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109B1 - 고박용 훅, 고박 장치 및 고박 방법 - Google Patents

고박용 훅, 고박 장치 및 고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109B1
KR102250109B1 KR1020197029648A KR20197029648A KR102250109B1 KR 102250109 B1 KR102250109 B1 KR 102250109B1 KR 1020197029648 A KR1020197029648 A KR 1020197029648A KR 20197029648 A KR20197029648 A KR 20197029648A KR 102250109 B1 KR102250109 B1 KR 10225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ecuring
fastening
fixing
curv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653A (ko
Inventor
다케시 고나가이
Original Assignee
아비에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비에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비에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B60P7/083Tensioning by repetetive movement of an actua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wheeled carg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60P3/073Vehicle retainers
    • B60P3/075Vehicle retainers for wheels, hubs, or axle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60P3/073Vehicle retainers
    • B60P3/079Tie-down re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63B2025/245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of wheeled cargo, e.g. vehicle re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박용 훅에 관한 것이며, 고정 부재에 하측으로부터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박용 훅(12)은, 고박 대상의 고정 부재에 걸어 고정하는 훅부(34)와, 본체부(36)를 구비한다. 본체부(36)는, 장력 전달용의 벨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50)를 구비한다. 훅부(34)는, 베이스부(38)와 만곡부(42)와 선단부(40)를 구비한다. 만곡부(42)는, 베이스부(38)와 선단부(40)의 사이에 개구(44)를 가지고, 당해 개구(44)의 내측에 고정 부재를 수용하는 스페이스(46)를 가진다. 본체부(36) 및 베이스부(38)의 근방이 두께를 가지는 방향을 Z방향으로 한 경우에, 만곡부(42)는, 선단부(40)의 Z방향 위치와 베이스부(38)의 Z방향 위치를 중복시키지 않는 벤드를 Z방향으로 가진다.

Description

고박용 훅, 고박 장치 및 고박 방법
본 발명은, 고박(固縛, lashing)용 훅(hook), 고박 장치 및 고박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박 대상의 위치 어긋남 방지에 적합한 고박용 훅, 및 그 훅을 이용한 고박 장치 및 고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적하(積荷)를 선박에 의해 수송할 때에는, 항행(航行) 중의 위치 어긋남을 막기 위해서, 갑판(甲板) 상에서 적하(積荷)를 고정해 둘 필요가 있다. 근래의 자동차에는, 그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아이 볼트(Eye-Bolt) 등의 고정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아이 볼트는, 훅을 걸려 고정하기 위한 고리 모양의 루프부(loop部)와, 자동차 등과의 체결을 얻기 위한 볼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자동차 등의 고박 대상을 선박 등의 상(上)에 고정하기 위한 고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고박 장치는, 아이 볼트 등의 고정 부재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박용 훅을 구비하고 있다. 고박용 훅에는, 로프(rope)나 벨트(이하, '벨트'로 함)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벨트의 타단은, 장력 발생 기구를 매개로 하여 고정 훅에 연결되어 있다. 고정 훅은, 선박의 갑판 상(上) 등에 마련되어 있는 부동(不動) 부재에 걸려 고정된다.
장력 발생 기구에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조작 레버가 조립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는, 지점(支点)을 중심으로 하여 해방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반전되는 것에 의해, 고박용 훅과 고정용 훅을 연결하는 벨트에 장력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고박 장치에 의하면, 고박용 훅을 고박 대상에 걸어 고정하고, 다음으로 고정용 훅을 부동 부재에 걸어 고정한 후에, 장력 발생 기구의 조작 레버를 반전시키면, 벨트의 장력을 고박 대상에 작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장력을 복수 개소(예를 들면, 자동차의 네 귀퉁이)에 작용시키면, 고박 대상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출원인은, 특허 문헌 1을 포함하여, 본 출원에 포함되는 발명에 관련하는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하기의 문헌을 파악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2-3119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02-31194호 공보
선박 등에 의한 수송의 과정에서, 자동차 등의 고박 대상에는 여러가지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예를 들면, 선박이 왼쪽으로 기울면, 고박 대상에는 좌측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때, 우측에 걸려 고정된 스트랩에는 신장이 생기고, 한편, 좌측에 걸려 고정된 스트랩은 축소가 발생한다. 그리고, 좌측의 스트랩에는 느슨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고박용 훅은, 이러한 느슨함이 생겼을 때에도 아이 볼트 등으로부터 빠지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고박용 훅이, 수평하게 배치된 루프부에 하측으로부터 걸려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훅의 개구 부분은 상향이 되기 쉽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트랩에 느슨함이 생기면, 고박용 훅이 자중에 의해 루프부로부터 탈락하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
한편, 고박용 훅이, 수평하게 배치된 루프부에 상측으로부터 걸려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훅의 개구 부분이 하향이 되기 쉽다. 이 경우, 훅의 자중은 훅의 걸림 고정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스트랩에 느슨함이 생겨도, 훅은 루프부로부터 탈락되기 어렵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고박 장치는, 이하의 2점에 따라서 사용하는 것이 전제가 된다.
