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107B1 -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107B1
KR102249107B1 KR1020190088216A KR20190088216A KR102249107B1 KR 102249107 B1 KR102249107 B1 KR 102249107B1 KR 1020190088216 A KR1020190088216 A KR 1020190088216A KR 20190088216 A KR20190088216 A KR 20190088216A KR 102249107 B1 KR102249107 B1 KR 10224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nture
application
location
den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157A (ko
Inventor
한훈섭
Original Assignee
(주)덴티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티로드 filed Critical (주)덴티로드
Priority to KR102019008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107B1/ko
Priority to PCT/KR2020/004017 priority patent/WO2021015391A1/ko
Publication of KR2021001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4Repairing or adjusting dentures; Location of irritating z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7Artificial resin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5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chip tag or any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 e.g. RF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불투명레진 부위에 선명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틀니에 스마트폰으로 태그 시 매립된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GPS등의 정보 식별체에서 led램프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된 빛의 위치를 통하여 틀니 및 부분틀니에 매립된 정보식별체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한 틀니착용자의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GPS, 비콘 등의 위치 추적장치물로 인하여 치매환자나 실종자 등의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정보식별체의 충전 방식은 무선 충전방식이다. 또한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Application mash-up service of identification for emergency situation and oral care}
본 발명은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불투명레진 부위에 선명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틀니에 스마트폰으로 태그 시 매립된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GPS등의 정보 식별체에서 led램프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된 빛의 위치를 통하여 틀니 및 부분틀니에 매립된 정보식별체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한 틀니착용자의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GPS, 비콘 등의 위치 추적장치물로 인하여 치매환자나 실종자 등의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정보식별체의 충전 방식은 무선 충전방식이다. 또한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나 치아주변 조직이 손상된 경우에는 인공적인 보철물을 사용하는 보철치료를 통해 치아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켜주게 된다. 하나 이상의 치아가 부분적으로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치아의 상측을 덮는 크라운을 보철물로써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하나 이상의 치아가 빠져서 결손된 경우에는 주변의 치아를 기둥 삼아 다리를 놓듯이 양쪽 치아와 상실된 부분을 연결한 고정성국소의치, 즉 브릿지를 제작하여 치료하고, 결손된 치아가 많은 경우에는 틀니 또는 부분틀니(이하‘틀니’라 함)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틀니는 현대사회가 고령화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으로써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더욱이 틀니에 대한 정부 지원이 늘어남에 따라 그 사용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틀니를 사용하게 되는 계층은 대부분이 고령자이고, 이러한 고령자들 중에는 치매환자,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이 있으며, 그 환자수는 서서히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고령자들은 언제 어디서 위급상황이 발생할 지 모르는데, 이러한 위급상황이 발생되어 병원응급실에 실려가게 되면 고령자의 기본적인 건강상태나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 등을 즉시 알 수 없기 때문에 당장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없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치매환자 및 잠재적 치매환자의 경우 치매의 의한 실종이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들은 대부분 고령자들이므로 신분증 또는 휴대폰 등을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적어 실종사고 등이 발생되면 우선 위치파악이 힘들 뿐 아니라, 신분을 즉각 확인하기 힘들어 대응처리가 늦어지게 되고, 이 또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책으로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716091호(특허출원 제10-2016-0068073호)를 통해 완성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의 불투명레진부(3) 중 일부분을 밀링기로 수차례 절삭가공하여 함몰 형태의 부분삭제부(10)를 형성하는 제1단계(S1); 상기 부분삭제부(10)에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인식되는 식별수단이 포함된 정보식별체(20)를 삽입 매립하되, 상기 정보식별체(20)의 상부표면이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하고, 정보식별체(20)의 측부와 부분삭제부(10)의 내측벽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단계(S2); 상기 정보식별체(20)가 삽입 매립된 부분삭제부(10)에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를 주입하여 화학반응에 의해 레진부(30)를 형성하되, 상기 레진부(30)가 정보식별체(20)의 상부면이 덮히도록 정보식별체(20)와 부분삭제부(10) 사이에 침투되도록 하고, 정보식별체(20) 상부의 레진부(30)에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부(31)가 형성되어 경화되도록 하는 제3단계(S3); 상기 레진부(30)의 돌출부(31)가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형태로 경화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를 가압기에 넣고 30∼40℃ 상에서 20∼40분 동안 가압하여 레진부(30) 내부의 기포(32)를 제거하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제4단계(S4); 상기 가압된 레진부(30)의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는 