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806B1 - 배터리 충전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806B1
KR102247806B1 KR1020190128169A KR20190128169A KR102247806B1 KR 102247806 B1 KR102247806 B1 KR 102247806B1 KR 1020190128169 A KR1020190128169 A KR 1020190128169A KR 20190128169 A KR20190128169 A KR 20190128169A KR 102247806 B1 KR102247806 B1 KR 102247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ord
battery
cover
battery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995A (ko
Inventor
홍성진
Original Assignee
홍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진 filed Critical 홍성진
Priority to KR102019012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8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자동차의 배터리, 전시용 자동차의 배터리, 무인 주행 작업차의 배터리, 장비 등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하는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회로가 내장된 충전 함체와; 상기 충전 함체의 상부 및 측면의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판재로 절곡 형성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커버의 전방 상부를 펀칭하여 수직으로 하향 절곡 하여 하향 돌출시킨 코드 권취부를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기{Battery charger}
본 발명은 일반 자동차의 배터리, 전시용 자동차의 배터리, 무인 주행 작업차의 배터리, 장비 등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하는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터리 충전기에 교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코드 및 충전 대상물(무인 주행 작업차 등) 내부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코드를 정리하여 전원코드 및 충전코드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 무인 주행 작업차의 배터리, 산업 장비 등의 충전 대상물에 설치된 배터리가 방전되면 공개특허 제10-2005-0119608호와 같은 배터리 충전기를 이용하여 이들 충전 대상물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고, 상기 배터리 충전기는 항상 교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충전 대상물을 상기 배터리 충전기 근방에 근접시켜 충전을 수행하고 있고, 상기 배터리 충전기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직류 전원으로 변환 후 충전회로를 거쳐 충전 대상물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기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코드 및 원거리의 충전 대상물 내부의 배터리와를 접속하는 충전코드를 필요로 하게 하는데, 종전에는 배터리 충전기 함체 외부로 길게 노출된 상기 충전 및 전원코드를 이용하여 전원공급 및 충전을 수행하다가 충전을 수행한 후에는 상기 충전 및 전원코드를 함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바닥면에 놓여지게 되므로 배터리 충전기가 위치한 장소를 지나는 차량이나 장비 등의 바퀴나 기타 중량체 등에 의하여 전원 및 충전코드의 외피가 벗겨져 합선의 위험이 있고, 이들 전원 및 충전코드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배터리 충전기 함체 내부에 전원코드 및 충전코드를 감아 정리할 수 있는 권취부를 부설하고, 상기 권취부에 전원 및 충전코드를 감아 정리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기 권취부가 배터리 충전기 함체 내부에 실장되는 충전회로를 간섭할 수 있어 충전회로의 장해가 발생할 수 있고, 좁은 공간을 가지는 함체에 권취부를 설치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며, 상기 함체 외부에 별도의 코드 권취부를 형성하여 제시할 경우 제작비용이 과다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기에 교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코드 및 충전 대상물 내부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코드를 정리하여 전원코드 및 충전코드를 보호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터리 충전기의 제작을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게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충전회로가 내장된 충전 함체와; 상기 충전 함체의 상부 및 측면의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판재로 절곡 형성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커버의 전방 상부를 펀칭하여 수직으로 하향 절곡 하여 하향 돌출시킨 