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579B1 -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 Google Patents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0579B1 KR101190579B1 KR1020120002133A KR20120002133A KR101190579B1 KR 101190579 B1 KR101190579 B1 KR 101190579B1 KR 1020120002133 A KR1020120002133 A KR 1020120002133A KR 20120002133 A KR20120002133 A KR 20120002133A KR 101190579 B1 KR101190579 B1 KR 1011905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 tent
- plate
- tension plate
- membrane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의 공간 창출을 가능케 한 막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 구조물의 천막 및 천막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텐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플레이트는 지지아암에 형성된 장력조절판으로부터 유동 가능한 체결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천막의 끝단에 장착되는 텐션 플레이트를 통해 천막와이어에 대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여 천막의 견고한 고정 설치와 동시에 천막 끝단에 대한 주름 및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텐션 플레이트의 이동 고정을 통해 천막 자체에 발생할 수 있는 처짐이나 주름 등을 개선 및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막 구조물의 설치 단계에서 천막의 이완 설치 후 장력 부여를 통해 팽팽한 긴장 상태가 연출될 수 있으므로 막 구조물의 시공이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설치된 막 구조물의 천막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편리한 장력 조절 및 부여가 가능하므로 미려한 막 구조물의 외장을 유지함은 물론 천막이 바람에 의해 펄럭이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막 구조물의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천막의 끝단에 장착되는 텐션 플레이트를 통해 천막와이어에 대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여 천막의 견고한 고정 설치와 동시에 천막 끝단에 대한 주름 및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텐션 플레이트의 이동 고정을 통해 천막 자체에 발생할 수 있는 처짐이나 주름 등을 개선 및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막 구조물의 설치 단계에서 천막의 이완 설치 후 장력 부여를 통해 팽팽한 긴장 상태가 연출될 수 있으므로 막 구조물의 시공이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설치된 막 구조물의 천막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편리한 장력 조절 및 부여가 가능하므로 미려한 막 구조물의 외장을 유지함은 물론 천막이 바람에 의해 펄럭이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막 구조물의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의 공간 창출을 가능케 한 막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기둥과 종횡의 지지아암 및 천막과 와이어의 결합을 통해 완성되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에 있어, 천막 양측단으로부터 천막의 곡선부가 긴장 상태로 설치되도록 한 텐션 플레이트에 대한 장력조절수단을 적용함에 따라 텐션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천막와이어의 장력 조절은 물론 텐션 플레이트 자체의 이동을 통해 천막 전체적으로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통의 막 구조물은 천장부에 천막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치나 해체가 용이하고 다양한 구조와 형태 및 용도로 구축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기 때문에 전시장이나 창고 또는 각종 체육활동을 위한 공간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막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지기둥과 상기의 지지기둥을 이용하여 막 구조물의 뼈대를 완성하는 종,횡의 지지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들 지지기둥과 지지아암을 이용하여 대형의 천막(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천장부를 형성함에 따라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천막의 끝단에는 와이어(강선)을 매입하고 이들 와이어에 대하여 고도의 인장력을 부여함에 따라 상기의 천막은 항상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긴장 상태의 천막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막 구조물은 설계된 본래의 미려함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바람에 의해 펄럭임이 발생하거나 천막이 주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막 구조물의 예시로서, 도 1의 도시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기둥(100)(100')과, 상기 지지기둥(100)(100')의 선단으로부터 종횡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아암(110)(110') 및 상기 지지기둥(100)(100')과 지지아암을 이용하여 대형의 천막(120)을 고정 설치함에 따라 천장부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천막(120)은 끝단부에 매입된 와이어의 양 끝단을 잡아당겨 장력이 부여되게 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장력으로부터 상기의 천막(120)이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의 지지아암(110)(110')은 천막(120)의 외측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천막(120)의 저면 및 상면에 긴장 상태로 와이어를 고정 설치함에 따라 상기의 천막(120)이 미려하고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지지기둥과 지지아암 및 천막과 와이어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막 구조물을 통상적으로 서스펜션 막 구조물이라 한다.
