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626A -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626A
KR20240039626A KR1020220117644A KR20220117644A KR20240039626A KR 20240039626 A KR20240039626 A KR 20240039626A KR 1020220117644 A KR1020220117644 A KR 1020220117644A KR 20220117644 A KR20220117644 A KR 20220117644A KR 20240039626 A KR20240039626 A KR 20240039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management
case
strainer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훈섭
Original Assignee
(주)덴티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티로드 filed Critical (주)덴티로드
Priority to KR102022011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626A/ko
Publication of KR2024003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틀니가 내재된 틀니케이스를 세척기에 투입하여 틀니를 세척함에 있어 틀니케이스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을 매립하여 분실 및 혼돈의 우려가 없도록 하고, 틀니를 포함한 틀니케이스 사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휴대폰 GPS를 통한 지역내 노인 요양시설 및 치과병원 검색, 틀니세척 등의 구강기록관리, 식단관리, 재활관리, 복약지도관리, 두뇌활동관리,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그 앱을 통해서 웹서버에 저장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틀니케이스(10); 상기 틀니케이스(10)는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태로 몸체(1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몸체(11)의 일측면에 상단테두리에서부터 수직하는 하단테두리까지 연결되는 수직평면부(17)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평면부(17)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50)이 부착되며, 상기 틀니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거름망체(30); 상기 거름망체(30)는 뚜껑(35)을 갖는 원통형태로 몸체(3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몸체(11) 상에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에 평행 대응되는 수직평면부(37)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35)의 상부면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50)이 부착되며, 상기 몸체(31)의 측벽부 및 바닥부에 다수의 통수공(3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1)의 상단테두리의 일측에서 연결띠(39)를 통해 뚜껑(35)과 연결상태를 유지토록 하며, 상기 틀니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거름망체(30)의 수용상태에서 상기 거름망체(30)의 바닥부와 틀니케이스(10)의 바닥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거리가 형성되며, 상기 틀니케이스(10) 및 거름망체(30) 상에 부착된 개인정보식별칩(50)을 인식하기 위한 리더부(61); 상기 리더부(61)에 연동되어 틀니케이스(10)에 수용된 틀니 사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휴대폰 GPS를 통한 지역내 노인 요양시설 및 치과병원 검색, 틀니세척 등의 구강기록관리, 세척틀니 배송조회관리, 식단관리, 재활관리, 복약지도관리, 알러지반응관리, 두뇌활동관리,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가 포함된 사용자 관리정보를 연동 제공하는 웹서버부(65); 상기 웹서버부(65)를 통해 수신받은 사용자 관리정보를 전달 받는 사용자 단말부(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Smart denture case app and web server interlocking dental clinic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틀니가 내재된 틀니케이스를 세척기에 투입하여 틀니를 세척함에 있어 틀니케이스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을 매립하여 분실 및 혼돈의 우려가 없도록 하고, 틀니를 포함한 틀니케이스 사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휴대폰 GPS를 통한 지역내 노인 요양시설 및 치과병원 검색, 틀니세척 등의 구강기록관리, 식단관리, 재활관리, 복약지도관리, 두뇌활동관리,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그 앱을 통해서 웹서버에 저장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나 치아주변 조직이 손상된 경우에는 인공적인 보철물을 사용하는 보철치료를 통해 치아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켜주게 된다. 