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851B1 -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 Google Patents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851B1
KR101628851B1 KR1020160003089A KR20160003089A KR101628851B1 KR 101628851 B1 KR101628851 B1 KR 101628851B1 KR 1020160003089 A KR1020160003089 A KR 1020160003089A KR 20160003089 A KR20160003089 A KR 20160003089A KR 101628851 B1 KR101628851 B1 KR 101628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ed surface
heat insulating
stepped
groove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기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기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기린산업
Priority to KR102016000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851B1/ko
Priority to PCT/KR2016/000368 priority patent/WO201712284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5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s alternating transversally in th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panel, e.g. multiple tongue and grooves oriented parallel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를 감싸도록 형성된 금속판재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단열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들 각각은 상기 금속판재를 절곡시킴에 의해 일측면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타측면부에 형성되는 홈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금속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단차면과, 상기 제1단차면에서 절곡되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조립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제1단차면과 동일평면을 가지도록 상기 금속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2단차면과, 상기 제2단차면의 하측에 상기 조립돌기와 상호 대응하도록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립홈을 구비하며, 서로 인접된 제1 및 제2 단열패널중 제1단열패널의 조립돌기가 제2단열패널의 조립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단열패널의 제1단차면과 상기 제2단열패널의 제2단차면은 서로 접촉되어 동일평면인 조립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단열패널들이 조립되어 벽체를 구성한다.

Description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WALL STRUCTURE OF BUILDING USING PANELS}
본 발명은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흔들림이나 충격에 강하고 방화성능이 확보되고 조립이 용이한 구조이며 장식성이 향상된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발전 및 인구 증가로 인해 보다 많은 건축물이 축조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은 벽체구조, 루프구조, 바닥 등과 더불어 실내공간을 형성하고, 외부로부터의 비, 눈, 이슬 등을 비롯해 온도, 습도, 음향, 일광, 바람, 시선 등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건축물의 벽체구조는 건축물의 측면을 마감하는 부분으로, 루프구조와 같이 외부에 면해 있으므로 디자인적으로도 중요한 요소가 되고, 그 형상이나 마감재료는 건축물 외모에 큰 영향을 미친다.
벽체구조의 시공에는 콘크리트 구조 또는 벽돌 등으로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그 시공성 및 미려한 외관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조립식 패널이 콘크리트 구조와 혼용되거나 단독으로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조립식 패널은 한 쌍의 마감시트 사이에 단열재를 개재한 구조로 구성되고, 이러한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은 일반주택 뿐만 아니라 문화시설, 공장, 강당, 쇼핑몰, 체육관 등과 같은 대형 건축물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벽체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는 제1단열패널(10a)을 건물의 프레임에 결합나사(15)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열패널(10a)의 조립돌기(18)가 인접된 제2단열패널(10b)의 조립홈(19)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제1단열패널(10a)을 고정시키는 결합나사(15)가 제2단열패널(10b)의 측면 돌출부에 의해 덮혀 가려지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벽체구조는 벽체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단열패널에 손상이 발생되어 교체하거나 수리를 요하는 경우에 결합나사(15)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손상된 단열패널의 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나사(15)가 단열패널의 조립 이후에도 노출되도록 하여 단열패널을 분리하여 수리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단열패널의 조립부위의 강성이 약해 태풍 등에 의해 벽체가 흔들리는 경우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단열패널들이 조립되는 경우 조립부위가 약해 태풍이나 풍동 등에 의해 서로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건축물 외부표면에 고정용 볼트가 노출되어 건축물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6499호(2009.12.0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부위의 강성이 향상되고, 방화성능이 향상되며 수리나 분리가 용이한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고, 장식 또는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를 감싸도록 형성된 금속판재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단열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들 각각은 상기 금속판재를 절곡시킴에 의해 일측면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타측면부에 형성되는 홈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금속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단차면과, 상기 제1단차면에서 절곡되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조립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제1단차면과 동일평면을 가지도록 상기 금속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2단차면과, 상기 제2단차면의 하측에 상기 조립돌기와 상호 대응하도록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립홈을 구비하며, 서로 인접된 제1 및 제2 단열패널중 제1단열패널의 조립돌기가 제2단열패널의 조립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단열패널의 제1단차면과 상기 제2단열패널의 제2단차면은 서로 접촉되어 동일평면인 조립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단열패널들이 조립되어 벽체를 구성한다.