제5단계(S5); 상기 연마된 레진부(30)의 상부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여 광택층(40)을 형성하는 제6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식별체(20)는 고령자 또는 치매환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가 저장된 NFC칩이거나, 그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비콘(Beacon)으로 구성되고, 상기 NFC칩 및 비콘(Beacon)은 방수성 확보를 위해 외부표면 전체를 보호층(21)으로 코팅 형성되고, NFC칩 및 비콘(Beacon)의 감지하는 리더부의 감지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전자파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며, 정보데이터가 바뀌거나,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하여 개폐 가능한 뚜껑(26)을 갖는 케이스(25) 구조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출원인의 등록특허로 개시된 틀니용 패치와 같은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에 대한 기술에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제10-171609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불투명레진 부위에 선명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틀니에 스마트폰으로 태그 시 매립된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GPS등의 정보 식별체에서 led램프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된 빛의 위치를 통하여 틀니 및 부분틀니에 매립된 정보식별체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한 틀니착용자의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GPS, 비콘 등의 위치 추적장치물로 인하여 치매환자나 실종자 등의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정보식별체의 충전 방식은 무선 충전방식이다. 또한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성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의 불투명레진부(3) 중 일부분을 밀링기로 수차례 절삭가공하여 1.0∼5.0㎜ 함몰된 형태의 부분삭제부(10)를 형성하는 제1단계(S1); 상기 부분삭제부(10)에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인식되는 식별수단이 포함된 정보식별체(20)를 삽입 매립하되, 상기 정보식별체(20)의 상부표면이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하고, 정보식별체(20)의 측부와 부분삭제부(10)의 내측벽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단계(S2); 상기 정보식별체(20)가 삽입 매립된 부분삭제부(10)에 치과용 레진 파우더와 리퀴드를 주입하여 화학반응에 의해 레진부(30)를 형성하되, 상기 레진부(30)가 정보식별체(20)의 상부면이 덮히도록 정보식별체(20)와 부분삭제부(10) 사이에 침투되도록 하고, 정보식별체(20) 상부의 레진부(30)에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부(31)가 형성되어 경화되도록 하는 제3단계(S3); 상기 레진부(30)의 돌출부(31)가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형태로 경화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를 가압기에 넣고 40∼120℃ 상에서 5∼30분 동안 가압하여 레진부(30) 내부의 기포(32)를 제거하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제4단계(S4); 상기 가압된 레진부(30)의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는 제5단계(S5); 상기 연마된 레진부(30)의 상부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여 광택층(40)을 형성하는 제6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식별체(20)는 고령자 또는 치매환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가 저장된 NFC칩이거나, 완성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 또는 비콘(Beacon)으로 구성되고, 상기 NFC칩, 비콘(Beacon) 및 GPS는 방수성 확보를 위해 외부표면 전체를 보호층(21)으로 코팅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21)이 형성된 정보식별체(20)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케이스(25)에 매립하여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25)에는 밀폐 단속 가능한 뚜껑(26)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5)는 일측에 GPS 또는 비콘(Beacon)을 감지하는 리더부의 감지범위를 형성하고, 상기 리더기의 감지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전자파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감지범위가 형성되는 케이스(25)의 일측은 인체의 혀나 목 부위를 피해서 입의 개방방향이나 양측 중 어느 일측 볼 방향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틀니착용자의 얼굴 부위에 갖다 대면 스마트폰으로 틀니를 태그 시 레진부(30) 내에 매립된 NFC, 비콘(Beacon)의 RFID 및 GPS의 정보 식별체에서 led램프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된 빛의 위치를 통한 틀니 또는 부분틀니에 매립된 정보식별체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 또는 부분틀니착용자인 치매환자나 실종자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또는 틀니착용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정보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 및 건강정보를 즉각 확인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식별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틀니착용자의 세척주기 확인이 가능하도록 연동되게 구성하며, 상기 정보식별체(20)는 고령자 또는 치매환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가 기재된 식별시트이거나, 상기 개인신상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로 구성되고, 상기 정보식별체(20)가 매립된 스마트 틀니착용자가 장기요양병원, 보건소 에서의 틀니 세척시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틀니를 스마트폰에 TAG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세척 시작, 종료 “알림 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보호자에게 문자를 전송하도록 하고, 요양병원이나 보건소의 의료기관에서는 틀니착용자의 세척정보를 1일, 일주일 또는 한달의 주기적인 틀니 세척이력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기간 동안 틀니세척을 안할시에 등록된 보호자와 사용자에게 틀니세척기간 알림서비스를 통하여 틀니세척기간이 오래 되었음을 알려주는 문자알림 서비스도 전송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마트틀니와 연동되는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 일반시민이 길거리의 위급상황에 놓인 틀니착용자의 입술 또는 얼굴 부분에 갖다대면 스마트폰 내의 GPS를 통한 경도, 위도의 위치를 통하여 119, 112의 문자로 전송 할수 있을 뿐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내 보호자 연락하기를 통해 보호자에게 바로 