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009B1 - 영유아용 베개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009B1
KR102253009B1 KR1020200110317A KR20200110317A KR102253009B1 KR 102253009 B1 KR102253009 B1 KR 102253009B1 KR 1020200110317 A KR1020200110317 A KR 1020200110317A KR 20200110317 A KR20200110317 A KR 20200110317A KR 102253009 B1 KR102253009 B1 KR 102253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cushioning material
pillow
central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도향
Original Assignee
오도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도향 filed Critical 오도향
Priority to KR1020200110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 형태로 되어 있으며 통기성이 좋아 태열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부에 재봉으로 고정되되, 후두부의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에 쿠션작용이 가해지도록 가장자리에 쿠션재 충전공간이 마련되도록 재봉되는 상판; 상기 바닥판과 상판 사이의 제공되는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쿠션재; 상기 쿠션재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닥판과 상판 사이의 중간 부위에 타공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 상기 바닥판과 상판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유아용 베개{Pillow For The Infant}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인체공학적 형태로 되어 있으며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통기성이 좋고 태열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수면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생활용품이다. 수면시간이 많은 태아에게 있어서 베개는 더욱 중요한 물품이다. 베개에 의해 성장하는 태아의 두상이 바뀔 수도 있다. 그래서 태아 내지 영영유아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베개가 시중에 제공되고 있다.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베개, 짱구머리를 만들어 주기 위한 베개, 수면시 움직임을 줄이기 위한 베개 등이 제안된 바 있다. 대부분의 기존 베개들은 영유아용 베개가 요구하고 있는 여러 기능 중 일부의 기능만을 달성하게 한다.
여러 기능을 고르게 만족시켜줄 수 있는 영유아용 베개는 보기 힘들다. 구조가 너무 복잡하거나 가격이 고가이거나 또는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개선을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9044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47606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영유아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인체공학적 구조를 가짐으로써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하며, 머리가 베개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통기성을 향상시켜 태열을 예방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영유아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영유아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베개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영유아의 피부에 유익한 소재로 이루어진 영유아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부에 재봉으로 고정되되, 후두부의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에 쿠션작용이 가해지도록 가장자리에 쿠션재 충전공간이 마련되도록 재봉되는 상판; 상기 바닥판과 상판 사이의 제공되는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쿠션재; 상기 쿠션재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닥판과 상판 사이의 중간 부위에 타공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 상기 바닥판과 상판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베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닥판과 상판은 세로와 가로의 비율이 1 : 1.2 ~ 2.0인 둥글갸름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닥판과 상판은 아사면이며, 상기 쿠션재는 양모솜이며, 상기 외피는 순면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피와 상판 사이에 한지섬유원단으로 된 삽입지가 개입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쿠션재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닥판의 중앙부에 중앙부쿠션재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쿠션재는 양모펠트로 되어 있으며 통기공이 타공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쿠션재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닥판의 중앙부에는 두께가 10 ~ 20mm인 양모펠트로 된 중앙부쿠션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두께가 3 ~ 7mm인 양모펠트로 되어 있는 보조쿠션시트가 설치되며; 상기 중앙쿠션부재의 중앙에는 센터홀이 마련됨으로써; 쿠션층이 중앙부를 향해 계단식으로 마련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후두부의 가장자리에만 쿠션재가 설치되어 있고 후두부의 중간 부분에는 쿠션재가 없이 통기공이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쿠션작용과 함께 양호한 통기성을 갖게 되는 영유아용 베개가 제공된다. 또한 중간 부분은 얇게 되어 있어 머리가 베개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영유아용 베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영유아용 베개에 의하면 태아의 두상을 예쁘게 유지시켜줄 수 있으며 태열을 방지 또는 완화시켜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유아용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유아용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영유아용 베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유아용 베개의 외피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유아용 베개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영유아용 베개의 층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동시에 참조하되 특히 필요한 곳에서 특정 도면을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유아용 베개(1)는 몇장의 시트가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영유아용 베개(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2)가 재봉으로 마감되어 있고 중앙부(3)는 움푹 패여 있는 형태를 가진다.
