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347B1 -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347B1
KR102251347B1 KR1020150173526A KR20150173526A KR102251347B1 KR 102251347 B1 KR102251347 B1 KR 102251347B1 KR 1020150173526 A KR1020150173526 A KR 1020150173526A KR 20150173526 A KR20150173526 A KR 20150173526A KR 102251347 B1 KR102251347 B1 KR 102251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amp
vehicle
information
irradiation direc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231A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3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4Y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4Y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램프 조절부; 자차의 주행 정보를 입력받는 주행정보 판단부; 지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자차의 주변 환경을 체크하는 주변정보 판단부; 및 상기 주행정보 판단부 및 주변정보 판단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램프 조절부를 제어하며, 자차의 주행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차량 주행 방향에 대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하되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이 입력되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SYSTEM FOR HEAD LAMP CONTROL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정보 및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램프는 백 램프,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켜지는 브레이크 램프, 방향지시 램프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차량 주행시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전방 경로를 비추는 헤드램프의 전조등의 경우 야간 주행중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야간에 전방 시야가 확보됨에 따라 도로상에 다른 차량 및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종래의 헤드램프는 차량의 전방만을 조명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교차로나 곡선도로를 주행할 경우, 또는 뒷좌석이나 트렁크에 승객이나 화물이 적재되어 차량의 후방부가 하부로 기울어지거나 오르막길/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이에 적합하게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조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0-0048381 A (2010.05.1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정보 및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주행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은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램프 조절부; 자차의 주행 정보를 입력받는 주행정보 판단부; 지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자차의 주변 환경을 체크하는 주변정보 판단부; 및 상기 주행정보 판단부 및 주변정보 판단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램프 조절부를 제어하며, 자차의 주행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차량 주행 방향에 대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하되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이 입력되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정보 판단부는, 자차의 주행속도를 체크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센서부와, 스티어링 휠의 각도 변화를 체크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휠각도 센서부와, 차량의 요레이트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요레이트 센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변정보 판단부는 차량 이동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통해 자차의 위치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 제어부는 주변정보 판단부를 통해 도로 곡률이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 도로 곡률 확인시 속도 판단부를 통해 입력된 자차의 주행속도가 기저장된 설정 속도에 도달할 경우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 제어부는 자차의 주행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을 추종하여 헤드 램프의 조사 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 제어부는 헤드램프의 자동 제어 수행시 주변정보 판단부로부터 지도 정보에 따른 도로 곡률을 취득하여, 해당 도로의 곡률에 부합하는 헤드램프 조사 방향의 좌우각도 변화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 제어부는 상기 도로 곡률이 있는 지점에 진입시 검출된 헤드램프의 좌우각도 변화량에 따라 헤드램프의 조사방향을 자동 제어되도록 하되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이 입력되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 제어부는 휠각도 센서부와, 차량의 요레이트 센서부로부터 도출된 스티어링 휠 각도 변화 및 요레이트 변화량을 통해 차량 선회각도가 도출되면, 헤드램프의 조사방향이 도출된 선회각도를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 제어부는 주변정보 판단부를 통해 도로 기울기가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 도로 기울기 확인시 속도 판단부를 통해 입력된 자차의 주행속도가 기저장된 설정 속도에 도달할 경우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 제어부는 헤드램프의 자동 제어 수행시 주변정보 판단부로부터 지도 정보에 따른 도로 기울기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도로의 기울기에 부합하는 헤드램프 조사 방향의 상하각도 변화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 제어부는 주변정보 판단부를 통해 터널이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 터널 위치 확인시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 정보 및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주행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운전자의 