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854B1 - Substrate transfer facility for vertical continuous plating facility - Google Patents
Substrate transfer facility for vertical continuous plating fac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8854B1 KR102248854B1 KR1020207036868A KR20207036868A KR102248854B1 KR 102248854 B1 KR102248854 B1 KR 102248854B1 KR 1020207036868 A KR1020207036868 A KR 1020207036868A KR 20207036868 A KR20207036868 A KR 20207036868A KR 102248854 B1 KR102248854 B1 KR 1022488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ubstrate
- rail
- clamping part
- fasten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65G49/0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65G49/0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 B65G49/0409—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specially adapted for workpieces of definite length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25D17/08—Supporting racks, i.e. not for suspend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direct electrop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기판을 도금 구간에서 연속 이송하기 위한 기판이송설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인프레임; 기판이 장착되는 기판장착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장착부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 상기 기판을 상기 레일부로 로딩시키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초기 구간 이동시키는 로딩부; 상기 기판장착부에 구비되는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와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판장착부를 이송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기판이송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판이송설비는 도금 품질을 개선하고, 기판 간 도금 편차를 줄일 수 있다.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is provided for continuously transferring substrat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plating sec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frame; A substrate mounting portion on which a substrate is mounted; A rail unit disposed on the main frame and providing a transfer path for the substrate mounting unit; A loading unit for loading the substrate onto the rail unit and moving the initial section along the rail unit; A clamping part provided in the substrate mounting part; And a wire unit formed to be coupled to and disengaged from the clamping unit to transfer the substrate mounting unit.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plating quality and reduce plating variation between substrates.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판이송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기판을 도금 구간에서 연속 이송하기 위한 기판이송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for continuously transferring a substrat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plating section.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등 평판 형태의 기판을 도금하기 위한 설비로서 수직형 연속 도금 설비(vertical continuous platting; VCP)가 알려져 있다. 수직형 연속 도금 설비는 이송 방향으로 연장된 도금조에 기판을 침지시킨 상태로 이송하며 기판 표면 등을 도금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As a facility for plating a flat substrate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 vertical continuous plating facility (VCP) is known. In the vertical continuous plating facility, the substrate is immersed in a plating bath extending in the transfer direction, and the substrate surface is plated.
상기와 같은 수직형 연속 도금 설비에서 도금 구간 내 기판을 이송하기 위해 기판이송설비가 사용된다. 기판이송설비는 복수의 기판을 소정 간격으로 연속 이송하도록 이뤄지며, 현재는 체인을 사용한 이송 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In the vertical continuous plating facility as described above,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is used to transfer the substrate within the plating section.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transfer a plurality of substrat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transfer method using a chain is now commonly used.
다만, 상기와 같은 체인 이송 방식은 현재까지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대표적으로, 체인은 장기간 사용 시 변형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도금 구간에서 기판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체인은 구조적 특성상 일정한 맥동이나 진동을 유발하며, 이러한 맥동 등이 도금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도 지적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은 결국 기판의 도금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불규칙한 도금 편차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최근의 전자 기기 등은 극도로 경박단소화가 추구되고 있어,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고, 기판의 도금 품질이 보다 중요시되고 있다.However, the chain transfer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revealed many problems to date. Typically, the chain is deformed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reb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strate spacing is not kept constant in the plating section. In addition, the chain causes a certain pulsation or vibration due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blem that such pulsation or the like adversely affects the plating quality is also pointed out. These problems may eventually deteriorate the plating quality of the substrate or cause irregular plating deviation. In particular, in recent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extremely light, thin, and short reduction is sought, and high precision is required, and the plating quality of the substrate is more important.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0399호(발명의 명칭: 도금용 행거 이송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4414호(발명의 명칭: 도금장치의 행거 이송기구) 등 새로운 이송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그 활용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Accordingly, new transfer methods such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30399 (name of the invention: a hanger transfer device for plating), Korean Registration Patent No. 10-1434414 (name of the invention: a hanger transfer device for plating apparatus) have been proposed. However, its utilization is not high.
본 발명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기판을 도금 구간에서 연속 이송하기 위한 기판이송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for continuously transferring a substrat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plating section.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이송 중 맥동, 흔들림 등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기판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판이송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pulsation and shaking during transfer of substrates and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substrates.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도금 품질을 개선하고, 기판 간의 도금 편차를 줄일 수 있는 기판이송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capable of improving the plating quality of a substrate and reducing plating variation between substrat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기판을 도금 구간에서 연속 이송하는 기판이송설비에 있어서, 메인프레임; 기판이 장착되는 기판장착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장착부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 상기 기판을 상기 레일부로 로딩시키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초기 구간 이동시키는 로딩부; 상기 기판장착부에 구비되는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와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판장착부를 이송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기판이송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for continuously transferring a substrat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plating section, comprising: a main frame; A substrate mounting portion on which a substrate is mounted; A rail unit disposed on the main frame and providing a transfer path for the substrate mounting unit; A loading unit for loading the substrate onto the rail unit and moving the initial section along the rail unit; A clamping part provided in the substrate mounting part; And a wire unit formed to be coupled to and disengaged from the clamping unit to transfer the substrate moun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이송설비는 와이어를 통한 이송 방식을 통해 기존 체인, 벨트 방식 등과 대비하여 이송 중 기판의 맥동, 흔들림 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의 도금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pulsation and vibration of a substrate during transfer compared to an existing chain or belt method through a transfer method through a wire. Accordingly, the plating quality of the substrat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이송설비는 도금 처리 시 기판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고, 와이어의 강성을 통해 최초 설정된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 간의 도금 편차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 개선에도 일부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pacing between substrates during the plating process, and the initially set spacing may be kept constant through the rigidity of the wi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lating deviation between substrates, and may contribute in part to productivity improvement.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설비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로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로딩부의 정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슬라이드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장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기판장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클램핑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클램핑부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클램핑부의 제1작동상태도이다.
도 4d는 도 4a에 도시된 클램핑부의 제2작동상태도이다.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제1작동상태도이다.
도 5b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제2작동상태도이다.
도 5c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제3작동상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front view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1C is a side view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1D is a plan view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2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oading unit shown in FIG. 1A.
2B is a front view of the loading unit shown in FIG. 2A.
2C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unit shown in FIG. 2A.
3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bstrate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1A.
3B is a front view of the substrate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3A.
4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part shown in FIG. 1A.
Figure 4b is a side view of the clamping portion shown in Figure 4a.
4C is a first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clamping unit shown in FIG. 4A.
4D is a second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clamping unit shown in FIG. 4A.
5A is a first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5B is a second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5C is a third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omit it.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설비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평면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front view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1C is a side view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1D is a plan view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편의상, 도 1a 등에 표시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은 좌우 방향, y축 방향은 전후 방향, z축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지칭한다.For convenience, the x-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eft-right direction, a y-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front-rear direction, and a z-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coordinate axis shown in FIG.
