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623B1 -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623B1
KR100885623B1 KR1020070072382A KR20070072382A KR100885623B1 KR 100885623 B1 KR100885623 B1 KR 100885623B1 KR 1020070072382 A KR1020070072382 A KR 1020070072382A KR 20070072382 A KR20070072382 A KR 20070072382A KR 100885623 B1 KR100885623 B1 KR 100885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transparent plate
groove
horizontal pla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986A (ko
Inventor
안태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Priority to KR102007007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62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54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를 포함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일측 끝단에 돌출된 끼움부와 그 하부 일측에서 수평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한쌍의 샌드위치 판넬 및 이들 샌드위치 판넬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판을 구비하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상면을 감싸는 덮개부 및 이 덮개부에서 수평 연장되어 그 저면으로 투명판의 상면이 밀착 접촉되는 상 수평판부 그리고 상 수평판부의 일측 하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돌출되는 관형상의 조립돌부를 형성한 길이재의 상부 프레임과, 상기 투명판을 사이에 두고 상부 프레임과 대향 배치되는 것으로 상 수평판부에 대응되는 하 수평판부 및 이 하 수평판부의 일측으로 상기 조립돌부가 끼움되는 조립홈부 그리고 이 조립홈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면서 다시 수평 연장되는 것에 의해 끼움홈부 및 이 끼움홈부에서 굽힘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감싸는 결합홈부를 형성하는 길이재의 하부 프레임과, 상기 끼움홈부에 일단이 끼움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관 형상의 리브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70072382
건축, 외장, 채광, 판넬, 투명

Description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Mining Panel with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을 간소화하여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구조적인 강성 보강을 통한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장 또는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건설현장 사무실과 같은 가설물의 경우 판넬을 이용한 조립식 건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조립식 건물의 천장이나 벽체 등과 같은 외장판넬로는 경량이면서 시공성, 단열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판넬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그 용도에 따라 형상의 차이가 있으나 그 구조는 대동소이하다.
상기 샌드위치 판넬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금속재로 된 한쌍의 금속판 사이에 단열재를 충진하는 구성이며, 이때의 단열재로는 스치로폼, 글라스울, 폴리보드, 테크, 우레탄, 미네랄울, PE폼, 금속이 사용되며, 대표적인 것으로 스치로폼의 일종인 발포폴리스틸렌(Expandable Polystyrene)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발포 폴리스틸렌은 폴리스티렌 수지에 펜탄(Pantane : C5H12)이나 부탄과 같은 발포제를 첨가시켜 가열 경화시킴과 동시에 기포를 발생시켜 발포수지로 만든 것으로서 스티렌모노머(Styrene Monomer : C8H8)을 중합시켜 제조한다.
또한, 상기 스치로폴은 발포제를 함유하고 있는 스티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서 종류에 따라 직경 0.2m~0.3m 의 조그만 비이드(Bead)나 길이 약 2.5m, 직경 약 0.6m 인 원주형 펠레트(pellets) 상태로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샌드위치 판넬로 된 조립식 건물은 채광성 확보가 어려운 단점으로 인해 그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조립식 건물에서는 채광을 위하여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 플랴스틱판재로 된 창과 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창틀로 구성된 창문을 별도로 제작 준비하고, 상기 창문이 설치될 수 있게 샌드위치 판넬에 설치 공간을 형성한 뒤 이들을 실리콘과 못, 나사부재 등을 이용하여 결합 구성하는 것에 의해 채광창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채광창의 시공방법은 시공공정이 복잡하여 시공단가의 상승과 숙련된 작업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천장용 외장재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항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창문이 샌드위치 판넬로부터 유동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넓은 채광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채광창을 폭넓게 적용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가 있어 채광성 확보에 한계가 있으며, 수밀성이 취약한 단점으로 인해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63044호를 통해 개선된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식 건물(a)의 지붕(w)과 벽체(w)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열재를 포함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일측 끝단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샌드위치 판넬(100)과, 일측으로 상기 샌드위치 판넬(100)의 끼움부에 슬라이드 삽입으로 조립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수평 연장되는 하 수평 플랜지 및 이 수평 플랜지의 일측에 한쌍의 판형부재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것에 의해 구비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200)과, 상기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메인프레임(200)의 수평 플랜지의 상면에 양단이 거치되는 투명판(300)과, 상기 메인프레임(200)과 투명판(300)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것으로 수평 연장되는 상 수평 플랜지 및 상기 조립홈에 끼움되는 