하나 이상의 치아가 부분적으로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치아의 상측을 덮는 크라운을 보철물로써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하나 이상의 치아가 빠져서 결손된 경우에는 주변의 치아를 기둥 삼아 다리를 놓듯이 양쪽 치아와 상실된 부분을 연결한 고정성국소의치, 즉 브릿지를 제작하여 치료하고, 결손된 치아가 많은 경우에는 틀니 또는 부분틀니(이하‘틀니’라 함)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틀니는 현대사회가 고령화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으로써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더욱이 틀니에 대한 정부 지원이 늘어남에 따라 그 사용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틀니를 사용하게 되는 계층은 대부분이 고령자이고, 이러한 고령자들 중에는 치매환자,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이 있으며, 그 환자수는 서서히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위와 같은 틀니를 사용하는 치매환자,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이 있는 일반인들, 특히 고령자들은 본인 스스로가 틀니구강관리, 식단관리, 건강관리 등을 수행할 수 없는 현실이며, 그 고령자들 마다 관리자가 따라 다니면서 관리를 하게 되면 인력소모가 클 뿐 아니라, 고령자들 본인들을 만족시키기 힘들고, 더욱이 치매환자인 경우에는 본인 신분확인도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틀니구강관리, 식단관리, 건강관리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틀니는 주기적으로의 세척을 필요로 하는데, 세척기를 통한 틀니의 세척을 위해서는 통수 가능한 틀니케이스가 필요하다. 이때, 세척기 내에 다수의 틀니케이스를 동시에 투입하여 세척하는 경우 각 사용자의 틀니케이스(틀니 내재)를 혼돈하여 잘못 가져가거나, 이에 따른 분실의 우려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틀니케이스의 분실 및 혼돈의 우려가 없을 뿐 아니라, 앱 및 웹서버를 통해 지역내 노인 요양시설 및 치과병원 검색, 틀니세척 등의 구강기록관리, 식단관리, 재활관리, 복약지도관리, 두뇌활동관리,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제10-2249107호 등록특허 제10-232756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틀니가 내재된 틀니케이스를 세척기에 투입하여 틀니를 세척함에 있어 틀니케이스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을 매립하여 분실 및 혼돈의 우려가 없도록 하고, 틀니를 포함한 틀니케이스 사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휴대폰 GPS를 통한 지역내 노인 요양시설 및 치과병원 검색, 틀니세척 등의 구강기록관리, 식단관리, 재활관리, 복약지도관리, 두뇌활동관리,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그 앱을 통해서 웹서버에 저장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틀니케이스(10); 상기 틀니케이스(10)는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태로 몸체(1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몸체(11)의 일측면에 상단테두리에서부터 수직하는 하단테두리까지 연결되는 수직평면부(17)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평면부(17)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50)이 부착되며, 상기 틀니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거름망체(30); 상기 거름망체(30)는 뚜껑(35)을 갖는 원통형태로 몸체(3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몸체(11) 상에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에 평행 대응되는 수직평면부(37)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35)의 상부면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50)이 부착되며, 상기 몸체(31)의 측벽부 및 바닥부에 다수의 통수공(3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1)의 상단테두리의 일측에서 연결띠(39)를 통해 뚜껑(35)과 연결상태를 유지토록 하며, 상기 틀니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거름망체(30)의 수용상태에서 상기 거름망체(30)의 바닥부와 틀니케이스(10)의 바닥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거리가 형성되며, 상기 틀니케이스(10) 및 거름망체(30) 상에 부착된 개인정보식별칩(50)을 인식하기 위한 리더부(61); 상기 리더부(61)에 연동되어 틀니케이스(10)에 수용된 틀니 사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휴대폰 GPS를 통한 지역내 노인 요양시설 및 치과병원 검색, 틀니세척 등의 구강기록관리, 세척틀니 배송조회관리, 식단관리, 재활관리, 복약지도관리, 알러지반응관리, 두뇌활동관리,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가 포함된 사용자 관리정보를 연동 제공하는 웹서버부(65); 상기 웹서버부(65)를 통해 수신받은 사용자 관리정보를 전달 받는 사용자 단말부(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개인정보식별칩(50)은 1.0∼3.0㎜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및 거름망체(30)의 뚜껑(35) 상에 