상기 조립돌기를 형성하는 상기 금속판재의 내부 및 상기 조립홈의 측벽을 형성하는 상기 금속판재의 내부에는, 상기 조립돌기 및 상기 조립홈의 강성보강을 위한 보강부재가 각각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조립면은 상기 제1단열패널의 제1단차면의 측벽 및 상기 제2단열패널의 제2단차면의 측벽과 함께 '
Figure 112016002645277-pat00001
'자 단면 구조의 단차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단차면과 상기 제2단차면은 상기 단차홈의 바닥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단차면에는 상기 제1단차면을 관통하여 건물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결합나사가 체결되고, 상기 제2단차면에는 상기 제2단차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2단차면과 중첩되며 상기 조립홈에 삽입된 상기 조립돌기를 관통하는 제2결합나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단차홈에는 상기 제1단차면과 상기 제2단차면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고, 상기 제1단열패널과 상기 제2단열패널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삽입되는 '
Figure 112016002645277-pat00002
'자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와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나사 및 상기 제2결합나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단차홈에는 상기 제1결합나사 및 상기 제2결합나사의 헤드부 및 단차홈을 커버하여 결합된 단열패널들의 외부면과 동일평면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와 체결되는 '
Figure 112016002645277-pat00003
' 자 단면구조의 캡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캡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와 상기 캡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광고, 장식 또는 조명을 위한 엘이디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캡은 빛 투과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부위의 강성이 향상되고, 수리나 분리가 용이하며, 태풍이나 기타 외부 환경 변화에 관계없이 튼튼한 벽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단차홈을 통해 추가적인 결합나사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방화성능이 향상되고 벽체가 광고, 장식 또는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벽체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를 위한 단열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의 조립부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의 조립부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를 위한 단열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의 조립부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도 5의 벽체구조에 엘이디 모듈이 추가되는 경우의 조립부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 구조를 위한 단열패널(100)은, 단열재(140)와 상기 단열재(140)를 감싸도록 형성된 금속판재(130)를 구비한다. 상기 금속판재(130)는 상기 단열재(140)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금속판재와 상기 단열재(140)의 상부를 상부금속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널(100)은 상기 금속판재(130)를 절곡시킴에 의해 일측면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10)와 타측면부에 형성되는 홈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110)와 상기 홈부(120)은 복수의 단열패널(100)들이 서로 조립되는 경우에 조립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다.
상기 돌출부(110)는 상기 단열패널(100)의 일측면부(도면상에서는 좌측면부)에 단차를 형성하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돌출부(110)는 제1단차면(112)과 조립돌기(114)를 구비한다. 상기 제1단차면(112)은 상기 금속판재(130)가 상기 단열패널(100)의 상부평면의 일측 가장자리부위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열패널(100)의 상기 상부평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면이다. 상기 제1단차면(112)은 상기 단열패널(100)의 상부평면과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114)는 상기 제1단차면(112)에서 절곡되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판재(130)가 상기 제1단차면(112)의 끝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이후에 다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립돌기(114)의 상부측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재(130)가 상기 단열패널(100)의 하부평면의 일측 가장자리부위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이후에 다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립돌기(114)의 하부측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홈부(120)는 상기 단열패널(100)의 타측면부(도면상에서는 우측면부)에 단차를 형성하며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홈부(120)는 제2단차면(122)과 조립홈(114)를 구비한다. 상기 제2단차면(122)은 상기 금속판재(130)가 상기 단열패널(100)의 상부평면의 타측 가장자리부위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평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면이다. 상기 제2단차면(122)은 상기 단열패널(100)의 상부평면과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차면(122)은 상기 단열패널(100)이 인접 단열패널과 조립되는 경우에 상기 제1단차면(112)과 동일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단차면(112)과 상기 제2단차면(122)는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립홈(124)은 상기 제2단차면(122)의 하측에 상기 조립돌기(114)와 상호 대응하도록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홈(124)는 상기 금속판재(130)가 상기 제2단차면(122)의 끝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이후에 다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립홈(124)의 상부측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재(130)가 상기 단열패널(100)의 하부평면의 타측 가장자리부위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이후에 다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립홈(124)의 하부측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114)를 형성하는 상기 금속판재(130)의 