연결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불투명레진부(3) 상에서 부분삭제부(10)의 테두리에 함몰단턱부(52)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단턱부(52)에 광택층(40)을 형성하여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과 광택층(40)의 표면이 수평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스마트틀니를 착용하여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의 정보를 GPS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불투명레진 부위에 선명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틀니에 스마트폰으로 태그 시 매립된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GPS등의 정보 식별체에서 led램프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된 빛의 위치를 통하여 틀니 및 부분틀니에 매립된 정보식별체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한 틀니착용자의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GPS, 비콘 등의 위치 추적장치물로 인하여 치매환자나 실종자 등의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정보식별체의 충전 방식은 무선 충전방식이다. 또한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의 작동 실시 예시도
도 2는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서 스마트 틀니 사용 용도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틀니 또는 부분틀니에 식별수단이 부착된 상태의 사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순서도를 도면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부분삭제부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식별체의 일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층의 일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스의 일예시도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작동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불투명레진 부위에 선명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틀니에 스마트폰으로 태그 시 매립된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GPS등의 정보 식별체에서 led램프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된 빛의 위치를 통하여 틀니 및 부분틀니에 매립된 정보식별체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한 틀니착용자의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GPS, 비콘 등의 위치 추적장치물로 인하여 치매환자나 실종자 등의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정보식별체의 충전 방식은 무선 충전방식이다. 또한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틀니착용자의 얼굴 부위에 갖다 대면 스마트폰으로 틀니를 태그 시 레진부(30) 내에 매립된 NFC, 비콘(Beacon)의 RFID 및 GPS의 정보 식별체에서 led램프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된 빛의 위치를 통한 틀니 또는 부분틀니에 매립된 정보식별체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 또는 부분틀니착용자인 치매환자나 실종자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또는 틀니착용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정보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 및 건강정보를 즉각 확인가능하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서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지정병원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식별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식별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 또는 부분틀니착용자인 치매환자나 실종자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또는 틀니착용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정보이력 등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 및 건강정보를 즉각 확인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이는 식별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치매를 포함한 사고 등으로 인한 틀니착용자의 실종 시 그 실종된 틀니착용자를 확인하여 인근 경철서나 소방서, 가족에게 연락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식별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식별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틀니착용자의 세척주기 확인이 가능하도록 연동되게 구현함으로써 틀니 세척주기를 쉽게 놓칠 수 있는 틀니착용자의 청결한 틀니 사용유지가 가능토록 하였다.
이러한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틀니착용자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틀니 또는 부분틀니에 led램프를 매립하였고, 이에 상기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시 또는 실종 시,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식별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틀니착용자의 얼굴 부위에 갖다 대면 스마트폰으로 틀니를 태그 시 레진부(30) 내에 매립된 NFC, 비콘(Beacon)의 RFID 및 GPS의 정보 식별체에서 led램프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된 빛의 위치를 통한 틀니 또는 부분틀니에 매립된 정보식별체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 또는 부분틀니착용자인 치매환자나 실종자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또는 틀니착용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정보이력 등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 및 건강정보를 즉각 확인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상기의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틀니 또는 부분틀니에 정보식별체를 매립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완성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의 불투명레진부의 일부에 부분삭제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S1), 상기 부분삭제부에 정보식별체를 삽입 매립하는 제2단계(S2), 상기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부분삭제부에 돌출 형태의 레진부를 형성하여 경화시키는 제3단계(S3), 상기 레진부가 경화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를 가압하는 제4단계(S4), 상기 레진부의 돌출부를 연마하는 제5단계(S5), 상기 연마된 레진부의 상부표면에 광택층을 형성하는 제6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1단계(S1)∼제6단계(S6)를 통해 달성되며,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하기와 같다.
