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919B1 -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919B1
KR102250919B1 KR1020157036429A KR20157036429A KR102250919B1 KR 102250919 B1 KR102250919 B1 KR 102250919B1 KR 1020157036429 A KR1020157036429 A KR 1020157036429A KR 20157036429 A KR20157036429 A KR 20157036429A KR 102250919 B1 KR102250919 B1 KR 102250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yer
pressure
meth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894A (ko
Inventor
신스케 아키즈키
유우스케 도야마
아츠시 야스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0723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721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30742A external-priority patent/JP6505383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4/06706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4208699A1/ja
Publication of KR2016002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계 폴리머,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고, 효율적으로 가교시킬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 그리고, 하기 일반식 (1):
Figure 112015126355316-pct00013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이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05 ∼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ETHOD OF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OLARIZATION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METHOD OF PROMOTING CROSS-LINKING I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당해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점착제층,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당해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과 투명 도전성 기재가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 당해 적층체를 사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 등은, 그 화상 형성 방식으로부터 액정 셀의 양측에 각종 다양한 필름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고, 각종 필름을 액정 셀에 첩착 (貼着) 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점착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과 액정 셀의 접착은, 통상적으로, 광의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재료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각종 필름을 고착시키는 데에 건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 등의 메리트를 갖기 때문에, 점착제는, 각종 필름의 편측에 미리 점착제층으로서 형성된 점착제층이 부착된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내구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등의 베이스 폴리머와 함께 가교제가 배합되는 경우가 많으며,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더하여, 과산화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점착제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 아크릴계 모노머 및 질소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더하여, 과산화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830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38147호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유기 과산화물이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의한 가교가 많이 채용되어 있었다. 그러나, 유기 과산화물 가교에서는, 상압 열풍 가교에 있어서, 반응계 중의 산소에 의한 가교 저해에 의해 가교 효율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에서는 반응성이 낮기 때문에, 이들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하는 경우, 가공성 및 생산성의 점에 있어서 불충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당해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기재를, 소정의 사이즈로 타발 가공하거나, 슬릿 가공하는 경우에, 점착제층이 절단날에 제거되거나, 절단면으로부터 비어져나오는 경우가 있었다. 또, 타발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기재의 외관 검사나 반송 중에, 점착제층이 제거되거나, 절단면으로부터 비어져나온 점착제층에 의해, 당해 기재가 오염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 이들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가교 반응의 효율을 올리기 위해서, 우레탄 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 등을 첨가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 경우에는, 상온에서 겔화해 버리는 경우도 있어, 포트 라이프가 매우 짧아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 촉매로서, 아민계나 금속계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아민 냄새에 의한 제품 불량이나 물성 저하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이들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가교 처리 후에, 숙성 (에이징) 기간을 마련하여 가교를 완료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당해 에이징 기간은, 통상적으로 1 일 내지 1 주간 정도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에이징 공정을 마련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아크릴계 폴리머,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당해 가교제에 의해 효율적으로 가교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크릴계 폴리머,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고, 효율적으로 가교시킬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당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제조하는 방법, 당해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 그리고, 하기 일반식 (1):
[화학식 1]
Figure 112015126355316-pct00001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이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05 ∼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산가가 80 ∼ 900 ㎎KOH/g 인 인산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를 0.05 ∼ 2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유량이,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100 중량부에 대해 5 ∼ 10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20 만 ∼ 300 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공정, 및
기재 상에 도포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가 70 ∼ 170 ℃ 에서 30 ∼ 240 초간 가열함으로써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관한 것이다.
가교 후, 5 일 후의 겔 분율이 60 ∼ 9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교 후, 2 시간 후의 겔 분율이 55 ∼ 8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편광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과 투명 도전막을 갖는 투명 도전성 기재가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과 투명 도전성 기재의 투명 도전막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투명 도전막이 산화인듐주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적층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그리고,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또한, 하기 일반식 (1):
[화학식 2]
Figure 112015126355316-pct00002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이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05 ∼ 5 중량부 첨가하여, 가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폴리머,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가교제의 가교 반응을 촉진하고, 점착제층의 3 차원 가교 네트워크가 효율적으로 형성되고, 효율적으로 가교 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교제로서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첨가에 의해, 산소에 의한 라디칼 가교 저해가 억제되고, 효율적으로 가교 반응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우레탄 반응 형성의 촉매가 되어, 효율적으로 가교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가교 반응이 촉진되고, 그 결과, 가공시의 점착제 잔류 등이 억제되어,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생산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 효율이 높은 것이며, 가교 후에, 가온 상태나 실온 방치에 의한 에이징 조작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1.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 그리고, 하기 일반식 (1):
[화학식 3]
Figure 112015126355316-pct00003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이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05 ∼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반식 (1) 중, R1 및 R2 모두가, 수소 원자인 인산 (H3PO4) 도 사용할 수 있고, 당해 인산의 염 (나트륨, 칼륨, 및, 마그네슘 등의 금속염, 암모늄염 등) 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반식 (1) 에 있어서, 적어도 R1 및 R2 중 일방이,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인 인산에스테르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로는, 탄소수 1 ∼ 18 의 알킬기, 탄소수 2 ∼ 18 의 알케닐기, 탄소수 6 ∼ 18 의 아릴기, -(CH2CH2O)nR3 (R3 은, 탄소수 1 ∼ 18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n 은 0 ∼ 15 의 정수이다.)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킬기, 알케닐기는, 직사슬형이어도 되고 분기사슬형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일반식 (2):
[화학식 4]
Figure 112015126355316-pct00004