내부 및 상기 조립홈(124)의 측벽을 형성하는 상기 금속판재(130)의 내부에는, 상기 조립돌기(114) 및 상기 조립홈(124)의 강성보강을 위한 보강부재(115,125)가 각각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15,125)는 플라스틱, 나무, 금속제를 포함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보강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15,125)는 상기 금속판재(130)의 내부에 단열재 대신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보강을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부분에만 구비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단열재로 채워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단열패널(100)들을 이용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단열패널(100)들이 서로 인접되도록 한 상태에서 서로 조립함에 의해 벽체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서로 인접된 2개의 단열패널인 제1단열패널(100a) 및 제2단열패널(100b)이 서로 조립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열패널(100a)과 상기 제2단열패널(100b)을 서로 조립하는 경우에, 제1단열패널(100a)의 조립돌기(114a)가 제2단열패널(100b)의 조립홈(124b)에 삽입되고, 상기 제1단열패널(100)의 제1단차면(112a)과 상기 제2단열패널(100b)의 제2단차면(122b)은 서로 접촉되어 동일평면인 조립면(21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단열패널(100a)과 상기 제2단열패널(100b)조립되어 벽체(2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조립면(210)은 상기 제1단열패널(100)의 제1단차면(112a)과 상기 제2단열패널(100b)의 제2단차면(122b)이 서로 맞닿아짐에 따라 형성되는 면이다. 상기 조립면(210)은 상기 제1단열패널(100a)의 제1단차면(112a)의 측벽(우측측벽)(222a) 및 상기 제2단열패널(100b)의 제2단차면(122b)의 측벽(좌측 측벽(222b))과 함께 '
Figure 112016002645277-pat00004
'단면 구조의 단차홈(220)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단열패널(100)의 제1단차면(112a)과 상기 제2단열패널(100b)의 제2단차면(122b)은 상기 단차홈(220)의 바닥면을 구성하게 된다.
제1단열패널(100a)의 조립돌기(114a)가 제2단열패널(100b)의 조립홈(124b)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면(210) 및 상기 단차홈(22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차면(112a)에는 상기 제1단차면(112a)을 관통하여 건물의 프레임(f)에 고정되는 제1결합나사(225a)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단차면(122b)에는 상기 제2단차면(122b)을 관통하고, 상기 제2단차면(122b)과 중첩되며 상기 조립홈(124b)에 삽입된 상기 조립돌기(114a)를 관통하는 제2결합나사(225b)가 체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결합나사(225b)는 상기 제1결합나사(225a)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제2결합나사(225b)의 단부(삽입부)가 상기 제2단열패널(100b) 또는 상기 제1단열패널(100a)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나사(225b)는 상기 단열패널들(100a,100b)의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결합나사(225a) 및 상기 제2결합나사(225b)의 체결전에, 상기 단차홈(220)에는 상기 제1단차면(112a)과 상기 제2단차면(122b) 사이의 틈새(또는 상기 제1단열패널(100a)와 상기 제2단열패널(100b)의 틈새)를 커버하고, 상기 제1단열패널(100a)과 상기 제2단열패널(100b)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
Figure 112016002645277-pat00005
'자 단면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와셔(230)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 와셔(230)는 일정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 PVC,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230)는 상기 단차홈(22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와셔(230)가 구비될 수도 있고, 짧은 길이로 두개가 구비되어 상기 단차홈(2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구비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나사(225a) 및 상기 제2결합나사(225b)가 체결되는 부위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23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결합나사(225a) 및 상기 제2결합나사(225b)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230)가 상기 단차홈(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230)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230)와 체결되는 캡(2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240)은 상기 단차홈(220)에 체결된 상기 제1결합나사(225a) 및 상기 제2결합나사(225b)의 헤드부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고, 상기 단차홈(220)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캡(240)은 상기 단차홈(220)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캡(240)의 상부면이 단열패널들(100a,100b)의 상부면과 동일평면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캡(240)은 '
Figure 112016002645277-pat00006
' 자 단면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230)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230)는 체결부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232)를 구비하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캡(240)에는 체결부측에 내측방향에 홈(242)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체결단부가 내측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돌기(232)가 상기 홈(242)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상기 캡(240)의 체결단부가 상기 돌기(232)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230)와 상기 캡(240)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캡(240)은 일정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 PVC,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벽체(200)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경우에, 광고, 장식 또는 조명의 필요성이 대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벽체(200)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 모듈(250)의 추가가 가능하다.
