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340B1 - 이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이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340B1
KR102251340B1 KR1020150174370A KR20150174370A KR102251340B1 KR 102251340 B1 KR102251340 B1 KR 102251340B1 KR 1020150174370 A KR1020150174370 A KR 1020150174370A KR 20150174370 A KR20150174370 A KR 20150174370A KR 102251340 B1 KR102251340 B1 KR 102251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ion
fastening member
support member
fasten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568A (ko
Inventor
안창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3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2Vehicle body, not intended to move relatively to the vehicle frame, and mounted on vibration absorbing mountings, e.g. rubbe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와 서브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이너파이프와 마운팅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관통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조립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이너파이프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도록 마련된 수축부재;를 포함하는 이음방지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이음방지장치 {PREVENTION APPARATUS OF NOISE}
본 발명은 차체와 마운팅된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차량에 과도 하중의 발생시 마운팅 부시의 이너파이프와 체결부재 사이의 간극에 의해 체결부재가 일측으로 밀려 이음(異音)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체에 서브프레임 등이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차체와 서브프레임은 상호 강건하게 조립되어 상호 간의 유동이 발생으로 인한 프레임의 강성 저하 및 차량의 목표성능 차이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차체와 서브프레임의 마운팅 장치의 구조는 부시 타입과 솔리드 타입으로 구분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차체와 서브프레임의 마운팅 위치를 적정 수준으로 맞추기 위한 조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서브프레임에 형성된 마운팅 부시의 이너파이프에 형성된 마운팅홀을 체결부재보다 크게 주어 제작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이너파이프의 간의 간격으로 인해 차체에 순간적으로 과도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측방으로 밀려 간섭이 발생되어 충격 이음(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재에 연질의 튜브를 장착하여 충격 저감을 하였으나, 튜브의 두께가 두꺼우면 조립이 어렵게 되고, 튜브의 두께가 얇으면 이음의 발생이 잘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5-0024715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체결부재와 이너파이프의 간의 간격으로 인해 차체에 순간적으로 과도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측방으로 밀려 간섭이 발생되어 충격 이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도 하중의 발생시에도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조립성을 떨어뜨리지 않는 이음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음방지장치는 차체와 서브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이너파이프와 마운팅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관통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조립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이너파이프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도록 마련된 수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수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파이프와 항상 동심축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수축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이되, 측면에는 상기 절곡부의 형성을 위한 절곡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축부재는 상하측에서 상기 절곡지점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점 볼록하게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에 의한 가압시 상기 절곡지점이 상기 이너파이프측으로 돌출되며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축부재는 상하측에서 상기 절곡지점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점점 볼록하게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에 의한 가압시 상기 절곡지점이 상기 체결부재측으로 돌출되며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에는 상기 수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1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타부품과 지지되기 위한 제2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랜지부는 상기 제1플랜지부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차체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수축부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체결부재를 따라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체에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시 상기 제1지지부재가 상기 수축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이너파이프 사이의 간극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수축부재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이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볼트의 헤드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수축부재는 연질의 재료로 성형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축부재에 대비하여 경질의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이음방지장치에 따르면 연질의 재질로 성형되어 가압시 반경이 증대되는 수축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너무 두껍지도, 얇지도 않은 적당한 두께의 수축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조립시에는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 후에는 수축부재의 반경이 증대되어 차체에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체결부재와 이너파이프 사이를 보다 강건하게 지지함으로써 이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축부재의 상하측에는 지지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지지부재가 수축부재를 가압하고, 유동을 흡수하며 이음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차량의 서브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방지장치의 조립 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조립 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방지장치의 조립 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조립 후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음방지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통상적인 차량의 서브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방지장치의 조립 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조립 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3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방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음방지장치는 차체(100)와 서브프레임(200)의 결합을 위한 이너파이프(400)와 마운팅홀(300)에 삽입되는 체결부재(500); 