<제1단계(S1)>
먼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불투명 레진으로 완성된 틀니(2) 또는 부분틀니(2)의 불투명레진부(3) 중 일부분을 밀링기로 수차례 절삭가공하여 함몰 형태의 부분삭제부(1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부분삭제부(10)는 후술되는 고령자, 치매환자,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식별체(20)를 매립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부분삭제부(10)는 불투명레진부(3)가 손상되지 않도록 그 상에서 1.0∼5.0㎜로 함몰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부분삭제부(10)가 1.0㎜ 미만이면 정보식별체(20)를 매립하는데 기술적으로 곤란하게 되며, 5.0㎜ 초과하게 되면 불투명레진부위(3)의 파손 또는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도면부호 (5)는 치아이다.
<제2단계(S2)>
상기 부분삭제부(10)에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인식되는 식별수단이 포함된 정보식별체(20)를 삽입 매립하되, 상기 정보식별체(20)의 상부표면이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하고, 정보식별체(20)의 측부와 부분삭제부(10)의 내측벽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정보식별체(20)는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인식되는 식별수단이 포함된 식별시트, 또는 식별수단이 포함되어 스마트폰에 연동되는 NFC칩, 비콘(Beacon) 및 GPS가 사용된다.
상기 식별시트는 본 출원의 공개특허 제10-2015-0071699호에서와 같이 하부로는 점착시트, 상부로는 코팅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식별시트에는 도 7의 (a)에서와 같이 고령자 또는 치매환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정보이력 등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를 직접 기재하거나, 도 7의 (b)에서와 같이 그 개인신상정보를 포함한 QR코드와 같은 식별부를 형성하여 코드인식기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식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의 실종이나 사고발생 시 발견자 누구나 즉각 신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러한 식별시트는 틀니(2)에 부착되어 인체에 사용되는 것으로 침액이나 세정액 등에 접촉되므로 인체 무해한 의학용 재질 및 방수성 재질로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강정보는 주로 병원이력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노인성질환, 당뇨, 심장질환의 유무, 상태 등이 기록되어 있어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발생 시 틀니착용자의 상태 파악을 위해 허비하는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건강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그에 맞는 정확한 진단에 따른 조치를 즉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틀니착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NFC칩은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매립된 칩(chip)으로서, 핸드폰 등의 감지부를 1∼30㎝ 가량 근처에 접근시키면 인식이 되어 그 정보들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NFC칩은 도 8에서와 같이 방수성 확보를 위해 외부표면 전체를 보호층(21)으로 코팅하여 사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NFC칩은 종래 GPS 구조처럼 항시 전자파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핸드폰 등의 리더부를 근접시켰을 때에 한해 단발성으로 전자파가 발생되므로 인체에 크게 손상을 주지 않으나, 단발성의 전자파가 인체, 특히 혀나 목 부위로 이동되지 않도록 도 9에서와 같이 전자파를 차단하는 케이스(25)에 매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5)에는 밀폐 단속 가능한 뚜껑(26)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25)는 일측에 리더부의 감지범위를 형성하고, 그 감지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전자파가 차단되도록 구성하며, 이때 감지범위가 형성되는 케이스(25)의 일측은 인체의 혀나 목 부위를 피해서 입의 개방방향이나 양측 중 어느 일측 볼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25)는 NFC칩의 정보데이터가 바뀌거나,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되므로 개폐 가능한 뚜껑(26)을 갖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콘(Beacon)은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로서, 핸드폰에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 규격으로, 적외선이나 라디오 주파수(RF) 같은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해서 비콘이 매립된 완성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가 얼마나 가까이에 있는지, 상기 틀니 또는 부분틀니의 착용자가 어디를 지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비콘(Beacon)은 감지장치로부터 대략 50m 내외에 있는 대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비콘(Beacon)은 주변에 감지장치가 있는 곳마다 작동하면서 전자파가 발생되므로, 상기 NFC칩에서와 같이 우선 방수성 확보를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외부표면 전체를 보호층(21)으로 코팅할 필요가 있으며, 상술된 NFC칩에서와 같은 형태의 전자파 차단이 가능한 케이스 내에 매립되어 사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함께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가 매립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정보식별체(20)는 식별시트와 NFC칩, 비콘 및 GPS를 동시에 적용 가능한데, 이는 식별시트의 표면 일부에 NFC칩, 비콘 및 GPS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이 외에도 개인신상정보의 인식 가능한 다양한 것들이 사용 가능하다.
