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067B1 -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067B1
KR102503067B1 KR1020210078910A KR20210078910A KR102503067B1 KR 102503067 B1 KR102503067 B1 KR 102503067B1 KR 1020210078910 A KR1020210078910 A KR 1020210078910A KR 20210078910 A KR20210078910 A KR 20210078910A KR 102503067 B1 KR102503067 B1 KR 102503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information
tooth
composite resin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9057A (ko
Inventor
한훈섭
노관태
박영대
Original Assignee
(주)덴티로드
한훈섭
노관태
박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티로드, 한훈섭, 노관태, 박영대 filed Critical (주)덴티로드
Priority to KR102021007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0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6Tooth grinding or polishing discs;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2Transmitters
    • G01S1/0423Mounting or deployment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2Material properties using colour effect, e.g. for identifica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5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chip tag or any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 e.g. RF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등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치아 내부에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완성된 틀니(2) 또는 부분틀니를 형성하는 치아(5)를 상부체(5a) 및 하부체(5b)로 분리 제작한 다음,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 대칭되는 안착홈부(6)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양측 안착홈부(6)를 포함한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 복합레진을 바른 후 안착홈부(6) 내에 정보식별체(20)를 투입 후 치아(5)의 표면에서 복합레진을 이용해 복합레진부(30)를 형성하되 치아(5)의 외측으로 돌출부(31)를 형성한 다음, 광중합기(41)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 작용으로 치아(5) 상에서 복합레진부(30)를 경화시켜 고정한 후, 상기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치아(5)의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면서 광택처리 한 다음, 상기 복합레진부(3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60)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Tooth embedding method of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for emergency situation and disappearance prevention of denture wearer and application linkage service method of tooth embedded typ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본 발명은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등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치아 내부에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나 치아주변 조직이 손상된 경우에는 인공적인 보철물을 사용하는 보철치료를 통해 치아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켜주게 된다. 하나 이상의 치아가 부분적으로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치아의 상측을 덮는 크라운을 보철물로써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하나 이상의 치아가 빠져서 결손된 경우에는 주변의 치아를 기둥 삼아 다리를 놓듯이 양쪽 치아와 상실된 부분을 연결한 고정성국소의치, 즉 브릿지를 제작하여 치료하고, 결손된 치아가 많은 경우에는 틀니 또는 부분틀니(이하 ‘틀니’라 함)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틀니는 현대사회가 고령화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으로써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더욱이 틀니에 대한 정부 지원이 늘어남에 따라 그 사용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틀니를 사용하게 되는 계층은 대부분이 고령자이고, 이러한 고령자들 중에는 치매환자,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이 있으며, 그 환자수는 서서히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고령자들은 언제 어디서 위급상황이 발생할 지 모르는데, 이러한 위급상황이 발생되어 병원응급실에 실려가게 되면 고령자의 기본적인 건강상태나 병원이력 등을 즉시 알 수 없기 때문에 당장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없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치매환자 및 잠재적 치매환자의 경우 치매의 의한 실종이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들은 대부분 고령자들이므로 신분증 또는 휴대폰 등을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적어 실종사고 등이 발생되면 우선 위치파악이 힘들 뿐 아니라, 신분을 즉각 확인하기 힘들어 대응처리가 늦어지게 되고, 이 또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책으로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716091호를 통해 완성된 틀니(2) 또는 부분틀니의 불투명레진부(3) 중 일부분을 밀링기로 수차례 절삭가공하여 함몰 형태의 부분삭제부(10)를 형성하는 제1단계(S1); 상기 부분삭제부(10)에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인식되는 식별수단이 포함된 정보식별체(20)를 삽입 내장하되, 상기 정보식별체(20)의 상부표면이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하고, 정보식별체(20)의 측부와 부분삭제부(10)의 내측벽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단계(S2); 상기 정보식별체(20)가 삽입 내장된 부분삭제부(10)에 교정용파우더와 리퀴드를 주입하여 화학반응에 의해 투명레진부(30)를 형성하되, 상기 투명레진부(30)가 정보식별체(20)의 상부면이 덮히도록 정보식별체(20)와 부분삭제부(10) 사이에 침투되도록 하고, 정보식별체(20) 상부의 투명레진부(30)에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부(31)가 형성되어 경화되도록 하는 제3단계(S3); 상기 투명레진부(30)의 돌출부(31)가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 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형태로 경화된 틀니 또는 부분틀니를 가압기에 넣고 30∼40℃ 