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263A -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263A
KR20240002263A KR1020220078952A KR20220078952A KR20240002263A KR 20240002263 A KR20240002263 A KR 20240002263A KR 1020220078952 A KR1020220078952 A KR 1020220078952A KR 20220078952 A KR20220078952 A KR 20220078952A KR 20240002263 A KR20240002263 A KR 20240002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s
denture
dental
app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훈섭
Original Assignee
(주)덴티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티로드 filed Critical (주)덴티로드
Priority to KR1020220078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263A/ko
Publication of KR20240002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36Cleaning devices for dental prostheses removed from the or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61C3/025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e.g. for cleaning, polishing or cut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틀니와 같은 의치를 사용하고 있는 요양시설이나 1인가구의 독거노인과 같이 거동의 어려움 혹은 기타 여러상황으로 인해 치과방문이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의치 수리, 치석제거, 변색(착색)복원, 구취제거 등의 덴탈클리닉 서비스를 앱 연동을 통해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의치 사용자의 구강 건강을 개선토록 하기 위해, 스마트 틀니(10, 의치) 사용자의 덴탈클리닉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알레르기 여부를 포함한 치과진료에 필요한 진료동의 서명을 하는 단계(S1); 상기 치과진료에 대한 개인정보 동의 후 치과의사가 사용자에게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한 원격으로 의치사용자의 구강상태 진료 및 의치를 점검하는 단계(S2); 구강스캐너로 의치사용자의 잇몸을 스캔하거나, 혹은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으로 구강상태를 촬영한 다음, 스캔된 이미지를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S3); 상기 의치의 리폼체크리스트를 통해 의치의 살균, 소독, 변색(착색)복원, 치석제거, 구취제거, 광택, 수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치과기공물 의뢰제작서를 입력하는 단계(S4); 상기 의치를 수거 후, 의치케이스에 부착 또는 매립되어 있는 개인식별칩에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정보 입력하고 지역내 치과 또는 치과기공소에 입고배송 시작하는 단계(S5); 상기 수거된 의치를 치과 내에 있는 치과기공실 혹은 외부치과기공소에서 치과기공물 의뢰제작서를 통해 제4과정에서의 리폼체크리스트에 선택된 틀니살균, 소독, 변색(착색)복원, 치석제거, 구취제거, 광택, 수리를 수행하는 단계(S6); 상기 S6단계가 완료된 의치를 치과의사 점검 후 사용자에게 출고배송하는 단계(S7);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Smart denture app or web linked dental clinic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틀니와 같은 의치를 사용하고 있는 요양시설이나 1인가구의 독거노인과 같이 거동의 어려움 혹은 기타 여러상황으로 인해 치과방문이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의치 수리, 치석제거, 변색(착색)복원, 구취제거 등의 덴탈클리닉 서비스를 앱 연동을 통해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의치 사용자의 구강 건강을 개선토록 하는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나 치아주변 조직이 손상된 경우에는 인공적인 보철물을 사용하는 보철치료를 통해 치아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켜주게 된다. 