도 1a 내지 1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판이송설비(10)는 기판(1)의 이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1A to 1D, the
기판(1)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를 포함할 수 있다.The
기판이송설비(10)는 기판(1)으로의 도금(plating)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기판(1)은 기판이송설비(10)에 의해 이송되며 도금 처리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은 기판이송설비(10)에 의해 이송되며 동(copper) 또는 동 합금(copper alloy)으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The
다만, 기판이송설비(10)가 반드시 도금 처리 등에 한정되어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예컨대, 기판이송설비(10)는 상하로 배치된 기판(1)을 소정 평면 상에서 이송하면서, 소정의 가공 처리를 하고, 이에 정밀한 진동, 간격 등의 제어가 요구되는 분야, 용도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However, the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도금"은 대체로 전기도금을 의도하나, 융해금속침지도금, 용사분무도금, 증착도금, 음극분무도금 등 공지된 다른 방식의 도금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각종 표면처리 가공을 넓게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plating" described herein is generally intended for electroplating, but does not exclude other known methods of plating such as molten metal immersion plating, thermal spray plating, evaporation plating, and cathode spray plating. In addition, in some cases, various surface treatment processes may be widely included.
경우에 따라, 기판이송설비(10)는 도금 설비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기판이송설비(10)는 도금 설비 내에서 기판(1)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도금 설비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의 도금 설비는 기판(1)이 수직으로 세워져 이송되며, 기판(1)의 표면 등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도금을 수행하는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도금 설비는 당업계에서 수직형 연속 도금 설비(vertical continuous platting; VCP)로 지칭되고 있다.In some cases, the
전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기판이송설비(10)는 메인프레임(100), 기판(1)이 장착되는 기판장착부(200), 기판장착부(200)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300), 기판(1)을 레일부(300)로 로딩 및 언로딩하는 로딩부(400) 및 언로딩부(500), 기판장착부(200)에 구비되어 와이어부(700)에 결합 가능한 클램핑부(600), 클램핑부(600)에 결합되어 기판장착부(200)를 일측(도면상, 좌측)으로 이송하는 와이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Overall, the
개략적인 작동을 보면, 기판장착부(200)에 기판(1)이 장착되고, 기판장착부(200)가 초기 위치(도면상, 우측단)로 배치된다. 이어서, 로딩부(400)가 클램핑부(600)에 체결되고, 기판장착부(200)는 로딩부(400)에 구비된 플랩(472)에 의해 레일부(300)을 따라 일측(도면상, 좌측)으로 이송된다. 기판장착부(200)가 로딩부(400)의 일측단(도면상, 좌측단)으로 이송되면, 클램핑부(600)가 와이어부(700)에 체결되고, 클램핑부(600)는 로딩부(400)와 결합해제된다.Looking at the schematic operation, the
이어서, 기판장착부(200)는 와이어부(700)에 의해 일측(도면상, 좌측)으로 이송되고, 이송 과정에서 소정의 도금 설비를 통해 도금 처리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a 등에서 도금 설비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기판장착부(200)가 와이어부(700)의 일측단(도면상, 좌측단)으로 이송되면, 언로딩부(500)가 클램핑부(600)에 체결되고, 클램핑부(600)는 와이어부(700)로부터 결합해제된다. 또한, 언로딩부(500)는 기판장착부(200)를 레일부(300)의 일측단(도면상, 좌측단)을 향해 이송한다.Subsequently, the
언로딩부(500) 이후 기판(1)은 필요한 다음 공정을 적절히 거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은 수세 과정을 거쳐 다음 공정으로 전달될 수 있고, 기판장착부(200)는 기판(1)과 분리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언로딩부(500) 이후의 공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After the
상기와 같은 작동은 복수의 기판장착부(200) 또는 기판(1)에 대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즉, 기판이송설비(10)는 복수이 기판장착부(200)를 구비할 수 있고, 전술한 작동은 각 기판장착부(200)에 대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for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은 기판이송설비(10)는 도금 과정에서 와이어부(700)에 의해 기판(1)이 이송되는 점에서 하나의 특징을 가진다. 와이어부(700)에 의한 이송 방식은 흔들림이나 맥동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기판장착부(20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이는 기판장착부(200) 간의 간격을 줄이고, 각 기판(1) 간의 도금 편차를 줄이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Such a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판이송설비(1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본 실시예의 기판이송설비(10)는 메인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메인프레임(100)은 기판이송설비(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구성부품들의 장착을 위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골조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조나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본 실시예의 기판이송설비(10)는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는 레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레일부(300)는 대체로 메인프레임(100) 상부에서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레일부(300)는 메인프레임(100)과 구별된 별개의 부품으로 예시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레일부(300)는 메인프레임(100)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레일부(300)는 소정의 횡단면 형상을 갖고 좌우로 연장되어, 후술할 레일브라켓()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필요에 따라, 레일부(300)는 전후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레일부(300)는 전방레일(310)과, 전방레일(310)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전방레일(310)과 대응되도록 좌우로 연장된 후방레일(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방레일(310)은 기판(1)의 도금 처리를 위한 이송 경로를 제공하고, 후방레일(320)은 기판장착부(200)를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로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로딩부의 정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슬라이드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2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oading unit shown in FIG. 1A. 2B is a front view of the loading unit shown in FIG. 2A. 2C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 unit shown in FIG. 2A.