상에서 20∼40분 동안 가압하여 투명레진부(30) 내부의 기포(32)를 제거하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제4단계(S4); 상기 가압된 투명레진부(30)의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불투명레진부(3)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는 제5단계(S5); 상기 연마된 투명레진부(30)의 상부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여 광택층(40)을 형성하는 제6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본 출원건을 통해 정보식별체를 틀니를 구성하는 치아에 매립하는 방법을 제안함과 아울러,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제10-171609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등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치아 내부에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완성된 틀니(2) 또는 부분틀니를 형성하는 치아(5)를 상부체(5a) 및 하부체(5b)로 분리 제작한 다음,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 대칭되는 안착홈부(6)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양측 안착홈부(6)를 포함한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 복합레진을 바른 후 안착홈부(6) 내에 정보식별체(20)를 투입 후 치아(5)의 표면에서 복합레진을 이용해 복합레진부(30)를 형성하되 치아(5)의 외측으로 돌출부(31)를 형성한 다음, 광중합기(41)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 작용으로 치아(5) 상에서 복합레진부(30)를 경화시켜 고정한 후, 상기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치아(5)의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면서 광택처리 한 다음, 상기 복합레진부(3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60)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안착홈부(6)의 외측에 제1확장홈(6a)을 형성하고, 상부체(5a) 및 하부체(5b)가 마주하는 외측테두리편에 제2확장홈(6b)을 더 형성하여 복합레진의 충진공간을 더 확보함으로써 상부체(5a) 및 하부체(5b)의 상호간 고정력을 더욱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완성된 틀니(2) 또는 부분틀니의 치아(5) 표면에 핸드피스로 홈가공하거나 밀링기로 부분절삭가공하여 수용홈(10)을 형성하는 제1단계(S1); 상기 수용홈(10)에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인식되는 식별수단이 포함된 정보식별칩(20)을 수용홈(10) 외측으로 비돌출되도록 삽입 내장하는 제2단계(S2); 상기 정보식별칩(20)은 고령자 또는 치매환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가 저장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칩이거나, 그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아이비콘(iBeacon)으로 된 스틱(20a) 형태 또는 시트(20b)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정보식별칩(20)이 매립된 수용홈(10) 내에 복합레진을 충진하여 복합레진부(30)를 형성하는 제3단계(S3); 상기 복합레진부(30)는 수용홈(10)의 외측으로 돌출부(31)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용홈(10)의 외측단부에 수용홈(10)의 단면적(a1) 보다 큰 단면적(a2)을 지닌 확장단턱홈(12)을 형성하고, 상기 확장단턱홈(12) 내에 복합레진부(30)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치아(5) 상에서의 복합레진부(30)의 확고한 접착고정이 되게 하며, 상기 수용홈(10)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31)를 포함한 주변에 광중합기(41)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 작용으로 치아(5) 상에서 복합레진부(30)를 경화시켜 고정하는 제4단계(S4); 상기 경화된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치아(5)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면서 광택처리하는 제5단계(S5); 상기 연마된 복합레진부(3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60)을 형성하는 제6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틀니(2) 또는 부분틀니의 세척 가능한 틀니세척기를 갖춘 기관찾기 기능이 부여된 틀니세척기관부; 상기 틀니(2) 또는 부분틀니를 착용하는 틀니사용자의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을 포함한 틀니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상기 틀니세척기관부로부터 틀니의 세척날짜, 세척시간, 틀니보존상태를 포함한 틀니세척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로부터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의 맞춤형 요양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전달 받는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상기 서버부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틀니사용자의 동의 요청에 의해 동의 받은 보호자에게 전달 받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틀니세척기관부는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상에서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지도앱에 연동되어 틀니사용자를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의 기관이 검색됨과 아울러, 네비게이션앱에 연동되어 길안내 및 노선안내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틀니사용자인 치매노인 또는 독거노인이 등록된 주거지에서 일정반경 이상 이탈했을 때, 보호자 혹은 경찰서, 소방서를 포함한 기관의 협조 아래 스마트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확인을 통해 어플(app)에 가입된 이탈지역의 틀니사용자에게 실종자 알림기능을 제공토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이탈지역의 일정반경 내에 거주하거나 이동중인 일반시민들에게 실종자 정보(실종자 사진, 이름, 성별, 실종시간, 신장, 나이, 복장을 포함한 신상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알려 주변 발견자가 경찰서나 소방서를 포함한 기관에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구강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구강관리사는 구강세척관리와 구강상태진단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강세척관리는 스마트폰 단말부의 개인정보식별체(NFC(near field communication), ID(identity)칩 또는 블루투스칩) 활성화를 통해 틀니사용자의 틀니(2) 또는 부분틀니의 사용에 의한 일, 주, 월, 분기, 년의 틀니 세척주기통계를 데이터화하고, 상기 구강상태진단은 구강관리사가 기간을 정해두고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다니며 틀니사용자의 충치, 잇몸건강상태, 구취상태, 치아상태, 틀니상태를 포함한 구강상태를 기록 및 촬영하여 데이터화하도록 하며,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구강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치과는 