(1) 아이 볼트의 루프부 등, 훅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수평하게 배치한다.
(2) 상기의 고정 부재에, 고박용 훅을 상측으로부터 걸어 고정한다.
자동차 등의 고박 대상에 마련되는 고정 부재에는, 여러가지 제약이 가해진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아이 볼트는, 의장(意匠) 상의 제약 등에 의해 통상은 차체의 바닥 밑에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 부재에 상측으로부터 고박용 훅을 걸어 고정하는 작업은, 반드시 용이한 것만은 아니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고박 장치는, 안정된 고박을 제공할 수 있지만, 가끔 난이도가 높은 고박 작업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고정 부재에 하측으로부터 걸려 고정된 상태라도, 용이하게는 고정 부재로부터 탈락하지 않는 고박용 훅을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고정 부재에 하측으로부터 걸려 고정된 상태라도, 용이하게는 고정 부재로부터 탈락하지 않는 고박용 훅을 구비하는 고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의 고박용 훅을 이용한 고박 대상의 고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박 대상이 구비하는 고정 부재에 걸려 고정되는 훅부와, 당해 훅부와 일체화되어 있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고박용 훅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장력 전달용의 벨트 등가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훅부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선단부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만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선단부와의 사이에 개구를 가지고 당해 개구의 내측에 상기 고정 부재를 수용하는 스페이스를 가지는 외형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근방이 두께를 가지는 방향을 Z방향으로 한 경우에, 상기 만곡부는, 상기 선단부의 Z방향 위치와 상기 베이스부의 Z방향 위치를 중복시키지 않는 벤드(bend, 구부러짐)를 Z방향으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훅부는, 당해 연결부에 연결되는 상기 벨트 등가물의 중심선의 연장이 상기 만곡부와 교차하는 위치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벤드는, 상기 선단부의 Z방향 위치를 상기 베이스부의 Z방향 위치와 중복하지 않는 위치까지 변위시키는, 상기 만곡부의 Z방향에서의 비틀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4 발명은,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상기 스페이스측의 단면(端面)은, 상기 베이스부의 근방에서는 Z축 방향에 평행인 한편, 당해 만곡부의 중앙부의 근방에서는 Z축 방향에 대해서 상기 비틀림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5 발명은, 제3 또는 제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선단부의 비틀림의 각도는 5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6 발명은, 제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선단부의 비틀림의 각도는 4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7 발명은, 제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선단부의 비틀림의 각도는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8 발명은, 제1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고박용 훅을 구비하는 고박 장치로서,
일방의 측에서 상기 고박용 훅의 본체부에 연결되는 벨트 등가물과,
상기 벨트 등가물의 타방의 측에 연결되는 고정용 훅과,
상기 고박용 훅과 상기 고정용 훅과의 사이에서, 상기 벨트 등가물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발생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9 발명은, 제8 발명에 관한 고박 장치를 이용한, 고박 대상의 고박 방법으로서,
상기 고박 대상이 구비하는 고정 부재에, 상기 고박용 훅을 하측으로부터 걸어 고정하는 스텝과,
상기 고박 대상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영역에 설치된 부동(不動) 부재에, 상기 고정용 훅을 걸어 고정하는 스텝과,
상기 고박용 훅의 걸림 고정 및 상기 고정용 훅의 걸림 고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벨트 등가물에 장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장력 발생 기구를 작동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에 의하면, 고박용 훅은, 훅부에서 고정 부재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고박용 훅은, 벨트 등가물이 발(發)하는 장력을, 고박 대상의 고정 부재에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박 대상의 복수의 개소에 고박용 훅을 걸어 고정하면, 고박 대상의 위치 어긋남을 유효하게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훅부는, 고정 부재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를 가질 필요가 있다. 베이스부와 선단부의 Z방향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훅부의 개구는, Z방향에 수직인 방향(이하, 간단하게 「수직 방향」이라고 함)으로, 고정 부재의 폭보다 큰 거리를 둘 필요가 있다. 여기서, 선단부의 Z방향 위치를 베이스부의 Z방향 위치로부터 비켜 놓으면, Z방향의 어긋남 정도만큼 개구의 거리는 커진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커진 거리가 고정 부재의 폭보다 크면, 고정 부재는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부와 선단부의 Z방향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개구의 수직 방향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부와 선단부의 Z방향 위치가 일치한 훅에 비해, 고정 부재로부터 탈락되기 어렵게 된다.