상기 단차홈(220)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230)와 상기 캡(240)이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단차홈(220)의 내에 장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230)와 상기 캡(240) 사이의 내부공간은 비어있게 된다. 이러한 빈 내부공간에 엘이디 모듈(250)의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 모듈(250)은 상기 단차홈(220) 내의 상기 와셔(230)와 상기 캡(240)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가능한 사이즈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캡(240)은 빛 투과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230)는 빛의 반사가 가능한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엘이디 모듈(25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단열패널들(100a,100b)의 조립부위에서 빛이 조사되게 되므로, 광고 또는 장식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조명으로 사용도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부위의 강성이 향상되고, 수리나 분리가 용이하며, 태풍이나 기타 외부 환경 변화에 관계없이 튼튼한 벽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단차홈을 통해 추가적인 결합나사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방화성능이 향상되고 벽체가 광고, 장식 또는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돌출부 120 : 홈부
114 : 조립돌기 124 : 조립홈
220 : 단차홈 230 : 와셔
240 : 캡 250 : 엘이디 모듈

Claims (7)

  1.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를 감싸도록 형성된 금속판재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단열패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열패널들 각각은 상기 금속판재를 절곡시킴에 의해 일측면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타측면부에 형성되는 홈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금속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단차면과, 상기 제1단차면에서 절곡되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조립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제1단차면과 동일평면을 가지도록 상기 금속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2단차면과, 상기 제2단차면의 하측에 상기 조립돌기와 상호 대응하도록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립홈을 구비하며,
    서로 인접된 제1 및 제2 단열패널중 제1단열패널의 조립돌기가 제2단열패널의 조립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단열패널의 제1단차면과 상기 제2단열패널의 제2단차면은 서로 접촉되어 동일평면인 조립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단열패널들이 조립되어 벽체를 구성하고,
    상기 조립면은 상기 제1단열패널의 제1단차면의 측벽 및 상기 제2단열패널의 제2단차면의 측벽과 함께 '
    Figure 112016027585873-pat00019
    '단면 구조의 단차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단차면과 상기 제2단차면은 상기 단차홈의 바닥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단차면에는 상기 제1단차면을 관통하여 건물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결합나사가 체결되고, 상기 제2단차면에는 상기 제2단차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2단차면과 중첩되며 상기 조립홈에 삽입된 상기 조립돌기를 관통하는 제2결합나사가 체결되고,
    상기 단차홈에는 상기 제1단차면과 상기 제2단차면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고, 상기 제1단열패널과 상기 제2단열패널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삽입되는 '
    Figure 112016027585873-pat00020
    '자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와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나사 및 상기 제2결합나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를 형성하는 상기 금속판재의 내부 및 상기 조립홈의 측벽을 형성하는 상기 금속판재의 내부에는, 상기 조립돌기 및 상기 조립홈의 강성보강을 위한 보강부재가 각각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에는 상기 제1결합나사 및 상기 제2결합나사의 헤드부 및 단차홈을 커버하여 결합된 단열패널들의 외부면과 동일평면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와 체결되는 '
    Figure 112016027585873-pat00009
    ' 단면구조의 캡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캡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셔와 상기 캡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광고, 장식 또는 조명을 위한 엘이디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캡은 빛투과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KR1020160003089A 2016-01-11 2016-01-11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KR10162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89A KR101628851B1 (ko) 2016-01-11 2016-01-11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PCT/KR2016/000368 WO2017122840A1 (ko) 2016-01-11 2016-01-13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89A KR101628851B1 (ko) 2016-01-11 2016-01-11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851B1 true KR101628851B1 (ko) 2016-06-09

