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149B1 - Rfid 틀니 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 틀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149B1
KR101192149B1 KR1020100073646A KR20100073646A KR101192149B1 KR 101192149 B1 KR101192149 B1 KR 101192149B1 KR 1020100073646 A KR1020100073646 A KR 1020100073646A KR 20100073646 A KR20100073646 A KR 20100073646A KR 101192149 B1 KR101192149 B1 KR 10119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unit
server
denture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415A (ko
Inventor
배병수
Original Assignee
배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병수 filed Critical 배병수
Priority to KR102010007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1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61C13/206Injection mou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RFID 틀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틀니의 몸체에 삽입된 RFID 태그와; 리드/라이트부, 판독부 송수신부, 메모리부, 판독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판독부와; 서버 송수신부, 비교처리부, 정보 저장부 및 서버 제어부로 구성된 메모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독부의 판독부 송수신부와 메인 서버의 서버 송수신부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무선 인터넷망, 랜망, 와이브로 망, 지그비 통신 등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틀니에 RFID 태그를 삽입하여 휴대가 매우 편리하고, 분실의 위험이 없으며, 착용자에 대한 최신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입 냄새를 방지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RFID 틀니 시스템{RFID DENTURE SYSTEM}
본 발명은 RFID 틀니 시스템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입 냄새를 방지 할 수 있는 RFID 틀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65세 이상 노인인수 비율은 현재 519만2천 명으로 10.7%이며,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그리고 2026년에는 20.8%가 되어 '최고령화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인들의 사망률이 낮아지면서 생산 가능 인구 6.8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등 노인부양비도 계속 상승중이다. 건강진단을 받는 노인비율이 크게 높아지는 등 건강에 대한 관심도 상승했으며 노인에 지급되는 연금이나 의료비 지출도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많은 노인들이 혼자 집 밖을 나갔을 때 기억력 저하로 인해 집을 찾아오지 못하고 행방불명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노인 대부분은 인지능력이 떨어지므로 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신원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교통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빠른 응급 치료가 필요한데, 환자의 지병 등의 병력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면, 응급 치료 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종래에는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신상 정보가 표기된 이름표, 목걸이, 팔찌 등을 착용하거나, 위치 추적이 가능한 GPS 장치 등을 휴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소지 또는 착용함에 있어서, 휴대가 불편하고 장치를 분실하기 쉬워 필요할 때 응급조치를 취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입 안에서의 변화가 많이 생기는데 먼저 혀에 있는 맛을 느끼는 감각 세포들이 줄어들면서 기능들이 떨어지고 때문에 미각의 변화가 생기며 음식물을 녹일 수 있는 침의 분비가 줄어들어 음식물의 촉감도 달라진다.
또 나이가 들면 신체변화가 생기며 그 중 하나가 구강건조중이라고 하는 증세이며 침샘이 점점 나이가 먹어서 침이 나오는 양이 줄어들어서 입안이 건조해지므로 냄새가 심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가 매우 편리하고 분실의 위험이 없고 착용자의 정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정보를 최신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입 냄새를 방지 할 수 있는 RFID 틀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RFID 틀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틀니의 몸체에 삽입된 RFID 태그와; 리드/라이트부, 판독부 송수신부, 메모리부, 판독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판독부와; 서버 송수신부, 비교처리부, 정보 저장부 및 서버 제어부로 구성된 메모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독부의 판독부 송수신부와 메인 서버의 서버 송수신부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무선 인터넷망, 랜망, 와이브로 망, 지그비 통신 등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RFID 틀니 시스템은 틀니에 RFID 태그를 삽입하여 휴대가 매우 편리하고, 분실의 위험이 없으며, 착용자에 대한 최신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입 냄새를 방지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RFID 틀니 시스템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RFID 틀니 시스템의 치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RFID 틀니 시스템 동작 블록도.
본발명은 RFID 틀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틀니의 몸체에 삽입된 RFID 태그와; 리드/라이트부, 판독부 송수신부, 메모리부, 판독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 판독부와; 서버 송수신부, 비교처리부, 정보 저장부 및 서버 제어부로 구성된 메인 서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독부의 판독부 송수신부와 메인 서버의 서버 송수신부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무선 인터넷망, 랜망, 와이브로 망, 지그비 통신 등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RFID 틀니 시스템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RFID 틀니 시스템의 치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RFID 틀니 시스템 동작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도 1내지 2에 도시된 실시례의 RFID 틀니 시스템은 RFID 틀니, 판독부 및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RFID 틀니는 몸체, 의치 및 RFID 태그(TAG)를 포함하는데, RFID 태그가 몸체 내부에 삽입되며, 착용자의 신원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 예컨대, 주민등록번호 및 이름 등의 제 1개인의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된다. 이때 제 1개인 정보에는 정보 업데이트시기에 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된다.