삽입홈(19,3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삽입홈(19,36)에 개인정보식별칩(50)이 수용되어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및 거름망체(30)의 뚜껑(35) 표면과 개인정보식별칩(50)의 표면이 수평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정보식별칩(50)은 1.0∼3.0㎜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및 거름망체(30)의 뚜껑(35) 상에 삽입홈(19,3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삽입홈(19,36)에 개인정보식별칩(50)이 수용되어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및 거름망체(30)의 뚜껑(35) 표면 보다 개인정보식별칩(50)의 표면이 0.5∼1.0㎜ 낮게 형성되게 한 후, 상기 0.5∼1.0㎜의 공간에 투명 에폭시를 코팅하여 상기 에폭시의 외면이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및 거름망체(30)의 뚜껑(35) 표면과 수평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틀니케이스(10)의 상단에는 단턱진 형태로 상단테두리부(1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직평면부(17)의 상단에는 상기 상단테두리부(13)가 일부 절개된 끼움홈부(14)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14)에 거름망체(30)의 연결띠(39)가 안착지지되면서 틀니케이스(10) 내부공간에 거름망체(30)가 삽입지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름망체(30)의 상단테두리 전방측에는 끼움돌부(33)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체(30)의 뚜껑(35)의 테두리 내측부에는 상기 끼움돌부(33)가 삽입지지되도록 대응위치에 지지돌부(36) 및 상기 지지돌부(36)와 뚜껑(35)의 테두리 내측면 사이에 삽입공간부(36a)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부(36a)에 끼움돌부(33)가 삽입되면서 지지돌부(36)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틀니케이스(10) 몸체(11)의 하부측 내주연 상에는 걸림돌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체(30)의 바닥부(34) 하단측 상에는 상기 걸림돌부(11a)가 안착지지되는 안착홈부(34a)가 형성되어 상호간 안착안정성을 높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틀니케이스(10)의 뚜껑(15) 상에 회전체(20)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체(20)의 중간부와 테두리부 사이에는 제1입수공(2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20)의 테두리부에는 제1배수공(25)이 개방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20)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거름망체(30)의 뚜껑(15) 상에 상기 제1입수공(21)의 회전반경선상에 제1입수공(21)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제2입수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배수공(25)의 회전반경선상에 제1배수공(25)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제2배수공(2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20)를 회전시켜 제1입수공(21) 및 제2입수공(22)의 일치된 상태에서 제1입수공(21) 및 제2입수공(22)을 통해 틀니케이스(10) 내에 세척수를 투입하고, 상기 회전체(20)를 회전시켜 제1배수공(25) 및 제2배수공(26)의 일치된 상태에서 제1배수공(25) 및 제2배수공(26)을 통해 틀니케이스(10) 내에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 신원정보는 이름, 주소, 보호자 전화번호, 혈액형, 현재 병력, 신체특징, 몸무게, 혈압을 포함하고, 상기 틀니세척의 구강기록관리는 연도 및 날짜별 틀니세척확인, 틀니제작일자, 틀니제작병원, 치석제거를 포함한 틀니케어일자, 틀니수리이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틀니 배송조회관리는 요양병원을 포함한 다수 관리시설에서 몸이 불편한 고령자를 포함한 사용자의 틀니를 케어샵에서 일괄 수거한 후, 상기 수거된 틀니를 세척샵으로 일괄 이동시켜 세척완료 한 다음, 상기 세척완료된 틀니를 각 케어샵으로 배송하는 틀니배송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 세척 요청된 사용자의 틀니의 현재 배송위치를 확인토록 함과 아울러, 틀니의 세척 전 및 세척 후의 실사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식단관리는 아침, 점심 및 저녁 식단 칼로리량을 계산토록 함을 포함하며, 상기 재활관리는 재활운동 상태 및 물리치료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약지도관리는 아침, 점심 및 저녁 복용약을 관리하며, 새로운 복약 알림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알러지반응관리는 알러지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두뇌활동관리는 인지적 사고를 높이기 위한 읽고 말하기, 문장쓰기, 단어를 통한 문장 형성하기, 그림을 통한 상황에 대한 문장 형성하기, 그림 및 단어 암기하고 내용 입력하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반복 게임을 포함하는 