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926B1 - 프레임 구조체 - Google Patents

프레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926B1
KR102249926B1 KR1020200098977A KR20200098977A KR102249926B1 KR 102249926 B1 KR102249926 B1 KR 102249926B1 KR 1020200098977 A KR1020200098977 A KR 1020200098977A KR 20200098977 A KR20200098977 A KR 20200098977A KR 102249926 B1 KR102249926 B1 KR 10224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ertion groove
hard
square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원만
Original Assignee
성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원만 filed Critical 성원만
Priority to KR102020009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04B1/34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with only one level of n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사각형태의 각형프레임의 앞뒷면에는 차단필름이나 방충망과 같은 변형 가능한 연질차단막을 고정구를 이용해 고정시킬 수 있는 연질삽입홈을 구비하고, 위아랫면에는 조립홈의 양쪽으로 나란한 경질삽입홈을 이용하여 딱딱한 판체를 끼움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한 가지 형태의 프레임만으로도 연질차단막 및/또는 경질차단판을 선택적 또는 혼용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 구조체{Frame structure of outdoor facilities}
본 발명은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사각형태의 각형프레임의 앞뒷면에는 차단필름이나 방충망과 같은 변형 가능한 연질차단막을 고정구를 이용해 고정시킬 수 있는 연질삽입홈을 구비하고, 위아랫면에는 조립홈의 양쪽으로 나란한 경질삽입홈을 이용하여 딱딱한 판체를 끼움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한 가지 형태의 프레임만으로도 연질차단막 및/또는 경질차단판을 선택적 또는 혼용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풍(防風)/방충(防蟲)/차광(遮光) 간이 시설물은 옥외에 설치되어 이용자들이 눈·비·바람이나, 해충 또는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기소, 면회소, 자전거 보관소 또는 옥외에서 옥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시설물로 이용된다.
이러한 옥외용 간이 시설물은 프레임인 경량의 형강재를 재단·연결한 후, 요구되는 환경에 따라 프레임의 사이에 연질의 차단막인 차단필름이나, 방충망 또는 경질의 차단판을 설치한다. 그런데 연질의 차단막과 경질의 차단판은 소재의 특성으로 인해 설치를 위한 프레임의 형상은 물론, 설치에 필요한 구성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차단막은 프레임 상에 구비된 고정홈에 차단막의 테두리를 고정구를 이용해 고정시키는 방법을 주로 이용한다. 한편, 변형이 불가능한 경질의 차단판도 프레임 상에 구비된 고정홈을 이용해 고정시키기는 하나, 경질의 차단판 결합을 위한 고정홈과 연질의 차단막 결합을 위한 고정홈은 그 형태나 깊이에 있어 상당한 차이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옥외용 간이 시설물은 설치 환경과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프레임의 형태가 달라져야만 한다. 그리고 이로 인해 한 가지 형태의 프레임만으로는 서로 다른 목적의 옥외용 간이 시설물에 호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과 구성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프레임 제작이 번거롭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경제적인 문제도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122837호(2020.06.09.등록)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70172호(1999.11.25.등록) 국내 공개특허 제10-1982-0000125호(1982.02.18.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한 가지 형태의 프레임으로 연질차단막과 경질차단판을 별도로 또는 동시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구조체의 형강재인 각형프레임이 다수개 결합구성되는 프레임 결합체에 있어서, 각형프레임 간의 결합을 위한 조립홈과, 프레임 결합체의 개방면을 차단하는 연질차단막의 설치를 위한 연질삽입홈 및 경질차단판의 설치를 위한 경질삽입홈을 모두 한 가지 형태의 프레임에 구성하되, 한 가지 형태의 결합에 의해 다른 형태의 결합이 방해되지 않는 결합설치를 위한 구성이 서로 독립적인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공이 관통된 사각관체의 좌·우면에서 연질삽입홈을 사이로 수직 돌출된 한 쌍의 수직전·후방결합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수평전·후방결합단을 이루고, 사각관체의 상·하면에 조립홈을 사이로 돌출된 내·외부결합단은 상기 수평전·후방결합단과 경질삽입홈을 형성하여, 한 가지 형태의 각형프레임으로 각형프레임 간의 결합시에는 고정수단과 조립홈을 이용하고, 연질차단막의 설치시에는 연질삽입홈에 고정구를 이용해 고정설치하고, 경질차단판은 경질삽입홈에 삽입설치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각형프레임은 사각의 각 변을 이등분하며 중점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변이 대칭인 정사각형태이다.