Family

ID=5613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089A KR101628851B1 (ko) 2016-01-11 2016-01-11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8851B1 (ko)
WO (1) WO20171228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8228A (zh) * 2017-07-27 2017-10-24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变形缝处的保温层定型结构及其安装方法
CN112252577A (zh) * 2020-10-30 2021-01-22 苏州金月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蒸压加气混凝土复合保温墙板结构
KR102643529B1 (ko) * 2023-01-31 2024-03-05 이상호 샌드위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1988A (zh) * 2017-10-20 2018-03-06 江苏尼高科技有限公司 灌注轻质保温浆料外墙内保温系统及其制造方法
GB2574658B (en) * 2018-06-14 2021-12-15 Kingspan Oy Single wall panel
FI20215847A1 (en) * 2021-08-11 2023-02-12 Rautaruukki Oyj Fireproof wa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3411U (ja) * 1983-01-22 1984-07-31 オリオン機械株式会社 断熱パネルの補強連結部構造
KR200211920Y1 (ko) * 2000-07-21 2001-02-01 조은판넬주식회사 조립식 패널
KR200377961Y1 (ko) * 2004-12-01 2005-03-11 주식회사기린산업 보강부재를 구비한 건축용 복합 판넬
KR20090126499A (ko) 2008-06-04 2009-12-09 주식회사기린산업 건축용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2427B2 (ja) * 1989-04-10 1998-05-18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パネルの目地構造
JP2003286751A (ja) * 2002-03-27 2003-10-10 Nisshin Steel Co Ltd 防火パネルの連結構造
JP2010275823A (ja) * 2009-05-29 2010-12-09 Yamaha Livingtec Corp 設備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3411U (ja) * 1983-01-22 1984-07-31 オリオン機械株式会社 断熱パネルの補強連結部構造
KR200211920Y1 (ko) * 2000-07-21 2001-02-01 조은판넬주식회사 조립식 패널
KR200377961Y1 (ko) * 2004-12-01 2005-03-11 주식회사기린산업 보강부재를 구비한 건축용 복합 판넬
KR20090126499A (ko) 2008-06-04 2009-12-09 주식회사기린산업 건축용 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8228A (zh) * 2017-07-27 2017-10-24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变形缝处的保温层定型结构及其安装方法
CN112252577A (zh) * 2020-10-30 2021-01-22 苏州金月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蒸压加气混凝土复合保温墙板结构
KR102643529B1 (ko) * 2023-01-31 2024-03-05 이상호 샌드위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2840A1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851B1 (ko) 단열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US6044602A (en) Light transmitting roofing structure and method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KR10228118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20190134150A (ko)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용 방수 커넥터
KR20180005986A (ko) 기밀성이 향상된 조립식 돔 하우스
KR100628879B1 (ko) 조립식 건물의 벽체구조
RU112252U1 (ru) Система алюминиевых профилей (варианты)
KR101250509B1 (ko)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결합구조
KR102136420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20180097276A (ko) 조립틈새가 최소화된 건축용 패널
KR101552020B1 (ko) 경량 단열창
KR20210037880A (ko) 경량 단열 프레임
KR101121089B1 (ko) 투광 복층 패널
KR20030020733A (ko) 조립식 건축벽체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JP3953403B2 (ja) 壁体支持構造体および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321122B1 (ko) 조립식 건축물의 창틀 구조
KR102556344B1 (ko) 준불연 성능이 강화된 사이딩패널 제조방법
CN213927194U (zh) 型材
KR100885623B1 (ko)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JP2003253855A (ja) 建築用板材
JP2008115637A (ja) 壁構造、それに用いる外壁パネル、及び建物ユニット
JP6917801B2 (ja) 建物
KR100959631B1 (ko) 채광판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지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