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212B1 -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 Google Patents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8212B1 KR102248212B1 KR1020200112331A KR20200112331A KR102248212B1 KR 102248212 B1 KR102248212 B1 KR 102248212B1 KR 1020200112331 A KR1020200112331 A KR 1020200112331A KR 20200112331 A KR20200112331 A KR 20200112331A KR 102248212 B1 KR102248212 B1 KR 1022482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arm
- unit
- main body
- fire
- type f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는, 실내의 천정 또는 측벽에 부착되고, 내부에 가스검출센서,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를 탑재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조명을 하방 또는 측방으로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또는 일측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탑재되고, 가스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조명부 및 알람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시야확보가 어려워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고,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각경보를 수행할 수 있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시야확보가 어려워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고,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각경보를 수행할 수 있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각경보를 수행할 수 있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 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화재 경보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화재 경보 시스템은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 연기, 화염 등을 감지하는 화재경보기를 통해 자동으로 화재를 발견하거나, 화재 발견자에 의해 소정의 경보기가 조작된 경우에, 경종, 사이렌 또는 표시등과 같은 경보장치를 통해 건물 내의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시스템이다.
종래 일방적인 화재경보기는 열 또는 연기를 단순히 감지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였는데, 이 경우 수증기와 화재 때문에 발생하는 연기를 구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경보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내장배터리로 구동되는데, 이 때문에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서 화재경보 기에 적극적으로 다른 기능들을 추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경보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사후적으로만 화재발생여부를 알려줄 뿐,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미리 알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의 열화상들을 촬영하여 수증기와 연기를 구분할 수 있는 화재경보기가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화재경보기는, 연기센서(11), 열센서(12) 및 습도센서(13)를 구비하고 있다. 연기센서(1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빛의 투과율을 감지하여 연기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다량의 수증기에 의한 빛의 투과율 변화와 연기에 의한 빛의 투과율 변화를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증기의 경우 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습도센서(130)를 이용하여 수증기 때문에 연기센서(110)가 반응하는 것인지, 아니면 실제 연기 때문에 연기센서(110)가 반응하는 것인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또는 화재감지기에는 상시 전원이 부재하고, 감지기, 수신기, 비상조명 등과 연계없이 단독으로 경보음만 발생하는 구조이다.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건물로 공급되던 전력이 차단되게 된다. 이때, 건물에 전등이 모두 소등되게 되며, 피난을 위한 통행로 및 비상구를 향하는 시야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피난과정에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시야확보가 어려워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고,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각경보를 수행할 수 있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는, 실내의 천정 또는 측벽에 부착되고, 내부에 가스검출센서,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를 탑재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조명을 하방 또는 측방으로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또는 일측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탑재되고, 가스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조명부 및 알람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박스형 구조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 중앙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본체부의 돌출부 하부면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돌출부 사이에는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관통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슬릿과 인접하는 위치에 가스검출센서가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의 돌출부 하부면은 평면상 원형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화재 발생 시, 상시 점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검출센서는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가스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명부로부터 발생하여 빛의 색상,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탑재되고, 실내에 부착되는 또 다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인접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의 가스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와 함께 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또는 일측에 탑재되고, 조명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조사되는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변경하는 조사방향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사방향 변경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조명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조사방향은 피난을 위한 비상구 방향 또는 피난을 위한 통행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방향 변경부에 의해 조명부의 광 조사방향이 변경될 경우, 상기 조명부는 특정 빛의 색상, 밝기를 통해 비상구 방향인지 통행로 방향인지를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또는 일측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본체부 주위를 감싸는 와류를 생성하는 와류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류생성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회전 레일; 및 상기 회전 레일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회전 레일의 회전 동작에 의해 본체부 주위를 감싸는 공기에 와류를 생성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와류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공기 와류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조명부, 알람부 및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시야확보가 어려워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고, 청각장애인을 위한 시각경보를 수행할 수 있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에 따르면, 가스검출센서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스의 종류에 따라 조명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색상,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피난하는 인명들에게 경각심을 갖게 하도록 하여 더욱 신속한 피난을 유도할 수 있고, 소방관에게 화재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가스의 종류를 원거리에서 파악할 수 있어, 화재 진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에 따르면,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와 함께 연동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화재의 시작 시점과 화재의 진행 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화재의 진행 경로를 통해 피난하는 인명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피난 동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소방관에게 화재 진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에 따르면, 조명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조사되는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변경하는 조사방향 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피난하고 있는 인명에게 비상구 방향 또는 피난 통행로 방향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회전 레일 및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와류생성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연기에 의해 조명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방향을 피난 인명에게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 피난하고 있는 인명에게 비상구 방향 또는 피난 통행로 방향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와류생성부와 조명부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시 피난하고 있는 인명에게 비상구 방향 또는 피난 통행로 방향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재경보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가 화재 발생 시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가 화재 발생 시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가 화재 발생 시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가 화재 발생 시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가 화재 발생 시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가 화재 발생 시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100)는,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조명부(120), 알람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100)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조명부(120), 알람부(130) 및 제어부(140)를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시야확보가 어려워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한 시야를 확보해 줄 수 있는 조명부(120)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부(110)는, 실내의 천정 또는 측벽에 부착되고, 내부에 가스검출센서(150), 제어부(140) 및 전원공급부를 탑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 및 돌출부(11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하우징(111)은,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박스형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112)는, 하우징(111)의 일측 중앙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조명부(120)는 본체부(110)의 돌출부(112) 하부면에 탑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과 돌출부(112) 사이에는 돌출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관통 슬릿(1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관통 슬릿(113)과 인접하는 위치에 가스검출센서(150)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의 돌출부(112) 하부면은 평면상 원형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다양한 도형으로 변경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비상 통로 또는 비상구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화살표 구조 또는 일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직사각형 구조일 수 있다. 설계자의 의도 또는 운용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조명부(120)는, 본체부(11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조명을 하방 또는 측방으로 조사할 수 있다.
