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279B1 -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 Google Patents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279B1
KR102584279B1 KR1020220086573A KR20220086573A KR102584279B1 KR 102584279 B1 KR102584279 B1 KR 102584279B1 KR 1020220086573 A KR1020220086573 A KR 1020220086573A KR 20220086573 A KR20220086573 A KR 20220086573A KR 102584279 B1 KR102584279 B1 KR 102584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horizontal
fixing
crack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진
최필녀
유지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08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2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 G01B3/24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with open yoke, i.e. cali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40Caliper-like sensors
    • G01B2210/42Caliper-like sensors with one or more detectors on a single sid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with a backing surface of support or reference on the other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버니어 캘리퍼스(20)의 고정조(21)가 삽입되는 끼움홈(31)을 갖는 조홀더(30); 조홀더(30)에 형성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연장바(32); 조홀더(30)와 연장바(32)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방지지면(33); 연장바(32)에 형성되는 연장경사면(34); 끼움홈(31)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는 조고정면(31a); 고정조(21)를 압박하는 세트스크류(35); 고정조(21)를 관통해서 조홀더(30)에 결합되는 조고정볼트(36);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에 설치되는 균열거동 측정판(40); 균열거동 측정판(40)에 형성되는 1단지지면(41); 연장바(32)와 만나서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려 밀착되는 역사다리꼴 단면의 수평바(50); 수평바(50)의 상부에 형성되는 역경사 수평기준면(51); 균열거동 측정판(40)과 수평바(50)의 하부에 형성되는 티바(60); 1단지지면(41)보다 높게 형성되는 2단지지면(61); 연장바(32)와 만나서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려 밀착되는 역사다리꼴 단면의 수직바(70); 연장경사면(34)과 밀착되는 역경사 수직기준면(71);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에 설치되는 균열거동 측정봉(8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Crack Variation Measuring Jig for Structural Safety Check}
본 발명은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의 변동을 정밀하게 측정하는데 적용되는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내구성 및 구조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균열의 발생이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강도가 낮은 재료이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다. 이러한 콘크리크 균열의 원인은 구조물의 건조 수축이나 과다한 응력의 발생 또는 재료적인 문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균열 중에는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영향이 없는 균열도 있으나 어떤 균열은 구조물의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하고 종국에는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균열의 발생 여부를 조사하여야 하고 특히 진행 중인 균열은 관심을 가지고 관찰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크랙게이지나 스케일루페를 이용해서 균열의 진행여부를 측정하였다. 종래의 균열조사는 크랙게이지나 스케일루페 등을 사용하여 특정 지점의 균열폭을 측정한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동일 지점의 균열폭 변화를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균열의 진행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균열 측정방법은 크랙게이지나 스케일루페를 특정 위치에 일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측정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46367호(공고일 2015.08.2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68264호(공고일 2006.04.1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21821호(공고일 2017.03.30.)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01838호(공고일 2018.09.27.)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95326호(공고일 2019.07.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의 변동을 편리하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는,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위치한 구조물의 일측표면과 타측표면 간의 거동을 측정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버니어 캘리퍼스의 고정조가 삽입되는 끼움홈을 갖는 조홀더; 조홀더의 일측에 형성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연장바; 조홀더와 연장바의 후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해서 형성되는 후방지지면; 고정조의 고정측정면과 평행하고, 후방지지면과 예각을 이루며, 연장바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장경사면; 연장경사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끼움홈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고, 고정측정면이 밀착되는 조고정면; 조홀더의 측면을 관통해서 조고정면을 향해 고정조를 압박하는 세트스크류; 고정조를 관통해서 조홀더에 결합되는 조고정볼트; 구조물의 일측표면에 설치되는 균열거동 측정판; 후방지지면과 밀착되도록 균열거동 측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1단지지면; 1단지지면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연장바와 만나서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려 밀착되며, 구조물의 일측표면과 타측표면 간의 수직방향 변동거리 측정의 기준이 되는 역사다리꼴 단면의 수평바; 1단지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수평바의 상부에 형성되고, 연장경사면과 밀착되는 역경사 수평기준면; 균열거동 측정판과 수평바의 하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티바; 수평바와 티바의 표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해서 1단지지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2단지지면; 2단지지면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연장바와 만나서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려 밀착되며, 구조물의 일측표면과 타측표면 간의 수평방향 변동거리 측정의 기준이 되는 역사다리꼴 단면의 수직바; 2단지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수직바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연장경사면과 밀착되는 역경사 수직기준면; 구조물의 타측표면에 설치되고, 버니어 캘리퍼스가 갖는 이동조의 이동측정면에 접촉하는 원형단면의 균열거동 측정봉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조고정면과 평행하도록 연장경사면에 형성되는 면취부; 면취부에 형성되는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 수평바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정면이 개방된 수직볼트끼움홈; 