또한, 사각틀로 결합하는 각형프레임의 프레임 결합체는 외틀의 안쪽으로 내틀이 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외틀의 전·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사각틀 테두리를 따라서는 상기 내틀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래걸쇠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형프레임의 내·외틀 중 어느 한 쪽 경질삽입홈 또는 조립홈에 쫄대를 삽입하여 내·외틀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중앙공이 관통된 사각관체의 좌·우면에서 연질삽입홈을 사이로 수직 돌출된 한 쌍의 수직전·후방결합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수평전·후방결합단을 이루고, 사각관체의 상·하면에 조립홈을 사이로 돌출된 내·외부결합단은 상기 수평전·후방결합단과 경질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한 가지 형태의 각형프레임으로 각형프레임 간의 결합시에는 조립홈을 이용하고, 연질차단막의 설치시에는 연질삽입홈에 고정구를 이용해 고정설치하고, 경질차단판은 경질삽입홈에 삽입설치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 프레임에 조립홈, 연질삽입홈 및 경질삽입홈을 구성해, 프레임 간의 조립, 연질차단막의 설치 및 경질차단판의 설치시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설치 및 조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프레임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각형 프레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각형 프레임의 상하좌우 대칭관계를 이용한 프레임틀의 결합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 프레임틀의 개방면 차단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투명한 연질차단막 및 광고판이 설치된 프레임틀의 개념도.
도 6은 내외틀로 구성되는 본 발명 프레임틀의 외틀에 내틀이 안착되어 보관되는 경우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 프레임틀로 구성한 옥외 대기소.
도 8은 본 발명 프레임틀로 구성한 옥외 면회소.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 프레임 구조체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각형프레임(10)과, 이 각형프레임(10)을 서로 연결하여 프레임틀(1)을 만드는 고정부재(20), 상기 프레임틀(1)의 개방면을 막고정구(31)를 이용해 차단하는 연질차단막(30) 및/또는 별도의 고정구없이도 설치되어 개방면을 차단하는 경질차단판(40)을 포함한다.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기 각형프레임(10)은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옥외 구조물의 뼈대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형프레임(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공(12)이 관통형성된 사각관체(11)의 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홈(13), 경질삽입홈(16) 및 연질삽입홈(15)이 연장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경질삽입홈(16)에는 경질차단판(40)이 삽입설치되고, 상기 연질삽입홈(15)에는 막고정구(31)를 이용해 연질차단막(30)이 고정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공(12)이 형성된 상기 사각관체(11)의 둘레에 형성되는 상기 조립홈(13), 경질삽입홈(16) 및 연질삽입홈(15)은 내부결합단(14i), 외부결합단(14e), 수직전방결합단(14vf), 수평전방결합단(14hf), 수직후방결합단(14vr) 및 수평후방결합단(14hr)의 결합 구성에 의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사각관체(11)의 상면 양쪽 꼭짓점에서 각각 외부결합단(14e)이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면, 상향 돌출형성된 상기 한 쌍의 외부결합단(14e)의 사이인 사각관체(11)의 상면은 그대로 조립홈(13)이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상기 사각관체(11)의 하면 양쪽 꼭짓점에서 각각 내부결합단(14i)이 하향으로 돌출형성되면, 하향 돌출형성된 상기 한 쌍의 내부결합단(14i)의 사이인 사각관체(11)의 하면은 그대로 조립홈(13)이 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결합단(14e)과 내부결합단(14i)은 바람직하게 상기 사각관체(11)의 상면과 하면에 대해 각각 수직하게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사각관체(11)의 좌면에는 좌면길이의 중심(중점)에 근접한 상·하부분에 각각 수직전방결합단(14vf)이 사각관체(11)의 바깥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데, 이렇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수직전방결합단(14vf)의 사이는 연질삽입홈(15)이 된다. 같은 원리로 상기 사각관체(11)의 우면에는 우면길이의 중심(중점)에 근접한 상·하부분에 각각 수직후방결합단(14vr)이 사각관체(11)의 바깥 방향을 향해 돌출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수직후방결합단(14vr)의 사이도 연질삽입홈(15)이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전방결합단(14vf)과 수직후방결합단(14vr)은 바람직하게 상기 사각관체(11)의 좌면과 우면에 대해 각각 수직하게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각관체(11)를 향해 오목하게 파인 상기 연질삽입홈(15)은 입구인 개방부(15a)에서 안착부(15b)에 이르는 전체 형태가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관체(11)의 좌면에 상·하로 형성되는 상기 한 쌍의 수직전방결합단(14vf)의 각 단부는 가장 근접한 상기 내·외부결합단(14i,14e)을 향해 절곡되어 수평전방결합단(14hf)을 형성하는데, 이렇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수평전방결합단(14hf)과 상기 내·외부결합단(14i,14e)의 사이는 경질삽입홈(16)이 된다. 