도 2s 내지 2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판이송설비(10)는 로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2S to 2C, the
로딩부(400)는 대체로 기판장착부(200)의 초기 위치(도면상, 우측단)에 대응되는 메인프레임(100)의 일측(우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로딩부(400)는 초기 위치로 배치된 기판장착부(200)를 와이어부(700)의 일측단(도면상, 좌측단)으로 이송할 수 있다. 복수의 기판장착부(200)가 구비된 경우, 로딩부(400)는 각 기판장착부(200)를 순차적으로 와이어부(700)로 이송할 수 있다. 각 기판장착부(200)는 로딩부(400)에 의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적절히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로딩부(400)는 고정레일(410) 및 이동레일(42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고정레일(410)은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00)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레일(410)은 메인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레일(420)은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고정레일(41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레일(420)은 고정레일(4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레일(41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ixed
참고로, 고정레일(410)에 대한 이동레일(420)의 슬라이딩 이동은 후술할 링커유닛(470)에 의해 피동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ving
한편, 로딩부(400)는 슬라이드유닛(430) 및 승하강유닛(44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슬라이드유닛(430)은 이동레일(4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레일(420)에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드유닛(430)은 소정의 구동수단을 가지고, 이동레일(420)에 대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승하강유닛(440)은 슬라이드유닛(430)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승하강유닛(440)은 소정의 구동수단을 가지고, 슬라이드유닛(43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levating
참고로, 상기의 구동수단은 모터, 액츄에이터 등 공지의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슬라이드유닛(430) 및 승하강유닛(440)의 각 구동수단은 필요에 따라 일체화되거나 별도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드유닛(430) 및 승하강유닛(440)은 대략 사각 프레임이나 플레이트 형태로 예시되고 있으나, 슬라이드유닛(430) 및 승하강유닛(440)의 형태는 반드시 예시된 바로 한정되지는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riving means may include a known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and an actuator, and each driving means of the
한편, 로딩부(400)는 가압블록(45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가압블록(450)은 승하강유닛(44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압블록(450)은 대체로 승하강유닛(440)의 저면 부위에서 전방을 향해 치우쳐 배치되고 있다.The
가압블록(450)은 안착홈(451)을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451)은 가압블록(450)의 하부에서 상측을 향해 오목하게 인입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451)은 후술할 클램핑부(600)의 푸시롤러(620)를 가압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 안착홈(451)은 푸시롤러(620)와 대응되는 형상, 크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필요에 따라, 가압블록(450)은 경사면(452)을 구비할 수 있다. 경사면(452)은 안착홈(451)의 하부에서 가압블록(450) 하단을 향해 테이퍼(taper)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블록(450) 하단의 개구부(opening) 폭은 안착홈(451)의 폭 대비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고, 푸시롤러(620)는 경사면(452)에 의해 안내되면서 안착홈(451)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한편, 로딩부(400)는 작동블록(46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작동블록(460)은 가압블록(450)과 인접하도록 승하강유닛(44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작동블록(460)은 대체로 승하강유닛(440)의 저면 부위에서 가압블록(450)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The
작동블록(460)은 후술할 클램핑부(600)의 회동롤러(632)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승하강유닛(440)의 동작에 따라 회동롤러(632)를 가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작동블록(460)은 회동롤러(632)를 가압 회동시켜 클램핑부(600)를 와이어부(700)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시킬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클램핑부(600)와 관련하여 부연한다.The
상기와 같은 작동을 위해 작동블록(460)은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작동블록(460)의 구동수단은 승하강유닛(440)과 구별되어, 작동블록(460)을 독립적으로 승하강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the above operation, the
필요에 따라, 작동블록(460)은 수평면(461) 및 수직면(462)을 구비할 수 있다. 수평면(461)은 승하강유닛(440)의 저면 부위에서 대체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수직면(462)은 수평면(461)의 일단(도면상, 전단)에서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수평면(461)은 회동롤러(632)의 상면 부위를 가압하고, 수직면(462)은 회동롤러를 구름면 부위를 접촉 안내하여, 안정적인 가압 동작이 이뤄지도록 한다.If necessary, the
상기의 경우, 작동블록(460)은 경사면(46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경사면(463)은 수직면(462)의 하단이 소정 정도 경사지게 절삭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463)은 회동롤러(632)의 수직면(462) 하단으로의 진입 시 회동롤러(632)의 원활한 진입을 유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로딩부(400)는 링커유닛(47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링커유닛(470)은 이동레일(420)의 저면 일측(도면상, 좌측) 부위에 배치되어, 이동레일(420)과 체결될 수 있다. 링커유닛(470)은 이동레일(4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링커유닛(470) 및 이동레일(420)은 고정레일(410)을 따라 좌우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이동레일(420)은 링커유닛(470)이 슬라이드유닛(430)과 함께 일측(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고정레일(410)에 대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The
링커유닛(470)은 링커브라켓(471), 플랩(472) 및 액츄에이터(473)를 구비할 수 있다. 링커브라켓(471)은 이동레일(420)의 저면 부위에 장착될 수 있고, 플랩(472) 및 액츄에이터(473)는 링커브라켓(471)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랩(472)은 제1힌지(472a)를 매개로 링커브라켓(471)에 체결될 수 있고, 액츄에이터(473)는 작동아암이 제2힌지(473a)를 매개로 플랩(472)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2힌지()는 각각 상하 방향의 회전축을 형성하며, 상호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에 따라 플랩(472)은 제1힌지(472a)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동되어, 전방으로 소정 정도 돌출 배치되거나, 액츄에이터(473)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대체로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플랩(472)은 후술할 클램핑부(600)의 링크블록(612)에 접촉 및 간섭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플랩(472)은 링크블록(612)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의 경우를 "간섭상태"로 지칭하고, 후자의 경우를 "비간섭상태"로 지칭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링커유닛(470)의 작동에 대하여는 후술할 클램핑부(600)와 관련하여 부연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한편, 본 실시예의 기판이송설비(10)는 언로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1a 등을 참조하면, 언로딩부(500)는 대체로 로딩부(400)의 반대편(도면상, 좌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언로딩부(500)는 와이어부(700)를 통해 이송된 기판장착부(200)를 와이어부(700)로부터 결합해제시킬 수 있다. 즉, 기판장착부(200)는 와이어부(700)로부터 이탈되어, 언로딩부(500)에 지지될 수 있고, 언로딩부(500)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적절히 이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and the like, the
언로딩부(500)는 배치 또는 기능이 일부 상이할 뿐, 대체로 전술한 로딩부(4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장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기판장착부의 정면도이다.3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bstrate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1A. 3B is a front view of the substrate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3A.
도 3a 내지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판이송설비(10)는 기판장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3A to 3B, the
기판장착부(200)는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부(3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장착부(200)에는 기판(1)이 장착될 수 있다. 기판(1)은 기판장착부(200)에 장착된 상태로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되며 소정의 도금 설비를 통해 도금 처리될 수 있다.The
기판장착부(20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a 등에서는 편의상 양 측단에 각 1개씩의 기판장착부(20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기판장착부(200)는 보다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기판장착부(200)는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레일부(300)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기판장착부(200)에서의 도금 처리가 연속적 또는 동시 다발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A plurality of
한편, 기판장착부(200)는 레일장착브라켓(210)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레일장착브라켓(210)은 대체로 기판장착부(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레일부(300)를 향해 일측(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레일장착브라켓(210)은 레일부(300)를 따라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롤러(211, 212)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레일장착브라켓(210)은 대체로 레일부(300)의 상부 측면에 접촉 구름되는 한 쌍의 상부롤러(211)와, 대체로 레일부(300)의 하부 측면에 접촉 구름되는 한 쌍의 하부롤러(212)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롤러(211) 및 하부롤러(212)는 각각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또한, 상부롤러(211)는 레일부(300)의 일면(예컨대, 전면)에 접촉 구름되도록 배치되고, 하부롤러(212)는 레일부(300)의 반대면(예컨대, 후면)에 접촉 구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일장착브라켓(210)은 기판장착부(200)를 레일부(300)에 지지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기판장착부(200)는 기판장착프레임(220)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기판장착프레임(220)은 레일장착브라켓(21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기판(1)이 장착되기 위한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기판장착프레임(220)은 소정 형상 및 구조의 프레임, 플레이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예시하고 있다. 다만, 기판장착프레임(220)의 형태를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The
또한, 기판장착프레임(220)은 기판(1)을 클램핑하기 위한 상부클램퍼(221) 및 하부클램퍼(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클램퍼(221)는 기판장착프레임(220)의 상측에서 복수개가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클램퍼(222)는 기판장착프레임(220)의 하측에서 복수개가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기판장착부(200)는 진동발생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f necessary, the
진동발생수단은 기판장착부(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기판장착부(200)에 소정 주파수의 미세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진동발생수단은 레일장착브라켓(21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고, 레일장착브라켓(210)에 기계적으로 접촉되어, 레일장착브라켓(210) 내지 이에 지지된 기판(1)을 미세 진동시킬 수 있다. 다만, 진동발생수단은 기판(1)에 소정의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이면, 보다 다양한 위치에 장착 또는 배치될 수 있고, 반드시 레일장착브라켓(210) 등으로 장착 위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진동발생수단은 기판(1)에 미세 진동을 인가하여, 기판(1)에 형성된 미세 홀 등으로 도금액 등이 적절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도금 품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클램핑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클램핑부의 측면도이다.4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part shown in FIG. 1A. Figure 4b is a side view of the clamping portion shown in Figure 4a.