수직바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정면이 개방된 수평볼트끼움홈; 수직볼트끼움홈과 수평볼트끼움홈을 통해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에 결합되는 연장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균열거동 측정봉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구조물의 타측표면에 설치되며, 균열거동 측정봉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베이스 원판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수평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역경사 수평기준면과 직각을 이루는 위치결정면; 수평바와 만나서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려 밀착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세팅바; 세팅바의 배면에 형성되고, 1단지지면에 밀착되는 후방밀착면; 후방밀착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세팅바의 하부에 형성되고, 역경사 수평기준면에 밀착되는 세팅경사면; 세팅바의 일측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스바; 스페이스바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정기준면; 세팅바와 스페이스바가 만나는 부위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간섭방지홈; 간섭방지홈의 내벽에 형성되고, 위치결정면에 밀착되는 걸림턱; 스페이스바의 단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행거바; 균열거동 측정봉이 삽입되도록 행거바에 형성되고, 걸림턱으로부터 구멍 중심까지 수평세팅거리를 갖으며, 측정기준면으로부터 구멍 중심까지 수직세팅거리를 갖는 봉삽입구멍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세팅경사면에 형성되는 평면커팅부; 평면커팅부에 형성되는 세팅바 고정용 탭구멍; 수직볼트끼움홈을 통해 세팅바 고정용 탭구멍에 결합되는 세팅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다리꼴 단면의 연장바(32)와 역다사리꼴 단면의 수직바(70)가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홀더(30)와 연장바(32)의 배면에 형성된 후방지지면(33)을 2단지지면(61)에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다리꼴 단면의 연장바(32)와 역다사리꼴 단면의 수평바(50)가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홀더(30)와 연장바(32)의 배면에 형성된 후방지지면(33)을 1단지지면(41)에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정면으로 개방된 수평볼트끼움홈(72)과 수직볼트끼움홈(5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연장바 고정볼트(37)를 연장바(32)에서 분리하지 않고 수평볼트끼움홈(72)과 수직볼트끼움홈(52)에 진입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조립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팅바(90)와 스페이스바(91)의 사이에 형성된 간섭방지홈(93)에 의해 역경사 수평기준면(51)과 위치결정면(53)이 만나는 모서리로 인한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치결정면(53)에 걸리는 걸림턱(93a)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위치결정면(53)으로부터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중심까지의 수평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티바(60)와 수직바(70)의 일측면에 형성된 측면볼트자리부(73)에 의해 연장바 고정볼트(37)의 볼트머리의 돌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조(22)의 이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팅바(90), 스페이스바(91), 걸림턱(93a) 및 행거바(94)에 의해 균열거동 측정판(40)과 균열거동 측정봉(80) 간의 수평세팅거리(X1)와 수직세팅거리(Y1)를 항상 일정하게 해서 설치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균열거동 측정봉(80)이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봉삽입구멍(94h)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과 타측표면(13) 간에 단차가 있는 경우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움직임을 통해 단차를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장바(32)에 형성된 면취부(34c)에 의해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34t)이 역경사 수직기준면(71)과 역경사 수평기준면(51)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역경사 수직기준면(71)과 역경사 수평기준면(51)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측정면(21m)과 평행한 스크류 가압면(21a)이 고정조(21)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트스크류(35)에 의해 고정조(21)를 조홀더(30)에 강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행거바(94)의 배면에 형성된 베이스 이격면(94a)에 의해 행거바(94)와 베이스 원판(81)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홀더를 버니어 캘리퍼스의 고정조로부터 분리한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홀더 및 주변 구성들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균열거동 측정판, 수평바, 수직바, 세팅바, 행거바, 균열거동 측정봉 및 주변 구성들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팅바, 스페이스바, 행거바 및 주변 구성들을 보인 저면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균열거동 측정판, 수평바, 수직바 및 주변 구성들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이용해서 구조물의 일측표면과 타측표면 간의 수평방향 거동을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해서 측정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을 이용해서 구조물의 일측표면과 타측표면 간의 수직방향 거동을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해서 측정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저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팅바와 행거바를 이용해서 균열거동 측정판과 균열거동 측정봉을 구조물의 일측표면과 타측표면에 각각 설치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저면사시도
도 14는 도 8의 정면도
도 15는 도 10의 정면도
도 16은 도 12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바, 스페이스바, 세팅바를 균열거동 측정봉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수평바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보인 정면도
도 18은 도 14의 A-A'선 단면도
도 19는 도 15의 B-B'선 단면도
도 20은 도 16의 C-C'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10)에 발생한 균열부(11)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위치한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과 타측표면(13) 간의 거동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니어 캘리퍼스(20)의 고정조(21)가 삽입되는 끼움홈(31)을 갖는 조홀더(30); 조홀더(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연장바(32); 조홀더(30)와 연장바(32)의 후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해서 형성되는 후방지지면(33); 고정조(21)의 고정측정면(21m)과 평행하고, 후방지지면(33)과 예각을 이루며, 연장바(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장경사면(34)을 포함한다. 도 11에서 보는바와 같이, 버니어 캘리퍼스(20)의 측정 사용시 상기 연장경사면(34)과 후방지지면(33)은 예각을 이루는 하기 수평기준면(51)과 1단지지면(41)과 맞닿아 밀착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게 예각이 이룸이 바람직하고, 예각이 아닌 직각이나 둔각시에는 사용시 연장바(32)의 고정 및 지지작업이 곤란하고 불편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연장바(32)의 연장바 고정볼트(37)의 조임시나 풀림시 그 작업이 불편함은 물론이다.