하나 이상의 치아가 부분적으로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치아의 상측을 덮는 크라운을 보철물로써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하나 이상의 치아가 빠져서 결손된 경우에는 주변의 치아를 기둥 삼아 다리를 놓듯이 양쪽 치아와 상실된 부분을 연결한 고정성국소의치, 즉 브릿지를 제작하여 치료하고, 결손된 치아가 많은 경우에는 틀니 또는 부분틀니(이하‘틀니’라 함)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틀니는 현대사회가 고령화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으로써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더욱이 틀니에 대한 정부 지원이 늘어남에 따라 그 사용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틀니를 사용하게 되는 계층은 대부분이 고령자이고, 이러한 고령자들 중에는 치매환자,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이 있으며, 그 환자수는 서서히 증가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위와 같은 틀니를 사용하는 치매환자,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이 있는 일반인들, 특히 고령자들은 주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하기 힘들기 때문에 틀니에 대한 덴탈클리닉을 받기 힘들게 되고, 이에 따라 틀니의 사용수명이 줄어들게 됨으로 인해 사용자의 틀니교체 또는 수리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2249107호 등록특허 제10-232756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틀니와 같은 의치를 사용하고 있는 요양시설이나 1인가구의 독거노인과 같이 거동의 어려움 혹은 기타 여러상황으로 인해 치과방문이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의치 수리, 치석제거, 변색(착색)복원, 구취제거 등의 덴탈클리닉 서비스를 앱 연동을 통해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의치 사용자의 구강 건강을 개선토록 하는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틀니(10, 의치) 사용자의 덴탈클리닉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알레르기 여부를 포함한 치과진료에 필요한 진료동의 서명을 하는 단계(S1); 상기 치과진료에 대한 개인정보 동의 후 치과의사가 사용자에게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한 원격으로 의치사용자의 구강상태 진료 및 의치를 점검하는 단계(S2); 구강스캐너로 의치사용자의 잇몸을 스캔하거나, 혹은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으로 구강상태를 촬영한 다음, 스캔된 이미지를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S3); 상기 의치의 리폼체크리스트를 통해 의치의 살균, 소독, 변색(착색)복원, 치석제거, 구취제거, 광택, 수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치과기공물 의뢰제작서를 입력하는 단계(S4); 상기 의치를 수거 후, 의치케이스에 부착 또는 매립되어 있는 개인식별칩에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정보 입력하고 지역내 치과 또는 치과기공소에 입고배송 시작하는 단계(S5); 상기 수거된 의치를 치과 내에 있는 치과기공실 혹은 외부치과기공소에서 치과기공물 의뢰제작서를 통해 제4과정에서의 리폼체크리스트에 선택된 틀니살균, 소독, 변색(착색)복원, 치석제거, 구취제거, 광택, 수리를 수행하는 단계(S6); 상기 S6단계가 완료된 의치를 치과의사 점검 후 사용자에게 출고배송하는 단계(S7);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의치케이스에 부착 또는 매립되어 있는 개인식별칩은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주파수를 활용하여 실시간 배송위치, 틀니세척 과정, S3단계에서의 틀니세척 전과 S6단계에서의 틀니세척 후의 비교사진을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6단계에서, 상기 의치(10)를 정제수에 세척하는 제1과정과, 상기 세척된 의치(10)를 건조 및 살균, 소독하는 제2과정과, 상기 살균, 소독된 의치(10)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한 후, 상기 의치(10)를 구연산, 과탄화수소, 과산화수소, 초산, 인산 중 어느 하나의 수용액 내에 침전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수용액을 의치(10)의 표면에 분사시켜 의치(10) 표면의 석회질을 부식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석회질을 부식시킨 의치(10)의 표면을 치과용 핸드피스로 연마가공하여 치석을 제거하는 제4과정과,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로 제거된 석회질을 정제수로 침전시켜 의치(10)에 묻어 있는 석회질가루를 제거한 후, 상기 의치(10)의 표면에 묻은 물기를 제거 한 다음, 살균하는 제5과정과, 상기 의치(10)의 잇몸 부분에 UV자외선을 조사하여 잇몸 부분에 오염된 물질색소를 제거하는 제6과정과, 상기 의치(10)의 잇몸 부분과 동일한 색상을 갖는 액상천연색소가 충진된 의치케이스(20) 내에 의치(10)를 넣어 변색된 잇몸 부분의 색상을 복원하는 제7과정과, 상기 색상 복원된 의치(10)의 표면을 퍼미스(pumice)로 광택 및 연마한 후, 상기 의치(10)를 최종 살균 및 소독하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 상기 의치(10)의 구취제거를 위해 멘톨, 계피알데히드, 비닐린 중 어느 하나의 천연착향료를 의치(10)의 표면에 코팅한 후 치과용 밀봉랩에 의치(10)를 넣어 의치케이스(20)에 담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7과정에서 액상천연색소는 코치닐 추출색소에 수산화알루미늄을 처리한 카민, 고추기름, 코치닐, 락색소, 홍국, 비트레드, 백년초가루, 딸기가루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7과정에서 복원된 