이때, 화재 발생 시 조명부(120)는, 상시 점등 상태로 전환됨이 바람직하다. 화재 발생 시 연기가 건물 내부에 가득 차게 되고, 이로 인해 피난을 위한 통행로와 비상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화재 발생으로 인해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라면 통행로와 비상구를 찾는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발생 시 조명부(120)가 발광하여 피난을 위한 통행로와 비상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탑재되고, 가스검출센서(15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조명부(120) 및 알람부(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알람부(130)는,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일측에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청각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가스검출센서(150)는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가스검출센서(15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명부(120)로부터 발생하여 빛의 색상,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검출센서(150)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스의 종류에 따라 조명부(120)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색상,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피난하는 인명들에게 경각심을 갖게 하도록 하여 더욱 신속한 피난을 유도할 수 있고, 소방관에게 화재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가스의 종류를 원거리에서 파악할 수 있어, 화재 진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100)는 무선통신모듈(16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제어부(140)의 내부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실내에 부착되는 또 다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인접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의 가스검출센서(15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100)는, 무선통신모듈(160)을 이용하여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와 함께 연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와 함께 연동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160)을 구비함으로써, 화재의 시작 시점과 화재의 진행 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화재의 진행 경로를 통해 피난하는 인명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피난 동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소방관에게 화재 진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가 화재 발생 시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100)는 조사방향 변경부(17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사방향 변경부(170)는,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일측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20)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조사되는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사방향 변경부(170)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구성이다. 이때, 조명부(120)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조사방향은 피난을 위한 비상구 방향 또는 피난을 위한 통행로 방향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사방향 변경부(170)에 의해 조명부(120)의 광 조사방향이 변경될 경우, 조명부(120)는 특정 빛의 색상, 밝기를 통해 비상구 방향인지 통행로 방향인지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부(120)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조사되는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변경하는 조사방향 변경부(170)를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피난하고 있는 인명에게 비상구 방향 또는 피난 통행로 방향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가 화재 발생 시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10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와류생성부(18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와류생성부(180)는,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일측에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본체부(110) 주위를 감싸는 와류를 생성할 수 있다.