도 4a 내지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판이송설비(10)는 클램핑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4A to 4B, the
클램핑부(600)는 기판장착부(20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에 따르면, 클램핑부(600)는 전술한 레일장착브라켓(210)의 상면 부위에 배치되어, 레일장착브라켓(2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핑부(600)는 기판장착부(2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The clamping
클램핑부(600)는 복수의 기판장착부(200)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기판장착부(200)는 각각의 클램핑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lamping
클램핑부(600)는 로딩부(400) 또는 언로딩부(500)에 체결되어 로딩부(400) 또는 언로딩부(500)에 의해 이송되거나, 와이어부(700)에 체결되어 와이어부(70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핑부(600)는 적어도 도금 처리 구간에서는 와이어부(700)에 체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클램핑부(600) 내지 기판장착부(200)는 도금 처리 구간 내에서 와이어부(70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The clamping
한편, 클램핑부(600)는 클램핑부바디(610)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amping
클램핑부바디(610)는 레일장착브라켓(210)에 체결될 수 있다. 클램핑부바디(610)는 클램핑부(600)의 각 구성요소들이 장착 지지될 수 있는 소정의 프레임, 브라켓, 바디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클램핑부(600)의 형태는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clamping
클램핑부바디(610)에는 제1그립홈(6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그립홈(611)은 대체로 클램핑부바디(610)의 후단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와이어부(700)에 대응되는 부분 원형 또는 원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그립홈(611)은 후술할 제2그립홈(635a)과 대응되어, 와이어부(700)를 파지하기 위한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A
또한, 클램핑부바디(610)는 링크블록(612)을 구비할 수 있다. 링크블록(612)은 클램핑부바디(610)의 후단 부위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링크블록(612)은 전술한 링커유닛(470)과 간섭되어, 이동레일(420) 내지 기판장착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클램핑부(600)의 작동과 관련하여 부연한다.In addition, the clamping
클램핑부바디(610)는 가이드홀(613)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홀(613)은 클램핑부바디(610)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할 이동축(634)의 이동 궤적을 따라 장공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홀(613)은 이동축(634)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The clamping
한편, 클램핑부(600)는 푸시롤러(620)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amping
푸시롤러(620)는 클램핑부바디(610)의 전단 부위에 배치되어, 클램핑부바디(6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푸시롤러(620)는 대체로 전후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고, 클램핑부바디(610)에 체결될 수 있다.The
푸시롤러(620)는 전술한 로딩부(400)의 가압블록(450)과 체결될 수 있다. 즉, 가압블록(450)은 승하강유닛(440)에 의해 하강되어, 안착홈(451)에 푸시롤러(620)가 가압 지지됨으로써, 푸시롤러(620)와 체결될 수 있다. 가압블록(450) 하단의 경사면(452)은 이러한 안착홈(451) 및 푸시롤러(620)의 체결 위치를 및 또는 교정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푸시롤러(620)와 가압블록(450) 간의 결합에 의해, 기판장착부(200)는 전술한 슬라이드유닛(430)과 함께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푸시롤러(620)는 기판장착부(200)의 좌우 이동을 위한 지지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By the coupling between the
한편, 클램핑부(600)는 회동브라켓(630)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amping
회동브라켓(630)은 푸시롤러(620)와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클램핑부바디(61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브라켓(630)은 후단에 조립축(631)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조립축(631)을 통해 클램핑부바디(61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조립축(631)은 대체로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The
또한, 회동브라켓(630)은 회동롤러(632)를 구비할 수 있다. 회동롤러(632)는 좌우 방향의 롤러축(632a)을 가지고 회동브라켓(63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참고로, 이는 전술한 푸시롤러(620)가 전후 방향의 회전축을 갖는 것과 대비된다.In addition, the
회동롤러(632)는 전술한 작동블록(460)에 의해 가압 이동될 수 있다. 즉, 회동롤러(632)는 작동블록(46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이동되거나, 가압이 해제되어 상방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롤러(632)의 이동은 조립축(631)을 중심으로 한 회동브라켓(630)의 회동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The
여기서, 전술한 작동블록(460)은 수평면(461)이 회동롤러(632)의 상측을 접촉 가압하고, 수직면(462)이 회동롤러(632)의 전방을 접촉 안내하여 안정적인 가압 동작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동블록(460) 하단의 경사면(452)은 작동블록(460)과 회동롤러(632) 간의 초기 접촉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Here, in the above-described
또한, 회동브라켓(630)은 스프링축(633) 및 이동축(634)을 구비할 수 있다. 스프링축(633)은 후술할 탄성지지부(640)의 체결을 위한 것으로, 예시된 바에 따르면, 롤러축(632a)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이동축(634)은 스프링축(633)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전술한 가이드홀(61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동축(634)은 회동롤러(632)의 이동에 대응되어 가이드홀(613)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회동롤러(632) 내지 회동브라켓(630)의 회동 동작이 안내될 수 있다.The moving
또한, 회동브라켓(630)은 그립퍼(63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립퍼(635)는 대체로 회동브라켓(630)의 후단 부위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립퍼(635)는 제2그립홈(635a)을 구비할 수 있고, 제2그립홈(635a)은 전술한 제1그립홈(611)과 대응되는 부분 분원 또는 원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부(600)는 제1, 2그립홈(611, 635a) 사이에서 와이어부(700)가 가압 접촉되어, 와이어부(700)와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클램핑부(600)는 탄성지지부(640)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amping
탄성지지부(640)는 클램핑부바디(610)와 회동브라켓(630) 사이에서 회동브라켓(63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640)는 일단(전단)이 클램핑부바디(61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반대측 단부(후단)가 회동브라켓(63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The
탄성지지부(640)는 제1, 2그립홈(611, 635a)이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동브라켓(63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제1, 2그립홈(611, 635a)은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와이어부(700) 등에 체결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즉, 작동블록(460)이 회동롤러(632)를 가압하는 경우), 외력에 의해 탄성지지부(640)가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2그립홈(611, 635a)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와이어부(700) 등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stat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at is, when the
필요에 따라, 탄성지지부(640)는 클램핑부바디(610)의 전단 부위와 스프링축(633) 사이에 체결된 실린더(641)와, 실린더(641)의 전, 후단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6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압축스프링(642) 등에는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씌워질 수 있다.If necessary, the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클램핑부의 제1작동상태도이다.4C is a first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clamping unit shown in FIG. 4A.
