형베이스의 상면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의 고정조에 선 접촉되는 원형측정핀; 기준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는 기준측정핀; 기준측정핀의 일측에 평평하게 형성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의 이동조에 면 접촉되는 균열폭 측정면; 기준측정핀의 상단 모서리에서 하측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각각 형성되고, 균열폭 측정면과 수평방향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평행안내턱; 평행안내턱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이드 리브가 전후방 가장자리에서 하측을 향해 형성되고, 기준측정핀의 상단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 기준측정핀의 상면 중심에 형성되는 제1탭구멍; 제1탭구멍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슬라이드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 장공을 통해 제1탭구멍에 결합되는 바 고정볼트; 슬라이드 바의 전후면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평행안내턱과 평행면을 이루는 전방측정면과 후방측정면; 슬라이드 바의 상면과 원형측정핀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단차측정면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원형측정핀의 단차측정면 중심에 형성되는 제2탭구멍; 원형측정핀을 덮고, 제2탭구멍의 중심과 일치되는 제2체결구멍이 상단 중심에 형성되는 제2보호캡; 기준측정핀을 덮고, 제1탭구멍의 중심과 일치되는 제1체결구멍이 상단 중심에 형성되는 제1보호캡; 제1체결구멍과 제2체결구멍을 통해 제1탭구멍과 제2탭구멍에 각각 결합되는 캡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균열폭 측정면에 형성되는 압입구멍; 압입구멍과 동심을 이루도록 기준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는 반원홈; 반원홈을 통해 압입구멍에 삽입되어 접착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의 이동조를 자력에 의해 흡착하는 마그넷 홀더; 기준베이스와 기준측정핀이 만나는 후면에 형성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방지 커팅면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를 기준측정핀(40)에 형성된 평평한 균열폭 측정면(42)에 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고정조(51)는 원형측정핀(30)에 선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가 면 접촉된 기준측정핀(40)을 기준으로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항상 균일한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 정밀도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균열폭 측정면(42)에 설치되는 마그넷 홀더(90)에 의해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를 자력에 의해 흡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버어니어 캘리퍼스(50)에 의한 측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준베이스(41)의 상면에 형성되고 압입구멍(46)과 동심을 이루는 반원홈(47)에 의해 마그넷 홀더(90)를 균열폭 측정면(42)과 기준베이스(41)가 만나는 경계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를 균열폭 측정면(42)과 기준베이스(41)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고정조(51)를 원형측정핀(30)의 외주면에 선 접촉시킨 상태에서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를 슬라이드 바(60)의 후면에 형성된 후방측정면(66)에 면 접촉시키면 콘크리트 구조물(20)(21)의 전후방향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버어니어 캘리퍼스(50)를 수직으로 세워서 하단을 슬라이드 바(60)의 상면에 형성된 단차측정면(67)에 접촉시키고 이동조(52)를 하강시켜서 깊이측정로드(53)의 하단을 원형측정핀(30)의 상단에 형성된 단차측정면(32)에 접촉시키면,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20)(21)의 단차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 고정볼트(64)를 풀면 슬라이드 바(60)를 균열부(22)의 폭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바(60)의 위치를 측정하기 적합한 위치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균열폭 측정면(42)과 직각을 이루는 평행안내턱(43)(44)과 가이드 리브(61)(62)에 의해 슬라이드 바(60)가 수평방향으로 직선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바(60)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보호캡(80)에 의해 기준측정핀(40)을 보호하고 제2보호캡(70)에 의해 원형측정핀(30)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20)(21)에 발생한 균열이 진행되는 동안 기준측정핀(40)과 원형측정핀(30)의 측정면을 먼지, 빗물과 같은 오염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부식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기준측정핀(40)과 기준베이스(41)의 후면에 형성된 간섭방지 커팅면(48)에 의해 버어니어 캘리퍼스(5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을 저면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부의 폭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후방향 어긋남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하방향 단차를 측정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보호캡과 제2보호캡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10을 반대편에서 본 배면측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보호캡과 제2보호캡으로 기준측정핀과 원형측정핀을 덮은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20)(21)에 형성된 균열부(22)를 사이에 두고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20)(21)에 각각 접착되는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 환형베이스(31)의 상면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고정조(51)에 선 접촉되는 원형측정핀(30); 기준베이스(41)의 상면에 형성되는 기준측정핀(40)을 포함한다.