두뇌학습프로그램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는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바벨운동을 통한 칼로리, 혈당, 혈압체크를 포함하며, 상기 칼로리, 혈당, 혈압체크를 복합적으로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운동을 추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틀니가 내재된 틀니케이스를 세척기에 투입하여 틀니를 세척함에 있어 틀니케이스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을 매립하여 분실 및 혼돈의 우려가 없도록 하고, 틀니를 포함한 틀니케이스 사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휴대폰 GPS를 통한 지역내 노인 요양시설 및 치과병원 검색, 틀니세척 등의 구강기록관리, 식단관리, 재활관리, 복약지도관리, 두뇌활동관리,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그 앱을 통해서 웹서버에 저장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거름망체 실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 실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거름망체의 상부측에서 바라 본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거름망체의 뚜껑 상에 NFC칩을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실시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틀니케이스 및 거름망체의 결합상태 실시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변형 실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의 앱 및 웹서버 연동 구성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틀니가 내재된 틀니케이스를 세척기에 투입하여 틀니를 세척함에 있어 틀니케이스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을 매립하여 분실 및 혼돈의 우려가 없도록 하고, 틀니를 포함한 틀니케이스 사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휴대폰 GPS를 통한 지역내 노인 요양시설 및 치과병원 검색, 틀니세척 등의 구강기록관리, 식단관리, 재활관리, 복약지도관리, 두뇌활동관리,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그 앱을 통해서 웹서버에 저장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틀니케이스(10), 거름망체(30), 리더부(61), 웹서버부(65) 및 사용자 단말부(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먼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틀니케이스(10)가 구비된다.
상기 틀니케이스(10)는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태로 몸체(1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몸체(11)의 일측면에 상단테두리에서부터 수직하는 하단테두리까지 연결되는 수직평면부(17)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직평면부(17)를 형성하는 것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평면부(17)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50)을 부착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개인정보식별칩(50)은 틀니가 내재된 틀니케이스(10)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개인정보식별칩(50)에는 사용자 개인의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어, 그 고유번호에 해당되는 사용자 이름, 혈액형 등의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개인정보식별칩(50)은 1.0∼3.0㎜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상에 삽입홈(19)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9) 내에 개인정보식별칩(50)이 수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때, 상기 개인정보식별칩(50)을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표면과 개인정보식별칩(50)의 표면이 수평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삽입홈(19) 내에 개인정보식별칩(50)이 안착상태로 부착된 후, 그 상부에 에폭시 등을 더 적층코팅하여 일체화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의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삽입홈(19) 내에 개인정보식별칩(50)이 수용되어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보다 개인정보식별칩(50)의 표면이 0.5∼1.0㎜ 낮게 형성되게 한 후, 상기 0.5∼1.0㎜의 공간에 투명 에폭시를 코팅하여 상기 에폭시의 외면이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표면과 수평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에폭시에 의한 개인정보식별칩(50)의 이탈을 확고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거름망체(30)가 구비된다.