조향 조작시 운전자의 의지를 최우선으로 반영하여 헤드램프의 빛 방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정확한 빛의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주행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램프 조절부(10); 자차의 주행 정보를 입력받는 주행정보 판단부(20); 지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자차의 주변 환경을 체크하는 주변정보 판단부(30); 및 상기 주행정보 판단부(20) 및 주변정보 판단부(30)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램프 조절부(10)를 제어하며, 자차의 주행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차량 주행 방향에 대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하되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이 입력되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의 램프 조절부(10)는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헤드램프의 전조등의 빛 조사 방향을 상하좌우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헤드램프의 전조등은 액추에이터 작동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램프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빛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빛 조사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램프 조절부(1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인바,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주행정보 판단부(20)는 자차의 주행정보를 입력받아 수집하는 것으로, 자차의 주행속도를 체크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센서부(22)와, 스티어링 휠의 각도 변화를 체크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휠각도 센서부(24)와, 차량의 요레이트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요레이트 센서부(26)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주행정보 판단부(20)는 차량의 주행속도 정보와, 스티어링 휠 각도 변화 및 요레이트 변화값에 따라 차량 선회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램프 제어부(40)에 송신하여 램프 제어부(40)를 통한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주변정보 판단부(30)는 지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자차의 주변 환경을 체크하는 것으로, 차량 이동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32)를 통해 자차의 위치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GPS 수신부(32)를 통해 현재 자차의 위치에 따른 주변 도로 곡률 및 도로 기울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변정보 판단부(30)에는 도로 환경에 따른 맵데이터 베이스가 구비되며, GPS 수신부(32)를 통해 파악된 자차의 위치에서 설정 범위만큼만 도로 곡률 및 도로 기울기가 있는 지점에 대해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지역에서 도로 곡률 및 도로 기울기가 있는 지점의 정보가 출력되며, 해당 범위는 바람직하게 50m 이내의 모든 도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주행정보 판단부(20)와 주변정보 판단부(30)를 통해 차량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는 램프 제어부(40)에 입력되며, 램프 제어부(40)는 입력된 차량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토대로 차량 주행 방향에 대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한다. 즉, 도로 곡률 및 도로 기울기가 구배되는 도로에 진입하면, 미리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도로 곡률이 구배된 측으로 또는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에 따라 상하향되도록 자동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이 향상되어 주행 편의 및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다.
단,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이 입력되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서 정확히 빛이 조사되어 해당 방향의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시인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 자신이 가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서 헤드램프의 빛이 조사됨에 따라 주행 편의성 및 안정성이 확보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도 2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램프 제어부(40)는 주변정보 판단부(30)를 통해 도로 곡률이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 도로 곡률 확인시 속도 판단부를 통해 입력된 자차의 주행속도가 기저장된 설정 속도에 도달할 경우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램프 제어부(40)는 자차의 주행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을 추종하여 헤드 램프의 조사 방향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램프 제어부(40)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도로 곡률이 있다 하더라도, 자차의 주행속도가 기저장된 설정 속도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자동 제어가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테면, 램프 제어부(40)에 기저장되는 설정 속도는 41 ~ 100 km/h 이내의 중속으로 설정되어, 차량이 0 ~ 40 km/h 내의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또는 차량이 101 km/h 이상의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조향 조작시만 헤드 램프의 조사 방향이 조절되도록 하고, 설정 속도인 41 ~ 100 km/h 이내의 중속으로 주행되는 경우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저속 주행의 경우 전방 시인성이 충분히 확보되고, 고속 주행의 경우에는 전방 시계 확보가 중요시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조향 조작이 발생되었을 때만 조향 조작에 추종하여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이 조절되도록 하고, 설정 속도인 중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미리 도로 곡률에 대해 시계가 확보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헤드램프의 자동 제어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소비 