틀니의 제작연도, 틀니수리이력, 제작 또는 수리한 병원이름, 잇못상태, 구강엑스레이 사진, 치과병력조회를 포함한 병원기록조회, 담담의사를 포함한 치과관련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 사진은 치과의사, 위생사 또는 치과기공사가 촬영하여 서버부에 올리면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를 통해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식단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오늘의 식단으로 양식, 중식, 일식, 한식을 포함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고, 각 메뉴에 맞는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식단의 메뉴,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는 일, 주, 월, 분기, 년으로 식단데이터화되어 서버부를 통해 저장되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또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요양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의무적으로 담당 요양관리사를 등록하도록 하고, 그런 다음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도록 하되, 틀니사용자가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간병인의 개인정보 동의 하에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틀니사용자, 보호자 또는 제3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복용약물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틀니사용자에게 맞도록 설정된 약물이 체크되고, 상기 약물에 맞는 알약이 나열되어 선택가능토록 하되, 상기 알약의 성분이 중복선택되지 않게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 틀니사용자 본인의 처방전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약물 또는 알약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간병인매칭 기능이 선택되면, 틀니사용자가 본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인근지역 간병인의 위치를 확인토록 하고, 그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 등을 확인토록 하며, 그 후 틀니사용자가 간병인을 선택하고, 그 해당 간병인이 개인정보 제공에 대해 동의하게 되면 틀니사용자와 간병인이 매칭되도록 하고, 상기 매칭이 이루어지면 간병시간 일정, 장소, 시간 및 기타요구사항을 요청토록 하고, 그 요청에 해당되는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등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치아 내부에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의 순서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틀니 실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틀니의 치아 상에 수용홈을 형성 후 정보식별칩을 삽입 내장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 실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용홈 내에 정보식별칩을 삽인 내장하는 순서를 나타낸 단면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레진부의 돌출부를 경화 및 연마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광택층 및 확장단턱홈의 단면 실시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의 실시 예시도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등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치아 내부에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보면 아래 S1∼S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단계(S1)>
먼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완성된 틀니(2) 또는 부분틀니의 치아(5) 표면에 핸드피스로 홈가공하거나 밀링기로 부분절삭가공하여 수용홈(10)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홈(10)은 후술되는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인식되는 식별수단이 포함된 정보식별칩(20)을 내장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틱(20a) 형태의 정보식별칩(20)을 내장하는 경우에는 핸드드릴을 이용해 치아(5) 상에 가늘고 긴 수용홈(10)을 형성하고, 시트(20b) 형태의 보식별칩(20)을 내장하는 경우에는 핸드밀링기를 이용해 치아(5) 상에 넓은 면적의 수용홈(10)을 형성토록 한다.
<제2단계(S2)>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홈(10)에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인식되는 식별수단이 포함된 정보식별칩(20)을 수용홈(10) 외측으로 비돌출되도록 삽입 내장한다.
이때, 상기 정보식별칩(20)은 고령자 또는 치매환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가 저장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칩이거나, 그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아이비콘(iBeacon)으로 된 스틱(20a) 형태 또는 시트(20b)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병원이력은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노인성질환, 당뇨, 심장질환의 유무, 상태 등이 기록되어 있어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발생 시 틀니 착용자의 상태 파악을 위해 허비하는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건강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그에 맞는 정확한 진단에 따른 조치를 즉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틀니 착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NFC(near field communication)칩은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내장된 칩(chip)으로서, 핸드폰 등의 감지부를 5∼10㎝ 가량 근처에 접근시키면 인식이 되어 그 정보들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비콘(iBeacon)은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비콘(Beacon)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서, 핸드폰에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 규격으로, 적외선이나 라디오 주파수(RF) 같은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해서 대상이 얼마나 가까이에 있는지, 어디를 지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아이비콘(iBeacon)은 감지장치로부터 대략 50m 내외에 있는 대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제3단계(S3)>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정보식별칩(20)이 매립된 수용홈(10) 내에 복합레진을 충진하여 복합레진부(30)를 형성한다.
