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786B1 - Emi 필터 - Google Patents

Emi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786B1
KR102250786B1 KR1020190111065A KR20190111065A KR102250786B1 KR 102250786 B1 KR102250786 B1 KR 102250786B1 KR 1020190111065 A KR1020190111065 A KR 1020190111065A KR 20190111065 A KR20190111065 A KR 20190111065A KR 102250786 B1 KR102250786 B1 KR 10225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usbar
core
termina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610A (ko
Inventor
최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미
Priority to KR102019011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78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01F2017/065Core mounted around conductor to absorb noise, e.g. EMI fil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5Wound, ring or feed-through type indu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92Inductor filters, i.e. inductors whose parasitic capacitance is of relevance to consider it as fil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바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EMI 필터에 관한 것으로, 부스바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부스바 관통공에 체결되고 부스바가 관통하는 관 형상의 부스바 터미널; 및 상기 부스바 터미널과 분리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접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바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의 바깥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영역과 하우징의 안쪽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부스바 터미널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격벽이 하우징과 접촉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스크루가 결합될 수 있는 길쭉한 형상의 복수의 장공이 부스바 터미널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과 하우징의 측벽 사이에는 안전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EMI 필터{EMI FILTER}
본 발명은 EMI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스바 터미널을 하우징에 결합하여 부스바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EMI 필터에 관한 것이다.
EMI 필터는 전자제품 내에 장착되어 전자기파를 제거하는 필터로써 회로 동작에 필요한 신호는 통과시키고 잡음은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EMI 필터는 토로이달(toroidal) 형상의 코어와 외부 회로와의 연결을 위한 부스바가 연결된 구조이다.
공개실용신안 20-2011-0004705호, "부스바 일체형 권선구조를 갖는 대전류 EMI 필터"에는 토로이달 코어에 부스바가 관통하고, 부스바가 일체로 형성된 EMI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러한 구조에서는 부스바가 하우징을 바로 관통하면서 부스바를 결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토로이달 코어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등의 몰딩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몰딩에 의한 고정 방법은 공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특성 저하가 발생하고 에폭시 수지 무게로 인해 전체 제품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전자제품은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가는 추세인데, 몰딩에 의한 고정방법은 경량화에도 어려움이 있다.
(0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75호, 부스바 일체형 권선구조를 갖는 대전류 EMI 필터, 공개일 : 2011.05.12 (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80093호, 인덕터 및 이를 포함하는 EMI 필터, 공개일 : 2018.07.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스바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EMI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토로이달 코어를 고정하되, 브라켓에 PCB 기판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EMI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는 부스바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부스바 관통공에 체결되고 부스바가 관통하는 관 형상의 부스바 터미널; 및 상기 부스바 터미널과 분리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접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바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의 바깥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영역과 하우징의 안쪽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부스바 터미널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격벽이 하우징과 접촉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스크루가 결합될 수 있는 길쭉한 형상의 복수의 장공이 부스바 터미널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과 하우징의 측벽 사이에는 안전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공은 부스바 터미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루의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스크루가 부스바 터미널의 하부는 관통하지 않고, 상기 부스바 터미널의 하부는 막혀 있어 스크루 결합시 발생되는 분진이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격벽과 안전 격벽 사이에는 안전 격벽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영역의 하부에는 상기 안전 격벽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상기 고정 격벽에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 및 상기 지지다리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과 이격되어 평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코어 지지 코어 지지 유닛; 상기 코어 지지 유닛에 고정되는 복수의 토로이달 코어; 양쪽 측면이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부분이 상기 복수의 토로이달 코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상기 토로이달 코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를 상기 코어부에 결속하여 고정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코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어 삽입 홈의 양쪽 측면에 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로이달 코어는 상기 코어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밴드는 상기 밴드 삽입홈을 관통하여 토로이달 코어와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것
상기 고정구의 절곡되는 부분에는 상기 밴드를 삽입하기 위한 밴드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드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경사지게 꺾어져 상기 밴드 삽입 홈에 삽입되는 챔퍼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폭시와 같은 몰딩 컴파운드를 사용하지 않고 토로이달 코어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때문에 EMI 필터가 가벼워 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몰딩의 몰딩 방식에는 컴파운드 작업 및 경화 시간으로 인해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절차가 생략되어 작업 공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성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하우징에서 상부 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부스바 터미널 부분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부스바 터미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코어 부분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코어 부분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조임부(610)의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코어 부분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코어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EMI 필터의 하우징에서 상부 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부스바 터미널 부분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부스바 터미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코어 부분의 분해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코어 부분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코어 부분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코어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코어 지지 유닛(200), 상기 코어 지지 유닛(200)에 결합되는 다수의 토로이달 코어(300), 상기 다수의 토로이달 코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구(400), 및 상기 토로이달 코어(300) 및 고정구(400)를 서로 묶어서 결합하는 밴드(5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의 일면에는 부스바 터미널(150)이 결합되고, 하우징 외측면 일측에는 접지단자(160)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EMI 필터의 케이스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금속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하우징에서 상부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양쪽 측면에는 부스바(1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스바(10)는 복수개 결합될 수 있으며, 부스바(10)는 부스바 터미널(150)에 의해 하우징(100)과 절연되어 있다.