같은 원리로 상기 사각관체(11)의 우면에 상·하로 형성되는 상기 한 쌍의 수직후방결합단(14vr)의 각 단부 역시 가장 근접한 상기 내·외부결합단(14i,14e)을 향해 절곡되어 수평후방결합단(14hr)을 형성하는데, 이렇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수평후방결합단(14hr)과 상기 내·외부결합단(14i,14e)의 사이 또한 경질삽입홈(16)이 된다. 이때, 상기 수평전방결합단(14hf)과 수평후방결합단(14hr)은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전방결합단(14vf)과 수직후방결합단(14vr)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형성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전·후방결합단(14hf,14hr)은 상기 내·외부결합단(14i,14e)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기 수평전·후방결합단(14hf,14hr) 및 상기 내·외부결합단(14i,14e)의 단과 단 사이는 상기 경질삽입홈(16)의 입구인 판삽입구(16a)가 된다. 그리고 상기 경질삽입홈(16)의 후방은 상기 수직전·후방결합단(14vf,14vr)으로 인해 차단된다. 이때, 상기 수평전·후방결합단(14hf,14hr)과 상기 내·외부결합단(14i,14e)의 단부는 상기 판삽입구(16a)를 향해 돌출되는 판고정돌부(16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판고정돌부(16b)는 상기 경질삽입홈(16)으로 삽입되는 경질차단판(40)을 확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상기 각형프레임(10)의 제작과정에서 경질삽입홈(16)을 깍아내는 제작도구의 내구성을 담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상기 각형프레임(10)의 구성을 정리하면,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홈(13)은 한 쌍의 상기 내·외부결합단(14i,14e)에 의해 상기 사각관체(11)의 상·하면 그 자체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질삽입홈(15)은 상기 수직전·후방결합단(14vf,14vr)에 의해 사각관체(11)의 좌·우면 중심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경질삽입홈(16)은 상기 수평전·후방결합단(14hf,14hr) 및 상기 내·외부결합단(14i,14e)에 의해 상기 사각관체(11)의 각 꼭짓점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각형프레임(10)은 바람직하게 정사각형태이다. 따라서 각형프레임(10)의 각 변을 이등분하는 중점(中點) 중 대변(對邊)의 중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각형프레임(10)은 상·하로 대칭이고, 좌·우로도 대칭이다. 즉, 상기 조립홈(13), 경질삽입홈(16), 연질삽입홈(15), 내·외부결합단(14i,14e), 수직전·후방결합단(14vf,14vr) 및 수평전·후방결합단(14hf,14hr)은 상기 각형프레임(10)의 대변 중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하는 물론 좌·우로도 대칭관계이다. 따라서, 상기 각형프레임(10)의 대변 중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조립홈(13) 및 연질삽입홈(15)은 정사각형태 각형프레임(10)의 4변 중 상·하변과 좌·우변에 각각 각 변의 중심부에 설치되되, 설치된 변 상에서 중점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대칭(동일)이다. 그리고, 상기 경질삽입홈(16)은 정사각형태 각형프레임(10)의 4개 꼭짓점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경질삽입홈(16)의 판삽입구(16a)가 상향(각형프레임(10) 상면에 설치된 경질삽입홈(16)) 또는 하향(각형프레임(10) 하면에 설치된 경질삽입홈(16)) 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도 2의 상기 각형프레임(10)의 단면상에서의 상·하·좌·우는 도 1에서 각형프레임(10) 간의 결합체인 상기 프레임틀(1)에서의 외부·내부·전방·후방이 된다. 그런데 앞서 상기 각형프레임(10)이 정사각형태로 상·하는 물론 좌·우로도 대칭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각형프레임(10)이 상·하·좌·우로 대칭관계이므로, 상기 프레임틀(1)의 결합시 각형프레임(10)의 전방면은 후방면과 동일하고, 내부면은 외부면과 동일하다. 이렇게 상기 각형프레임(10)의 구성이 대칭관계인 것으로 인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각형프레임(10)의 재단시 사선으로 절단되는 경우, 특히 ∠45로 절단되는 경우 재단으로 발행하는 뒷쪽 각형프레임(10)을 뒤집어 앞쪽 각형프레임(10)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3(A)와 같이 길이방향의 상기 각형프레임(10)을 ∠45로 절단하고, 가로방향인 각형프레임(a)의 우측 ∠45절단면에 우상방을 향해 세로방향의 각형프레임(b)을 연결하려고 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각형프레임(10)이 상·하·좌·우 대칭관계가 아니라면, 도 3(B)처럼, 앞쪽 가로방향 각형프레임(a)에서 ∠45로 절단된 뒷쪽 가로방향 각형프레임(b)의 ∠45 절단면을 앞쪽 가로방향 각형프레임(a)의 절단면에 대응하도록 반대방향 ∠45로 재절단하여 우상방의 세로방향 각형프레임(b')이 연결 가능하다. 이는 전방면과 후방면이 대칭관계가 아님은 물론, 내부면과 외부면이 대칭이 아닐 경우에는 반드시 도 3(B)와 같은 재절단을 거처야 한다. 그런데 도 3(C)와 같은 본 발명 각형프레임(10)은 전방면을 뒤집어 나오는 후방면이 전방면과 대칭이다. 그리고 내부면을 뒤집어 나오는 외부면도 내부면과 대칭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쪽 가로방향 각형프레임(a)에서 ∠45로 절단된 뒷쪽 가로방향 각형프레임(b)의 전방면이 후방면이 되도록 뒤집으면, 뒷쪽 가로방향 각형프레임(b)의 ∠45 절단면도 역전되기 때문에, 앞쪽 가로방향 각형프레임(a)의 ∠45 절단면에 대해 뒤집혀진 뒷쪽 가로방향 각형프레임(b)의 ∠45 절단면이 그대로 우상방의 세로방향 각형프레임(b)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각형프레임(10)의 모든 구성이 상·하·좌·우 대칭인 특징으로 인해 프레임틀(1)의 전·후방면과 내·외부면이 뒤집혀진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일치하므로, 이로 인해 재절단시 소모되는 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각형프레임(10)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각형프레임(10) 간 연결은 고정부재(20)를 이용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연결대(21) 또는 꺽쇠(22)일 수 있다.