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는 콘크리트 구조물(20)(21)의 표면에 접착되며, 원형측정핀(30)의 직경은 환형베이스(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를 콘크리트 구조물(20)(21)의 표면에 설치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의 중심을 서로 어긋나게 설치해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20)(21)의 전후방향 이동거리를 측정할 때 슬라이드 바(60)에 형성된 전방측정면(65)이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고정조(5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균열부(22)의 폭 변화를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버어니어 캘리퍼스(50)는 눈금을 이용해서 길이를 읽는 아날로그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거나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디지털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측정핀(30)과 환형베이스(31)가 만나는 코너부에 환형홈(34)을 형성하면 환형베이스(31)의 상면에 지지되는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고정조(51)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준측정핀(40)의 일측에 평평하게 형성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에 면 접촉되는 균열폭 측정면(42); 기준측정핀(40)의 상단 모서리에서 하측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각각 형성되고, 균열폭 측정면(42)과 수평방향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평행안내턱(43)(44)을 포함한다.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가 균열폭 측정면(42)에 면접촉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고정조(51)는 원형측정핀(30)에 선접촉되도록 해서 항상 균일한 측정값을 얻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평행안내턱(43)(44)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이드 리브(61)(62)가 전후방 가장자리에서 하측을 향해 형성되고, 기준측정핀(40)의 상단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60); 기준측정핀(40)의 상면 중심에 형성되는 제1탭구멍(45); 제1탭구멍(45)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슬라이드 바(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63); 장공(63)을 통해 제1탭구멍(45)에 결합되는 바 고정볼트(64)를 포함한다.
바 고정볼트(64)의 볼트머리를 지지하는 와셔(68)를 구비해서 바 고정볼트(64)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와셔(68)를 통해 슬라이드 바(60)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61)(62)의 하단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측정핀(30)의 단차측정면(32) 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도록 해서 가이드 리브(61)(62)가 원형측정핀(30)의 단차측정면(32)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바(60)의 전후면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평행안내턱(43)(44)과 평행면을 이루는 전방측정면(65)과 후방측정면(66); 슬라이드 바(60)의 상면과 원형측정핀(30)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단차측정면(67)(32)을 포함한다.
전방측정면(65)과 후방측정면(66)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부(22)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분리된 콘크리트 구조물(20)(21)의 전후방향 이동거리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차측정면(67)(32)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20)(21)의 상하방향 단차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측정핀(30)의 단차측정면(32) 중심에 형성되는 제2탭구멍(33); 원형측정핀(30)을 덮고, 제2탭구멍(33)의 중심과 일치되는 제2체결구멍(71)이 상단 중심에 형성되는 제2보호캡(70); 기준측정핀(40)을 덮고, 제1탭구멍(45)의 중심과 일치되는 제1체결구멍(81)이 상단 중심에 형성되는 제1보호캡(80); 제1체결구멍(81)과 제2체결구멍(71)을 통해 제1탭구멍(45)과 제2탭구멍(33)에 각각 결합되는 캡볼트(82)(72)를 포함한다.
제1보호캡(80)과 제2보호캡(70)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베이스(41)와 환형베이스(31)를 콘크리트 구조물(20)(21)에 접착한 후 일정 기간 방치할 때 기준측정핀(40)과 원형측정핀(30)의 측정면을 부식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제1보호캡(80)의 내경은 기준측정핀(4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하고, 제2보호캡(70)의 내경은 원형측정핀(3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특히 제1보호캡(80)으로 기준측정핀(40)을 덮은 상태에서 반원홈(47)을 통해 오염물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원홈(47)에 반원형의 고무바를 끼울 수 있다.
