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856B1 -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856B1
KR102248856B1 KR1020200082924A KR20200082924A KR102248856B1 KR 102248856 B1 KR102248856 B1 KR 102248856B1 KR 1020200082924 A KR1020200082924 A KR 1020200082924A KR 20200082924 A KR20200082924 A KR 20200082924A KR 102248856 B1 KR102248856 B1 KR 102248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distribution
logistics
ic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진
하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올
Priority to KR102020008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856B1/ko
Priority to US17/798,713 priority patent/US20230131863A1/en
Priority to PCT/KR2021/006420 priority patent/WO2022010096A1/ko
Priority to EP21837619.2A priority patent/EP417769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9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8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58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 function bloc editor, labvie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물류흐름을 설계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물류흐름 설계방법은, 에이전트 엣지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상기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이 상기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customized distribution flow based on cloud service}
본 발명은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물류설비에 맞게 물류의 흐름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류는 물적유통(Physical Distribution)으로서 생산된 물품을 수송, 하역, 보관, 포장하는 과정과 유통가공이나 수송기초시설 등 물자유통 과정을 포함한다.
최근 온라인 쇼핑 수요의 급증과 빠른 배송의 소비자 요구에 따라 물류 흐름 관리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류설비의 증설, 물류흐름의 효율화, 그리고 이를 위한 물류관리 시스템이 점점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물류의 흐름은 다양한 물류설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물품의 입고부터 보관, 반송, 분류, 출하까지 각종 물류설비에 의해 물품이 관리되고 있다.
예컨대, 입고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설비,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설비,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분류설비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각종 물류설비에는 해당 물류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설비제어기가 제공되어 각 설비제어기에 의해 해당 물류설비가 제어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각각의 설비제어기가 자신의 물류설비의 동작만 제어를 할 뿐, 각각의 물류설비 간의 유기적인 동작에 대한 제어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위제어기가 각각의 설비제어기 간의 유기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지만, 물류설비의 규모가 커지고 동작이 많아짐에 따라 상위제어기의 부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오류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물류설비에 새로운 물류설비가 추가되거나 기존의 물류설비에서 동작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되는 경우 각각의 설비제어기뿐만 아니라 상위제어기에서 전체 제어 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물류 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일부 과정을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하는 경우에도 설비제어기 및 상위제어기에서 해당 과정에 대한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위제어기에서 제어 프로그램 전체를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에서 물류설비에 대응하는 물류흐름 설계를 위해서는 물류흐름 설계를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자단말에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큰 규모의 물류설비를 갖는 공장의 경우 전용 프로그램을 통한 물류흐름 설계시 프로그램이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34125호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물류설비에 맞춤형으로 물류의 흐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물류설비마다 필수기능을 표준기능으로 설정한 독립적인 제어모듈을 제공하고 제어모듈에 의해 물류설비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물류설비 간의 유기적인 동작을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물류설비에서 기능의 추가, 변경, 삭제가 가능하고, 물류 흐름의 추가, 변경, 삭제가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다수의 물류설비에 새로운 물류설비를 추가하거나 기존 물류설비의 삭제, 변경시에도 해당 물류설비의 제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에 물류설비에 맞는 물류흐름을 설계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서버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물류흐름을 설계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류흐름의 설계시 사용자단말의 위치에 대한 제약이 없고 통신이 가능하다면 언제 어디서든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쉽고 간편하게 물류흐름을 설계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방법은, 에이전트 엣지 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상기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이 상기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화면에 복수의 영역이 분할되어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복수의 물류설비 아이콘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서 물류설비 아이콘이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에 복사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복사된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등록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등록정보가 입력된 물류설비 아이콘 간 물류흐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 간에 인포트 및 아웃포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인포트와 아웃포트 간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등록정보 및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은, 상기 물류설비의 미리 정해진 표준기능을 설정한 제어모듈에 대응하고, 상기 인포트와 아웃포트 간 연결을 통해 상기 물류설비를 이용한 물류흐름이 설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등록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에서, 상기 물류설비의 타입, 설비명, 인포트 및 아웃포트의 개수가 입력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등록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일부분이 더블클릭되는 단계; 상기 일부분에 인포트 또는 아웃포트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인포트 또는 아웃포트가 설정되면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에 상기 설정된 인포트 또는 아웃포트가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이 복사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물류설비 아이콘이 상기 제2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되면 상기 제1 영역의 물류설비 아이콘이 상기 제2 역으로 복사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 간에 인포트 및 아웃포트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아웃포트가 선택된 후 연속으로 다른 물류설비 아이콘의 인포트가 선택되면 상기 연속으로 선택된 아웃포트와 인포트 간에 연결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등록정보가 입력된 물류설비 아이콘에서 상기 등록정보의 변경 및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삭제가 가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 간에 인포트 및 아웃포트를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영역에 복사된 물류설비 아이콘이 더블클릭되는 단계; 상기 