색의 선명도와 안정화를 위해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황산제일철, 히드록시톨루엔, 에리솔빈산, L-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부틸히드록시아니졸 중 어느 하나를 붓을 사용하여 도포한 후, 자외선램프에 10∼30분 조사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8과정 이후, 상기 의치(10)의 표면에 민트액을 도포하고, 상기 의치케이스(20)의 내면부에 끼움홈(21)을 갖는 안착브라켓(22)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브라켓(22) 내에 방수포로 도포된 민트 성분의 방향패드(30)가 교체 가능하도록 삽입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과정에서 구연산, 과탄화수소, 과산화수소, 초산, 인산 중 어느 하나의 수용액 내에 침전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수용액을 의치(10)의 표면에 분사시켜 의치(10) 표면의 석회질을 1차 부식시킨 다음,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분말화 된 구연산, 주석산, 초산, 빙초산, 푸말산, 사과산 및 인산을 100∼200중량부를 혼합 희석한 혼합액에 의치(10)를 10∼60분 동안 담궈서 2차 부식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틀니와 같은 의치를 사용하고 있는 요양시설이나 1인가구의 독거노인과 같이 거동의 어려움 혹은 기타 여러상황으로 인해 치과방문이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의치 수리, 치석제거, 변색(착색)복원, 구취제거 등의 덴탈클리닉 서비스를 앱 연동을 통해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의치 사용자의 구강 건강을 개선토록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치케이스의 단면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연동 간략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연동 구체적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틀니와 같은 의치를 사용하고 있는 요양시설이나 1인가구의 독거노인과 같이 거동의 어려움 혹은 기타 여러상황으로 인해 치과방문이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의치 수리, 치석제거, 변색(착색)복원, 구취제거 등의 덴탈클리닉 서비스를 앱 연동을 통해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의치 사용자의 구강 건강을 개선토록 하는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아래에서 후술되는 S1∼S7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스마트 틀니를 포함한 의치사용자의 덴탈클리닉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이름, 연락처, 알레르기 여부를 포함한 치과진료에 필요한 진료동의 서명을 실시한다.(S1단계)
이때, 상기 진료동의 서명은 의치사용자가 주로 거주하는 가정이나, 주변 관공서 또는 요양시설에 마련된 동의서이거나, 의치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한 앱(app) 또는 웹(web) 상의 동의서를 통해 실시되도록 한다.
상기 치과진료에 대한 개인정보 동의가 완료되면, 치과의사가 사용자에게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한 원격으로 의치사용자의 구강상태 진료 및 의치를 점검한다.(S2단계)
그런 다음, 구강스캐너로 의치사용자의 잇몸을 스캔하거나, 혹은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으로 구강상태를 촬영한 다음, 스캔된 이미지를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전송한다.(S3단계)
한편, 상기 의치의 리폼체크리스트를 통해 의치사용자가 살균, 소독, 변색(착색)복원, 치석제거, 구취제거, 광택, 수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치과기공물 의뢰제작서를 입력하도록 한다.(S4단계)
그런 다음, 상기 의치를 수거 후, 의치케이스에 부착 또는 매립되어 있는 개인식별칩에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정보 입력하고 지역내 치과 또는 치과기공소에 입고배송 시작한다.(S5단계)
이때, 상기 의치의 섞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개별마다 마련된 의치케이스를 사용토록 하며, 또한 상기 의치가 치과 내에 있는 치과기공실 혹은 외부치과기공소에 입고시, 그리고 후술되는 의치의 덴탈클리닉 완료 후 출고시에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의치사용자 및 보호자에게 SMS알림전송토록 한다.
뿐만 아니라, 덴탈클리닉의 상세 공정마다 의치사용자 및 보호자에게 SMS알림전송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의치케이스에 부착 또는 매립되어 있는 개인식별칩은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주파수를 활용하여 실시간 배송위치, 틀니세척 과정, 틀니세척 전/후 비교사진을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틀니세척 전이라 함은 S3단계에서의 틀니세척 전을 뜻하며, 상기 틀니세척 후라 함은 후술되는 S6단계에서의 틀니세척 후를 뜻한다.