영유아용 베개(1)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판(47), 상판(43), 및 쿠션재(44)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 모두를 감싸는 외피(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피(41)가 씌워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하여도 되고 사용자는 여기에 추가적으로 베갯잇(미도시됨)을 덧씌워서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유아용 베개(1)는 평면상 타원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다. 영유아용 베개(1)의 평면 형태는 바닥판(47)이나 상판(43)에 의해 결정된다. 바닥판(47)과 상판(43)은 세로와 가로의 비율이 1 : 1.2 ~ 2.0가 되도록 둥글갸름하게 되어 있다.
상판(43)이 바닥판(47) 상부에 재봉으로 고정되되, 후두부의 중앙부(3)를 제외한 부분에 쿠션재 충전공간이 마련되도록 재봉된다.
쿠션재 충전공간은 "
Figure 112020091777119-pat00001
"와 같은 고리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
Figure 112020091777119-pat00002
"와 같이 한쪽이 트여 있는 반고리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후자의 형태로 되어 있다. 트여있는 쪽이 사용자의 목부위가 위치하는 쪽이 된다. 이에 의하면 목을 받치는 부분의 높이가 낮게 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머리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쿠션재(44)가 바닥판(47)과 상판(43) 사이의 마련되는 충전공간에 충전된다. 바닥판(47)과 상판(43)의 재봉시 한쪽에 쿠션재의 충전을 위한 자리를 남겨놓고 그 부분을 통해 쿠션재(44)를 집어넣는다. 쿠션재(44)를 적당량 충전 후 완전히 밀봉할 수 있다.
쿠션재(44)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바닥판(47)과 상판(43) 사이의 중간 부위(3)에 하나 이상의 통기공(21,31)이 타공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통기공(21,31)은 5개가 마련되는데, 이 통기공(21,31)의 개수, 크기 및 위치는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판(47)과 상판(43)의 소재는 아사면이며, 쿠션재(44)의 소재는 양모솜이며, 외피(41)의 소재는 순면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소재가 이상적이기는 하지만, 이 소재는 필요에 따라 조금씩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피(41)와 상판(43) 사이에 한지섬유원단으로 된 삽입지(42)가 개입 설치될 수 있다. 한지섬유원단은 사용감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삽입지(42)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쿠션재(44)가 설치되는 부분, 즉 충전공간에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쿠션재(44)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바닥판(47)의 중앙부(3)에 중앙부쿠션재(45)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것은 후두부의 중앙 부위로 갈수록 계단식의 쿠션층이 마련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중앙부(3)는 내측재봉선(50)에 의해 결정된다. 내측재봉선(50)은 중앙부쿠션재(45)의 가장자리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쿠션재(45)는 양모펠트로 되어 있으며 바닥판(47)에 마련된 통기공(21)과 같은 위치에 같은 크기로 통기공(21)이 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중앙쿠션부재(45)는 10 ~ 20mm의 두께로 된 양모펠트가 될 수 있다. 중앙쿠션부재(45)는 얇은 양모펠트가 몇겹으로 적층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중앙쿠션부재(45)는 "
Figure 112020091777119-pat00003
"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충전공간이 없는 공간에 부합되게 마련되는데, 이것은 쿠션재(44)가 없는 공간에 보조적인 쿠션기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쿠션시트(46)가 바닥판(47) 위에 부가될 수 있다. 보조쿠션시트(46)는 바닥판(47)의 전체 면적에 걸쳐 마련되고 중앙부(3)에는 바닥판에 형성된 통기공과 같은 위치와 크기로 통기공이 타공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쿠션시트는 두께가 3 ~ 7mm인 양모펠트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중앙부쿠션재(45)의 중간에는 센터홀(45a)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센터홀(45a)이 마련되어 있는 지점은 보조쿠션시트(46)만 있게 된다. 센터홀(45a)은 직경이 30 ~ 50mm가 될 수 있다. 이 센터홀(45a)에 의하면 후두부가 위치하는 지점에 계단식으로 쿠션층이 마련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태아의 두상을 예쁘게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유아용 베개는 가장 가장자리에 있는 것으로서 쿠션재(45)에 의한 제1쿠션층(10)과, 내측재봉선(50)에 의해 구획되는 것으로서 중앙부쿠션재(45)에 의해 마련되는 제2쿠션층(20)과, 센터홀(45a)에 의해 구획되는 것으로서 보조쿠션시트(46)에 의해 마련되는 제3쿠션층(30)으로 구성되게 된다. 제1쿠션층(10)은 50 ~ 60mm의 높이가 되고, 제2쿠션층(20)은 20 ~ 25mm의 높이가 되고, 제3쿠션층(30)은 5 ~ 10mm의 높이가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쿠션층(20)은 한쪽(도면상 하단)으로 치우진 위치에 마련되는데 치우지는 정도는 평균적인 영유아의 목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영유아용 베개 2 : 가장자리