캡볼트(82)(72)를 제1탭구멍(45)과 제2탭구멍(33)에 결합할 때 와셔(73)(83)를 개재시켜서 설치하면 캡볼트(82)(72)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좀 더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균열폭 측정면(42)에 형성되는 압입구멍(46); 압입구멍(46)과 동심을 이루도록 기준베이스(41)의 상면에 형성되는 반원홈(47); 반원홈(47)을 통해 압입구멍(46)에 삽입되어 접착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를 자력에 의해 흡착하는 마그넷 홀더(90)를 포함한다.
반원홈(47)과 압입구멍(46)의 내경을 서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마그넷 홀더(90)와 균열폭 측정면(42)을 서로 동일한 면으로 형성하기 위해 마그넷 홀더(90)를 압입구멍(46)으로 삽입해서 접착한 다음 마그넷 홀더(90)와 균열폭 측정면(42)을 평면 연마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홈(47)과 중심이 일치되게 형성된 압입구멍(46)에 의해 마그넷 홀더(90)가 기준베이스(41)와 기준측정핀(40)이 만나는 경계에 위치되며, 이로 인해 마그넷 홀더(90)의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이동조(52)는 균열폭 측정면(42)과 기준베이스(41)의 상면이 만나는 코너를 향해 밀착된다.
본 발명은 기준베이스(41)와 기준측정핀(40)이 만나는 후면에 형성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50)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방지 커팅면(48)을 포함한다.
간섭방지 커팅면(4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어니어 캘리퍼스(50)가 기준베이스(41)와 기준측정핀(4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균열폭 측정면(42)과 간섭방지 커팅면(48)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균열부(2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된 콘크리트 구조물(20)(21)에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를 설치하는 과정은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를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20)(21)에 밀착시켜서 일정시간 누르고 있으면,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가 콘크리트 구조물(20)(21)의 표면에 접착된다.
이때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하며,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의 사이에 균열부(22)가 위치되어야 한다.
이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부(22)의 폭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고정조(51)와 이동조(52) 간의 간격을 충분히 벌린 다음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를 기준측정핀(40)에 형성된 균열폭 측정면(42)에 밀착시키면서 기준베이스(41)의 상면에 밀착시키면, 마그넷 홀더(90)에 의해 이동조(52)가 균열폭 측정면(4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고정조(51)를 이동시켜서 원형측정핀(30)에 선 접촉시키고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눈금을 읽어서 측정치를 기록한 다음 일정 기간 경과한 후 측정을 반복해서 이전에 측정한 측정치와 비교해서 차이를 얻으면 균열부(22)의 폭 변화량을 알 수 있다.
한편 균열부(22)가 발생한 콘크리트 구조물(20)(21)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를 측정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고정조(51)를 원형측정핀(30)의 외주면에 선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동조(52)를 움직여서 슬라이드 바(60)의 후방측정면(66)에 면 접촉시킨 다음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눈금을 읽으면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20)(21)의 전후방향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균열부(22)가 발생한 콘크리트 구조물(20)(21)은 상하방향 단차에도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측정하기 위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어니어 캘리퍼스(5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단부를 슬라이드 바(60)의 단차측정면(67)에 밀착시키고, 이동조(52)를 움직여서 깊이측정로드(53)의 끝 부분을 원형측정핀(30)의 단차측정면(32)에 접촉시킨 다음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눈금을 읽으면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20)(21)의 단차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버어니어 캘리퍼스(50)를 이용해서 콘크리트 구조물(20)(21)에 발생한 균열부(22)의 좌우방향 거리, 전후방향 거리, 상하방향 단차 측정을 마친 다음 바 고정볼트(64)를 풀어서 슬라이드 바(60)를 기준측정핀(40)으로부터 분리하고, 제1보호캡(80)과 제2보호캡(70)을 기준측정핀(40)과 원형측정핀(30)에 각각 씌운 다음 캡볼트(82)(72)를 이용해서 고정하면, 기준측정핀(40)과 원형측정핀(30)의 측정면을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제1보호캡(80)과 제2보호캡(70)을 제거하고 슬라이드 바(60)를 기준측정핀(40)에 재설치해서 측정을 반복하면 좌우방향 거리, 전후방향 거리, 상하방향 단차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20,21 : 콘크리트 구조물 22 : 균열부