한편, RFID 태그는 크기가 매우 작고 강도가 약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음식물을 씹는 등 틀니가 사용될 때 의치에 압력이 가해지고 상기 압력은 RFID 태그로 전달되어 RFID 태그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면, RFID 태그는 견치(송곳니)로부터 대구치(어금니) 측으로 두 번째에 위치하는 치아(소구치)와 세 번째와 네 번째에 위치하는 치아(대구치)들의 하측의 몸체내부에 삽입되는데, RFID 태그가 상기 위치에 삽입될 때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최소화 될 수 있으므로 RFID 태그 손상을 피할 수 있다.
RFID 태그를 몸체내부에 삽입하는 방법은 완성된 틀니의 몸체에 드릴 등의 공구로 구멍을 뚫은 후 RFID 태그를 삽입한 후, 레진으로 구멍을 막는 방법이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틀니를 금형에서 제작할 시 금형에서 RFID 태그를 삽입할 위치에 마개가 있는 빈파이프를 삽입안치한 다음, 용융된 틀니 재료(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 등)를 주입하여 틀니를 제작한다(인서트 사출방법). 그리고 금형에서 꺼낸 틀니의 건조가 완료되면, 빈파이프를 막은 마개를 제거하고 그 안에 RFID 태그를 삽입한다. 그리고 입구는 레진으로 막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RFID 태그 삽입 틀니는 드릴등으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어서 크랙이나 결함이 발생할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RFID 태그는 수동형, 능동형, 또는 반수동형일 수 있으나, 배터리가 불필요한 수동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독부는 리드/라이트부, 판독부 송수신부, 메모리부, 판독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리드/라이트부는 RFID 틀니로부터 제 1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판독부 송수신부는 수신된 제 1개인 정보를 메인 서버로 송신한다.
메모리부는 수신된 제 1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제 1개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판독부 제어부는 판독부의 상기 구성들을 제어한다.
메인 서버는 서버 송수신부, 비교 처리부, 정보 저장부 및 서버 제어부를 포함한다. 서버 송수신부는 판독부로부터 제 1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저장부는 복수인의 제 2개인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비교 처리부는 서버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1개인 정보를 토대로, 저장된 복수의 제 2개인 정보를 검색하여 수신된 제 1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제 2개인 정보를 찾아낸다.
비교 처리부는 제 1개인 정보와 제 2개인 정보의 업데이트시기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고, 최신의 개인 정보로 업데이트 한다. 즉 제 1개인 정보가 제 2개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제 2개인 정보가 제 1개인 정보보다 최근의 것이면, 서버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 2개인 정보를 판독부로 송신하고, 제 2개인 정보는 판독부의 리드/라이트부에 의해 RFID 태그로 전송되어 RFID 태그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된다.
또한 제 1 및 제 2개인 정보 중 최신의 것은 서버 송수신부를 통하여 지정대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지정 대상은 미리 정해진 대상으로서 주병원, 보건소, 보험회사, 경찰서, 치과, 동사무소, 요양원 들을 포함한다. 한편 제 1 및 제 2개인 정보는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보호자 정보, 보험 정보, 보호 단체, 혈액형, 진료 기록, 병력, 지병, 주치의 병원, 보철물 정보, 보철물 지정 병원, 보철물 제작사, 보철물 스캔 정보 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는 메인 서버의 상기 구성들을 제어한다.
한편 판독부의 판독부 송수신부와 메인 서버의 서버 송수신부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무선 인터넷망, 랜망, 와이브로 망, 지그비 통신 등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RFID 틀니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판독부의 리드/라이트부가 RFID 틀니의 RFID 태그로부터 제 1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메모리부는 수신된 제 1개인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제 1개인 정보를 표시하고 판독부 송수신부는 제 1개인 정보를 메인 서버로 송신한다.
메인 서버의 서버 송수신부는 제 1개인 정보를 수신하는데 이때 정보 저장부에는 복수의 사람들의 제 2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비교 처리부는 제 1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저장부로부터 제 1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제 2개인 정보를 찾아내고, 제 1 및 제 2개인 정보에 포함되는 업데이트시기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 1개인 정보가 제 2개인 정보보다 최신의 것이면 제 1개인 정보가 정보 저장부에 제 2개인 정보로서 저장되어 업데이트 되고 서버 송수신부는 지정 대상으로 제 1개인 정보를 송신한다.