버니어 캘리퍼스(20)는 도시된 예와 같이 기계식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조와 이동조를 갖는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도시생략)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기계식으로 구성된 버니어 캘리퍼스(20)는, 도 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미자 눈금(23s)을 갖는 어미자(23)에 고정조(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아들자 눈금(24s)을 갖는 슬라이더(24)에 이동조(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어미자 눈금(23s)과 아들자 눈금(24s)은 서로 간격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4)는 어미자(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이동조(22)와 고정조(21)의 사이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데, 아들자 눈금(24s)의 '0' 눈금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좌측의 어미자 눈금(23s)을 소수점 위의 숫자로 읽고, 어미자 눈금(23s)과 일치하는 아들자 눈금(24s)을 소수점 아래의 숫자로 읽어서 길이를 측정하게 된다.
버니어 캘리퍼스가 디지털 방식인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도시생략)에 표시되는 숫자를 읽어서 측정값을 얻을 수 있고,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에 구비된 고정조, 이동조 및 슬라이더의 움직임은 기계식 버니어 캘리퍼스(20)의 고정조(21), 이동조(22) 및 슬라이더(24)의 움직임과 대등하다. 도면 중 부호 25는 버니어 캘리퍼스(20)에 구비된 깊이 측정바를 나타낸 것이다.
조홀더(30)는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을 소재로 해서 절삭가공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연장바(32)는 조홀더(30)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연장바(32)의 길이는 고정조(2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한다.
본 발명은 연장경사면(34)과 평행을 이루도록 끼움홈(31)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고, 고정측정면(21m)이 밀착되는 조고정면(31a); 조홀더(30)의 측면을 관통해서 조고정면(31a)을 향해 고정조(21)를 압박하는 세트스크류(35); 고정조(21)를 관통해서 조홀더(30)에 결합되는 조고정볼트(36)를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조(21)에 적어도 두 개의 홀더체결구멍(21h)을 천공하고, 조홀더(30)에 형성된 끼움홈(31)의 바닥면에는 홀더체결구멍(21h)과 중심이 일치되는 곳에 홀더 고정용 탭구멍(31t)을 형성한다.
이후 조고정볼트(36)를 홀더체결구멍(21h)을 통해 홀더 고정용 탭구멍(31t)에 결합해서 조이면 버니어 캘리퍼스(20)의 고정조(21)가 조홀더(30)에 고정된다.
고정조(21)를 조홀더(30)에 조립할 때 고정조(21)에 형성된 고정측정면(21m)과 끼움홈(31)의 내벽에 형성된 조고정면(31a)이 서로 밀착되도록 해야만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고정볼트(36)를 약간 느슨하게 풀어서 고정조(21)가 끼움홈(31)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다음 조홀더(30)에 형성된 스크류 탭구멍(30t)에 세트스크류(35)를 나사 결합해서 세트스크류(35)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조(21)가 세트스크류(35)에 의해 이동되면서 고정측정면(21m)이 끼움홈(31)의 내벽에 형성된 조고정면(31a)에 밀착되는데, 이때 풀어져 있던 조고정볼트(36)를 돌려서 다시 강하여 조이면 고정조(21)가 조홀더(30)에 고정된다.
세트스크류(35)는 한 개를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세트스크류(35)로 구성한 경우 짧은 세트스크류(35)는 고정조(21)의 평평한 면을 압박하도록 하고, 긴 세트스크류(35)는 고정조(21)에 형성된 스크류 가압면(21a)을 압박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세트스크류(35)의 선단에 접촉하는 스크류 가압면(21a)은 고정측정면(21m)과 평행을 이루도록 절삭공구에 의해 평면 커팅하거나 연마해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에 설치되는 균열거동 측정판(40); 후방지지면(33)과 밀착되도록 균열거동 측정판(40)의 표면에 형성되는 1단지지면(41)을 포함한다.
균열거동 측정판(40)은 예를 들면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균열거동 측정판(40)은, 도 19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열거동 측정판(40)과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 간에 일정한 두께의 접착층(12g)이 형성되도록 접착제를 이용해서 균열거동 측정판(40)의 배면을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에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1단지지면(41)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연장바(32)와 만나서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려 밀착되며,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과 타측표면(13) 간의 수직방향 변동거리 측정의 기준이 되는 역사다리꼴 단면의 수평바(50); 1단지지면(41)과 예각을 이루도록 수평바(50)의 상부에 형성되고, 연장경사면(34)과 밀착되는 역경사 수평기준면(51)을 포함한다.
수평바(50)의 하부는 예를 들면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거동 측정판(40)의 하단부와 일치된 표면을 갖도록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균열거동 측정판(40)과 수평바(50)의 하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티바(60); 수평바(50)와 티바(60)의 표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해서 1단지지면(41)보다 높게 형성되는 2단지지면(61)을 포함한다.
티바(60)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거동 측정판(40) 및 수평바(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1단지지면(41)과 2단지지면(61)은 서로 단차를 두고 평행한 면이 되도록 형성한다.
즉,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으로부터 1단지지면(41)까지의 거리보다 2단지지면(61)까지의 거리가 더 멀게 형성한다.