조립돌부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4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은 종래에 비하여 폭넓은 채광성을 확보하는 이점과 수밀성을 일부 개선하였으나, 메인 프레임(200)과 고정 프레임(400)이 분할 구성되는 것에 의해 이들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단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빗물 유입으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프레임(200)과 고정 프레임(400) 사이에 고무재로 된 패킹재를 개재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패킹재는 외부의 환경에 장기 간 노출되는 것에 의해 그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6-115880호를 통해 개선된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을 출원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은 단열재를 포함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일측 끝단에 돌출된 끼움부와 그 하부 일측에서 수평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한쌍의 샌드위치 판넬 및 이들 샌드위치 판넬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판을 구비하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상면을 감싸는 덮개부 및 이 덮개부에서 수평 연장되어 그 저면으로 투명판의 상면이 밀착 접촉되는 상 수평판부 그리고 상 수평판부의 일측 하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돌출되는 관형상의 조립돌부를 형성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투명판을 사이에 두고 상부 프레임과 대향 배치되는 것으로 상 수평판부에 대응되는 하 수평판부 및 이 하 수평판부의 일측으로 상기 조립돌부가 끼움되는 조립홈부 그리고 이 조립홈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어 끼움부의 수직측면에 면접촉되는 수직판부를 형성한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샌드위치 판넬의 하면에 면접촉되는 수평 지지판부 및 그 일단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플랜지부가 끼움되게 대응되게 굽힘 성형되는 결합홈부 그리고 이 결합홈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수직판부에 마운팅되는 수직 지지판부를 형성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외력에 대한 지지강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내부 공간에 빗물 유입시 그에 따른 해결방안이 없을 뿐만 아니라 외관 마감이 불량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외력에 대한 지지강성을 높이도록 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은, 단열재를 포함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일측 끝단에 돌출된 끼움부와 그 하부 일측에서 수평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한쌍의 샌드위치 판넬 및 이들 샌드위치 판넬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판을 구비하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상면을 감싸는 덮개부 및 이 덮개부에서 수평 연장되어 그 저면으로 투명판의 상면이 밀착 접촉되는 상 수평판부 그리고 상 수평판부의 일측 하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돌출되는 관형상의 조립돌부를 형성한 길이재의 상부 프레임과, 상기 투명판을 사이에 두고 상부 프레임과 대향 배치되는 것으로 상 수평판부에 대응되는 하 수평판부 및 이 하 수평판부의 일측으로 상기 조립돌부가 끼움되는 조립홈부 그리고 이 조립홈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면서 다시 수평 연장되는 것에 의해 끼움홈부 및 이 끼움홈부에서 굽힘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감싸는 결합홈부를 형성하는 길이재의 하부 프레임과, 상기 끼움홈부에 일단이 끼움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관 형상의 리브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상 수평판부와 하 수평판부는 투명판에 접촉되는 접촉면상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된 각각의 상·하 패킹이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조립홈부는 내측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단 걸림단턱이 형성되고, 이에 끼워 맞춤되는 조립돌부는 외면에 상기 걸림단턱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조립돌부와 조립홈부는 상기 투명판의 측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상·하부 프레임의 전·후면으로는 상기 투명판이 끼워 맞춤될 수 있게 대응되는 삽입홈을 형성한 조립부를 돌출시킨 마감판넬이 더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투명판은 복층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은 구조를 일체화하여 조립성 개선에 따른 시공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며, 등간격으로 지지프레임을 구성함에 따라 외력에 대한 지지강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 보장에 따른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빗물 유입에 따른 배출을 원활하게 유도할 뿐만 아니라 마감판넬을 구성함에 따라 외관의 미려함과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에서 마감판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에 적용되는 투명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1)은 크게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한쌍의 샌드위치 판넬(10)과 이들 샌드위치 판넬(10) 사이에 위치되는 투명판(15) 그리고 상기 투명판(15)을 샌드위치 판넬(10)에 일체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구성된다.
샌드위치 판넬(10)은 두장의 얇은 강판 또는 철판 사이에 스치로폼 등의 단열재를 구성한 판재형의 부재로서, 통상의 공지된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그 구성 및 제조방법에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샌드위치 판넬(1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끝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부(11a)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며, 이 끼움부(11a)의 하측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플랜지부(11b)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의 샌드위치 판넬(10)은 후술할 결합수단을 통해 투명판(15)과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이다.