(식 중, R1 은, 상기와 동일하고, R3 은, 탄소수 1 ∼ 18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n 은 0 ∼ 15 의 정수이다.) 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R3 으로는, 탄소수 1 ∼ 18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들 수 있으며, 탄소수 1 ∼ 18 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n 은, 0 ∼ 15 의 정수이며, 0 ∼ 10 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또, 인산 (R1=R2=수소 원자),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는, 모노에스테르 (R1=수소 원자) 와 디에스테르 (R1=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 의 혼합물로서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염 (나트륨, 칼륨, 및, 마그네슘 등의 금속염, 암모늄염 등) 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인산에스테르의 산가는, 80 ∼ 900 ㎎KOH/g 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700 ㎎KOH/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600 ㎎KOH/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 500 ㎎KOH/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 400 mgKOH/g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50 ∼ 300 ㎎KOH/g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인산에스테르의 산가가 지나치게 높으면,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당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가교 반응 촉매로서 작용해 버리는 경우가 있고, 점착제 조성물이 겔화해 버려,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가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인산에스테르의 산가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가교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가교제의 가교를 촉진할 수 있고, 제조 초기 단계부터 점착제층의 겔 분율을 높일 수 있으며, 그 결과, 가공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의 시판품으로는, 토호 화학 공업 (주) 제조의 「포스파놀 SM-172」 (일반식 (2) 의 R1=R3=C8H17, n=0, 모노·디 혼합물, 산가:219 ㎎KOH/g), 「포스파놀 GF-185」 (일반식 (2) 의 R1=R3=C13H27, n=0, 모노·디 혼합물, 산가:158 ㎎KOH/g), 「포스파놀 BH-650」 (일반식 (2) 의 R1=R3=C4H9, n=1, 모노·디 혼합물, 산가:388 ㎎KOH/g), 「포스파놀 RS-410」 (일반식 (2) 의 R1=R3=C13H27, n=4, 모노·디 혼합물, 산가:105 ㎎KOH/g), 「포스파놀 RS-610」 (일반식 (2) 의 R1=C13H27, R3=C13H27, n=6, 모노·디 혼합물, 산가:82 ㎎KOH/g), 「포스파놀 ML-220」 (일반식 (2) 의 R1=R3=C12H25, n=2, 모노·디 혼합물), 「포스파놀 ML-200」 (일반식 (2) 의 R1=R3=C12H25, n=0, 모노·디 혼합물), 「포스파놀 ED-200」 (일반식 (2) 의 R1=R3=C8H17, n=1, 모노·디 혼합물), 「포스파놀 RL-210」 (일반식 (2) 의 R1=R3=C18H37, n=2, 모노·디 혼합물), 「포스파놀 GF-339 (일반식 (2) 의 R1=R3=C6H13 ∼ C10H21 의 혼합물, n=0, 모노·디 혼합물), 「포스파놀 GF-199」 (일반식 (2) 의 R1=R3=C12H25, n=0, 모노·디 혼합물), 「포스파놀 RL-310」 (일반식 (2) 의 R1=R3=C18H37, n=3, 모노·디 혼합물), 닛코 케미컬즈 (주) 제조의 「닛콜 DDP-2」 (일반식 (2) 의 R1=R3=C12H25 ∼ C15H31 의 혼합물, n=2), 죠호쿠 화학 (주) 제조의 「JP-508」 (일반식 (2) 의 R1=R3=C8H17, n=0, 모노·디 혼합물, 산가:288 ㎎KOH/g), 「JP-513」 (일반식 (2) 의 R1=R3=C13H27, n=0, 모노·디 혼합물), 「JP-524R」 (일반식 (2) 의 R1=R3=C24H49, n=0, 모노·디 혼합물), 「DBP」 (일반식 (2) 의 R1=R3=C4H9, n=0, 디에스테르, 산가:266 ㎎KOH/g), 「LB-58」 (일반식 (2) 의 R1=R3=C8H17, n=0, 디에스테르, 산가:173 ㎎KOH/g), 다이하치 화학 공업 (주) 제조의 「AP-4」 (일반식 (2) 의 R1=R3=C4H9, n=0, 모노·디 혼합물, 산가:452 ㎎KOH/g), 「DP-4」 (일반식 (2) 의 R1=R3=C4H9, n=0, 모노·디 혼합물, 산가:290 ㎎KOH/g), 「MP-4」 (일반식 (2) 의 R1=H, R3=C4H9, n=0, 모노·디 혼합물, 산가:670 ㎎KOH/g), 「AP-8」 (일반식 (2) 의 R1=R3=C8H17, n=0, 모노·디 혼합물, 산가:306 ㎎KOH/g), 「MP-8」 (일반식 (2) 의 R1=R3=C10H21, n=0, 디에스테르, 산가:400 ㎎KOH/g) 등 그리고 그들의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디 혼합물」 이란, 모노에스테르 (일반식 (2) 의 R1=H) 와 디에스테르 (일반식 (2) 의 R1=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 의 혼합물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예를 들어, 포스파놀 SM-172 의 경우, 모노에스테르 (일반식 (2) 의 R1=H, R3=C8H17, n=0) 와 디에스테르 (일반식 (2) 의 R1=R3=C8H17, n=0) 의 혼합물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 「모노·디 혼합물」 의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혼합 비율은, 31P-NMR 의 측정 결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산에스테르로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염이나 다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첨가량을 줄이고, 보다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관점에서, 인산, 인산모노에스테르, 및, 인산디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 개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산과 인산모노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산모노에스테르란, 일반식 (1) 의 R1 및 R2 중 어느 일방이 수소 원자이고, 타방이,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인 화합물 (일반식 (2) 의 경우에는, R1 이 수소 원자인 화합물) 이며, 인산디에스테르란, 일반식 (1) 의 R1 및 R2 가,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인 화합물 (일반식 (2) 의 경우에는, R1 이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인 화합물) 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에 추가로 인산을 첨가할 수 있으며, 그 경우의 인산의 첨가량은,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의 관점에서,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1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중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인산의 첨가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첨가하고, 인산계 화합물의 산가를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2) 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의 2 량체, 3 량체 등의 다량체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첨가량은, 후술하는 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05 ∼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 3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01 ∼ 2.5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01 ∼ 1 중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첨가량이 0.005 중량부보다 적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향이 있고, 또, 5 중량부보다 많은 경우에는, 가교 후에 얻어진 점착제층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2 개 이상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경우에는, 합계량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하며, 본 발명의 (메트) 와는 동일한 의미이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에 관련된 알킬기로는, 직사슬형 또는 분기사슬형의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미리스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4 ∼ 18 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4 ∼ 10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며, n-부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50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 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95 중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하이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하이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 후술하는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로서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가교점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1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 3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에는, 상기 탄소수 4 ∼ 18 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임의로, 상기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등을 함유할 수 있지만, 이들 모노머 이외에도,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그 밖의 공중합 모노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중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0.5 중량부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1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공중합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에 관련된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보르닐,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 등의 (메트)아크릴산 지환식 탄화수소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페닐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예를 들어, 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메틸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에톡시에틸 등의 알콕시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관능성 모노머;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부타디엔,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계 모노머;예를 들어, 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계 모노머;예를 들어, 염화비닐 등의 할로겐 원자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모노머;예를 들어,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옥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등의 이타콘이미드계 모노머;예를 들어,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모노머;예를 들어,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에스테르 모노머;그 외,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이나, 불소(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복소 고리나, 할로겐 원자를 함유하는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다관능성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나,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화물;디비닐벤젠 등의 다관능 비닐 화합물;(메트)아크릴산알릴, (메트)아크릴산비닐 등의 