그 후, 상기 수거된 의치를 치과 내에 있는 치과기공실 혹은 외부치과기공소에서 치과기공물 의뢰제작서를 통해 제4과정에서의 리폼체크리스트에 선택된 틀니살균, 소독, 변색(착색)복원, 치석제거, 구취제거, 광택, 수리를 실시토록 한다.(S6단계)
상기 S6단계에서 실시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 보면, 상기 의치(10)를 정제수에 세척하는 제1과정과, 상기 세척된 의치(10)를 건조 및 살균, 소독하는 제2과정과, 상기 살균, 소독된 의치(10)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한 후, 상기 의치(10)를 구연산, 과탄화수소, 과산화수소, 초산, 인산 중 어느 하나의 수용액 내에 침전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수용액을 의치(10)의 표면에 분사시켜 의치(10) 표면의 석회질을 부식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석회질을 부식시킨 의치(10)의 표면을 치과용 핸드피스로 연마가공하여 치석을 제거하는 제4과정과,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로 제거된 석회질을 정제수로 침전시켜 의치(10)에 묻어 있는 석회질가루를 제거한 후, 상기 의치(10)의 표면에 묻은 물기를 제거 한 다음, 살균하는 제5과정과, 상기 의치(10)의 잇몸 부분에 UV자외선을 조사하여 잇몸 부분에 오염된 물질색소를 제거하는 제6과정과, 상기 의치(10)의 잇몸 부분과 동일한 색상을 갖는 액상천연색소가 충진된 의치케이스(20) 내에 의치(10)를 넣어 변색된 잇몸 부분의 색상을 복원하는 제7과정과, 상기 색상 복원된 의치(10)의 표면을 퍼미스(pumice)로 광택 및 연마한 후, 상기 의치(10)를 최종 살균 및 소독하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 상기 의치(10)의 구취제거를 위해 멘톨, 계피알데히드, 비닐린 중 어느 하나의 천연착향료를 의치(10)의 표면에 코팅한 후 치과용 밀봉랩에 의치(10)를 넣어 의치케이스(20)에 담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과정에서 사용되는 구연산은 산성을 띠고 있어 의치에 달라붙은 석회질 등을 부식시켜주고, 또한 해독작용과 함께 살균작용이 있어 구취제거에도 효능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과탄화수소 및 과산화수소는 구강 내 소독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의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제3과정에서 구연산, 과탄화수소, 과산화수소, 초산, 인산 중 어느 하나의 수용액 내에 침전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수용액을 의치(10)의 표면에 분사시켜 의치(10) 표면의 석회질을 1차 부식시킨 다음,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분말화 된 구연산, 주석산, 초산, 빙초산, 푸말산, 사과산 및 인산을 100∼200중량부를 혼합 희석한 혼합액에 의치(10)를 10∼60분 동안 담궈서 2차 부식토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7과정에서 액상천연색소는 코치닐 추출색소에 수산화알루미늄을 처리한 카민, 고추기름, 코치닐, 락, 홍국, 비트레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7과정에서 복원된 색의 선명도와 안정화를 위해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황산제일철, 히드록시톨루엔, 에리솔빈산, L-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부틸히드록시아니졸 중 어느 하나를 붓을 사용하여 도포한 후, 자외선램프에 10∼30분 조사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8과정 이후, 상기 의치(10)의 표면에 민트액을 도포하고, 상기 의치케이스(20)의 내면부에 끼움홈(21)을 갖는 안착브라켓(22)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브라켓(22) 내에 방수포로 도포된 민트 성분의 방향패드(30)가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착브라켓(22)은 의치케이스(20)의 천정 하부측에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끼움홈(2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21)의 개방측인 안착브라켓(22)의 개방측 단부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경사형단턱부(23)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21) 내에 삽입된 방향패드(30)가 외측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의치(10)의 표면에 민트액 뿐 아니라 멘톨, 계피알데히드, 비닐린, 시트랄, 낙산부틸, 벤질알코올의 착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지막 단계로서, 상기 S6단계가 완료된 의치를 치과의사 점검 후 사용자에게 출고배송한다.(S7단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은 도 4에서와 같이 앱(app) 또는 웹(web) 서버를 통해 실시되는 것을 간략하게 이해할 수 있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플랫폼 공공영역 밸류 체인구조로서 빨강색 부분을 참고하여 보면 구체적인 연동에 대한 실시를 이해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틀니와 같은 의치를 사용하고 있는 요양시설이나 1인가구의 독거노인과 같이 거동의 어려움 혹은 기타 여러상황으로 인해 치과방문이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의치 수리, 치석제거, 변색(착색)복원, 구취제거 등의 덴탈클리닉 서비스를 앱 연동을 통해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의치 사용자의 구강 건강을 개선토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의치(틀니) 20 : 의치케이스