고정 부재가 개구를 통과하여 훅부의 만곡부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훅부의 선단부는, 고정 부재보다 개구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로부터, 훅부의 선단부가, 고정 부재보다 만곡부의 측으로 이동해 버리면, 고박용 훅은 고정 부재로부터 탈락한다. 훅부에 벤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훅부는, 내측의 단면(端面)에서만 고정 부재에 접촉한다. 이 경우, 상기의 상태 변화의 과정에서는, 그 단면과 고정 부재의 미끄럼 마찰만이 저항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훅부의 선단부에 벤드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의 상태 변화의 과정에서, 선단부 부근의 측면이 고정 부재에 닿거나, 선단부의 이동을 방해하는 저항이 한층 더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에 관한 고박용 훅은, 이 점에서도, 선단부에 벤드를 가지지 않는 고박용 훅에 비해 고정 부재로부터 탈락되기 어렵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고박용 훅은, 훅부의 선단부에 벤드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고박용 훅에 비해, 고정 부재로부터 탈락되기 어려운 특성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부재에 하측으로부터 걸려 고정된 상태라도, 고정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탈락하지 않는 고박용 훅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의하면, 벨트 등가물이 발하는 장력은, 벨트 등가물의 중심선을 따라서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중심선이 만곡부와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벨트 등가물이 발하는 장력은, 훅부의 만곡부를 고박 대상의 고정 부재에 대고 누르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 등가물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고박용 훅이 고정 부재로부터 탈락되기 어려운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제3 발명에 의하면, 만곡부의 선단부 부근을 Z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비틀림에 의해서 소망의 벤드를 실현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의하면, 만곡부의 중앙부의 근방에서 단면에 경사가 생겨 있기 때문에, 고정 부재와 훅부의 접촉은, 면접촉이 아니고, 점접촉 또는 선접촉이 된다. 점접촉 또는 선접촉에 의하면, 면접촉의 경우에 비해 큰 마찰 저항이 발생한다. 고박용 훅은, 고정 부재와 훅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이 클수록, 고정 부재로부터 탈락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고박용 훅의 탈락에 대한 내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제5 발명에 의하면, 만곡부의 선단부에는, Z방향 위치가 베이스부와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55°이하의 비틀림각(角)이 주어진다. 이러한 범위이면, 베이스부와 선단부의 Z방향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고박용 훅에 비해, 고정 부재로부터의 탈락에 관해서 뛰어난 내성을 얻을 수 있다.
제6 발명에 의하면, 만곡부의 선단부에는, Z방향 위치가 베이스부와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45°이하의 비틀림각이 주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5 발명에 비해, 고정 부재로부터의 탈락에 관해서 더욱 뛰어난 내성을 얻을 수 있다.
제7 발명에 의하면, 만곡부의 선단부에는, Z방향 위치가 베이스부와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30°이하의 비틀림각이 주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6 발명에 비해, 고정 부재로부터의 탈락에 관해서 보다 한층 뛰어난 내성을 얻을 수 있다.
제8 발명에 의하면,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고박용 훅을 구비하는 고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고박 장치에 의하면, 장력 발생 기구의 기능에 의해, 고박용 훅과 고정용 훅의 사이에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장력을 고박 대상에 작용시키면, 고박 대상의 위치 어긋남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박용 훅을 하측으로부터 걸어 고정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한 작업으로 고박 작업을 완료시킬 수 있다.