코드 권취부를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기 함체와 접속된 전원코드 및 충전코드를 권취부에 권취시켜 보호하도록 함으로써, 전원코드 및 충전코드 비 사용시 정리정돈이 유리하고, 외적 충격이나, 충돌에 의한 외피 손상을 방지하여 쇼트현상이나 단선을 방지하여 코드의 수명을 연장 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판재로 형성한 커버의 일단을 펀칭하여 하향 절곡 하여 형성한 권취부를 커버와 일체로 수직으로 돌출시켜 제공하므로 커버 형성을 위한 재료절감은 물론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의 저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충전 대상물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도면이고, (b)는 전원코드 및 충전코드를 권취부에 감은 상태의 확대 발췌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의 전원코드 및 충전코드가 권취부에 감겨진 사태의 저면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권취부의 사용상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충전회로가 내장된 충전 함체(10)와; 상기 충전 함체(10)의 상부 및 측면의 외부를 감싸 고정 시켜 보호하는 판재로 절곡 형성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커버(20)의 전방 상부(21)를 펀칭하여 수직으로 하향 절곡 하여 하향 돌출시킨 코드 권취부(22)를 상기 커버(20)와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충전 함체(10)는 내부에 직류로 전환하는 컨버터 및 충전회로가 내장되며, 충전 함체(10)의 전면 양단 및 중앙 각각에 교류 전원과 접속하여 교류전압을 공급받는 전원코드(30)의 플러그(31)가 삽입되는 소켓(11) 및 충전코드(40)의 일단이 접속되는 충전단자(12) 및 방열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코드(30)의 타측 플러그(32)는 전원 소켓과 접속되어 전압을 공급받고, 충전코드(40)의 타단에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 충전 집게(41)(42)가 결합 되어 일반 자동차의 배터리, 전시용 자동차의 배터리, 무인 주행 작업차의 배터리, 장비 등과 같은 충전 대상물(50)의 배터리 충전단자(51)(52)에 상기 플러스 및 마이너스 충전 집게(41)(42)를 통하여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 권취부(22)는 커버(20)의 전방 상부(21)를 펀칭하여 수직으로 하향 절곡 하여 하향 돌출시키게 되므로, 커버(20)와 코드 권취부(22)는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코드 권취를 위한 별도로 부가물의 형성 및 부가물을 부착하지 않아도 프레스에 의한 펀칭으로 수월하게 코드 권취부(22)를 형성할 수 있어 코드 권취부(22)를 위한 제조가 간단할 뿐 아니라 재료절감을 도모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기의 제조원가를 낮추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면 중 SW는 전원 스위치, 21-1은 커버(20)의 전방 상부(21)를 펀칭하여 형성된 구멍이고, 21-2는 커버(20)를 벽면이나 바닥면 또는 충전을 위한 이동 대차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 브라켓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21-2)에 형성된 고정구멍(21-2')을 통하여 고정볼트(B)로 고정 시켜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기를 고정 시킬 수 있다.
상기 코드 권취부(22)의 본체(22-1) 양측에 걸림편(22-2), (22-3)을 상향 돌출시키되, 본체(22-1)와 걸림편(22-2) 사이 및 본체(22-1)와 걸림편(22-3) 사이에 요입부(22-2')(22-3')을 형성하여 전원코드(30) 및 충전코드(40)가 상기 본체(22-1) 둘레와 요입부(22-2')(22-3') 내에서 권취 되어 안정적으로 감기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전원코드(30) 및 충전코드(40) 비 사용시 정리정돈이 유리하고, 외적 충격이나, 충돌에 의한 전원코드(30) 및 충전코드(40)의 외피 손상을 방지하여 쇼트현상이나 단선을 방지하여 코드의 수명을 연장 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드 권취부(22)의 본체(22-1) 양측 둘레와 코드 권취부(22)의 본체(22-1) 양측에 상향 돌출시킨 걸림편(22-2)(22-3)의 외측 둘레 및 본체(22-1)와 걸림편(22-3) 사이에 형성한 요입부(22-2')(22-3')의 내측 둘레 각각에 코드 보호용 쿠션 부재(60)(스폰지 또는 고무재 등)를 끼워 코드 권취부(22)에 감겨지는 전원코드(30) 및 충전코드(40)를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코드 권취부(22)의 본체(22-1) 둘레와 걸림편(22-2), (22-3) 및 요입부(22-2')(22-3') 둘레 양단에 형성한 요홈(H)에 코드 보호용 쿠션 부재(60) 내측 양단의 돌출띠(T)를 끼워 결합하도록 하여 코드 보호용 쿠션 부재(60)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 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실
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충전 함체 20 : 커버
22 : 코드 권취부 30 : 전원코드
40 : 충전코드 50 : 충전 대상물
60 : 코드 보호용 쿠션 부재