더블클릭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물류설비를 구성하는 복수의 장비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장비 아이콘이 상기 제2 영역에 복사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복사된 상기 장비 아이콘의 등록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비 아이콘의 등록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등록정보가 입력된 장비 아이콘 간 물류흐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장비 아이콘 간에 인포트 및 아웃포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비 아이콘 간에 인포트 및 아웃포트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장비 아이콘의 아웃포트가 선택된 후 연속으로 다른 물류설비 아이콘의 인포트가 선택되면 상기 연속으로 선택된 아웃포트와 인포트 간에 연결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시스템은,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요청하는 에이전트 엣지 단말;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 간의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표시하는 화면을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화면에는 복수의 영역이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물류설비 아이콘이 상기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에 복사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복사된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등록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등록정보가 입력된 물류설비 아이콘 간 물류흐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 간에 인포트 및 아웃포트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물류흐름 설계를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부;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실행부를 실행시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류 흐름을 설계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이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에 복사하고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 간에 물류흐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 간에 인포트 및 아웃포트를 연결하고,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은, 상기 물류설비의 미리 정해진 표준기능을 설정한 제어모듈에 대응하고, 상기 인포트와 아웃포트 간에 연결된 물류설비의 각 제어모듈에 의해 물류흐름이 설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그램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에 복사된 물류설비 아이콘이 더블클릭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물류설비를 구성하는 복수의 장비의 아이콘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장비 아이콘이 상기 제2 영역에 복사되면 상기 복사된 장비 아이콘의 등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입력창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정보입력창에 등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장비 아이콘을 등록하며, 상기 등록된 장비 아이콘 간의 인포트 및 아웃포트를 연결하여 상기 물류설비 내의 장비 간에 물류흐름이 설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류의 흐름을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물류설비에 맞춤형으로 물류의 흐름을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물류설비마다 필수기능을 표준화한 표준기능을 설정한 제어모듈을 각 물류설비마다 독립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제어모듈을 통해 물류설비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 간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각각의 물류설비 간의 유기적인 기능이 상호 협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의 추가, 변경, 삭제를 통해 해당 물류설비의 기능을 추가, 변경, 삭제가 가능하며, 전체적으로 물류의 흐름을 유기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물류설비에서 기능의 추가, 변경, 삭제가 가능하고, 물류 흐름의 추가, 변경, 삭제가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물류설비에 새로운 물류설비를 추가하거나 기존 물류설비의 삭제, 변경시에도 해당 물류설비의 제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단말에 물류설비에 맞는 물류흐름을 설계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고 클라우드 서버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물류흐름을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류흐름의 설계시 사용자단말의 위치에 대한 제약이 없고 통신이 가능하다면 언제 어디서든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쉽고 간편하게 물류흐름을 설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에 할당된 제어모듈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 아이콘이 등록되는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가 제2 영역에 등록이 완료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 아이콘에서 인포트와 아웃포트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의 등록정보를 수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물류설비 아이콘을 등록한 화면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 간의 연결과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를 구성하는 장비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를 구성하는 장비들을 추가로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등록된 복수의 장비들 간의 연결과정을 표시한 화면의 일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의 일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방법에 적용되는 물류설비는 크게 보관설비(110), 반송설비(120), 픽킹설비(130), 분류설비(140)로 분류될 수 있다.
보관설비(110)는 물류의 흐름에서 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설비이다. 보관설비(110)의 대표적인 예로 랙(Rack) 설비가 있다. 최근 이러한 랙에 자동화설비를 구비한 AS/RS 랙과 셔틀(shuttle)랙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AS/RS(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랙은 팔레트 또는 박스 단위의 물품을 저층에서 고층의 셀에 보관하며, 작업지시에 따라 자동으로 입고와 출고를 해주는 설비이다.
AS/RS 랙은 크게 물품이 보관되는 셀이 구비되는 복수의 랙과, 랙 사이로 이동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에 설치되어 랙의 셀에 직접 물품을 로딩/언로딩하는 로딩/언로딩 장치와, 크레인 및 로딩/언로딩 장치를 제어하는 보관설비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보관설비 컨트롤러에 의해 크레인이 복수의 랙들 사이에 형성된 통로의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고 로딩/언로딩 장치가 상하로 이동하여 원하는 셀에 물품을 로딩/언로딩할 수 있다.
셔틀 랙은 팔레트를 적재하는 방식으로서 일반적인 드라이브 인 랙(Drive in rack)을 개선하여 셔틀이 팔레트를 이동시켜 적재하도록 하는 고밀도 적재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라이브 인 채널 위에서 셔틀이 제품을 이동시키며 작업자는 무선리모콘을 이용하여 제품의 적재 하역 및 정리까지 손쉽게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른 보관설비로서 물품을 픽커(picker)가 있는 곳에 보낼 수 있고 수직회전방식 또는 수평회전방식으로 물품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도록 구현된 회전랙(rotary rack), 보관용기 등에 담긴 작은 물품들을 보관 및 반송하기 위한 미니로드(miniload), 평지창고 등이 있다.
반송설비(120)는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한 설비이다. 이러한 반송설비(120)는 입고(10)에서 출고(20)까지 물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물품을 반송시킬 수 있다.
반송설비(120)의 대표적인 예로 무인운반차(AGV)와 컨베이어(conveyor) 등을 들 수 있다.
무인운반차(AGV:Automatic guided vehicle)는 무인으로 자동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설정된 위치로 물품을 운반하는 설비가 될 수 있다.
컨베이어는 롤러나 벨트 등을 이용하여 물품을 반송시키는 설비로서, 예컨대 트레이 상에 물품을 놓고 트레이를 이동시킴으로써 물품을 운반할 수 있다.
그외 다른 반송설비(120)로서 바닥에 다양한 형태의 레일을 설치하여 레일 상에서 이동하면서 물품을 운반하는 레일운반차(RGV:Rail Guided Vehicle)와,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운반차량이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OHT(Overhead Hoist Transport) 등이 있을 수 있다.