상기 체결부재(500)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관통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부재(610,630); 및 상기 지지부재(610,630)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재(500)의 조립시 상기 지지부재(610)에 의해 가압되어 절곡부(71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710)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500)와 상기 이너파이프(400)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도록 마련된 수축부재(70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통상적으로 볼트일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500)는 상기 차체(100)측에서 너트(8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차체(100)에 과도 하중이 발생하면, 상기 체결부재(500)와 상기 이너파이프(400) 사이의 간극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500)가 측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체결부재(500)와 상기 이너파이프(400) 간에 간섭에 의한 이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부재(500)의 상하측에 상기 지지부재(610,630)를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하고, 상기 지지부재(610,630) 사이에 수축부재(700)를 마련한다. 상기 수축부재(700)는 상기 체결부재(500)의 외측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이되, 측면에는 상기 절곡부(710)의 형성을 위한 절곡지점(7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축부재(700)는 상하측에서 상기 절곡지점(730)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점 볼록하게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610,630)에 의한 가압시 상기 절곡지점(730)이 상기 이너파이프(400)측으로 돌출되며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71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610,630)는 일측에는 상기 수축부재(700)를 지지하기 위한 제1플랜지부(611,6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타부품과 지지되기 위한 제2플랜지부(613,633)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610,630)가 일측은 상기 수축부재(700)와 접하고, 타측은 타부품과 접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덜 필요한 상기 제1플랜지부(611,631)보다 상기 제2플랜지부(613,633)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10,630)는 상기 차체(100)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610)와 상기 수축부재(700)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610)는 상기 체결부재(50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630)는 상기 체결부재(500)의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재(610)는 상기 체결부재(500)를 따라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체(100)에 상기 체결부재(500)의 체결시 상기 제1지지부재(610)가 상기 수축부재(70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절곡부(710)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500)와 상기 이너파이프(400)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6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체(100)에 상하방향의 하중 발생시 상기 제1지지부재(610)가 하방을 이동됨으로써, 상기 수축부재(700)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630)는 상기 수축부재(700)의 하방에 마련됨으로서, 상기 수축부재(700)의 하방으로의 유동을 제한한다. 특히, 상기 체결부재(500)는 볼트인 경우에는 차량의 설계나 환경에 따라서 상기 제2지지부재(630)는 생략하고 볼트의 헤드(510)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수축부재(700)는 연질의 재료로 성형되고, 상기 지지부재(610,630)는 상기 수축부재(700)에 대비하여 경질의 재질로 성형됨으로써, 상기 수축부재(700)는 변형이 잘 일어나고, 그에 반해 상기 지지부재(610,630)는 상기 수축부재(700)를 가압하거나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차체(100)와 상기 서브프레임(20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500)의 체결시, 상기 수축부재(700)는 상기 지지부재(610,630)로부터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파이프(400)와 항상 동심축이 유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방지장치의 조립 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 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이음방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이음방지장치는 차체(100)와 서브프레임(200)의 결합을 위한 이너파이프(400)와 마운팅홀(300)에 삽입되는 체결부재(500); 상기 체결부재(500)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관통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부재(610,630); 및 상기 지지부재(610,630)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재(500)의 조립시 상기 지지부재(610)에 의해 가압되어 절곡부(71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710)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500)와 상기 이너파이프(400)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도록 마련된 수축부재(70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통상적으로 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차체(100)에 과도 하중이 발생하면, 상기 체결부재(500)와 상기 이너파이프(400) 사이의 간극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500)가 측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체결부재(500)와 상기 이너파이프(400) 간에 간섭에 의한 이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부재(500)의 상하측에 상기 지지부재(610,630)를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하고, 상기 지지부재(610,630) 사이에 수축부재(700)를 마련한다. 상기 수축부재(700)는 상기 체결부재(500)의 외측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이되, 측면에는 상기 절곡부(710)의 형성을 위한 절곡지점(730)이 형성된다. 제이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축부재(700)가 제일실시예와는 반대로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제이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축부재(700)는 상하측에서 상기 절곡지점(730)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점점 볼록하게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610)에 의한 가압시 상기 절곡지점(730)이 상기 체결부재(500)측으로 돌출되며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71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610,630)는 일측에는 상기 수축부재(700)를 지지하기 위한 제1플랜지부(611,6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타부품과 지지되기 위한 제2플랜지부(613,633)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610,630)가 일측은 상기 수축부재(700)와 접하고, 타측은 타부품과 접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덜 필요한 상기 제1플랜지부(611,631)보다 상기 제2플랜지부(613,633)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610,630)는 상기 차체(100)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610)와 상기 수축부재(700)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6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610)는 상기 체결부재(50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630)는 상기 체결부재(500)의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재(610)는 상기 체결부재(500)를 따라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체(100)에 상기 체결부재(500)의 체결시 상기 제1지지부재(610)가 상기 수축부재(70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절곡부(710)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500)와 상기 이너파이프(400)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6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체(100)에 상하방향의 하중 발생시 상기 제1지지부재(610)가 하방을 이동됨으로써, 상기 수축부재(700)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630)는 상기 수축부재(700)의 하방에 마련됨으로서, 상기 수축부재(700)의 하방으로의 유동을 제한한다. 