및 불필요한 상황에서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이 조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램프 제어부(40)는 헤드램프의 자동 제어 수행시 주변정보 판단부(30)로부터 지도 정보에 따른 도로 곡률을 취득하여, 해당 도로의 곡률에 부합하는 헤드램프 조사 방향의 좌우각도 변화량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램프 제어부(40)는 주변정보 판단부(30)로부터 도로 곡률을 취득 후 도로 곡률에 따라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의 각도 변화량을 검출하여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이 도로 곡률을 추종하여 자동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의 좌우각도 변화량은 램프 제어부(40)에 도로 곡률에 부합하는 각도 변화량으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데이터를 토대로 도로 곡률에 따라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램프 제어부(40)는 상기 도로 곡률이 있는 지점에 진입시 검출된 헤드램프의 좌우각도 변화량에 따라 헤드램프의 조사방향을 자동 제어되도록 하되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이 입력되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로 곡률이 있는 지점에 진입함에 따라 도로 곡률을 추종하도록 헤드램프의 빛 조사방향이 자동 제어되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이 입력되면, 운전자의 조향 조작을 최우선으로 하여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이 이미 도로 곡률에 따라 자동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조향 조작 방향을 추종할 때, 헤드램프의 각도가 급격하게 변화될 수 있는바, 목표 위치까지 자연스럽게 제어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램프 구동부를 이루는 액추에이터의 필터 제어를 통해 헤드램프의 각도 변화가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되 조향 조작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램프 제어부(40)는 휠각도 센서부(24)와, 차량의 요레이트 센서부(26)로부터 도출된 스티어링 휠 각도 변화 및 요레이트 변화량을 입력받고,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선회각도가 도출되면, 헤드램프의 조사방향이 도출된 선회각도를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스티어링 휠의 각도가 변화됨은 운전자가 자신의 의지로 조향 조작을 수행한 것이며, 요레이트 변화량과 스티어링 휠의 각도 변화량을 통해 차량 선회각도가 도출되면, 차량 선회각도에 맞추어 헤드램프의 빛 조사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제어부(40)는 주변정보 판단부(30)를 통해 도로 기울기가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 도로 기울기 확인시 속도 판단부를 통해 입력된 자차의 주행속도가 기저장된 설정 속도에 도달할 경우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램프 제어부(40)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도로 기울기가 있다 하더라도, 자차의 주행속도가 기저장된 설정 속도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자동 제어가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테면, 램프 제어부(40)에 기저장되는 설정 속도는 41 ~ 100 km/h 이내의 중속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속도가 설정 속도에 진입하였을 경우에만 헤드램프의 자동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헤드램프의 자동 제어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소비 및 불필요한 상황에서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이 조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램프 제어부(40)는 헤드램프의 자동 제어 수행시 주변정보 판단부(30)로부터 지도 정보에 따른 도로 기울기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도로의 기울기에 부합하는 헤드램프 조사 방향의 상하각도 변화량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램프 제어부(40)는 주변정보 판단부(30)로부터 도로 기울기를 취득 후 도로 기울기에 따라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의 상하 각도 변화량을 검출하여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이 도로 기울기를 추종하여 자동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의 상하각도 변화량은 램프 제어부(40)에 도로 기울기에 부합하는 각도 변화량으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데이터를 토대로 도로 곡률에 따라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차량에 수화물이 적재됨에 따라 차량 높이 변화가 발생될 경우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이 변화될 수 있는바, 차량 높이 변화에 추종하도록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의 상하 각도가 더 조절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램프 제어부(40)는 주변정보 판단부(30)를 통해 터널이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 터널 위치 확인시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 주행방향에 대해 터널이 있는 경우 GPS 정보를 원활히 입력받기가 힘든바, 터널에 진입하게 되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차량 주행방향에 따라 헤드램프의 빛이 정확히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 정보 및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주행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운전자의 조향 조작시 운전자의 의지를 최우선으로 반영하여 헤드램프의 빛 방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정확한 빛의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주행 안전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램프 조절부
20:주행정보 판단부
22:속도 센서부
24:휠각도 센서부
26:요레이트 센서부
30:주변정보 판단부
32:GPS 수신부
40:램프 제어부

Claims (11)

  1. 헤드램프의 빛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램프 조절부;
    자차의 주행 정보를 입력받는 주행정보 판단부;
    지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자차의 주변 환경을 체크하는 주변정보 판단부; 및