본 발명은 2단지지면(61)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연장바(32)와 만나서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려 밀착되며,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과 타측표면(13) 간의 수평방향 변동거리 측정의 기준이 되는 역사다리꼴 단면의 수직바(70); 2단지지면(61)과 예각을 이루도록 수직바(70)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연장경사면(34)과 밀착되는 역경사 수직기준면(71)을 포함한다.
수직바(70)는 예를 들면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거동 측정판(40), 수평바(50) 및 티바(6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에 설치되고, 버니어 캘리퍼스(20)가 갖는 이동조(22)의 이동측정면(22m)에 접촉하는 원형단면의 균열거동 측정봉(80)을 포함한다.
균열거동 측정봉(80)과 하기의 베이스 원판(81)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이용해서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특히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외주면은 이동조(22)의 이동측정면(22m)과 접촉되기 때문에 정밀측정을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성형하거나 연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고정면(31a)과 평행하도록 연장경사면(34)에 형성되는 면취부(34c); 면취부(34c)에 형성되는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34t); 수평바(50)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정면이 개방된 수직볼트끼움홈(52); 수직바(70)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정면이 개방된 수평볼트끼움홈(72); 수직볼트끼움홈(52)과 수평볼트끼움홈(72)을 통해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34t)에 결합되는 연장바 고정볼트(37)를 포함한다.
면취부(34c)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34t)을 역경사 수평기준면(51)과 역경사 수직기준면(71)으로부터 이격시켜서 거친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34t)으로 인해 역경사 수평기준면(51)과 역경사 수직기준면(71)의 매끈한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면취부(34c)는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34t)을 가공할 때 탭가공 공구의 진입을 직각으로 유도해서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공구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홀더(30)의 끼움홈(31)으로 향하는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34t)은 막힌 구멍으로 형성해서 연장바 고정볼트(37)가 조고정면(31a)을 뚫고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끼움홈(31)을 향하지 않는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34t)은 관통형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수직볼트끼움홈(52)은, 연장바(32)에 조립된 연장바 고정볼트(37)를 분리하지 않고 수직볼트끼움홈(52)을 향해 정면에서 삽입하면서 연장바(32)를 수평바(50)에 신속하게 걸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연장바(32)를 수평바(50)에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수평볼트끼움홈(72)도, 연장바(32)에 조립된 연장바 고정볼트(37)를 분리하지 않고 수평볼트끼움홈(72)을 향해 정면에서 삽입하면서 연장바(32)를 수직바(70)에 신속하게 걸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연장바(32)를 수직바(70)에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연장바 고정볼트(37)는 도시된 예와 같이 볼트머리(부호생략)를 손으로 돌릴 수 있는 핸들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1, 도 4, 도 9, 도 14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바(60)와 수직바(70)의 측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측면볼트자리부(73)를 형성해서 연장바 고정볼트(37)의 볼트머리가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볼트자리부(73)는 티바(60)와 수직바(70)의 경량화에도 도움이 되지만, 특히 연장바 고정볼트(37)의 볼트머리 돌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조(22)의 가동범위를 증대시겨 버니어 캘리퍼스(20)의 측정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 티바(60)의 위치를 한쪽으로 편중되게 형성해서 균열거동 측정판(40)과 수평바(50)의 하부에 하부볼트자리부(54)를 형성하면, 연장바 고정볼트(37) 및 세팅바 고정볼트(95)의 볼트머리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에도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은 균열거동 측정봉(80)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에 설치되며,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베이스 원판(81); 수평바(5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역경사 수평기준면(51)과 직각을 이루는 위치결정면(53)을 포함한다.
균열거동 측정봉(80)과 베이스 원판(81)은 도 1, 도 4, 도 8, 도 12, 도 13, 도 16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환봉을 소재로 해서 절삭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특히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외주면은 버니어 캘리퍼스(20)의 이동조(22)와 접촉하는 피측정면이기 때문에 균열거동 측정봉(80)의 표면을 정밀하게 연마하면 측정 정밀도 향상에 도움이 되고, 이러한 정밀도 향상을 통해 균열의 미세 거동을 측정할 수 있다.
베이스 원판(81)은 도 20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원판(81)과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 간에 일정한 두께의 접착층(13g)이 형성되도록 접착제를 이용해서 베이스 원판(81)의 배면을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에 접착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16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원판(81)과 행거바(94)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 이격면(94a)을 행거바(94)의 배면에 형성하면, 베이스 원판(81)을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에 접착시킬 때 베이스 원판(81)과 행거바(94)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평바(50)와 만나서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려 밀착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세팅바(90); 세팅바(90)의 배면에 형성되고, 1단지지면(41)에 밀착되는 후방밀착면(90a); 후방밀착면(90a)과 예각을 이루도록 세팅바(90)의 하부에 형성되고, 역경사 수평기준면(51)에 밀착되는 세팅경사면(90b)을 포함한다.
세팅바(90)는 연장바(32)와 동일한 단면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고, 세팅바(90)에 형성된 후방밀착면(90a)과 세팅경사면(90b)도 연장바(32)에 형성된 후방지지면(33)과 연장경사면(34)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팅바(90)의 일측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스바(91); 스페이스바(91)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정기준면(92); 세팅바(90)와 스페이스바(91)가 만나는 부위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간섭방지홈(93); 간섭방지홈(93)의 내벽에 형성되고, 위치결정면(53)에 밀착되는 걸림턱(93a)을 포함한다.