반응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관능성 모노머로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우레탄 등의 골격에 모노머 성분과 동일한 관능기로서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2 개 이상 부가한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밖의 공중합 모노머의 비율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3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중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0 중량부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 모노머의 비율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유리나 필름, 투명 도전막 등의 각종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 저하 등의 점착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20 만 ∼ 300 만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만 ∼ 270 만이 보다 바람직하며, 120 만 ∼ 250 만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20 만보다 작으면, 내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이 120 만보다 작으면, 점착제 조성물 중에 저분자량 성분이 많아지고, 당해 저분자량 성분이 점착제층으로부터 블리드 아웃하여, 투명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이 120 만보다 작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사용하여 얻어진 점착제층은, 내용제성이나 역학 특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 만보다 커지면, 도공하기 위한 점도로 조정하기 위해서 다량의 희석 용제가 필요해져,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내부식성, 내구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해 측정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된 값을 말한다.
이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는, 용액 중합, 괴상 (塊狀) 중합, 유화 중합, 각종 라디칼 중합 등의 공지된 제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얻어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용액 중합에 있어서는, 중합 용매로서,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등이 사용된다. 구체적인 용액 중합예로는, 반응은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기류하에서,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통상적으로 50 ∼ 70 ℃ 정도에서, 5 ∼ 30 시간 정도의 반응 조건으로 실시된다.
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유화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 반응 조건에 따라 제어 가능하고, 이들 종류에 따라 적절한 그 사용량이 조정된다.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2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하이드레이트 (상품명:VA-057, 와코 쥰야쿠 공업 (주) 제조) 등의 아조계 개시제,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sec-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라우로일퍼옥사이드, 디-n-옥타노일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4-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디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1,1-디(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과황산염과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조합,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조합 등의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조합한 레독스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적으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0.005 ∼ 1 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쇄 이동제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메르캅탄, 글리시딜메르캅탄, 메르캅토아세트산, 2-메르캅토에탄올,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루콜산2-에틸헥실,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적으로의 함유량은 모노머 성분의 전체량 100 중량부에 대해, 0.1 중량부 정도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고온 다습 조건하에서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종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임의의 적절한 관능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관능기로는, 예를 들어, 비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메트)아크릴옥시기, 아세토아세틸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스티릴기, 폴리술파이드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부톡시실란 등의 비닐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스티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γ-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메트)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파이드 등의 폴리술파이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전체적으로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1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1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 ∼ 0.8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05 ∼ 0.7 중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의 배합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미반응 커플링제 성분이 발생하여, 내구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실란 커플링제가, 상기 모노머 성분과 라디칼 중합에 의해 공중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당해 실란 커플링제를 상기 모노머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비율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0.005 ∼ 0.7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이며, 당해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점착제층의 내구성에 관계하는 응집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로는, 가열 또는 광 조사에 의해 라디칼 활성종을 발생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베이스 폴리머의 가교를 진행시키는 것이면 적절히 사용 가능하지만, 작업성이나 안정성을 감안하여, 1 분간 반감기 온도가 80 ℃ ∼ 160 ℃ 인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 ℃ ∼ 140 ℃ 인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과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90.6 ℃),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92.1 ℃), 디-sec-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92.4 ℃),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103.5 ℃),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109.1 ℃),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110.3 ℃), 디라우로일퍼옥사이드 (1 분간 반감기 온도:116.4 ℃), 디-n-옥타노일퍼옥사이드 (1 분간 반감기 온도:117.4 ℃),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124.3 ℃), 디(4-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1 분간 반감기 온도:128.2 ℃), 디벤조일퍼옥사이드 (1 분간 반감기 온도:130.0 ℃),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1 분간 반감기 온도:136.1 ℃), 1,1-디(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1 분간 반감기 온도:149.2 ℃)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가교 반응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디벤조일퍼옥사이드 (1 분간 반감기 온도:130.0 ℃) 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과산화물의 반감기란, 과산화물의 분해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과산화물의 잔존량이 절반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임의의 시간에서 반감기를 얻기 위한 분해 온도나, 임의의 온도에서의 반감기 시간에 관해서는, 메이커 카탈로그 등에 기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닛폰 유지 (주) 의 「유기 과산화물 카탈로그 제 9 판 (2003 년 5 월)」 등에 기재되어 있다.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5 ∼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1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0.05 중량부보다 적어지면, 필요해지는 가교 구조의 물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고, 한편, 2 중량부보다 많아지면, 점착제층 중에 과산화물 또는 그 분해 생성물에 의해 내구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블록제 또는 수량체화 (數量體化)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보호한 이소시아네이트 재생형 관능기를 포함한다) 를 1 분자 중에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클로르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된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 및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과 부가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이소시아누레이트화물, 뷰렛형 화합물, 나아가서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부타디엔폴리올, 폴리이소프렌폴리올 등 부가 반응시킨 우레탄 프리폴리머형의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며,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거기에서 유래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다. 