도 4c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작동상태에서 탄성지지부(640)는 회동브라켓(630)을 탄성 지지하여, 제1, 2그립홈(611, 635a)이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2그립홈(611, 635a)은 와이어부(700)에 가압 접촉되어, 와이어부(700)와 체결될 수 있다.4C shows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Referring to FIG. 4C, in the first operating state, the
상기와 같은 제1작동상태는 대체로 와이어부(700)에 의한 클램핑부(600) 내지 기판장착부(200)의 이동 구간에서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제1작동상태는 기판(1)이 도금 처리되는 이동 구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클램핑부(600) 내지 기판장착부(200)는 제1작동상태를 통해 와이어부(700)에 체결되고, 와이어부(700)의 이동에 따라 이송되면서, 도금 처리될 수 있다.The first operating state as described above may be generally maintained in the moving section of the clamping
도 4d는 도 4a에 도시된 클램핑부의 제2작동상태도이다.4D is a second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clamping unit shown in FIG. 4A.
도 4d는 작동블록(460)에 의해 회동롤러(632)에 가압력이 작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제2작동상태에서 회동롤러(632)는 작동블록(460)에 의해 하방으로 소정 정도 가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회동브라켓(630)은 조립축(631)을 중심으로 소정 정도 회동(도면상, 반시계 방향)될 수 있다. 또한, 그립퍼(635)가 조립축(631)을 중심으로 대응되는 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 2그립홈(611, 635a) 간이 이격되어, 와이어부(700)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4D shows a state in which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상기와 같은 제2작동상태는 대체로 와이어부(700)의 이송 구간을 제외한 로딩부(400) 또는 언로딩부(500)의 이송 구간에서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제2작동상태는 도금 처리 전, 후의 이송 구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즉, 클램핑부(600) 내지 기판장착부(200)는 제2작동상태를 통해 와이어부(700) 전단 구간까지 이송되거나, 와이어부(700) 후단에서 이탈될 수 있다.The second operating state as described above may be generally maintained in the transfer section of the
한편, 전술한 도 1a 등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판이송설비(10)는 와이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A and the like described above, the
와이어부(700)는 메인프레임(100)에 지지되어, 기판장착부(200)를 좌우로 이송할 수 있다. 와이어부(700)는 대체로 기판(1)이 도금 처리되는 구간에서 기판(1)의 이송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와이어부(700)는 유연한 재질의 금속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와이어부(700)는 내식성을 가지고, 기판(1) 등의 무게에 대응하여 적절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금속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와이어부(700)의 재질이 반드시 예시된 스테인리스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성질을 가진 다른 재질로 대체될 수 있다.The
와이어부(700)는 길이 방향(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부(700)에 체결된 기판장착부(200) 등이 와이어부(700)를 따라 이송될 수 있고, 이송 과정에서 소정의 도금 처리가 이뤄질 수 있다.The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와이어부(700)는 견인 휠 등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부(700)는 폐루프를 형성하며 길이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장력유지수단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어부(700)의 이송 경로나 형태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Although not clearly shown, the
상기와 같은 와이어부(700)는 종래 알려진 방식 대비 이송 시 맥동을 감소시키고, 기판(1) 또는 기판장착부(200) 간 간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부연하면, 종래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방식은 체인을 사용하는 방식인데, 이와 같은 경우, 체인의 구조적 특성상 이동 시 소정의 맥동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기판장착부에 대응되는 행거 등이 단순히 체인 위에 올려져 이송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장시간 구동 이후 행거의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벨트를 사용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우레탄 소재 등으로 제작된 벨트가 늘어나, 관련 분야에서 적절히 사용되고 있지 못하다. 본 실시예의 기판이송설비(10)는 와이어부(700)를 사용한 새로운 방식의 이송 구조를 도입하여 이러한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다.Incidentally, the conventionally commonly used method is a method of using a chain. In this cas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hain, a predetermined pulsation occurs during movement. In addition, since the hanger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substrate mounting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anger or the like is simply placed on the chain and transferre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position of the hanger is changed after a long drive. In addition, a method of using a belt in another method is known, but this is not properly used in related fields because belts made of urethane materials are increased. Th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판이송설비(1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제1작동상태도이다.5A is a first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편의상 도 5a 등에서는 로딩부(400) 부위에서의 작동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언로딩부(500) 부위에서의 작동은 이와 반대되는 순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뤄질 수 있다.For convenience, in FIG. 5A and the like, an operation in the
또한, 도 5a 등에서는 복수의 기판(1-1, 1-2)이 연속적으로 로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제1기판(1-1)이 먼저 로딩 및 이송되는 상태에서, 제2기판(1-2)이 새롭게 로딩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제1기판(1-1)의 이송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제1기판장착부(200-1) 등으로 지칭하고, 제2기판(1-2)의 이송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유사한 방식의 제2기판장착부(200-2) 등으로 지칭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FIG. 5A and the like, assuming that a plurality of substrates 1-1 and 1-2 are continuously loaded, the
도 5a를 참조하면, 제1기판(1-1)이 제1기판장착부(200-1)에 장착되어, 와이어부(700)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2기판(1-2)이 장착된 제2기판장착부(200-2)가 초기 위치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5A, in a process where the first substrate 1-1 i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mounting portion 200-1 and transferred through the
제2기판장착부(200-2)가 초기 위치로 배치되면, 슬라이드유닛(430)이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가압블록(450)이 하강된다. 이에 따라, 가압블록(450)은 제2기판장착부(200-2)에 배치된 제2클램핑부(600-2)(즉, 푸시롤러(620))와 체결된다. 이어서, 작동블록(460)이 하강되어, 제2클램핑부(600-2)(즉, 회동롤러(632))를 하방으로 가압 지지한다. 즉, 제2클램핑부(600-2)는 도 4d와 같은 제2작동상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second substrate mounting portion 200-2 is disposed in the initial position, the
상기와 함께, 제1기판장착부(200-1)에 배치된 제1클램핑부(600-1)는 링커유닛(470)에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링커유닛(470)의 플랩(472)이 제1클램핑부(600-1)의 이동 경로 상으로 회동되고, 제1클램핑부(600-1)는 일측(즉, 링크블록(612))이 플랩(472)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링커유닛(470)은 제1클램핑부(600-1)와 간섭되어, 제1클램핑부(600-1)와 함께 와이어부(700)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Together with the above, the first clamping part 600-1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mounting part 200-1 is in contact with the
