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260A - 화재경보기 - Google Patents

화재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260A
KR20190138260A KR1020180113229A KR20180113229A KR20190138260A KR 20190138260 A KR20190138260 A KR 20190138260A KR 1020180113229 A KR1020180113229 A KR 1020180113229A KR 20180113229 A KR20180113229 A KR 20180113229A KR 20190138260 A KR20190138260 A KR 2019013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ensor
humidity
probability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737B1 (ko
Inventor
조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제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제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제타텍
Publication of KR2019013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화재경보기는 내장배터리로부터 제공받는 내부전원 및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화재경보기는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연기센서에 의해 감지된 것이 연기 및 수증기 중 어떤 것인지 구분한다. 상기 화재경보기에 상기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만, 화재경보기는 외부의 다른 센서들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의 다른 장치들에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화재경보기는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확률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화재경보기{FIRE ALARM DEVICE}
본 발명은 화재경보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내장배터리 및 외부전원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화재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발생여부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화재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화재 경보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화재 경보 시스템은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 연기, 화염 등을 감지하는 화재경보기를 통해 자동으로 화재를 발견하거나 화재 발견자에 의해 소정의 경보기가 조작된 경우에, 경종, 사이렌 또는 표시등과 같은 경보장치를 통해 건물 내의 관계자 또는 거주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시스템이다.
종래 일방적인 화재경보기는 열 또는 연기를 단순히 감지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였는데, 이 경우 수증기와 화재 때문에 발생하는 연기를 구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경보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내장배터리로 구동되는데, 이 때문에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서 화재경보기에 적극적으로 다른 기능들을 추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경보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사후적으로만 화재발생여부를 알려줄 뿐, 화재 발생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미리 알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증기와 연기를 구분할 수 있는 화재경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순히 연기를 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물의 열화상들을 촬영할 수 있고, 외부의 다른 기기들과 유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화재경보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확률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미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화재경보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는 연기센서, 열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열화상 카메라모듈, 내장 배터리 및 외부에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상시전원어댑터를 포함하는 전원모듈, 외부의 다른 센서들로부터 유선으로 외부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는 외부확장단자, 외부의 다른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릴레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출력단자, 상기 센서모듈에서 수신한 신호 및 상기 외부의 다른 센서들에서 수신한 상기 외부신호에 대응하여, 외부의 서버에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상기 전원모듈, 상기 외부확장단자, 상기 외부출력단자, 및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연기센서에 측정된 값을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95%이상 100%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연기센서에 측정된 값을 항상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확장단자 및 상기 외부출력단자는 상기 상시전원어댑터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은 상기 상시전원어댑터가 외부로부터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의 다른 센서들은 불꽃감지센서 및 동체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모듈들의 개수는 4개이고, 상기 4개의 열화상 카메라모듈 중 어느 하나의 열화상 카메라모듈이 촬영하는 방향은 다른 열화상 카메라모듈들이 촬영하는 방향들과 90도 또는 180도 차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모듈은 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모듈은 외부의 장치에서 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빅 데이터는 날짜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시각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위치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기온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습도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날씨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업종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사용자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연기센서에 측정된 값을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증기와 연기를 구분하여, 실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수증기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할 확률이 낮은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장배터리와 외부전원을 모두 이용할 수 있어서,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외부의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의 장치를 제어하는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확률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미리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화재경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기의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재경보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재경보기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에 대해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기가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기가 빅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기(10)의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재경보기(10)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재경보기(10)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에 대해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재경보기(10)의 외면에는 복수의 개구부들(OP)이 정의될 수 있다. 화재발생에 따른 연기가 개구부들(O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서, 화재경보기(1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재경보기(10)는 센서모듈(100), 열화상 카메라 모듈(200), 전원모듈(300), 확장단자모듈(400), 통신모듈(500), 메모리부(600), 스피커(700), 및 제어회로(8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00)은 연기센서(110), 열센서(120), 및 습도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기센서(110)는 연기의 발생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연기 때문에 발생하는 빛의 투과율 변화를 감지하여 연기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연기센서(110)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빛을 수광소자를 통해서 감지하는 방식으로 빛의 투과율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단, 연기센서(110)가 연기를 감지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열센서(120)는 외부의 열을 감지하여 화재 때문에 주위의 온도가 올라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습도센서(130)는 주위의 현재 습도(예를들어, 상대습도) 및 습도의 변화량을 감지한다.