여기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거기에서 유래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변성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변성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머형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 변성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포함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시판품으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3 량체 부가물 (상품명:콜로네이트 L,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 제조),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 량체 부가물 (상품명:콜로네이트 HL,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 제조),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상품명:콜로네이트 HX,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 제조)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상품명:D110N, 미츠이 화학 (주) 제조),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상품명:D160N, 미츠이 화학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2 ∼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 1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0.02 중량부보다 적어지면, 필요해지는 가교 구조의 물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2 중량부보다 많아지면, 가교 구조가 조밀해짐으로써 점착제가 단단해지고, 그 결과, 내구성 및 접착력과 같은 물성을 만족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중 어느 일방을 사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되지만,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병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가교 반응을 실시할 수 있고, 가공시의 점착제 잔류 등이 경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병용하는 경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유량이,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100 중량부에 대해 5 ∼ 10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30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가교제로는, 상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함께, 기타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기타 가교제로는, 다관능성의 화합물이 사용되며, 유기계 가교제나 다관능성 금속 킬레이트를 들 수 있다. 유기계 가교제로는, 에폭시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이민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금속 킬레이트는, 다가 금속 원자가 유기 화합물과 공유 결합 또는 배위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다가 금속 원자로는, Al, Cr, Zr, Co, Cu, Fe, Ni, V, Zn, In, Ca, Mg, Mn, Y, Ce, Sr, Ba, Mo, La, Sn, Ti 등을 들 수 있다. 공유 결합 또는 배위 결합하는 유기 화합물 중의 원로는 산소 원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유기 화합물로는 알킬에스테르, 알코올 화합물, 카르복실산 화합물, 에테르 화합물, 케톤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과산화물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타 가교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1 중량부 정도 이하의 비율로 배합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점도 조정제, 박리 조정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 연화제, 유리 섬유, 유리 비즈, 금속 분말,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 안료, 착색제 (안료, 염료 등), pH 조정제 (산 또는 염기),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또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첨가제도 에멀션으로서 배합할 수 있다.
2.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공정, 및,
기재 상에 도포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는, 전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이형 필름, 투명 수지 필름 기재 등의 각종 기재를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나 편광 필름으로의 도포 방법으로는, 각종 방법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파운틴 코터, 롤 코트, 키스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딥 롤 코트, 바 코트, 나이프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커튼 코트, 립 코트,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트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가교 온도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 농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70 ∼ 170 ℃ 가 바람직하고, 90 ∼ 165 ℃ 가 보다 바람직하며, 140 ∼ 16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가교 시간에 대해서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 농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30 ∼ 240 초간이 바람직하고, 60 ∼ 180 초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 조건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효율적으로 가교 반응이 실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 (건조 후) 는, 예를 들어, 5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6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2 ∼ 4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5 ㎛ 미만에서는,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 부족해지고, 고온, 고온 다습하에서의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향이 있다. 한편, 점착제층의 두께가 10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때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건조시에 충분히 다 건조시킬 수 없어, 기포가 잔존하거나, 점착제층의 면에 두께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하여, 외관상의 문제가 현재화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의 구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수지 필름, 종이, 천,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 (薄葉體) 등을 들 수 있지만,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점에서 수지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 수지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5 ∼ 200 ㎛ 이고, 5 ∼ 100 ㎛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불소계, 장사슬 알킬계 혹은 지방산 아미드계의 이형제, 실리카분(粉) 등에 의한 이형 및 방오 처리나, 도포형, 반죽형, 증착형 등의 대전 방지 처리를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이형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장사슬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적절히 실시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 필름 기재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투명성을 갖는 각종 수지 필름이 사용된다. 당해 수지 필름은 1 층의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그 재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이다.
상기 필름 기재의 두께는 15 ∼ 2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아크릴계 점착제층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점착제층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며, 당해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나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등의 가교제의 가교 촉진 효과를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제조 초기 단계로부터 점착제층의 겔 분율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가공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가교 후 5 일 후에, 60 ∼ 9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65 ∼ 9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 90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가교 후 2 시간 후의 겔 분율은, 가공성의 관점에서, 55 ∼ 8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8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5 ∼ 8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겔 분율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가공성,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가교 후 2 시간 후의 겔 분율이 5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부드럽기 때문에, 이 상태로 가공을 실시하면, 가공시에 날에 점착제가 붙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가교 후의 점착제층의 권취 공정에서 타흔 (打痕) 이 발생하여 외관에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겔 분율의 측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겔 분율의 변화율 (가교 후 5 일 후의 겔 분율/가교 후 2 시간 후의 겔 분율) 이, 1.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35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1.30 이 더욱 바람직하며, 1 ∼ 1.25 가 특히 바람직하다. 겔 분율의 변화율이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가교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고, 가교 반응 후 2 시간에 안정된 물성이 되어 있어, 에이징 및 가공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4.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편광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광 필름 상으로의 점착제층의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기재 상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편광 필름 상에, 당해 점착제층을 전사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편광 필름 상에 직접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 편광 필름은, 편광자의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면 보호 편광 필름이어도 되고,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양면 보호 편광 필름이어도 되지만, 편면 보호 편광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은,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갖지 않는 측의 편광자 표면에 직접 형성할 수 있다.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적합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 ∼ 80 ㎛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며, 또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두께가 10 ㎛ 이하인 박형 (薄型) 편광자도 사용할 수 있다. 박형화의 관점에서 말하면, 당해 두께는 1 ∼ 7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박형의 편광자는, 두께 불균일이 적고, 시인성이 우수하고, 또 치수 변화가 적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편광판으로서의 두께도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이 바람직하다.