상기 치아(5)가 손바닥 정도의 작은 크기로 형성될 뿐 아니라, 수용홈(10)은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도 4의 (c)에서와 같이 노즐(91)을 갖는 주사기(90) 등을 이용하여 복합레진부(30)를 형성토록 한다. 이때, 수용홈(10) 내에 정보식별칩(20)을 삽입 후 복합레진을 충진토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수용홈(10) 내에서 정보식별칩(20)의 주변에 공기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용홈(10) 내에 복합레진을 소량 투입 한 후, 정보식별칩(20)을 삽입 내장하여 정보식별칩(20)의 상부측으로 복합레진이 노출되게 한 다음, 복합레진을 충진하여 복합레진부(3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4단계(S4)>
도 5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홈(10)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31)를 포함한 주변에 광중합기(41)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 작용으로 치아(5) 상에서 복합레진부(30)를 경화시켜 고정한다.
이때, 상기 광중합기(4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365∼405nm의 파장범위를 갖는 UV-A(ultraviolet-A)이며, 상기 광중합기(41)는 복합레진부(30)의 외측에서 마주하는 대향위치에 5∼12㎝ 간격을 두고 고정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10∼60초 동안 광중합 작용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S5)>
도 5의 (b)에서와 같이 상기 경화된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치아(5)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치아(5)의 표면 상에서 복합레진부(30)의 돌출부분이 없이 광택처리 형성되도록 하여 치아(5)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미각적 불순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한다.
<제6단계(S6)>
도 6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연마된 복합레진부(3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60)을 형성한다. 상기 코팅층(60)에 사용되는 코팅제는 치아 수리를 목적으로 하는 통상의 코팅 기능을 갖는 성분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한 S1단계∼S6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의 변형 실시예로서 도 6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홈(10)의 외측단부에 수용홈(10)의 제1직경(d1) 보다 큰 제2직경(d2)을 지닌 확장단턱홈(12)을 형성하고, 상기 확장단턱홈(12) 내에 복합레진부(30)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치아(5) 상에서의 복합레진부(30)의 확고한 접착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단턱홈(12)의 수평면 상에 요철홈부(12a)를 형성하게 되면 복합레진이 요철홈부(12a) 내로 투입되기 때문에 접착면적이 증대됨과 아울러 복합레진의 충진량이 증대되기 때문에 더욱 확고한 고정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치아(5)를 상부체(5a) 및 하부체(5b)로 분리 제작한 다음,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 대칭되는 안착홈부(6)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양측 안착홈부(6)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홈공간에 정보식별칩(20)을 삽입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분리형태의 치아(5) 상부체(5a) 및 하부체(5b)는 제작단계에서 분리 제작한 다음, 안착홈부(6)를 포함한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 복합레진을 바른 후 안착홈부(6) 내에 정보식별체(20)를 투입 후 치아(5)의 표면에서 복합레진을 이용해 복합레진부(30)를 형성하되 치아(5)의 외측으로 돌출부(31)를 형성한 다음, 광중합기(41)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 작용으로 치아(5) 상에서 복합레진부(30)를 경화시켜 고정한 후, 상기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치아(5)의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면서 광택처리 한 다음, 상기 복합레진부(3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60)을 형성토록 한다.
또한, 상기 도 7의 변형 실시예로서 도 8에서와 같이 안착홈부(6)의 외측에 제1확장홈(6a)을 형성하고, 상부체(5a) 및 하부체(5b)가 마주하는 외측테두리편에 제2확장홈(6b)을 더 형성하여 복합레진의 충진공간을 더 확보하게 되면 상부체(5a) 및 하부체(5b)의 상호간 고정력을 더욱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으로서, 이의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를 이용해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서비스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9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틀니는 도 9의 (a)에서와 같이 기존 또는 신규 틀니 모두에 적용 가능한 전용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D(identity)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직매립하여 적용토록 한 것이며, 그 사용방법은 틀니사용자(또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에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이라 함) 설치 후 스마트폰 단말부를 태그하여 정보를 식별하거나 웹에서 로그인 후 정복확인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틀니 표면을 부분절삭하고, 그 절삭부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D(identity)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삽입하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D(identity)칩 또는 블루투스칩의 표면에 교정용 레진을 도포하고, 레진의 표면을 연마하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D(identity)칩 또는 블루투스칩에 정보를 입력하여 완성된다.