연기센서(1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빛의 투과율을 감지하여 연기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다량의 수증기에 의한 빛의 투과율 변화와 연기에 의한 빛의 투과율 변화를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증기의 경우 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습도센서(130)를 이용하여 수증기 때문에 연기센서(110)가 반응하는 것인지, 아니면 실제 연기 때문에 연기센서(110)가 반응하는 것인지 판별할 수 있다. 습도센서(130)를 이용한 수증기 및 연기 판독방법은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열화상 카메라 모듈(200)은 물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서 촬영하는 기기이다. 따라서, 열화상 카메라 모듈(200)은 빛이 없는 어두운 상황이나 연기와 같은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물체를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화재경보기(10)는 열화상 카메라 모듈(200)을 포함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생명체(예를들어, 사람, 개, 고양이 등)가 있는지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외부(예를들어, 화재발생한 위치의 관리자, 소방서, 관리센터 등)에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송신을 위해서 통신모듈(500)이 이용될 수 있으며, 정보를 수신하는 주체는 도 3에 도시된 서버(SS)에 접속할 수 있는 기관이나 사람일 수 있다.
전원모듈(300)은 내장배터리(310) 및 외부전원 어댑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배터리(310)는 예를들어, 건전지 또는 충전지일 수 있다. 내장배터리(310)에 의해 제공되는 전원의 전압값은 약 3V일 수 있다.
외부전원 어댑터(3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상시전원을 수신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예를들어, 외부전원 어댑터(320)는 외부에서 항시 인가되는 220V 교류 전압을 5V 내지 16V의 직류전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재경보기(10)가 구동되기 위해서 내장배터리(310) 및 외부전원 어댑터(320)는 동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화재경보기(10)가 구동되기 위해서 내장배터리(310) 및 외부전원 어댑터(320) 중 어느 하나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확장단자모듈(400)은 외부확장단자(410) 및 외부출력단자(420)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단자모듈(400)을 통해 외부의 다른 기기들과 화재경보기(1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외부확장단자(410)는 외부의 다른 센서들(20, 3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확장단자(410)에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센서들(20, 30)은 불꽃감지센서(20) 및/또는 동체감지센서(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의 다른 센서들(20, 30)에 별도의 무선 통신모듈이 없는 경우에, 화재경보기(10)가 외부확장단자(410)를 통해 외부의 다른 센서들(20, 3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통신모듈(500)을 통해 서버(SS)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경보기(10)는 다른 센서들(20, 3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외부의 다른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중계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출력단자(420)는 외부의 다른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듈이며, 구체적으로 유선방식으로 릴레이 신호가 다른 기기들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무선통신모듈이 없는 기기들도 화재경보기(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릴레이 신호를 인가받아 제어될 수 있다.
통신모듈(500)은 외부의 서버(SS)와 무선 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모듈(500)은 약 900M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모듈, Wi-Fi, 또는 Bluetooth 등 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재경보기(10)가 무선으로 서버(SS)와 통신할 수 있도록하는 모듈이면 충분하다.
메모리부(600)에는 화재감지기(10)가 동작하기 위한 정보들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메모리부(60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스피커(700)는 화재감지기(10)가 센서모듈(100)을 통해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한 경우,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장배터리(310)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 스피커(700)는 경고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배터리를 교체할 것을 요구하는 알림을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회로(800)는 센서모듈(100), 열화상 카메라 모듈(200), 전원모듈(300), 확장단자모듈(400), 통신모듈(500), 메모리부(600), 및 스피커(7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다. 예를들어, 제어회로(800)는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하는 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열화상 카메라 모듈(200) 및 확장단자모듈(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원모듈(300)의 외부전원 어댑터(320)를 통해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만 구동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 모듈(200) 또는 확장단자모듈(400)이 구동되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소모되기 때문에, 화재경보기(10)가 내장배터리(310)에 의해서만 구동되는 경우에는 열화상 카메라 모듈(200) 또는 확장단자모듈(400)이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기(10-1)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화재경보기(10-1)는 4개의 열화상 카메라 모듈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 모듈들(200)은 서로 다른 방향을 촬영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 모듈들(200)이 촬영하는 방향들은 서로 90도 또는 180도 차이 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경보기(10-1)에 다수의 열화상 카메라 모듈들(200)을 실장하여, 화재가 발생한 장소의 생명체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기 구동방법(S10) 나타낸 순서도(S10)이다. 도 5에 도시된 화재경보기 구동방법(S10)에 따라, 화재경보기(10, 10-1)는 수증기와 연기를 구분할 수 있다.
연기센서 구동단계(S100)에서는 센서모듈(100)의 연기센서(110)가 빛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회로(800)에 전송한다.
상대습도 판단단계(S200)에서는 제어회로(800)가 연기센서(11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여, 기존에 센싱되었던 주변의 상대습도값을 센서모듈(100)의 습도센서(130)로부터 수신한다.