또한, 이동레일(420) 및 제2기판장착부(200-2)는 상기와 같은 링커유닛(470)과 함께 일측(도면상, 좌측)으로 견인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도 5b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제2작동상태도이다.5B is a second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도 5b를 참조하면, 제1기판장착부(200-1)가 기 설정된 소정 위치까지 이동되면, 슬라이드유닛(430)이 구동되어, 제2기판장착부(200-2)가 제1기판장착부(200-1)에 인접한 위치로 이송된다. 여기서, 제2기판장착부(200-2)는 기 설정된 소정 간격으로 제1기판장착부(200-1)와 이격되어, 대체로 와이어부(700)의 전단 부위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when the first board mounting part 200-1 is moved to a preset predetermined position, the
이어서, 제2기판장착부(200-2)는 제2클램핑부(600-2)가 와이어부(700)로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블록(460)이 승강되어, 제2클램핑부(600-2)(즉, 회동롤러(632))의 구속이 해제되고, 제2탄성지지부(640-2)에 의해 제2회동브라켓(630-2)이 회동된다. 이에 따라, 제2클램핑부(600-2)(즉, 그립퍼(635))는 와이어부(700)에 체결된다. 즉, 제2클램핑부(600-2)는 도 4c와 같은 제1작동상태로 변환된다. 또한, 가압블록(450)도 승강되어, 제2기판장착부(200-2)는 와이어부(700)에 의해 이송된다.Subsequently, in the second substrate mounting part 200-2, the second clamping part 600-2 may be fastened with the
상기와 함께, 링커유닛(470)은 제1클램핑부(600-1)로부터 이탈된다. 즉, 링커유닛(470)은 플랩(472)이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클램핑부(600-1)와 접촉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제1기판장착부(200-1)는 플랩(472)과의 간섭 없이 와이어부(700)를 통해 이송된다.Together with the above, the
도 5c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이송설비의 제3작동상태도이다.5C is a third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shown in FIG. 1A.
도 5c를 참조하면, 이어서, 슬라이드유닛(430)이 도 5a와 같은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새롭게 투입되는 제3기판장착부(200-3)를 위해 대기된다. 슬라이드유닛(430)은 전술한 제2기판장착부(200-2)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3기판장착부(200-3)에 체결되어, 앞서 설명한 작동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the
또한, 링커유닛(470)은 플랩(472)이 다시 회동되고, 슬라이드유닛(430)의 복귀 및 제2기판장착부(200-2)의 이동에 따라, 제2클램핑부(600-2)와 점차 접근되면서, 제2클램핑부(600-2)에 접촉 간섭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링커유닛(470)은 제2클램핑부(600-2)와 간섭되어, 와이어부(700)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이송설비(1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기판(1)을 도금 구간에서 연속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이송설비(10)는 와이어를 통한 이송 방식을 통해 기존 체인, 벨트 방식 등과 대비하여 이송 중 기판의 맥동, 흔들림 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의 도금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이송설비(10)는 도금 처리 시 기판(1) 간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와이어의 강성을 통해 최초 설정된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 간의 도금 편차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 개선에도 일부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and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기판 10: 기판이송설비
100: 메인프레임 200: 기판장착부
210: 레일장착브라켓 220: 기판장착프레임
300: 레일부 400: 로딩부
410: 고정레일 420: 이동레일
430: 슬라이드유닛 440: 승하강유닛
450: 가압블록 460: 작동블록
470: 링커유닛 500: 언로딩부
600: 클램핑부 610: 클램핑부바디
620: 푸시롤러 630: 회동브라켓
640: 탄성지지부1: substrate 10: substrate transfer facility
100: main frame 200: board mounting portion
210: rail mounting bracket 220: board mounting frame
300: rail part 400: loading part
410: fixed rail 420: moving rail
430: slide unit 440: elevating unit
450: pressure block 460: operation block
470: linker unit 500: unloading unit
600: clamping part 610: clamping part body
620: push roller 630: rotation bracket
640: elastic support
Claims (10)
메인프레임(100);
기판(1)이 장착되는 기판장착부(200);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장착부(200)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300);
상기 기판(1)을 상기 레일부(300)로 로딩시키고, 상기 레일부(300)를 따라 초기 구간 이동시키는 로딩부(400);
상기 기판장착부(200)에 구비되는 클램핑부(600); 및
상기 클램핑부(600)와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판장착부(200)를 이송하는 와이어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부(4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체결되는 고정레일(410);
상기 고정레일(410)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레일(4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레일(420);
상기 이동레일(420)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레일(4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유닛(430);
상기 슬라이드유닛(43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승하강유닛(440);
상기 승하강유닛(440)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핑부(600)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가압블록(450); 및
상기 가압블록(450)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클램핑부(600)를 가압 작동시키는 작동블록(460);을 포함하는, 기판이송설비.In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that continuously transfers substrat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plating section,
Mainframe 100;
A substrate mounting portion 200 on which the substrate 1 is mounted;
A rail unit 300 disposed on the main frame 100 to provide a transfer path for the substrate mounting unit 200;
A loading unit 400 for loading the substrate 1 onto the rail unit 300 and moving the initial section along the rail unit 300;
A clamping part 600 provided in the substrate mounting part 200; And
Including; a wire portion 700 formed to be coupled to and disengaged from the clamping portion 600 to transfer the substrate mounting portion 200,
The loading unit 400,
A fixed rail 410 fastened to the main frame 100;
A moving rail 420 fastened to the fixed rail 410 and slidable along the fixed rail 410;
A slide unit 430 that is fastened to the moving rail 420 and slidable along the moving rail 420;
An elevating unit 440 formed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lide unit 430;
A pressing block 450 disposed on the elevating unit 440 and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lamping unit 600; And
An operation block 460 disposed adjacent to the pressing block 450 and for pressing and operating the clamping part 600; including,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상기 가압블록(450)은,
상기 가압블록(450)의 저면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인입되어, 상기 클램핑부(600)의 푸시롤러(620)에 가압 접촉되는 안착홈(451); 및
상기 안착홈(451)의 하단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푸시롤러(620)의 체결을 접촉 안내하는 경사면(452);을 포함하는, 기판이송설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block 450,
A seating groove 451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block 450 is concavely inserted upward, and is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push roller 620 of the clamping part 600; And
Containing,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including; an inclined surface 452 which extends obliquely from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groove 451 and guides the fastening of the push roller 620 in contact.