상기 거름망체(30)는 뚜껑(35)을 갖는 원통형태로 몸체(3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몸체(11) 상에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에 평행 대응되는 수직평면부(37)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35)의 상부면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50)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거름망체(30)의 뚜껑(35) 상에 삽입홈(36)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6) 내에 개인정보식별칩(50)이 수용되어 거름망체(30)의 뚜껑(35) 표면과 개인정보식별칩(50)의 표면이 수평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삽입홈(36) 내에 개인정보식별칩(50)이 안착상태로 부착된 후, 그 상부에 에폭시 등을 더 적층코팅하여 일체화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의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삽입홈(36) 내에 개인정보식별칩(50)이 수용되어 거름망체(30)의 뚜껑(35) 표면 보다 개인정보식별칩(50)의 표면이 0.5∼1.0㎜ 낮게 형성되게 한 후, 상기 0.5∼1.0㎜의 공간에 투명 에폭시를 코팅하여 상기 에폭시의 외면이 거름망체(30)의 뚜껑(35) 표면과 수평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31)의 측벽부 및 바닥부에 다수의 통수공(3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1)의 상단테두리의 일측에서 연결띠(39)를 통해 뚜껑(35)과 연결상태를 유지토록 구성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31) 상에 뚜껑(35)의 결합고정을 위해 상기 거름망체(30)의 상단테두리 전방측에는 끼움돌부(33)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체(30)의 뚜껑(35)의 테두리 내측부에는 상기 끼움돌부(33)가 삽입지지되도록 대응위치에 지지돌부(36) 및 상기 지지돌부(36)와 뚜껑(35)의 테두리 내측면 사이에 삽입공간부(36a)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부(36a)에 끼움돌부(33)가 삽입되면서 지지돌부(36)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끼움돌부(33) 및 지지돌부(36)는 자력(磁力)에 의해 마찰지지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식별칩(50)의 부착구성은 틀니케이스(10) 및 거름망체(30) 상에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틀니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거름망체(30)의 수용상태에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거름망체(30)의 바닥부와 틀니케이스(10)의 바닥부 사이에 이격거리가 형성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거름망체(30)의 내부로 역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틀니케이스(10) 내에 거름망체(30)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케이스(10)의 상단에는 단턱진 형태로 상단테두리부(1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직평면부(17)의 상단에는 상기 상단테두리부(13)가 일부 절개된 끼움홈부(14)가 형성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끼움홈부(14)에 거름망체(30)의 연결띠(39)가 안착지지되면서 틀니케이스(10) 내부공간에 거름망체(30)가 삽입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일체가 되도록 구성한다.
이의 변형 실시예로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케이스(10) 몸체(11)의 하부측 내주연 상에는 걸림돌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체(30)의 바닥부(34) 하단측 상에는 상기 걸림돌부(11a)가 안착지지되는 안착홈부(34a)가 형성되어 상호간 안착안정성을 높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호간에 자력(磁力)으로 마찰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부(34a)는 거름망체(30)의 바닥부(34) 상에 다수개 또는 테두리상에 빙둘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돌부(11a)는 안착홈부(34a)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케이스(10)의 뚜껑(15) 상에 회전체(20)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체(20)의 중간부와 테두리부 사이에는 제1입수공(2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20)의 테두리부에는 제1배수공(25)이 개방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20)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거름망체(30)의 뚜껑(15) 상에 상기 제1입수공(21)의 회전반경선상에 제1입수공(21)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제2입수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배수공(25)의 회전반경선상에 제1배수공(25)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제2배수공(26)이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 상에서 상기 회전체(20)를 회전시켜 제1입수공(21) 및 제2입수공(22)의 일치된 상태에서 제1입수공(21) 및 제2입수공(22)을 통해 틀니케이스(10) 내에 세척수를 투입하고, 상기 회전체(20)를 회전시켜 제1배수공(25) 및 제2배수공(26)의 일치된 상태에서 제1배수공(25) 및 제2배수공(26)을 통해 틀니케이스(10) 내에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입수공(21) 