반면에 제 2개인 정보가 제 1개인 정보보다 최신의 것이면 서버 송수신부는 제 2개인 정보를 판독부와 지정 대상으로 송신하고 판독부 송수신부는 제 2개인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수신된 제 2개인 정보를 표시하고 리드/라이트부는 제 2개인 정보를 RFID 틀니로 송신하고 RFID 태그는 제 2개인 정보를 수신하며 제 2개인 정보가 제 1개인 정보로서 저장되어 업데이트 된다.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29%가 위 아래 치아 모두가 빠진 상태이고 위쪽 치아만 또는 아래쪽 치아만 모두 빠진 경우를 포함하면 44%에 이른다. 즉 노인의 상당수가 틀니를 사용하며 이 비율은 앞으로 늘어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틀니 시스템에서는 사용 인구가 꾸준하게 증가하는 틀니에 RFID 태그를 삽입하므로 휴대가 매우 편리하고 분실의 위험이 없다.
또한 착용자의 개인 정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고 착용자의 개인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개인 정보를 최신의 것으로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착용자에 대한 응급조치 등에 있어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특히 노인의 의식이 없는 위급 상태에서의 응급조치를 함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틀니의 경우 착용자가 항상 착용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분실 위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언제나 효과적이고 신속한 응급조치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노인의 생명 연장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장기적인 측면으로 볼 때 RFID 틀니 시스템을 통해 고령화 시대에 따른 노인들을 위한 양질의 의료서비스와 의료 혜택을 가능케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RFID 틀니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례로 상기 RFID 틀니를 형틀에서 제조할 시 백금 콜로이드 용액을 틀니 재료물질에 첨가시켜서 제작한다. 상기 백금 콜로이드는 합성 의약품보다 항균 및 탈취효과에 월등 하여 입 냄새를 제거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나이가 들면 신체변화가 생기며 그 중 하나가 구강건조중이라고 하는 증세이며 침샘이 점점 나이가 먹어서 침이 나오는 양이 줄어들어서 입안이 건조해지므로 냄새가 심해지는데 RFID 틀니에 백금 콜로이드를 사용하여 입 냄새를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RFID 틀니 시스템은 틀니에 RFID 태그를 삽입하여 휴대가 매우 편리하고, 분실의 위험이 없으며, 착용자에 대한 최신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입 냄새를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견치 20 : 소구치
30, 40 : 대구치 100 : RFID 틀니
110 : 몸체 120 : 의치
130 : RFID 태그 200 : 판독부
210 : 판독부 제어부 220 : 리드/라이트부
230 : 판독부 송수신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메모리부 300 : 메인 서버
310 : 서버 제어부 320 : 서버 송수신부
330 : 비교 처리부 340 : 정보 저장부
400 : 지정 대상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틀니의 몸체에 삽입된 RFID 태그와; 판독부와; 메인서버;로 이루어지는 RFID틀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리드/라이트부, 판독부 송수신부, 메모리부, 판독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리드/라이트부는 RFID 틀니로부터 제 1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판독부 송수신부는 수신된 제 1 개인 정보를 메인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수신된 제 1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제 1 개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판독부 제어부는 판독부의 상기 리드/라이트부, 판독부 송수신부, 메모리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메인 서버는 서버 송수신부, 비교 처리부, 정보 저장부 및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서버 송수신부는 판독부로부터 제 1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저장부는 복수인의 제 2개인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비교 처리부는 서버 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1개인 정보를 토대로, 저장된 복수의 제 2개인 정보를 검색하여 수신된 제 1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제 2개인 정보를 찾아내며, 상기 비교 처리부는 제 1 개인 정보와 제 2 개인 정보의 업데이트 시기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고, 최신의 개인 정보로 업데이트 하는 것으로, 즉 제 1 개인정보가 제 2 개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제 2 개인 정보가 제 1 개인 정보보다 최근의 것이면, 서버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 2 개인 정보를 판독부로 송신하고, 제 2 개인 정보는 판독부의 리드/라이트부에 의해 RFID 태그로 전송되어 RFID 태그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며, 또한 제 1 및 제 2 개인 정보 중 최신의 것은 서버 송수신부를 통하여 지정대상으로 송신될 수 있으며, 서버 제어부는 메인 서버의 상기 서버 송수신부, 비교 처리부, 정보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이며,
    한편, 판독부의 판독부 송수신부와 메인 서버의 서버 송수신부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무선 인터넷망, 랜망, 와이브로 망, 지그비 통신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망을 통해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RFID 태그는 견치(송곳니)로부터 대구치(어금니) 측으로 두번째에 위치하는 치아(소구치) 또는 세 번째에 위치하는 치아(대구치) 또는 네 번째에 위치하는 치아(대구치)의 하측의 몸체내부에 삽입되되,
    RFID 태그는 빈파이프 안에 내장되며, 파이프 입구는 레진으로 막혀 있는 것으로, 틀니를 금형에서 제작할 시 금형에서 RFID태그를 삽입할 위치에 마개가 있는 빈파이프를 삽입안치한 다음, 용융된 합성수지 틀니 재료를 주입하여 틀니를 제작하고, 금형에서 꺼낸 틀니의 건조가 완료되면, 빈파이프를 막은 마개를 제거하고 그 안에 RFID 태그를 삽입하며, 그리고 입구는 레진으로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틀니 시스템