    상기 주행정보 판단부 및 주변정보 판단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램프 조절부를 제어하며, 자차의 주행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차량 주행 방향에 대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하되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이 입력되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정보 판단부는, 자차의 주행속도를 체크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센서부와, 스티어링 휠의 각도 변화를 체크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휠각도 센서부와, 차량의 요레이트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요레이트 센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램프 제어부는 자차의 주행속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을 추종하여 헤드 램프의 조사 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변정보 판단부는 차량 이동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통해 자차의 위치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주변정보 판단부를 통해 도로 곡률이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 도로 곡률 확인시 속도 판단부를 통해 입력된 자차의 주행속도가 기저장된 설정 속도에 도달할 경우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헤드램프의 자동 제어 수행시 주변정보 판단부로부터 지도 정보에 따른 도로 곡률을 취득하여, 해당 도로의 곡률에 부합하는 헤드램프 조사 방향의 좌우각도 변화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상기 도로 곡률이 있는 지점에 진입시 검출된 헤드램프의 좌우각도 변화량에 따라 헤드램프의 조사방향을 자동 제어되도록 하되 운전자의 의지가 반영된 조향 조작이 입력되면,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휠각도 센서부와, 차량의 요레이트 센서부로부터 도출된 스티어링 휠 각도 변화 및 요레이트 변화량을 통해 차량 선회각도가 도출되면, 헤드램프의 조사방향이 도출된 선회각도를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주변정보 판단부를 통해 도로 기울기가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 도로 기울기 확인시 속도 판단부를 통해 입력된 자차의 주행속도가 기저장된 설정 속도에 도달할 경우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헤드램프의 자동 제어 수행시 주변정보 판단부로부터 지도 정보에 따른 도로 기울기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도로의 기울기에 부합하는 헤드램프 조사 방향의 상하각도 변화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부는 주변정보 판단부를 통해 터널이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 터널 위치 확인시 헤드램프의 조사 방향이 운전자의 조향 방향을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KR1020150173526A 2015-12-07 2015-12-07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KR102251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26A KR102251347B1 (ko) 2015-12-07 2015-12-07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526A KR102251347B1 (ko) 2015-12-07 2015-12-07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31A KR20170067231A (ko) 2017-06-16
KR102251347B1 true KR102251347B1 (ko) 2021-05-13

Family

ID=5927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526A KR102251347B1 (ko) 2015-12-07 2015-12-07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3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7300A (ja) * 2004-07-12 2006-02-02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215B1 (ko) 2008-10-31 2011-08-3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램프 제어장치
KR20130115865A (ko) * 2012-04-13 2013-10-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램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7300A (ja) * 2004-07-12 2006-02-02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31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8820B2 (en) Vehicle automated driving system
KR102237413B1 (ko) 일시적 속도 제한 표시판에 응답하도록 구성된 자율주행 차량 시스템
CN107176165B (zh) 车辆的控制装置
US10120378B2 (en) Vehicle automated driving system
US9637047B2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adapting an upper headlight beam boundary of a light cone
US1050108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the speed behaviour of a leading vehicle
US10099692B2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6460058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10967855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60087416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vehicle
CN109466424A (zh) 一种智能远光灯控制系统及智能控制方法
CN103318073B (zh) 汽车及汽车的控制方法
CN103786632A (zh) 车辆照明系统及其控制方法
JP6790522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20100018366A (ko) 전조등 및 안개등 자동조절장치
KR102251347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KR101689081B1 (ko) 차량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6915297A (zh) 车辆信号灯控制方法和装置
KR20130057115A (ko) 도로 종방향 기울기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조등 자동 제어 시스템
KR101787058B1 (ko) 차량 헤드램프의 하향등 조사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385553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조사각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845939B2 (ja) 車内信号表示装置
KR101517920B1 (ko) 차량 주행속도 제어 장치
KR101335630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81384B1 (ko) 자전거 전조등의 각도 조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