30 : 원형측정핀 31 : 환형베이스
33 : 제2탭구멍 34 : 환형홈
40 : 기준측정핀 41 : 기준베이스
42 : 균열폭 측정면 43,44 : 평행안내턱
45 : 제1탭구멍 46 : 압입구멍
47 : 반원홈 48 : 간섭방지 커팅면
50 : 버어니어 캘리퍼스 51 : 고정조
52 : 이동조 53 : 깊이측정로드
60 : 슬라이드 바 61,62 : 가이드 리브
63 : 장공 64 : 바 고정볼트
65 : 전방측정면 66 : 후방측정면
67,32 : 단차측정면 68,73,83 : 와셔
70 : 제2보호캡 71 : 제2체결구멍
80 : 제1보호캡 81 : 제1체결구멍
82,72 : 캡볼트 90 : 마그넷 홀더

Claims (3)

  1. 콘크리트 구조물(20)(21)에 형성된 균열부(22)를 사이에 두고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20)(21)에 각각 접착되는 환형베이스(31)와 기준베이스(41);
    상기 환형베이스(31)의 상면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고정조(51)에 선 접촉되는 원형측정핀(30);
    상기 기준베이스(41)의 상면에 형성되는 기준측정핀(40);
    상기 기준측정핀(40)의 일측에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에 면 접촉되는 균열폭 측정면(42);
    상기 기준측정핀(40)의 상단 모서리에서 하측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균열폭 측정면(42)과 수평방향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한 쌍의 평행안내턱(43)(44);
    상기 평행안내턱(43)(44)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이드 리브(61)(62)가 전후방 가장자리에서 하측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기준측정핀(40)의 상단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60);
    상기 기준측정핀(40)의 상면 중심에 형성되는 제1탭구멍(45);
    상기 제1탭구멍(45)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바(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63);
    상기 장공(63)을 통해 상기 제1탭구멍(45)에 결합되는 바 고정볼트(64);
    상기 슬라이드 바(60)의 전후면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평행안내턱(43)(44)과 평행면을 이루는 전방측정면(65)과 후방측정면(66);
    상기 슬라이드 바(60)의 상면과 상기 원형측정핀(30)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단차측정면(67)(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측정핀(30)의 단차측정면(32) 중심에 형성되는 제2탭구멍(33);
    상기 원형측정핀(30)을 덮고, 상기 제2탭구멍(33)의 중심과 일치되는 제2체결구멍(71)이 상단 중심에 형성되는 제2보호캡(70);
    상기 기준측정핀(40)을 덮고, 상기 제1탭구멍(45)의 중심과 일치되는 제1체결구멍(81)이 상단 중심에 형성되는 제1보호캡(80);
    상기 제1체결구멍(81)과 제2체결구멍(71)을 통해 상기 제1탭구멍(45)과 제2탭구멍(33)에 각각 결합되는 캡볼트(82)(7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열폭 측정면(42)에 형성되는 압입구멍(46);
    상기 압입구멍(46)과 동심을 이루도록 상기 기준베이스(41)의 상면에 형성되는 반원홈(47);
    상기 반원홈(47)을 통해 상기 압입구멍(46)에 삽입되어 접착되고, 상기 버어니어 캘리퍼스(50)의 이동조(52)를 자력에 의해 흡착하는 마그넷 홀더(90);
    상기 기준베이스(41)와 상기 기준측정핀(40)이 만나는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버어니어 캘리퍼스(50)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방지 커팅면(4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KR1020200184114A 2020-12-28 2020-12-28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KR102253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114A KR102253275B1 (ko) 2020-12-28 2020-12-28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114A KR102253275B1 (ko) 2020-12-28 2020-12-28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275B1 true KR102253275B1 (ko) 2021-05-20

Family

ID=7614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114A KR102253275B1 (ko) 2020-12-28 2020-12-28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2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167B1 (ko) 2022-04-15 2023-03-07 주식회사 모아이앤씨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측정장치