픽킹설비(130)는 보관설비(110)에 보관된 물품 및 반송설비(120)에 의해 운반되는 물품을 집어 올려서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는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픽킹설비(130)는 자동,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운영될 수 있다.
예컨대, 랙의 각 셀마다 물품의 품목이 설정되어 있고 픽킹설비가 픽킹하려는 물품의 물품정보와 실제 셀 및 물품에 부착된 물품정보를 확인하여 물품을 픽킹할 수 있다. 이렇게 픽킹된 물품은 다른 보관설비(110) 또는 다른 반송설비(120)로 반송될 수 있다.
일반적인 픽킹설비(130)는 픽킹로봇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IC 리더를 이용하여 물품에 부착된 IC 태그로부터 물품정보를 확인하고 파지수단을 이용하여 물품을 파지하여 다른 보관설비 또는 컨베이어로 반송시키도록 할 수 있다.
분류설비(140)는 반송되는 물품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설비이다. 예컨대, 분류설비(140)를 이용하여 컨베이어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면서 원하는 크기, 색상, 모델별로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
분류설비(140)의 대표적인 예로서 소터(Sorter), DAS 등을 들 수 있다.
소터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에 복수의 트레이를 설치하고 트레이에 물품을 놓은 후 컨베이어에 의해 물품이 반송되면서 기설정된 분류기준에 따라 트레이를 기울여 정해진 물품박스로 물품을 분류하도록 할 수 있다.
DAS(Disital Assorting System)는 예컨대 선반의 각 칸에 고객별로 할당된 물품의 물품정보를 확인하고 픽킹설비가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선반에 놓은 물품을 픽킹하되, 선반에 물품의 개수를 표시하는 디지털 표시기(LED)가 표시되어 픽킹할 개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물품을 고객별로 분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류 시스템에 사용되는 물류설비는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리고, 물류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물류설비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서로 보완적으로, 유기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일 예시와 같이 보관설비(110)에 반송설비(120)가 연결될 수 있고, 반송설비(120)는 픽킹설비(130)와 분류설비(140)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관설비(110)에 보관된 물품을 반송설비(120)를 이용하여 제2 보관설비(110) 및/또는 다른 반송설비(120)로 반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보관설비(110)에 하나 이상의 반송설비(120)가 연결될 수도 있다. 하나의 보관설비(110)에 복수의 반송설비(120)가 연결된 경우 물품은 작업지시에 따라 복수의 반송설비(1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통해 반송될 수 있다.
예컨대, 의류와 식품이 제1 보관설비(110)에 보관되어 있다가 서로 다른 보관설비(110)로 반송시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는 제1 반송설비를 이용하여 제2 보관설비(110)로 반송시키고 식품은 제2 반송설비를 이용하여 제3 보관설비(110)로 반송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보관설비(110)에 보관된 물품을 픽킹설비(130)가 픽킹하여 반송설비(120)로 반송시킬 수 있고, 분류설비(140)를 이용하여 반송설비(120)에 의해 반송중인 물품을 설정된 분류기준에 맞게 분류할 수도 있다.
한편, 각각의 물류설비에는 물품이 들어오는(입고/로딩되는) 인포트(Inport)와 물품이 나가는(출고/언로딩되는) 아웃포트(Outport)가 설정 및 구비될 수 있다. 즉, 인포트와 아웃포트는 실제 각 물류설비마다 물품이 들어오고 나가는 입구와 출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보관설비(110)의 경우 인포트를 통해 물품이 입고되어 크레인과 로딩/언로딩 장치에 의해 지정된 셀에 보관될 수 있다. 반대로, 크레인과 로딩/언로딩 장치에 의해 셀에서 물품을 언로딩하여 보관설비(110)의 아웃포트를 통해 물품이 출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반송설비(120)의 인포트를 통해 물품이 반송설비(120)로 로딩될 수 있고, 반송설비(120)의 아웃포트를 통해 물품이 반송설비(120)로부터 언로딩될 수 있다.
이때, 물품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각 물류설비 간에는 인포트와 아웃포트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물류설비에서 제2 물류설비로 물품을 반송시키기 위해서는 제1 물류설비의 아웃포트와 제2 물류설비의 인포트가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류 흐름의 설계시 상기와 같이 제1 물류설비의 아웃포트와 제2 물류설비의 인포트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설계해야 한다. 물류 흐름이 원활하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물류의 정확한 입/출고와 분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물류설비 간의 연결을 어떻게 설계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물류설비 간 인포트와 아웃포트의 연결을 쉽고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인포트와 아웃포트에 바람직하게는 해당 물품에 할당된 물품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에 의해 물품이 인포트와 아웃포트를 통과할 때 물품정보를 감지함으로써 물품의 흐름을 추적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200)은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 클라우드 서버(220), 통신망(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통신망(23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20)에 접속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220)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클라우드 서버(220)에서 제공하는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는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220)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통신망(23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2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H/W) 및 소프트웨어(프로그램)(S/W)를 탑재할 수 있다.