상기 틀니에 적용되는 어플(app)은 도 9의 (b)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틀니사용자의 개인정보, 세척이력, 의료기록 외에도 노인실종이나 사고와 같은 응급상황시 활용 가능한 신분확인, 위치전송, 긴급전화의 기능도 구비되도록 하며, 더 나아가 ICT, IOT시스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확보를 통해 해당기관에 제공되도록 한다.
그 중 세척이력 제공의 실시예로서, 도 10의 (b)에서와 같이 틀니사용자가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로 틀니에 직매립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D(identity)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태그하면, 틀니의 세척을 실시할 수 있고, 그 세척이력은 후술되는 서버부에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반영되고, 상기 세척이력 및 틀니사용자 정보를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를 통해 보호자에게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전달한다.
한편, 도 10의 (c)는 틀니 시스템의 웹 및 어플리케이션의 운영관리시스템 예시도로서 서버부의 확보를 통해 틀니사용자의 세척이력, 의료기록 등의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저장토록 하고, 의치상 3차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의지의 재 제작, 수리 시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1은 틀니 플랫폼의 정보 흐름 예시도로서, 틀니의 설계 및 제작공급, 소유자 및 기관정보를 확보하고, 틀니 운영플랫폼(웹, 어플, 세척기)을 구현하며, 구강관련 데이터를 필요한 기관 및 보호자에게 정보 제공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골든타임의 확보 및 사회적 비용절감을 기대하며, 구강보건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 기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틀니와, 어플(app)이 마련되며, 이를 기본구성으로 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먼저 도 12에서와 같이 서버부(10)에 연결되는 틀니세척기관부가 구비된다.
상기 틀니세척기관부는 틀니의 세척 가능한 틀니세척기를 갖춘 기관찾기 기능이 부여된 것으로 도 14에서와 같이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상에서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지도앱에 연동되어 틀니사용자를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의 기관이 검색됨과 아울러, 네비게이션앱에 연동되어 길안내 및 노선안내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한다.
이때, 서버부를 통해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로 전달되는 모든 정보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에도 연동 제공되도록 하며, 이는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를 통한 서버부에 회원가입 시, 틀니사용자의 개인정보제공 동의 한 다음, 보호자 동의 요청이 SMS(short message service)로 전송되고 난 후,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를 통한 개인정보 동의 승인이 완료되면 로그인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연동이 구현되게 한다.
또한 이때,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상에서 로그인이 이루어지는 로그인창의 측부에 관리자와 채팅 가능한 챗봇창이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틀니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사용방법에 대한 습득 등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상의 메인화면 상단에 고령자 또는 영유아 실종자 찾기 알림창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알림창에는 실종자의 사진, 이름, 현재나이, 실종장소, 실종복장, 신상특징 등이 표시되게 한다.
한편, 도 12 및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를 착용하는 틀니사용자의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을 포함한 틀니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요양서비스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는 틀니사용자의 운동관리, 배변관리, 목욕관리, 자금(은행)관리를 더 포함하며, 이 외에도 틀니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구강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구강관리사는 구강세척관리와 구강상태진단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강세척관리는 스마트폰 단말부의 개인정보식별체(NFC(near field communication), ID(identity)칩 또는 블루투스칩) 활성화를 통해 틀니사용자의 틀니(2) 또는 부분틀니의 사용에 의한 일, 주, 월, 분기, 년의 틀니 세척주기통계를 데이터화하고, 상기 구강상태진단은 구강관리사가 기간을 정해두고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다니며 틀니사용자의 충치, 잇몸건강상태, 구취상태, 치아상태, 틀니상태를 포함한 구강상태를 기록 및 촬영하여 데이터화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틀니사용자가 담당 구강관리사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구강관리사의 개인정보 동의 하에 구강관리사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틀니사용자, 보호자 또는 제3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구강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치과는 틀니의 제작연도, 틀니수리이력, 제작 또는 수리한 병원이름, 잇못상태, 구강엑스레이 사진, 치과병력조회를 포함한 병원기록조회, 담담의사를 포함한 치과관련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 사진은 치과의사, 위생사 또는 치과기공사가 촬영하여 서버부에 올리면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를 통해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식단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오늘의 식단으로 양식, 중식, 일식, 한식을 포함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고, 각 메뉴에 맞는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한식을 선택하는 경우 밥, 국, 찌게, 반찬 등의 음식종류가 표시되며, 그 중에서 반찬을 선택하는 경우 시금치, 멸치, 김치 등이 표시됨과 아울러 해당되는 반찬의 열량 및 영양정보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틀니사용자가 기호 및 영양에 맞는 음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식단의 