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100B1 -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100B1
KR101359100B1 KR1020130145006A KR20130145006A KR101359100B1 KR 101359100 B1 KR101359100 B1 KR 101359100B1 KR 1020130145006 A KR1020130145006 A KR 1020130145006A KR 20130145006 A KR20130145006 A KR 20130145006A KR 101359100 B1 KR101359100 B1 KR 101359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cleaning
medium
disinfection
surfac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김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경 filed Critical 김재경
Priority to KR102013014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8Modification of implant surfaces in order to improve biocompatibility, cell growth, fixation of biomolecules, e.g. plas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외부 표면을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임플란트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은, 임플란트의 매식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의 오염원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을 세정하는 제1 세정단계와, 세정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의 병원균을 소독하는 소독단계와, 상기 소독이 완료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을 세정하는 제2 세정단계와,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에 크린 본을 코팅하는 크린 본 코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독단계는 제1 소독단계와 제2 소독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독단계는 클로로헥시딘 글루콘산염을 사용하고, 상기 제2 소독단계는 차아염소산을 사용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Method for treating the surface of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외부 표면을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임플란트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사용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는 결손된 치아에 금속형 매식체를 골내에 식립하여 고정한 후, 자연치아 형태의 크라운을 결합하여 치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공치아를 일컫는다. 또한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상이며 충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매식체와, 자연치아 형상의 크라운과, 상기 매식체와 크라운을 결합하는 어버트먼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매식체는 골융합이 우수한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제조된다.
치과용 임플란트를 시술은 잇몸을 절개한 후 치조골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매식체를 식립한 다음, 다시 잇몸을 봉합한다. 이후 매식체와 치조골이 완전한 골융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매식체에 어버트먼트를 고정하고, 어버트먼트를 매개로 하여 자연치아 형태의 크라운을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여부는 티타늄 재질의 매식체와 치조골 사이에 완전한 골융합이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매식체의 외부 표면에는 골융합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SLA 등 다양한 표면처리가 수행되고 있다.
저작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성공적 시술 과정도 중요하지만, 시술 후 임플란트의 표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플란트와 관련된 합병증의 원인으로는 보철적 요인, 수술적 요인, 염증성 요인 등이 있으며, 이들 중 염증적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구강내로 노출된 매식체의 표면에는 세균들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이 세균들은 자연치아와 동일하게 치조골에 염증을 유발하여 치과 질환을 일으킨다.
따라서 치과용 임플란트는 시술 전에 야기될 수 있는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는 생화학적 표면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9270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상기 선행기술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형성한 다음, 치과용 임플란트를 열처리하고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결정상으로 전환시킨다. 이후, 티타니아 나노튜브에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표면처리 방법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서의 골아세포 증식력, 세포부착력 및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킨다.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6822호, 표면 친수화 처리된 금속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 임플란트. 상기 선행기술은 기계가공된 금속 임플란트를 블라스팅 처리한 다음, 산부식 처리한다. 이후, 초음파 세척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건조 후, 진공상태에서 질소 또는 질소 혼합 기체의 플라즈마로부터의 기체 이온빔을 가속 조사하여 친수성 질화물 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8044호, 임플란트 표면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표면처리된 임플란트. 상기 선행기술은 임플란트를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에 침적하고, 마그네슘 이온이 결합된 나노 다공성 산화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 따르면, 산화막층에서 방출되는 마그네슘 이온에 의해 생체적합성, 골조직 반응이 우수한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4.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434호, 구강질환 예방을 위한 구강세정방법. 상기 선행기술은 치약 및 불소화합물을 이용한 구강 세척방법을 제공하며, 구강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구강세정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요구를 반영하여 안출한 것으로, 성공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의 매식체와 치조골의 안정적인 골융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은, 임플란트의 매식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의 오염원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을 세정하는 제1 세정단계와, 세정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의 병원균을 소독하는 소독단계와, 상기 소독이 완료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을 세정하는 제2 세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독단계는 제1 소독단계와 제2 소독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독단계는 클로로헥시딘 글루콘산염을 사용하고, 상기 제2 소독단계는 차아염소산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 단계는 임플란트 크린 바를 이용하여 오염원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제1 세정단계는 생리식염수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2 세정단계는 리스테린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1 세정단계와 제2 세정단계에서는 세정액으로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을 세정한 후에, 거즈를 사용하여 남은 세정액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은, 상기 제2 세정단계 이후에,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에 크린 본을 코팅하는 크린 본 코팅단계가 부가된다.