상기 연결대(21)는 도 1의 부분확대도 (A)와 같이, 하나의 각형프레임(10)과 이웃하는 다른 각형프레임(10)이 특정 각도로 꺽여 결합하는 경우, 각형프레임(10)이 만나는 꺽임각에 부합하는 꺽임연결대(21a)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연결대(21)는 도 1의 부분확대도 (B)에서 처럼, 하나의 각형프레임(10)과 이웃하는 다른 각형프레임(10)이 일직선 상에서 서로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 일자형연결대(21b)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자형연결대(21b)는 재단된 각형프레임(10)이 일직선 상으로 더 연장될 필요가 있는 경우, 자투리인 각형프레임(1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를 줄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꺽임연결대(21a)와 일자형연결대(21b)는 모두 상기 각형프레임(10)의 중앙공(12)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연결대(21)가 각형프레임(10)의 중앙공(12)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대의 양쪽이 각각 하나의 각형프레임(10)과 이웃하는 다른 각형프레임(10)의 중앙공(12)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면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고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견고한 고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연결대(21)가 삽입된 구간에 해당하는 각형프레임(10)의 조립홈(13) 상에 고정수단으로 나사못(S)을 이용해 각형프레임(10)과 연결대(21)를 고정시킴으로써 결합 내구성을 담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는 도 1의 부분확대도 (C)와 같이 판체가 꺽여서 형성되는 꺽쇠(22)일 수 있다. 상기 꺽쇠(22) 형태의 고정부재(20)는, 4개의 상기 각형프레임(10)의 단부가 상기 꺽임연결대(21a)로 고정된 프레임틀(1) 상에서 그 내부 공간을 추가로 구획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다시 말해, 4개의 각형프레임(10)의 단부 중앙공(12)에 꺽임연결대(21a)를 삽입고정하여 완성한 프레임틀(1)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각형프레임(10)이의 단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프레임틀(1)에서는 꺽임연결대(21a)를 삽입할 수 있는 중앙공(12)도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사각틀로 형성된 프레임틀(1)에 각형프레임(10)을 추가로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추가되는 각형프레임(10)의 단부를 사각틀인 프레임틀(1)의 내부면에 고정시켜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추가되는 가로방향 각형프레임(10)의 외부면 조립홈(13)과 사각틀인 프레임틀(1)의 세로방향 각형프레임(10)의 내부면 조립홈(13)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서로 맞닿는 조립홈(13) 사이에 꺽쇠(22)를 배치한다. 여기서, 꺽쇠(22)의 양단부에 형성된 조립공(22a)에 나사못(S)을 박아 넣으면 꺽쇠(22)가 양쪽 조립홈(13)에 고정되면서 추가된 가로방향 각형프레임(10)이 사각틀인 프레임틀(1)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추가되는 가로방향 각형프레임(10)의 외부면 조립홈(13) 이외에도 내부면 조립홈(13)에도 꺽쇠(22)를 이용해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꺽쇠(22)는 내부면 조립홈(13)과 외부면 조립홈(1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ㄱ'자 형태인 상기 꺽쇠(22)는 꺽임각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각도로 결합하는 각형프레임(10) 간의 결합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각형프레임(10)의 조립홈(13)에 설치되는 상기 꺽쇠(22)는 각형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틀(1)의 완성시 미관을 해치지 않음은 물론, 노출로 인한 긁힘 등의 사고도 미연에 방지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트레임틀이 크게 조립되는 경우, 프레임틀(1)의 중간중간에 보강용 각형프레임(10)이 설치될 수 있는바, 이 경우 상기 꺽쇠(22)를 이용해 프레임틀(1)에 보강용 각형프레임(1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형프레임(10) 간의 결합시 결합력을 담보하기 위해 고정부재(20)인 연결대(21)나 꺽쇠(22)를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고정부재(20)와 각형프레임(10)의 견고한 결합력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나사못(S)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나사못(S)과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게 되면, 대개 나사못(S)의 머리가 튀어나오는 경우가 많게 된다. 