이와 같은 막 구조물은 천막이 긴장 상태를 갖고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아암을 통해 별도의 고정 플레이트를 고정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와 같은 고정 플레이트에는 양측으로 천막의 끝단에 매입되는 천막와이어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끼움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관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천막와이어의 끝단에는 별도의 조절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조절너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천막와이어에 대한 장력이 가감되므로 상기와 같은 천막의 곡선부에 대한 처짐이나 늘어짐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의 조절너트를 사용하여 장력을 부여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막 구조물의 천막 곡선부는 천막의 가장자리 끝단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내향의 굴곡진 곡선부분이 형성되도록 만들어지는 것인데, 상기의 천막 가장자리를 곡선으로 형성하는 주된 이유로는 천막의 끝단 가장자리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천막의 주름이나 처짐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천막에 대한 장력의 부여가 용이하지 못한 것이고 막 구조물의 외관상으로도 미려함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천막 곡선부의 양끝단을 지지아암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는 천막에 대한 고정은 물론 천막와이어에 대한 장력조절을 통해 상기의 천막이 항상 팽팽한 긴장 상태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 플레이트를 갖고 있는 막 구조물은 천막와이어에 대한 장력조절만이 이루어지므로 천막 자체에 전체적으로 처짐이나 주름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적절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천막 끝단에 대한 처짐이 발생한 경우에는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 천막와이어에 대한 장력조절을 통해 처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나 천막의 중간부 및 상부에 대한 처짐 및 늘어짐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의 천막와이어를 아무리 잡아당겨도 천막 자체의 처짐이나 주름은 해소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지지기둥의 높이를 조절하는 등의 과도한 작업을 수행하여서 주름을 해소하는 방법이 적용되므로 매우 불합리한 것이다.
또한, 막 구조물의 설치 과정에서 천막에 대한 주름이 발생한 경우에는 마땅히 이를 해소할만한 방안이 없기 때문에 보통의 막 구조물은 설치 단계에서부터 천막이 팽팽한 긴장상태를 갖도록 시공하기 때문에 천막의 고정 작업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는 것이고며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대형의 천막은 자중 및 섬유 조직의 이완으로 인해 지속적인 처짐 및 늘어짐이 발생하는 것인데 종래의 막 구조물은 이와 같은 천막의 처짐에 대하여 빠르고 능동적인 대처가 불가능하므로 막 구조물의 미려한 외관을 지속시키지 못함은 물론 막 구조물에 대한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막 구조물의 천막 및 천막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텐션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플레이트는 지지아암에 형성된 장력조절판으로부터 유동 가능한 체결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천막와이어의 장력조절을 통해 천막 끝단에 대한 주름 해소는 물론 텐션 플레이트의 이동 고정을 통해 천막 자체의 주름 및 처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상의 편리함은 물론 시공 상태에서의 유지 및 관리가 매우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의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선단으로부터 종횡으로 연결 설치되는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기둥 및 지지아암의 상측에 펼쳐 고정되는 천막과, 천막의 끝단에 매입된 천막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여서 천막이 긴장 설치되도록 구성한 서스펜션 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의 천막은 텐션 플레이트를 갖는 별도의 장력조절수단을 통해 지지아암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되, 천막의 끝단에 밀착 고정되는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는 양측으로 끼움관을 형성하여 상기의 끼움관의 내측으로 천막의 끝단에 매입된 천막와이어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게 하고, 상기 텐션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하향 돌출된 고정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천막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아암의 끝단 상부에는 복수 개의 체결공을 갖는 별도의 장력조절판을 형성하여 상기 텐션 플레이트의 고정플랜지가 상기 체결공을 통해 장력조절판에 힌지 결합되게 함에 따라, 천막와이어에 대한 장력조절을 통해 천막 끝단에 대한 처짐이 해소되게 하고, 장력조절판으로부터 텐션 플레이트에 대한 이동 고정을 통해 천막 자체의 처짐이 해소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막의 끝단에 장착되는 텐션 플레이트를 