21 : 끼움홈 30 : 방향패드

Claims (7)

  1.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틀니(10, 의치) 사용자의 덴탈클리닉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이름, 연락처, 알레르기 여부를 포함한 치과진료에 필요한 진료동의 서명을 하는 단계(S1);
    상기 치과진료에 대한 개인정보 동의 후 치과의사가 사용자에게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한 원격으로 의치사용자의 구강상태 진료 및 의치를 점검하는 단계(S2);
    구강스캐너로 의치사용자의 잇몸을 스캔하거나, 혹은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으로 구강상태를 촬영한 다음, 스캔된 이미지를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S3);
    상기 의치의 리폼체크리스트를 통해 의치의 살균, 소독, 변색(착색)복원, 치석제거, 구취제거, 광택, 수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치과기공물 의뢰제작서를 입력하는 단계(S4);
    상기 의치를 수거 후, 의치케이스에 부착 또는 매립되어 있는 개인식별칩에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정보 입력하고 지역내 치과 또는 치과기공소에 입고배송 시작하는 단계(S5);
    상기 수거된 의치를 치과 내에 있는 치과기공실 혹은 외부치과기공소에서 치과기공물 의뢰제작서를 통해 제4과정에서의 리폼체크리스트에 선택된 틀니살균, 소독, 변색(착색)복원, 치석제거, 구취제거, 광택, 수리를 수행하는 단계(S6);
    상기 S6단계가 완료된 의치를 치과의사 점검 후 사용자에게 출고배송하는 단계(S7);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치케이스에 부착 또는 매립되어 있는 개인식별칩은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주파수를 활용하여 실시간 배송위치, 틀니세척 과정, S3단계에서의 틀니세척 전과 S6단계에서의 틀니세척 후의 비교사진을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6단계에서,
    상기 의치(10)를 정제수에 세척하는 제1과정과,
    상기 세척된 의치(10)를 건조 및 살균, 소독하는 제2과정과,
    상기 살균, 소독된 의치(10)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한 후, 상기 의치(10)를 구연산, 과탄화수소, 과산화수소, 초산, 인산 중 어느 하나의 수용액 내에 침전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수용액을 의치(10)의 표면에 분사시켜 의치(10) 표면의 석회질을 부식시키는 제3과정과,
    상기 석회질을 부식시킨 의치(10)의 표면을 치과용 핸드피스로 연마가공하여 치석을 제거하는 제4과정과,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로 제거된 석회질을 정제수로 침전시켜 의치(10)에 묻어 있는 석회질가루를 제거한 후, 상기 의치(10)의 표면에 묻은 물기를 제거 한 다음, 살균하는 제5과정과,
    상기 의치(10)의 잇몸 부분에 UV자외선을 조사하여 잇몸 부분에 오염된 물질색소를 제거하는 제6과정과,
    상기 의치(10)의 잇몸 부분과 동일한 색상을 갖는 액상천연색소가 충진된 의치케이스(20) 내에 의치(10)를 넣어 변색된 잇몸 부분의 색상을 복원하는 제7과정과,
    상기 색상 복원된 의치(10)의 표면을 퍼미스(pumice)로 광택 및 연마한 후, 상기 의치(10)를 최종 살균 및 소독하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 상기 의치(10)의 구취제거를 위해 멘톨, 계피알데히드, 비닐린 중 어느 하나의 천연착향료를 의치(10)의 표면에 코팅한 후 치과용 밀봉랩에 의치(10)를 넣어 의치케이스(20)에 담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과정에서 액상천연색소는 코치닐 추출색소에 수산화알루미늄을 처리한 카민, 고추기름, 코치닐, 락색소, 홍국, 비트레드, 백년초가루, 딸기가루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과정에서 복원된 색의 선명도와 안정화를 위해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황산제일철, 히드록시톨루엔, 에리솔빈산, L-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부틸히드록시아니졸 중 어느 하나를 붓을 사용하여 도포한 후, 자외선램프에 10∼30분 조사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8과정 이후, 상기 의치(10)의 표면에 민트액을 도포하고,
    상기 의치케이스(20)의 내면부에 끼움홈(21)을 갖는 안착브라켓(22)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브라켓(22) 내에 방수포로 도포된 민트 성분의 방향패드(30)가 교체 가능하도록 삽입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에서 구연산, 과탄화수소, 과산화수소, 초산, 인산 중 어느 하나의 수용액 내에 침전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수용액을 의치(10)의 표면에 분사시켜 의치(10) 표면의 석회질을 1차 부식시킨 다음,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분말화 된 구연산, 주석산, 초산, 빙초산, 푸말산, 사과산 및 인산을 100∼200중량부를 혼합 희석한 혼합액에 의치(10)를 10∼60분 동안 담궈서 2차 부식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KR1020220078952A 2022-06-28 2022-06-28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KR20240002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952A KR20240002263A (ko) 2022-06-28 2022-06-28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952A KR20240002263A (ko) 2022-06-28 2022-06-28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263A true KR20240002263A (ko) 2024-01-05