및 제2입수공(22)이 일치 위치되었을때, 상기 제1배수공(25) 및 제2배수공(26)은 비일치상태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을 용이토록 하기 위해 회전체(20)의 상부면 상에 돌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돌부를 밀거나 잡아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케이스(10) 및 거름망체(30) 상에 부착된 개인정보식별칩(50)을 인식하기 위한 키오스크 등과 같은 리더부(61)가 구비되고, 상기 리더부(61)에 연동되어 틀니케이스(10)에 수용된 틀니 사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휴대폰 GPS를 통한 지역내 노인 요양시설 및 치과병원 검색, 틀니세척 등의 구강기록관리, 세척틀니 배송조회관리, 식단관리, 재활관리, 복약지도관리, 알러지반응관리, 두뇌활동관리,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가 포함된 사용자 관리정보를 연동 제공하는 웹서버부(6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웹서버부(65)를 통해 수신받은 사용자 관리정보를 전달 받는 사용자 단말부(71)가 구비되고, 상기 웹서버부(65)에서 수신받은 사용자 관리정보를 사용자의 동의 요청에 의해 동의 받은 보호자에게 전달 받는 보호자 단말부(75)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인 신원정보는 이름, 주소, 보호자 전화번호, 혈액형, 현재 병력, 신체특징, 몸무게, 혈압을 포함하고, 상기 틀니세척의 구강기록관리는 연도 및 날짜별 틀니세척확인, 틀니제작일자, 틀니제작병원, 치석제거를 포함한 틀니케어일자, 틀니수리이력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틀니 배송조회관리는 요양병원을 포함한 다수 관리시설에서 몸이 불편한 고령자를 포함한 사용자의 틀니를 케어샵에서 일괄 수거한 후, 상기 수거된 틀니를 세척샵으로 일괄 이동시켜 세척완료 한 다음, 상기 세척완료된 틀니를 각 케어샵으로 배송하는 틀니배송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 세척 요청된 사용자의 틀니의 현재 배송위치를 확인토록 함과 아울러, 틀니의 세척 전 및 세척 후의 실사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식단관리는 아침, 점심 및 저녁 식단 칼로리량을 계산토록 함을 포함하며, 상기 재활관리는 재활운동 상태 및 물리치료 상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약지도관리는 아침, 점심 및 저녁 복용약을 관리하며, 새로운 복약 알림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알러지반응관리는 알러지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두뇌활동관리는 인지적 사고를 높이기 위한 읽고 말하기, 문장쓰기, 단어를 통한 문장 형성하기, 그림을 통한 상황에 대한 문장 형성하기, 그림 및 단어 암기하고 내용 입력하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반복 게임을 포함하는 두뇌학습프로그램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는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바벨운동을 통한 칼로리, 혈당, 혈압체크를 포함하며, 상기 칼로리, 혈당, 혈압체크를 복합적으로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운동을 추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틀니가 내재된 틀니케이스를 세척기에 투입하여 틀니를 세척함에 있어 틀니케이스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을 매립하여 분실 및 혼돈의 우려가 없도록 하고, 틀니를 포함한 틀니케이스 사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휴대폰 GPS를 통한 지역내 노인 요양시설 및 치과병원 검색, 틀니세척 등의 구강기록관리, 식단관리, 재활관리, 복약지도관리, 두뇌활동관리,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그 앱을 통해서 웹서버에 저장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틀니케이스 11,31 : 몸체
15,35 : 뚜껑 17,37 : 수직평면부
19 : 연결부 30 : 거름망체
50 : 개인정보식별칩 61 : 리더부
65 : 웹서버부 71 : 사용자 단말부

Claims (10)

  1.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틀니케이스(10); 상기 틀니케이스(10)는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태로 몸체(1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몸체(11)의 일측면에 상단테두리에서부터 수직하는 하단테두리까지 연결되는 수직평면부(17)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평면부(17)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50)이 부착되며,
    상기 틀니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거름망체(30); 상기 거름망체(30)는 뚜껑(35)을 갖는 원통형태로 몸체(31)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몸체(11) 상에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에 평행 대응되는 수직평면부(37)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35)의 상부면 상에 RFID, NFC칩, GPS, 블루투스, 비콘 중 어느 하나로 된 개인정보식별칩(50)이 부착되며, 상기 몸체(31)의 측벽부 및 바닥부에 다수의 통수공(3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1)의 상단테두리의 일측에서 연결띠(39)를 통해 뚜껑(35)과 연결상태를 유지토록 하며,
    상기 틀니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거름망체(30)의 수용상태에서 상기 거름망체(30)의 바닥부와 틀니케이스(10)의 바닥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거리가 형성되며,
    상기 틀니케이스(10) 및 거름망체(30) 상에 부착된 개인정보식별칩(50)을 인식하기 위한 리더부(61);