이러한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랩탑 컴퓨터, PC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20)는 통신망(230)로 접속한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로 기설정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220)는 통신망(230)을 통해 접속된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의 요청에 따라 물류흐름의 설계를 위한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는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에서 물류설비를 이용한 물류의 흐름을 온라인 상태에서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이 통신망(23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20)에 접속한 상태에서 클라우드 서버(220)에서 제공하는 물류흐름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물류흐름을 설계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따라서,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에는 물류설비를 이용한 물류흐름을 설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는 통신망(230)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클라우드 서버(220)에서 제공하는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상위컨트롤러(240) 및 설비컨트롤러(250)와 연결될 수 있다.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클라우드 서버(220)에서 제공하는 물류설비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를 진행한 후, 상기 물류흐름 설계 결과를 상위컨트롤러(240) 및 설비컨트롤러(2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위컨트롤러(240)의 물류 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영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물품의 보관, 반송, 픽킹, 분류에 대한 작업지시를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고, 설비컨트롤러(250)로부터 작업지시에 따른 작업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상위컨트롤러(240)와 설비컨트롤러(250) 사이에서 정보 및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상위컨트롤러(240)로부터 전송된 작업지시를 수신하여 작업지시에 따라 설비컨트롤러(250)로 작업명령을 전달하고 설비컨트롤러(250)로부터 작업명령에 따라 작업결과를 수신하여 상위컨트롤러(240)로 전달할 수 있다.
설비컨트롤러(250)는 물류설비(260)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물류설비(26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게 보관설비(110), 반송설비(120), 픽킹설비(130) 및 분류설비(140)가 될 수 있다. 설비컨트롤러(250)는 자신과 연결된 각각의 물류설비(2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설비컨트롤러(250)는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과 통신하며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로부터 전송받은 작업명령에 따라 물류설비(260)의 동작을 수행하며 물류설비(260)의 작업결과를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보관설비(110)의 설비컨트롤러(250)는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물품의 출하작업지시에 따라 크레인을 동작시켜 해당 물품이 있는 셀로 반송하여 로딩/언로딩 장치가 해당 물품을 언로딩하여 출하작업지시에 지정된 반송설비(120)로 반송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각각의 물류설비(260)에서 동작하는 필수기능을 표준화하여 설정한 제어모듈을 탑재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은 물류설비(260)의 필수기능을 표준기능으로 설정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표준기능은 각각의 물류설비(260)마다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컨대 보관설비(110)에 설정된 표준기능은 지정된 랙의 셀에서 물품을 언로딩하여 다른 지정된 셀로 반송하는 기능, 특정 셀의 물품을 언로딩하여 지정된 반송설비(120)로 로딩하는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각 물류설비(260)마다 제어모듈이 일대 일로 할당될 수 있다. 즉, 도 3의 일례와 같이 각각의 물류설비(260)마다 각각 제어모듈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보관설비(110)의 제어모듈은 AS/RS 랙의 제어모듈, 서틀랙의 제어모듈이 설정될 수 있다. 반송설비(120)의 제어모듈은 컨베이어의 제어모듈, OHT의 제어모듈이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어모듈은 각각의 물류설비(260)마다 동작에 필요한 최적의 기능들을 표준화하여 표준기능으로 설정한 제어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에 제어모듈이 탑재되면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기설정된 표준기능에 따라 작업명령을 설비컨트롤러(25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관설비의 제1 인포트를 통해 입고된 제1 물품을 제1 보관설비의 제1 셀에 로딩하고, 제1 보관설비의 제2 셀에서 보관된 제2 물품을 언로딩하여 제1 아웃포트로 반송시키는 표준기능의 제어모듈이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에 탑재된 경우,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해당 제어모듈에 설정된 표준기능에 따라 해당 표준기능을 수행하도록 설비컨트롤러(250)로 작업명령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에 설비컨트롤러(250)는 이러한 작업명령에 따라 물류설비(260)를 직접 구동시켜 상기 표준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은 각각의 물류설비(260)마다 독립적으로 설정, 추가, 변경, 삭제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물류설비(260)별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제어모듈은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에 독립적으로 탑재 및 제거될 수 있다.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에 제어모듈이 탑재 및 제거되면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는 제어모듈의 탑재 및 제거 정보를 상위컨트롤러(2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상위컨트롤러(240)는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작업지시를 전달할 수 있다.
전체적인 물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서는 각 물류설비(260) 간 연결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각 물류설비(260)의 제어모듈을 효과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설계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른 종류의 물류설비를 이용하여 맞춤형으로 물류 흐름을 설계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각 물류설비에 설정된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물류 흐름 설계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220)는 저장부(310), 프로그램실행부(320), 통신부(330) 및 서버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물류흐름 설계를 위해 설정된 전용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데이터 및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310)는 물류흐름 설계를 위해, 후술될 제어모듈의 아이콘을 선택, 반송 및 삭제하고, 제어모듈 간의 연결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실행부(32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전용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물류흐름의 설계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그램실행부(340)에 의해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물류흐름의 설계가 진행되는 동안 진행상태 및 관련정보가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통신망(23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망(230)을 통해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340)는 클라우드 서버(2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서버제어부(3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 및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실행부(320)를 실행시켜 물류흐름의 설계 과정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340)는 프로그램실행부(340)에 의해 물류흐름 설계를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화면에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통신부(330)를 통해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 과정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물류설비의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는 바람직하게는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이 요청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220)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23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20)에 접속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220)에서 제공하는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에는 물류설비의 등록을 위한 화면(40)이 표시될 수 있다.