박형의 편광자로는, 대표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1-069644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38329호나, 국제 공개 제2010/100917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2010/100917호 팜플렛, 또는 일본 특허 4751481호 명세서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73563호에 기재되어 있는 박형 편광막을 들 수 있다. 이들 박형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 계 수지라고도 한다) 층과 연신용 수지 기재를 적층체 상태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제법이면, PVA 계 수지층이 얇아도, 연신용 수지 기재에 지지되고 있음으로써 연신에 의한 파단 등의 문제없이 연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박형 편광막으로는, 적층체의 상태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 중에서도,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어 편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국제 공개 제2010/100917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2010/100917호 팜플렛, 또는 일본 특허 4751481호 명세서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73563호에 기재가 있는 바와 같은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으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본 특허 4751481호 명세서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73563호에 기재가 있는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기 전에 보조적으로 공중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 경화형,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의 경화층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막성 등의 점에서 1 ∼ 500 ㎛ 정도이다.
상기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은 통상적으로 수계 접착제 등을 통해서 밀착되어 있다. 수계 접착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우레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외에,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제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선 경화형 편광 필름용 접착제는, 상기 각종의 투명 보호 필름에 대해, 적합한 접착성을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제에는, 금속 화합물 필러를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 코트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된다.
또, 편광 필름과 점착제층 사이에는, 앵커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앵커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각종 폴리머류, 금속 산화물의 졸, 실리카 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폴리머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폴리머류의 사용 형태는 용제 가용형, 수분산형, 수용해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폴리머류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스티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에는 적절히 가교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들 다른 바인더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적절히 그 용도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앵커층을 수분산형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분산형 폴리머를 사용한다. 수분산형 폴리머로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등의 각종 수지를, 유화제를 사용하여 에멀션화한 것이나, 상기 수지 중에, 수분산성의 아니온기, 카티온기, 또는, 논이온기를 도입하여 자기 유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앵커제에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대전 방지제는,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온성 계면 활성제, 도전성 폴리머, 금속 산화물, 카본 블랙, 및 카본 나노 재료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도전성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분산성 도전 폴리머이다.
수용성 도전성 폴리머로는, 폴리아닐린술폰산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 150,000, 미츠비시 레이온 (주) 제조) 등, 수분산성 도전 폴리머로는, 폴리티오펜계 도전성 폴리머 (나가세 켐텍 (주) 제조, 데나트론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의 배합량은, 예를 들어, 앵커제에 사용하는 상기 폴리머류 100 중량부에 대해 7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 효과의 점에서는, 10 중량부 이상, 나아가서는 20 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 없이,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 앵커층의 형성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에 활성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활성화 처리는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저압 UV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편광 필름 상의 앵커층 상으로의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실용에 제공될 때까지 이형 필름 (세퍼레이터) 으로 점착제층을 보호해도 된다. 이형 필름으로는, 전술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제조에 있어서 기재로서 이형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형 필름 상의 점착제층과 편광 필름을 첩합 (貼合) 함으로써, 당해 이형 필름은,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의 이형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공정면에 있어서의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당해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에 투명 도전막을 적층한 경우에 투명 도전막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고, 투명 도전막의 표면 저항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인산 화합물이 선택적으로 투명 도전막 표면에 흡착하여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산 등의 투명 도전막을 부식시키는 물질이 투명 도전막 표면까지 이행하지 않고, 그 결과, 투명 도전막의 부식이 방해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5. 적층체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과, 투명 도전막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과 투명 도전막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전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도전막을 갖는 기재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투명 기재 상에 투명 도전막을 갖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투명 기재로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이나,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 (예를 들어, 시트상이나 필름상, 판상의 기재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수지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 200 ㎛ 정도가 바람직하고, 15 ∼ 150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필름의 재료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투명성을 갖는 각종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재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이다.
또, 상기 투명 기재에는, 표면에 미리 스퍼터링, 코로나 방전, 화염, 자외선 조사, 전자선 조사, 화성 (化成), 산화 등의 에칭 처리나 하도 (下塗) 처리를 실시하여, 이 위에 형성되는 투명 도전막의 상기 투명 기재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투명 도전막을 형성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용제 세정이나 초음파 세정 등에 의해 제진, 청정화해도 된다.
상기 투명 도전막의 구성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듐, 주석, 아연, 갈륨, 안티몬, 티탄, 규소, 지르코늄, 마그네슘, 알루미늄, 금, 은, 동, 팔라듐, 텅스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금속의 금속 산화물이 사용된다. 당해 금속 산화물에는, 필요에 따라, 또한 상기 군에 나타낸 금속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산화주석을 함유하는 산화인듐 (ITO), 안티몬을 함유하는 산화주석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ITO 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ITO 로는, 산화인듐 80 ∼ 99 중량% 및 산화주석 1 ∼ 20 중량%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ITO 로는, 결정성의 ITO, 비결정성 (아모르퍼스) 의 ITO 를 들 수 있으며, 모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막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 4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 3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도전막의 형성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을 예시할 수 있다. 또, 필요로 하는 막두께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도전막을 갖는 기재의 두께로는 15 ∼ 200 ㎛ 를 들 수 있다. 또한,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15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5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도전막을 갖는 기재가 저항막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100 ∼ 200 ㎛ 의 두께를 들 수 있다. 또 정전 용량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15 ∼ 100 ㎛ 의 두께가 적합하고, 특히, 최근의 추가적인 박막화 요구에 수반하여 15 ∼ 50 ㎛ 의 두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 50 ㎛ 의 두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투명 도전막과 투명 기재 사이에, 필요에 따라, 언더 코트층, 올리고머 방지층 등을 형성할 수 있다.