스페이스바(91)는 세팅바(90)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고, 스페이스바(91)와 행거바(94)는 ㄱ자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간섭방지홈(93)은, 수평바(50)에 형성된 역경사 수평기준면(51)과 위치결정면(53)이 만나는 모서리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간섭방지홈(93)을 통해 밀착부위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93a)을 위치결정면(53)에 밀착시키면 위치결정면(53)으로부터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중심까지 거리인 수평세팅거리(X1)를 향상 일정하게 세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페이스바(91)의 단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행거바(94); 균열거동 측정봉(80)이 삽입되도록 행거바(94)에 형성되고, 걸림턱(93a)으로부터 구멍 중심까지 수평세팅거리(X1)를 갖으며, 측정기준면(92)으로부터 구멍 중심까지 수직세팅거리(Y1)를 갖는 봉삽입구멍(94h)을 포함한다.
행거바(94)는 균열거동 측정봉(80)을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에 설치할 때 균열거동 측정판(40)과 균열거동 측정봉(80) 간의 위치를 일정하게 세팅하기 위한 것이다.
봉삽입구멍(94h)에 균열거동 측정봉(80)이 정밀하게 끼워맞춤되도록 봉삽입구멍(94h)의 내주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며, 균열거동 측정봉(80)이 봉삽입구멍(94h)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균열거동 측정봉(80)과 봉삽입구멍(94h)이 미세한 간극을 갖고 끼워맞춤되고, 봉삽입구멍(94h)은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을 향해 원형으로 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팅경사면(90b)에 형성되는 평면커팅부(90c); 평면커팅부(90c)에 형성되는 세팅바 고정용 탭구멍(90t); 수직볼트끼움홈(52)을 통해 세팅바 고정용 탭구멍(90t)에 결합되는 세팅바 고정볼트(95)를 포함한다.
평면커팅부(90c)는 연장바(32)에 형성된 면취부(34c)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세팅바 고정볼트(95)도 연장바 고정볼트(37)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세팅바 고정볼트(95)의 볼트머리(부호생략)도 연장바 고정볼트(37)와 마찬가지로 손으로 돌릴 수 있는 핸들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구조물(10)에 발생된 균열부(11)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균열부(11)를 사이에 두고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과 타측표면(13)에 각각 균열거동 측정판(40)과 균열거동 측정봉(80)을 설치한 다음 수평, 수직방향 거리를 측정해서 위치를 기록하고, 주기적으로 치수를 측정해서 이전 측정값과 비교하면 균열의 변동량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 도 5, 도 12, 도 13, 도 16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바(90)는 수평바(50)에 조립하고, 균열거동 측정봉(80)은 행거바(94)에 형성된 봉삽입구멍(94h)에 삽입한 상태에서 균열거동 측정판(40)과 베이스 원판(81)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과 타측표면(13)에 각각 접착하면 균열거동 측정판(40)과 균열거동 측정봉(80) 간의 상하좌우 위치를 일정하게 해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팅바(90)와 수평바(50)의 조립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 도 12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바(90)에 설치된 세팅바 고정볼트(95)를 수직볼트끼움홈(52)에 삽입하고, 세팅바(90)의 배면에 형성된 후방밀착면(90a)을 1단지지면(41)에 밀착시키면서 세팅바(90)에 형성된 세팅경사면(90b)을 수평바(50)에 형성된 역경사 수평기준면(51)에 밀착시키면 세팅바(90)가 수평바(50)에 밀착된다.
이때 세팅바(90)를 길이 방향으로 움직여서 걸림턱(93a)을 위치결정면(53)에 밀착시키면, 걸림턱(93a)으로부터 봉삽입구멍(94h)의 중심까지의 수평세팅거리(X1)를 위치결정면(53)에서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중심까지의 수평거리와 일치시킬 수 있다.
또, 균열거동 측정봉(80)이 봉삽입구멍(94h)에 삽입되면, 스페이스바(91)에 형성된 측정기준면(92)으로부터 봉삽입구멍(94h)의 중심까지의 거리인 수직세팅거리(Y1)로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수직위치가 결정된다.
이후 세팅바 고정볼트(95)를 조임 방향으로 돌리면 세팅바 고정볼트(95)의 볼트머리는 하부볼트자리부(54)에 밀착되고, 세팅바(90)는 수평바(5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밀착되는데, 이때 사다리꼴 단면의 세팅바(90)와 역사다리꼴 단면의 수평바(50)가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리면서 세팅바(90)와 수평바(50) 간에 강한 체결력이 얻어진다.
균열거동 측정봉(80)은 봉삽입구멍(94h)에 정밀한 간극으로 헐겁게 삽입되어 있으므로, 균열거동 측정봉(80)은 항상 봉삽입구멍(94h)를 따라 자유롭게 움직인다.
균열거동 측정판(40)과 균열거동 측정봉(80)을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과 타측표면(13)에 설치할 때 일측표면(12)과 타측표면(13) 간에 단차가 있는 경우 균열거동 측정봉(80)이 봉삽입구멍(94h)를 따라 움직이면서 단차를 흡수한다.