투명판(15)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채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통상의 합성수지물로 성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작된 렉산시트로 구비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때 상기 렉산시트는 표면 경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선이 투과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조립성 건물의 외장 판넬의 문제점으로 있었던 채광성을 실내측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채광성이 요구되지 않는 장소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투명판(15)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샌드위치 판넬(1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면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이며 결합수단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판(15)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층 판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채광성이나 기타 구조적인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공지의 다양한 투명판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샌드위치 판넬(10)과 투명판(15)은 종전의 구조와 대동소이한 구조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샌드위치 판넬(10)과 투명판(15)의 결합상태를 양호하게 하면서 수밀성을 높이고 조립 및 해체시의 작업성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결합수단의 제공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이때의 상기 결합수단은 크게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30) 그리고 리브 프레임(40)과 마감판넬(50)로 구성된다.
상부 프레임(20)은 판재형의 부재를 수회 굽힘 성형한 길이재의 부재로서 강성이 우수하고 성형성이 양호한 금속재 또는 합금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20)은 상기 샌드위치 판넬(10)의 끼움부(11a)의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 굽힘 성형되는 덮개부(21)와, 상기 덮개부(21)의 일측에서 일체로 수평 연장되어 그 저면으로 투명판(15)의 상면이 밀착 접촉되는 상 수평판부(23)와, 상기 상 수평판부(23) 일측 하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돌출되는 사각 관 형상을 갖는 조립돌부(25)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조립돌부(25)는 외측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단 걸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20)에서 상술한 상 수평판부(23)는 투명판(15)에 접촉되는 접촉면상에 상패킹(p1)이 구비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상패킹(p1)은 완충성과 밀착성이 우수한 고무재, 합성수지재, 우레탄재, 실리콘재 등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판(15)의 상면에 대해 밀접하게 접촉되는 것에 의해 안정된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패킹(p1)은 접촉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결착성을 높이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20)에서 상술한 조립돌부(25)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명판(15)의 측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위치 즉, 투명판(15)과의 위치 간섭이 일어나지는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30)은 상술한 상부 프레임(20)과 투명판(15)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배치되는 부재중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상부 프레임(20)과 마찬가지로 판재형의 부재를 수회 굽힘 성형한 길이재로서 강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성형성을 갖는 금속재 또는 합금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프레임(30)은 상기 투명판(15)의 저면 테두리측에 밀착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상 수평판부(23)와 대응되는 형태와 크기를 갖는 하 수평판부(33)를 구비하고, 상기 하 수평판부(33)의 일측으로 상기 조립돌부(25)가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수직하게 상향 돌출되는 조립홈부(35)가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조립홈부(35)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돌부(25)와의 높은 결합상태를 유지 보장하기 위하여 내측벽면에 수직방향으로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턱은 다수의 삼각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홈부(35)의 일측으로는 상기 샌드위치 판넬(10)의 끼움부(11a)의 수직측면에 면접촉되게 하향 연장되면서 다시 직각으로 굽힘되어 상기 하 수평판부(33)와 평행하게 수평 연장되는 것에 의해 후술할 리브 프레임(40)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게 ″ㄷ″자 형상을 갖는 끼움홈부(31)와, 이 끼움홈부(31)에서 직각으로 굽힘되어 수직하게 연장되면서 다시 직각으로 굽힘되어 수평 연장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샌드위치 판넬(10)의 플랜지부(11b)가 끼움될 수 있는 조립공간인 결합홈부(3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30)에서 하 수평판부(33)는 상기의 투명판(15)에 접촉되는 접촉면상으로 하패킹(p2)이 구비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하패킹(p2)은 완충성과 밀착성이 우수한 고무재, 합성수지재, 우레탄재, 실리콘재 등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판(15)의 상면에 대해 밀접하게 접촉되는 것에 의해 안정된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리브 프레임(40)은 상술한 하부 프레임(30)이 형성하는 끼움홈부(31)에 일단이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리브 프레임(40)은 투명판(15)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길게 배치되는 한쌍의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3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일종의 보강구조물이다. 이러한 리브 프레임(40)은 상술한 끼움홈부(31)에 일단이 끼워 맞춤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마감판넬(50)은 상술한 투명판(15)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30)으로 이루어진 조립체가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그 전·후면을 차폐하는 부재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명판(15)의 일측면이 끼워 맞춤될 수 있게 대응되는 삽입홈(51a)을 형성한 조립부(51)를 돌출시킨 판재형의 부재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의 조립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재형의 투명판(15)을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30)을 배치하고, 이들을 조립돌부(25)와 조립홈부(35)를 이용하여 상호 끼움 구조로 결합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30)은 결합홈부(32)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를 통해 상기 샌드위치 판넬(10)과 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부(32)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끼움홈부(31)를 통해 리브 프레임(40)이 끼워 맞춤으로 조립되므로 전체적인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상부 프레임(20)은 빗물 등의 유입을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차단하게 된다.