통해 천막와이어에 대한 장력 조절을 수행하여 천막의 견고한 고정 설치와 동시에 천막 끝단에 대한 주름 및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텐션 플레이트의 이동 고정을 통해 천막 자체에 발생할 수 있는 처짐이나 주름 등을 개선 및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막 구조물의 설치 단계에서 천막의 이완 설치 후 장력 부여를 통해 팽팽한 긴장 상태가 연출될 수 있으므로 막 구조물의 시공이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설치된 막 구조물의 천막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편리한 장력 조절 및 부여가 가능하므로 미려한 막 구조물의 외장을 유지함은 물론 천막이 바람에 의해 펄럭이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막 구조물의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형태의 막 구조물을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이 적용된 막 구조물의 평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이 적용되는 막 구조물의 골조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에서의 천막 고정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의 평면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텐센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의 측면 작동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이 적용된 막 구조물의 평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이 적용되는 막 구조물의 골조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에서의 천막 고정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의 평면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텐센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의 측면 작동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이 적용된 막 구조물의 평면 전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이 적용되는 막 구조물의 골조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에서의 천막 고정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장력조절수단은 일반적인 형태의 막 구조물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막 구조물은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10)(10')과 이들 지지기둥(10)(10')의 선단으로부터 종횡의 방향으로 연결 고정되는 지지아암(20)(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기둥(10)(10') 및 지지아암(20)(20')을 이용하여 대형의 천막(30)을 펼쳐 고정함에 따라 막 구조물의 천장부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천막(30)은 가장자리 끝단에 대하여 금속재로 된 천막와이어(31)(31')를 재봉 등의 방법을 통해 매입 형성함에 따라 천막와이어(31)(31')를 통해 천막(30)에 대한 고정 및 장력의 부여는 물론 천막(30)의 끝단에 대한 늘어짐이나 찢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천막(30)을 별도의 텐션 플레이트(40)를 통해 지지아암의 끝단에 고정하는 동시에 천막와이어(31)(31')에 의한 천막(30) 고정과 천막(30) 끝단의 장력 부여 및 텐션 플레이트(40)의 이동 고정을 통해 천막(30) 자체의 주름이나 펄럭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S)을 적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S)은 천막(3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텐션 플레이트(40)와 지지아암(20)(20')의 끝단 상부에 형성되는 장력조절판(5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텐션 플레이트(40)에는 천막(30)과 천막와이어(31)(31')가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40)는 상기 장력조절판(50)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40)는 금속 판재의 양측단에 일체의 끼움관(41)(41')을 갖고 있는 것인데, 상기의 끼움관(41)(41')는 천막(30)의 끝단 곡선부와 비슷한 형태의 경사각을 갖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40)와는 별개로 구비되는 누름 플레이트(43)는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40)와 천막(30)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데, 예컨데 텐션 플레이트(40) 상에 천막(30)의 끝단이 중첩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의 누름 플레이트(43)를 천막(30)의 상부에 밀착시킨 후 별도의 고정볼트(60)(60')를 사용하여 상기 텐션 플레이트(40)와 누름 플레이트(43)가 밀착 고정되게 하면 이들 텐션 플레이트(40)와 누름 플레이트(43) 사이의 천막(43)은 견고한 밀착 고정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40)에 형성된 끼움관(41)(41')으로 천막(30)의 끝단에 매입되어 있는 천막와이어(31)(31')의 끝단을 삽입하되, 상기 천막와이어(31)(31')의 끝단에는 나사부(32)를 형성함에 따라 끼움관(41)(41')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나사부(32)에 별도의 조절너트(33)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천막와이어(31)(31')는 텐션 