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919B1 -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 Google Patents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919B1
KR102247919B1 KR1020210025506A KR20210025506A KR102247919B1 KR 102247919 B1 KR102247919 B1 KR 102247919B1 KR 1020210025506 A KR1020210025506 A KR 1020210025506A KR 20210025506 A KR20210025506 A KR 20210025506A KR 102247919 B1 KR102247919 B1 KR 10224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osed
synthetic rubber
variable clamp
rub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진
Original Assignee
(주)위즈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즈덤 filed Critical (주)위즈덤
Priority to KR1020210025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이 제공된다.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 상부에 배치된 합성고무층, 상기 합성고무층 상부에 배치된 멤브레인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Construction membrane structure including variable clamp-integrated plate}
본 발명은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막 구조물이라 함은 지상으로부터 세워진 골조를 이용하여 막 등을 고정함에 따라 건축막 구조물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설치나 해체가 용이하고 다양한 구조와 형태 및 용도로 구축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기 때문에 각종 전시장이나 창고 또는 체육 활동을 위한 경기장 혹은 운동 시설 등을 위한 공간의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건축막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지지기둥과, 지지기둥을 이용하여 막 구조물의 뼈대를 완성하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지지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들 지지기둥 및 지지암을 이용하여 대형의 막(멤브레인)을 통해 천장부를 형성함에 따라 막 구조물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막의 각 끝단에는 와이어(강선)를 매입하고, 이들 와이어에 대하여 고도의 인장력을 부여함에 따라 막은 항상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인장 상태의 막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막 구조물은 설계된 본래의 미려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바람에 의해 펄럭임이 발생하거나 천막이 주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의 막 구조물은 국내등록특허 제10-1190055호(등록일: 2012.10.05. 발명의 명칭: 막구조물에 대한 수직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와 같이 막의 내측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지지기둥의 선단에 별도의 장력조절수단을 형성하되, 장력조절수단은 막과 지지기둥에 연결되게 하고, 장력조절수단의 상하 승강을 통해 막에 대한 긴장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서스펜션 막 구조물이 등록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막 구조물은 멤브레인의 형상이 막 구조물의 프레임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일정한 형상을 갖춘 프레임이 설치된 이후에는 다양한 외관을 같는 멤브레인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축막 구조물의 외관을 이루는 천장, 지붕 등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 상부에 배치된 합성고무층, 상기 합성고무층 상부에 배치된 멤브레인층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다수 배치되며, 다수의 볼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각각 관통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볼트부 각각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승하고, 상기 다수의 볼트부 각각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볼트부와 상기 합성고무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다수의 볼트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부가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두께는 1mm 내지 25mm이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1000mm이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두께는 1mm 내지 25mm이며,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1000mm이고, 상기 합성고무층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고무층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두께는 1mm 내지 15mm이며, 상기 합성고무층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3000mm이고, 상기 멤브레인층은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로 이루어지며, 상기 멤브레인층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두께는 0.4mm 내지 5mm이며, 상기 멤브레인층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40,000mm일 수 있다.
상기 합성고무층의 상면에는 다수의 도트 패턴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도트 패턴 각각의 두께는 0.5mm 내지 10mm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도트 패턴의 피치는 3mm 내지 9mm일 수 있다.