튀어나온 나사못(S)의 머리는 나사못(S)이 튀어나온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단 차이를 형성하여 연질차단막(30)이나 경질차단판(40)이 설치시 단의 정렬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고정수단인 나사못(S)이 사용되는 조립홈(13)을 연질차단막(30)이 설치되는 연질삽입홈(15) 및 경질차단판(40)이 설치되는 경질삽입홈(16)과 별도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튀어나온 나사못(S)에 의한 연질차단막(30) 및/또는 경징차단판의 정렬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는 근본적으로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각형프레임(10)을 상기 고정부재(20)를 이용해 결합하면 사각틀인 프레임틀(1)이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각형프레임(10)의 좌면과 우면은 상기 프레임틀(1)의 전방면과 후방면이 되고, 이 전방면과 후방면의 테두리 중심을 따라서는 내부로 오목한 연질삽입홈(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형프레임(10)의 상면과 하면은 상기 프레임틀(1)의 외부면과 내부면이 되며, 이 내부면과 외부면의 테두리 중심을 따라서는 내부로 오목한 조립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13)의 전방과 후방 테두리를 따라 각각 내부로 오목한 경질삽입홈(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틀(1)의 틀 가운데 면은 공간으로 개방면이 된다. 이 개방면은 연질차단막(30)과 경질차단판(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해 차단한다.
상기 연질차단막(30)과 경질차단판(40)은 투명(투과), 반투명(반투과) 또는 불투명(불투과)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질차단막(30)은 1∼3mm 두께로 외력에 의해 절곡되거나 굽는 등 변형이 가능한 소재인 합성비닐, 필름 아스테이지, 방충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질차단판(40)은 3∼8mm 정도의 두께로 외력에 견디는 힘이 강하여 변형에 강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일명 '넥산') 등 뿐만 아니라 직물이 접착된 차단판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질차단막(30)은 상기 프레임틀(1)의 전방면과 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상기 연질삽입홈(15)에 막고정구(31)를 이용해 고정됨으로써 프레임틀(1)의 개방면을 차단한다. 연질차단막(30)의 사면 테두리를 4각 프레임틀(1)의 연질삽입홈(15) 개방부(15a)에 맞춰 배치한 후, 막고정구(31)를 연질차단막(30)과 함께 연집삽입홈에 억지끼움으로 안착부(15b)까지 꽂아 넣으면 프레임틀(1)의 연질삽입홈(15)에 연질차단막(30)이 고정되면서 개방면을 차단한다. 물론, 연질삽입홈(15)의 안착부(15b)에 삽입고정된 막고정구(31)를 개방부(15a) 밖으로 빼내면 구속이 해제된 연질차단막(30)은 손쉽게 프레임틀(1)에서 제거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상기 막고정구(31)는 바람직하게 원기둥 형상이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또한 막고정구(31)는 우레탄, 실리콘 또는 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바람직하게 상기 연질삽입홈(15)에 억지끼움시 그 형태가 변형되면서 삽입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경질차단판(40)은 상기 프레임틀(1)의 내부면과 외부면의 중심부에 구비된 조립홈(1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된 경질삽입홈(16)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방향에 구비된 경질삽입홈(16)에 삽입 고정된다. 다시 말해, 경질차단판(40)의 4면 테두리는, 프레임틀(1)의 개방면인 내부면 상의 전방 경질삽입홈(16) 테두리와 후방 경질삽입홈(16)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질삽입홈(16) 테두리의 판삽입구(16a)에 끼움 결합하여 프레임틀(1) 상에 고정된다. 이때 경질삽입홈(16)의 판삽입구(16a)를 따라서는 판고정돌부(16b)가 돌출되어 경질삽입홈(16)으로 삽입되는 경질차단판(40)을 단단히 잡아 고정한다.