플레이트(40)와의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조절너트(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천막와이어(31)(31')에 대한 장력의 가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텐션 플레이트(40)의 저면에는 상기 장력조절판(50)과 결합되기 위한 고정플랜지(42)가 하향 돌출되어 있는 것이고, 텐션 플레이트(40)의 중간부에는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적어도 1개소 이상의 견인공(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장력조절판(50)은 전기한 지지아암(20)(20')의 외측 끝단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장력조절판(5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체결공(51)(51')이 반복하여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장력조절판(50)의 끝단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걸이공(5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천막(30) 및 천막와이어(31)(31')가 결합된 상태의 텐션 플레이트(40)는 하부의 고정플랜지(42)를 상기 장력조절판(50)에 형성된 체결공(51)(51')에 횡방향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별도의 고정핀(70)으로 결합하면 장력조절판(50)에 대하여 텐션 플레이트(40)의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천막(30)에 대한 긴장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장력조절판(50)으로부터 고정핀(70)을 제거하여 텐션 플레이트(40)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40)를 지지아암(20)(20')의 끝단을 향하여 장력조절판(50)을 따라 이동시켜 전기한 고정핀(70)을 통해 새로운 위치에 이들을 힌지 결합하면 천막(30)에 대한 긴장력의 부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40)는 천막(3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고 천막(30)은 매우 대형일 것이므로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는 텐션 플레이트(40)의 이동 및 천막(30)에 대한 긴장력의 부여가 불가능할 것인 바, 별도로 구비된 장선수단 등을 이용하여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40)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선기를 구비히여 장선기의 일측 고리는 상기 텐션 플레이트(40)의 견인공(44)에 걸고 장선기의 타측 고리는 장력조절판(50)의 걸이공(52)에 건 상태에서 고정핀(70)을 제거한 후, 상기의 장선기를 작동시켜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40)가 장력조절판(50)을 따라 지지아암(20)(20')의 끝단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텐션 플레이트(40)의 이동에 의해 천막(30)에 대한 충분한 긴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분리 상태인 고정핀(70)을 이용하여 텐션 플레이트(40)와 장력조절판(50)이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힌지 결합 상태인 텐션 플레이트(40)는 바람이나 비 또는 눈 등에 의해 천막(30)에 하중 및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천막(30)의 움직임으로부터 텐션 플레이트(40)가 고정핀(70)을 축점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천막(30)과 지지아암(20)(20') 간의 고정부에 대한 취약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10' : 지지기둥
20,20' : 지지아암
30 : 천막 31,31' : 천막와이어
32 : 나사부 33 : 조절너트
40 : 텐션 플레이트 41,41' : 끼움관
42 : 고정플랜지 43 : 누름 플레이트
44 : 견인공
50 : 장력조절판 51,51' : 체결공
52 : 걸이공
60,60' : 고정볼트
70 : 고정핀
S : 장력조절수단
20,20' : 지지아암
30 : 천막 31,31' : 천막와이어
32 : 나사부 33 : 조절너트
40 : 텐션 플레이트 41,41' : 끼움관
42 : 고정플랜지 43 : 누름 플레이트
44 : 견인공
50 : 장력조절판 51,51' : 체결공
52 : 걸이공
60,60' : 고정볼트
70 : 고정핀
S : 장력조절수단
Claims (4)
- 지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10)(10')과, 상기 지지기둥(10)(10')의 선단으로부터 종횡으로 연결 설치되는 지지아암(20)(20')과, 상기 지지기둥(10)(10') 및 지지아암(20)(20')의 상측에 펼쳐 고정되는 천막(30)과, 천막의 끝단에 매입된 천막와이어(31)(31')에 장력을 부여하여서 천막(30)이 긴장 설치되도록 구성하되, 상기의 천막(30)은 텐션 플레이트(40)를 갖는 별도의 장력조절수단(S)을 통해 지지아암(20)(20')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되, 천막(30)의 끝단에 밀착 고정되는 상기의 텐션 플레이트(40)는 양측으로 끼움관(41)(41')을 형성하여 상기의 끼움관(41)(41')의 내측으로 천막(30)의 끝단에 매입된 천막와이어(31)(31')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게 한 서스펜션 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텐션 플레이트(40)에는 관통의 견인공(44)을 형성하고 텐션 플레이트(40)의 저면에는 하향 돌출된 고정플랜지(42)를 형성하며, 상기 천막(30)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아암(20)(20')의 끝단 상부에는 상기의 고정플랜지(42)를 핀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51)(51')과 끝단에 걸이공(52)이 형성된 별도의 장력조절판(50)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2133A KR101190579B1 (ko) | 2012-01-06 | 2012-01-06 |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2133A KR101190579B1 (ko) | 2012-01-06 | 2012-01-06 |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0579B1 true KR101190579B1 (ko) | 2012-10-15 |