또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투명판(15)의 전·후면측으로 마감판넬(50)이 조립되어지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30)의 내부 공간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은 건축물의 크기와 요구되는 채광정도에 따라 투명판(15)의 크기가 결정될 것이며, 조립식 건물의 지붕 뿐만 아니라 측벽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이 적용 실시되는 건축물의 일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에서 마감판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에 적용되는 투명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샌드위치 판넬
15 : 투명판
20 : 상부 프레임
30 : 하부 프레임
40 : 리브 프레임
50 : 마감판넬

Claims (6)

  1. 단열재를 포함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일측 끝단에 돌출된 끼움부와 그 하부 일측에서 수평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한쌍의 샌드위치 판넬 및 이들 샌드위치 판넬 사이에 배치되는 투명판을 구비하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상면을 감싸는 덮개부 및 이 덮개부에서 수평 연장되어 그 저면으로 투명판의 상면이 밀착 접촉되는 상 수평판부 그리고 상 수평판부의 일측 하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돌출되는 관형상의 조립돌부를 형성한 길이재의 상부 프레임과;
    상기 투명판을 사이에 두고 상부 프레임과 대향 배치되는 것으로 상 수평판부에 대응되는 하 수평판부 및 이 하 수평판부의 일측으로 상기 조립돌부가 끼움되는 조립홈부 그리고 이 조립홈부에서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면서 다시 수평 연장되는 것에 의해 끼움홈부 및 이 끼움홈부에서 굽힘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부를 감싸는 결합홈부를 형성하는 길이재의 하부 프레임과;
    상기 끼움홈부에 일단이 끼움되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관 형상의 리브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수평판부와 하 수평판부는 투명판에 접촉되는 접 촉면상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된 각각의 상·하 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부는 내측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다단 걸림단턱이 형성되고, 이에 끼워 맞춤되는 조립돌부는 외면에 상기 걸림단턱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부와 조립홈부는 상기 투명판의 측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프레임의 전·후면으로는 상기 투명판이 끼워 맞춤될 수 있게 대응되는 삽입홈을 형성한 조립부를 돌출시킨 마감판넬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은 복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KR1020070072382A 2007-07-19 2007-07-19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KR100885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382A KR100885623B1 (ko) 2007-07-19 2007-07-19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382A KR100885623B1 (ko) 2007-07-19 2007-07-19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86A KR20090008986A (ko) 2009-01-22
KR100885623B1 true KR100885623B1 (ko) 2009-02-26

Family

ID=4048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382A KR100885623B1 (ko) 2007-07-19 2007-07-19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509B1 (ko) * 2010-08-26 2013-04-03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결합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267A (ko) * 2004-02-10 2004-05-10 박춘상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20050050935A (ko) * 2003-11-26 2005-06-01 한태인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는 창문용 프레임의 구조
KR20060084840A (ko) * 2006-07-05 2006-07-25 안태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935A (ko) * 2003-11-26 2005-06-01 한태인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는 창문용 프레임의 구조
KR20040039267A (ko) * 2004-02-10 2004-05-10 박춘상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20060084840A (ko) * 2006-07-05 2006-07-25 안태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509B1 (ko) * 2010-08-26 2013-04-03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86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568B1 (ko)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KR101065044B1 (ko)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052478B1 (ko)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101065036B1 (ko) 유리홈 가변형 이중단열 커튼월
US9540800B2 (en) Set of profile sec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walls, panels and angle sections in thermoplastic
KR101344734B1 (ko) 단열재가 내장된 커튼월
KR102157195B1 (ko) 조립식 단열패널
KR102345489B1 (ko) 단열 커튼월
KR101142111B1 (ko)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KR20120006963U (ko) 커튼월 시스템 창호
KR101161726B1 (ko)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KR20150118353A (ko) 단열성과 강성이 우수한 커튼월 및 그 설치방법
KR100885623B1 (ko)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US11230845B2 (en) Building exterior panel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KR20210115404A (ko) 슬림벽돌 레일시스템
KR100760692B1 (ko)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WO2015149372A1 (zh) 一种组合式墙体及其施工方法
JP2019533779A (ja) シート材料のフレームアセンブリ
RU112252U1 (ru) Система алюминиевых профилей (варианты)
CN211114527U (zh) 建筑用外饰面板及其安装结构
KR102288043B1 (ko) 비노출형 커튼월 시스템
KR102027380B1 (ko) 다용도 건축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3905B1 (ko) 외장 일체형 구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