6.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적층체는, 입력 장치 (터치 패널 등) 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PDP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 입력 장치 (터치 패널 등) 등의 기기를 구성하는 기재 (부재) 또는 이들 기기에 사용되는 기재 (부재) 의 제조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터치 패널용의 광학 기재의 제조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저항막 방식이나 정전 용량 방식과 같은 터치 패널 등의 방식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재단, 레지스트 인쇄, 에칭, 은 잉크 인쇄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얻어진 투명 도전성 필름은, 광학 디바이스용 기재 (광학 부재) 로서 사용할 수 있다. 광학 디바이스용 기재로는, 광학적 특성을 갖는 기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PDP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 입력 장치 (터치 패널 등) 등의 기기를 구성하는 기재 (부재) 또는 이들 기기에 사용되는 기재 (부재) 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에 투명 도전막을 적층한 경우에도, 투명 도전막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이 투명 도전막과 접하는 구성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그리고,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또한, 하기 일반식 (1):
[화학식 5]
Figure 112015126355316-pct00005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이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05 ∼ 5 중량부 첨가하여, 가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유기 과산화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대해서는, 상기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배합 비율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같다. 또, 가교 조건으로도,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에 있어서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그리고,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또한,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당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를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가교제로서,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첨가에 의해, 산소에 의한 라디칼 가교 저해가 억제되어, 효율적으로 가교 반응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우레탄 반응 형성의 촉매가 되어, 효율적으로 가교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가교 반응이 촉진되고, 그 결과, 가공시의 점착제 잔류 등이 억제되어, 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 생산성이 우수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각 예 중, 부, % 는 모두 중량 기준이다.
제조예 1 (편광 필름 (1) 의 제조)
비정성 (非晶性)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기재에, 두께 9 ㎛ 의 폴리비닐알코올 (PVA) 층이 제막 (製膜) 된 적층체를, 연신 온도 130 ℃ 의 공중 보조 연신에 의해 연신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다음으로, 연신 적층체를 염색에 의해 착색 적층체를 생성하고, 또한 착색 적층체를 연신 온도 65 ℃ 의 붕산수 중 연신에 의해, 총연신 배율이 5.94 배가 되도록 비정성 PET 기재와 일체로 연신된 4 ㎛ 두께의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이와 같은 2 단 연신에 의해 비정성 PET 기재에 제막된 PVA 층의 PVA 분자가 고차로 배향되고, 염색에 의해 흡착된 요오드가 폴리요오드 이온 착물로서 한 방향으로 고차로 배향된 고기능 편광자를 구성하는, 두께 4 ㎛ 의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할 수 있었다. 또한, 당해 광학 필름 적층체의 편광자의 편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비누화 처리한 40 ㎛ 두께의 아크릴 수지 필름 (투명 보호 필름 (1)) 을 첩합한 후, 비정성 PET 기재를 박리하여, 편면 보호의 박형 편광자를 사용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하, 이것을 편광 필름 (1) 이라고 한다.
제조예 2 (편광 필름 (2) 의 제조)
두께 80 ㎛ 의 PVA 필름을, 속도비가 상이한 롤 사이에 있어서, 30 ℃, 0.3 % 농도의 요오드 용액 중에서 1 분간 염색하면서, 3 배까지 연신하였다. 그 후, 60 ℃, 4 % 농도의 붕산, 10 % 농도의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 0.5 분간 침지하면서 종합 연신 배율이 6 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이어서, 30 ℃, 1.5 % 농도의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 10 초간 침지함으로써 세정한 후, 50 ℃ 에서 4 분간 건조를 실시하고, 두께 20 ㎛ 의 편광자를 얻었다. 또한, 당해 광학 필름 적층체의 편광자의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비누화 처리한 40 ㎛ 두께의 아크릴 수지 필름 (투명 보호 필름 (1)) 을 첩합한 후, 비정성 PET 기재를 박리한 후, 다른 편면에 두께 40 ㎛ 의 노르보르넨계 필름 (투명 보호 필름 (2)) 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 의해 첩합하여, 양면 보호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하, 이것을 편광 필름 (2) 라고 한다.
Figure 112015126355316-pct00006
제조예 3 (아크릴계 폴리머 (A-1) 을 함유하는 용액의 조제)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크릴산부틸 99 부, 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1 부, 및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을 모노머 (고형분) 100 부에 대해 1 부를 아세트산에틸과 함께 첨가하여 질소 가스 기류하, 60 ℃ 에서 7 시간 반응시킨 후, 그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155 만의 아크릴계 폴리머 (A-1) 을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고형분 농도 30 중량%).
제조예 4 ∼ 6 (아크릴계 폴리머 (A-2) ∼ (A-4) 를 함유하는 용액의 제조)
모노머의 조성을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A-2) ∼ (A-4) 를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각각의 용액에 대해, 고형분 농도 30 중량%).
Figure 112015126355316-pct00007
표 2 중의 약기는, 각각 이하와 같다.
BA:부틸아크릴레이트
AA:아크릴산
HEA: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HBA: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또, 제조예 3 ∼ 6 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의 측정>
제조한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해 측정하였다.
장치:토소사 제조, HLC-8220GPC
칼럼:
샘플 칼럼;토소사 제조, TSKguardcolumn Super HZ-H (1 개) + TSKgel Super HZM-H (2 개)
레퍼런스 칼럼;토소사 제조, TSKgel Super H-RC (1 개)
유량:0.6 ㎖/min
주입량:10 ㎕
칼럼 온도:40 ℃
용리액:THF
주입 시료 농도:0.2 중량%
검출기:시차 굴절계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하였다.