<제3단계(S3)>
상기 정보식별체(20)가 삽입 매립된 부분삭제부(10)에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를 주입하여 화학반응에 의해 레진부(30)를 형성하되, 상기 레진부(30)가 정보식별체(20)의 상부면이 덮히도록 정보식별체(20)와 부분삭제부(10) 사이에 침투되도록 하고, 정보식별체(20) 상부의 레진부(30)에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부(31)가 형성되어 경화되도록 한다.
상기 치과용 레진파우더 및 리퀴드는 치의학 분야에서 레진부(30)를 형성, 제작하기 위한 통상의 재료로서, 치과용 레진파우더는 주로 Polymethylmethacrylate가 사용되고, 리퀴드는 Methyl methacrylate monomer가 사용된다.
상기 마련된 치과용 레진파우더 30∼70부피%, 리퀴드 30∼70부피%를 혼합하여 스팻툴라(spatula)로 기포가 없어질 때 까지 충분히 저어서 개어 기포가 없는 상태로 레진부(30)를 형성한다. 이때, 스팻툴라(spatula)는 나이프 모양의 얇은 주걱을 말한다. 그리고, 레진부(30)는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를 혼합하여 반죽 상태로 만드는 과정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레진이 형성된 후 경화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반죽 및 경화 성질을 고려하여 치과용 레진파우더 30∼70부피%, 리퀴드 30∼70부피%로 혼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진부(30)의 형성 시, 치과용 레진파우더 상에 리퀴드를 뿌리면서 형성되게 할 수 있으나, 이러한 과정으로 형성된 레진부(30)는 그 상에 기포가 잔재할 뿐 아니라, 밀도가 낮아 후술되는 불투명레진부(3)의 내부에서 유동의 우려가 있어 안정적인 정보식별체(20)의 고정이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를 혼합(mixing)하여 스팻툴라(spatula)로 기포가 없어질 때 까지 충분히 저어서 개어 기포가 없는 상태로 레진부(30)를 형성토록 하였으며, 또 이는 레진부(30)의 투명성을 더욱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한 치과용 레진파우더 및 리퀴드를 순서에 상관 없이 정보식별체(20)가 삽입 매립된 부분삭제부(10) 내에 주입하게 되면 두 성분의 화학반응에 의해 레진부(30)가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리퀴드는 액상으로서 부분삭제부(10)와 정보식별체(20) 사이가 빈틈없이 채워지게 된다.
이때, 다음 공정을 위해 레진부(30)가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높은 위치에서 볼록한 돌출 형태로 경화되도록 해야 한다.
<제4단계(S4)>
레진부(30)의 돌출부(31)가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형태로 경화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를 가압기에 넣고 40∼120℃ 상에서 5∼30분 동안 가압하여 레진부(30) 내부의 기포(32)를 제거하고, 강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가압기는 통상의 가압매몰기 또는 압력기, 압력밥솥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상술된 바와 같이 레진부(30)의 강도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의 화학반응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32)를 제거하기 위해 실시된다.
<제5단계(S5)>
상기 가압된 레진부(30)의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한다.
이 과정을 통해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면서도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에 돌출부분이 없이 매끈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불투명레진부(30)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미각적 불순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한다.