제9 발명에 의하면, 제8 발명에 관한 고박 장치를 이용하여, 부동 부재와 고박 대상과의 사이에 장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고박용 훅은 하측으로부터 고정 부재에 걸려 고정된다. 하측으로부터의 걸림 고정 작업은, 상측으로부터의 걸림 고정 작업에 비해 용이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으로부터의 걸림 고정만이 행하여지는 경우에 비해 고박 작업을 용이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고박 장치가 장력을 발생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고박 장치가 장력을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고박 장치가 구비하는 고박용 훅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고박용 훅을 평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고박용 훅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고박용 훅을 하측 걸림(under hooking)으로 이용한 경우의 이동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고박용 훅을 횡측 걸림으로 이용한 경우의 이동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고박용 훅을 하측 걸림으로 이용한 경우의 앙각(仰角, 올려본 각)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 및 3의 고박용 훅을 하측 걸림으로 이용한 경우의 이동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고박(固縛, lashing) 장치(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고박 장치(10)는 고박용 훅(12)을 구비하고 있다. 고박용 훅(12)은 고정 부재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부재로서 아이 볼트(eye-bolt)(14)가 이용되어 있다.
아이 볼트(14)는, 루프부(loop部)(16)와 볼트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루프부(16)는 중앙에 공간을 가지는 고리 모양의 부재이다. 볼트부(18)는, 도시하지 않은 고박 대상에 체결되어 있다. 고박 대상으로서는, 자동차나 컨테이너 등, 반송 등의 과정에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여러가지 물체가 상정(想定)된다.
도 1에서, 아이 볼트(14)는, 루프부(16)가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박용 훅(12)은, 수평하게 배치된 루프부(16)에 하측으로부터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걸림 고정의 수법을 「하측 걸림」이라고 칭한다. 이것에 대해서, 수평하게 배치된 루프부(16)에, 고박용 훅(12)을 상측으로부터 걸어 고정하는 수법을 「상측 걸림」이라고 칭한다. 게다가, 루프부(16)를 수평하게 배치하여 고박용 훅(12)을 옆으로부터 걸어 고정하는 수법을 「횡측 걸림」이라고 칭한다.
고박용 훅(12)에는, 벨트(2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벨트(20)는, 로프(rope), 혹은 체인으로 치환할 수 있다. 벨트(20)의 타단에는, 장력 발생 기구(22)가 연결되어 있다. 장력 발생 기구(22)는, 벨트(20)를 권회(卷回)하여 유지하기 위한 기구(24)와, 조작 레버(26)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조작 레버(26)가 장력 해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장력 발생 기구(22)에는, 암(28)이 연결되어 있다. 암(28)에는, 또한, 고정용 훅(30)이 연결되어 있다. 고정용 훅(30)은, 부동 부재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동 부재로서 아이 볼트(32)가 이용되어 있다. 아이 볼트(32)는, 예를 들면 선박의 갑판 등, 고박 대상을 고정해야 할 영역에 고정된 부동의 부재이다. 도 1에서, 아이 볼트(32)는, 루프부가 수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정용 훅(30)은, 그 아이 볼트(32)에 상측 걸림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고박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박용 훅(12)을 고박 대상의 아이 볼트(14)에 하측 걸림한다. 다음으로, 고정용 훅(30)을 아이 볼트(32)에 걸어 고정한다. 그 후, 벨트(20)의 느슨함이 없어질 정도로 벨트(20)의 권회 부분을 조정한다. 마지막으로, 조작 레버(26)를, 고정용 훅(30)측의 장력 해방 위치로부터, 고박용 훅(12)측의 장력 발생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2는, 조작 레버(26)가 장력 발생 위치로 조작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장력 발생 기구(22)는, 조작 레버(26)가 고정용 훅(30)측으로부터 고박용 훅(12)의 측으로 조작되는 과정에서, 지레의 원리에 의해 벨트(20)를 기구(24)측으로 끌어 들인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고박용 훅(12)과 고정용 훅(30)의 사이에 장력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선박에 탑재된 자동차가 고박 대상인 경우, 자동차의 네 귀퉁이에 상기의 장력을 작용시킴으로써, 고박 대상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고박용 훅의 특징]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고박용 훅(1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고박용 훅(12)을 평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5는, 고박용 훅을 도 4에 나타내는 V 화살표 방향으로 보아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IV 화살표 방향은, 도 4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본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은 훅부(34)와 본체부(36)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34)는 베이스부(38)에서 본체부(36)와 연결되어 있다. 훅부(34)는, 베이스부(38)와 선단부(40)의 사이에 만곡부(42)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38)와 선단부(40)와의 사이에는 개구(44)가 존재한다. 만곡부(42)는, C자 또는 U자 모양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개구(44)의 내측에는 원형 모양의 스페이스(46)가 형성되어 있다.
고박용 훅(12)의 본체부(36)에는 관통공(48)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36)는, 관통공(48)을 사이에 두고 만곡부(42)의 반대측에, 벨트(20)를 권회하기 위한 연결부(50)를 가지고 있다. 벨트(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50)에 권회됨으로써 고박용 훅(12)에 연결된다.