메뉴,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는 일, 주, 월, 분기, 년으로 식단데이터화되어 서버부를 통해 저장되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또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요양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우선 의무적으로 담당 요양관리사를 등록하도록 하고, 그런 다음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틀니사용자가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간병인의 개인정보 동의 하에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틀니사용자, 보호자 또는 제3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복용약물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틀니사용자에게 맞도록 설정된 약물이 체크되고, 그 약물에 맞는 알약이 나열되어 선택가능토록 하되, 상기 알약의 성분이 중복선택되지 않게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 틀니사용자 본인의 처방전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약물 또는 알약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간병인매칭 기능이 선택되면, 틀니사용자가 본인 위치(S)를 중심으로 하여 가까운 위치부터(P1∼P5) 하여 인근지역 간병인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고, 그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그 후 틀니사용자가 간병인을 선택하고, 그 해당 간병인이 개인정보 제공에 대해 동의하게 되면 틀니사용자와 간병인이 매칭되도록 한다.
이렇게 간병인이 매칭되면 간병시간 일정, 장소, 시간 및 기타요구사항 등을 요청할 수 있고, 그 요청에 해당되는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된다.
상기 간병인매칭은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회원 로그인 후 표시되는 메인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은 장기요양시설에 입원중인 틀니사용자 뿐 아니라, 자가에서 삶을 사시는 치매노인, 독거노인에게도 적용이 되어지는데, 이때 틀니사용자인 치매노인 또는 독거노인이 등록된 주거지에서 일정반경 이상 이탈했을 때, 보호자 혹은 경찰서, 소방서 등 기관의 협조 아래 스마트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확인을 통해 어플(app)에 가입된 이탈지역의 틀니사용자에게 실종자 알림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뿐 아니라, 상기 이탈지역의 일정반경 내에 거주하거나 이동중인 일반시민들에게 실종자 정보(실종자 사진, 이름, 성별, 실종시간, 신장, 나이, 복장 등)를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알려 주변 발견자가 경찰서나 소방서 등에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틀니세척기관부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가 마련되어 서버부에 연결되며, 상기 서버부는 상기 틀니세척기관부로부터 틀니의 세척날짜, 세척시간, 틀니보존상태를 포함한 틀니세척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로부터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의 맞춤형 요양서비스 정보를 수신받아,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및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에 전달토록 하며, 이와 반대로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및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에서 정보를 수신받아 틀니세척기관부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전달하는 양방향 전달서비스가 구현된다.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는 서버부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전달 받도록 구현되며, 또한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는 서버부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틀니사용자의 동의 요청에 의해 동의 받은 보호자에게 전달 받도록 구현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틀니 및 부분틀니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등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위치추적이 가능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매립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스마트한 틀니로서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틀니착용자의 병력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병력조회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 발생 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를 틀니의 치아 내부에 안정적으로 매립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식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식별체에 등록된 보호자와 틀니착용자에게 틀니 세척정보 시작과 종료를 문자로 전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급상황에 놓인 실종노인, 장애인 등의 정보(인적사항)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실종된 지역 어플리케이션 가입자에게 실종된 사람의 인적사항(이름, 특징, 얼굴사진 등)을 단체 문자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긴급 문자를 받은 그 지역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실종자를 찾으면 어플리케이션내의 제보하기를 통하여 그 지역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틀니 5 : 치아
10 : 수용홈 20 : 정보식별칩
30 : 복합레진부 31 : 돌출부
41 : 광중합기 60 : 코팅층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완성된 틀니(2) 또는 부분틀니를 형성하는 치아(5)를 상부체(5a) 및 하부체(5b)로 분리 제작한 다음,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 대칭되는 안착홈부(6)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양측 안착홈부(6)를 포함한 상호 마주하는 면 상에 복합레진을 바른 후 안착홈부(6) 내에 정보식별체(20)를 투입 후 치아(5)의 표면에서 복합레진을 이용해 복합레진부(30)를 형성하되 치아(5)의 외측으로 돌출부(31)를 형성한 다음, 광중합기(41)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 작용으로 치아(5) 상에서 복합레진부(30)를 경화시켜 고정한 후, 상기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치아(5)의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면서 광택처리 한 다음, 상기 복합레진부(3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60)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6)의 외측에 제1확장홈(6a)을 형성하고, 상부체(5a) 및 하부체(5b)가 마주하는 외측테두리편에 제2확장홈(6b)을 더 형성하여 복합레진의 충진공간을 더 확보함으로써 상부체(5a) 및 하부체(5b)의 상호간 고정력을 더욱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6.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완성된 틀니(2) 또는 부분틀니의 치아(5) 표면에 핸드피스로 홈가공하거나 밀링기로 부분절삭가공하여 수용홈(10)을 형성하는 제1단계(S1);