상기 부스바 터미널(150)은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부스바(10)가 관통하는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부스바 터미널(150)은 부스바(10)가 관통할 수 있는 관 형상이다.
그리고 부스바 터미널(150)은 상기 하우징의 바깥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영역(151)과 하우징의 안쪽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영역(152)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151)에는 상기 부스바 터미널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격벽(153)이 하우징과 접촉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영역(152)에는 스크루가 결합될 수 있는 길쭉한 형상의 복수의 장공(155)이 부스바 터미널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155)과 하우징의 측벽 사이에는 안전 격벽(1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스바 터미널(15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영역(151)과 제2 영역(152)은 하우징의 측벽을 기준으로 영역을 구분한 것일 뿐 개별 구성이 아니라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부스바 터미널(150)은 부스바(10)가 관통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부스바 터미널(15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것인데, 도 3의 (a)는 부스바 터미널을 상부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의 부스바 터미널을 하부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격벽(153)은 제1 영역(151) 즉, 하우징(100) 측벽의 바깥 쪽에 형성된다. 고정 격벽(153)은 제1 영역(151)의 외측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제1 영역을 감싸는 형상이다. 따라서 고정 격벽(153)의 폭과 높이는 제1 영역(151)의 폭과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 격벽(153)의 모서리 부분에는 나사공(158)이 형성되어 있어 부스바 터미널(150)을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안전 격벽(154)은 제2 영역(152)의 상부면에 장공(155)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고정 격벽(153)이 제1 영역(151)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 모든 영역에 형성되어 있음에 반해 안전 격벽(154)은 제2 영역(152)의 상부면에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55)은 제2 영역(152)이 상부면에만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영역(152)의 하부면은 막혀 있다. 따라서 장공에 스크루(20)가 체결될 때 발생하는 분진이 부스바 터미널의 제2 영역(152)의 하부면에 의해 차단되고 하우징 내부로 분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공(155)은 스크루(20)의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어 스크루(20)의 위치를 장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부스바(10) 체결시 부스바 위치를 장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스크루(20) 결합시 작업 실수 등으로 스크쿠가 떨어뜨리거나 옆으로 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안전 격벽(154)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격벽(153)과 안전 격벽(154)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리브(15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156)는 일정한 높이로 제2 영역(152)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안전 격벽(154)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영역(152)은 제1 영역(15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52)은 하우징 안쪽 영역으로 더 많이 진입해 있다. 부스바(10)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루(20)가 제2 영역(152)에 형성되므로 이러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영역(152)의 하부에는 제2 영역(152)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157)가 형성되어 있다. 부스바 터미널(15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이므로 금속 소재에 비해서 경도가 약하므로 하우징의 측벽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2 영역(152)을 지지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우징과 부스바를 절연하면서 동시에 부스바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8은 EMI 필터의 코어 부분 및 그 고정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코어 지지 유닛(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210) 및 상기 지지다리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과 이격되어 평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22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20)는 지지다리(210)의 높이만큼 하우징의 하부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이격되는 거리 즉, 플레이트(220)의 높이는 설계시에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며 펨너트(213)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지지 유닛(200)의 플레이트(220)에는 다수의 코어 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어 삽입홈의 양쪽 측면에는 밴드(500)가 관통할 수 있는 슬릿 모양의 밴드 삽입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삽입홈(221)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지지다리(210)의 높이 및 코어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0)의 상부의 일측면에는 PCB(인쇄회로기판) 고정을 위한 PCB 고정 리브(230)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PCB 고정 리브(230)에는 PCB 체결을 위한 나사공(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CB 고정 리브(230)는 이격되어 한쌍이 형성되고 플레이트(220)의 한쪽 사이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PCB 고정 리브(230)가 형성되는 면은 지지다리(210)가 형성되지 않은 면이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210)에 PCB 고정 리브(210)를 형성함으로써 PCB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토로이달 코어(300)는 도넛 형상으로 중앙 부분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스바(10)가 중공을 관통한다. 상기 토로이달 코어(300)는 자성체 코어로 인덕터스 성분을 제공한다. 상기 토로이달 코어(300)는 2개 이상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로이달 코어(300)는 제1 토로이달 코어(310)와 제2 토로이달 코어(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 폭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토로이달 코어(320)는 두 개의 토로이달 코어를 포함하지만 이격되어 있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토로이달 코어(320) 하나로 표현하였다.