이때 균열거동 측정봉(80)을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을 향해 적절한 압력으로 밀면 베이스 원판(81)을 타측표면(13)에 강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9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과 균열거동 측정판(40)의 사이에 위치된 접착층(12g)이 경화되고, 도 20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과 베이스 원판(81)의 사이에 위치된 접착층(13g)도 경화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바(90)에서 세팅바 고정볼트(95)를 분리한 다음 균열거동 측정봉(80)을 중심으로 행거바(94), 스페이스바(91) 및 세팅바(90)를 회전시키면, 세팅바(90)가 수평바(50)로부터 멀어지면서 분리되고, 걸림턱(93a)은 위치결정면(53)에서 이격된다.
그 다음 세팅바(90)가 수평바(50)에서 완전히 벗어난 다음 행거바(94)를 후진시켜서 균열거동 측정봉(80)에서 분리하면 균열거동 측정판(40)과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접착층(12g)(13g)이 경화된 직후 수직바(70)와 균열거동 측정봉(80) 간의 수평거리와, 수평바(50)와 균열거동 측정봉(80) 간의 수직거리를 기록해 두어야만 차후 측정값과 비교가 가능하고 균열부(11)의 거동량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바(32)를 수직바(70)와 수평바(50)에 번갈아 가며 조립해서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수평거리와 수직거리를 측정한다.
연장바(32)를 수직바(70)에 조립해서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수평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은, 도 8, 도 9, 도 14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바(32)는 수직으로 세우고 버니어 캘리퍼스(20)는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장바(32)에 설치된 연장바 고정볼트(37)를 수평볼트끼움홈(72)에 삽입한 다음 조홀더(30)와 연장바(32)의 배면에 형성된 후방지지면(33)을 2단지지면(61)에 밀착시키면서 연장바(32)에 형성된 연장경사면(34)을 수직바(70)에 형성된 역경사 수직기준면(71)에 밀착시키면 연장바(32)가 수직바(70)에 쐐기 형태로 밀착된다.
이때 연장바 고정볼트(37)를 조임 방향으로 돌리면 연장바 고정볼트(37)의 볼트머리가 측면볼트자리부(73)에 밀착되고, 연장바(32)가 수직바(7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연장바(32)와 수직바(70)가 서로 밀착되는데, 사다리꼴 단면의 연장바(32)와 역사다리꼴 단면의 수직바(70)가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리면서 연장바(32)와 수직바(70) 간에 강한 체결력이 얻어진다.
즉, 연장바(32)가 수직바(70)에 밀착될수록 연장경사면(34)이 역경사 수직기준면(71)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안쪽으로 파고들어 후방지지면(33)이 2단지지면(61)에 더욱 밀착된다.
이와 같이 연장바(32)가 수직바(70)에 고정되면, 연장바(32)에 일체로 되어 있는 조홀더(30)에 의해 버니어 캘리퍼스(20)의 고정조(21)와 어미자(23)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버니어 캘리퍼스(20)의 슬라이더(24)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여서 이동조(22)의 이동측정면(22m)을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고 어미자 눈금(23s)과 아들자 눈금(24s)을 읽으면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수평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연장바 고정볼트(37)를 풀면 연장바(32)를 수직바(70)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연장바 고정볼트(37)는 수평볼트끼움홈(72)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연장바(32)를 수평바(50)에 조립해서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수직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은, 도 10, 도 11, 도 15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바(32)는 수평하게 위치시키고 버니어 캘리퍼스(20)는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연장바(32)에 설치된 연장바 고정볼트(37)를 수직볼트끼움홈(52)에 삽입한 다음 조홀더(30)와 연장바(32)의 배면에 형성된 후방지지면(33)을 1단지지면(41)에 밀착시키면서 연장바(32)에 형성된 연장경사면(34)을 수평바(50)에 형성된 역경사 수평기준면(51)에 밀착시키면 연장바(32)가 수평바(50)에 쐐기 형태로 밀착된다.
이때 연장바 고정볼트(37)를 조임 방향으로 돌리면 연장바 고정볼트(37)의 볼트머리가 하부볼트자리부(54)에 밀착되고, 연장바(32)가 수평바(50)를 향해 움직이면서 연장바(32)와 수평바(50)가 서로 밀착되는데, 사다리꼴 단면의 연장바(32)와 역사다리꼴 단면의 수평바(50)가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리면서 연장바(32)와 수평바(50) 간에 강한 체결력이 얻어진다.
즉, 연장바(32)가 수평바(50)에 밀착될수록 연장경사면(34)이 역경사 수평기준면(51)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안쪽으로 파고들어 후방지지면(33)이 1단지지면(41)에 더욱 밀착된다.
이와 같이 연장바(32)가 수평바(50)에 고정되면, 연장바(32)에 일체로 되어 있는 조홀더(30)에 의해 버니어 캘리퍼스(20)의 고정조(21)와 어미자(23)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버니어 캘리퍼스(20)의 슬라이더(24)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서 이동조(22)의 이동측정면(22m)을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고 어미자 눈금(23s)과 아들자 눈금(24s)을 읽으면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수직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연장바 고정볼트(37)를 풀면 연장바(32)를 수평바(50)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연장바 고정볼트(37)는 수직볼트끼움홈(52)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위에서 설명한 측정방법을 반복해서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수평거리와 수직거리를 주기적으로 측정해서 이전 측정값들과 비교하면 균열부(11)의 변동량을 알 수 있다.