연결부(50)는, 만곡부(42)의 중앙부와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이 때문에, 연결부(50)에 벨트(20)가 연결되면, 벨트(20)의 중심선의 연장은, 만곡부(42)의 거의 중앙과 교차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에 의하면, 벨트(20)가 발(發)하는 장력은, 만곡부(42)의 거의 중앙에 작용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고박용 훅(12)의 만곡부(42)는 「벤드(bend, 구부러짐)」를 가지고 있다. 이 「벤드」는, 훅부(34)의 베이스부(38) 주변의 두께 방향을 Z방향으로 한 경우에, 선단부(40)의 Z방향 위치가, 베이스부(38)의 Z방향 위치와 중복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도 5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 만곡부(42)의 벤드는, 선단부(40)가 베이스부(38)에 대해서 30°경사지도록, 만곡부(42)의 중앙부 부근에 비틀림을 일으키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고박용 훅(12)을 아이 볼트(14)에 걸어 고정하기 위해서는, 아이 볼트(14)의 루프부(16)를 구성하는 축 부재가, 개구(44)를 통과할 수 없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개구(44)에는, 아이 볼트(14)의 축 부재의 폭(축 부재가 원기둥 모양이면 직경)보다 큰 거리를 둘 필요가 있다. 이 거리가 클수록, 고박용 훅(12)은, 아이 볼트(14)로부터 탈락되기 쉬워진다.
훅부(34)의 선단부(40)가 Z방향에서 베이스부(38)와 겹쳐져 있다고 하면, 개구(44)는, Z방향에 수직인 방향(52)에서, 아이 볼트(14)의 축 부재의 폭을 넘는 거리를 가지지 않으면 안 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훅을 「비교 훅」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부(40)의 Z방향 위치가, 만곡부(42)의 「벤드」의 영향으로, 베이스부(38)의 Z방향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다. 그리고, 개구(44)의 거리는 그 어긋남 정도만큼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개구(44)의 수직 방향(52)의 거리가 아이 볼트(14)의 축 부재의 폭과 동일하더라도, 그 축 부재는 개구(44)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훅부(34)의 선단부(40)과 베이스부(38)가 Z방향에서 겹쳐져 있는 구성에 비해, 개구(44)의 수직 방향(52)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은, 비교예의 훅에 비해, 아이 볼트(14)로부터 탈락되기 어려운 특성을 나타낸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42)의 「벤드」는, 만곡부(42)의 중앙 부근의 비틀림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 비틀림의 영향은, 만곡부(42)의 스페이스(46)측의 단면(42a), 즉, 만곡부(42)가 아이 볼트(14)와 접하는 단면에도 나타내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에서는, 베이스부(38)의 주변에서는 만곡부(42)의 단면(42a)이 Z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지만, 만곡부(42)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선단부(40)에 걸쳐서는, 상기 비틀림의 영향으로, 그 단면(42a)이 Z축에 대해 경사진 면이 된다.
비교예의 훅에서는, 만곡부(42)의 단면은, 모든 영역에서 Z축과 평행하게 된다. 이 경우, 만곡부(42)는, 단면(42a)의 전폭(全幅)에서 아이 볼트(14)와 접촉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에서는, 만곡부(42)는, 중앙부의 부근으로부터 선단부(40)에 걸쳐서, 경사진 단면(42a)의 단점(端点)에서만 아이 볼트(14)에 접촉한다. 만곡부(42)와 아이 볼트(14)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접촉 면적이 작을수록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비교예의 경우에 비해 그 마찰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은, 이 점에서도, 비교예의 훅에 비해 아이 볼트(14)로부터 탈락되기 어려운 특성을 나타낸다.
[탈락 시험의 결과]
도 6은, 비교예의 훅과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에 대해 실시한 제1 탈락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고박 대상:지상 46.5cm의 높이에 아이 볼트(14)를 가지는 자동차
2. 걸림 고정 방법:하측 걸림
3. 초기 조건:아이 볼트(14)의 전방 30cm, 지상 높이 75cm의 개소에서, 180g의 장력으로 벨트(20)를 유지
4. 시험 동작:벨트(20)의 유지 위치를 아이 볼트(14)를 향해서 수평 이동시키고, 탈락의 유무, 및 탈락까지의 이동 거리를 측정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훅은, 30회의 시험 전부에서 아이 볼트(14)로부터 탈락했다. 탈락까지의 이동 거리는, 최대로 24mm이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은, 30회의 시험 전부에서, 300mm의 전(全)거리를 이동해도 탈락이 생기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은, 하측 걸림으로 이용한 경우에, 비교예의 훅에 비해 매우 뛰어난 안정성을 나타낸다.