상기 고정구(400)는 복수의 토로이달 코어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는 절곡되어 코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토로이달 코어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격된 토로이달 코어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유격(裕隔)을 방지하기 위한 유격 방지부(420)가 돌출되어 있다. 유격 방지부(420)에 의해 두개의 코어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토로이달 코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격 방지부(420)의 폭(H)은 두 코어(310, 320)의 이격된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유격 방지부(420)가 제1 토로이달 코어(310)와 제2 토로이달 코어(320)의 이격된 틈 사이에 삽입되어 토로이달 코어(300)가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로이달 코어(300)는 사용되는 목적과 종류에 따라 코어의 폭이나 개수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가 세개 사용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면 유격 방지부(420)는 대응되는 위치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500)는 플레이트(220)에 형성된 밴드 삽입홈(222)을 관통하면서 코어(300)와 고정구(400)를 결속하여 결합한다.
상기 밴드(500)는 금속 재질의 띠 형상이며, 끝단에 조임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510)에 의해 코어(300)과 고정구(400)를 코어 지지 유닛(200)에 단단하게 결속하여 토로이달 코어(3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밴드(500)의 끝단에는 다수의 슬릿(5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511)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나선형의 나사선(514)이 형성된 웜기어(5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웜기어(512)를 회전하게 되면 나사선(514)이 슬릿(511)을 따라 이동하면서 밴드를 단단하게 조일 수 있다.
그리고 조임부(510)는 웜기어(512)를 밴드에 고정하는 커버(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웜기어(512)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웜기어(512)가 A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밴드가 단단하게 조여지고, 반대로 웜기어(512)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웜기어(512)가 B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밴드가 느슨하게 풀린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타이밴드(600)를 추가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구(400)의 이탈 방지부(410)의 절곡되는 부분에는 밴드 삽입 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밴드 삽입 홈(412)에는 타이밴드(600)가 삽입되어 고정구(400)가 코어부(30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밴드 삽입 홈(412)은 타이밴드(600)의 폭과 동일하거나 조금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밴드(600)는 토로이달 코어(300)를 고정구(400)와 결속하여 결합한다. 밴드의 일측에는 조임부(610)가 형성되어 있어 밴드를 단단하게 결속할 수 있다. 상기 조임부(610)는 타이밴드 형태로 코어부(310)에 고정구(400)가 올려진 상태에서 한쪽을 당기면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밴드(600)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밴드 삽입 홈(4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꺽어진 챔퍼링부(620)가 형성되어 있다. 챔퍼링부(620)가 밴드 삽입 홈(412)이 삽입됨으로써 타이밴드(6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구(400)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밴드(500)를 사용하여 토로이달 코어(300)를 고정한 상태에서 타이밴드(600)를 사용함으로써 코어(300)와 고정구구(400)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부스바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잇으며, 에폭시 수지와 같은 몰딩 컴파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토로이달 코어를 하우징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스바가 관통할 수 있는 부스바 터미널(150)을 하우징의 일측면에 결합하고, 부스바를 부스바 터미널과 결합함으로써 부스바는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부스바 터미널 중 하우징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영역(152)의 상부에만 스크루가 결합되는 장공(155)을 형성하고 하부면은 막히게 형성함으로써 스크루 결합시 발생하는 분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장공이 형성된 주변에 안전 격벽(154)을 형성하여 스크루와 하우징 사이를 차단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지지 유닛(200)을 사용함으로써 토로이달 코어(300)를 쉽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해 가볍게 제조할 수 있다.