10 : 구조물 11 : 균열부
12 : 일측표면 13 : 타측표면
20 : 버니어 캘리퍼스 21 : 고정조
21m : 고정측정면 22 : 이동조
22m : 이동측정면 30 : 조홀더
31 : 끼움홈 31a : 조고정면
32 : 연장바 33 : 후방지지면
34 : 연장경사면 34c : 면취부
34t :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 35 : 세트스크류
36 : 조고정볼트 37 : 연장바 고정볼트
40 : 균열거동 측정판 41 : 1단지지면
50 : 수평바 51 : 역경사 수평기준면
52 : 수직볼트끼움홈 53 : 위치결정면
60 : 티바 61 : 2단지지면
70 : 수직바 71 : 역경사 수직기준면
72 : 수평볼트끼움홈 80 : 균열거동 측정봉
81 : 베이스 원판 90 : 세팅바
90a : 후방밀착면 90b : 세팅경사면
90c : 평면커팅부 90t : 세팅바 고정용 탭구멍
91 : 스페이스바 92 : 측정기준면
93 : 간섭방지홈 93a : 걸림턱
94 : 행거바 94h : 봉삽입구멍
95 : 세팅바 고정볼트 X1 : 수평세팅거리
Y1 : 수직세팅거리

Claims (5)

  1. 구조물(10)에 발생한 균열부(11)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위치한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과 타측표면(13) 간의 거동을 측정하기 위한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에 있어서,
    버니어 캘리퍼스(20)의 고정조(21)가 삽입되는 끼움홈(31)을 갖는 조홀더(30);
    상기 조홀더(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연장바(32);
    상기 조홀더(30)와 상기 연장바(32)의 후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해서 형성되는 후방지지면(33);
    상기 고정조(21)의 고정측정면(21m)과 평행하고, 상기 후방지지면(33)과 예각을 이루며, 상기 연장바(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장경사면(34);
    상기 연장경사면(34)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끼움홈(31)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측정면(21m)이 밀착되는 조고정면(31a);
    상기 조홀더(30)의 측면을 관통해서 상기 조고정면(31a)을 향해 상기 고정조(21)를 압박하는 세트스크류(35);
    상기 고정조(21)를 관통해서 상기 조홀더(30)에 결합되는 조고정볼트(36);
    상기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에 설치되는 균열거동 측정판(40);
    상기 후방지지면(33)과 밀착되도록 상기 균열거동 측정판(40)의 표면에 형성되는 1단지지면(41);
    상기 1단지지면(41)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32)와 쐐기 형태로 맞물려 밀착되며, 상기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과 타측표면(13) 간의 수직방향 변동거리 측정의 기준이 되는 역사다리꼴 단면의 수평바(50);
    상기 1단지지면(41)과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바(5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경사면(34)과 밀착되는 역경사 수평기준면(51);
    상기 균열거동 측정판(40)과 상기 수평바(50)의 하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티바(60);
    상기 수평바(50)와 상기 티바(60)의 표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해서 상기 1단지지면(41)보다 높게 형성되는 2단지지면(61);
    상기 2단지지면(61)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32)와 만나서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려 밀착되며, 상기 구조물(10)의 일측표면(12)과 타측표면(13) 간의 수평방향 변동거리 측정의 기준이 되는 역사다리꼴 단면의 수직바(70);
    상기 2단지지면(61)과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수직바(70)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경사면(34)과 밀착되는 역경사 수직기준면(71);
    상기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에 설치되고, 상기 버니어 캘리퍼스(20)가 갖는 이동조(22)의 이동측정면(22m)에 접촉하는 원형단면의 균열거동 측정봉(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고정면(31a)과 평행하도록 상기 연장경사면(34)에 형성되는 면취부(34c);
    상기 면취부(34c)에 형성되는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34t);
    상기 수평바(50)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정면이 개방된 수직볼트끼움홈(52);
    상기 수직바(70)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정면이 개방된 수평볼트끼움홈(72);
    상기 수직볼트끼움홈(52)과 상기 수평볼트끼움홈(72)을 통해 상기 연장바 고정용 탭구멍(34t)에 결합되는 연장바 고정볼트(3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열거동 측정봉(80)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10)의 타측표면(13)에 설치되며, 상기 균열거동 측정봉(8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베이스 원판(8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5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역경사 수평기준면(51)과 직각을 이루는 위치결정면(53);
    상기 수평바(50)와 만나서 서로 쐐기 형태로 맞물려 밀착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세팅바(90);
    상기 세팅바(90)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1단지지면(41)에 밀착되는 후방밀착면(90a);
    상기 후방밀착면(90a)과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세팅바(9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역경사 수평기준면(51)에 밀착되는 세팅경사면(90b);
    상기 세팅바(90)의 일측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스바(91);
    상기 스페이스바(91)의 상면에 형성되는 측정기준면(92);
    상기 세팅바(90)와 상기 스페이스바(91)가 만나는 부위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간섭방지홈(93);
    상기 간섭방지홈(93)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면(53)에 밀착되는 걸림턱(93a);
    상기 스페이스바(91)의 단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행거바(94);