KR1020100073646A 2010-07-29 2010-07-29 Rfid 틀니 시스템 KR10119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646A KR101192149B1 (ko) 2010-07-29 2010-07-29 Rfid 틀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646A KR101192149B1 (ko) 2010-07-29 2010-07-29 Rfid 틀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415A KR20100092415A (ko) 2010-08-20
KR101192149B1 true KR101192149B1 (ko) 2012-10-17

Family

ID=4275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646A KR101192149B1 (ko) 2010-07-29 2010-07-29 Rfid 틀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1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080B1 (ko) 2016-11-04 2017-12-27 한훈섭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KR101827392B1 (ko) * 2015-12-01 2018-02-08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단말기의 덴쳐정보 생성 및 덴쳐정보 이력관리 방법
KR20200046949A (ko) * 2018-10-26 2020-05-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치과 보철물 및 이를 이용한 응급 치료를 위한 환자 정보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7187A (ko) * 2015-01-22 2015-03-11 한훈섭 고령자 및 치매환자 실종방지를 위한 틀니용 패치
KR101880573B1 (ko) * 2017-05-10 2018-07-24 (주)큐라움 전자디바이스 내장 모듈, 그 모듈이 설치된 치과보철물 및 그 치과보철물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5302A (ja) * 2003-10-31 2005-05-26 Nippon Steel Corp 携帯端末装置、icタグを利用した情報処理システム、icタグを利用した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5302A (ja) * 2003-10-31 2005-05-26 Nippon Steel Corp 携帯端末装置、icタグを利用した情報処理システム、icタグを利用した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392B1 (ko) * 2015-12-01 2018-02-08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단말기의 덴쳐정보 생성 및 덴쳐정보 이력관리 방법
KR101812080B1 (ko) 2016-11-04 2017-12-27 한훈섭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KR20200046949A (ko) * 2018-10-26 2020-05-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치과 보철물 및 이를 이용한 응급 치료를 위한 환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11052B1 (ko) 2018-10-26 2020-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치과 보철물 및 이를 이용한 응급 치료를 위한 환자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415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42523A1 (en) System for monitoring individuals as they age in place
CN105814956B (zh) 多个装置之间经由无线协议的位置坐标定位的方法和装置
US7542379B2 (en) Mobile medication
KR101192149B1 (ko) Rfid 틀니 시스템
US7609155B2 (en) System providing medical personnel with immediate critical data for emergency treatments
CA2451526C (en) Gateway platform for biological monitoring and delivery of therapeutic compounds
US9715806B2 (en) Monitoring of fall protection harness using a body area network
US20070120683A1 (en) Implantable electronically-encoded critical health care instruction aka "the Terry"
CN107708548A (zh) 用于吸烟行为的量化和预测的系统和方法
US20100262045A1 (en) Pati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208464049U (zh) 用于健康监控的可穿戴设备
KR20130040768A (ko) 접착성 붕대 및 환자 정보 관리를 위한 방법
JP4160788B2 (ja) 歯科用築造体を利用した生体情報計測・記録及び通信装置とこの装置の情報入出力を制御する情報制御方法
CN109259727A (zh) 一种基于移动护理的智能护理系统
ES2899892T3 (es) Sensor médico, así como procedimiento de uso del mismo y dispositivo operativo del mismo
CN108511086A (zh) 医疗监护方法和系统、计算机存储介质及设备
KR101082005B1 (ko)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보조 장치, 이를 이용한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시스템, 및 독거 노인의 약물 복용 관리 방법
JP3139635U (ja) 電子タグ内蔵入れ歯情報管理システム
Barbone et al. Beyond wearables and implantables: a scoping review of insertable medical devices
CN210078333U (zh) 用药与就诊提醒装置以及具有用药与就诊提醒功能的终端
US200700383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ensing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ation
US10321849B2 (en) System for ingestion event monitoring and method for detecting ingestion events with high accuracy
ES2931874T3 (es) Dispositivo de monitorización médica individual del tipo reloj conectado y procedimiento de monitorización médica individual de un usuario correspondiente
Prasath et al. A Smart Medicine Box for Medication Management Using IoT
JP2009258941A (ja) 治験データ収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