또한, 상기 제1 소독단계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염 3ml를 10초 간격으로 2회 반복하여 임플란트 매식체의 나사부에 골고루 함입하도록 분사하며, 상기 제2 소독단계는 차아염소산 30ppm을 사용하여 15초에 걸쳐 임플란트 매식체의 나사부에 분사한다.
그리고, 상기 세정 및 소독은 5ml 주사기와 23G의 바늘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에 따르면,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오염원 및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임플란트 매식체와 치조골의 골융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식립 후의 임플란트 주변 골조직의 파괴, 임플란트의 동요, 임플란트로 인한 염증 등 제반 증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처리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은 제조후 또는 사용후의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에 적용된다. 여기서, 제조후라는 것은 결손된 치아가 위치한 부분에 새로운 임플란트 매식체를 식립하기 이전 상태를 의미한다.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은 식립전에 공기중 노출시 다양한 오염원과 병원균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은 먼지, 이물질 등 오염원과 각종 병원균을 세정, 멸균 및 소독을 필요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은, 임플란트 표면을 전처리하는 단계(S100), 제1 세정단계(S200), 제1 소독단계(S300), 제2 소독단계(S400), 제2 세정단계(S500) 및 클린 본 코팅단계(S6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2(a)는 전처리 단계를, 도 2(b)는 제1 세정단계를, 도 2(c)는 제1 소독단계를, 도 2(d)는 제2 소독단계를, 도 2(e-1)은 제2 세정단계의 세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e-2)는 제2 세정단계의 거스 처리를, 도 2(f)는 클린 본 코팅단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전처리 단계(S100)는 식립할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원을 제거한다. 임플란트의 매식체는 성공적인 골유착 증진을 위해 그 표면을 처리하고 있다. 예컨대, 표면처리 방법은 RBM, SLA, SLAcitve, HA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표면처리 방법은 거친 면을 갖도록 하여 치조골과 골유착이 쉽게 형성할 수 있으나, 여러 가지 미세한 오염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물리적 기구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임플란트 크린 바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임플란트 크린 바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미세 솔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임플란트의 매식체의 거친 표면을 회전하는 미세 솔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오염원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크린 바를 이용한 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생리식염수의 분무 또는 분사와 동시에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사기를 사용하여 생리식염수 또는 소독액을 분사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분무기구를 사용하여 생리식염수 또는 소독액을 분무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정단계(S200)는 이물질이 제거된 임플란트 매식체를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세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세정단계는 5ml의 생리식염수를 약 10초에 걸처 2회 세정한다. 최초의 생리식염수 세정은 임플란트 매식체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두 번째의 생리식염수 세정은 이전의 생리식염수 세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을 중심으로 세정한다.
세정이 완료되면 소독용 거즈를 이용하여 상기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에 남아있는 생리식염수를 닦아낸다. 도 2(b)에서는 소독용 거즈를 사용한 생리식염수의 제거과정은 생략하였다.
상기 제1 소독단계(S300)는 세정된 임플란트 매식체로부터 병원균을 소독하여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염(Chlorhexidine gluconate, CHX) 3ml를 약 10초 간격으로 2회 반복하여 임플란트 매식체의 나사부에 골고루 함입하도록 분사하고 소독용 거즈를 이용하여 건조시킨다.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염은 항균물질의 구강소독액으로 여러 가지 바이러스 예컨대, HBV(Hepatitis B virus - B형 간염균),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등 다양한 균류와 구강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뿐만 아니라, 그람 양성, 음성의 혐기성, 호기성 균주에 적용가능하며, 항치태작용(antiplaque effect)과 잇몸염증 억제효과가 있다.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염으로 소독한 후, 남아있는 소독액은 소독용 거즈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제거한다.
상기 제2 소독단계(S400)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염으로 소독하여 병원균이 일부 제거된 임플란트 매식체에 차아염소산을 약 15초에 걸쳐 노출시켜 세정 중인 매식체 나사부에 분사하여 세정한다.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은 30ppm 이하의 저농도 차아염소산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차아염소산은 ph5.5 내지 6.5로 10 내지 30ppm의 유효염소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저농도로 차아염소산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않고, 대장균, 포도상구균, 살모넬라, 콜레라, 곰팡이, 칸디다, 세레우스는 물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노로 바이러스의 살균에도 효과적이다.
한편, 도 3(b)는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에 생리식염수를 처리한 후 제1 및 제2 소독을 처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소독 처리 후에는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이 현저하게 깨끗하게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그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과 병원균이 제거되었다는 의미한다.