만약, 습도센서(130)로부터 수신한 기존의 상대습도값이 95%이상이라면, 현재 밖은 매우 습하거나 비가오는 상황이므로, 습도의 변화량을 통해 연기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것이 수증기인지 연기인지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항상 연기를 감지한 것으로 보고 화재경보기(10)가 구동되어 스피커(700)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하거나, 통신모듈(500)을 통해 외부의 서버(SS)에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10).
만약, 습도센서(130)로부터 수신한 기존의 상대습도값이 95%미만이라면, 현재 밖은 습하지 않은 상황이므로, 습도의 변화량을 통해 연기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것이 수증기인지 연기인지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상대습도값의 기준값은 95%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수증기인지 연기인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습도값은 변경될 수 있다.
습도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습도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습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변화량값(예를들어, 변화량이 10%)보다 큰지 판단하고(S300), 습도가 증가하여 습도의 변화량이 크다면 현재 연기센서(110)에 감지된 것이 연기가 아니라 수증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화재경보기가 경고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습도변화량의 기준값은 10%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수증기인지 연기인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습도변화량값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습도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습도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습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변화량값(예를들어, 변화량이 10%)보다 작다면, 습도의 변화량이 작은 것으로 미루어보아 현재 연기센서(110)에 감지된 것이 연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화재경보기가 경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20).
단, 산출된 습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변화량값보다 크다고 하더라도, 습도가 낮아지는 변화라면, 연시겐서(110)에 의해 감지된 것이 연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불에 의해 주변의 습도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기(10)가 빅 데이터(BD)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재경보기(10)는 빅 데이터(BD)를 저장한 장치 및 서버(SS)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빅 데이터(BD)는 서버(SS)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빅 데이터(BD)는 서버(SS)가 아닌 다른 장치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빅 데이터는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변환경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주변환경 데이터는 날짜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들어, 요일별 화재 발생확률 또는 달별 화재 발생확률), 시각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들어, 새벽/아침/오후/저녁/심야로 구분된 화재 발생확률), 위치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들어, 도심/산간/해변/농촌 등으로 구분된 화재 발생확률), 기온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들어, 봄/여름/가을/겨울로 구분된 화재 발생확률), 습도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들어, 특정 습도수치별 화재 발생확률), 날씨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들어, 맑은날/흐린날/비오는날로 구분된 화재 발생확률), 업종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들어, 가정/식당/공장/사무실 등으로 구분된 화재 발생확률), 또는 사용자별 화재 발생확률(예를들어, 연령/직업/성별 등으로 구분된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빅 데이터(BD)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화재경보기(10)는 통신모듈(500)을 이용하여 빅 데이터(BD)를 수신하고, 제어회로(800)를 이용하여 수신된 빅 데이터(BD)를 이용하여 센서모듈(100)에서 측정한 신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화재경보기(10)는 빅 데이터(BD)를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수신된 빅 데이터(BD)에 따라 현재 주변환경이 화재 발생 확률이 높은 환경(예를들어, 겨울철, 심야시간대, 불을 많이 쓰는 업종 등)이라면, 화재경보기(10)는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경고음을 더 민감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수신된 빅 데이터(BD)에 따라 현재 주변환경이 화재 발생 확률이 낮은 환경(예를들어, 높은 습도, 낮 시간대, 사람들이 많이 있는 위치)이라면, 화재경보기(10)는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경고음을 덜 민감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재경보기(10)의 제어회로(800)는 통신모듈(500)을 통해 수신한 빅 데이터(BD)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확률에 대해서 산출하고, 화재 발생확률이 소정의 값(예를들어, 80%) 이상인 경우, 센서모듈(100)이 화재발생을 감지하지 않아도 스피커(700)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기(10)는 빅 데이터(BD)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확률에 대해서 판단하고, 화재 발생 확률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하기 이전에 미리 경고하는 사전인지형 화재경보기로 활용될 수 있다.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1: 화재경보기 100: 센서모듈
200: 열화상 카메라모듈 300: 전원모듈
400: 확장단자모듈 500: 통신모듈
600: 메모리부 700: 스피커
800: 제어회로 BD: 빅 데이터

Claims (15)

  1. 연기센서, 열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열화상 카메라모듈;
    내장 배터리 및 외부에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상시전원어댑터를 포함하는 전원모듈;
    외부의 다른 센서들로부터 유선으로 외부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는 외부확장단자;
    외부의 다른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릴레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출력단자;
    상기 센서모듈에서 수신한 신호 및 상기 외부의 다른 센서들에서 수신한 상기 외부신호에 대응하여, 외부의 서버에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상기 전원모듈, 상기 외부확장단자, 상기 외부출력단자, 및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연기센서에 측정된 값을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하는 화재감지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95%이상 100%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연기센서에 측정된 값을 항상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하는 화재감지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확장단자 및 상기 외부출력단자는 상기 상시전원어댑터가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화재감지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은 상기 상시전원어댑터가 외부로부터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화재감지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다른 센서들은 불꽃감지센서 및 동체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은 복수개로 제공되는 화재감지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모듈들의 개수는 4개이고,
    상기 4개의 열화상 카메라모듈 중 어느 하나의 열화상 카메라모듈이 촬영하는 방향은 다른 열화상 카메라모듈들이 촬영하는 방향들과 90도 또는 180도 차이나는 화재감지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열센서를 더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외부의 장치에서 빅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빅 데이터는 날짜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시각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위치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기온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습도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날씨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업종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사용자별 화재 발생확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재감지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연기센서에 측정된 값을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화재감지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발생 확률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확률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스피커는 경고음을 생성하는 화재감지기.