<제6단계(S6)>
상기 연마된 레진부(30)의 상부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여 광택층(40)을 형성한다. 상기 광택층(40)의 통상의 광택 기능을 갖는 성분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제6단계(S6)를 수행 시, 도 6에서와 같이 불투명레진부(3) 상에서 부분삭제부(10)의 테두리에 함몰단턱부(52)를 형성하고, 그 함몰단턱부(52)에 광택층(40)을 형성하여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과 광택층(40)의 표면이 수평 일직선상에 형성되도록 하면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단계(S1)∼제6단계(S6)를 거쳐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을 통해 틀니를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착용자의 건강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는 정보식별체를 틀니 또는 부분틀니의 불투명레진 부위에 선명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매립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틀니 또는 부분틀니에 정보식별체를 매립하는 방법을 이용한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정보식별체(20)가 매립된 스마트 틀니착용자가 장기요양병원, 보건소 등에서의 틀니 세척시 연동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틀니를 스마트폰에 TAG시 어플을 통한 세척 시작, 종료 “알림 서비스”를 어플에 등록된 보호자에게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요양병원이나 보건소 등의 의료기관에서는 틀니착용자의 세척정보를 1일, 일주일, 한달 등의 주기적인 틀니 세척이력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기간 동안 틀니세척을 안할시에 등록된 보호자와 사용자에게 틀니세척기간 알림서비스를 통하여 틀니세척기간이 오래 되었음을 알려주는 문자알림 서비스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틀니와 연동되는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 일반시민이 길거리의 위급상황에 놓인 틀니착용자의 입술 또는 얼굴 부분에 갖다대면 스마트폰 내의 GPS를 통한 경도, 위도의 위치를 통하여 119, 112 등의 문자로 전송 할수 있을 뿐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내 보호자 연락하기를 통해 보호자에게 바로 연결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틀니를 착용한 노인, 장애인 등의 사회적 약자의 실종, 응급상황시 소방서, 경찰서 등의 지역 안전망으로 접수되고 지역 안전망으로부터 실종, 응급상황인 사회적 약자의 인적사항을 GPS 위치를 통한 실종된 지역의 어플리케이션 가입자들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실시간 긴급문자가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 내의 제보하기를 통해 그 지역의 GPS를 통한 위치(경도,위도)를 문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틀니 또는 부분틀니 내에 매립되는 상기 NFC칩, 비콘 등의 RFID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 등의 장치물 밧데리충전은 무선 충전기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의 실시예로서, 도 10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스마트 틀니착용자의 응급상화 발생 시 그 틀니착용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정보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 및 건강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어 빠른 대처가 가능하게 되고,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틀니착용자의 실종 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즉식 확인이 가능하게 되며, 도 16에서와 같이 틀니착용자의 틀니세척상태를 확인 또는 보호자에게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틀니 또는 부분틀니에 정보식별체를 매립하지 않고 틀니 또는 부분틀니의 표면에 점착력이 있는 스티커 또는 라벨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의 구현방법으로 틀니 및 부분틀니에 두께가 0.1mm~2.5mm인 NFC칩, 비콘 등의 RFID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 등의 정보식별체(20)는 점착력이 있는 스티커 또는 라벨 type으로 형성되게 하며, 완성된 틀니 및 부분틀니의 불투명레진부(3) 표면에 부착토록 한다. 이때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에 부착된 정보식별체(20)는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로 혼합된 레진으로 1.0mm~3.0mm로 상부 측면등 전체적으로 덮이도록 하며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보다 1.0mm~5.0mm 돌출부를 갖는 둔턱을 형성하며 불투명레진부(3)와의 접촉면은 라운드형의 곡선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틀니 또는 부분틀니에 정보식별체를 매립하는 방법을 이용한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불투명레진 부위에 선명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틀니에 스마트폰으로 태그 시 매립된 NFC, 비콘(Beacon) 등의 RFID와 GPS등의 정보 식별체에서 led램프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된 빛의 위치를 통하여 틀니 및 부분틀니에 매립된 정보식별체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한 틀니착용자의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GPS, 비콘 등의 위치 추적장치물로 인하여 치매환자나 실종자 등의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정보식별체의 충전 방식은 무선 충전방식이다. 또한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 : 불투명레진부 10 : 부분삭제부
20 : 정보식별체 30 : 레진부
31 : 돌출부 32 : 기포
40 : 광택층

Claims (10)

  1. 완성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의 불투명레진부(3) 중 일부분을 밀링기로 수차례 절삭가공하여 1.0∼5.0㎜ 함몰된 형태의 부분삭제부(10)를 형성하는 제1단계(S1);