도 7은, 제2 탈락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이 시험의 방법은, 루프부(16)가 수직이 되도록 아이 볼트(14)의 방향을 변경하고, 비교예의 훅 및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을 횡측 걸림으로 걸어 고정한 것 외에는, 제1 탈락 시험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측 걸림의 경우에서도, 비교예의 훅은, 30회의 시험 전부에서 아이 볼트(14)로부터 탈락했다. 탈락까지의 이동 거리는, 최대로 33mm이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은, 30회의 시험 전부에서, 전(全)거리의 300mm를 이동해도 탈락이 생기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은, 횡측 걸림으로 이용한 경우에도, 비교예의 훅에 비해 매우 뛰어난 안정성을 나타낸다.
도 8은, 제3 탈락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또, 하기의 시험 방법 중, 1 및 2는 제1 탈락 시험의 경우와 동일하다.
1. 고박 대상:지상 46.5cm의 높이에 아이 볼트(14)를 가지는 자동차
2. 걸림 고정 방법:하측 걸림
3. 초기 조건:아이 볼트(14)의 전방 30cm, 벨트(20)가 수평이 되는 높이(15cm)에서, 180g의 장력으로 벨트(20)를 유지
4. 시험 동작:벨트(20)로의 장력을 유지한 채로, 고박용 훅(12)을 중심으로 하여 벨트(20)의 유지 위치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탈락의 유무, 및 탈락시의 벨트(20)의 앙각(仰角, 올려본 각)을 측정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훅은, 30회의 시험에서, 최소 21°, 최대 28°의 앙각에서 아이 볼트(14)로부터 탈락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에서는, 30회의 시험 중, 앙각이 54°에 이를 때까지는 한번도 낙하가 생기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은, 벨트(20)에 허용할 수 있는 앙각의 면에서도, 비교예의 훅에 비해 매우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선박의 갑판 등 상에 고정된 고박 대상에는, 수송의 과정에서 여러가지 흔들림이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고박 대상에 장력을 부여하고 있는 벨트(20)에는, 일시적인 신축, 혹은 앙각 변화가 발생한다. 훅이 상측 걸림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훅의 자중이 아이 볼트(14)와의 걸림 고정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비교예의 훅도, 상측 걸림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아이 볼트(14)로부터 낙하하는 것이 없는 것은 동일하다. 그렇지만, 하측 걸림 또는 횡측 걸림으로 이용된 경우에는, 벨트(20)의 축소량이나 앙각이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조건에 이르면, 비교예의 훅은 아이 볼트(14)로부터 낙하한다. 이 때문에, 비교예의 훅을 하측 걸림이나 횡측 걸림으로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은, 수송의 과정에서 벨트(20)에 발생하는 축소 또는 앙각 변화의 범위에서는, 아이 볼트(14)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고박용 훅(12)은, 상측 걸림에 한정하지 않고, 하측 걸림 및 횡측 걸림으로 이용할 수 있다. 훅을 걸어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하측 걸림 및 횡측 걸림을 이용할 수 있게 되면, 훅의 걸림 고정 작업에 대한 자유도가 넓어져, 그 작업이 현저하게 용이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고박용 훅(12), 및 본 실시 형태의 고박 장치(10)에 의하면, 비교예의 훅이 이용되는 경우에 비해, 고박 작업에 따른 노력을 현저하게 경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그런데,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고정 부재 및 부동 부재가, 각각 아이 볼트(14, 32)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부재 및 부동 부재는, 훅을 걸어 고정할 수 있으면, 아이 볼트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부재라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만곡부(42)의 「벤드」를 비틀림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벤드」은, 단차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괜찮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장력 발생 기구(22)를 특정의 구조물에 한정하고 있지만, 그 기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력 발생 기구(22)로서, 예를 들면, 공지의 캠 버클(cam buckle), 오버 센터 버클, 래칫 버클, 및 스퀘어 버클(일(日)자 버클)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 2 및 3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 및 3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는, 베이스부(38)에 대한 선단부(40)의 경사각이 30°로부터 45°로 변경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은, 베이스부(38)에 대한 선단부(40)의 경사각이 30°로부터 55°로 변경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하다.