또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틀(1)의 개방면은 필요에 따라 상기 연질차단막(30) 및/또는 경질차단판(40)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차단할 수 있다. 먼저, 도 4(A) 또는 도 4(B)에서 처럼, 상기 프레임틀(1)의 개방면은 하나의 연질차단막(30) 또는 하나의 경질차단판(40)을 통해 차단될 수 있다. 이 경우, 당연하게도 연질차단막(30)은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구비된 연질삽입홈(15)에 막고정구(31)에 의해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경질차단판(40)은 내부면의 전방 경질삽입홈(16) 또는 후방 경질삽입홈(16)에 끼움 결합한다. 다음으로, 도 4(C) 또는 도 4(D)처럼 상기 프레임틀(1)의 개방면은 이중으로 설치되는 연질차단막(30) 또는 경질차단판(40)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4(C)는 프레임틀(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된 연질삽입홈(15)에 연질차단막(30)이 프레임틀(1)의 앞뒤로 설치되는 경우이다. 그리고 도 4(D)는 프레임틀(1)의 내부면에 구비된 조립홈(1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된 경질삽입홈(16) 모두에 경질차단판(40)이 삽입고정되는 경우이다. 그 다음으로 도 4(E)처럼, 상기 프레임틀(1)의 개방면은 연질차단막(30)과 경질차단판(40)이 차례로 설치되어 차단될 수 있다. 도 4(E)에서는 프레임틀(1)의 전방면에 구비된 연질삽입홈(15)에 막고정구(31)를 이용해 연질차단막(30)이 설치됨과 함께, 프레임틀(1)의 내부면 후방에 구비된 경질삽입홈(16)에 경질차단판(40)이 삽입되어 프레임틀(1)의 개방면을 차단하고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질차단막(30) 및/또는 경질차단판(40)을 이용해 상기 프레임틀(1)의 개방면을 다양한 방법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 중에서 도 4의 (C), (D) 및 (E)와 같이, 프레임틀(1)의 개방면을 이중으로 차단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차단재와 다른 하나의 차단재 사이의 공기층이 차단재 밖의 공기층과 격리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단열층은 실내를 냉온방하는 경우, 실내 공기를 실외 공기로부터 차단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키므로, 경제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된다.
도 5는 상기 프레임틀(1)의 내부면에 구비된 경질삽입홈(16)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경질차단판(40)이 광고판인 경우이다. 이러한 광고판은 프레임틀(1)의 개방면 전체를 차지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5에서 처럼 프레임틀(1)의 아랫쪽 가로프레임의 후방 경질삽입홈(16)과 양쪽 세로프레임의 경질삽입홈(16) 하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광고판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광고문구가 잘 보이도록 상기 연질차단막(30)이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상기 연질차단막(30)은 투명 또는 투과되는 재질로, 상기 프레임틀(1)의 전·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구비된 연질삽입홈(15)에 막고정구(31)를 이용해 개방면을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프레임틀(1)의 전방면인 앞쪽에 광고문구가 있고 뒷쪽인 프레임틀(1)의 후방면쪽으로는 광고문구가 없는 경우, 광고판의 뒷쪽인 프레임틀(1)의 후방면 연질삽입홈(15)에 설치되는 연질차단막(30)은 불투명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틀(1)은 내틀(1a)과 외틀(1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틀(1b)의 안쪽으로 상기 내틀(1a)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외틀(1b)의 전·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프레임틀(1) 테두리를 따라서는 상기 내틀(1a)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래걸쇠(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래걸쇠(50)는 상기 프레임틀(1)의 후방면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도래걸쇠(50)의 일측은 도 6에서 처럼 상기 프레임틀(1)의 후방면 테두리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프레임틀(1)의 수평후방결합단(14hr)의 표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래걸쇠(50)의 일측을 축으로 타측이 회전하여 프레임틀(1)의 개방면 상에서 위치 고정과 해지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외틀(1b)의 안쪽으로 내틀(1a)을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외틀(1b)의 경질삽입홈(16)과 상기 내틀(1a)의 경질삽입홈(16) 중 적어도 어느 한 틀의 경질삽입홈(16)에는 바람직하게 마감재(60)를 삽입한다. 이렇게 상기 내·외틀(1a,1b)의 경질삽입홈(16) 중 적어도 아는 한 쪽의 경질삽입홈(16)에 마감재(60)를 삽입하면, 외틀(1b)의 경질삽입홈(16)으로 내틀(1a)의 경질삽입홈(16)이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외틀(1b)의 경질삽입홈(16) 사이로 내틀(1a)의 외부결합단(14e) 또는 수평전·후방결합단(14hf,14hr)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외틀(1b)의 전·후방면과 내틀(1a)의 전·후방면을 일치시켜, 상기 도래걸쇠(5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외틀(1b)과 내틀(1a)의 결합단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외틀(1b)과 내틀(1a) 중 적어도 어느 한 틀의 조립홈(13)에 마감재(6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재(60)는 상기 경질삽입홈(16) 또는 상기 조립홈(1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삽입하여, 프레임틀(1)인 내·외틀(1a,1b)의 안착결합시 결합부분이 들뜨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결합면을 넓게 하여 더욱 안정적인 안착을 유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틀(1) 여러 개를 결합하여 도 7와 같은 옥외 대기소(100) 또는 도 8과 같은 옥외 면회소(1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옥외 대기소(100)는 상기 프레임틀(1)을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시켜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틀(110)과, 이 전면틀(110) 상부에 배치되는 전면도어틀(120)과, 상기 전면틀(110) 후측방에 배치되는 측면틀(130)과, 천장부에 배치되는 천장틀(140)과, 전면도어틀(120) 사이 가이드레일(16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틀(150)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틀(1)의 연질삽입홈(15) 및/또는 경질삽입홈(16)에는 프레임틀(1)의 개방면을 차단하는 연질차단막(30) 및/또는 경질차단판(40)이 구성된다.