Family

ID=8954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952A KR20240002263A (ko) 2022-06-28 2022-06-28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26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107B1 (ko) 2019-07-22 2021-05-07 (주)덴티로드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KR102327564B1 (ko) 2021-04-16 2021-11-17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 세척기능 및 약물관리기능을 내장한 다기능 자율주행 세척 로봇 및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107B1 (ko) 2019-07-22 2021-05-07 (주)덴티로드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KR102327564B1 (ko) 2021-04-16 2021-11-17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 세척기능 및 약물관리기능을 내장한 다기능 자율주행 세척 로봇 및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aziani et al. Systematic review of quality of reporting, outcome measurements and methods to study efficacy of preventive and therapeutic approaches to peri‐implant diseases
Blackwood et al. Evaluation of pumice, fissure enameloplasty and air abrasion on sealant microleakage
Ullah et al. Oral and dental delivery of fluoride: a review
Lee et al. Effect of dentinal tubule occlusion by dentifrice containing nano‐carbonate apatite
CN106725928A (zh) 一种牙种植体基台及其制备方法
US6825155B2 (en)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and decontamination of dental product
JP3994151B2 (ja) 歯科補綴物洗浄システム
KR10173418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KR20240002263A (ko) 스마트 틀니의 앱 또는 웹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KR101359100B1 (ko)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
Szalewski et al. Oral hygiene in patients using removable dentures
Friberg et al. Soft tissue augmentation in connection to dental implant treatment using a synthetic, porous material–a case series with a 6‐month follow‐up
US20110070560A1 (en) Tooth-whitening method
KR20170006361A (ko)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교육을 위한 치아모형
Calache et al. The role of the oral health therapist in the provision of oral health care to patients across all ages
JP2007289629A (ja) 抗菌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その施用方法ならびにそのコーティングを施した物
JP2014012105A (ja) 殺菌機能を備えたインプラント用キャップ
Figueiredo et al. The use of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in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a nonsurgical complex type II Dens Invaginatus
Mushtaq et al. Assessment of Knowledge and Practices about Denture Hygiene among Complete Denture Wearers in Lahore City.
KR20200022837A (ko) 광촉매제 함유 치약 조성물
Marín-Jaramillo et al.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ri-implant diseases
de Oliveira Costa et al. Recommendations for post-rehabilitation care of maxillofacial prostheses
Kreher et al. How do carious root lesions develop after the end of professional preventive measures?—Preliminary findings of a randomized clinical trial
US20220168595A1 (en) Teeth cleaning and remineralizing toothpastes
CN213158035U (zh) 一种假牙消毒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