화면(40)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41)에는 복수의 물류설비의 아이콘(44)이 표시될 수 있다. 물류설비 아이콘(44)은 해당 물류설비의 제어모듈에 대응하는 아이콘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물류설비 아이콘(44)을 등록한다는 것은 해당 물류설비의 제어모듈을 등록한다는 것이며, 나아가 제어모듈에 설정된 해당 물류설비의 표준기능을 등록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영역(41)에 보관설비 아이콘(44a), 반송설비 아이콘(44b), 픽킹설비 아이콘(44c), 분류설비 아이콘(44d) 등이 표시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영역(41)에서는 물론 다른 종류의 물류설비 아이콘들도 추가로 표시될 수도 있고, 기존에 표시된 아이콘들이 변경 및 삭제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 아이콘을 등록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영역(41)에 표시된 물류설비 아이콘(44)은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다른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drop & drop)될 수 있고, 다른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되면 해당 영역에 물류설비 아이콘(44)이 복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영역에 물류설비 아이콘(44)이 복사되면 해당 영역에 물류설비 아이콘(44)이 등록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물류설비의 제어모듈의 등록을 의미한다. 도면에는 일례로 보관설비 아이콘(44a)이 제1 영역(41)에서 제2 영역(42)으로 복사되어 등록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영역(41)은 복수의 물류설비 아이콘(44)을 모아서 표시하는 영역이고, 제2 영역(42)은 물류설비 아이콘(44)가 등록되는 영역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영역(42)에서 하나 이상의 물류설비 아이콘(44)를 등록하고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등록된 물류설비를 이용한 전체적인 물류흐름을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에이전트 엣지 단말(210)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영역(42)에 물류설비 아이콘(44)이 복사되면 제2 영역(42)에 해당 물류설비의 제어모듈을 등록될 수 있다. 도면에는 셔틀랙의 보관설비 아이콘(44a)이 등록되는 일례가 도시된다.
제1 영역(41)으로부터 보관설비 아이콘(44a)이 제2 영역(42)에 드래그 앤 드롭되어 복사되면 해당 보관설비의 등록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등록입력창(45a)가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보관설비에 대한 등록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입력된 등록정보는 저장되어 등록이 완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등록정보는 물류설비의 타입, 코드, 설비명, 인터페이스IP, 인포트/아웃포트의 개수, 인포트/아웃포트의 ID, 사용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류설비의 타입은 보관설비, 반송설비, 픽킹설비, 분류설비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고, 코드는 기설정된 각 설비를 구분하는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설비명은 각 설비마다 구체적인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타입이 보관설비인 경우 AS/RS 랙, 셔틀랙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IP는 각 설비 간의 유무선통신을 위해 설정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물류설비에서 사용할 인포트/아웃포트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인포트/아웃포트의 개수는 0(zero) 또는 1개 이상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인포트/아웃포트를 식별하기 위해 인포트/아웃포트 ID도 추가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물류설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코드와 물류설비의 사용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물류설비를 등록한 후 해당 물류설비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여부를 Y로 설정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여부를 N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류설비마다 등록정보가 등록되면 저장부(330)에 물류설비와 관련된 등록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각각의 물류설비(44)가 제2 영역(42)에 등록되는 것이다. 물론, 다른 물류설비 아이콘(44b,44c,44d)도 동일한 과정으로 등록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가 제2 영역에 등록이 완료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영역(42)에 물류설비 아이콘이 등록이 완료되면 등록정보의 일부가 아이콘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는 일례로 보관설비 아이콘(44a)이 등록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보관설비는 Rack 보관설비로서 구체적으로 셔틀랙 #1의 보관설비가 등록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Rack 보관설비는 등록정보의 입력시 설정된 인포트 및 아웃포트의 개수에 따라 인포트와 아웃포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인포트는 좌측 하단부에 표시될 수 있고, 아웃포트는 우측 하단부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포트와 아웃포트는 물류설비 아이콘(44)의 등록시가 아니라 제2 영역(42)에 표시된 물류설비 아이콘(44)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 아이콘에서 인포트와 아웃포트를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물류설비 아이콘(44)이 제1 영역(41)에서 제2 영역(42)에 드래그 앤 드롭되어 복사된 후 해당 물류설비에 대한 등록정보를 입력하는 대신, 물류설비 아이콘(44)의 왼쪽 하단부를 클릭하여 인포트를 설정할 수 있고, 오른쪽 하단부를 클릭하여 아웃포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인포트와 아웃포트의 설정은 개수뿐만 아니라 위치의 지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포트와 아웃포트의 위치는 당연히 변경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물류설비 아이콘(44)의 왼쪽 하단부와 오른쪽 하단부를 클릭하여 인포트 및 아웃포트를 설정하면 도 7과 동일하게 표시되어 등록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42)에 복사된 물류설비 아이콘(44)의 등록정보는 수정될 수 있고 물류설비 아이콘(44)의 삭제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3 영역(43)에는 제2 영역(42)에 등록된 물류설비 아이콘(44)의 등록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설비수정 버튼(43b) 및 물류설비 아이콘(44)을 삭제할 수 있는 설비삭제 버튼(43c)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의 등록정보를 수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영역(42)에 등록된 물류설비 아이콘(44)이 선택된 후 설비수정 버튼(43b)이 클릭되면, 등록정보의 수정을 위한 수정입력창(45b)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입력부(31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정입력창(45b)에서 기등록된 물류설비의 등록정보이 수정될 수 있다.