  13. 연기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화재경보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기센서를 이용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하기 전의 상대습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상대습도가 소정의 습도값 이상이면 화재발생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된 상대습도가 상기 소정의 습도값 미만이면 상기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습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습도 변화량이 소정의 변화량값 이상이면 화재발생 경고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상기 산출된 습도 변화량이 상기 소정의 변화량값 미만이면 화재발생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외부에서 수신한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한 화재발생 확률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아도 상기 화재발생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감지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습도값은 95퍼센트인 화재감지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변화량값은 10퍼센트인 화재감지방법.
KR1020180113229A 2018-06-04 2018-09-20 화재경보기 KR102123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4421 2018-06-04
KR1020180064421 2018-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260A true KR20190138260A (ko) 2019-12-12
KR102123737B1 KR102123737B1 (ko) 2020-06-16

Family

ID=6900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229A KR102123737B1 (ko) 2018-06-04 2018-09-20 화재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7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212B1 (ko) 2020-09-03 2021-05-04 이연재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WO2021135768A1 (zh) * 2019-12-30 2021-07-08 江苏智维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警报装置的光源组件及消防警报装置
KR102289216B1 (ko) * 2020-09-29 2021-08-13 주식회사 로제타텍 비화재보 방지 기능을 갖는 화재 경보기
KR102290667B1 (ko) * 2021-04-19 2021-08-19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인공지능을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29B1 (ko) * 2007-04-02 2008-08-06 주식회사 아트시스템 다중 센싱 화재 방범 전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15195017A (ja) * 2014-03-20 2015-11-05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警報器
KR20180023118A (ko) * 2016-08-24 2018-03-07 (주)하나종합기술 화재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29B1 (ko) * 2007-04-02 2008-08-06 주식회사 아트시스템 다중 센싱 화재 방범 전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15195017A (ja) * 2014-03-20 2015-11-05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警報器
KR20180023118A (ko) * 2016-08-24 2018-03-07 (주)하나종합기술 화재감지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5768A1 (zh) * 2019-12-30 2021-07-08 江苏智维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警报装置的光源组件及消防警报装置
KR102248212B1 (ko) 2020-09-03 2021-05-04 이연재 조명부를 포함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경보기
KR102289216B1 (ko) * 2020-09-29 2021-08-13 주식회사 로제타텍 비화재보 방지 기능을 갖는 화재 경보기
WO2022071758A1 (ko) *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로제타텍 비화재보 방지 기능을 갖는 화재 경보기
KR102290667B1 (ko) * 2021-04-19 2021-08-19 주식회사 진일기술단 인공지능을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737B1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8260A (ko) 화재경보기
KR101039626B1 (ko)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157825B2 (en) Event condition detection
US20170098354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tect users via light fixture networks
EP1271442A1 (en) Object status detector, object status detecting method, home electric appliances, network adopter, and media
JP2016527629A (ja) 多基準アラーム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911839B2 (ja) 信号送信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US10548780B1 (en) Apparatus for informing excretion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8055512A (ja) 自動点検システム、自動点検システム用点検対象読取り装置および自動点検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151687B2 (ja) 人体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人体検出システム
CN108170060A (zh) 危险源及环境监测报警系统及方法
EP3376174B1 (en) Environmental sensor
JP2017021496A (ja) 高齢者向け集合住宅熱中症警報システム
JP4036090B2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2368669B1 (ko) 화재 경보 시스템
JP2011013129A (ja) 動き監視システム
TWM587327U (zh) 遠端監測系統
KR102411157B1 (ko) LiDAR 센서를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JP5290219B2 (ja) 警備装置
CN216450146U (zh) 一种远程监控异地值守系统
JP2001357482A (ja) 計測制御システム
WO202117723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TWI700032B (zh) 遠端監測系統
EP4177592A1 (en) Sign determination system, integrated system, sig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JP2005123727A (ja) 生活見守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