KR102584279B1 (ko) * 2022-07-13 2023-10-05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KR102591856B1 (ko) 2023-04-19 2023-10-23 (주)한림이앤지 건축물 안전진단용 균열 측정 지그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7154A (ko) * 1997-12-29 1999-07-15 이계철 건축물의 안전점검용 균열폭 감시자
KR200272180Y1 (ko) * 2002-01-18 2002-04-17 김각경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확인자
KR100568264B1 (ko) 2003-11-18 2006-04-11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측정기
KR101546367B1 (ko) 2015-05-04 2015-08-24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실시간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 안전진단용 측정기
KR101721821B1 (ko) 2017-02-03 2017-03-30 신윤섭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감지장치
KR101901838B1 (ko) 2018-02-22 2018-09-27 신윤섭 3차원 측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균열 진행 감지장치
KR101995326B1 (ko) 2018-05-08 2019-07-03 (주)우림이엔지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안전 진단 시스템
KR102024803B1 (ko) * 2018-11-19 2019-11-11 주식회사 엠로 IoT를 이용하는 스마트 균열 측정 장치
KR102069126B1 (ko) * 2019-09-04 2020-01-2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7154A (ko) * 1997-12-29 1999-07-15 이계철 건축물의 안전점검용 균열폭 감시자
KR200272180Y1 (ko) * 2002-01-18 2002-04-17 김각경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확인자
KR100568264B1 (ko) 2003-11-18 2006-04-11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측정기
KR101546367B1 (ko) 2015-05-04 2015-08-24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실시간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 안전진단용 측정기
KR101721821B1 (ko) 2017-02-03 2017-03-30 신윤섭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감지장치
KR101901838B1 (ko) 2018-02-22 2018-09-27 신윤섭 3차원 측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균열 진행 감지장치
KR101995326B1 (ko) 2018-05-08 2019-07-03 (주)우림이엔지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안전 진단 시스템
KR102024803B1 (ko) * 2018-11-19 2019-11-11 주식회사 엠로 IoT를 이용하는 스마트 균열 측정 장치
KR102069126B1 (ko) * 2019-09-04 2020-01-2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167B1 (ko) 2022-04-15 2023-03-07 주식회사 모아이앤씨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측정장치
KR102584279B1 (ko) * 2022-07-13 2023-10-05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KR102591856B1 (ko) 2023-04-19 2023-10-23 (주)한림이앤지 건축물 안전진단용 균열 측정 지그
KR102602852B1 (ko) 2023-04-19 2023-11-16 (주)한림이앤지 건축물 안전진단용 균열 측정 지그
KR102613895B1 (ko) 2023-04-19 2023-12-14 (주)한림이앤지 건축물 안전진단용 균열 측정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275B1 (ko)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CN102735557B (zh) 车身薄板疲劳试验装置及测试方法
JP3556663B2 (ja) 機械部品の寸法検査装置
US5377549A (en) Alignment device and method of aligning
CN203337352U (zh) 一种电涡流传感器多通道动态校准装置
CN102183192A (zh) 一种键槽对称度检测装置及对称度检测方法
CN110823066B (zh) 一种内腔直径检测装置及方法
KR102353323B1 (ko)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용 어태치먼트
JPH0376682B2 (ko)
KR102333590B1 (ko) 직진도 측정장치
CN205718796U (zh) 一种悬空轴平行度检测装置
CN211121853U (zh) 一种用于弹性垫层静刚度测试压力机的压紧结构
JP2002255128A (ja) 缶の巻締め部寸法測定装置
JP2005188930A (ja) レール探傷補助具
CN110715596B (zh) 一种滚柱圆度检测装置
CN213022265U (zh) 一种套管柱强度检测治具
CN211668392U (zh) 手持式带表跳动检具
KR101172767B1 (ko) 솔레노이드밸브 홀더 내부 치수의 검사 방법
CN219380447U (zh) 一种无损检测仪用夹持装置
CN219347630U (zh) 一种大孔径串孔同轴度及端面平行度检测用检具
KR101524039B1 (ko) 박판 시편 연마용 치구
CN219957165U (zh) 一种光纤拉力测试设备
CN210741307U (zh) 一种过桥箱轴承孔的圆跳动检测装置
CN219416048U (zh) 一种用于阀杆弯曲度测量的测量仪
CN210464331U (zh) 用于后轮罩内板下延伸板的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