도면에는 일례로 셔틀랙의 보관설비 아이콘(44a)에 대한 등록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입력창(45b)이 표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41)에 표시된 복수의 물류설비 아이콘(44)이 제2 영역(42)에 등록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필요한 물류설비 아이콘(44)을 제2 영역(42)에 등록함으로써 해당 물류설비의 제어모듈을 등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물류설비 아이콘을 등록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에는 일례로 보관설비로서 Rack 설비의 아이콘(44a), 반송설비로서 컨베이어 설비의 아이콘(44b) 및 분류설비로서 소터의 아이콘(44c)가 등록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각 아이콘의 등록에 의해 Rack 설비의 제어모듈, 컨베이어 설비의 제어모듈, 소터 설비의 제어모듈이 등록되는 것이다.
이들 각각의 제어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설비의 표준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모듈이 하위컨트롤러(220)에 탑재되면 하위컨트롤러(220)에 의해 이들 표준기능에 의해 각 설비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10은 일례이며, 픽킹설비도 추가될 수 있고, 소터 설비가 삭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물류 흐름 설계방법에서는 이들 물류설비 간의 상호 연결이 중요하다. 경우에 따라 각각의 물류설비 내에서 물류의 흐름이 진행될 수 있지만, 물류 시스템 전체적인 측면에서는 물품의 입고부터 보관, 반송, 픽업, 분류, 출고까지 전체적인 물류의 흐름을 위해서는 각 물류설비 간의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들 물류설비 간의 연결을 위해 물류설비 아이콘 간의 연결이 먼저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류설비 아이콘 간의 연결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물류설비에 적용함으로써 물류설비 아이콘 연결의 설계에 따라 물류설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물류설비의 연결에 의해 물류의 흐름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물류설비 아이콘의 연결은 각 물류설비의 인포트와 아웃포트를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물류의 흐름을 고려하여 물류설비 간의 인포트와 아웃포트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 간의 연결과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물류설비 아이콘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인포트 및 아웃포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한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상 일례로 Rack 설비 아이콘(44a), 컨베이어 설비 아이콘(44b), 소터 설비 아이콘(44c)가 도시되어 있다.
물품 흐름의 설계시, 예컨대 물품이 Rack 설비에서 컨베이어 설비로 반송되고 컨베이어 설비에서 다시 소터에 의해 분류되는 것으로 설계하는 경우, Rack 설비 아이콘(44a)의 아웃포트와 컨베이어 설비 아이콘(44b)의 인포트를 연결하고, 계속해서 컨베이어 설비 아이콘(44b)의 아웃포트와 소터 설비 아이콘(44c)이 인포트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포트와 아웃포트 간에 연결시, 연결하고자 하는 아이콘의 아웃포트를 먼저 선택(또는 클릭)하고, 이후 연속으로 연결할 다른 아이콘의 인풋을 선택(또는 클릭)하면, 연속으로 선택된 아웃포트와 인포트가 선(점선)으로 자동 연결될 수 있다. 표시부(340)는 이러한 물류설비 아이콘 간 인포트 및 아웃포트의 연결(46)을 화면(40)에 표시할 수 있다.
도면의 일례와 같이 연결이 완료되어 저장되면, 이에 대응하는 물류의 흐름이 설계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대응하는 물류의 흐름은 Rack 설비(44a)의 아웃포트 -> 컨베이어 설비(44b)의 인포트 -> 컨베이어 설비(44b)의 아웃포트 -> 소터 설비의 인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은 Rack 설비에 보관된 후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면서 소터에 의해 분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입력부(310)를 통한 조작에 의해 각 물류설비에 대응하는 제어모듈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해당 물류설비를 이용한 물류의 흐름을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각 물류설비의 표준기능을 대응하는 제어모듈을 각 물류설비마다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하고, 물류설비를 이용한 물류의 흐름을 설계하는 경우 물류설비에 대응하는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설계함으로써 쉽고 편하게 맞춤형 물류 흐름을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류설비를 구성하는 내부 장비를 이용한 물류의 흐름을 설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화면(40)의 제2 영역(42)에 등록된 물류설비 아이콘(44)은 해당 물류설비를 구성하는 장비들을 추가로 등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를 구성하는 장비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물류설비는 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장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들 복수의 장비를 사전에 등록하고, 등록된 장비들을 이용하여 각 물류설비 내에서의 물류 흐름을 설계할 수 있다.
예컨대, 보관설비로서 랙(Rack)은 로딩포트, 언로딩포트, 셀(cell), 셀링커(크레인, 셔틀 등)의 장비들이 포함될 수 있다. 반송설비로서 컨베이어(Conveyor)는 로딩포트, 언로딩포트, 버퍼 등의 장비들이 포함될 수 있다. 피킹설비로서 DPS는 로딩포트, 언로딩포트, 픽킹포트, 픽킹셀 등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고, 분류설비로서 소터(Sorter)는 로딩포트, 언로딩포트, 분류셀, 슈트(shute) 등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장비들의 리스트는 제1 영역(41)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영역(42)에 있는 물류설비 아이콘이 더블클릭되는 경우, 도 12의 (a)~(d)와 같이 제1 영역(41)에서 그 더블클릭된 해당 물류설비 아이콘과, 그 아래에 해당 물류설비 아이콘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비들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물류설비를 구성하는 복수의 장비들을 추가로 등록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설비를 구성하는 장비들을 추가로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영역(42)에 복사된 물류설비 아이콘(44)을 선택(예:더블클릭)하면 해당 물류설비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대한 장비아이콘(441)이 제1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41)에 표시된 장비아이콘(441)을 제2 영역(42)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제2 영역에 상기 장비아이콘(441)를 복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류설비 아이콘(44)를 더블클릭한 후 장비아이콘(441)을 제2 영역(42)로 복사하게 되면 해당 장비에 대한 등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442)이 자동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창(442)에 해당 장비의 등록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면에는 일례로 Rack 설비의 아이콘을 더블클릭한 후 로딩포트(441a)가 등록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장비들, 예컨대 언로딩포트, 셀, 셀링커 등도 동일하게 복사 및 등록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장비들마다 물품이 들어오는 입구인 인포트와 물품이 나가는 출구인 아웃포트를 추가로 등록할 수 있다. 이는 각 장비를 이용하여 물류의 흐름을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등록된 복수의 장비들 간의 연결과정을 표시한 화면의 일 예시도이다.