    상기 리더부(61)에 연동되어 틀니케이스(10)에 수용된 틀니 사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휴대폰 GPS를 통한 지역내 노인 요양시설 및 치과병원 검색, 틀니세척 등의 구강기록관리, 세척틀니 배송조회관리, 식단관리, 재활관리, 복약지도관리, 알러지반응관리, 두뇌활동관리,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가 포함된 사용자 관리정보를 연동 제공하는 웹서버부(65);
    상기 웹서버부(65)를 통해 수신받은 사용자 관리정보를 전달 받는 사용자 단말부(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식별칩(50)은 1.0∼3.0㎜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및 거름망체(30)의 뚜껑(35) 상에 삽입홈(19,3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삽입홈(19,36)에 개인정보식별칩(50)이 수용되어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및 거름망체(30)의 뚜껑(35) 표면과 개인정보식별칩(50)의 표면이 수평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식별칩(50)은 1.0∼3.0㎜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및 거름망체(30)의 뚜껑(35) 상에 삽입홈(19,3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삽입홈(19,36)에 개인정보식별칩(50)이 수용되어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및 거름망체(30)의 뚜껑(35) 표면 보다 개인정보식별칩(50)의 표면이 0.5∼1.0㎜ 낮게 형성되게 한 후, 상기 0.5∼1.0㎜의 공간에 투명 에폭시를 코팅하여 상기 에폭시의 외면이 틀니케이스(10)의 수직평면부(17) 및 거름망체(30)의 뚜껑(35) 표면과 수평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케이스(10)의 상단에는 단턱진 형태로 상단테두리부(1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직평면부(17)의 상단에는 상기 상단테두리부(13)가 일부 절개된 끼움홈부(14)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14)에 거름망체(30)의 연결띠(39)가 안착지지되면서 틀니케이스(10) 내부공간에 거름망체(30)가 삽입지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체(30)의 상단테두리 전방측에는 끼움돌부(33)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체(30)의 뚜껑(35)의 테두리 내측부에는 상기 끼움돌부(33)가 삽입지지되도록 대응위치에 지지돌부(36) 및 상기 지지돌부(36)와 뚜껑(35)의 테두리 내측면 사이에 삽입공간부(36a)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부(36a)에 끼움돌부(33)가 삽입되면서 지지돌부(36)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케이스(10) 몸체(11)의 하부측 내주연 상에는 걸림돌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체(30)의 바닥부(34) 하단측 상에는 상기 걸림돌부(11a)가 안착지지되는 안착홈부(34a)가 형성되어 상호간 안착안정성을 높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케이스(10)의 뚜껑(15) 상에 회전체(20)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체(20)의 중간부와 테두리부 사이에는 제1입수공(2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20)의 테두리부에는 제1배수공(25)이 개방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20)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거름망체(30)의 뚜껑(15) 상에 상기 제1입수공(21)의 회전반경선상에 제1입수공(21)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제2입수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배수공(25)의 회전반경선상에 제1배수공(25)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제2배수공(2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20)를 회전시켜 제1입수공(21) 및 제2입수공(22)의 일치된 상태에서 제1입수공(21) 및 제2입수공(22)을 통해 틀니케이스(10) 내에 세척수를 투입하고, 상기 회전체(20)를 회전시켜 제1배수공(25) 및 제2배수공(26)의 일치된 상태에서 제1배수공(25) 및 제2배수공(26)을 통해 틀니케이스(10) 내에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신원정보는 이름, 주소, 보호자 전화번호, 혈액형, 현재 병력, 신체특징, 몸무게, 혈압을 포함하고,
    상기 틀니세척의 구강기록관리는 연도 및 날짜별 틀니세척확인, 틀니제작일자, 틀니제작병원, 치석제거를 포함한 틀니케어일자, 틀니수리이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틀니 배송조회관리는 요양병원을 포함한 다수 관리시설에서 몸이 불편한 고령자를 포함한 사용자의 틀니를 케어샵에서 일괄 수거한 후, 상기 수거된 틀니를 세척샵으로 일괄 이동시켜 세척완료 한 다음, 상기 세척완료된 틀니를 각 케어샵으로 배송하는 틀니배송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 세척 요청된 사용자의 틀니의 현재 배송위치를 확인토록 함과 아울러, 틀니의 세척 전 및 세척 후의 실사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식단관리는 아침, 점심 및 저녁 식단 칼로리량을 계산토록 함을 포함하며,
    상기 재활관리는 재활운동 상태 및 물리치료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지도관리는 아침, 점심 및 저녁 복용약을 관리하며, 새로운 복약 알림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알러지반응관리는 알러지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두뇌활동관리는 인지적 사고를 높이기 위한 읽고 말하기, 문장쓰기, 단어를 통한 문장 형성하기, 그림을 통한 상황에 대한 문장 형성하기, 그림 및 단어 암기하고 내용 입력하기, 두뇌활성화를 위한 반복 게임을 포함하는 두뇌학습프로그램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포츠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는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바벨운동을 통한 칼로리, 혈당, 혈압체크를 포함하며,