상기 전면틀(110)은 옥외 대기소(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전면틀(110)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그 간격에 사용자가 출입하는 출입공간(111)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도어틀(120)은 출입공간(111)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양측면이 전면틀(110)의 내면과 연결시켜 지지하는 동시에 내면에는 가이드레일(160)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면틀(130)은 전면틀(110)을 지지하여 직립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옥외 대기소(100)의 실내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서, 내면이 한 쌍으로 배치된 전면틀(110) 외측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천장틀(140)은 전면틀(110)과 전면도어틀(120) 및 측면틀(13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되어 연결 된다.
상기 도어틀(150)은 전면도어틀(120) 후면에서 일측방향으로 길게 고정된 가이드레일(160)과 후술할 이동수단(170)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공간(111)을 미닫이방식으로 개폐한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160)은 전면도어틀(120) 후면에 설치됨으로써, 도어틀(150)은 한 쌍의 전면틀(110)에 간섭되지 않고 전면틀(110) 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틀(110)의 전면에서 일측에 문손잡이(151)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쉽게 도어틀(110)을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전면틀(110)과 전면도어틀(120)과 측면틀(130)과 천장틀(140) 및 도어틀(150)을 상호 연결하면 후방이 개방된 "└┘" 형상을 이루게되어, 양측에 배치된 측면틀(130) 외측면과 버스정류소(101)를 구성하는 지주 또는 세워진 수직판에 밀착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옥외 대기소(100)의 개방된 후방은 버스정류소(102)를 구성하는 수직판의 노선도 및 광고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옥외 대기소(100)는 그 형태를 다소 변형하여 도 8과 같은 옥외 면회소(100')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옥외 면회소(100')는 옥외 대기소(100)의 측면틀(130)을 연장하여 후방에 전면틀(110), 전면도어틀(120), 가이드레일(160) 및 도어틀(150)을 추가로 설치하고, 측면틀(130)의 중간에 칸막이틀(170)을 설치하여 공간을 분할한다. 그리고 양쪽 공간의 전면틀(110) 또는 측면틀(130)의 상측에는 환기를 위한 환풍기(1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옥외 면회소(100')의 내부 분할 공간을 분할하는 상기 칸막이틀(170)은 부분적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경질차단판(40)을 사용하거나, 또는 방충망과 같은 소리 전달이 가능한 연질차단막(30)이 사용될 수도 있다.
1: 프레임틀 1a: 내틀
1b: 외틀
10: 각형프레임 11: 사각관체
12: 중앙공 13: 조립홈
14i: 내부결합단 14e: 외부결합단
14vf: 수직전방결합단 14vr: 수직후방결합단
14hf: 수평전방결합단 14hr: 수평후방결합단
15: 연질삽입홈 15a: 개방부
15b: 안착부 16: 경질삽입홈
16a: 판삽입구 16b: 판고정돌부
20: 고정부재 21: 연결대
21a: 꺽임연결대 21b: 일자형연결대
22: 꺽쇠 22a: 조립공
30: 연질차단막 31: 막고정구
40: 경질차단판 50: 도래걸쇠
60: 마감재 S: 나사못
100: 옥외 대기소 100': 옥외 면회소
101: 버스정류소 110: 전면틀
111: 출입공간 120: 전면도어틀
130: 측면틀 140: 천장틀
150: 도어틀 160: 가이드레일
170: 칸막이틀 180: 환풍기

Claims (7)

  1. 중앙공(12)이 관통형성된 사각관체(11)의 상·하면 각 꼭짓점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내·외부결합단(14i,14e)의 사이로 조립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관체(11)의 좌·우면에서 연질삽입홈(15)을 사이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수직전·후방결합단(14vf,14vr)의 각 단부가 가장 근접한 상기 내·외부결합단(14i,14e)을 향해 절곡되어 경질삽입홈(16)을 형성하는 수평전·후방결합단(14hf,14hr)을 구비하는 각형프레임(10)은 사각의 각 변 중점 중 대변간 중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하와 좌·우가 대칭인 정사각형태인 것을 포함하여,
    상기 각형프레임(10)의 상·하·좌·우면이 프레임틀(1)의 외부·내부·전방·후방면이 되도록 이웃하는 상기 각형프레임(10)을 고정부재(20)를 이용해 고정시키고,
    상기 프레임틀(1)의 개방면 차단은, 상기 전·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상기 각 연질삽입홈(15)에 막고정구(31)를 이용해 연질차단막(30)의 테두리를 고정시켜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내부면의 전·후방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구비된 상기 경질삽입홈(16)에 경질차단판(40)을 삽입고정시켜 차단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프레임틀(1)의 이웃하는 상기 각형프레임(10) 각 단부의 상기 중앙공(12)에 삽입연결되는 연결대(21)이거나,
    또는 상기 프레임틀(1)의 이웃하는 상기 각형프레임(10)의 상기 조립홈(13) 상에 나사고정되는 꺽쇠(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틀(1)의 전·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구비된 상기 연질삽입홈(15)에 상기 막고정구(31)를 통해 상기 프레임틀(1)의 개방면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연질차단막(30)은 투명 또는 투과 차단막이고,