상기 작동블록(460)은,
상기 작동블록(460)의 저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클램핑부(600)에 구비된 회동롤러(632)의 상면에 가압 접촉되는 수평면(461); 및
상기 수평면(461)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롤러(632)의 전면 일측을 접촉 안내하는 수직면(462);을 포함하는, 기판이송설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block 460,
A horizontal surface 461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block 460 and pressing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roller 632 provided in the clamping part 600; And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comprising; a vertical surface 462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plane 461 and for contacting and guiding a front side of the rotating roller 632.
상기 로딩부(400)는,
상기 이동레일(420)의 일측에 체결되는 링커유닛(470)을 포함하고,
상기 링커유닛(470)은,
상기 이동레일(420)에 체결되는 링커브라켓(471);
상기 링커브라켓(471)에 체결되고, 상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부(600)에 접촉 간섭되는 플랩(472); 및
상기 플랩(472)에 체결되어, 상기 플랩(472)을 회동 구동하는 액츄에이터(473);를 포함하는, 기판이송설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ing unit 400,
Including a linker unit 470 fastened to one side of the moving rail 420,
The linker unit 470,
A linker bracket 471 fastened to the moving rail 420;
A flap 472 that is fastened to the linker bracket 471 and is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n upper and lower axis, and interferes in contact with the clamping part 600; And
Containing, an actuator 473 which is fastened to the flap 472 and drives the flap 472 to rotate.
상기 링커유닛(470)은,
상기 플랩(472)이 상기 클램핑부(600)에 접촉 간섭되는 간섭상태; 및
상기 플랩(472)이 상기 간섭상태에서 소정 정도 회동되어, 상기 플랩(472)과 상기 클램핑부(600)가 이격되는 비간섭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부(400)는,
상기 간섭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부(600)의 이동에 연동되고, 상기 비간섭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부(600)의 이동으로부터 분리되는, 기판이송설비.The method of claim 5,
The linker unit 470,
An interference state in which the flap 472 touches and interferes with the clamping part 600; And
Including; a non-interference state in which the flap 472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degree in the interference state, and the flap 472 and the clamping part 600 are spaced apart,
The loading unit 400,
In the interference state,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clamping unit 600, in the non-interference state, the substrate transfer facility to be separated from the movement of the clamping unit 600.
메인프레임(100);
기판(1)이 장착되는 기판장착부(200);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장착부(200)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300);
상기 기판(1)을 상기 레일부(300)로 로딩시키고, 상기 레일부(300)를 따라 초기 구간 이동시키는 로딩부(400);
상기 기판장착부(200)에 구비되는 클램핑부(600); 및
상기 클램핑부(600)와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판장착부(200)를 이송하는 와이어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600)는,
상기 기판장착부(200)에 체결되는 클램핑부바디(610);
상기 클램핑부바디(61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로딩부(400)의 가압블록(450)과 체결되는 푸시롤러(620);
일측에 조립축(631)을 가지고 상기 조립축(6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핑부바디(610)에 체결되며, 상기 로딩부(400)의 작동블록(460)에 가압 접촉되는 회동롤러(632)를 구비하는 회동브라켓(630); 및
상기 클램핑부바디(610)에 대해 상기 회동브라켓(63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640);를 포함하는, 기판이송설비.In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that continuously transfers substrat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plating section,
Mainframe 100;
A substrate mounting portion 200 on which the substrate 1 is mounted;
A rail unit 300 disposed on the main frame 100 to provide a transfer path for the substrate mounting unit 200;
A loading unit 400 for loading the substrate 1 onto the rail unit 300 and moving the initial section along the rail unit 300;
A clamping part 600 provided in the substrate mounting part 200; And
Including; a wire portion 700 formed to be coupled to and disengaged from the clamping portion 600 to transfer the substrate mounting portion 200,
The clamping part 600,
A clamping part body 610 fastened to the substrate mounting part 200;
A push roller 620 tha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clamping part body 610 and fastened to the pressing block 450 of the loading part 400;
A rotating roller that has an assembly shaft 631 on one side and is fastened to the clamping part body 61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assembly shaft 631, and pressurized contact with the operation block 460 of the loading part 400 Rotating bracket 630 having 632; And
Containing,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an elastic support part (64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ion bracket (630) with respect to the clamping part body (610).
상기 클램핑부바디(610)는,
일측에 제1그립홈(611)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브라켓(630)은,
상기 제1그립홈(61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그립홈(611)과 함께 상기 와이어부(700)에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그립홈(635a)을 구비하는, 기판이송설비.The method of claim 7,
The clamping part body 610,
It has a first grip groove 611 on one side,
The rotation bracket 630,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grip groove 611, and having a second grip groove 635a formed to be coupled to and disengaged from the wire portion 700 together with the first grip groove 611, Substrate transfer facility.
상기 클램핑부(600)는,
상기 회동롤러(632)가 상기 작동블록(46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1, 2그립홈(611, 635a)이 초기 상태에서 이격되어, 상기 와이어부(700)로부터 결합해제되는 제1작동상태; 및
상기 작동블록(460)의 가압력이 제거되고, 상기 탄성지지부(640)에 의해 상기 회동롤러(632)가 복귀되어, 상기 제1, 2그립홈(611, 635a) 사이에 상기 와이어부(700)가 결합되는 제2작동상태;를 포함하는, 기판이송설비.The method of claim 8,
The clamping part 600,
The first operation in which the rotating roller 632 is pressed by the operation block 460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 grooves 611 and 635a are separated from the initial state and disengaged from the wire part 700 state;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ration block 460 is removed, the rotating roller 632 is returned by the elastic support part 640, and the wire part 70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ip grooves 611 and 635a Containing a; a second operating state is coupled, substrate transfer equipment.