도 14에는 일례로 Rack 설비를 구성하는 장비로서, 로딩포트(441a), 제1셀링커(크레인)(441b), 셀(441c), 제2셀링커(셔틀)(441d), 언로딩포트(441e)가 등록 및 연결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물류설비마다 추가되는 장치는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와 같이 제1셀링커(441b)에는 물품이 들어오는 입구로서 인포트와 물품이 나가는 출구로서 아웃토트를 추가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셀(441c)과 제2셀링커(441d)의 장비에도 각각 인포트와 아웃포트가 추가로 등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로딩포트와 언로딩포트, 그리고 각 장비마다 인포트와 아웃포트를 추가 등록함으로써 각 장비마다 물품의 흐름을 설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장비마다 아웃포트와 인포트를 서로 연결(46)함으로써 해당 물류설비 내에서 물류의 흐름이 설계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의 일례에서, 로딩포트(441a)는 제1셀링커(441b)의 인포트와 연결되고, 제1셀링커(441b)의 아웃포트는 셀1행(441c)의 인포트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셀(441c)의 아웃포트는 제2셀링커(441d)의 인포트와 연결되고 제2셀링커(441d)의 아웃포트는 언로딩포트(441e)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보관설비를 구성하는 각 장비간의 연결(46)을 통해 해당 보관설비 내에서의 물류흐름을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물류흐름은 로딩포트(441a) -> 제1셀링커(441b)의 인포트 -> 제1셀링커(441b)의 아웃포트 -> 셀1행(441c)의 인포트 -> 셀1행(441c)의 아웃포트 -> 제2셀링커(441d)의 인포트 -> 제2셀링커(441d)의 아웃포트 -> 언로딩포트(441e)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보관설비로 입고된 물품은 상기 흐름에 따라 보관설비로부터 출고되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부(310)를 이용한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실행부(330)를 통해 상기와 같이 물류설비 간에, 그리고 물류설비 내에서의 물류흐름을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 보관설비 120 : 반송설비
130 : 픽킹설비 140 : 분류설비
210 : 클라우드 서버 220 : 에이전트 엣지 단말
230 : 통신망 240 : 상위컨트롤러
250 : 설비컨트롤러 250 : 물류설비
310 : 저장부 320 : 프로그램실행부
330 : 통신부 340 : 제어부

Claims (13)

  1. 복수의 물류설비와, 전달된 작업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물류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물류설비의 작업결과를 전송하는 설비컨트롤러와, 상기 복수의 물류설비에 설정된 제어모듈이 탑재되고 전달된 작업지시에 따른 작업명령을 상기 설비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상기 설비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작업결과를 전송하는 하위컨트롤러와, 상기 물류설비를 이용한 상기 물품의 보관, 반송, 픽킹, 분류에 대한 상기 작업지시를 상기 하위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하위컨트롤러로부터 전달된 작업결과를 수신하는 상위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물류 흐름 시스템에 대한 클라우드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에 있어서,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요청하는 에이전트 엣지 단말;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 간의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물류흐름 설계 서비스를 표시하는 화면을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에이전트 엣지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화면에 복수의 영역이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물류설비 아이콘이 상기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에 복사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복사된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등록정보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등록정보가 입력된 물류설비 아이콘에 대응하는 실제 물류설비에서의 물류흐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물류설비에서 물품이 들어오고 나가는 입구와 출구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인포트 및 아웃포트를 연결하고, 상기 인포트와 아웃포트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등록정보 및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 간의 인포트 및 아웃포트의 연결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복사된 물류설비 아이콘이 더블클릭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물류설비를 구성하는 복수의 장비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장비 아이콘이 상기 제2 영역에 복사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복사된 상기 장비 아이콘의 등록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복수의 물류설비는,
    물류의 흐름에서 물품을 로딩/언로딩하여 상기 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보관설비, 상기 물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반송설비, 상기 보관설비에 보관된 물품 및 상기 반송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물품을 집어 올려서 다른 곳으로 옮기기 위한 픽킹설비, 상기 반송설비에 의해 이송되는 물품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인포트와 아웃포트에는 상기 물품에 할당된 물품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물품이 상기 인포트와 아웃포트를 통과할 때 상기 센서가 물품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물품의 이동에 따른 상기 물류의 흐름을 추적하고,
    상기 등록정보는 상기 물류설비의 타입, 코드, 설비명, 인터페이스IP, 인포트/아웃포트의 개수, 인포트/아웃포트의 ID 및 사용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설비는 AS/RS랙, 셔틀랙, 회전랙, 미니로드, 평지창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설비는 무인운반차(AGV), 컨베이어, 레일운반차(RGV), OH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픽킹설비는 물품을 파지하여 픽킹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분류설비는 소터, DA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은 상기 제어모듈에 일대 일로 대응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물류설비의 미리 정해진 표준기능이 설정되며, 상기 표준기능은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에 대응하는 물류설비에서 상기 물품의 보관, 반송, 픽킹, 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상기 인포트와 아웃포트 간에 연결된 물류설비의 각 제어모듈의 표준기능 및 상기 인포트와 아웃포트 간의 연결에 의해 물류흐름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등록정보 입력시, 상기 물류설비의 타입, 설비명, 인포트 및 아웃포트의 개수가 입력되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등록정보가 입력된 