특히, 상기 체결부재(500)는 볼트인 경우에는 차량의 설계나 환경에 따라서 상기 제2지지부재(630)는 볼트의 헤드(510)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수축부재(700)는 연질의 재료로 성형되고, 상기 지지부재(610,630)는 상기 수축부재(700)에 대비하여 경질의 재질로 성형됨으로써, 상기 수축부재(700)는 변형이 잘 일어나고, 그에 반해 상기 지지부재(610,630)는 상기 수축부재(700)를 가압하거나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차체(100)와 상기 서브프레임(20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500)의 체결시, 상기 수축부재(700)는 상기 지지부재(610,630)로부터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파이프(400)와 항상 동심축이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음방지장치에 따르면, 연질의 재질로 성형되어 가압시 반경이 증대되는 수축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너무 두껍지도, 얇지도 않은 적당한 두께의 수축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조립시에는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 후에는 수축부재의 반경이 증대되어 차체에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체결부재와 이너파이프 사이를 보다 강건하게 지지함으로써 이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축부재의 상하측에는 지지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지지부재가 수축부재를 가압하고, 유동을 흡수하며 이음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차체
200 : 서브프레임
300 : 마운팅홀
400 : 이너파이프
500 : 체결부재
510 : 헤드
610 : 제1지지부재
611 : 제1플랜지부
613 : 제2플랜지부
630 : 제2지지부재
631 : 제1플랜지부
633 : 제2플랜지부
700 : 수축부재
710 : 절곡부
730 : 절곡지점
800 : 너트

Claims (12)

  1. 차체와 서브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이너파이프와 마운팅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관통삽입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조립시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이너파이프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도록 마련된 수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축부재는 연질의 재료로 성형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축부재에 대비하여 경질의 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너파이프와 항상 동심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이되, 측면에는 상기 절곡부의 형성을 위한 절곡지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재는 상하측에서 상기 절곡지점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점점 볼록하게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에 의한 가압시 상기 절곡지점이 상기 이너파이프측으로 돌출되며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지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재는 상하측에서 상기 절곡지점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점점 볼록하게 돌출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에 의한 가압시 상기 절곡지점이 상기 체결부재측으로 돌출되며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에는 상기 수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제1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타부품과 지지되기 위한 제2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부는 상기 제1플랜지부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차체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수축부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체결부재를 따라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체에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시 상기 제1지지부재가 상기 수축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이너파이프 사이의 간극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지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수축부재의 유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지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이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볼트의 헤드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방지장치.
  12. 삭제
KR1020150174370A 2015-12-08 2015-12-08 이음방지장치 KR102251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370A KR102251340B1 (ko) 2015-12-08 2015-12-08 이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370A KR102251340B1 (ko) 2015-12-08 2015-12-08 이음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568A KR20170067568A (ko) 2017-06-16
KR102251340B1 true KR102251340B1 (ko) 2021-05-12

Family

ID=5927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370A KR102251340B1 (ko) 2015-12-08 2015-12-08 이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3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909A (ko) * 1996-11-15 1998-08-05 김영귀 자동차의 러버 마운팅 조립구조
KR20050024715A (ko) 2003-09-01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임 마운팅구조
KR20060022067A (ko) * 2004-09-06 200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버 스티어 방지를 위한 마운팅 부시와 이를 적용한 토션비임 액슬형 현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568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3390B (zh) 垫圈
US9447833B2 (en) Dynamic damper
CN109927499B (zh) 悬架用上支撑件
JP6297400B2 (ja) 防振装置
US9895948B2 (en) Spring isolators and suspension systems incorporating same
JP2009115136A (ja) 防振装置
KR102251340B1 (ko) 이음방지장치
JP2018071602A (ja) アッパサポート用の下クッションゴム
KR101705169B1 (ko) 부시형 마운트
JP2017115940A (ja) アッパーサポート用のクッション体
KR102417408B1 (ko) 서스펜션 부시
JP2010144915A (ja) ばね
JP4026609B2 (ja) 筒型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2663545B1 (ko) 엔진 마운트
JP6722162B2 (ja) 端末支持装置および端末支持装置を用いた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JP5712312B2 (ja) マウント構造
KR101932644B1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유닛
KR101601469B1 (ko) 마운팅 장치
JP2010014171A (ja) 防振装置
KR101601437B1 (ko) 마운팅 장치
CN104500288A (zh) 一种空气滤清器安装结构
CN210739221U (zh) 车辆的减振器
JP7095202B2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の支持構造
CN105987083B (zh) 轴承及其密封方法
CN108382194B (zh) 一种应用于固定汽车油管的减震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