    상기 부분삭제부(10)에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인식되는 식별수단이 포함된 정보식별체(20)를 삽입 매립하되, 상기 정보식별체(20)의 상부표면이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하고, 정보식별체(20)의 측부와 부분삭제부(10)의 내측벽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단계(S2);
    상기 정보식별체(20)가 삽입 매립된 부분삭제부(10)에 치과용 레진 파우더와 리퀴드를 주입하여 화학반응에 의해 레진부(30)를 형성하되, 상기 레진부(30)가 정보식별체(20)의 상부면이 덮히도록 정보식별체(20)와 부분삭제부(10) 사이에 침투되도록 하고, 정보식별체(20) 상부의 레진부(30)에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부(31)가 형성되어 경화되도록 하는 제3단계(S3);
    상기 레진부(30)의 돌출부(31)가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형태로 경화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를 가압기에 넣고 40∼120℃ 상에서 5∼30분 동안 가압하여 레진부(30) 내부의 기포(32)를 제거하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제4단계(S4);
    상기 가압된 레진부(30)의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는 제5단계(S5);
    상기 연마된 레진부(30)의 상부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여 광택층(40)을 형성하는 제6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식별체(20)는 고령자 또는 치매환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가 저장된 NFC칩이거나, 완성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의 위치를 파악하는 GPS 또는 비콘(Beacon)으로 구성되고,
    상기 NFC칩, 비콘(Beacon) 및 GPS는 방수성 확보를 위해 외부표면 전체를 보호층(21)으로 코팅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21)이 형성된 정보식별체(20)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케이스(25)에 매립하여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25)에는 밀폐 단속 가능한 뚜껑(26)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5)는 일측에 GPS 또는 비콘(Beacon)을 감지하는 리더부의 감지범위를 형성하고, 상기 리더부의 감지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전자파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감지범위가 형성되는 케이스(25)의 일측은 인체의 혀나 목 부위를 피해서 입의 개방방향이나 양측 중 어느 일측 볼 방향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틀니착용자의 얼굴 부위에 갖다 대면 스마트폰으로 틀니를 태그 시 레진부(30) 내에 매립된 NFC, 비콘(Beacon)의 RFID 및 GPS의 정보 식별체에서 led램프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된 빛의 위치를 통한 틀니 또는 부분틀니에 매립된 정보식별체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 또는 부분틀니착용자인 치매환자나 실종자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또는 틀니착용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정보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 및 건강정보를 즉각 확인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식별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틀니착용자의 세척주기 확인이 가능하도록 연동되게 구성하며,
    상기 정보식별체(20)는 고령자 또는 치매환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가 기재된 식별시트이거나, 상기 개인신상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로 구성되고,
    상기 정보식별체(20)가 매립된 스마트 틀니착용자가 장기요양병원, 보건소 에서의 틀니 세척시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틀니를 스마트폰에 TAG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세척 시작, 종료 “알림 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보호자에게 문자를 전송하도록 하고, 요양병원이나 보건소의 의료기관에서는 틀니착용자의 세척정보를 1일, 일주일 또는 한달의 주기적인 틀니 세척이력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기간 동안 틀니세척을 안할시에 등록된 보호자와 사용자에게 틀니세척기간 알림서비스를 통하여 틀니세척기간이 오래 되었음을 알려주는 문자알림 서비스도 전송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마트틀니와 연동되는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 일반시민이 길거리의 위급상황에 놓인 틀니착용자의 입술 또는 얼굴 부분에 갖다대면 스마트폰 내의 GPS를 통한 경도, 위도의 위치를 통하여 119, 112의 문자로 전송 할수 있을 뿐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내 보호자 연락하기를 통해 보호자에게 바로 연결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레진부(3) 상에서 부분삭제부(10)의 테두리에 함몰단턱부(52)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단턱부(52)에 광택층(40)을 형성하여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과 광택층(40)의 표면이 수평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틀니를 착용하여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의 정보를 GPS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 문자를 받은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KR1020190088216A 2019-07-22 2019-07-22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KR10224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16A KR102249107B1 (ko) 2019-07-22 2019-07-22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PCT/KR2020/004017 WO2021015391A1 (ko) 2019-07-22 2020-03-24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16A KR102249107B1 (ko) 2019-07-22 2019-07-22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57A KR20210011157A (ko) 2021-02-01