Family
ID=4728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2133A KR101190579B1 (ko) | 2012-01-06 | 2012-01-06 |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057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5409B1 (ko) | 2021-01-29 | 2021-04-02 | 주식회사 에이맥스 | 막 구조물의 멤브레인에 대한 장력측정 및 양방향 인장장치 |
KR102249049B1 (ko) | 2021-01-29 | 2021-05-07 | 주식회사 에이맥스 | 멤브레인에 대한 장력측정 및 양방향 재인장 시스템을 갖는 막 구조물 |
KR102322581B1 (ko) | 2021-05-25 | 2021-11-09 | 태하이앤씨 주식회사 | 양방향 개별인장이 가능한 막 구조물용 멤브레인 인장장치 |
KR102351419B1 (ko) | 2021-04-19 | 2022-01-18 | 박종권 | 막 구조물의 막재 및 케이블용 장력조절장치 |
KR102528234B1 (ko) * | 2022-09-23 | 2023-05-03 | 매이크앤 주식회사 | 막장력조절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035B1 (ko) | 2005-04-02 | 2007-04-11 | 김현실 | 접이식 연결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텐트 |
KR200437103Y1 (ko) | 2007-01-30 | 2007-11-05 | 주식회사 아주에프아이 | 막구조물의 주름방지장치 |
KR101066437B1 (ko) | 2009-04-08 | 2011-09-23 | 주식회사 타이가 |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
KR101069386B1 (ko) * | 2011-06-29 | 2011-09-30 | 주식회사 동아스트 | 막구조물의 주름방지 시스템 |
-
2012
- 2012-01-06 KR KR1020120002133A patent/KR1011905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035B1 (ko) | 2005-04-02 | 2007-04-11 | 김현실 | 접이식 연결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텐트 |
KR200437103Y1 (ko) | 2007-01-30 | 2007-11-05 | 주식회사 아주에프아이 | 막구조물의 주름방지장치 |
KR101066437B1 (ko) | 2009-04-08 | 2011-09-23 | 주식회사 타이가 | 주름방지장치를 갖는 막구조물 |
KR101069386B1 (ko) * | 2011-06-29 | 2011-09-30 | 주식회사 동아스트 | 막구조물의 주름방지 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5409B1 (ko) | 2021-01-29 | 2021-04-02 | 주식회사 에이맥스 | 막 구조물의 멤브레인에 대한 장력측정 및 양방향 인장장치 |
KR102249049B1 (ko) | 2021-01-29 | 2021-05-07 | 주식회사 에이맥스 | 멤브레인에 대한 장력측정 및 양방향 재인장 시스템을 갖는 막 구조물 |
KR102351419B1 (ko) | 2021-04-19 | 2022-01-18 | 박종권 | 막 구조물의 막재 및 케이블용 장력조절장치 |
KR102322581B1 (ko) | 2021-05-25 | 2021-11-09 | 태하이앤씨 주식회사 | 양방향 개별인장이 가능한 막 구조물용 멤브레인 인장장치 |
KR102528234B1 (ko) * | 2022-09-23 | 2023-05-03 | 매이크앤 주식회사 | 막장력조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0579B1 (ko) | 텐션 플레이트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 |
KR200312123Y1 (ko) | 보강구조를 갖는 접철식 천막 | |
KR101190055B1 (ko) | 막구조물에 대한 수직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 |
US8978311B1 (en) | Mobile stage system | |
CN104912321B (zh) | 一种用于悬空结构的钢桁架模板支撑结构及其安装方法 | |
KR101599777B1 (ko) | 조립식 골조와 에어 포켓형 멤브레인을 이용한 막 구조물 | |
KR101278148B1 (ko) | 차양 시스템의 전용 골조 | |
KR100820369B1 (ko) | 장력보강수단이 구비된 막구조물 | |
KR101883734B1 (ko) | 막구조물 코너 등분포하중용 장력조절장치 | |
KR102099771B1 (ko) | 조립식 천막의 텐션 조절 장치 | |
CN105544820A (zh) | 带弹簧装置吊杆的曲面外幕墙用支撑钢结构及其施工方法 | |
CN207619811U (zh) | 一种装配式斜拉桥 | |
JP3230733U (ja) | 建築工事用仮設屋根 | |
CN104405152B (zh) | 拉索厂房 | |
CN211774976U (zh) | 一种用于张弦梁中拉索和撑杆的索夹节点 | |
KR101183155B1 (ko) | 막 구조물의 막 장력 조절 장치 | |
KR101156606B1 (ko) | 케이블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 |
CN204877802U (zh) | 一种角度可调节支架及小型风力发电机 | |
CN104328851A (zh) | 一种幕墙 | |
CN110714569A (zh) | 一种张力天花、装配式建筑及其施工方法 | |
KR102351419B1 (ko) | 막 구조물의 막재 및 케이블용 장력조절장치 | |
JP2005146772A (ja) | 屋根支持構造体ユニットおよび大空間屋根構造物並びにこれらの施工法 | |
JP2001207690A (ja) | ストラット式張力膜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立体骨組構造 | |
CN209568747U (zh) | 一种应用于雨棚的钢结构 | |
CN206428814U (zh) | 高强度方矩管屋面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