    상기 프레임틀(1)의 내부면에 형성된 상기 경질삽입홈(16)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상기 경질차단판(40)은 광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조립홈(13), 연질삽입홈(15), 경질삽입홈(16), 내·외부결합단(14i,14e), 수직전·후방결합단(14vf,14vr) 및 수평전·후방결합단(14hf,14hr)이 대응하도록 사각틀로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틀(1)은 외틀(1b)의 안쪽인 개방면으로 내틀(1a)이 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외틀(1b)의 전·후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프레임틀(1) 테두리를 따라서는 회전동작으로 상기 개방면에 진입하여 상기 내틀(1a)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래걸쇠(5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사각틀로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틀(1)은 외틀(1b)의 안쪽으로 내틀(1a)이 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외틀(1b)인 프레임틀(1)의 내부 경질삽입홈(16)과 상기 내틀(1a)인 프레임틀(1)의 외부 경질삽입홈(16) 중 적어도 어느 한 틀의 상기 경질삽입홈(16)에는 마감재(60)가 삽입되어, 상기 외틀(1b)의 내부 경질삽입홈(16)으로 상기 내틀(1a)의 외부결합단(14e) 또는 상기 수평전·후방결합단(14hf,14hr)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틀(1a,1b) 중 적어도 어느 한 틀의 상기 조립홈(13)에는 마감재(60)가 삽입되어 내·외틀(1a,1b)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체.
KR1020200098977A 2020-08-07 2020-08-07 프레임 구조체 KR102249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77A KR102249926B1 (ko) 2020-08-07 2020-08-07 프레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77A KR102249926B1 (ko) 2020-08-07 2020-08-07 프레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926B1 true KR102249926B1 (ko) 2021-05-07

Family

ID=7591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977A KR102249926B1 (ko) 2020-08-07 2020-08-07 프레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9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172Y1 (ko) 1997-02-22 2000-02-01 최종찬 차광 시설물의 프레임구조
KR200228552Y1 (ko) * 2000-12-13 2001-06-15 양경철 조립식 칸막이
KR20180044741A (ko) * 2016-10-24 2018-05-03 광건티앤씨(주) 조립식 칸막이
KR102122837B1 (ko) 2014-02-21 2020-06-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피스톤 링 및 이를 갖는 피스톤
KR102122827B1 (ko) * 2020-02-25 2020-06-15 김선옥 버스정류소용 방풍쉘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172Y1 (ko) 1997-02-22 2000-02-01 최종찬 차광 시설물의 프레임구조
KR200228552Y1 (ko) * 2000-12-13 2001-06-15 양경철 조립식 칸막이
KR102122837B1 (ko) 2014-02-21 2020-06-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피스톤 링 및 이를 갖는 피스톤
KR20180044741A (ko) * 2016-10-24 2018-05-03 광건티앤씨(주) 조립식 칸막이
KR102122827B1 (ko) * 2020-02-25 2020-06-15 김선옥 버스정류소용 방풍쉘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895B1 (ko) 빗물유입 방지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갖는 자연환기창
JP5465054B2 (ja) 開口部装置
KR101628851B1 (ko)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US20070017563A1 (en) Tent having improved windproof and ventilation abilities
US20240167282A1 (en) Louvered patio cover
JP3664416B2 (ja) 建物の柵構造
KR101462789B1 (ko)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KR102249926B1 (ko) 프레임 구조체
JP5726772B2 (ja) 洗面所の採光構造
US5251417A (en) Decorative art glass window grid system
KR101819716B1 (ko) 조립식 차양
KR100978784B1 (ko) 투시 겸용 조립식 방음판
KR102126430B1 (ko) 조립식 텐트 프레임 착탈 설치용 장식 패널조립체
JP3121560B2 (ja) 外壁の化粧構造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JP3077746U (ja) 目隠し装置
CN214034036U (zh) 一种星空房
JP3056447B2 (ja) ルーバー付き網戸
CN219454143U (zh) 一种门套透风器及应用该门套透风器的室内通风结构
JP320256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
CN220133813U (zh) 一种单元式幕墙连接结构
KR101522419B1 (ko) 채광창
JP2538956Y2 (ja) パネル固定用ブロック
JP2008214878A (ja) 室内通風構造
JP2000065391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