이후에,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일부분이 더블클릭되면 상기 일부분에 인포트 또는 아웃포트가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인포트 또는 아웃포트가 설정되면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에 상기 설정된 인포트 또는 아웃포트가 표시되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복사 시,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물류설비 아이콘이 상기 제2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되면 상기 제1 영역의 물류설비 아이콘이 상기 제2 역으로 복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 간에 인포트 및 아웃포트의 연결 시,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아웃포트가 선택된 후 연속으로 다른 물류설비 아이콘의 인포트가 선택되면 상기 연속으로 선택된 아웃포트와 인포트 간에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록정보가 입력된 물류설비 아이콘에서 상기 등록정보의 변경 및 상기 물류설비 아이콘의 삭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장비 아이콘의 등록정보가 입력된 이후에, 상기 등록정보가 입력된 장비 아이콘 간 물류흐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장비 아이콘 간에 인포트 및 아웃포트를 연결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장비 아이콘 간에 인포트 및 아웃포트의 연결 시, 상기 장비 아이콘의 아웃포트가 선택된 후 연속으로 다른 물류설비 아이콘의 인포트가 선택되면 상기 연속으로 선택된 아웃포트와 인포트 간에 연결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082924A 2020-07-06 2020-07-06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248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924A KR102248856B1 (ko) 2020-07-06 2020-07-06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US17/798,713 US20230131863A1 (en) 2020-07-06 2021-05-24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customized logistics flow based on cloud service
PCT/KR2021/006420 WO2022010096A1 (ko) 2020-07-06 2021-05-24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EP21837619.2A EP4177690A1 (en) 2020-07-06 2021-05-24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customized logistics flow based on cloud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924A KR102248856B1 (ko) 2020-07-06 2020-07-06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856B1 true KR102248856B1 (ko) 2021-05-07

Family

ID=7591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924A KR102248856B1 (ko) 2020-07-06 2020-07-06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31863A1 (ko)
EP (1) EP4177690A1 (ko)
KR (1) KR102248856B1 (ko)
WO (1) WO20220100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96A1 (ko) *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알티올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9745A (ko) * 2007-05-21 2010-03-17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온사이트 시스템 구축 지원 툴
KR102034125B1 (ko) 2018-11-23 2019-10-29 박명근 물류 장비 제작을 위한 맞춤 설계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017B1 (en) * 2000-01-20 2004-08-03 Fisher-Rosemount Systems, Inc. Tool for configuring and managing a process control network including the use of spatial information
FR2956224B1 (fr) * 2010-02-09 2012-11-02 Somfy Sas Procede de fonctionnement d'un dispositif de commande d'equipements domotiques
CN104020875A (zh) * 2014-05-13 2014-09-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触控组件、设备控制方法、控制器及电子设备
KR101507995B1 (ko) * 2014-12-29 2015-04-08 주식회사 에이드 지능형 예측분석시스템
KR20180105520A (ko) * 2017-03-15 2018-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리 및 시뮬레이션 장치
KR102248856B1 (ko) * 2020-07-06 2021-05-07 주식회사 알티올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9745A (ko) * 2007-05-21 2010-03-17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온사이트 시스템 구축 지원 툴
KR102034125B1 (ko) 2018-11-23 2019-10-29 박명근 물류 장비 제작을 위한 맞춤 설계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96A1 (ko) *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알티올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7690A1 (en) 2023-05-10
WO2022010096A1 (ko) 2022-01-13
US20230131863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02205B (zh) 订单任务的拣选系统、处理方法、装置、服务器和介质
US106326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including a zone gantry system
CN109598444B (zh) 货物分发方法、系统、控制服务器及计算机存储介质
CN108100547B (zh) 可用于邮件、包裹和单件物品的自动化存取货仓库保管系统
US9063538B2 (en) Article processing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21535053A (ja) 荷物搬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10008857A (ko) 오더 처리 방법 및 장치, 서버 및 저장 매체
CN112224733B (zh) 仓储管理系统及方法
CN113844812B (zh) 入库盘点运输系统、物品入库方法、装置、设备和介质
WO2022050465A1 (ko)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CN109747897A (zh) 基于用户订单的物品装箱方法、装置及控制系统
JP7084257B2 (ja) ピッキング支援システムおよび支援方法
CN112455983B (zh) 物品的出库方法及装置
KR102248856B1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248855B1 (ko)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장치 및 방법
JP5242633B2 (ja) 物品仕分システム
CN112232726A (zh) 拣货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JP7199848B2 (ja) ピッキング支援方法
CN113283826B (zh) 物品的出库方法及系统
CN114565333A (zh) 一种仓库的物品管理方法和装置
CN114535143A (zh) 物流货物拣选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441364A (zh) 一种自动化仓库的容器入库或回库方法和装置
CN112278692A (zh) 基于立体仓库的仓储处理方法及装置、设备和介质
CN114476472B (zh) 一种仓库输送系统的控制方法和装置
CN112374010B (zh) 边缘拣选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