    상기 수용홈(10)에 건강정보 및 신상정보가 인식되는 식별수단이 포함된 정보식별칩(20)을 수용홈(10) 외측으로 비돌출되도록 삽입 내장하는 제2단계(S2); 상기 정보식별칩(20)은 고령자 또는 치매환자의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가 저장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칩이거나, 그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는 아이비콘(iBeacon)으로 된 스틱(20a) 형태 또는 시트(20b)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정보식별칩(20)이 매립된 수용홈(10) 내에 복합레진을 충진하여 복합레진부(30)를 형성하는 제3단계(S3); 상기 복합레진부(30)는 수용홈(10)의 외측으로 돌출부(31)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용홈(10)의 외측단부에 수용홈(10)의 단면적(a1) 보다 큰 단면적(a2)을 지닌 확장단턱홈(12)을 형성하고, 상기 확장단턱홈(12) 내에 복합레진부(30)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치아(5) 상에서의 복합레진부(30)의 확고한 접착고정이 되게 하며,
    상기 수용홈(10)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31)를 포함한 주변에 광중합기(41)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 작용으로 치아(5) 상에서 복합레진부(30)를 경화시켜 고정하는 제4단계(S4);
    상기 경화된 돌출부(31)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치아(5)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면서 광택처리하는 제5단계(S5);
    상기 연마된 복합레진부(3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60)을 형성하는 제6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틀니(2) 또는 부분틀니의 세척 가능한 틀니세척기를 갖춘 기관찾기 기능이 부여된 틀니세척기관부; 상기 틀니(2) 또는 부분틀니를 착용하는 틀니사용자의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을 포함한 틀니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상기 틀니세척기관부로부터 틀니의 세척날짜, 세척시간, 틀니보존상태를 포함한 틀니세척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로부터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의 맞춤형 요양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전달 받는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상기 서버부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틀니사용자의 동의 요청에 의해 동의 받은 보호자에게 전달 받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틀니세척기관부는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상에서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지도앱에 연동되어 틀니사용자를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의 기관이 검색됨과 아울러, 네비게이션앱에 연동되어 길안내 및 노선안내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틀니사용자인 치매노인 또는 독거노인이 등록된 주거지에서 일정반경 이상 이탈했을 때, 보호자 혹은 경찰서, 소방서를 포함한 기관의 협조 아래 스마트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확인을 통해 어플(app)에 가입된 이탈지역의 틀니사용자에게 실종자 알림기능을 제공토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이탈지역의 일정반경 내에 거주하거나 이동중인 일반시민들에게 실종자 정보(실종자 사진, 이름, 성별, 실종시간, 신장, 나이, 복장을 포함한 신상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알려 주변 발견자가 경찰서나 소방서를 포함한 기관에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구강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구강관리사는 구강세척관리와 구강상태진단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강세척관리는 스마트폰 단말부의 개인정보식별체(NFC(near field communication), ID(identity)칩 또는 블루투스칩) 활성화를 통해 틀니사용자의 틀니(2) 또는 부분틀니의 사용에 의한 일, 주, 월, 분기, 년의 틀니 세척주기통계를 데이터화하고, 상기 구강상태진단은 구강관리사가 기간을 정해두고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다니며 틀니사용자의 충치, 잇몸건강상태, 구취상태, 치아상태, 틀니상태를 포함한 구강상태를 기록 및 촬영하여 데이터화하도록 하며,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구강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치과는 틀니의 제작연도, 틀니수리이력, 제작 또는 수리한 병원이름, 잇못상태, 구강엑스레이 사진, 치과병력조회를 포함한 병원기록조회, 담담의사를 포함한 치과관련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 사진은 치과의사, 위생사 또는 치과기공사가 촬영하여 서버부에 올리면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를 통해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식단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오늘의 식단으로 양식, 중식, 일식, 한식을 포함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고, 각 메뉴에 맞는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식단의 메뉴,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는 일, 주, 월, 분기, 년으로 식단데이터화되어 서버부를 통해 저장되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또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요양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의무적으로 담당 요양관리사를 등록하도록 하고, 그런 다음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도록 