Claims (4)

  1. 충전회로가 내장된 충전 함체(10)와; 상기 충전 함체(10)의 상부 및 측면의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판재로 절곡 형성한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커버(20)의 전방 상부(21)를 펀칭하여 수직으로 하향 절곡 하여 하향 돌출시킨 코드 권취부(22)를 상기 커버(20)와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권취부(22)의 본체(22-1) 양측에 걸림편(22-2), (22-3)을 상향 돌출시켜 본체(22-1)와 걸림편(22-2) 사이 및 본체(22-1)와 걸림편(22-3) 사이에 요입부(22-2')(22-3')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기.

  3. 삭제
  4. 삭제
KR1020190128169A 2019-10-16 2019-10-16 배터리 충전기 KR102247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69A KR102247806B1 (ko) 2019-10-16 2019-10-16 배터리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69A KR102247806B1 (ko) 2019-10-16 2019-10-16 배터리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995A KR20210044995A (ko) 2021-04-26
KR102247806B1 true KR102247806B1 (ko) 2021-05-03

Family

ID=7573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169A KR102247806B1 (ko) 2019-10-16 2019-10-16 배터리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6904A (zh) * 2022-08-11 2022-09-09 徐州力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蓄电池外壳用可调节打孔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5458A (ja) 2011-03-28 2012-10-22 Fukuda Denshi Co Ltd 電源アダプタ
JP2013043717A (ja) 2011-08-22 2013-03-04 Panasonic Corp 電気車両用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2585D0 (en) * 1996-10-30 1997-01-08 Ipr Investment Ltd Battery charging unit
TWI498237B (zh) * 2011-05-18 2015-09-01 Panasonic Corp 電動載具充電裝置
KR20150126498A (ko) * 2014-05-02 2015-11-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충전기
KR101830134B1 (ko) * 2016-08-03 2018-02-20 (주)현대공업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5458A (ja) 2011-03-28 2012-10-22 Fukuda Denshi Co Ltd 電源アダプタ
JP2013043717A (ja) 2011-08-22 2013-03-04 Panasonic Corp 電気車両用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995A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7102B2 (en) Portable modular power station
US824637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blade shaped handle
US20070252435A1 (en) High capacity mobile electric power source
US20090026843A1 (en) Portable apparatus of emergency power supply and battery charger
CN112026552A (zh) 电动车的电力维持方法
CN104925211A (zh) 用于电动自行车的电池座设备
EP3309001B1 (en) Battery plug-in device for material handling equipment
JP6713052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これを含む自動車
CN110525240B (zh) 车载动力电池、可充放电的储能系统和电动汽车
JP6420293B2 (ja) コネクタ構造体及び電動車両
KR102247806B1 (ko) 배터리 충전기
JP2020017385A (ja) 電池ユニット
WO2006012701A1 (en) Rechargeable flashlight
KR20130012459A (ko) 자동차용 고전압 이차전지의 접지구조
KR20160077451A (ko) 배터리 셀 모듈
KR20100043757A (ko) 축전지 캐리어
CN210535733U (zh) 电池模组及其动力电池包
CN109964332A (zh) 可再充电电池模块和可再充电电池模块的操纵方法
KR101478701B1 (ko) 용접 결합부 및 체결 만입부를 포함하는 결속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US8637176B2 (en) Starter battery and case
CN215869560U (zh) 车辆的电池加热装置及车辆
CN216619602U (zh) 便携式的工作灯
CN211869162U (zh) 集成式电管理系统以及电动车辆
CN215680837U (zh) 一种电池包以及用电设备
CN216530664U (zh) 一种电动车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