한편, 강한 소독력을 일시에 처리하여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병원균을 살균할 수 있으나, 병원균이 많은 경우 일시에 그리고 완전히 병원균을 살균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제1 소독단계를 거치면서 병원균의 수를 줄이게 되고, 이어서 제2 소독단계를 거쳐 병원균의 살균 및 멸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세정단계(S500)는 제1 및 제2 소독단계를 거친 상기 임플란트 매식체에 리스테린을 사용하여 세정하고, 세정 후 소독용 거즈를 이용하여 건조 및 제거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리스테린(listerine) 3ml를 약 10초씩 2회 반복하여 분사한다. 리스테린은 유칼립톨, 멘톨, 치몰, 살리실산 메칠을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세정액으로, 식립 후의 치태와 치은염의 예방 및 감소에 효과적이며 치석 생성억제에 효과적이다.
상기 리스테린은 제2 소독단계의 소독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클로르헥시딘을 먼저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독 및 세정이 완료된 임플란트 매식체에는 식립 후 성공적인 골유착이 이루져야 한다.
상기 클린 본 코팅단계(S600)은 안정적인 골유착을 위하여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에 임플란트 클린 본 0.5g을 매식체 주변에 코팅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매식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에는 골유착을 위한 RBM, SLA, SLAcitve, HA 등 표면 처리가 형성된다. 따라서 임플란트 매식체의 나사부는 치조골 조직과 유사한 형태를 갖으므로 치조골과 골유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골유착의 더욱 신속히 그리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클린 본을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에 코팅한다. 상기 코팅 방법과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 두께는 0.01 내지 0.2mm 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소독 단계와 제1 및 제2 세정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분사나 세정은 5ml 주사기와 23G(gauge)의 바늘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분사나 세정에 따른 시간과 분사량은 상기 주사기 및 바늘의 크기에 기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임플란트 매식체에 표면 처리를 형성하면 매식체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오염원 및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임플란트 매식체와 치조골의 골융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식립 후의 임플란트 주변 골조직의 파괴, 임플란트의 동요, 임플란트로 인한 염증 등 제반 증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으로 임플란트 표면을 처리 한 후, 표면 처리된 임플란트를 밀봉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된 임플란트 매식체에 오염물 및 병원균의 존재여부를 비교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처리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와 비교예는 첨부된 도 3을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3(a)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의 전처리 단계로부터 제2 세정 단계까지 표면처리한 것이고, 도 3(a)의 비교예는 치과에서 행하여 지는 생리식염수에 의한 세정과 클로르헥사딘에 의한 소독으로 표면처리한 것이다.
도면를 참조하면, 실시예로는 병원균의 개수가 거의 나타나지 않은 반면, 비교예의 경우 상당히 많은 오염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원의 효과적인 제거와 관련이 있으며, 제거된 오염원 및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에 존재하는 병원균을 완전히 제거되고, 이후 임플란트의 성공적인 식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말해준다.
한편,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에 오염원과 병원균을 제거한 후,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임플란트 표면 처리단계인 상기 전처리 단계에서부터 제2 세정단계를 거친 후 상기 클린 본 코팅단계를 형성하고, 상기 표면 처리된 임플란트를 식립한 다음 10개월 경과된 후에 치조골과의 골융합 정도를 살펴보았다.
비교예의 경우, 시술기간이 6~7개월이고, 실시예의 경우 4~5개월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표면 처리방법으로부터 임플란트의 매식체와 치조골과의 골융합이 이루어지는 시간이 휠씬 짧아지고, 상기 임플란트 매식체에 크라운을 결합하는 기간도 단축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6)

  1. 임플란트의 매식체를 표면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의 오염원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을 세정하는 제1 세정단계;
    세정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의 병원균을 소독하는 소독단계; 및
    상기 소독이 완료된 임플란트 매식체 표면을 세정하는 제2 세정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독단계는 제1 소독단계와 제2 소독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소독단계는 클로로헥시딘 글루콘산염을 사용하고, 상기 제2 소독단계는 차아염소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임플란트 크린 바를 이용하여 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정단계는 생리식염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정단계는 리스테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정단계와 제2 세정단계에서는 세정액으로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을 세정한 후에, 거즈를 사용하여 남은 세정액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정단계 이후에,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에 크린 본을 코팅하는 크린 본 코팅단계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매식체의 표면처리 방법.