KR102249107B1 true KR102249107B1 (ko) 2021-05-07

Family

ID=7419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216A KR102249107B1 (ko) 2019-07-22 2019-07-22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9107B1 (ko)
WO (1) WO202101539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025A (ko) 2022-05-29 2023-12-06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 또는 틀니케이스 사용자의 구강관리 및 요양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연동 서비스를 이용한 틀니 케어시스템
KR20240002263A (ko) 2022-06-28 2024-01-05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KR20240039626A (ko) 2022-09-19 2024-03-27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730B1 (ko) * 2021-02-09 2022-10-28 (주)덴티로드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KR102525449B1 (ko) * 2021-02-19 2023-04-25 (주)덴티로드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
KR102503067B1 (ko) * 2021-06-17 2023-02-27 (주)덴티로드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KR102573885B1 (ko) * 2023-05-09 2023-09-04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 사용을 위한 정보식별체 매립방법 및 그 정보식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4795B2 (en) * 2000-08-14 2004-05-11 William Raymond Price Location of lost dentures using RF transponders
KR20150027187A (ko) * 2015-01-22 2015-03-11 한훈섭 고령자 및 치매환자 실종방지를 위한 틀니용 패치
KR20170020728A (ko) * 2015-08-16 2017-02-24 박철우 식별가능한 표시자 또는 RFID tag 또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삽입된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내부 홀 충진재
KR20170064383A (ko) * 2015-12-01 2017-06-09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덴쳐정보 관리 시스템
KR101716091B1 (ko) 2016-06-01 2017-03-13 한훈섭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KR20190056456A (ko) * 2017-11-10 2019-05-27 한훈섭 신원확인과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가 내장된 치아 부착용 장치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025A (ko) 2022-05-29 2023-12-06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 또는 틀니케이스 사용자의 구강관리 및 요양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연동 서비스를 이용한 틀니 케어시스템
KR102660368B1 (ko) 2022-05-29 2024-04-26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 또는 틀니케이스 사용자의 구강관리 및 요양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연동 서비스를 이용한 틀니 케어시스템
KR20240002263A (ko) 2022-06-28 2024-01-05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KR20240039626A (ko) 2022-09-19 2024-03-27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5391A1 (ko) 2021-01-28
KR20210011157A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107B1 (ko)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KR101716091B1 (ko)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KR101903961B1 (ko)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KR101903962B1 (ko) 틀니 착용자의 생체 특성 확인용 타액 측정체와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KR101812080B1 (ko)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US20180151053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nd interacting with medicament delivery systems
KR101762497B1 (ko) 고령자 및 치매환자 실종방지를 위한 틀니용 패치
CA1234428A (en) Human identification system
JP4160788B2 (ja) 歯科用築造体を利用した生体情報計測・記録及び通信装置とこの装置の情報入出力を制御する情報制御方法
JP5897352B2 (ja) 有床義歯
US20220148726A1 (en) Secure Systems for Contactless Identification and Vital Sign Monitoring
KR102503067B1 (ko)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JP3139635U (ja) 電子タグ内蔵入れ歯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192149B1 (ko) Rfid 틀니 시스템
JP6654007B2 (ja) 徘徊老人の保護システム
JP2016126792A (ja) 要支援者確認ツール
KR20190056456A (ko) 신원확인과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가 내장된 치아 부착용 장치물
CN112561113A (zh) 危险场景预警方法及终端设备
JP5881070B2 (ja) 識別情報記録装置の貼付方法
CN113197403A (zh) 一种可预防感染病毒的方法和智能手环
JP6301182B2 (ja) 情報格納装置
KR102660368B1 (ko) 스마트 틀니 또는 틀니케이스 사용자의 구강관리 및 요양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연동 서비스를 이용한 틀니 케어시스템
KR102573885B1 (ko) 스마트 틀니 사용을 위한 정보식별체 매립방법 및 그 정보식별 시스템
JP6574003B2 (ja) 情報格納装置
GB2496637A (en) Identifying a person using a transducer embedded in a tooth fi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