3 : 중앙부 10 : 제1쿠션층
20 : 제2쿠션층 30 : 제3쿠션층
41 : 외피 42 : 삽입지
43 : 상판 44 : 쿠션재
45 : 중앙부쿠션재 45a : 내측재봉선
46 : 보조쿠션시트 47 : 바닥판
50 : 내측재봉선

Claims (6)

  1.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부에 재봉으로 고정되되, 후두부의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에 쿠션작용이 가해지도록 가장자리에 쿠션재 충전공간이 마련되도록 재봉되는 상판;
    상기 바닥판과 상판 사이의 제공되는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쿠션재;
    상기 쿠션재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닥판과 상판 사이의 중간 부위에 타공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
    상기 바닥판과 상판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와 상판 사이에 한지섬유원단으로 된 삽입지가 개입 설치되며,
    상기 쿠션재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닥판의 중앙부에는 통기공이 타공되어 있는 중앙부쿠션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판은 세로와 가로의 비율이 1 : 1.2 ~ 2.0인 둥글갸름한 형태이며,
    상기 바닥판과 상판은 아사면이며, 상기 쿠션재는 양모솜이며, 상기 외피는 순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쿠션재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닥판의 중앙부에는 두께가 10 ~ 20mm인 양모펠트로 된 중앙부쿠션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두께가 3 ~ 7mm인 양모펠트로 되어 있는 보조쿠션시트가 설치되며,
    상기 중앙부쿠션재의 중앙에는 센터홀이 마련됨으로써,
    쿠션층이 중앙부를 향해 계단식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베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10317A 2020-08-31 2020-08-31 영유아용 베개 KR102253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17A KR102253009B1 (ko) 2020-08-31 2020-08-31 영유아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317A KR102253009B1 (ko) 2020-08-31 2020-08-31 영유아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009B1 true KR102253009B1 (ko) 2021-05-17

Family

ID=7615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317A KR102253009B1 (ko) 2020-08-31 2020-08-31 영유아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0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42U (ko) * 1999-03-29 1999-08-05 이외식 황토가 유입된 베갯속
JP3110709U (ja) * 2005-04-01 2005-06-30 富士ベッド工業株式会社 乳幼児用枕
KR101147606B1 (ko) 2011-06-03 2012-06-14 주식회사 엘드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
KR102090445B1 (ko) 2020-02-28 2020-03-17 주식회사 이앤리빙 유아용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42U (ko) * 1999-03-29 1999-08-05 이외식 황토가 유입된 베갯속
JP3110709U (ja) * 2005-04-01 2005-06-30 富士ベッド工業株式会社 乳幼児用枕
KR101147606B1 (ko) 2011-06-03 2012-06-14 주식회사 엘드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
KR102090445B1 (ko) 2020-02-28 2020-03-17 주식회사 이앤리빙 유아용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4904A (en) Bed pillow
US7216387B2 (en) Arched pillow assembly
US8832879B2 (en) Cushioned support devices
US20130283533A1 (en) Pillow
JP2016106908A (ja)
KR20130000325U (ko) 에어메쉬베개
KR102253009B1 (ko) 영유아용 베개
JP5404148B2 (ja) 寝返りしやすい枕及びその使用方法
JP3111334U (ja) 快眠枕
KR101649980B1 (ko) 목 베개부가 장착된 기능성 베개
JP3177921U (ja)
JPH114740A (ja)
CN214548651U (zh) 一种调节婴童多用3d枕
CN219109147U (zh) 一种改进的定型枕
CN220735062U (zh) 一种多功能软垫头枕
JP3226867U (ja) 枕カバーおよび枕カバーセット
CN218832466U (zh) 一种多功能睡枕
TWM319718U (en) Improvement of pillow structure
CN212036998U (zh) 一种颈椎枕
JP2004267733A (ja) 凹型枕
JP3230736U (ja) 寝具
JP2002262977A (ja)
CN217365278U (zh) 一种可拆洗的软硬双面枕
KR101299401B1 (ko) 경추 지지용 멀티 기능 베개
JP2021194157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