KR1020130145006A 2013-11-27 2013-11-27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 KR101359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006A KR101359100B1 (ko) 2013-11-27 2013-11-27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006A KR101359100B1 (ko) 2013-11-27 2013-11-27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100B1 true KR101359100B1 (ko) 2014-02-05

Family

ID=5027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006A KR101359100B1 (ko) 2013-11-27 2013-11-27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1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100A (ko) 2015-03-25 2016-10-07 주식회사 에이프로 임플란트 픽스츄어 코팅방법
JP2017169821A (ja) * 2016-03-23 2017-09-28 京セラ株式会社 歯科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の調整方法
KR101889973B1 (ko) * 2017-11-24 2018-08-20 최종훈 픽스처 친수성 가공장치
KR102178123B1 (ko) 2020-02-20 2020-11-12 (주)한국치과임플란트연구소(Kdi) 나노 표면 처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4000A (ja) * 1989-12-29 1991-09-05 Sankin Kogyo Kk トレーの変色防止作用および抗菌作用に優れた歯科用トレーの洗浄・消毒用組成物
JPH1087462A (ja) * 1996-07-22 1998-04-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口腔洗浄水
KR20070029912A (ko) * 2005-09-12 2007-03-15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치아회분말을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스퍼터링 타겟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개질방법
KR20100017882A (ko) * 2007-05-22 2010-02-16 라이프코어 바이오메디칼 엘엘씨 히알루론산 용액을 이용한 임플란트의 코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4000A (ja) * 1989-12-29 1991-09-05 Sankin Kogyo Kk トレーの変色防止作用および抗菌作用に優れた歯科用トレーの洗浄・消毒用組成物
JPH1087462A (ja) * 1996-07-22 1998-04-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口腔洗浄水
KR20070029912A (ko) * 2005-09-12 2007-03-15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치아회분말을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스퍼터링 타겟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개질방법
KR20100017882A (ko) * 2007-05-22 2010-02-16 라이프코어 바이오메디칼 엘엘씨 히알루론산 용액을 이용한 임플란트의 코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100A (ko) 2015-03-25 2016-10-07 주식회사 에이프로 임플란트 픽스츄어 코팅방법
JP2017169821A (ja) * 2016-03-23 2017-09-28 京セラ株式会社 歯科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の調整方法
KR101889973B1 (ko) * 2017-11-24 2018-08-20 최종훈 픽스처 친수성 가공장치
KR102178123B1 (ko) 2020-02-20 2020-11-12 (주)한국치과임플란트연구소(Kdi) 나노 표면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bramani et al. Decontamination of titanium implant surface and re-osseointegration to treat peri-implantitis: a literature review.
Schwarz et al. Surgical therapy of peri‐implantitis
Valderrama et al. Detoxification of implant surfaces affected by peri‐implant disease: an overview of surgical methods
Figuero et al. Management of peri‐implant mucositis and peri‐implantitis
Renvert et al. Clinical approaches to treat peri‐implant mucositis and peri‐implantitis
Mouhyi et al. The peri‐implantitis: Implant surfaces, micro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aspects
Meyle Mechanical, chemical and laser treatments of the implant surface in the presence of marginal bone loss around implants.
Gonçalves et al. Effectiveness of 980-mm diode and 1064-nm extra-long-pulse neodymium-doped yttrium aluminum garnet lasers in implant disinfection
JP5883943B2 (ja) 生分解性ブラシ
KR101359100B1 (ko)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
Tuncay et al. Effects of ozone and photo‑activated disinfection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biofilms in vitro
Cordeiro et al. Optimizing citric acid protocol to control implant‐related infections: An in vitro and in situ study
Al-Hashedi et al.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contaminated titanium surfaces in vitro: An approach for implant surface decontamination
Scarano et al. Surface analysis of failed oral titanium implants after irradiated with ErCr: ysgg 2780 laser
JP4177532B2 (ja) プラークコントロール用ハミガキ剤及び歯ブラシ
JP5321020B2 (ja) 口腔用器具及び該口腔用器具の洗浄方法
Watamoto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chlorine dioxide for disinfection of dental instruments.
Roncati et al. Nonsurgical periodontal management of iatrogenic peri-implantitis: A clinical report
JP2005516032A5 (ko)
KR20160116100A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코팅방법
JP2014012105A (ja) 殺菌機能を備えたインプラント用キャップ
JP2021178864A (ja) 体内部分および/またはインプラントを洗浄するための粉末、前記粉末の製造方法および適切な使用
Rakašević et al. The effect of implant surface design and their decontamination methods in peri-implantitis treatment
JPH0531157A (ja) 殺菌機能性歯科用口腔内用機材
Abdulsamee Expanded Tentacles of Cold Plasma Energy in Dentistry–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