    상기 칼로리, 혈당, 혈압체크를 복합적으로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운동을 추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KR1020220117644A 2022-09-19 2022-09-19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KR20240039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644A KR20240039626A (ko) 2022-09-19 2022-09-19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644A KR20240039626A (ko) 2022-09-19 2022-09-19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626A true KR20240039626A (ko) 2024-03-27

Family

ID=9048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644A KR20240039626A (ko) 2022-09-19 2022-09-19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62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107B1 (ko) 2019-07-22 2021-05-07 (주)덴티로드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KR102327564B1 (ko) 2021-04-16 2021-11-17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 세척기능 및 약물관리기능을 내장한 다기능 자율주행 세척 로봇 및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107B1 (ko) 2019-07-22 2021-05-07 (주)덴티로드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KR102327564B1 (ko) 2021-04-16 2021-11-17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 세척기능 및 약물관리기능을 내장한 다기능 자율주행 세척 로봇 및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od Morris A spiritual well-being model: Use with older women who experience depression
Hayes et al. The scientist practitioner: Research and accountability in the age of managed care
Denning et al. Patients, pacemakers, and implantable defibrillators: Human values and security for wireless implantable medical devices
Nakrem et al. Residents’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factors in nursing home care: a qualitative study
CN110504010A (zh) 智能诊疗管理方法、系统及应用其的智能诊所
McReynolds Diagnosis and clinical assessment: Current status and major issues
KR20240039626A (ko) 스마트 틀니케이스의 앱 및 웹서버 연동 덴탈클리닉 서비스 시스템
Odom-White et al. Misidentification syndromes in schizophrenia: case reviews with implications for classification and prevalence
KR102660368B1 (ko) 스마트 틀니 또는 틀니케이스 사용자의 구강관리 및 요양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연동 서비스를 이용한 틀니 케어시스템
KR102503067B1 (ko)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Mong Taking care of our own: when family caregivers do medical work
CN109076311A (zh) 用于提供医疗服务的方法、系统及非暂态计算机可读记录介质
TWM306365U (en) Portable health card microcomputer logic memory device
Peltzer Knowledge and attitudes of primary care nurses and midwives towards health promotion in rural South Africa
Inamdar et al. The current problems regarding health services faced by health care servants in rural Maharashtra: An onfield report
Franklin Visibility is important too: Viewing the larger systemic model
Williams et al. Starting treatment: caring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Educational Series: Best Practice. Serialised Guide. Best practice for the care of patients with tuberculosis. Number 3 in the series]
Kapil et al. Palliative care in India–need of the hour
Gross New generation gap as older addicts seek help
Zurynski Q and A: A/Prof Yvonne Zurynski
Basil Cover story: Healthcare in prisons: Who are we to judge?
Bryant et al. Recovery from Ill Health from an Occupational Perspective
Basil WHO ARE WE TO JUDGE?.
Watts Recipe Book for Medication-Assisted Treatment (MAT) Integration
JP2021015326A (ja) 健康サポート総合施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