실시예 1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정)
제조예 3 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A-1), 가교제로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의 고형분 100 부당,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과의 어덕트체 (상품명:타케네이트 D160N, 미츠이 화학 (주) 제조) 0.1 부와, 디벤조일퍼옥사이드 0.3 부와, 인산에스테르 (상품명:포스파놀 SM-172, 토호 화학 공업 (주) 제조) 0.05 부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톡시실란 (상품명:KBM-403,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0.075 부를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제조)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기재) 의 표면에 파운틴 코터로 균일하게 도공하고, 155 ℃ 의 공기 순환식 항온 오븐으로 2 분간 건조시키고, 기재의 표면에 두께 20 ㎛ 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편광 필름 (1) 의 보호 필름을 갖지 않는 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세퍼레이터를 이착 (移着) 시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3
실시예 1 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정) 에 있어서, 인산에스테르의 첨가량을, 0.05 부에서 표 3 에 기재된 부 (部) 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6
실시예 1 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제조) 에 있어서, 건조 조건을 155 ℃, 120 초간으로부터 표 3 에 기재한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 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정) 에 있어서, 포스파놀 SM-172 (상품명, 토호 화학 공업 (주) 제조) 0.05 부를, 포스파놀 RS-410 (상품명, 산가:105 ㎎KOH/g, 토호 화학 공업 (주) 제조) 0.05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 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정) 에 있어서, 포스파놀 SM-172 (상품명, 토호 화학 공업 (주) 제조) 0.05 부를, 인산 (시약 특급) (와코 쥰야쿠 공업 (주) 제조) 0.05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 11
실시예 1 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정) 에 있어서, 제조예 3 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A-1) 을 함유하는 용액을, 각각, 제조예 4 ∼ 6 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A-2) ∼ (A-4) 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변경하고, 또한, 인산에스테르의 배합량을 0.05 부에서 0.1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 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제조) 에 있어서, 편광 필름 (1) 을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 (2)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 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제조) 에 있어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과의 어덕트체 (상품명:타케네이트 D160N, 미츠이 화학 (주) 제조) 의 첨가량을 0.1 부에서 0.12 부로 변경하고, 또한, 디벤조일퍼옥사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 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제조) 에 있어서, 디벤조일퍼옥사이드의 첨가량을 0.3 부에서 0.4 부로 변경하고, 또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과의 어덕트체 (상품명:타케네이트 D160N, 미츠이 화학 (주) 제조) 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 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정) 에 있어서, 포스파놀 SM-172 (상품명, 토호 화학 공업 (주) 제조) 0.05 부를, MP-4 (상품명, 산가:670 ㎎KOH/g, 모노·디 혼합물, 다이하치 화학 공업 (주) 제조) 0.05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정) 에 있어서, 인산에스테르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 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정) 에 있어서, 인산에스테르, 디벤조일퍼옥사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4
실시예 1 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조정) 에 있어서, 인산에스테르를 첨가하지 않고, 또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제조) 에 있어서, 건조 조건을 155 ℃, 120 초간으로부터 표 3 에 기재한 조건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인산계 화합물에 대해 이하와 같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분석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인산계 화합물의 조성을, 31P-NMR (Acetone-d6, 실온) 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측정에 의해 얻어진 피크의 적분값으로부터, ㏖% 를 산출한 후, 에스테르의 알코올 성분의 알킬 사슬로부터 함유량비 (중량%) 를 산출하였다.
(31P-NMR 측정 조건)
측정 장치:Bruker Biospin, AVANCEIII-400
관측 주파수:160 ㎒ (31P)
플립각:30°
측정 용매:Acetone-d6 (중아세톤)
측정 온도:실온
화학 시프트 표준:P=(OCH3)3 in Acetone-d6 (31P;140 ppm 외부 표준)
Figure 112015126355316-pct00008
표 3 에 있어서, 인산모노에스테르란, 일반식 (1) 의 R1 및 R2 중 어느 일방이 수소 원자이고, 타방이,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인 화합물 (일반식 (2) 의 경우에는, R1 이 수소 원자인 화합물) 이며, 인산디에스테르란, 일반식 (1) 의 R1 및 R2 가,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인 화합물 (일반식 (2) 의 경우에는, R1 이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인 화합물) 이다. 예를 들어, 포스파놀 SM-172 의 경우, 「모노에스테르」 는, 일반식 (2) 의 R1=H, R3=C8H17, n=0 인 화합물, 「디에스테르」 란, 일반식 (2) 의 R1=R3=C8H17, n=0 인 화합물을 나타낸다.
<겔 분율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해, 각 실시예, 비교예와 동일한 건조 조건 (온도, 시간) 으로 처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또한 온도 23 ℃, 습도 65 %RH 의 조건에 2 시간 방치한 후, 및, 5 일간 방치한 후, 당해 점착제층을 0.2 g 취하여, 미리 중량을 측정한 불소 수지 필름 (TEMISH NTF-1122, 닛토 전공 (주) 제조) (중량:Wa) 에 싸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새지 않도록 묶었다. 이것을 측정 샘플로 한다. 측정 샘플의 중량을 측정하고 (중량:Wb), 샘플병에 넣었다. 샘플병에 아세트산에틸을 40 ㏄ 첨가하여, 7 일간 방치하였다. 그 후, 측정 샘플 (불소 수지 필름 +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을 꺼내어, 당해 측정 샘플을 알루미늄 컵 상에서, 130 ℃, 2 시간 건조시켰다. 측정 샘플의 중량 (Wc) 을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겔 분율을 구하였다.
Figure 112015126355316-pct00009
<가공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대해, 제조 후 24 시간 이내에 1 변의 길이가 270 ㎜ 인 정방형으로 타발한 것에 대해, 육안, 촉감으로 관찰하고, 편광 필름 측면의 점착감의 유무가 있는지 여부, 또, 편광 필름의 표면이 점착제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점착제에 의한 오염이 보이지 않는다.
○:점착제에 의한 오염이 문제 없는 정도이지만, 보인다.
△:점착감이 있고, 오염이 일부 확인된다.
×:점착감이 있고, 오염이 단부 (端部) 의 대부분에 확인된다.
<포트 라이프>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가교제 첨가 후 12 시간 방치하고, 그 후, 도공한 것에 대해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도공한 것의 외관에 문제가 없었다.
○:도공한 것의 외관에 조금 돌기물이 확인된다.