하되, 틀니사용자가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간병인의 개인정보 동의 하에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틀니사용자, 보호자 또는 제3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복용약물관리 기능이 선택되면, 틀니사용자에게 맞도록 설정된 약물이 체크되고, 상기 약물에 맞는 알약이 나열되어 선택가능토록 하되, 상기 알약의 성분이 중복선택되지 않게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 틀니사용자 본인의 처방전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약물 또는 알약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에서 간병인매칭 기능이 선택되면, 틀니사용자가 본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인근지역 간병인의 위치를 확인토록 하고, 그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확인토록 하며, 그 후 틀니사용자가 간병인을 선택하고, 그 해당 간병인이 개인정보 제공에 대해 동의하게 되면 틀니사용자와 간병인이 매칭되도록 하고, 상기 매칭이 이루어지면 간병시간 일정, 장소, 시간 및 기타요구사항을 요청토록 하고, 그 요청에 해당되는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KR1020210078910A 2021-06-17 2021-06-17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KR102503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10A KR102503067B1 (ko) 2021-06-17 2021-06-17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10A KR102503067B1 (ko) 2021-06-17 2021-06-17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057A KR20220169057A (ko) 2022-12-27
KR102503067B1 true KR102503067B1 (ko) 2023-02-27

Family

ID=8456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910A KR102503067B1 (ko) 2021-06-17 2021-06-17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885B1 (ko) * 2023-05-09 2023-09-04 (주)덴티로드 스마트 틀니 사용을 위한 정보식별체 매립방법 및 그 정보식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6908A (ja) * 2015-04-21 2016-12-08 有限会社アイビー 本人認証システムおよび本人認証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49B1 (ko) * 2009-02-25 2011-05-06 서용선 위치 추적용 칩의 설치 방법
KR20170020728A (ko) * 2015-08-16 2017-02-24 박철우 식별가능한 표시자 또는 RFID tag 또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삽입된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내부 홀 충진재
KR101716091B1 (ko) 2016-06-01 2017-03-13 한훈섭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KR102249107B1 (ko) * 2019-07-22 2021-05-07 (주)덴티로드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6908A (ja) * 2015-04-21 2016-12-08 有限会社アイビー 本人認証システムおよび本人認証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057A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107B1 (ko) 틀니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구강관리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KR101716091B1 (ko)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Fabbrocini et al. Teledermatology: from prevention to diagnosis of nonmelanoma and melanoma skin cancer
TWI557676B (zh) 用於管理遵照療程之裝置、系統及方法
AU2023200133A1 (en) Systems for tracking medications
CA1234428A (en) Human identification system
US20150310173A1 (en) Secure healthcar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812080B1 (ko)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KR20180096006A (ko)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van der Stelt et al. Pioneering low-cost 3D-printed transtibial prosthetics to serve a rural population in Sierra Leone–an observational cohort study
KR102503067B1 (ko)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치아 매립방법 및 치아 매립형 정보식별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 방법
JP2017501481A (ja) 医療製品またはサービスの自動配達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897352B2 (ja) 有床義歯
US8639530B2 (en) Medication advisory system
US11309083B2 (en) Systems for identification and tracking vital signs in the field with redundant electronic/visual security mechanisms
KR20180096007A (ko) 틀니 착용자의 생체 특성 확인용 타액 측정체와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Botella et al. Safer virtual pillbox: assuring medication adherence to elderly patients
KR102459730B1 (ko)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KR20100071751A (ko) 치매환자 생활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US11217348B2 (en) Systems for secure contactless identification and tracking with redundant electronic/visual security mechanisms
JP2016126792A (ja) 要支援者確認ツール
US20240016740A1 (en) Medical treatment delivery system employing subcutaneous implants for sustained medication release
US91050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multi-user multi-duration access to emergency medical records
KR20100092415A (ko) Rfid 틀니 시스템
KR102573885B1 (ko) 스마트 틀니 사용을 위한 정보식별체 매립방법 및 그 정보식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