와류생성부(1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회전 레일(181) 및 블레이드(18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레일(181)은,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82)는, 회전 레일(181)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회전 레일(181)의 회전 동작에 의해 본체부(110) 주위를 감싸는 공기에 와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회전 레일(181) 및 블레이드(182)를 포함하는 와류생성부(180)를 구비함으로써, 화재로 인해 발생된 연기에 의해 조명부(120)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방향을 피난 인명에게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 피난하고 있는 인명에게 비상구 방향 또는 피난 통행로 방향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생성부(180)에 의해 생성된 공기 와류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특정 구조의 와류생성부(180)와 조명부(120)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시 피난하고 있는 인명에게 비상구 방향 또는 피난 통행로 방향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110: 본체부
111: 하우징
112: 관통 슬릿
120: 조명부
130: 알람부
140: 제어부
150: 가스검출센서
160: 무선통신모듈
170: 조사방향 변경부
180: 와류생성부
181: 회전 레일
182: 블레이드
110: 본체부
111: 하우징
112: 관통 슬릿
120: 조명부
130: 알람부
140: 제어부
150: 가스검출센서
160: 무선통신모듈
170: 조사방향 변경부
180: 와류생성부
181: 회전 레일
182: 블레이드
Claims (5)
- 실내의 천정 또는 측벽에 부착되고, 내부에 가스검출센서(150), 제어부(140) 및 전원공급부를 탑재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조명을 하방 또는 측방으로 조사하고, 와류생성부(180)에 의해 생성된 공기 와류 기둥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일측에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130);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탑재되고, 가스검출센서(15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조명부(120), 알람부(130), 조사방향 변경부(170) 및 와류생성부(1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일측에 탑재되고, 조명부(120)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조사되는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변경하는 조사방향 변경부(170); 및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일측에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본체부(110) 주위를 감싸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공기 와류 기둥을 생성하는 와류생성부(180);
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생성부(180)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회전 레일(181); 및
상기 회전 레일(181)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회전 레일(181)의 회전 동작에 의해 본체부(110) 주위를 감싸는 공기에 와류를 생성하는 블레이드(18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박스형 구조의 하우징(111); 및
상기 하우징(111)의 일측 중앙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출부(112);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120)는 본체부(110)의 돌출부(112) 하부면에 탑재되고, 화재 발생 시 상시 점등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는,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탑재되고, 실내에 부착되는 또 다른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인접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의 가스검출센서(15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무선통신모듈(16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을 이용하여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와 함께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2331A KR102248212B1 (ko) | 2020-09-03 | 2020-09-03 |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2331A KR102248212B1 (ko) | 2020-09-03 | 2020-09-03 |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8212B1 true KR102248212B1 (ko) | 2021-05-04 |
Family
ID=7591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2331A KR102248212B1 (ko) | 2020-09-03 | 2020-09-03 |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821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10272A1 (ko) * | 2023-04-06 | 2024-10-10 | 허춘 | 조명을 구비하는 걸레받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45565A (ja) * | 2001-02-13 | 2002-08-30 | Tatsuaki Saito | 火災災害予防総合保安装置 |
KR20170092983A (ko) * | 2016-02-04 | 2017-08-14 | 이상무 | 조명 겸용 화재감지장치 |
KR20190128327A (ko) * | 2018-05-08 | 2019-11-18 | 주식회사 씨지에스티앤에프 |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 경보시스템 |
KR20190138260A (ko) | 2018-06-04 | 2019-12-12 | 주식회사 로제타텍 | 화재경보기 |
-
2020
- 2020-09-03 KR KR1020200112331A patent/KR1022482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45565A (ja) * | 2001-02-13 | 2002-08-30 | Tatsuaki Saito | 火災災害予防総合保安装置 |
KR20170092983A (ko) * | 2016-02-04 | 2017-08-14 | 이상무 | 조명 겸용 화재감지장치 |
KR20190128327A (ko) * | 2018-05-08 | 2019-11-18 | 주식회사 씨지에스티앤에프 |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 경보시스템 |
KR20190138260A (ko) | 2018-06-04 | 2019-12-12 | 주식회사 로제타텍 | 화재경보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10272A1 (ko) * | 2023-04-06 | 2024-10-10 | 허춘 | 조명을 구비하는 걸레받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3529329A (ja) | 投射式方向表示を備える非常用照明システム | |
KR101841761B1 (ko) |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 |
KR101208298B1 (ko) | 화재시 안내 시스템 | |
KR102580356B1 (ko) |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 |
KR100985507B1 (ko) |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 |
KR20130109349A (ko) |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 |
KR20110059161A (ko) |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 |
KR101807264B1 (ko) |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 |
KR102248212B1 (ko) |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 |
KR101806168B1 (ko) | 비상 대피용 소방 표시등 | |
KR102049083B1 (ko) |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기능을 갖는 스마트 비상등 시스템 | |
KR101888467B1 (ko) | 대피로 식별이 용이한 비상등 기구 제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 |
KR20140073612A (ko) | 화재시 안내 시스템 | |
KR101960868B1 (ko) | 식별이 용이한 광원부를 갖는 랙크식 창고용 피난 안내 장치 | |
KR102049087B1 (ko) |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 경보시스템 | |
JP3148429U (ja) | 警報器 | |
KR100996730B1 (ko) | 화재 경보장치 | |
KR101900203B1 (ko) |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 |
KR101950743B1 (ko) | 공동주택의 화재시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 |
JP6396750B2 (ja) | 火災感知器又は火災警報器 | |
KR101833248B1 (ko) | 소방 피난 유도장치 | |
KR101853098B1 (ko) | 소방 피난 유도장치 | |
JP2014170348A (ja) | 警報器 | |
KR200330752Y1 (ko) | 피난구 유도 장치 | |
JPH06325264A (ja) | 避難誘導支援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