×:외관에 큰 겔 덩어리가 확인되거나, 혹은 배합 용액이 겔화되어 있다.
<점착제의 내구성 시험 (박리 및 발포)>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형 편광 필름 샘플의 세퍼레이터 필름을 떼어내고, 무알칼리 유리에 첩합하고, 50 ℃, 5 atm, 15 분간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한 후, 85 ℃ 의 가열 오븐 및 60 ℃/90 %RH 의 항온항습기에 투입하였다. 500 h 후의 편광판의 박리 및 발포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전혀 박리 또는 발포가 확인되지 않았다.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의 박리 또는 발포가 발생하였다.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작은 박리 또는 발포가 발생하였다.
×:분명한 박리 또는 발포가 확인되었다.
Figure 112015126355316-pct00010
표 4 중의 약기는, 각각 이하와 같다.
B-1:포스파놀 SM-172, 산가:219 ㎎KOH/g (토호 화학 공업 (주) 제조)
B-2:포스파놀 RS-410, 산가:105 ㎎KOH/g (토호 화학 공업 (주) 제조)
B-3:인산 (시약 특급) (와코 쥰야쿠 공업 (주) 제조)
B-4:MP-4, 산가:670 ㎎KOH/g, 모노·디 혼합물, 다이하치 화학 공업 (주) 제조
과산화물:디벤조일퍼옥사이드
이소시아네이트계: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과의 어덕트체 (상품명:타케네이트 D160N, 미츠이 화학 (주) 제조)
실란 커플링제: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톡시실란 (상품명:KBM-403,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Claims (15)

  1. 편광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그리고, 하기 일반식 (1):
    Figure 112020112284633-pct00014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 잔기이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의 함유량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5 ~ 2 중량부이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유량이, 상기 유기 과산화물계 가교제 100 중량부에 대해, 5 ~ 1000 중량부이고,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05 ∼ 5 중량부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산가가 80 ∼ 900 ㎎KOH/g 인 인산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20 만 ∼ 300 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가교 후, 5 일 후의 겔 분율이 60 ~ 9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가교 후, 2 시간 후의 겔 분율이 55 ∼ 8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11. 삭제
  12. 제 1 항에 기재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과 투명 도전막을 갖는 투명 도전성 기재가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과 투명 도전성 기재의 투명 도전막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막이 산화인듐주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5. 삭제
KR1020157036429A 2013-06-28 2014-06-26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 KR102250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7025 2013-06-28
JP2013137025 2013-06-28
JPJP-P-2013-186762 2013-09-09
JP2013186762 2013-09-09
JP2014107237A JP6472172B2 (ja) 2013-06-28 2014-05-23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液晶表示装置、及び、積層体
JPJP-P-2014-107237 2014-05-23
JPJP-P-2014-130742 2014-06-25
JP2014130742A JP6505383B2 (ja) 2013-06-28 2014-06-25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層の製造方法及び当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アクリル系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積層体、画像表示装置、並びに、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の架橋促進方法
PCT/JP2014/067066 WO2014208699A1 (ja) 2013-06-28 2014-06-26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の製造方法、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の架橋促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894A KR20160026894A (ko) 2016-03-09
KR102250919B1 true KR102250919B1 (ko) 2021-05-11

Family

ID=5318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429A KR102250919B1 (ko) 2013-06-28 2014-06-26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50919B1 (ko)
CN (1) CN105358649B (ko)
TW (1) TWI6642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5094B2 (ja) * 2015-03-31 2017-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透明導電層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CN107390482B (zh) * 2016-11-22 2019-07-09 长濑化成株式会社 抗蚀剂剥离液和抗蚀剂的剥离方法
JP6249260B1 (ja) 2016-11-22 2017-12-20 ナガセケムテックス株式会社 レジスト剥離液及びレジストの剥離方法
CN112703238B (zh) * 2018-09-05 2023-04-04 王子控股株式会社 透明构件贴合用粘合片、层叠体的制造方法及层叠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111A (ja) * 2005-06-24 2007-01-11 Toyo Ink Mfg Co Ltd 帯電防止アクリル粘着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6638B2 (ja) 2004-12-02 2007-05-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869015B2 (ja) 2005-10-18 2012-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粘着剤付光学部材
JP5340649B2 (ja) * 2007-10-22 2013-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203392A (ja) * 2008-02-29 2009-09-10 Konishi Co Ltd 2液型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4820443B2 (ja) * 2009-11-20 2011-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955579B2 (ja) * 2011-07-21 2016-07-20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エッチング用保護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111A (ja) * 2005-06-24 2007-01-11 Toyo Ink Mfg Co Ltd 帯電防止アクリル粘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64261B (zh) 2019-07-01
KR20160026894A (ko) 2016-03-09
CN105358649B (zh) 2019-11-22
TW201510154A (zh) 2015-03-16
CN105358649A (zh)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787B1 (ko) 투명 도전막용 점착제층이 구비된 편광 필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281964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부착된 광학 필름, 액정 표시 장치, 및, 적층체
KR102528043B1 (ko) 코팅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230320B1 (ko)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4208695A1 (ja)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307569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아크릴계 점착제층, 점착제층이 부착된 기재 필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6522289B2 (ja)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US20110123799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optical film, pressure-sensitive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US20140039128A1 (en)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6743314B2 (ja) 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505383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層の製造方法及び当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アクリル系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積層体、画像表示装置、並びに、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の架橋促進方法
JP6697625B2 (ja) 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4208696A1 (ja) 粘着剤組成物、透明導電層用粘着剤層、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102204750B1 (ko)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250919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촉진 방법
KR101948462B1 (ko)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206692B1 (ko) 점착제 조성물, 투명 도전층용 점착제층,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6363410B2 (ja) 粘着剤組成物、透明導電層用粘着剤層、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2027097A (ja)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画像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粘着剤層
WO2014208699A1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の製造方法、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の架橋促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