상기 클램핑부바디(610)는,
상기 조립축(631)과 이격되어, 상기 회동브라켓(630)과 링크 결합되는 장공형의 가이드홀(613)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브라켓(630)은,
상기 가이드홀(613)에 체결되어, 상기 조립축(631)을 중심으로 한 상기 회동브라켓(630)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축(634); 및
상기 로딩부(400)의 링커유닛(470)에 접촉 간섭되는 링크블록(612);을 포함하는, 기판이송설비.The method of claim 7,
The clamping part body 610,
It is spaced apart from the assembly shaft 631 and has a long-hole guide hole 613 that is linked to the rotation bracket 630,
The rotation bracket 630,
A moving shaft 634 that is fastened to the guide hole 613 and guide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 bracket 630 around the assembly shaft 631; And
A link block 612 that interferes in contact with the linker unit 470 of the loading unit 400; including, a substrate transfer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0/016465 WO2022107926A1 (en) | 2020-11-20 | 2020-11-20 | Substrate transport equipment for vertical continuous plat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8854B1 true KR102248854B1 (en) | 2021-05-06 |
Family
ID=7591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36868A KR102248854B1 (en) | 2020-11-20 | 2020-11-20 | Substrate transfer facility for vertical continuous plating facility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7333967B2 (en) |
KR (1) | KR102248854B1 (en) |
CN (1) | CN114829680A (en) |
TW (1) | TWI797534B (en) |
WO (1) | WO2022107926A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0767B1 (en) * | 2022-01-12 | 2022-04-01 | (주)네오피엠씨 | Hanger moving apparatus for plating |
KR20230108947A (en) | 2022-01-12 | 2023-07-19 | 엔티피 주식회사 | apparatus for transferring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device of circuit board using the same |
KR102619013B1 (en) * | 2023-08-11 | 2023-12-27 | 차태웅 | One-Touch Clamp for Plating Devic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73798A (en) * | 2000-12-05 | 2002-06-21 | Ideya:Kk | Work treating apparatus |
KR20060000674A (en) * | 2004-06-29 | 2006-01-06 | 주식회사 티케이씨 |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of plating board |
KR20160011779A (en) * | 2014-07-22 | 2016-02-02 | 주식회사 신아금속 | Automatic plating machine |
KR101913545B1 (en) * | 2018-06-26 | 2019-01-11 | 양미애 | substrate plat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6927B2 (en) * | 1986-07-28 | 1996-07-24 | 日本エレクトロプレイテイング・エンジニヤ−ス株式会社 | Stripping device for thin strips |
JPH0774477B2 (en) * | 1990-11-02 | 1995-08-09 | 栄電子工業株式会社 | Jig for electrolytic plating of printed wiring board and electrolytic plating method using the jig |
JP2836804B2 (en) * | 1993-04-12 | 1998-12-14 | 日本エンバイロ工業 株式会社 | Plating treatment method |
TW356132U (en) * | 1997-01-03 | 1999-04-11 | Compeq Mfg Co Ltd | Clamping structure for vertical conveying apparatus of circuit board |
DE102004030377B3 (en) * | 2004-06-23 | 2006-01-19 | Atotech Deutschland Gmbh | Translatory manipulato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items to be treated |
JP5398223B2 (en) * | 2008-10-23 | 2014-01-29 | 上村工業株式会社 | Gate device for treatment tank |
KR101002032B1 (en) * | 2010-08-12 | 2010-12-17 | 주식회사 티케이씨 | Apparatus for guiding board type plating material at the plating system |
KR101220202B1 (en) * | 2011-06-29 | 2013-01-21 | 넥스타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A loading unit for auto shillings apparatus of the substrate |
SG187305A1 (en) * | 2011-07-19 | 2013-02-28 | Ebara Corp | Plating apparatus and plating method |
KR20140060423A (en) * | 2012-11-09 | 2014-05-20 | 삼성전기주식회사 | Plating device |
CN207176108U (en) * | 2017-08-24 | 2018-04-03 | 深圳市天益通光电有限公司 | The clamping and conveying device that a kind of circuit board is vertically electroplated |
NL2019743B1 (en) * | 2017-10-17 | 2019-04-24 | Meco Equipment Eng B V | Method for applying a layer to a part of the surface of a substrate |
CN209906924U (en) * | 2019-02-28 | 2020-01-07 | 昆山东威科技股份有限公司 | Conveying structure of material clamp, conveying structure of circuit board and electroplating equipment of conveying structure |
KR102030399B1 (en) * | 2019-04-23 | 2019-10-10 | (주)네오피엠씨 | Hanger moving apparatus for plating |
-
2020
- 2020-11-20 JP JP2021501331A patent/JP7333967B2/en active Active
- 2020-11-20 WO PCT/KR2020/016465 patent/WO202210792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11-20 KR KR1020207036868A patent/KR10224885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0-11-20 CN CN202080003900.5A patent/CN114829680A/en active Pending
-
2021
- 2021-01-07 TW TW110100650A patent/TWI797534B/en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73798A (en) * | 2000-12-05 | 2002-06-21 | Ideya:Kk | Work treating apparatus |
KR20060000674A (en) * | 2004-06-29 | 2006-01-06 | 주식회사 티케이씨 |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of plating board |
KR20160011779A (en) * | 2014-07-22 | 2016-02-02 | 주식회사 신아금속 | Automatic plating machine |
KR101913545B1 (en) * | 2018-06-26 | 2019-01-11 | 양미애 | substrate plating apparatu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0767B1 (en) * | 2022-01-12 | 2022-04-01 | (주)네오피엠씨 | Hanger moving apparatus for plating |
KR20230108947A (en) | 2022-01-12 | 2023-07-19 | 엔티피 주식회사 | apparatus for transferring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device of circuit board using the same |
KR102619013B1 (en) * | 2023-08-11 | 2023-12-27 | 차태웅 | One-Touch Clamp for Plating Devi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4829680A (en) | 2022-07-29 |
TWI797534B (en) | 2023-04-01 |
JP2023507532A (en) | 2023-02-24 |
WO2022107926A1 (en) | 2022-05-27 |
JP7333967B2 (en) | 2023-08-28 |
TW202220919A (en) | 2022-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8854B1 (en) | Substrate transfer facility for vertical continuous plating facility | |
CN102501575B (en) | Screen printing apparatus | |
US565570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soldering balls onto electrodes of a substrate or a comparable electronic component | |
US9868278B2 (en) | Lift tool assembly for stencil printer | |
US6941647B2 (en) | Transfer for tray feeder | |
US8656858B2 (en) | Device and method for chemically and electrolytically treating work pieces using a conveyor system to transport work pieces between treatment tanks | |
US10703089B2 (en) | Edge lock assembly for a stencil printer | |
KR20200111783A (en) | Storage device and printing system | |
US20060105612A1 (en) | Printed circuit board clamp | |
JP2002363796A (en) | Electroplating device | |
US4501650A (en) | Workpiece clamp assembly for electrolytic plating machine | |
KR100943802B1 (en) | Shoe notch mold apparatus facilities | |
JP4126762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 |
CN103717052B (en) | Base board delivery device, base board operation device | |
CN217647982U (en) | Moving unit for moving two welding assemblies and welding system with moving unit | |
KR101543620B1 (en) | Apparatus for transfering hanger | |
EP3735350B1 (en) | Lift tool assembly for a stencil printer and method and system therefor | |
WO2024075268A1 (en) | Squeegee device | |
KR20170003034A (en) | Spot-continuous plating apparatus | |
KR20060008882A (en) | Punching device, punching method, and product | |
WO2024121958A1 (en) | Printer | |
JPH04201131A (en) | Inclinination device for work on conveyance line for work | |
JP5617653B2 (en) | Plating equipment | |
KR20040061520A (en) | Structure for Controlling Height of PCB Conveyer for Surface Mounter | |
WO2019135959A1 (en) | Edge lock assembly for a stencil prin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