[탈락 시험의 결과]
도 9는, 실시 형태 2의 고박용 훅(12) 및 실시 형태 3의 고박용 훅(12)에 대해 실시한 제1 탈락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 방법은, 실시 형태 1에 대해 실시한 제1 탈락 시험의 방법과 동일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의 고박용 훅(12), 즉, 45°의 경사각을 가지는 고박용 훅(12)은, 20회의 시험 중 16회는, 300mm의 전거리를 이동해도 탈락이 생기지 않았다. 이와 같이, 45°의 경사각을 가지는 고박용 훅(12)은, 실시 형태 1의 고박용 훅(12)에는 뒤떨어지지만, 비교예의 훅에 비해 훨씬 높은 낙하 내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선단부(40)에 45°의 경사각을 가지는 고박용 훅(12)도, 비교예의 훅에 비해, 고박 작업의 노력을 충분히 경감할 수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3의 고박용 훅(12), 즉, 55°의 경사각을 가지는 고박용 훅(12)은, 20회의 시험 중 9회는, 300mm의 전거리를 이동해도 탈락이 생기지 않았다. 이와 같이, 55°의 경사각을 가지는 고박용 훅(12)에 대해서도, 비교예의 훅보다 높은 낙하 내성이 인정된다. 이 때문에, 선단부(40)에 55°의 경사각을 가지는 고박용 훅(12)도, 비교예의 훅에 비해, 고박 작업의 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 형태 1 내지 3에서는, 벨트(20)가 제1 발명에서의 「벨트 등가물」에 상당한다.
10 : 고박 장치 12 : 고박용 훅
14, 32 : 아이 볼트 16 : 루프부
18 : 볼트부 20 : 벨트
22 : 장력 발생 기구 30 : 고정용 훅
34 : 훅부 36 : 본체부
38 : 베이스부 40 : 선단부
42 : 만곡부 44 : 개구
46 : 스페이스 50 : 연결부

Claims (9)

  1. 고박(固縛, lashing) 대상이 구비하는 고정 부재에 걸려 고정되는 훅부(hook部)와, 상기 훅부와 일체화되어 있는 본체부를 구비하는 고박용 훅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장력 전달용의 벨트 등가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훅부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선단부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만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선단부와의 사이에 개구를 가지고 상기 개구의 내측에 상기 고정 부재를 수용하는 스페이스를 가지는 외형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 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Z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만곡부는, 상기 선단부의 Z방향 위치와 상기 베이스부의 Z방향 위치가 어긋나도록 Z방향으로 벤드(bend, 구부러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박용 훅.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훅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상기 벨트 등가물의 중심선의 연장이 상기 만곡부와 교차하는 위치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박용 훅.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벤드(구부러짐)는, 상기 선단부의 Z방향 위치와 상기 베이스부의 Z방향 위치가 어긋나도록 상기 만곡부를 Z방향으로 비트는 것(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만곡부의 Z방향에서의 비틀림)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박용 훅.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상기 스페이스측의 단면(端面) 중, 적어도 상기 만곡부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선단부까지는 Z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박용 훅.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선단부의 비틀림의 각도는 5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박용 훅.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선단부의 비틀림의 각도는 4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박용 훅.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선단부의 비틀림의 각도는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박용 훅.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박용 훅을 구비하는 고박 장치로서,
    일방의 측에서 상기 고박용 훅의 본체부에 연결되는 벨트 등가물과,
    상기 벨트 등가물의 타방의 측에 연결되는 고정용 훅과,
    상기 고박용 훅과 상기 고정용 훅과의 사이에서, 상기 벨트 등가물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발생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박 장치.
  9. 청구항 8에 기재된 고박 장치를 이용한 고박 대상의 고박 방법으로서,
    상기 고박 대상이 구비하는 고정 부재에, 상기 고박용 훅을 하측으로부터 걸어 고정하는 스텝과,
    상기 고박 대상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영역에 설치된 부동(不動) 부재에, 상기 고정용 훅을 걸어 고정하는 스텝과,
    상기 고박용 훅의 걸림 고정 및 상기 고정용 훅의 걸림 고정이 종료된 후에, 상기 벨트 등가물에 장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장력 발생 기구를 작동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박 대상의 고박 방법.