    상기 균열거동 측정봉(80)이 삽입되도록 상기 행거바(94)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93a)으로부터 구멍 중심까지 수평세팅거리(X1)를 갖으며, 상기 측정기준면(92)으로부터 구멍 중심까지 수직세팅거리(Y1)를 갖는 봉삽입구멍(94h);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경사면(90b)에 형성되는 평면커팅부(90c);
    상기 평면커팅부(90c)에 형성되는 세팅바 고정용 탭구멍(90t);
    상기 수직볼트끼움홈(52)을 통해 상기 세팅바 고정용 탭구멍(90t)에 결합되는 세팅바 고정볼트(9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KR1020220086573A 2022-07-13 2022-07-13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KR102584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73A KR102584279B1 (ko) 2022-07-13 2022-07-13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73A KR102584279B1 (ko) 2022-07-13 2022-07-13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279B1 true KR102584279B1 (ko) 2023-10-05

Family

ID=8829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573A KR102584279B1 (ko) 2022-07-13 2022-07-13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1138A (zh) * 2023-11-09 2023-12-12 江苏华汇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公路裂缝宽度检测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264B1 (ko) 2003-11-18 2006-04-11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측정기
KR101546367B1 (ko) 2015-05-04 2015-08-24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실시간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 안전진단용 측정기
KR101721821B1 (ko) 2017-02-03 2017-03-30 신윤섭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감지장치
KR101901838B1 (ko) 2018-02-22 2018-09-27 신윤섭 3차원 측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균열 진행 감지장치
KR101995326B1 (ko) 2018-05-08 2019-07-03 (주)우림이엔지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안전 진단 시스템
KR102016530B1 (ko) * 2019-01-03 2019-08-30 (주)한국종합시설안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KR102176749B1 (ko) * 2020-06-16 2020-11-09 탄탄안전 주식회사 구조물 안전진단용 균열깊이 측정기
KR102253278B1 (ko) * 2020-12-28 2021-05-20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구멍 깊이 측정장치
KR102253275B1 (ko) * 2020-12-28 2021-05-20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264B1 (ko) 2003-11-18 2006-04-11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측정기
KR101546367B1 (ko) 2015-05-04 2015-08-24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실시간 콘크리트의 균열 진행 안전진단용 측정기
KR101721821B1 (ko) 2017-02-03 2017-03-30 신윤섭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감지장치
KR101901838B1 (ko) 2018-02-22 2018-09-27 신윤섭 3차원 측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균열 진행 감지장치
KR101995326B1 (ko) 2018-05-08 2019-07-03 (주)우림이엔지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안전 진단 시스템
KR102016530B1 (ko) * 2019-01-03 2019-08-30 (주)한국종합시설안전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용 탄산화 깊이 측정장치
KR102176749B1 (ko) * 2020-06-16 2020-11-09 탄탄안전 주식회사 구조물 안전진단용 균열깊이 측정기
KR102253278B1 (ko) * 2020-12-28 2021-05-20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탄산화 구멍 깊이 측정장치
KR102253275B1 (ko) * 2020-12-28 2021-05-20 주식회사 가람기술안전이앤씨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1138A (zh) * 2023-11-09 2023-12-12 江苏华汇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公路裂缝宽度检测装置
CN117211138B (zh) * 2023-11-09 2024-02-23 江苏华汇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公路裂缝宽度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4279B1 (ko)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US6532679B2 (en) Fixture for a table saw
JP4724005B2 (ja) コンクリートの試験方法および供試体用型枠
JP2581756B2 (ja) 支持フレーム付きゲージ装置
US8201366B2 (en) Taper lock system
KR102253275B1 (ko) 진행성 콘크리트 균열 측정장치
KR101181739B1 (ko) 스크라이브 기구
US8950307B1 (en) Jig for crosscutting an elongated workpiece using separate slotted guide members on opposing sides thereof
CA2576780C (en) Slab edge casing and method therefor
US2591814A (en) Hole locating device
CN112050761B (zh) 多用途量测台
CN213181012U (zh) 一种用于检测桥梁夹片洛氏硬度的夹持装置
CN211147531U (zh) 检测预制构件粗糙深度及桁架钢筋高度的多功能装置
US64498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dimension of a workpiece
CN214186207U (zh) 便于精准定位顶针的夹具
CN211761034U (zh) 一种适用于梯形钢丝拉伸试样的手动刻画标距装置
CN216432781U (zh) 可微调型变壁厚锥形件壁厚检测工装
CN210570333U (zh) 一种触点式测尺仪试样自动对中装置
CN213631861U (zh) 一种位置度和轮廓度测具
CN220250907U (zh) 一种钢筋保护层测量尺
CN209877835U (zh) 一种接缝高低差验收器械
CN111922940B (zh) 一种大口径特种光学元件的装夹装置及装夹方法
CN218410966U (zh) 一种定位试样长度的装置
CN220162835U (zh) 便于携带的瓷砖切割装置
CN217541814U (zh) 一种螺栓断后伸长率实验的辅助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