토로이달 코어(300)가 고정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구(400)와 밴드(500)가 사용되는데, 고정구(400)의 양쪽에 형성된 이탈 방지부(410)는 토로이달 코어(300)가 이탈 방지부(410)를 벗어나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토로이달 코어(30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탈 방지부(410)만으로는 원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토로이달 코어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유격 방지부(420)를 추가하여 이격된 복수의 코어가 유격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밴드(500)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고정구(400)를 토로이달 코어(300)에 단단히 고정하고 동시에 토로이달 코어(300)도 코어 지지 유닛(20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밴드(500)가 코어부(310)의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방지부(410)의 절곡되는 부분에 밴드 삽입 홈(412)을 형성하고, 밴드(500)의 모서리 부분이 경사를 주어 모서리 부분이 밴드 삽입 홈(412)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밴드(500)는 금속 재질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밴드를 조작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 본 발명에서는 밴드의 끝단에 조임부(510)를 형성하여 밴드(500)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50 : 부스바 터미널
151 : 제1 영역 152 : 제2 영역
153 : 고정 격벽 154 : 안전 격벽
155 : 장공 156 : 리브
157 :지지대 160 : 접지 단자
200 : 코어 지지 유닛 210 : 플레이트
220 : 지지다리 300 : 토로이달 코어
400 : 고정구 410 : 이탈 방지부
420 : 유격 방지부 500 : 밴드
510 : 조임부

Claims (5)

  1. 부스바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부스바 관통공에 체결되고 부스바가 관통하는 관 형상의 부스바 터미널; 및
    상기 부스바 터미널과 분리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접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바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의 바깥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영역과 하우징의 안쪽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부스바 터미널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 격벽이 하우징과 접촉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스크루가 결합될 수 있는 길쭉한 형상의 복수의 장공이 부스바 터미널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과 하우징의 측벽 사이에는 안전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격벽과 안전 격벽 사이에는 안전 격벽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영역의 하부에는 상기 안전 격벽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상기 고정 격벽에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부스바 터미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루의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스크루가 부스바 터미널의 하부는 관통하지 않고, 상기 부스바 터미널의 하부는 막혀 있어 스크루 결합시 발생되는 분진이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I 필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 및 상기 지지다리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과 이격되어 평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코어 지지 코어 지지 유닛;
    상기 코어 지지 유닛에 고정되는 복수의 토로이달 코어;
    양쪽 측면이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부분이 상기 복수의 토로이달 코어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상기 토로이달 코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를 상기 토로이달 코어에 결속하여 고정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코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어 삽입 홈의 양쪽 측면에 밴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로이달 코어는 상기 코어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밴드는 상기 밴드 삽입홈을 관통하여 토로이달 코어와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EMI 필터.
KR1020190111065A 2019-09-06 2019-09-06 Emi 필터 KR10225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065A KR102250786B1 (ko) 2019-09-06 2019-09-06 Emi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065A KR102250786B1 (ko) 2019-09-06 2019-09-06 Emi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610A KR20210029610A (ko) 2021-03-16
KR102250786B1 true KR102250786B1 (ko) 2021-05-18

Family

ID=7522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065A KR102250786B1 (ko) 2019-09-06 2019-09-06 Emi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4155A1 (en) * 2021-06-28 2023-01-04 Valeo eAutomotive France SAS Busbar assembly comprising a magnetic cor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90Y1 (ko) * 2012-11-26 2013-12-11 김용현 계기용 변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104468U1 (de) * 2016-08-12 2016-08-24 Schaffner Emv Ag Filter mit Leiterplatte und Stromschienen
KR20180042529A (ko) * 2016-10-18 2018-04-26 (주)동일기연 대용량 코일권선형 emi 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대용량 코일권선형 emi 필터 구조체
KR102145921B1 (ko) 2017-01-03 2020-08-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덕터 및 이를 포함하는 emi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90Y1 (ko) * 2012-11-26 2013-12-11 김용현 계기용 변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610A (ko)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4463B1 (en) Coil and surface-mounting-type coil component
KR102250786B1 (ko) Emi 필터
US9666355B1 (en) Common mode inductor assembly with magnetic I bar defined leakage path
US4945332A (en) Noise suppression inductor
US6781499B2 (en) Inductive component with wire-guiding slots
WO2018135357A1 (ja) 多段コイルおよび回路構成体
US4092622A (en) Coil body
KR102250787B1 (ko) Emi 필터
US20040257189A1 (en) Thin Transformer
US11545293B1 (en) Bobbin for edge-mounted magnetic core
JP5192582B1 (ja) チョークコイル
JP2007311622A (ja) 小型面実装電子部品とその製造方法
US6755692B2 (en) Connecting pin structure for a transformer core
DE19607092A1 (de) Antennenspule für Fahrbereitschaftssysteme
US20200381173A1 (en) Common mode inductor with dual leakage paths
KR200312344Y1 (ko) 초크 코일
WO2017135065A1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CN109841391B (zh) 绕组部件
US3458844A (en) Coil bobbin
CN109841395B (zh) 绕组部件
JPH04263405A (ja) コイル巻枠
JPH08203753A (ja) コイルボビン
JP2004274038A (ja) コモンモードコイル
DE4008077C2 (ko)
US67814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tuating an inductive element onto a rod in an electrical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