KR1020197029648A 2017-03-29 2017-03-29 고박용 훅, 고박 장치 및 고박 방법 KR102250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2979 WO2018179159A1 (ja) 2017-03-29 2017-03-29 固縛用フック、固縛装置及び固縛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653A KR20190134653A (ko) 2019-12-04
KR102250109B1 true KR102250109B1 (ko) 2021-05-07

Family

ID=6010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648A KR102250109B1 (ko) 2017-03-29 2017-03-29 고박용 훅, 고박 장치 및 고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8072B2 (ko)
EP (1) EP3604856B1 (ko)
JP (1) JP6216484B1 (ko)
KR (1) KR102250109B1 (ko)
CN (1) CN110462256B (ko)
WO (1) WO201817915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873A (ja) 2005-04-26 2006-11-09 Ashimori Ind Co Ltd ベルト締具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7736A (en) 1920-09-13 1922-08-29 Clarence J Hendricks Clip
AU2904267A (en) 1968-10-04 1970-04-09 GEORGE EPHRAIM DEACON and DELMA MABLE DEACON Fencing wire attachment
US4102018A (en) 1976-12-21 1978-07-25 Ryusyo Industrial Co., Ltd. Clasping device
US4117256A (en) * 1977-01-24 1978-09-26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Dead end appliance for linear bodies and drop wire type conductor installation including the same
US4422218A (en) * 1980-04-21 1983-12-27 Dominion Chain Inc. Lever-type load binder
JP3016123B2 (ja) * 1995-10-19 2000-03-06 株式会社ゴムチェーン 車両滑止め具用ジョイントロック
DE29614300U1 (de) 1996-08-19 1996-10-10 W. Schlafhorst AG & Co, 41061 Mönchengladbach Haken zur Befestigung eines auf Zug beanspruchten Haltemittels
FR2753243A1 (fr) 1996-09-11 1998-03-13 Bonifassy Martial Dispositif pour crocheter et longer un cordage
USD397287S (en) 1997-10-17 1998-08-25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Hook for a sausage conveyor
JP2002031193A (ja) 2000-07-13 2002-01-31 Ryusyo Industrial Co Ltd 荷締具
JP2002031194A (ja) 2000-07-14 2002-01-31 Ryusyo Industrial Co Ltd 荷締具
US7065840B2 (en) * 2004-07-12 2006-06-27 Grant Profit Load binder
US7350767B2 (en) * 2005-03-03 2008-04-01 Han-Ching Huang Strapping apparatus
US9163440B2 (en) * 2006-03-03 2015-10-20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Controlled latch clamp
CN200984068Y (zh) 2006-12-11 2007-12-05 聂和平 一种挂钩
CA2753952A1 (en) * 2010-09-23 2012-03-23 Kerri La Londe Restraint device and method
CN104908636A (zh) 2015-06-19 2015-09-16 邓美颜 一种捆绑带安全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873A (ja) 2005-04-26 2006-11-09 Ashimori Ind Co Ltd ベルト締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62256B (zh) 2021-11-09
EP3604856A1 (en) 2020-02-05
EP3604856A4 (en) 2020-11-11
WO2018179159A1 (ja) 2018-10-04
JPWO2018179159A1 (ja) 2019-04-04
EP3604856B1 (en) 2023-06-07
EP3604856C0 (en) 2023-06-07
JP6216484B1 (ja) 2017-10-18
KR20190134653A (ko) 2019-12-04
CN110462256A (zh) 2019-11-15
US20200023767A1 (en) 2020-01-23
US10988072B2 (en)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101941A4 (en) Shackle or clevis mount fitting for steel cable and synthetic rope end loops
US8015676B1 (en) Snap hook with interlocking gate
US20080012401A1 (en) Energy absorbing tether for child safety seat
US8789248B2 (en) Chain hook
US8414236B2 (en) Adjustable cargo securing system
KR102250109B1 (ko) 고박용 훅, 고박 장치 및 고박 방법
EP1608580B1 (en) A chain coupling component
EP1733921B1 (en) Cargo securing device
JP6342563B1 (ja) くさびクランプ及び鋼線
US10112450B2 (en) Tow-hook assembly
JP6825845B2 (ja) タイヤ固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両運搬車
JP7337467B1 (ja) 転落防止補助具
US20030198527A1 (en) Load restraining device
US2987792A (en) Safety latch for lift hook
EP0933252A2 (en) Belt holder for cargo carriers
AU2014101439A4 (en) Improved truck load restraint system
LT6930B (lt) Rato tvirtinimo sistema diržu
JPH10329601A (ja) ロープ係止具及びロープフック
JP2005225666A (ja) 連結金具とそれを用いた親綱装置、介錯綱
JPH08310533A (ja) 積載物固定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