상기 합성고무층의 하면에는 실리콘 재질의 쿠션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는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되,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쿠션부의 두께는 5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제1 너트 및 제2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 너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에 의하면, 가변형 건축막 구조물의 외관을 이루는 천장, 지붕 등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되어, 다양한 형상의 건축막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축막 구조물의 천장, 지붕을 이루는 멤브레인층과의 미세한 성형 오차를 조정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건축막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100)은, 프레임(10), 지지대(30) 및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VP)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은 지면에 축조되는 것으로서, 트러스빔 구조 등 다양한 형상으로 축조될 수 있으며. 이때, 프레임(10)은 강성을 갖는 스틸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볼록하게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레임(10)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면과 접촉하는 프레임(10)의 양 끝단에는 고정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대(30)는 프레임(10)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3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프레임(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지지대(30)는 프레임(10)과 연결되어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1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지지대(30) 각각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이 다수 배치되는 경우, 지지대(30)는 다수의 프레임(10)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는 경우, 지지대(3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프레임(10)들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VP)는 지지대(3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VP)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플레이트(P1),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플레이트(P1)와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P2),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플레이트(P1)를 관통하는 볼트부(BP), 제1 플레이트(P1) 및 볼트부(BP) 상부에 배치되는 합성고무층(RL) 및 합성고무층(RL) 상부에 배치되는 멤브레인층(MP)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합성고무층(RL) 및 멤브레인층(MP)은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100)의 지붕 또는 천장을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볼트부(BP)와 합성고무층(RL) 사이에는 제3 플레이트(P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지지대(3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P1)는 지지대(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대(30)가 다수 배치되는 경우 제1 플레이트(P1)는 지지대(30)에 대응하여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P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P1)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두께는 1mm 내지 25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P1)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1000mm일 수 있고, 제1 플레이트(P1)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폭은 30mm 내지 150mm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P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지지대(30)와 제1 플레이트(P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30)와, 지지대(30)와 이격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플레이트(P1) 사이에 제2 플레이트(P2)가 다수 배치되어 지지대(30)와 제1 플레이트(P1)를 연결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P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P2)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두께는 1mm 내지 25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P2)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500mm일 수 있고, 제1 플레이트(P1)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폭은 30mm 내지 150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볼트부(BP)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플레이트(P1)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볼트부(BP)에는 너트부가 체결될 수 있다. 너트부는 2개의 너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너트는 제1 플레이트(P1)의 하면에 접촉되어 고정되고, 제2 너트는 제1 플레이트(P1) 상면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부(BP)는 제1 플레이트(P1)를 관통한 상태에서 제1 너트 및 제2 너트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볼트부(BP)는 제1 플레이트(P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볼트부(BP)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제2 플레이트(P2)와 비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볼트부(BP)의 상단에는 제3 플레이트(P3)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P3)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플레이트(P3)는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다수의 볼트부(BP)에 대응하여 볼트부(BP) 상단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3 플레이트(P3)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3 플레이트(P3)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플레이트(P3)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두께는 1mm 내지 25mm일 수 있다.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 각각은 볼트부(BP)와 접촉할 수 있으며,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돌출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볼트부(BP)와의 마찰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과 볼트부(BP)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볼트부(BP)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제3 플레이트(P3)와 중첩할 수 있다.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 각각의 면적은 볼트부(BP) 상면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 각각의 면적은 볼트부(BP) 상면의 면적보다 5배 내지 10배 정도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플레이트(P3) 상부에는 합성고무층(RL)이 배치될 수 있다. 합성고무층(RL)은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고무층(RL)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두께는 1mm 내지 15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합성고무층(RL)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3000mm일 수 있고, 합성고무층(RL)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폭은 20mm 내지 150mm일 수 있다. 멤브레인층(ML)과 접촉하는 합성고무층(RL)의 상면에는 접촉면을 높이기 위한 마찰강화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마찰 강화 패턴은 다수의 도트 패턴일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도트 패턴 각각의 두께는 0.5mm 내지 10mm로 이루어지고, 피치는 3mm 내지 9mm일 수 있다. 제3 플레이트(P3)와 접촉하는 합성고무층(RL)의 하면에는 제3 플레이트(P3)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쿠션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부는 제3 플레이트와 합성고무층(RL) 사이에 배치되며, 실리콘,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부의 두께는 5mm 내지 1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플레이트(P3)가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으로 이루어진 경우 쿠션부는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 각각의 면적은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 각각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합성고무층(RL) 상부에는 멤브레인층(ML)이 배치될 수 있으며, 멤브레인층(ML)은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 PVF(Poly Vinyl Fluoride),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ECM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멤브레인층(ML)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두께는 0.4mm 내지 5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멤브레인층(ML)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40,000mm일 수 있고, 멤브레인층(ML)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폭은 100mm 내지 4000mm일 수 있다. 멤브레인층(ML)은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100)의 지붕 또는 천장을 구성할 수 있다.
볼트부(BP)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으며, 볼트부(BP)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볼트부(BP)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우, 볼트부(BP) 상단에 배치된 제3 플레이트(P3)도 상승하게 되며, 제3 플레이트(P3)의 상승으로 제3 플레이트(P3)가 지지하고 있는 영역의 합성고무층(RL) 및 멤브레인층(ML)이 상승하게 된다.
볼트부(BP)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 볼트부(BP) 상단에 배치된 제3 플레이트(P3)도 하강하게 되며, 제3 플레이트(P3)의 상승으로 제3 플레이트(P3)가 지지하고 있는 영역의 합성고무층(RL) 및 멤브레인층(ML)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볼트부(BP) 각각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플레이트(P1)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100)의 지붕 또는 천장의 외관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100)의 천장, 지붕을 이루는 멤브레인층(ML)과 프레임(10) 및 지지대(30)가 갖춘 골격의 미세한 성형 오차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P1: 제1 플레이트
P2: 제2 플레이트
P3: 제3 플레이트
BP: 볼트부
RL: 합성고무층
ML: 멤브레인층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 상부에 배치된 합성고무층, 상기 합성고무층 상부에 배치된 멤브레인층을 포함하는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다수 배치되며, 다수의 볼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각각 관통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볼트부 각각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승하고, 상기 다수의 볼트부 각각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하강하도록 구성된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볼트부와 상기 합성고무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다수의 볼트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부가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두께는 1mm 내지 25mm이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1000mm이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두께는 1mm 내지 25mm이며,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1000mm이고,
    상기 합성고무층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고무층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두께는 1mm 내지 15mm이며, 상기 합성고무층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3000mm이고,
    상기 멤브레인층은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로 이루어지며, 상기 멤브레인층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두께는 0.4mm 내지 5mm이며, 상기 멤브레인층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100mm 내지 40,000mm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층의 상면에는 다수의 도트 패턴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도트 패턴 각각의 두께는 0.5mm 내지 10mm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도트 패턴의 피치는 3mm 내지 9mm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층의 하면에는 실리콘 재질의 쿠션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는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되,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 조각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쿠션부의 두께는 5mm 내지 15mm인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제1 너트 및 제2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 너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하는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KR1020210025506A 2021-02-25 2021-02-25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KR10224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06A KR102247919B1 (ko) 2021-02-25 2021-02-25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06A KR102247919B1 (ko) 2021-02-25 2021-02-25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919B1 true KR102247919B1 (ko) 2021-05-04

Family

ID=7591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506A KR102247919B1 (ko) 2021-02-25 2021-02-25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9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230A (ja) * 1992-10-20 1995-05-30 Keihin Tento Seisakusho:Kk 膜面構造体用張力付与装置と膜面構造体に張力を付 与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230A (ja) * 1992-10-20 1995-05-30 Keihin Tento Seisakusho:Kk 膜面構造体用張力付与装置と膜面構造体に張力を付 与す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9388B (zh) 太陽能板框架組
KR101764369B1 (ko) 그레이팅 고정 장치
JP2014136956A (ja) 屋根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200110967A (ko) 교량용 점검대
KR101190055B1 (ko) 막구조물에 대한 수직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KR102247919B1 (ko) 가변형 클램프 일체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KR100952931B1 (ko) 철근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와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접합부 전단보강장치
KR100579597B1 (ko) 가시설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190579B1 (ko)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JP2014025288A (ja) ソーラーカーポート
KR102346754B1 (ko) 클램프 일체형 거터를 포함하는 건축막 구조물
JP5284425B2 (ja) 屋根架構体の支持構造
CN114109053A (zh) 一种可调式拼装胎架
JP2016116264A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JP7406225B2 (ja) 組立構造体、及び組立構造体の製造方法
KR102115733B1 (ko)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EP0214108B1 (en) Lattice covering structure
CN207619942U (zh) 弧形三角门现场安装三点支撑结构
JP4693273B2 (ja) 膜材の定着部構造および定着方法並びにこれらに使用される膜材定着用形鋼
KR101359298B1 (ko) 웨브에 주름이 형성된 용접빔 기둥과 서까래의 조립장치
JP2004263383A (ja) X型交差張弦梁構造体
KR200406524Y1 (ko) 가시설 시스템
CN219386864U (zh) 一种安装结构高精度的钢檩条
CN108442520A (zh) 大跨度桁架支撑结构及系统以及屋盖支撑系统
JP3232904U (ja) 筋交い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